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100504 |
---|---|
한자 | 笙極面 |
영어음역 | Saenggeuk-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예경희 |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에 속하는 행정면.
[개설]
음성군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충주시 신니면, 북으로는 감곡면, 서로는 경기도 이천시 율면과 음성군 삼성면, 남으로는 금왕읍과 각각 접하고 있다. 신양리·병암리·도신리·관성리·팔성리·임곡리·송곡리·방축리·차평리·차곡리·오생리·생리 등 12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명칭유래]
생동(笙洞)의 ‘생(笙)’자와 무극(無極)의 ‘극(極)’자를 따서 생극면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생동면은 본래 충주군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임조, 품곡, 송림, 야곡, 방축, 차곡, 동평, 말마, 지비천, 곤지, 신평, 신창, 중생, 하생, 상생, 오룡 등 16개의 동·리를 관할하다가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경기도 음죽군 무극면의 신촌, 도관, 곤암, 생탕, 병산, 진동, 무수동, 관촌 등 8개의 동·리와 충주군 금목면 신대리와 적동면 곤지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생극면이라 하고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자연환경]
생극면의 동서에는 2개의 산맥이 있으며 중앙부는 구릉지를 이루고 있다. 생극면 서쪽에는 임오산[318m], 팔성산[377m], 마날봉[161m], 우등산[227m], 진골뒷산[207m]이 있으며 동쪽에는 수리산[606m], 수레의산[679.4m], 부용산이 있다. 부용산에서 발원하는 오생리천은 서류하여 신양리에서 응천으로 유입되고 수리산에서 발원하는 차곡리천은 서류하여 차평리에서 응천으로 유입되고 있다. 임오산에서 발원한 임곡리천은 동류하여 송곡리 앞에서 역시 응천으로 유입되고 있다. 응천은 생극면의 중앙부에서 북류하면서 부근의 지류를 모아 청미천으로 유입되고 있다.
[현황]
생극면은 음성군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면으로 2014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이 56.04㎢로 음성군 전체 면적의 10.78%를 차지하고 있다. 12개 법정리, 28개 행정리, 65반, 60개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2016년 6월 30일 현재 총 2,400세대, 4,824명(남자 2,591명, 여자 2,233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경지 면적은 밭 5.293㎢, 논 7.028㎢, 과수원 0.585㎢ 등이고 임야는 33.833㎢ 등이다. 벼농사를 위주로 하고 있지만 고추, 복숭아, 수박 등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자연 마을로는 곤재, 새들, 성황당(서낭당이), 새천이, 중말, 난이골, 다롱개(다농개), 이진말, 만담(맨담이), 석병무, 안곤재, 도가니, 가진개, 관말, 무술(무수동), 마날미, 진골(진동), 말마리, 지부내(지비천), 토끼실, 송림(동편, 서편), 기와집말, 중통말, 임오산, 품실(양촌, 양달말), 응촌(음달말), 방축말, 능안, 정미소거리, 곰말, 새터, 중말, 담사리, 벌말, 수리울, 오얏골, 도화동, 통동, 다락개, 목고개, 오룡, 도랑말, 아래다락개, 중생(주막거리), 하생, 망태동, 안터, 중턱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생극면사무소는 1903년에 도신리에 설치되었으나 1915년 생극면의 중심지인 신양리로 이전되었다. 이후 6·25전쟁으로 소실되었다가 1954년에 개축되었고 1984년 지하 1층, 지상 2층의 현 청사가 신축되었다. 생극면에는 기계·금속 공장 23개 업체, 섬유·가죽 19개 업체, 화학·고무 19개 업체, 비금속 14개 업체 등 98개 업체에 1,514명의 종업원이 근무하고 있다. 또한 생극초등학교, 생극중학교, 음성정신병원, 홍복양로원, 청소년수련원, 큰바위얼굴조각공원 등이 있다.
‘고추먹고 맴맴, 담배먹고 맴맴’ 전래 동요의 발생지로 음성동요학교가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199호인 황새의 마지막 서식지이기도 하다. 주요 문화 유적으로는 팔성리의 지천서원, 방축리의 양촌 권근 삼대묘소, 음성 팔성리 고가, 성주이씨 열녀문 등이 있다. 생극면 소재지인 생리로는 서울 방면 국도 3호선(감곡면 왕장리~생극면 오생리), 금왕읍 방면 국도 37호선(원남면 구안리~금왕읍 무극리), 지방도 318번(삼성면 용대리~음성읍 읍내리) 등이 연결되어 있어 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