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거주 만 60세 이상 노인들이 직접 만든 제과&제빵을 판매하는 곳. 마망베이커리&카페는 지역 노인들의 소득보장과 활기찬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설립하였다. 노인 일자리 사업의 일환으로 성남시와 포스코 등의 지원을 받아 2004년 12월에 영업 허가를 내고 2005년 상반기부터 지역 내 배달을 시작으로 2005년 8월 31일에 개점하였다. 만...
-
마을을 지켜주는 동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기원하며, 합동으로 제의를 올리는 민간신앙의 한 형태. 마을신앙의 대표적인 형태는 동제이다. 동제는 마을단위로 행해지기에, 주민들 사이에서는 동신제, 마을제사, 동제사, 마을고사 등으로 불린다. 동제를 지내는 목적은 마을의 화합과 마을사람들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고 액을 쫒아내려는 제액초복(除厄招福)을 위해서이다. 성남지역에...
-
삼한시대의 정치연맹체. 서기전 1세기~서기 3세기경 한강 유역으로부터 경기도와 충청도, 전라도 지역에 분포되어 있던 여러 정치집단의 통칭이다. 54개 소국(小國)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큰 것은 1만여 가(家), 작은 것은 수천 가였다. 그리고 규모가 큰 나라의 지배자는 신지(臣智), 작은 것은 읍차(邑借)라고 하였다. 3세기 전반 마한 소국연맹체의 맹주는 목지국(目支國)의 진왕(辰...
-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짧은 노래. 선조 말기에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단가로 일제시대에 가장 많이 불리던 노래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 선경을 찾아 유람하며 즐기자는 내용으로 성남에서도 불리었다.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 만고강산 유람할 제 삼신산이 어드메냐 이 동네 이 방장과 사면수가에 앉아 죽장 치고 북을 치고 경포동 용호를 구경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교회. 1993년 분당신도시 개발과 함께 김우영 목사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개척한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의 교회. 교회가 이 땅의 소망임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의 교회로, 1981년 10월 서울시 잠실우성아파트 단지 앞 공터에서 교인 200여명이 모여 창립예배를 드리면서 시작되었다. 당시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사회 복지 기관.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는 재단법인 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에서 설립하여 소득 지원 사업, 일자리 창출 사업, 구인 구직 알선, 자활 자립 교육 및 정보 제공, 생업 자금 융자 알선 등 성남 지역 저소득층의 자립 자활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는 급여의 일방적 전달을 중심으로 하는 종래의 방식...
-
조선 후기의 문신 권득기의 문집. 권득기(權得己)[1570~1622]는 본관은 안동, 자는 중지(重之), 호는 만회(晩晦)이다. 『만회집』은 1712년(숙종 38) 증손 권이진(權以鎭)이 편집·간행하였다. 『만회집』은 11권 10책의 목판본이며, 크기는 가로 16.4㎝, 세로 21.5㎝이다. 권1에 시명(詩銘) 36수, 권2에 기, 논, 제(題),...
-
대학 때 중국어를 복수전공 하면서, 학교에서 보내주는 교환학생으로 선발되어 중국을 다녀왔다. 또 심리학 전공과 중국어 전공으로 교직 이수를 했다. 그렇게 열심히 살았다. 그때는 미래가 잘 준비되어 간다고 생각했다. 그후 중학교 중국어 교사가 되기로 결정하고 임용고사 준비를 시작할 때만 해도 꿈이 있었고 희망이 있었다. 그런데 2년간 계속 낙방하고 말았다. 거듭 실패의 고배를 마시면...
-
아이들이 말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유희요. 말 역할을 하는 아이들 28명이 앞사람의 허리띠를 쥐고 한 줄로 선다. 줄의 양쪽 끝에 말 장수와 말 찾는 사람이 한 사람씩 선다. 말 찾는 사람이 “여보시오, 여기 말을 매어 놓고 주막에 들러 한잔하고 왔더니 없어졌구려. 어디 갔을까?”라고 하며 찾아 나선다. 그러다가 늘어서 있는 말을 보고 “아, 내 말이 저기 있구나.”라고 하면 말 장...
-
무속(巫俗)에서 무당이 섬기는 조상신. 대신할머니 혹은 대신(大神)말명이라고 하며, 무업을 하다 죽은 무조(巫祖)로 받들여지는 신령이다. 무당의 몸주신으로 대접받는데, 몸주는 무당 몸의 주인이 된다는 뜻이다. 무당으로서 죽은 이를 총칭하며, 대개 여성으로 상징된다. 말명의 어원과 유래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나, 김유신의 어머니이며 무당이었던 만명부인(萬明夫人)을 무조로 보고 있다...
