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본사가 있는 제빵·제과 업체. 파리크라상은 프랑스 정통의 베이커리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제과·제빵업체이다. 베이커리 브랜드인 파리바게뜨 외에도 에스프레소 커피전문점 파스쿠찌, 샌드위치 카페 타미티와 리나스, 디저트 갤러리 Passion5 등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원을 육성해 가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살고 있는 황미숙이 이끌고 있는 무용 단체. 황미숙은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현대 무용을 전공하였으며, 경희대학교 공연예술학과 무용 전공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실기 위주의 테크닉뿐 아니라 창작 무용과 현대 무용의 조류에 관한 다수의 논문 및 무용 요법에 대한 번역서를 출간 하는 등 탄탄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활발한 작품 활동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한국의...
-
파주 적성에서 이주하여 수정구 산성동, 금토동, 창곡동 등지에서 세거하는 성씨 윤부(尹溥)[1934년생]의 8대조 윤심진(尹心震)의 후손이 세거한다. 윤심진의 후손 윤광연(尹光演)의 부인 정일당강씨(靜一堂姜氏)[1722~1832]는 여류시인으로 문집이 전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자연 마을. 판교(板橋)라는 이름은 ‘널다리’의 한자 표기이고, 널다리는 옛날 운중천의 하천 위에 널(판자)로 만든 다리를 놓고 건너 다닌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마을 일대는 예전 광주군 낙생면 소재지였으며, 3.1운동 당시에는 낙생, 돌마 지역을 관할하는 순사주재소가 위치하여 만세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이 이곳으로 끌려와 수난을 당하기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백제·고구려 고분. 성남 판교 택지 개발 당시 매장 문화유산 조사를 통해 발굴된 백제 및 고구려 굴식 돌방무덤이다....
-
경기도 성남시 판교 택지개발 당시 발굴된 백제 집터와 고려·조선 시대 건물지, 통일신라부터 조선 시대까지 활용된 가마 터. 판교 생활유적군은 성남 판교 택지개발 당시 매장 문화유산 조사를 통해 발굴된 백제 집터와 고려·조선 시대 건물지, 통일신라부터 조선 시대까지 활용된 가마터 등의 유적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성남지구 소속 성당. 서판교성당은 판교신도시 건설에 따라 2009년 9월 1일 분당성마테오성당에서 분립하고 ‘판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성당’이란 명칭으로 현재의 성당 부지에 4개의 콘테이너 박스를 세우고 시작하였다. 이후 성당을 새로 건축하기 위하여 인근 남서울골프장 공간을 무료 임대하여 임시 건물을 지어 미사를 보았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서 매년 정월 보름에 행해지는 민속놀이. 판교 쌍용거줄다리기는 ‘쌍용줄다리기’라고도 불리는데, 쌍용거줄다리기보존회의 김광영에 따르면, 판교동에는 1970년대 초반 경부고속도로가 나기 전 길을 가로지르는 신작로를 따라 길게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곳에서 정월 보름에 줄다리기를 하였다고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통일신라·고려 시대의 고분군. 판교 통일신라·고려 고분군은 판교 택지개발 추진 당시 매장 문화유산 조사를 통해 발굴된 고대 유적이다. 통일신라·고려 시대의 앞트기식 돌방무덤, 앞트기식 돌덧널무덤, 구덩식 돌덧널무덤, 방형구획묘 등이 출토되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유보(裕甫), 호는 판교(板橋)이다. 이곤(李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공승(李公升)이고, 아버지는 군수 이간(李侃)이며, 어머니는 김문서(金文瑞)의 딸이다. 장인은 증 좌의정 기응세(奇應世)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판교고등학교는 바른 인성을 갖춘 강한 인재, 창의 융합적인 실력을 갖춘 인재,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인재, 바르고 생각하고 협업하는 인재를 키우는 데 주력한다. 교육 방향은 참여와 배려 속에 성장하는 행복한 판교이다. 교육 목표는 지성을 갖추고 더불어 함께하며 꿈을 이루는 창의 융합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정직, 창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판교고등학교는 바른 인성을 갖춘 강한 인재, 창의 융합적인 실력을 갖춘 인재,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인재, 바르고 생각하고 협업하는 인재를 키우는 데 주력한다. 교육 방향은 참여와 배려 속에 성장하는 행복한 판교이다. 교육 목표는 지성을 갖추고 더불어 함께하며 꿈을 이루는 창의 융합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정직, 창의,...
