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083 |
---|---|
한자 | 和順郡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경환 |
[정의]
전라남도 중앙에 위치한 군.
[개설]
화순군에는 행정 구역상 1개 읍, 12개 면, 188개 법정리[341개 행정리]가 있다. 화순군청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훈리에 위치해 있으며, 2013년 현재 1개 실, 13개 과, 2개 직속 기관, 1개 사업소, 13개 읍·면, 1개 출장소로 구성되어 있다.
[명칭 유래]
화순 지역은 조선 시대 화순현·능주목·동복현 지역이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따르면 “능성군(陵城郡)은 본래 백제의 이릉부리군(尒陵夫里郡)으로 경덕왕이 개명하여 지금도 그대로 쓰고 있으니, 영현이 셋이다. 부리현(富里縣)은 본래 백제의 파부리군(波夫里郡)으로 경덕왕이 개명하였는데 지금은 복성현(福城縣)이다. 여미현(汝湄縣)은 본래 백제의 잉리아현(仍利阿縣)으로, 경덕왕이 개명하였는데 지금의 화순군(和順郡)이다”라고 기록되어 현재의 지명을 유추할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1405년(태종 5)에 동복현을 폐하고 화순현에 합속하여 1407년에 복순(福順)이라 개칭하였다. 1416년에 동복을 나누고 화순현을 능성현에 합속하여 순성현(順聖縣)이라 하였다. 1418년에 다시 둘을 나누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렇듯 화순·능주·동복은 통합과 분리가 반복된 군현이었다.
[형성 및 변천]
화순군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주거 유적이 화순군 남면 사수리 대전 마을 주암댐 수몰 지구에서 발견되었다.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의 유물·유적으로는 1,180여 기의 고인돌이 존재하며, 도곡면 대곡리에서 세형동검·팔두령(八頭鈴)·동경[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국보 제143호] 등의 청동 제품이 출토되었으며, 도암면 대초리에서 마제 석촉이 출토되었다. 화순군 전 지역에서 발견되는 고인돌군은 이 지역에 일찍부터 정치 세력이 출현하였다는 것을 알려 준다.
마한의 여러 소국 가운데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이 화순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백제의 영역에 들어간 뒤 잉리아현(仍利阿縣)·이릉부리군(爾陵夫里郡)·두부지현(豆夫只縣) 등이 설치되었다.
757년(경덕왕 16) 이릉부리군은 능성군(陵城郡)[또는 綾城郡]으로, 잉리아현은 여미현(汝湄縣)으로 고쳐져 능성군의 영현이 되었다. 두부지현은 동복현(同福縣)으로 고쳐져 곡성군(谷城郡)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 여미현은 화순현(和順縣)으로 개칭되어 나주목의 속현이 되었다가 뒤에 능성현에 소속되었다. 1018년에 동복현은 보성군의 속현이 되었고 능성군은 처음 나주목에 영속되었다가 1143년(인종 21) 현령이 파견되어 능성현이 되었다.
1394년(태조 3) 남평과 화순이 분리되었고 화순 감무가 동복 감무를 겸하게 되었다. 1405년(태종 5) 동복현이 폐지되어 화순현에 합쳐졌으며 1407년 복순현(福順縣)으로 개칭되었다. 1416년 다시 동복현이 분리·독립되었고 화순현은 능성현에 합속되어 순성현(順城縣)으로 개칭되었다가 1418년 각각 분리되었다. 1594년(선조 27) 임진왜란의 병화 때문에 화순현이 능성현에 합쳐졌다가 1611년(광해군 3) 다시 분리되었다. 1632년(인조 10) 능성현이 인조의 모후인 인헌왕후(仁獻王后) 구씨(具氏)의 관향이라 하여 능주(綾州)로 개칭되고 목으로 승격되었다. 1655년(효종 6) 동복현이 폐지되어 화순현에 예속되었다가 1664년(현종 5) 다시 분리되었다. 이처럼 화순·동복·능주는 세 개의 행정 단위로 나누어져 있으면서 빈번하게 폐합·분치를 거듭하였다.
1895년(고종 32) 나주부 화순군·능주군·동복군으로 개편되었다가 능주군·동복군이 폐지되어 1896년 전라남도 화순군이 되었다. 일제 침탈기인 1913년 능주군을 화순군으로 개칭하고 동복군과 병존하다가 1914년 3월 1일 동복군 마저 폐지하고 화순군에 편입시킴으로써 오늘날의 골격을 갖추게 되었다.