-
한 쪽은 말이 되고 다른 한쪽은 이 말에 올라타는 남자아이들의 놀이. 말타기 놀이는 전국적으로 행해지는 놀이이다. 특별히 때를 가려 행해지지는 않지만 추석에 많이 행해지는 진다. 동네의 아이들이 패를 나누어 가위, 바위, 보를 통해 진 쪽이 말이 되고 이긴 쪽이 타는 것이다. 말이 잘 버텨야 이기는 놀이이다. 먼저 대장을 뽑아 가위바위보를 하여 진 쪽이 말이 된다. 대장이 담 벽...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과 과천시 모계동 경계인 청계산 정상 근처에 있는 대. 조선 초 고려 유신 조견(趙狷)이 전 왕조인 고려 왕실을 염모하였던 곳으로 전하는 곳이다. 조견은 조선조 성립 후 매일 이곳에 올라 고려 수도 개성을 바라보면서 통곡으로 나날을 보냈다고 전하는 곳으로 세상사람들이 망경봉(望京峰)을 망경대라 부르게 되고, 당시 「망경대가(望京臺歌)」가 널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위치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교구 말사이다. 망경암의 역사에 대해서는 ‘망경암칠성대중수비(望京庵七星臺重修碑)’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 비문에 의하면, 망경암은 서울이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영장산(靈長山) 중턱 위에 위치하고 있어 망경암이라고 했으며,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걸쳐 임금이 친히 찾아와 나라와 백성의 안락과 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소재 망경암에 있는 조선시대 마애불. 망경암 마애여래좌상은 망경암 우측의 자연 암벽 상단에 작은 장방형의 감실(龕室)을 만들고 그 안에 부조(浮彫)한 불상으로, 이 주위 14군데에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다. 서울이 한 눈에 보이는 이곳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걸쳐 임금이 친히 거동하여 나라와 백성의 평안을 기원한 장소이며, 세종...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소재 망경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1893년(고종 30) 고종황제의 등극 사실과 황세자의 탄생을 축원하고, 망경암의 내력을 새겨놓은 비이다. 망경암 마애여래좌상 아래 바위를 비좌삼아 망경암비와 칠성대 중수비 2기가 서로 56㎝의 거리를 두고 세워져 있다. 그 중 망경암비는 평원대군(平原大君)과 제안대군(齊安大君)의 봉사손(奉祀孫)이자 종묘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소재 망경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망경암(望京庵)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로 1898년에 건립된 망경암 칠성대 중수비를 대비(大碑)라 부르는 데 대하여 이 비를 소비(小碑)라 부른다. 조선 왕실의 번영과 수복을 기원하기 위해 1874년(고종 11)에 건립하였다. 분당선 가천대역 3번 출구에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망경암에 있는 중수비.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망경암(望京庵)은 칠성신앙과도 관련 있는 곳으로, 세종의 아들 평안대군과 손자 제안대군의 명복을 비는 칠성단이 세워진 적이 있다. 대한제국이 선포된 이듬해인 1898년(광무 2) 3월에 고종황제의 등극과 황세자의 탄생을 축원하고 칠성대를 중수한 사실을 새겨놓고자 중수비를 건립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행정동. 분당구의 북단 중심부에 위치한 동으로, 2000년 10월 18일 공포된 시조례에 의해 이매2동으로 행정동 명칭이 변경되었다. 관내 서쪽에서 운중천이 동류하다가 매송동을 가로질러 방아교 부근에서 탄천에 합류한다. 탄천의 서쪽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잡았으며, 북쪽은 야탑2동, 수정구 시흥동과 마주 대하고, 동쪽은 탄천을 사이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성실'이라는 교훈 아래, 올바른 인성을 지닌 예의 바른 사람,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사람, 창의와 탐구력을 계발하는 사람, 심신이 건전한 균형적인 사람 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1994년 2월 28일에 설립 인가되어 3월 1일에 개교 하였다. 초대 교장은 김영하이다. 같은 해 12월에 야구부를 창단했으며 200...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성실'이라는 교훈 아래, 올바른 인성을 지닌 예의 바른 사람,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사람, 창의와 탐구력을 계발하는 사람, 심신이 건전한 균형적인 사람 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1994년 2월 28일에 설립 인가되어 3월 1일에 개교 하였다. 초대 교장은 김영하이다. 같은 해 12월에 야구부를 창단했으며 200...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과 야탑동 사이에 있는 산봉우리. 높이 277m의 매지봉은 작은매지봉[높이 274.5m]과 함께 성남시 분당구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맹산(孟山)[412m]으로 이어지는 산지를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의 각종 고지도에서는 맹산과 매지봉을 묶어 영장산(靈長山)으로 표기하였다. 오늘날 분당 중앙공원의 뒷매산을 영장산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매지봉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대원로의 일부였던 도로. 성남대로 야탑사거리에서 동쪽으로 분기한 길로, 여수천을 따라가다가 도촌사거리(도축장 입구)에 이르던 도로이다. 도로명은 이것이 지나가는 야탑3동 매화마을의 이름을 땄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1.381㎞, 도로 폭 25m, 총면적 34,525m²이다. 중원구와 분당구의 경계를 이루...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신창(新昌).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한 맹수서(孟修瑞)의 장남이다. 무과를 통해 관계(官階)에 진출하였으며, 가선대부(嘉善大夫) 행절충장군(行折衝將軍) 용양위(龍驤衛) 부호군(副護軍)을 지냈다. 묘는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의 신창맹씨 입향조인 조선 전기의 무신. 맹석흠은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되어 신창군에 봉해졌고, 분당동 일대를 사패지(賜牌地)[나라에서 하사한 토지]로 받아 신창맹씨의 세거지를 이루었다. 본관은 신창(新昌).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를 지낸 맹계증(孟繼曾)의 아들이고, 좌의정(左議政) 맹사성(...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신창(新昌). 용양위(龍驤衛)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맹만장(孟萬章)의 아버지이다. 가선대부(嘉善大夫), 어모장군(禦侮將軍),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했다. 묘는 성남 분당동 향목곡(香木谷)에 있다....