-
일제 강점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공립 교육 기관. 1922년 5월 1일에 판교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38년 일제가 종래 보통학교를 심상소학교(尋常小學校)로 개명함으로 1940년 4월 1일부터 낙생심상소학교가 되었다. 그 뒤 1941년부터 소학교가 다시 국민학교로 변경되고, 1944년 4월 1일에 낙생국민학교로 교명이 변경, 1996년 3월 1일에는 국민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과 판교동 일원에 있는 근린공원. 판교공원은 판교 신도시에 조성된 제4호 근린공원으로 숲 생태계를 보전하여 생태적 안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용객이 숲 생태계와 호흡하여 적극적인 자연체험을 할 수 있도록 조성된 판교 신도시 개발 지구 중 가장 넓은 공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던 다리. 판교교는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청계산 산지에서 발원하여 운중저수지를 거쳐 성남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에 유입하는 운중천 상에 건설된 다리로, 1991년에 준공되었다. 총연장은 30m이며, 교폭은 35m, 축조형식은 라멘 방식이다....
-
경기도 성남시 판교와 구리 사이에 있는 고속도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는 경기도 일산-퇴계원-판교-일산을 원형으로 연결하는 도시순환 고속도로이다. 길이 91.25㎞이며, 왕복4~8차선이다. 전체 구간이 완공되면 총길이는 128.3㎞이다. 왕복4차선은 21.33㎞, 왕복6차선은 0.74㎞, 왕복8차선은 69.18㎞이다. 서울특별시 8.34㎞, 인천광역시 12.51㎞, 경기도 70....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대장동 대장나들목과 운중동 산운마을을 이어 주는 시도. 성남시 분당구의 대장동 대장나들목에서 운중동 서판교터널을 지나 판교원로 82번길[산운마을]까지 이어 주는 판교대장로는, 성남 판교대장 도시개발사업 지구의 간선도로이다. 운중동 산운마을에서 남쪽 대장동으로 내려오는 가장 빠른 도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모두의 미래로 함께 가는 판교대장교육이라는 교육비전 아래, 새로움에 도전하고, 함께 성장하며 배려와 협력하는 대장인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모두의 미래로 함께 가는 판교대장교육이라는 교육비전 아래, 새로움에 도전하고, 함께 성장하며 배려와 협력하는 대장인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방향은 모두의 미래로 함께 가는 교육이다. 교육 목표는 새로움에 도전하고 함께 성장하며 배려와 협력하는 대장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방향은 모두의 미래로 함께 가는 교육이다. 교육 목표는 새로움에 도전하고 함께 성장하며 배려와 협력하는 대장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문서·기록·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판교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판교신도시 개발에 참여한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판교동은 분당구의 중북부, 판교신도시의 중앙부에 자리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과거 이 지역은 너더리마을과 너븐바위, 낙생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고 서울과 경기 남부 지역, 경기 중부, 동서 지역을 잇는 도로가 교차하던 요충지로 장터와 주막, 객사 등으로 번창한 곳이었다. 오늘날에도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한 주요 간선도로와 지방도로가 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너더리마을에서 산신에게 지내는 동제. 판교신도시 개발 전 판교동은 행정구역상 1통, 2통, 3통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며, 자연마을인 1통을 너더리[판교(板橋)] 마을, 2통을 너분바위[광암(廣岩)] 마을이라 불렀다. 3통 개나리마을은 1979년 경부고속도로 주변에 거주하던 주민들이 이주하여 살다가 1980년대 이후 경제발전에 따라 중소공장들이 입주하면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느티나무. 