-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조기 축구 동호인 단체. 성남지역 청년들의 친목도모와 조기축구를 통한 운동을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공 이동 도서관. 이동도서관은 도서 봉사를 제공받기 어려운 지역 주민의 생활 주변으로 도서관 자료, 장비, 직원을 차량에 싣고 운반하여 도서관 봉사를 제공하는 이동식 분관 도서관으로 순회문고, 순회도서관, 차량도서관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자동차 등록 관리 업무를 하는 행정 기관. 성남시 차량등록사업소는 차량의 신규 등록에서 말소 등록에 이르기까지 자동차와 관련한 모든 민원 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차산(次山), 호는 현포(玄圃)이다. 이원필(李元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통(李通)이고, 아버지는 이경증(李景曾)이며, 어머니는 순화군(順和君) 이보(李𤣰)의 딸이다.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평산신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차의과학대학교 부설 종합 의료 기관.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성광의료재단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1995년에 설립된 분당 최초의 종합병원이다. 불임 및 여성 의학, 생명 과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가 주력 분야이다. 성광의료재단은 의료 그룹으로 분당차병원 외에 분당차한의원, 분당차여성병원, 강남차병원, 구미차병원, 대구여성차병원, 치바이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차인(次人)이다. 아버지는 무주부사를 지낸 이예(李藝), 할아버지는 선공감역을 지낸 이몽석(李夢錫), 증조할아버지는 호군(護軍)을 지낸 이식(李植), 고조할아버지는 이조참의를 지낸 이균(李稛)이다....
-
1934~1979. 군인. 국회의원. 1934년 경기도 이천에서 출생한 차지철은 1953년 사병으로 입대하여 갑종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미국 육군보병학교 고등군사반을 수료하고 국학대학교 정치학과와 한양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의 성남시 지회.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성남지회는 교육 현안의 근본적인 해결을 모색하고, 학교 운영위원회 활동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화·교육 활동을 지원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사회 복지 단체. 참사람들은 1991년부터 성남빈민복지상담소를 시작으로 성남 지역의 소외된 이웃의 아픔과 기쁨을 함께하고,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 지역사회 복지 네트워크의 중심 기관으로서 사회의 관심 밖에 놓여 있는 노인 복지 중심의 통합적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청소년 인터넷 방송국. 참TV는 성남에서 최초로 시작한 청소년 인터넷 방송국으로 수정청소년수련관 내에 있다. 영상을 통해 청소년 스스로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영상 교육 및 장비를 지원하고, 청소년 문제와 학교, 지역을 주제로 다양한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창곡동(倉谷洞)은 성남시 최북단에 자리한 법정동으로 면적은 3.19㎢이며 서울과 경계를 이룬 성남시의 관문이다. 현재는 지하철 8호선이 창곡동 외곽으로 지나가지만, 과거에는 시 외곽에 자리한 조용한 전원 마을이었다. 경기도의 성남시와 하남시, 서울특별시가 공동으로 개발하는 위례신도시 택지개발지구에 포함되어 있으며 행정동은 위례동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느티나무. 창곡동 느티나무는 수도권 지하철 8호선 남위례역 인근 복합문화공간에 서 있다. 과거 창곡동 세촌마을[간이골]을 지키던 수령 40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25m, 가슴높이 둘레 143cm, 수관(樹冠) 너비 32m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2001년 토지박물관에서 수행한 지표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창곡동 산83-1번지 일대에 있는 해발 73m의 나지막하고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의 남동쪽 능선 윗부분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의 옛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서부면의 지역으로서 창고가 있었으므로 창골, 창말 또는 창동, 창곡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세촌면의 세곡동을 병합하여 창곡리(동)이라 하여 중부면에 편입되었다가, 1971년에는 성남출장소에 편입되고 1973년에는 성남시에 편입되어 지금의 복정동의 관할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창곡여자중학교는 친절하고 예의바르며 더불어 살아가는 도덕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지닌 실력인, 과학·정보화 능력을 지닌 창조인, 꿈을 세워 소질과 특기를 계발하는 자주인, 건강한 몸과 건전한 정신을 지닌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창곡여자중학교는 친절하고 예의바르며 더불어 살아가는 도덕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지닌 실력인, 과학·정보화 능력을 지닌 창조인, 꿈을 세워 소질과 특기를 계발하는 자주인, 건강한 몸과 건전한 정신을 지닌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창곡중학교는 '슬기롭게(智), 참되게(眞), 용기있게(勇)'라는 교훈 아래 책임 의식과 봉사 정신을 갖고 서로 협동하는 사람, 민주 정신이 투철하고 공동체 일에 앞장서는 사람, 합리적 사고를 학문을 탐구하고 미래를 이끌 사람, 튼튼한 몸과 마음으로 건정한 생활을 하는 사람 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창곡중학교는 '슬기롭게(智), 참되게(眞), 용기있게(勇)'라는 교훈 아래 책임 의식과 봉사 정신을 갖고 서로 협동하는 사람, 민주 정신이 투철하고 공동체 일에 앞장서는 사람, 합리적 사고를 학문을 탐구하고 미래를 이끌 사람, 튼튼한 몸과 마음으로 건정한 생활을 하는 사람 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을 흘러 탄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창곡천은 과거 위례신도시가 개발되기 이전에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가마골에서 발원하여 매착리와 복정교를 지나 탄천에 합류하였으며, 길이는 2.0㎞이며, 몽리 면적은 6㏊이었다. 그러나 위례신도시 개발로 인하여 현재 창곡천의 선형 및 기능이 많이 변화하여 청량산 남쪽 위례근린공원에서 위례역사수변공원을 거쳐 헌릉로 아래로 흘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생각은 깊게, 시야는 넓게, 마음은 따뜻하게’이다. 교육 방향은 존중하고 소통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목표는 창의인, 지성인, 교양인을 기르는 데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생각은 깊게, 시야는 넓게, 마음은 따뜻하게’이다. 교육 방향은 존중하고 소통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목표는 창의인, 지성인, 교양인을 기르는 데 있다....