-
근대 개항기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자는 무선(武善), 호는 동은(東隱). 아버지는 맹윤순(孟胤淳)이며, 생부는 맹현순(孟賢淳)이다. 통사랑 선공감역을 역임했다. 묘는 분당구 분당동에 있다. 분당동의 샛당모루는 신창맹씨의 세거지이다. 샛당모루는 신창맹씨의 사패지로 신창군 맹석흠(孟碩欽)[1429~?]의 자손이 세거한 것으로 전해진다. 맹석흠은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이시애의 난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의 동막골과 머내를 지나 탄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광교산과 발화산의 골짜기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굴에서 발원하여 낙생저수지를 거쳐 분당구 금곡동의 동막골과 머내를 지나 한국토지주택공사 동쪽에서 탄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이다. 총 연장 7,120m이며, 최대 폭 170m, 유역 면적 29.34ha이다. 『동여도』와 『...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단체. 1994년 8월에 국내 최초로 목관악기인 플롯만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이다. 그 뒤 현재는 플롯을 비롯하여 알토 플롯, 베이스 플롯 및 콘트라베이스 악기를 보유한 플롯오케스트라로 재편되었다. 메이져 플롯 오케스트라는 1994년 8월에 창단 된 이래 현재까지 창단자인 사헌순이 단장 겸 지휘자를 맡고 있다. 창단 1년 후...
-
최하급 지방행정기관인 면에 있었던 의결기관. 1952년 4월 「지방자치법」에 의하여 구성되었다가 1961년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따라 폐지되었다. 근대적 의미에 있어서 면의회가 구성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었으나 1961년 5·16군사혁명으로 해산되어 중단되었고 1988년 3월 8일 개정된 「지방자치법」에도, 면에 지방자치를 실시하지 않게 되어 사실상 폐지되었다. 당초의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새말고개에 있는 바위 명칭 유래담. 분당동 새말고개 중턱에 바위가 하나 있는데, 옛날 한 장수가 이 바위에 앉아 잠시 쉬어 갔는데 그 장수의 발자국이 새겨져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바위의 이름을 명문바위라고 불렀다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3동에 있었던 영화관. 명보극장은 정규태가 대표자로 있었으며, 1986년 1월 10일에 개관하였고, 총 객석수 110석의 소극장이었다. 그러나 영화관의 멀티콤플렉스화 및 대형화 추세에 밀려 없어졌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윤경지(尹敬之)의 사당. 1992년 9월 29일 해평윤씨(海平尹氏) 종친회에서 조선 중기에 홍천현감(洪川縣監)을 지낸 윤경지[1604~1659]를 제사하기 위하여 건립한 사당이다. 모덕재는 해평윤씨(海平尹氏)의 세거지인 수정구 복정동 웃말골 해평윤씨 묘역 좌측에 북동향하고 있으며,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와 성남대로를 사이에...
-
1970년 말에 모란지역에 개발 및 분양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 설립된 조직. 재향군인개척단을 조직한 김창숙(金昌叔)은 5·16혁명으로 군(軍)에서 정권을 잡자 광주군수로 특채 되어 1961년에 3개월동안 재임하였는데, 군수직을 그만둔 뒤에 당시 광주군 돌마면 하대원리의 재향군인개척단으로 돌아와 숙식을 같이 하였다. 사람들이 모여들어 신개척지에 마을이 형성되자 지명(地名)...
-
경기도 성남시의 성남대로에 있는 고가 차도. 모란고가차도는 성남대로 모란사거리 구간을 가로질러 풍생고등학교 앞에서 모란예식장 앞까지 이어져 중앙로와 탄천로를 연결하는 고가 차도이다. 평양이 고향인 김창숙이 월남하여 광주군수를 지낸 후, 1970년 당시의 광주군 돌마면 하대원리에서 황무지 개간 사업을 시작하여 동네가 형성되자 이북에 두고 온 어머님을...
-
1970~71년 성남시가 시제(市制)로 발전하기 직전에 김창숙(金昌淑)이 벌인 토지개발 사기사건. 김창숙은 당시 45세로서,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탄리에 주소지를 두고 있었다. 1958년 육군대령으로 예편한 후 1961년 6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 광주군수를 역임하엿다. 이후 개발사업에 종사하다가 1970년 12월에 모란개척단을 설립하고 서울에 사무실을 내면서 본격...