판교동의 자연마을인 옛 너븐바위마을[광암마을]의 느티나무길 언덕에 서 있던 수령 5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30m, 가슴높이 둘레 8.7m, 수관(樹冠) 너비 30m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던 연안이씨의 세장(世葬 : 대대로 묘를 씀) 묘역. 판교동 너더리마을의 북쪽 구릉에 위치하며, 여기에 연안이씨 연성군파(延城君派) 이곤(李坤)[1462~1524]을 비롯한 수십기의 묘가 조성되어 있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그리고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낙생초등학교를 포함하는 판교 너더리마을과 너븐바위마을 그리고 금토산 남쪽에 형성된 해발 127m의 산지 남동부 경사면 전체에 넓게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해발 136m의 금토산 동쪽 사면 끄트머리에 완만한 골짜기를 이루는 지역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와 고려 및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판교동 340-1번지의 경작지 일대에 분포하며, 유물은 앞쪽에 흐르는 운중천 유역의 충적대지에서 주로 수습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판교인터체인지 동남쪽에 있는 해발 80m의 나지막한 야산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향나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낙생초등학교 내에 있는 수령 30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15m, 가슴높이 둘레 2m, 수관(樹冠) 너비 8m이다. 낙생초등학교를 지을 당시에는 운동장 밖에 있었으나 학교를 확장하면서 운동장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회화나무. 경부고속도로상의 판교 인터체인지를 나와 안양 방면으로 위치한 판교동의 자연마을인 옛 너더리마을에 있었던 수령 500년의 노거수로 높이 25m, 가슴높이 둘레 1.4m, 수관(樹冠) 너비 33m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 판교동, 삼평동, 이매동, 야탑동을 연결하는 도로. 판교로는 하산운동 안양판교로 하산운교차로에서 북동동(北東東) 방향으로 분기하여 야탑동 분당메모리얼파크 인근 새나리로 교차점을 연결하는 총길이 8,251m의 도로로, 판교신도시를 동서로 연결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지역으로서 널로 놓은 다리가 있으므로 널다리, 너더리 또는 판교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너분배를 병합하여 판교리가 되었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 낙생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판교, 삼평, 백현의 3동을 합하여 판교동에서 관할하게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유물·유적 박물관. 판교박물관은 성남 지역의 삼국 시대 유적 및 유물을 전시한 박물관이다. 판교 개발 당시 발굴된 한성백제 돌방무덤 9기와 고구려 돌방무덤 2기의 보존·활용을 위해 건립되었다. 한성백제 유적 9기와 고구려의 석실분 2기 등 총 23기의 유적과 200여 점의 유물을 보유하고 있다. 삼국 시대 유적을 비롯하여 판교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
일제 강점기 경기도 성남 지역에 있었던 헌병분견소. 일제는 한반도에 배치한 군대를 더욱 늘리면서 전국 각처를 헌병과 경찰에 의한 계엄통치 상태에 두었다. 조선총독은 사법, 행정, 입법을 비롯하여 군대 지휘권까지 장악,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그 아래에는 정무총감과 경무총감을 두었는데 경무총감은 헌병사령관이 겸임하였다. 1910년에 전국에 헌병분견소 653개처에 2,01...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과 판교동 일원에 있는 근린공원. 판교공원은 판교 신도시에 조성된 제4호 근린공원으로 숲 생태계를 보전하여 생태적 안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용객이 숲 생태계와 호흡하여 적극적인 자연체험을 할 수 있도록 조성된 판교 신도시 개발 지구 중 가장 넓은 공원이다....
