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700585 |
---|---|
한자 | 慶州鄭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산수리|이월면 삼용리 |
집필자 | 강민식 |
세거지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산수리|진천군 이월면 삼용리 |
---|---|
집성촌 |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산수리|이월면 삼용리 |
입향시기/연도 | 조선 전기 |
성씨시조 | 지백호 |
입향시조 | 정방광 |
[정의]
지백호를 시조로 하고, 정방광(鄭邦絖)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진천군 세거성씨.
[연원]
경주정씨(慶州鄭氏)는 신라 초기의 6촌 가운데 진지촌(珍支村)의 촌장이었던 지백호(智伯虎)를 시조로 한다. 중시조는 정진후(鄭珍厚)[시호 문정(文正)]로, 고려시대 문과에 급제하여 병부상서 겸군기시윤(兵部尙書兼軍器寺尹)을 지내고 월성군(月城君)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그를 득관중조(得貫中祖)로 하여, 본관을 경주로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이렇게 경주정씨는 옛 본피부(本彼部) 사람들의 정통 후손이며, 이른바 모든 정씨의 ‘큰집’격으로 우리나라 동남안(東南岸)에 자리잡고 살았던 선주민의 후예이다.
경주정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2명과 공신 3명을 배출하였다. 역사상 유명한 인물을 여럿 배출하였는데, 양경공(良景公) 정희계(鄭熙啓), 충장공(忠壯公) 정발(鄭撥), 노송정(老松亭) 정지년(鄭知年) 등이다. 정희계는 고려 말에 문하평리 겸응양위 상호군(門下評理兼鷹揚衛上護軍)를 지내다가 개국공신 1등으로 계림군(鷄林君)으로 봉해졌으며 좌참찬(左參贊) 등을 역임하였다.
정발은 1592년 부산진 첨절제사(釜山鎭僉節制使)가 되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부산에 상륙한 왜군을 맞아 싸우다가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정지년은 세종 때 문과에 급제, 사예(司藝)를 지내다가, 세조가 단종을 내치고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향리로 돌아가 학문에 전념하였다. 정지년의 아들 4형제는 모두 문과에 급제하여 가문을 빛낸 것으로 유명하다.
정봉남(鄭鳳男)은 사마시에 합격하고 찰방에 추천된 인물로, 부모가 병들자 변을 맛보아 병세를 살피고 단지(斷指)하여 효험을 본 효행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 정봉남의 손자 정이경(鄭履慶)과 정혁경(鄭爀慶)도 효행으로 널리 알려졌다. 정이경의 손자인 정중여(鄭重呂)도 효자로 이름났다.
[입향경위]
경주정씨는 정희계의 8세손 되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정방광(鄭邦絖)이 중종 때 경기도 안성에서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산수리 방동으로 내주(來住)한 이래, 470여 년간 세거하면서 많은 학자를 배출하였다.
[현황]
200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진천군 관내에 거주하는 경주정씨는 230가구 688명으로 나타났다. 진천군 이월면 삼용리 청룡마을에 30여 호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이월면 삼용리 내기마을에는 40여 호 가구에 경주정씨와 봉씨(奉氏)가 대성을 이루고 있다.
[관련유적]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산수리 중방마을 골방골에는, 경주정씨로 중방마을에 세거하기 시작한 정환 이후의 선조 2인의 사적 및 효행사적을 기록한 비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