-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은행동 등에 살던 성씨. 중원구 상대원동 황촌(黃村)에는 황재남(黃再男)[1939년생]의 11대조인 황윤구(黃胤耈)[1607~1691]가 철원에서 이거하여 정착한 후 후손이 세거하여 황씨 촌락이 형성되었다. 은행동에도 세거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매주 토요일마다 지역 주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서 개최하는 문화 예술 공연. 시민을 찾아가는 토요미니콘서트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부, 성남시립예술단, 사랑방문화클럽 등 지역 문화 예술가들이 바쁜 일상에 쫓겨 공연장을 찾기 어려운 시민들을 위해 시민들이 자주 찾는 공원, 학교 등을 찾아가 매주 토요일마다 공연하는 작은 콘서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책을 갖추어 놓고 팔거나 사는 가게. 성남의 서점은 분당 지역을 중심으로 대형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문구와 음반을 판매하는 문화 공간으로 변모해가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독자 관리, 독자 서비스 행사 개발 등 새로운 매출 전략을 수립하여 운영에 혁신을 기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어린이 전용 도서관. 맞벌이 가정의 어린이들이나 자유롭게 책과 접하고 주부들이 활동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공동체적 일체감과 문화적 욕구를 해소하여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공공도서관. 분당 율동공원 안에 조성된 책테마파크도서관은 실내 공간과 야외공연장, 조형 공간, 산책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
조선 전기 문신으로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인 광주 안씨의 중시조. 안성(安省)[1344~1421]은 조선 세종 3년까지 활동한 문신이다. 조선 개국 후 처음으로 청백리에 뽑힌 3인 중 한 사람이며, 한쪽 눈이 작아서 이름을 ‘소목(小目)’이라 하였는데, 벼슬을 하면서 임금의 명령으로 ‘성(省)’으로 고쳤다....
-
1860년 최제우(崔濟愚)가 창도한 동학을 3세 교주 의암(義菴) 손병희(孫秉熙)가 1905년 개칭하고 경기도 성남시에 전파한 종교. 최제우는서학(西學)[천주교]에 대비되는 동학을 창도하면서, 교리적으로 ‘오심즉여심(吾心卽汝心), 천심즉인심(天心卽人心), 시천주(侍天主)’, 즉 “내 마음이 네 마음이고 천심은 곧 민심이니 천주를 잘 모시라”라고 하였다. 또 대외적으로 ‘보국안민(輔...
-
1838년 10월 일본인 나카야마 미키가 창시한 신도(神道) 계열의 신흥 종교. 1893년(고종 30) 한국에 유입된 천리교는 세상의 창조주로서 인간과 사회와 세상을 수호한다는 어버이신[친신(親神)] 천리왕님[천리왕명(天理王命)]을 신앙 대상으로 삼는다. 천리교는 만물과 인간의 창조신화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이 마음 이외에 육체를 비롯한 모든 것을 어버이신에게 빌렸으나 사욕 때문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금토동과 상적동 옛골 사이에 있는 구릉성 산. 청계산의 동쪽 기슭에 해당하는 천림산에는 해발 170m 정도의 구릉 능선상에 조선시대 봉수대가 있다. 천림산봉수대는 서쪽으로 청계산의 주봉인 망경대와 국사봉 사이 해발 545m인 봉우리가 동북쪽으로 약 2.7㎞ 정도 이어진 평지를 이루는 구릉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동쪽 하단부로는 경부고속도로 달리내 구간과 금토동...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2동 천림산 봉수에서 근무했던 조선시대 군사 명칭. 천림산봉수대는 현재 성남시 수정구 금토2동 산35번지, 일명 달래내 고개에 위치하고 있는 조선시대 군사통신 시설의 하나이다. 봉수란 외적의 침입을 낮에는 연기, 밤에는 횃불로써 중앙에 알리는 군사통신 수단으로서 1423년(세종 5) 전후하여 천천산(穿川山)봉수를 설치한 데서 유래하였으나 오늘날은 천림산봉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조선시대 군사·통신 유적. 천림산 봉수는 조선시대 5거의 봉수제에서 부산 응봉(鷹峰)에서 처음 보내는 제2거 직봉노선(直烽路線)의 내지봉수(內地烽燧)로, 용인 석성산 봉수에서 보내는 신호를 받아 최종 서울의 목멱산(현 남산) 제2봉에 신호를 보냈던 경기도 관내의 마지막 봉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평숙(平叔)이며, 호는 천산재(天山齋)이다. 효령대군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대사헌, 대사간을 지낸 이식(李拭)[1522~1587]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양정(長陽正) 이주(李儔), 고조할아버지는 무송군(茂松君) 이전(李恮)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선학원 소속 사찰. 1980년 2월 27일 우향(宇香) 스님에 의해 창건된 절로 선학원 소속이다. 천은정사가 있는 자리는 본래 유명한 약수터로 많은 사람들이 치병과 기원을 위해 찾던 곳이다. 