-
일제 강점기 경기도 성남 지역에 있었던 순사주재소. 대한제국은 1907년 7월 27일 개혁을 단행하여 순검(巡檢)을 순사라 하였고, 경무서(警務署)는 경찰서로, 분서와 파출소는 순사주재소로 개칭하였다. 한성부를 포함한 경기도 관할 구역 내에 8개의 경찰서와 4개의 분서(分署), 40개의 순사주재소를 설치하였다. 우선 한성부 내에 중부경찰서, 동부경찰서, 남부경찰서, 동현분서(銅峴分...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화랑공원 안에 있는 종합 스포츠센터. 판교스포츠센터는 주민 편익 및 건강한 여가 생활을 위한 다목적 종합 체육시설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선택의 폭을 넓혀 시민들에게 보다 향상되고 체계화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목적으로 개관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 일대에 신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개발사업. 판교신도시 개발지구는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주산맥의 검단산(542m)과 청계산(618m)으로 둘러싸인 분지형 지역이다. 또한 이곳은 농업에 기초한 전통문화를 간직한 곳이며 분당이나 용인 등지가 상대적으로 도시화의 과정을 답습하는 동안 일정 부분 소외된 지역이다. 이는 1976년 5월 4일 박정희 전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신분당선과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환승 통합 역사. 경강선[판교-여주]의 시·종착역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판교역은 판교신도시와 서울 강남을 빠르게 연결하는 신분당선과 경강선의 통합 역사이다. 장항선에 ‘판교역’이라는 이름이 있어서 전산에서는 경강선 판교역이 ‘신판교역’으로 등록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경부고속도로 요금소. 판교요금소는 경부고속도로 부산 기점 409.6㎞에 있으며, 인접하여 판교영업소가 있다. 부산 방향 진입로는 지하화되어 요금소에서 남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장소에 있으며, 서울 방향에서 바깥으로 나가는 램프의 경우 판교분기점의 구조물 일부를 사용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역참. 조선시대에는 행려자에게 교통 등 편의를 주기 위하여 설치된 숙발시설로 역로제도 뿐만 아니라 원과 관이 운영되고 있었다. 즉, 일반 공무여행자의 숙식을 위해 각 요지에 원을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빈객을 접대하기 위해서는 지방 각 관읍에 객사라는 관을 두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운중동에서 판교동을 연결하는 시도. 판교원로는 성남시 분당구의 판교동에서 운중동까지 연결하는 간선 도로로 운중로와 함께 판교신도시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시도(市道)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 판교원(板橋院)에 딸려 있었던 토지. 원(院)이란 공적인 임무를 띠고 지방에 파견되는 관리나 사신은 물론이고, 상인 등 일반 여행자에게 숙식을 제공하던 공공 여관이었다. 성남과 광주 주변 역시 원과 주점이 발달하여 행인에 대한 숙식 제공과 물자유통 및 상공업 발달에 크게 기여하였다....
-
1917년경에 광주군 낙생면 판교리에 개설되었던 시장. 15세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지방의 향시는 16세기에 보편화되어 전국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그러나 일제가 강점하면서 행정구역 변경과 함께 시장의 개설과 역할도 달라지게 되었다. 조선시대는 대부분 면(面) 단위로 시장이 개설되었으나 이 때에 이르면 이(里) 단위로도 시장이 개설되게 된다. 1917년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조선시대 18개 숙박시설의 하나. 임진왜란 이후 폐지된 원의 역할을 대체하기 위해 생겨난 시설로서 주막(酒幕)이 생겨나게 되었다. 역로제도와 함께 공무여행자에게 교통편의를 주기 위해 설치된 숙박시설인 원이 임진왜란 이후 폐지됨에 따라 원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생겨난 시설로서 점막 또는 흔히 주막이라고 칭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의 ‘신의(信義)’이며,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로 건강한 생활을 하는 건강인, 바른 품성과 봉사 정신을 갖고 이웃을 사랑하는 도덕인, 바른 생각과 행동으로 자아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지성인, 글로벌 인재로서 나라를 사랑하고 세계를 꿈꾸는 애국인, 진취적 정신과 탐구적 사고력으로 미래를 개척할 수 있는 창조인을 교육 목표로 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의 ‘신의(信義)’이며,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로 건강한 생활을 하는 건강인, 바른 품성과 봉사 정신을 갖고 이웃을 사랑하는 도덕인, 바른 생각과 행동으로 자아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지성인, 글로벌 인재로서 나라를 사랑하고 세계를 꿈꾸는 애국인, 진취적 정신과 탐구적 사고력으로 미래를 개척할 수 있는 창조인을 교육 목표로 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지구에서 시행되고 있는 주택사업 난개발방지를 위한 선전형 계획도시 조성,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친환성 도시조성, 생산기반 확보를 위한 자족형 도시 조성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청소년 수련관. 