-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일대에서 열리는 모란민속시장의 5일장 축제. 모란민속5일장축제는 전통 예술과 현대적 감각의 예술 공연을 통해 시장을 찾는 사람들에게 흥겨운 볼거리 문화를 제공하여 옛 향수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민속 축제이다. 모란장은 수도권의 대표적인 민속 시장으로 역세권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용이하고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은 상권이다. 이 모란장을 전국...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었던 영화관. 모란씨네마는 이명재가 대표자로 있었으며, 1989년 1월 10일에 개관하였으며, 총 객석수 193석의 소극장이었다. 그러나 영화관의 멀티콤플렉스화 및 대형화 추세에 밀려 없어졌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위치한 분당선 전철역이자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에 위치한 지하철 8호선 전철역. 코레일(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분당선의 역으로 태평역과 야탑역 사이에 위치한다. 동시에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지하철 8호선의 시·종착역으로 분당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분당 신도시 개발과 함께 1994년 9...
-
모란단지 사건 당시 모란지역에 세워졌던 별정우체국. 모란단지 사건은 일명 ‘김창숙(金昌淑) 사건"이라고 불리는 성남 개발 초기의 부동산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모란지역을 중심으로 4,200만평의 땅을 개발하여 인구 250만명을 입주시킬 목적으로 5년간에 걸쳐 1,328억원을 투자한다는 주택지 개발계획이었다. 이러한 모란주택지 개발계획은 광주대단지 면적의 12배,...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하고 있는 전국 학생들의 미술 작품 전시회. 모란전국학생미술작품공모전은 학생 미술 작품을 공모·심사·시상·입상작 전시회를 함으로써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의 건전한 정서 함양과 가치관 형성에 기여하고, 미술에 재능 있는 인재를 발굴, 육성하여 청소년의 문화 예술 활동을 촉진하고자 매년 개최하고 있다. 1984년 5월 23일 성남시학생미술실기대...
-
경기도 성남시에서 전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미술 전시회. 모란현대미술대전은 1986년 9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부 창립 직후 성남 미술인의 창작 의욕을 높이고 신인 작가를 발굴,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성남미술대전이라는 행사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사단법인 한국예술단체총연합회 성남지부가 주관하던 성남미술대전을 1989년 제4회부터 한국미술협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4동에 있는 청소년 복지 단체. 성남시는 경기도 31개 시군 중 중고등학생 중퇴율이 가장 높아 한해 1,300명의 아이들이 학교를 떠나고 있다. 이러한 탈학교 아이들에게 발생하는 교육 격차, 문화 격차, 정보 격차, 위기 노출 등 다양한 청소년 문제를 극복하고 지역 사회 내 건강한 청소년 문화, 복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있는 마을 이름. 분당~내곡간 고속화도로와 국지도 23호선이 만나는 길목에서 바로 아래 남쪽에 위치한다. 시흥동은 원래 용인에서 말죽거리를 통하여 서울로 가는 길가에 살던 주민들이 청계산 일대에 숨어 살던 도적들의 피해가 극심하여 현재의 시흥동 위치로 이전하여 형성된 마을이다. 처음에는 길가에서 이주시킨 마을이라 하여 ‘보낸말’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시흥동은 용인에서 말죽거리(지금의 양재동)를 거쳐 서울로 가는 길가에 살던 주민들이 청계산 일대에 숨어 살던 도적떼를 피하여 현재 위치로 이주하여 형성한 마을이다. 처음에는 길가[노변(路邊)]에서 이주한 마을이라고 하여 '보낸 말'이라고 불리던 것이 '모랜말'로 변하였다. 이후 주민들은 이제부터는 도적의 피해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시흥동은 용인에서 말죽거리(지금의 양재동)를 거쳐 서울로 가는 길가에 살던 주민들이 청계산 일대에 숨어 살던 도적떼를 피하여 현재 위치로 이주하여 형성한 마을이다. 처음에는 길가[노변(路邊)]에서 이주한 마을이라고 하여 '보낸 말'이라고 불리던 것이 '모랜말'로 변하였다. 이후 주민들은 이제부터는 도적의 피해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있는 마을 이름. 분당~내곡간 고속화도로와 국지도 23호선이 만나는 길목에서 바로 아래 남쪽에 위치한다. 시흥동은 원래 용인에서 말죽거리를 통하여 서울로 가는 길가에 살던 주민들이 청계산 일대에 숨어 살던 도적들의 피해가 극심하여 현재의 시흥동 위치로 이전하여 형성된 마을이다. 처음에는 길가에서 이주시킨 마을이라 하여 ‘보낸말’이...