이 곳에 불법을 포교하는 기도도량을 만들고자 사찰을 세워 오늘에 이른 것이다. 처음에는 천막법당으로 시작하여 현재 대법당과 몇 개의 부속건물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분파. 천주교는 각 지역마다 교구(敎區)라는 개별 공동체를 두고 있으며, 각 교구에는 교구장 주교를 중심으로 보좌주교, 총대리, 사무처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다. 또한 각 교구 산하에 본당[성당]이 있으며, 각 본당에는 교구장 주교를 대리한 주임신부를 중심으로 사목회장, 사목협의회 등의 평신도 협의체가 조직되어 운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수도, 선교, 봉사, 교육 등 가톨릭정신에 따라 설립된 단체. 천주교 본당과 교구는 교계 제도에 따라 주교나 신부 등의 성직자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그들의 책임하에 운영, 유지된다. 본당은 신자 공동체가 모이는 장소로, 대체로 일정한 범위 안에 있는 모든 신자가 본당에 소속된다. 본당에서는 성당에서 행하는 미사를 비롯한 각종 전례를 중심으로, 신자들의 교육과 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분당지구 소속 성당. 분당신도시 개발로 천주교 신자가 급격히 늘어나자 1995년 2월 분당성마태오성당과 함께 분당성요한성당에서 분리하여 분당구 야탑동, 중원구 도촌동, 여수동을 관할하는 본당으로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천주교 선교 단체. 천주교사도회는 성 빈센트 팔로티(St. Vincent Pallotti)[1795~1850]가 1835년 선교를 목적으로 이탈리아 로마에서 사제와 수사, 수녀, 그리고 평신도를 포함하여 조직한 사도직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성남지구 소속 성당. 1984년 9월 6일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을 기념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성남 지역의 다섯 번째 본당인 신흥동성당이 설립되었다. 수진동성당의 일부 지역 신자 1,226명과, 단대동성당의 일부 지역 신자 964명이 새로이 신흥동성당으로 편입되었다. 설립 당시 성당의 부지는 있었지만 건물이 없는...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가톨릭 교인들이 모여 예배하는 교회. 성당이란 영어의 church를 번역한 것으로, 이 의미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천주교를 비롯한 모든 기독교의 교회당을 성당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영어의 church는 단순히 교회 건물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모든 구성원을 갖춘 교회 자체 또는 지역교회를 뜻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성당을 말할 때에는 천주교 자체를 지칭하거...
-
1874년(고종 11)~?. 광주군 중대면 송파진헌병주재소 앞에서 만세 시위운동을 주도한 인물. 천중선의 본적은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송파리이며 농업에 종사하였다. 종교는 기독교이며 일명 중선(仲善)으로도 지칭되었다. 1919년 46세 때 송파진헌병주재소에서 독립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만세 시위운동을 주도한 결과 1년 징역형에 처해져 수감 생활을 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고개. 천천현은 청계산과 천림산 사이에 있는 고개로서, 천천산 또는 천천령으로도 불린다. 조선시대부터 남쪽 삼남지방에서 한양 남산에 이르는 주요한 봉수로가 위치한 곳이었으며, 또한 한양에서 동래에 이르는 주요 교통로의 요충지이기도 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천택(千澤)이고, 임수근(林洙根)의 장남이다....
-
상대원은 잘 사는 동네였고 은행동은 못사는 동네였다. 상대원공단이 사람들을 먹여 살렸다. 69년도 70년도에 철거민들이 들어와 천막촌을 형성할 때만 해도 상대원동이 이렇게 활기를 띠게 될 것이라고 생각치 못했다. 처음 철거민이 들어왔을 때는 한심하기 그지없는 동네였다. 아니 오히려 어린 궁씨에게 그건 신기한 구경거리였다. “처음에 철거민들 들어와 갖고 군용텐트 촥 쳐갖고 거기다가...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청경(淸卿)이다. 청백리에 오른 충정공(忠貞公) 정대년(鄭大年)의 손자이고, 여산군수를 지내고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에 증직된 정휴복(鄭休復)의 장남이다. 부인은 군수를 지낸 송원(宋瑗)의 딸 여산송씨(礪山宋氏)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청계공원은 판교신도시에 조성한 제1호 근린공원으로 자연과 도시 공간의 조화를 고려해 도시 환경을 복원하고 도시 기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조성형 공원과 보존형 공원을 구분하여 자연 훼손을 최소화하자는 판교지구 공원 녹지 조성 기본 방향을 충실히 따라 청계산 자락에 조성했다. 그 결과 주변 경관과 지역적 특성이 잘 어우러진...