분당판교청소년수련관은 수정 지역의 성남시 수정청소년수련관, 분당 지역의 성남시 분당청소년수련관, 분당서현청소년수련관, 중원 지역의 성남시 중원청소년수련관과 함께 판교 지역의 청소년 수련 시설로 지역 청소년들이 사회, 문화적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성남시청소년육성재단[현 성남시청소년재단]에서 시설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존중과 배려로 다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이다. 핵심 역량은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 문화적 소양 역량, 비판적 성찰 역량, 자주적 행동 역량, 민주시민 역량이다.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하는 지혜로운 어린이[창의성], 예술적 감성을 키워 가는 아름다운 어린이[감성], 더불어 생활하는 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존중과 배려로 다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이다. 핵심 역량은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 문화적 소양 역량, 비판적 성찰 역량, 자주적 행동 역량, 민주시민 역량이다.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하는 지혜로운 어린이[창의성], 예술적 감성을 키워 가는 아름다운 어린이[감성], 더불어 생활하는 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존중과 배려로 다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이다. 핵심 역량은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 문화적 소양 역량, 비판적 성찰 역량, 자주적 행동 역량, 민주시민 역량이다.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하는 지혜로운 어린이[창의성], 예술적 감성을 키워 가는 아름다운 어린이[감성], 더불어 생활하는 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첨단산업 연구단지. 판교테크노밸리는 R[Research], P[People] , I[Information], T[Trade]가 집적된 글로벌 IT·BT·CT·NT 중심의 글로벌 융복합 R&D 허브로서 기술혁신, 전문인력양성, 고용 창출, 국제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 등 국가의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조성된 경기도의 대표적 혁신 클러스터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신분당선과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환승 통합 역사. 경강선[판교-여주]의 시·종착역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판교역은 판교신도시와 서울 강남을 빠르게 연결하는 신분당선과 경강선의 통합 역사이다. 장항선에 ‘판교역’이라는 이름이 있어서 전산에서는 경강선 판교역이 ‘신판교역’으로 등록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근린공원. 판교테크노파크는 판교 신도시의 제11호 근린공원으로 조성되었다....
-
분당구 주민들의 판교톨케이트 고속도로 통행료 요금 면제 건의 사건. 2001년 5월 15일 건설교통부와 공사가 판교톨게이트 출퇴근할인제도를 폐지키로 하자 분당 주민의 집단민원 등 반발이 우려된다며 경기도에 판교톨게이트 통행료면제를 건의한 사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신도시 주민들이 부당한 판교 톨게이트 징수료의 반환을 요구한 민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신도시 주민들이 경부고속도로 판교 톨게이트를 거쳐 서울요금소를 지날 때 이용하지도 않은 판교IC~양재IC 구간(9.1㎞)의 요금 1천 1백원을 부당하게 더 내고 있다며 이의 개선을 요구하면서 문제가 대두되었다. 분당 주민들이 경부고속도로 판교 남쪽 구간을 이용할 때 서울에서 출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생태학습원. 판교환경생태학습원은 어린이들과 성남시민들이 생태 환경을 관찰·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전시장이자 학습장으로 성남 지역을 대표하는 환경 교육의 장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판소리보존회 소속 지부. 판소리보존회 성남지부는 1998년 6월 22일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2024년 5월 17일 국가무형유산으로 변경]로 지정된 판소리 이수자 문효심이 판소리본존회의 설립 인준을 받고 판소리 보급과 인력 육성을 위하여 설립한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지역에서 1980년대에 진행된 노동 운동. 1980년대는 우리나라 현대사에서 매우 격동적인 시기였다. 신군부 세력의 군사 정변에 맞선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 무력 진압, 그리고 이어지는 군사 독재의 폭압에 맞선 1987년 6월 항쟁과 직선제 쟁취, 저임금과 열악한 근로 조건에 맞선 노동자들의 대투쟁으로 이어지면서 민주화의 토대를 마련한 시기이다. 이 시기 성남...