-
성남시정의 발전과 시민의 복지 증진에 공적이 현저한 시민 및 사회 도의와 미풍양속 앙양에 솔선수범한 시민에게 수여하는 상. 성남시가 시정 또는 사회에 공헌한 공적이 있는 성남 시민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매년 성남시 시민의 날에 지역 경제, 지역 안정, 여성 복지, 사회 봉사, 효행·선행, 보건·환경 등 6개 부문으로 시상한다. 시정 또는 사회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봉사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방(子方), 호는 모와(慕窩)이다. 판돈령부사 원경하(元景夏)의 아들인데, 원경유(元景游)의 양자가 되었다. 1756년에 소과에 합격하였고, 1757년(영조 33) 정시(庭試) 병과(丙科)에 4등으로 급제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산15-2 원주원씨 묘역에 친아버지인 원경하의 묘와 작은 길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한효순(韓孝純)의 사당. 모헌재는 청주한씨(淸州韓氏) 장헌공파의 중시조(中始祖)인 장헌공(莊獻公) 한효순[1543~1621]의 제사를 모시는 사당이다. 한효순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 호는 월탄(月灘)이며, 임진왜란 때 영해전투에서 왜군을 격파한 뒤 경상좌도관찰사에 특진, 순찰사를 겸하고 군량미 조달에...
-
1830년 미국의 스미스(Smith, J.)가 창교한 종교단체. 기독교의 한 파로, 『몰몬경』을 성전으로 삼고 있다. 미국 유타주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한국에는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5에 본부가 있다. 교리에 따르면 『몰몬경』은 구약시대에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한 사람들들이 기원후 5세기까지 살았던 기록이며, 아메리카 인디언은 이들의 후손으로, 기원전 600년에 예루살렘을 떠난...
-
연례적으로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산소를 찾아가서 드리는 제사. 묘제는 원래 3월 상순에 지내는 고조 이하의 친제를 뜻하는 말로, 『사례편람(四禮便覽)』에는 3월 상순에 택일하여 하루 전에 재계한다고 되어 있다. 묘제는 여러 기간을 거쳐 그 제도가 변화되어 왔는데, 어느 시기에 이르러서는 묘사, 시향, 절사 등을 통틀어 칭하게 되었다. 성남시에서도 성묘를 할 때 제찬을 마...
-
무당이 제상을 차려놓고 신을 향하여 부르는 노래. 도당굿은 산신제, 지신밟기, 부정거리, 산거리(도당맞이), 불사거리(청궁맞이), 상산거리, 작두거리, 대감거리, 대신거리, 창부거리, 여흥거리, 뒷전으로 구성되었고, 각 거리에서 무가가 불려진다. 새남굿은 새남부정거리, 스님제의식, 사자놀이, 말미거리, 도령거리, 문돌림, 연지당 앞 영실거리, 돗삼거리, 상식거리, 뒤영실거리, 베가...
-
근대 개항기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자는 무선(武善), 호는 동은(東隱). 아버지는 맹윤순(孟胤淳)이며, 생부는 맹현순(孟賢淳)이다. 통사랑 선공감역을 역임했다. 묘는 분당구 분당동에 있다. 분당동의 샛당모루는 신창맹씨의 세거지이다. 샛당모루는 신창맹씨의 사패지로 신창군 맹석흠(孟碩欽)[1429~?]의 자손이 세거한 것으로 전해진다. 맹석흠은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이시애의 난을...
-
무당을 주축으로 민간에 전승되는 신앙형태. 성남은 광주굿이 성행하던 곳이며, 권역상으로는 경기도 무속권역에 속한다. 경기도의 무속은 세습무와 강신무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지역적으로는 한강과 남한강을 경계로 해서 이북은 강신무가 주를 이루며, 이남은 세습무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구분은 화랭이(광대와 비슷한 놀이꾼패)의 유무로 구분짓는다. 성남은 남한강 이남 지역으로 세습...
-
태고종 소속의 현대 사찰 1968년 세워진 사찰로 태고종단에 등록되어 있다. 불법 포교와 참선 교육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래 목조건물인 법당만 있었으나 최근 200평 규모의 ‘불교전시관’ 건물을 새로 지어 활용하고 있다. 불교전시관은 1997년 착공하여 2000년 완성한 지하 1층 지상 2층의 기와지붕 형태의 건물이다. 현재 기존의 목조 법당건물은 납골당으로 사용...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는 육체의 율동적인 예술 활동. 시로 승격되어 개발되기 이전, 성남 지역의 무용 활동은 인적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미미한 상태였다. 성남의 무용 활동이 가시화된 것은 1973년 7월 1일 성남이 시로 승격되어 시제(市制)가 실시된 때부터라고 볼 수 있으며 성남에 이주하여 각각 무용 학원을 개설하고 후진 양성을 시작한 정금란(鄭錦蘭)과 강신자(姜信...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문보(文甫), 호는 의재(宜齋). 할아버지는 남공보(南公輔)이고, 아버지는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정3품 당상)을 지낸 남인구(南麟耈)이며, 어머니는 윤상후(尹商厚)의 딸이다. 1798년(정조 22) 사마시에 합격, 세마(洗馬),호조좌랑(戶曹佐郞),감찰(監察) 등을 거쳐 함양(咸陽), 무주(茂朱), 남원(南原), 임천(林川) 등의 수령...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했던 문학동인단체. 1992년 9월에 김건중이 성남 문인협회 산하 문예대학 수료자를 중심으로 결성한 동인이다. 설립취지는 회원의 자질을 향상하고 지역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설립 초기의 지도위원은 김건중, 대표는 김영숙이었다. 이들 동인들은 매월 모여 문학 토론 및 작품 품평회를 하며, 회원들의 활발한 활동을 상호 격려하였다. 19...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재(德哉), 호는 뇌연(雷淵), 소화(小華). 서울 출신. 증조는 대제학 남용익(南龍翼), 할아버지는 대사헌 남정중(南正重),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남한기(南漢紀)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1721년(경종 1)에 진사가 되고, 강릉참봉(康陵參奉), 종묘서부봉사(宗廟署副奉事),세자익위사 시직(世子...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와 문자로 표현한 예술 및 그 작품. 성남은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일대 촌부락을 개발시켜 만든 인공 도시다. 광주 대단지라는 이름으로 1969년부터 입주가 시작되었으며, 1973년 성남시로 승격되었다. 그리고 1990년부터 다시 분당 신도시를 조성하여 현재는 인구 100만의 거대 도시가 되었다. 겨우 30년...