-
남한산성 안에 있는 청계당에 얽힌 이야기 청계당은 벽암대사 김각성(金覺性)의 공적을 추모하기 위하여 남한산성 안에 건립되었던 사당이었으나 지금은 그 자취가 없어지고 이야기만 전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시도. 청계로는 수정구 고등동 대왕판교로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상적천과 나란하게 진행하다가 경부고속도로 인근 서울시 경계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청계로’라는 이름은 인근 청계산(淸溪山)에서 따왔다. 지방도 제393호선의 일부로 상적로라 불리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청계산로로 부른다. 과거 성남 지역과 서울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였으나 분당-내곡간 도시...
-
경기도의 성남시 수정구, 과천시, 의왕시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걸쳐 있는 산. 청계산은 서쪽 관악산(冠岳山)[629m], 남쪽 국사봉(國思峰)과 더불어 서울의 남쪽 방벽을 이루는 산이다. 정상인 망경대를 비롯하여 옥녀봉, 청계봉, 이수봉 등의 여러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반암을 이루는 것은 화강편마암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천주교 성지. 조선 고종 때 대원군 집정시 프랑스 신부 서루도비꼬 볼리외 신부가 천주교 박해를 피해 은거하였던 곳으로, 성지 부근의 능선상에는 성마태오성당에서 세운 ‘성 루도비꼬 볼리외 성지 입구’ 및 ‘성인 서루도비꼬 볼리외 신부님 유적지’ 등의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옛골마을에서 해마다 열리는 지역 축제. 청계산 철쭉축제는 성남시 시화인 철쭉을 널리 알리고 옛골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시도. 청계로는 수정구 고등동 대왕판교로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상적천과 나란하게 진행하다가 경부고속도로 인근 서울시 경계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청계로’라는 이름은 인근 청계산(淸溪山)에서 따왔다. 지방도 제393호선의 일부로 상적로라 불리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청계산로로 부른다. 과거 성남 지역과 서울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였으나 분당-내곡간 도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옛골마을에서 해마다 열리는 지역 축제. 청계산 철쭉축제는 성남시 시화인 철쭉을 널리 알리고 옛골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과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을 연결하는 터널. 청계터널은 경기도의 성남시와 의왕시 경계를 지나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에 건설된 터널이다. 국내 최초의 편도 4차로 광폭터널로, 터널 길이는 판교 방향, 일산 방향 모두 450m이며, 터널의 폭은 17.6m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가톨릭교회 및 동방정교회와 함께 기독교의 3대 전통에 속하는 기독교의 한 분파. 개신교는 성남시에서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하고 있는 종교이다. 매번의 통계조사에서 성남시 전체 인구의 4분의 1 정도가 개신교 신자로 나타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청군 주둔지. 청군주둔지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군사의 주둔지로,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일원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은 위례신도시 택지 개발지구에 포함되어 대규모 공동 주택단지가 들어서, 옛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었던 청년 문화 단체. 성남청년대학은 성남 지역 청년들이 서로 돕고 협력하는 사회를 만들고자 다양한 문화 예술 동호회를 구성하여 문화 강좌와 성남청년문화제, 동아리 활동을 하던 청년 문화 예술 단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달(士達), 호는 청련(靑蓮)이다. 한계희(韓繼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사신(韓士信)이고, 아버지는 도정 한석(韓碩)이며, 어머니는 윤지준(尹之峻)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대한불교총화종 소속 사찰. 1972년 3월 설립된 총화종 사찰이다. 총화종은 생활불교, 대중불교를 지향하며, 불법을 통해 안심입명(安心立命), 광도중생(廣度衆生), 보국안민(輔國安民)을 구현함을 종지로 하고 있다. 소의경전은 『화엄경(華嚴經)』이다. 이 사찰도 총화종의 정신을 계승하면서 구체적으로는 화엄기도도량 건설을 목표하고 있다....