-
1971년 8월 10일 광주대단지 빈민층이 도시화과정에서 파생하는 소외와 개발의 구조적 모순에 반대하여 일으킨 사건. 광주대단지 사건은 그동안 8·10광주대단지 사태, 8·10광주대단지사건 등으로 불렸다. 성남시청에서는 2020년 10월 8일 광주대단지사건 명칭지정을 위한 학술토론회를 개최하였고, 2021년 2월 광주대단지사건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를 개최하여 최종적으로 ‘8·10성남...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성남종합운동장 내에 세운 조형물. 성남종합운동장 내 하키세계제패기념탑과 인접한 곳에 원형의 기단을 갖추고 그 위에 삼각형 모양의 첨탑 모양을 하고 있다. 아울러 중앙에는 원형 기단을 두어 성남시가 배출한 여자육상 임춘애 선수와 88서울올림픽에서 은메달을 차지한 여자하키 선수가 나란히 서서 역동적인 포즈를 취하고 있다. 특히 여자 하키선수의 오른손에는 하...
-
육아가 해결되어 집안이 안정되자, 장사도 차츰 나아졌다. 이후로는 큰 어려움이 없었고, 그렇게 다시 3년여가 흐르면서 돈도 좀 모아졌다. 그즈음 해서 위쪽 가게 바로 옆에 빈 가게 자리가 하나 났다. 그래서 염씨는 아래쪽에 있던 첫 가게를 정리하고 그리로 옮겼다. 아내가 맡은 가게와 자신이 맡아보는 가게가 이제 나란히 있게 되었다. 그 후로 지금까지 20년 이상을 염씨는 같은 자리...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자문(子文)이다. 조선 개국원종공신인 이구직(李丘直)의 증손이며 관찰사 이정간(李貞幹)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한성윤을 지낸 이사관(李士寬)이고 어머니는 청주인 영의정 한상경(韓尙敬)의 딸로서, 이들 사이에서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
분당구 백현동, 수정구 양지동 등지에서 세거하는 성씨. 분당구 백현동 아랫말에 호조참판 신명정(申命鼎)[1650~1698]의 차남 신함이 분당구 보평에서 분가하여 정착한 이래 자손이 세거한 것으로 전하여진다. 동양부원군 신순미(申順美)는 진사 신원(申援)의 6남이고 보평의 최초 정착자인 용인현령 신경일(申敬一)[1551~?]은 신원의 장남인 신준미(申遵美)의 장손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는 정규 학교교육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 평생교육의 개념은 유네스코(UNESCO) 사무총장이던 랑그랑(P. Lengrand)이 1965년 프랑스어로 L’education Permanante[영어 Life-long Education]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면서 정착하였다. 일본은 ‘생애교육’이라 번역하고, 우리나라는 1973년 유네스코 한국...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성남중앙도서관 안에 있는 종합 체육시설. 평생스포츠센터는 다목적 스포츠 공간으로, 성남 시민의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체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사람이 태어나서 일생을 거치면서 치르게 되는 중요한 사건과 관련하여 행하게 되는 각종 의식절차.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전체 과정에서는 각종 의례가 행해지게 마련이다. 조선시대 성리학의 의례에서는 이른바 ‘관혼상제(冠婚喪祭)’가 중요시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성남중앙도서관 안에 있는 종합 체육시설. 평생스포츠센터는 다목적 스포츠 공간으로, 성남 시민의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체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평숙(平叔)이며, 호는 천산재(天山齋)이다. 효령대군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대사헌, 대사간을 지낸 이식(李拭)[1522~1587]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양정(長陽正) 이주(李儔), 고조할아버지는 무송군(茂松君) 이전(李恮)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평숙(平淑).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이다. 정묘호란 때 순절한 충장공(忠狀公) 남이흥(南以興)의 현손이며, 증조는 장악원 첨정(僉正)을 지낸 남두극(南斗極)이고, 증호조참의 남영(南泳)의 손자이다. 의림군(宜林君) 남대(南垈)의 장자이며, 어머니는 윤민행(尹敏行)의 딸 칠원윤씨(漆原尹氏)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기복이 적고 해발고도가 낮은 넓게 펼쳐진 들판. 성남 지역은 탄천이 도시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탄천의 좌우로 지류가 발원하는 산지가 남북 방향으로 둘러싸고 있어 전체적으로 요(凹)형을 띠고 있는 분지 형태로 평야지대의 발달이 전반적으로 미약하다....