-
경기도 성남시에서 문학 활동의 발전과 회원 상호간의 친목 도모를 위한 목적으로 조직한 단체. 문학단체는 시, 소설, 희곡, 수필, 평론 등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활동을 하는 단체로 성남에는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가 그 대표적인 단체라 할 수 있다. 성남은 정책적으로 급히 만들어진 인공 도시였으므로 개발 초기에는 크게 내세울 만한 작가나 작품이 없었다....
-
1987년 3월 성남지역 문인들이 창립한 동인회지. 1987년 성남의 문학풍토는 (사)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가 창립된 지 10여년이 지났으나 일반인들에게는 아직도 문학단체의 존재는 불투명하게 인지된 상태였다. 물론, 문협 시화전, 시낭송회 등 이런저런 문학행사가 개최되긴 했지만, 그것은 문협회원이나 아주 극소수의 문학 관계자들의 전유물처럼 그들만이 행사에 머물고 말았다. 이러한 상황...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와 광주시 사이에 위치하는 산. 문형산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와 광주시 오포읍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고도 496.7m의 산이다. 옛날에 이 일대에 홍수가 나서 모두가 물에 잠겼으나 문형산의 정상만 잠기지 않았다고 전해지며, 산의 크기가 무명 한 필을 겨우 말릴 정도라 하여 무명산이라 부른다고도 한다. 문형이란 명칭은 조선시대 대제학의 별칭으로...
-
경기도 성남시가 향토 문화와 민속 문화 발전에 공로가 있는 자에게 수여하는 상. 성남시가 향토 문화 발전과 민속 문화 향상에 기여한 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1993년부터 시상하여 2009년까지 17회를 맞이하였다. 학술·예술·교육·체육의 4개 부문으로 시상한다. 성남시 문화상은 수상자 선정에 관한 사항을 심사하기 위해 성남시 문화상 심사위원회를 설치하고, 학...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예술인들이 문화 예술 활동을 행할 수 있는 장소인 동시에 시민들이 문화 예술을 공감할 수 있는 시설. 문화 시설은 크게 공연 시설과 전시 시설, 문화 복지 시설, 문화 보급 전수 시설과 도서관으로 나눌 수 있다. 공연 시설을 다시 세분하면 종합 공연장과 일반 공연장, 그리고 소공연장과 영화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성남시에는 종합 공연장으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3동에 있는 문화 예술 단체. 성남에서는 최초로 문화를 생산하고 나누는 문화생활 협동조합을 표방한 단체로 매월 정기적인 공연을 통해 소규모 문화 활동 그룹이나 개인들의 문화 활동을 활성화시키고, 교회, 사찰, 영화관, 공연장 등 주민을 찾아다니는 공연을 통해 시민들에게 문화 공연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성남...
-
미술, 음악, 무용, 연극, 연예, 영화 등 예술문화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인과 동호인들이 창립한 단체. 성남시의 문화예술단체를 대표할 수 있는 단체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부(이하 성남예총)라 할 수 있다. 성남예총은 1986년 2월 17일 한국예총으로부터 창립 인준을 받고 성남 예술단체 및 예술계를 대표하는 단체로 출범하였다. 그 이전까지는 1977년 봄...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문화유씨는 성남시에 7개의 세거지를 가질 정도로 많이 모여 산다. 수정구 단대동 논골[답동(畓洞)]에 문간공파 유용선(柳容善)[1930년생]의 8대조인 유함형(柳咸亨)이 정착한 이래로 그 후손들이 세거하고 있다. 수정구 복정동 안골에는 진주강씨 다음으로 정착하였는데, 유계문(柳季聞)[1383~1445]의 사패지...