-
경기도의 성남시 수정구, 과천시, 의왕시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걸쳐 있는 산. 청계산은 서쪽 관악산(冠岳山)[629m], 남쪽 국사봉(國思峰)과 더불어 서울의 남쪽 방벽을 이루는 산이다. 정상인 망경대를 비롯하여 옥녀봉, 청계봉, 이수봉 등의 여러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반암을 이루는 것은 화강편마암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성남 지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사회 복지 시설. 1980년대 중반 저소득층 가정의 경우 자녀들이 유기·방치되는 사태가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으나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책이 부재하여 민간단체, 종교단체, 사회운동단체들이 나서서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문화 공간으로서 공부방을 설립하였으며 저소득층 지역을 중심으로 비영리, 자원봉사 중심으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고등학교 관악단 연합체. 성남청소년교향취주악단은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전통 음악의 보급을 위해 창단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 시설. 은행동청소년문화의집은 성남시 수정청소년수련관, 성남시 중원청소년수련관, 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 분당서현청소년수련관, 분당판교청소년수련관, 양지동청소년문화의집과 함께 지역 청소년들이 사회, 문화적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성남시청소년육성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청소년 문화 예술 축제. 성남시 청소년예술제는 청소년들의 문화 예술적 기량을 발산하고 관심을 불러일으켜 건전한 청소년 문화를 만들고자 추진하는 예술 행사로 부산, 원주, 부천, 군포, 성남 등 전국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마다 특성을 살려 진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청솔종합사회복지관은 지역 주민의 복지 증진과 지역 문제를 주민들과 함께 소통하며 해결해 나가는 지역 공동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밝고 지혜롭게 실천하는 사람’이며, 자주적이며 책임감 있는 사람, 예의 바르고 협동하는 사람, 창의적이며 실천하는 사람, 심신이 건강하고 심미적인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밝고 지혜롭게 실천하는 사람’이며, 자주적이며 책임감 있는 사람, 예의 바르고 협동하는 사람, 창의적이며 실천하는 사람, 심신이 건강하고 심미적인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굳세게’이다.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으로 함께 꿈을 키워 가는 행복한 어린이’이며, 세부 과제는 서로 협력하고 상호 존중하는 민주적인 어린이[민주인], 자기 주도로 학습하고 자기 관리를 할 수 있는 어린이[자주인], 문제를 서로 협력하여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어린이[창의인], 문화예술을 능동적으로 이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굳세게’이다.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으로 함께 꿈을 키워 가는 행복한 어린이’이며, 세부 과제는 서로 협력하고 상호 존중하는 민주적인 어린이[민주인], 자기 주도로 학습하고 자기 관리를 할 수 있는 어린이[자주인], 문제를 서로 협력하여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어린이[창의인], 문화예술을 능동적으로 이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 연적. 청자 기린모양 연적은 외뿔의 기린의 형상을 표현한 고려시대 연적이다. 연적은 벼루에 먹을 갈 때 물을 담아두는 그릇으로 수적(水滴)·수주(水注)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고려시대에는 주로 청자로 연적을 만들었고 조선시대에서 백자로 연적을 만들었다. 청자 기린모양 연적은 2006년 1월 17일 보물 제1449호로 지정되었으며,...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 청자 주전자. 청자 상감오리모양 주전자는 오리를 주제로 12세기 고려시대 절정기에 제작된 매우 특이한 상형청자로, 2004년 3월 3일 보물 제1398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경기도...
-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중원구 성남동 일대에 살던 성씨. 분당구 삼평동 성내미[성남(城南)]에 최초로 정착하였다. 중원구 성남동에는 정흠의 10대손 정주호(鄭周鎬)[1923년생]가 살고 있다....
-
성남시 분당구 율동과 백현동 일대에 살던 성씨. 분당구 율동 도랫말에 성종 때 좌찬성을 역임한 문정공 한계희(韓繼禧)[1423~1482]의 후손이 최초로 정착하였다. 서근배미에 한계희의 묘를 분당저수지 위쪽에 쓰고 이 일대를 사패지(賜牌地 : 나라에서 하사한 토지)로 받고 그 후손이 세거하면서 청주한씨촌을 형성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문정공 한계희와 그의 아들의 신도비. 청주한씨문정공파묘역신도비는 문정공 한계희(韓繼禧)와 장남 한사문(韓斯文), 넷째 아들 한사개(韓士介) 등 3인의 신도비 및 묘갈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청지(淸之), 호는 손암(損菴)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5대손으로, 장양도정 주(長陽都正 儔)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남원부사 이승상(李承常)이며, 어머니는 민관(閔寬)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방옹(放翁)이고 호는 청파(青坡) 또는 부휴자(浮休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려조에 밀직부사를 지낸 이강(李岡)이고,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원(李原)이며, 아버지는 돈녕부정 이지(李墀)이다. 어머니는 감찰 정보(鄭保)의 딸인데 포은 정몽주의 증손녀이기도 하다. 부인은 교하현감 고령박씨 수림(秀林)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놀이, 스포츠, 체력 단련, 무용 등 몸을 움직여 힘을 기르는 교육 활동. 체육은 운동을 통해 신체의 잠재 능력을 개발하고 문제 해결력을 기르는 활동이다. 의도적인 신체의 움직임으로 신체 기능을 발달시키는 직접적인 목적을 가지지만, 체육 활동으로 지능을 개발하고 지적 능력을 함양하는 인지적 목적도 달성할 수 있으며, 도덕의식과 정서를 풍부히 길러주는 일이기도 하다...
-
경기도 성남 시민의 체력 증진과 휴식을 위해 조성한 공원. 체육공원은 운동 경기를 비롯해 생활 체육과 야외 활동을 즐길 수 있게 조성한 공원이다....
-
체육과 관련된 사항을 통할하는 단체. 성남시의 체육단체에는 크게 성남시체육회 및 가맹 경기단체, 성남시생활체육협의회 및 종목별 연합회, 그리고 각 학교 운동부가 포함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체육 활동을 하는 데 필요한 경기장, 도구 등 모든 설비 및 장치. 2022년 8월 기준 성남시 초·중·고등학교의 체육시설은 총 132개이다. 이 중 체육관은 116개[초등학교 51개교, 중학교 35개교, 고등학교 30개교]이고, 인조 잔디가 설치된 운동장은 15개[초등학교 7개교,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4개교]이며, 천연 잔디가 설치된 운동장은 고등학교 1개...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초등 보통 교육 기관. 1948년 제정된 헌법 제16조에서는 “모든 국민은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였고, 이에 따라 1950년 6월부터 초등교육을 의무 교육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보호자는 자녀가 만 6세가 되면 초등학교에 취학시켜야 하며, 지방공공단체는 학교 설치의 의무가, 제삼자에게는 교육 보장의 의무가 있다. 다만 학령...