-
조춘을 시조로 하고 조계흥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 평양조씨는 고려 후기 원의 간섭기에 일약 명문으로 부상하였는데, 조인규(趙仁圭)[1227~1308]가 몽골어 통역관으로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아 판도첨의사사(判都僉議司事)의 수상 자리에 오르고 딸이 세자빈이 될 정도로 출세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던 세종의 일곱 번째 아들 평원대군의 묘. 평원대군(平原大君)[1427~1445]의 이름은 이림(李琳), 자는 진지(珍之), 호는 근행당(謹行堂)이다. 시호는 정덕(靖德)에서 정헌(定憲)으로 바뀌었다. 세종대왕과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 사이에서 7남으로 태어났다. 문종, 세조, 안평대군, 임영대군, 광평대군, 금성대군의 동생이며, 영응대군의 형이다...
-
수정구 신촌동 담박골, 중원구 갈현동 독점말 등지에서 세거하던 성씨. 평택임씨는 성남에 4개의 세거지를 갖고 있다. 수정구 신촌동 담박골에 세거하였으나 비행장에 편입되었다. 중원구 갈현동 독점말에는 임희수(林熙洙)[1938년생]의 8대조인 임진구(林鎭九)[1688~1730]가 정착한 이래 자손이 세거하여 온 것으로 전해진다. 임진구는 통덕랑 임정운(林淨運)의 장남으로 광주 삼리에서...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약사사 경내에 있는 비. 서경보(徐京保)[1914~1996]는 한국의 승려이자 불교학자로 국내외 각지를 돌며 세계 평화와 불교 포교에 전념하였다. 1988년에 조계종에서 갈라져 나와 대한불교 일붕선교종을 새로 설립하고 종정(宗正)에 올랐으며, 1992년에는 세계불교법왕청을 설립하고 초대 법왕이 되었다. 남북의 평화통일기원시비를 757곳에 건립한 것으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IT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1989년 11월에 회사를 창립하고 이후 1990년 기술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91년 포스데이타의 자체 통신망인 POS-NET 구축, 1992년 POSCO 6단계 종합전산화 프로젝트를 완료하였다. 1993년에는 보건복지부의 국민복지망 마스터플랜수립 전담사업자로 선정되어 1994년부터 본격적인 해외진출을 시작하여 인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IT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1989년 11월에 회사를 창립하고 이후 1990년 기술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91년 포스데이타의 자체 통신망인 POS-NET 구축, 1992년 POSCO 6단계 종합전산화 프로젝트를 완료하였다. 1993년에는 보건복지부의 국민복지망 마스터플랜수립 전담사업자로 선정되어 1994년부터 본격적인 해외진출을 시작하여 인도...
-
석유가게 앞 포차에 오는 손님 중에는 어린 아이도 많았다. 그중에는 포차에서 파는 튀김으로 끼니를 때우는 아이도 있었다. 나중에 알게 된 일이지만, 그 아이의 아빠는 허리 디스크를 심하게 앓고 있었다. 어느 날 그 아빠가 그녀의 포장마차를 찾아왔다. “처음에 저한테 왔드라고. 한달치를 드릴 테니까 아이들의 간식을 이걸로 줄 수 없녜. 너무 가슴이 아프더라구요. 엄마도 없고 그런 상...
-
7남매의 장남이라서 눈치가 빤했다. 그래서 염씨는 열 여섯 무렵에 고향 포천을 떠나야 했다. 조그만 시골 농사로는 얼마 안 되는 중학교 학비조차 감당하기 어려운 형편이었다. 더구나 밑으로 동생들이 줄줄이 있었다. “제가 스스로 학교를 그만 뒀어요. 나 하나만 학교를 안다니면 그 밑에 동생들은 줄줄이 있고 나 혼자만 학교를 안다니면 부모님이 그렇게 고생을 안하실텐데. 그래서 안 되겠...
-
무속에서 무당이 공수를 전해주고 사설을 내리는 일. ‘푸념준다’, ‘푸념한다’라고도 말한다. 성남지역뿐만 아니라 한국무속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특히 강신무들에게 해당되는 현상이다....