-
문화적 가치가 있는 유형, 무형의 재산. 성남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형문화재와 무형문화재가 지역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보물 제1128호인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 21·24, 보물 제1129호인 『대불정다라니(大佛頂陀羅尼)』, 보물 제1130호인『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藥師瑠璃光如來本願功德經)』, 보물 제1131호인 『범망경노사나불설보살심지계품제십지...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문화 예술 동호회 및 문화 시설에서 통용되고 있는 지역 화폐. '넘실'이라는 지역 화폐를 매개로 하여 문화 서비스와 문화 재화를 교환하는 다자간 품앗이 제도로, 성남 지역의 공동체 의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지역 사회 구성원들 간의 긴밀한 유대 관계를 바탕으로, 문화를 통한 경제적인 나눔과 상생을 구현할 수 있는 ‘대안 경제 시스템’이다. 이 문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물방아거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과 야탑동 사이에 있던 자연마을로 안말, 갓골과 함께 조선시대 광주군 돌마면 이매리를 구성하였다. 동서로 길게 생겨 마을의 동쪽 지역은 웃말, 서쪽 지역은 아랫말이라 불렀으며, 이곳의 원주민은 본래 문화유씨(文化柳氏)였으나 이후에 경주최씨(傾注崔氏), 안동김씨(安東金氏)...
-
경기도 성남시 야탑동에 있는 성남문화재단에서 제작한 뮤지컬.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을 원작으로 성남문화재단에서 제작한 창작 뮤지컬로 2009년 10월 9일부터 11월 4일까지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에서 초연되었고, 향후 경기도 및 서울과 중국 등 해외 순회 공연을 추진하고 있다. 성남문화재단에서는 성남아트센터가 2009년 10월 14일로 개관 4...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미금동과 구미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 상에 건설된 다리로,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개통하였다. 총연장 117m, 교폭 25m, 축조 형식은 중공PC슬라브 방식이다. 미금교를 지나는 도로는 구미로로서, 탄천 동안의 구미동과 서안의 미금동을 연결하여 지난다. 미금교의 서쪽으로는 성남대로와 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행정지명. 구미동과 금곡동에서 지명이 유래하지만 위치상 금곡동과 더 밀접한 관계를 갖으며, 지하철 미금역(미금역 사거리)를 중심으로 서쪽으로 성남대로, 분당~장지간 도시고속화도로, 경부고속도로, 대왕판교로가 있으며, 북쪽으로는 금곡동, 남쪽으로 오리동 그리고 동쪽으로는 돌마로와 금곡로 사이에 있는 미금로와 탄천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코오롱 더프라우 아파트 인근 분당~장지[수서]간 고속화도로에서 동쪽으로 분기한 길로, 탄천변의 금곡로와 나란히 금곡동 및 미금동 일대를 안쪽으로 휘감은 다음, 탄천 구미교를 넘어 용인시계까지 이르는 도로이다. 도로명은 이것이 지나가는 구미동과 금곡동에서 1자씩 따서 명명하였다. 왕복 포장 6차선 도로로, 총연장 2....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위치한 수도권 지하철 분당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 1994년 9월 1일 분당선이 개통됨에 따라 그 노선의 하나로 설치한 중간 역이다. 2018년 4월 28일 신분당선 미금역이 개통되면서 분당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으로 탈바꿈하였다. 분당선은 1990년대 초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과 함께 추진되어 1994년 수서-오리 구간이 개통되...
-
경기도 성남시에서 아름다움을 조형적으로 형상화하는 회화, 조각, 건축, 공예, 서예 등의 예술 활동. 우리나라의 미술은 남쪽 농경 사회에서 생겨난 자연주의 양식이 기본 조류로서, 다른 민족의 미술과는 다른 특색을 지니고 있다. 즉 우리나라의 산은 둥글고 굴곡이 적어 초가의 지붕 곡선과 어울리는 조화로운 경치를 만들고 있으며, 기후가 건조하고 하늘이 맑아서 가을의 푸른 하...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미인선발대회. 미스성남 선발대회는 성남문화원이 1987년 10월 20일에 제1회 미스성남 선발대회를 개최하면서 시작되었다. 제1회 미스성남 선발대회에는 25명이 참가하여 미스성남 진에 최경아(당시 19세), 선에 김아영(당시 20세), 미에 조진숙(당시 18세)이 선발되었다. 2004년도 미스경기 선발대회에서 미스성남으로 출전한 한경진(1...
-
봉씨가 1971년에 상대원으로 들어온 것은 정말 우연한 일이었다. 눈이 하얗게 내린 날 상대원고개 마루에서 버스를 내린 후로, 벌써 40년의 세월이 흘렀다. 처음에 봉씨의 집은 미아리 천지극장 앞에 있었다. 봉병용이라는 사람의 소유였는데, 그는 일본에서 크게 성공한 자기형의 재산을 맡아 관리하면서 이런저런 사업에 손을 대던 사람이었다. 그가 일자리도 주었고, 가게가 딸린...