-
하굣길은 등굣길보다 재미있었다. 하굣길은 등굣길과는 달리 친구들과 같이였다. 등굣길은 학교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을 택해서 가지만 하굣길은 여러 길을 거쳐서 오는 경우도 많았다. 친구네 집을 들렀다가 오기도 하고 일부러 여러 곳을 둘러 둘러 오기도 했다. 그 당시에는 가장 재미있는 곳은 바로 문방구였다. “중원초등학교를 떠올리면 문방구가 가장 기억나요. 그 중에서도 문방구에서 팔았던...
-
집에서 학교까지는 먼 거리였다. 아니 초등학생이 걷기에는 먼 거리였다. 지석태에게도 그 거리는 만만치 않았다. 당시 상대원동의 집들은 산에다 대충 막 지어놓은 것들이었다. 산을 규모 있게 깎아놓은 것도 아니고 산의 나무들만 어정쩡하게 베어버리고 그 곳에 집을 지었기 때문에 굴곡진 고개를 몇 개는 넘어야 학교로 갈 수 있었다. 초등학생 걸음으로는 30분 정도 걸렸는데 당시에는 굉장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행정 지명. 구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서북쪽으로 탄천이 북류하며, 동북쪽에서는 분당천이 탄천에 합류한다. 동쪽은 수내2동과 중앙공원, 남쪽은 정자1동, 북쪽은 판교동과 서현1동에 둘러싸여 있다. 분당 신도시 개발에 따라 이 지역에는 2003년 12월 31일 현재, 면적 1.03㎢, 인구 1,7674명, 6,075세대가 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배움을 즐기고 나누며 함께 성장한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으로 함께 꿈을 키워 가는 행복한 어린이’이며, 세부 과제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문화인’, 즐거운 마음으로 꿈을 키워 가는 ‘자주인’, 열린 생각으로 배움을 넓혀 가는 ‘창의인’, 조화로운 건강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건강인’ 육성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 자는 경천(擎天)이고, 용양위 부사과 덕진(德鎭)의 아들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여숙(與叔)이고 호는 만곡(晩谷), 만옹(晩翁), 양암(養庵)이다. 아버지는 최수준(崔秀俊)이며, 아들은 영의정 최명길(崔鳴吉)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오야동에 있는 최기남의 묘 및 신도비. 최기남[1559~1619]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자는 여숙(與叔), 호는 만곡(晩谷), 만옹(晩翁), 양암(養庵)이다. 최수준(崔秀俊)의 아들이며, 병자호란 당시 주화론을 주장한 영의정 최명길(崔鳴吉)의 아버지이다. 1585년(선조 18)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수학하던 중 호남의 선비들이 왕의 뜻...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경주. 자는 덕준(德俊). 첨지중추부사 최명순(崔命狥)의 장남이다....
-
일제강점기 중국군관비행학교 관비생을 모집하는 점조직원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최도능의 본적은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이다. 그는 남한산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세브란스 치과의원 기공실 견습생으로 있었다. 1934년 10월부터 1935년 1월 경까지 천진에 거주한 후 귀국하여 약방의 점원으로 있었다. 1930년대 국내의 독립운동이 잠재된 형태로 전개되는 시기에 점조직원으로 활동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 자는 여수(汝狩). 첨지중추부사 최탑갑(崔榻甲)의 장남이다....
-
조선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 자는 석룡(碩龍)이고, 최제(崔濟)의 7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상대원1동에 있는 고려피혁의 노동조합 탄압에 맞서 분신 사망한 노동 운동가. 1987년 6월 항쟁 이후 노동자들의 민주적인 노동조합 설립을 위한 투쟁이 전국적으로 일어났으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성남 지역에서도 공단의 사업장별로 노동조합 설립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1988년 당시 200여 명의 노동자가 구두를 생산하고 있던 고려피혁에서도 노동조합 설립이 진행되고...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 자는 정탑(廷榻)이고, 최상룡(崔商龍)의 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 첨정 최삼곤(崔三崑)의 현손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건(子建)이고, 호는 추계(秋溪)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때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계휘(季輝), 호는 추담(秋潭). 오경민(吳景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오희문(吳希文)이고, 아버지는 오윤해(吳允諧)이며, 어머니는 최형록(崔亨綠)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에 있는 둔촌(遁村) 이집(李集)의 사당. 추모재는 고려 말의 학자 둔촌 이집[1314~1387]의 제사를 모시는 사당이다. 광주이씨의 중시조(中始祖)인 이집의 본관은 광주, 자는 성노, 호는 둔촌이다. 해박한 지식과 고상한 지조와 절개로 이름을 떨쳐 정몽주, 이색, 이숭인과 같은 여러 명현들과 교류하였고, 당시 정권의 실세였던 신돈(辛旽)의 불의한 행동...
-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한가위 또는 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하며, 설과 함께 2대 명절의 하나로 꼽힌다....