-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간단한 무속적 의례. 무속의례에는 굿과 푸닥거리와 고사, 그리고 비손이 있다. 이 중 푸닥거리는 굿보다는 그 규모나 의미면에서는 작은 규모의 의례로서, 잡귀에 의해 혹은 살이 들거나 부정한 것이 들어와서 병이 든 경우에, 이를 쫓기 위한 목적이 강하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사설 방과후학교. 푸른학교는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0월에 터사랑청년회, 성남청년회 등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실업극복국민운동본부의 사업지원을 받아 개교한 방과후학교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했던 연극 단체. 푸리는 극단 동선 6기생으로 입단한 장운섭이 선교극단 ‘생명’으로 옮겨가 서울에서 작품 활동을 하다가 성남으로 돌아와 창단한 극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민속 공예 단체. 1982년 2월 전성임(田聖任) 주도로 창립되어 민속공예 관련 자료 조사, 교육, 전시회 개최를 설정하고 있으며 20여년의 역사를 거치면서 26회의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가방 제조업체. 풍국산업은 피에르가르뎅(Pierre Cardin), 골드파일(GOLDPFEIL) 등 세계적인 가방브랜드를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을 하는 가방 전문제조업체로 국내에 본사를 두고 베트남, 스리랑카, 중국 등지에 생산설비를 갖추고 생산에 임하고 있으며, 글로벌 경영과 슬림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풍물 연주 단체. 우리의 아름다운 문화를 아끼고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보급하고, 그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1995년 5월에 창단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국악 단체. 풍물소리사위(樂歌舞)는 우리의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무용, 연극 등 여러 장르의 예술들과 활발한 교류를 통한 새로운 공연형식의 창출로 전통음악 및 전통예술의 계승, 발전이라는 소박한 꿈을 현실로 실현하고자 노력하며, 지역민의 전통음악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교육부분에 일정부분 일조 한다는 목표로 1997년 1월 1일에 창단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에 있는 중종의 후손 이종린의 묘역. 이종린(李宗麟)[1538~1611]은 조선 중종의 손자이자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아들로 시호는 풍산군(豊山君)이다.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에 이어 소덕대부(昭德大夫)에 올라 왕실의 일을 관장했고, 사옹원 제조와 오위도총부 도총관을 겸임했다. 오랫동안 직을 맡아 항상 부지런하고 청렴한 자세로 임했다. 어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건강, 노력, 실력’이며, 강인한 체력과 굳센 의지력을 지닌 건강인, 세계시민으로서 사고하고 행동하는 실력 있는 지식인, 기본 학력을 갖춘 탐구적이며 창의적인 창조인, 나라와 겨레를 사랑하고 희생 봉사하는 애국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건강, 노력, 실력’이며, 강인한 체력과 굳센 의지력을 지닌 건강인, 세계시민으로서 사고하고 행동하는 실력 있는 지식인, 기본 학력을 갖춘 탐구적이며 창의적인 창조인, 나라와 겨레를 사랑하고 희생 봉사하는 애국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풍생고등학교 동문회. 동문 상호 간의 친목 단결과 상호 협조를 도모하며 모교의 사업에 협조하여 그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훈은 ‘건강, 노력, 실력’이며, 강인한 체력과 의지력으로 인내·전진하는 사람, 질서와 예절을 존중하고 성실하게 행동하는 사람, 탐구 정신과 사고력으로 창의적 활동을 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훈은 ‘건강, 노력, 실력’이며, 강인한 체력과 의지력으로 인내·전진하는 사람, 질서와 예절을 존중하고 성실하게 행동하는 사람, 탐구 정신과 사고력으로 창의적 활동을 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윤(仲胤), 호는 풍애(楓厓)이다. 참의 이지직(李之直)의 아들이다. 할아버지는 둔촌공(遁村公) 이집(李集)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고려말 생원(高麗末 生員) 이당(李唐)이다. 외할아버지는 지주사(知州事)인 이원보(李元普)이다. 부인은 별장(別將) 노신(盧信)의 딸인 정경부인(貞敬夫人) 교하노씨(交河盧氏)이며, 이극배(李克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