-
청동기시대에 사용된 무늬 없는 토기. 무문토기(無文土器)라고도 하는데, 글자 그대로 의미를 해석해서 ‘문양이 전혀 없는 토기’라고 보는 것은 곤란하고, 본격적인 철기 사용 이전 청동기시대 초기부터 초기철기시대까지 사용된 토기라는 시대적 의미가 강하게 부여된다. 민무늬토기 중에는 문양이 있는 것들도 있고 심지어 채색된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민무늬토기는 정선된 점토를 기본으로 하여...
-
민간에 전하여 오는 생활과 풍속. 오늘날 성남시는 공간적인 측면에서 자연마을과 개발도시가 혼합되어 있는 수도권 도시이다. 특히 1970년대 광주대단지 개발과 1990년대 분당신도시 개발로 인해 그 영역이 더욱 확장된 성남시는 대부분의 주거지역이 공동주택이거나 서양식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주로 탄천의 서쪽에 자리잡고 있는 전통적인 마을은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가령 수정...
-
향토에서 나는 재료를 가공하여 만든 실용적인 측면을 가진 공예예술. 성남시의 민속공예라는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위해서는 성남시 고유의 향토색을 지닌 공예예술에 대한 조사와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어 장기간에 걸쳐 우리 민족이 사용하여 오던 민속공예작품 중에는 이미 사라져 없어져버린 것도 있으나, 반면에 그 전통이 계승되어...
-
설날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에 민속놀이와 축제를 겸한 다양한 행사. 지방자치제와 우리것지키기운동과 더불어 2000년대에 불고 있는 웰빙바람을 타고 많은 축제가 생겨났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각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의 특수성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마다 축제를 하고 있다. 축제의 특성을 계획할 때 각 지역이 가지는 특수성을 찾아 민속놀이와 연관시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예를...
-
민간에 전승되어 온 노래. 농업과 어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노동을 할 때, 일정한 의식을 거행할 때, 놀이를 할 때 부르기 시작한 노래로서, 특정한 창작자가 없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져 민중의 생활 감정을 소박하게 반영하고 때로는 국민성과 민족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따라서 민요는 비전문적인 민중의 노래로서 생활상의 필요성에서 창자가 스스로 즐기는 노래이며, 창자만으로도 존재하는 자...
-
인가, 허가에 관련된 민원 접수시 공무원을 후견인으로 지정하여 민원 접수에서 종료시까지 민원인을 대신하여 책임지고 처리하는 제도. 대상 민원은 복합민원 및 처리기간 10일 이상의 민원으로, 장애인, 노약자, 연소자 등 사회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민원인이 6급 이상 공무원을 후견인으로 지정한다. 지정방법은 민원인이 원하는 공무원 추천 또는 민원의 구분(성격)에 따라 기능별 후견인 직제...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흥(驪興).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 사간(司諫) 민수(閔粹)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전적(典籍) 민구손(閔龜孫)이고, 어머니는 김효진(金效震)의 딸이다. 1520년(중종 15)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호당(湖堂)에서 독서하다가 승정원주서로 탁용되어「척간유생도기(擲奸儒生到記)」를 가필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았다. 1525년 춘추관기사관(春...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중앙동에 있던 성남 지역 민중 운동 공동 투쟁 연대 기구. 민족자주 민주주의 민중생존권 쟁취 성남민중연대는 성남 지역 민중 운동 진영의 대표적 연대 기구로 민족의 자주와 평화통일, 민중의 생존권 확보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단체들의 연대 모임이었다. 민족의 자주권 회복과 민주주의 실현 및 민중 생존권 쟁취를 위해 연대·투쟁하고자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중앙동에 있던 성남 지역 민중 운동 공동 투쟁 연대 기구. 민족자주 민주주의 민중생존권 쟁취 성남민중연대는 성남 지역 민중 운동 진영의 대표적 연대 기구로 민족의 자주와 평화통일, 민중의 생존권 확보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단체들의 연대 모임이었다. 민족의 자주권 회복과 민주주의 실현 및 민중 생존권 쟁취를 위해 연대·투쟁하고자 설립하였다...
-
중원구 도촌동 섬말에서 살던 성씨. 중원구 도촌동 섬말에 박성(朴性)이 이주하여 그 자손들이 세거함으로써 양짓말의 원주민이 되었다고 전해지며, 후에 갈현동에 이주하여 세거하였다. 중원구 상대원동에는 박형원(朴亨遠)[1945년생]의 7대조 통덕랑 박장민(朴長民)[1758~1813]의 부인 여산송씨가 그 아들과 함께 친정집 근처로 이주함으로써 그 후손이...
-
IMF가 어떻게 지났는지, 시장 사람들이 채 정신을 차리기도 전에 상대원시장은 다시 한 번 큰 변화에 내맡겨졌다. 상대원시장 한 가운데 대형 건물이 새로 들어서고 그 안에 마트가 들어온 것이었다. 그로 인해 재래시장 자체가 사라질 운명을 맞게 되었다. 많은 상가들과 노점들이 사라지고, 남은 상인들도 장사에서 이윤을 남기기는커녕 가진 돈을 더 밀어 넣어야 될 형편이었다. 염씨는 앞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