-
나는 솔직히 독립 생활 혹은 결혼 생활을 상대원 같은 곳에서 시작하고 싶지는 않다. 상대원은 사람이 많이 산다. 그들 대부분은 어려운, 가난에 찌든 사람들이다. 많은 혜택을 누리면서 좋은 교육을 받으면 좋은데, 상대원에서 그것은 좀 어려운 요구였다. 오히려 편부모 밑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아이들이 다른 지역보다 많았다. 또 술 때문에 불화를 겪는 가정이 많다는 느낌을 자주 받았다....
-
일제 강점기 경기도 성남 지역 출신의, 조선프로레타리아 예술동맹원으로 활약한 항일 문화운동가. 추완호의 본적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209번지이며 서울 숭사동(崇四洞)에 거주하였다. 일명 적양(赤陽)으로 호칭되었으며 1934년 이전에는 조선일일신문 사원으로 근무하였다. 1931년부터 이동식 소형극장의 미술장치부원으로 활동하다 1934년 8월에 체포되어 옥고를 겪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던 안동권씨의 재실 터. 안동권씨(安東權氏) 문중의 찰방공(察訪公) 권힐(權恄)은 조선 제16대 왕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글로써 두텁게 사귀었는데, 인조가 왕위에 오른 뒤 여러 차례 과거를 보도록 불렀으나 끝내 응하지 않았다고 한다. 송시열(宋時烈)이 그 소문을 듣고 권힐의 뜻을 가상히 여겨 당호를 추원(追遠)이라 하고, 그가 살던 동네를 둔퇴...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는 가축을 기르고 그 생산물을 가공하는 산업. 축산업은 농업의 한 부문으로, 가축을 기르고 그 생산물을 가공하는 산업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전통적으로 농업이라 부르는 쌀, 보리, 밀 등 식물성 식량 생산인 경종농업(耕種農業)과 구분하기도 한다....
-
새 생명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과 관련된 의례행위. 출산의례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금줄을 치는 행위이다. 금줄은 외부인의 출입과 부정을 막는 것으로, 그 기본적인 의도는 금(禁)하는 기능을 한다. 즉 금줄을 쳐놓은 경우에는 아무나 함부로 그곳에 드나들 수 없다. 금줄은 왼새끼로 꼬며 아들인 경우에는 붉은 고추, 숯, 짚수세미를 달고, 딸은 숯과 솔가지를 단다. 금줄은 한 이레(7일)...
-
서적, 회화 등을 편집하여 발간하는 출판행위 및 글이나 그림 등을 종이, 천 등에 박아내는 인쇄행위의 총칭. 성남의 출판문화는 수도권에 위치한 지역적 특성으로 연구단체 중심의 연구논문집과 단행본, 문화예술단체 중심의 동인지와 작품집 출판 등에 있어서 활기를 띠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무용 단체. 춤사랑무용단은 주부들로 구성되어 성남 지역 시민들을 위해 무용을 통한 봉사 활동 공연을 많이 했던 무용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때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계휘(季輝), 호는 추담(秋潭). 오경민(吳景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오희문(吳希文)이고, 아버지는 오윤해(吳允諧)이며, 어머니는 최형록(崔亨綠)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정이(靜而). 아버지는 충의위(忠義衛) 이광록(李匡祿)이며, 어머니는 권적(權適)의 딸이다. 큰아버지 이광국(李匡國)에게 입양되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명원(明遠), 중종(中宗)의 증손,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손자,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아들이다. 외조부는 광주목사 박간(朴諫)이고, 사도시첨정(司導寺僉正) 정인수(鄭撛壽)가 장인이다. 예에 따라 구천군(龜川君)이 되었다....
-
왕과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신하. 성남시 지역은 조선시대 한성에 도읍한 이후에 많은 사람이 주거하게 되었다. 특히 수도에서 낙향하거나, 선조의 묘지를 쓰고 집성촌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조선은 유교를 숭상하는 국가로서 충효사상을 강조하였으므로, 역사적으로 충신, 효자를 많이 배출하였고, 성남 출신 인물로서 충신으로 이름을 날린 사람이 많다. 고려 이전의 인물이 기록으로 전...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로(景老), 호는 사암(思菴)이다. 증 호조참판 정비(鄭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직(司直)을 지낸 정형운(鄭亨耘)이고, 아버지는 예문관대교 정전(鄭荃)이며, 어머니는 거창신씨(居昌愼氏)로 증 이조판서 신극정(愼克正)의 딸이다. 부인은 이인홍(李仁弘)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윤(仲胤), 호는 풍애(楓厓)이다. 참의 이지직(李之直)의 아들이다. 할아버지는 둔촌공(遁村公) 이집(李集)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고려말 생원(高麗末 生員) 이당(李唐)이다. 외할아버지는 지주사(知州事)인 이원보(李元普)이다. 부인은 별장(別將) 노신(盧信)의 딸인 정경부인(貞敬夫人) 교하노씨(交河盧氏)이며, 이극배(李克培)...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서현1동에서 관할한다. 마을에 밤나무가 많아 밤의 명산지로 유명했으며, 현재는 산림과 호수를 살려 조성한 총 면적 2,637,316㎡의 율동공원이 있어 분당 지역뿐만 아니라 인근 수도권 주민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취이(就而), 호는 송애(松崖)이다. 성종의 아들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7대손이며, 사평(司評) 이정흥(李鼎興)의 아들이다. 부인은 숙인 나주정씨이고 슬하에 1남을 두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서망(西望). 호는 취전(醉全)이다. 정휴복(鄭休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호(鄭灝)이고, 아버지는 순천부사 정양필(鄭良弼)이며, 어머니는 이양(李揚)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복초(復初)이고, 정대년(鄭大年)의 아들이다....
-
가신(家神)의 하나로, 뒷간(변소)을 관장하는 신. 변소귀신, 득살귀신 등으로 불린다. 측신의 신격을 상징하는 신체(神體)는 따로 없으나, 화장실 천장에 헝겊 또는 백지조각을 붙여두거나 매달아 둔다고는 하나 성남지역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려는 국가의 행정 작용. 치안의 개념은 구체적으로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안전을 목적으로 범죄자를 체포, 구금하는 등 국가의 통치권에 의한 계몽, 지도, 명령, 강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행정 작용은 현재 경찰 기관이 맡고 있으나 상고시대에는 경찰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다. 그것은 치안과 국방이 분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출신. 자는 치영(穉永). 호는 지산(芝山). 원석규(元錫圭)의 장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치원(致遠), 호는 국창(菊窓), 난재(蘭齋), 관원(灌遠)이다....
-
농협 옆에 돌고래다방이 있었다. 노씨 아줌마는 주로 그곳에 가서 음악을 들었다. MP3 기기가 발에 채이는 요즘에는 다방에 가서 음악 감상을 한다는 것이 무슨 말인가 하는 젊은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아무튼 그때는 음악 감상을 위해서 다방에 가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걔는 박천마을에 나는 이천마을에 살았거든요. 그러면 우리집을 지나서 가야 하는데, 그 친구가 맨날 거...
-
백씨는 상대원에서 18년 세월을 살아오는 동안, 생모를 찾았고 아이를 출산했다. 신장이 좋지 않았던 그녀는 요관 수술을 크게 받았다. 그런데 수술이 있은 지 일년 만에 뱃속에 아이가 들어섰다. 결혼한 지 7년 만의 일이었다. 거의 포기한 상태에서 들어선 아이는 너무 소중한 존재였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다. “건강한 사람도 아이를 가지면 심장이 눌리니까 힘든데, 저는 잘못하면 수술자...
-
음력 칠월 초 이렛날. 칠석날은 흔히 알고 있듯이 은하의 서쪽에 있는 직녀와 동쪽에 있는 견우가 오작교에서 일년에 한 번 만나는 날이다. 이날 까막까치가 견우직녀를 만나게 해주기 위해 다리를 놓느라고 머리가 벗겨진다는 설화가 전한다. 그리고 이 설화와 관련하여 이 날은 반드시 비가 온다고 하여 여자들은 밭일을 나가지 않는다고 한다....
-
칠월 칠석에 수명장수를 기원하며 북두칠성에게 지내는 고사. 음력 7월 7일 도교에서 신앙되는 북두칠성이 민간신앙으로 남아 있는 형태이다. 이 날은 우리에게는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설화로 더 알려져 있다. ‘칠성’으로 주로 불려지는 이 신격은 가정 내에서는 출산과 관련된 수명을 주고 장수를 기원해주는 신격으로, 농업이 주업으로 하던 시기에는 기우(祈雨)를 관장하는 신으로서 과거에는...
-
인간의 수명과 장수 등을 관장하는 신인 칠성을 믿는 신앙. 칠성은 무속의 신령과 가정의 가신으로 모셔지는 존재이다. 성남지역에서도 일부 무당의 신당과 일부 가정에서 칠성을 가신으로 모신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칠성은 생명과 출생, 죽음과 함께, 재물을 관장하는 신이기도 하며, 또한 기우(祈雨)를 관장하는 신이기도 하다. 칠성은 인간의 수명과 출생과 관련되어 있는 신이기에 중요한 신...
-
궁씨가 중학생이었을 때 상대원공단은 활기가 넘쳤다. 아침 상대원 거리는 공단에 출퇴근하는 사람들로 넘쳐났다. “공단에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어마어마 했어요 그냥 뭐 봇 진짜 그야말로 뭐 봇물이라고 그러나 막 밀고 들어가는 그러고 다녔어요 샤니케잌 뭐 또 콘티빵 뭐 이런 때는 진짜 인구 많았었고. 또 상대원에 방이 웬만하면 방이 조금만 꾸며서 놔도 다 세가 나가고, 어릴 때 우리집이...
-
해주, 광주에서 살다가 중원구 하대원동 웃말로 내려와 세거하는 성씨. 순수공파의 사온서령 윤이(尹伊)[1502~1576]의 아들 윤탁연(尹卓然)이 여산송씨 송맹경(宋孟璟)의 딸을 부인으로 맞으면서 처가 근처로 이주하여 10여대 살다가 일파는 해주, 광주로 갔다가 윤탁연의 13세손 윤병욱(尹炳旭)[1865~1927]이 선대의 고향으로 왔다. 윤탁연은 호조참판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