1932년 11월 1일 기존 17개 면을 13개 면으로 조정하여 오늘날의 읍·면 체제를 갖추었으며, 1963년 1월 1일 군청이 있는 화순면을 읍으로 승격[읍 설치에 관한 법률 제1177호]시켰고 1966년 5월 18일 영외·묵곡·용강 출장소를 각각 설치[군 조례 제122호]하였다. 1973년 7월 1일 동면 수만리를 화순읍으로 편입[대통령령 제6542호], 1983년 2월 15일 도곡면 주도리를 화순읍에 편입[대통령령 제11027호]하였다. 1988년 8월 17일 화순읍 계소 1구를 계소 1·3구로,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화림 1구를 화림 1·3구로 조정[군 조례 제1074호]하였고, 1996년 10월 12일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리를 교리 1·2구로, 만연 2구를 만연 2·3구로, 일심 3구를 일심 3·4구로, 광덕 1구를 광덕 1·4구로, 청풍면 백운 1·2구를 백운리로 조정[군조례 제848호]하였다.
1998년 10월 1일 묵곡·용강 출장소를 폐지[군 조례 제1563호]하였다. 1999년 8월 5일 화순읍 만연 3구를 만연 3·4·5·6구로, 일심 1구를 일심 1·5구로, 대리 4구를 대리 4·5구로 조정[군 조례 제1608호]하고, 2003년 2월 15일 화순읍 신기리를 신기 1·2구로, 대리 4구를 대리 4·6구로, 벽라 1구를 벽라 1·3구로, 계소 1구를 계소 1·4구로 조정[군 조례 제1761호]하였다.
2004년 12월 31일 화순읍 앵남 2·3구를 앵남 2구로, 수만 1·2구를 수만 1구로, 수만 3·4구를 수만 2구로, 화순읍 강정리를 연양 1구로, 한천면 정우 1·2구를 정우리로, 고시리를 동가리에, 춘양면 양곡 1·2구를 양곡리로, 대신 3·4구를 대신 3구로, 용곡 1·2구를 용곡리로, 가동리를 변천리로, 이양면 율계 1·2구를 율계리로, 능주면 만인 1, 2구를 만인리로, 도암면 지월 2·3구를 지월 2구로, 이서면 창랑 1·2구를 창랑리로, 영평 1·2구를 영평리로, 안심 3구를 안심 1구로 통합, 인계 3구를 인계 1구로, 서리를 야사 2구로, 갈두리를 안심 1구로, 북면 송단 3구를 송단 2구로, 다곡 1·2구를 다곡리로, 용곡 3구를 용곡 2구로, 동복면 안성 1·2구를 안성리로, 남면 사수 3구를 사수 2구로, 남계 1·2구를 남계리로, 복교리를 주산리로 통합, 동면 서성 1구를 서성 2구로, 청궁 1·2구를 청궁리로, 천덕 1구를 천덕 2구로 조정[군조례 제1832호]하였다.
2006년 3월 8일 화순읍 교리 1구를 교리 1·3구로, 신기 2구를 신기 2·3구로, 일심 4구를 일심 4·6구로, 광덕 4구를 광덕 4·5구로, 대리 5구를 대리 5·7구로, 수만 2구를 수만 2·3구로 조정[군 규칙 제1076호]하였으며, 2012년 2월 16일 영평리를 영평 1·2구로 조정[군 규칙 제1231호] 후 현재의 행정 구역이 유지되고 있다.
[위치와 면적]
화순군은 동경 126°49′~127°12′, 북위 34°50′~35°12′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단은 북면 송단리, 서단은 도암면 행산리, 남단은 청풍면 이만리, 북단은 북면 방리이다. 동쪽은 전라남도 곡성군·순천시, 서쪽은 전라남도 나주시, 남쪽은 전라남도 보성군·장흥군, 북쪽은 광주광역시·전라남도 담양군·곡성군과 접하고 있다. 총 면적은 786.63㎢로 전라남도의 6.6%를 차지한다. 면적의 지목별 현황을 살펴보면 경지 128㎢[16.3%], 임야 581㎢[73.8%], 기타 78㎢[9.9%]를 차지하고 있다.
[자연환경]
화순군은 소백산맥에서 뻗은 지맥들로 이루어진 산악 지대로, 서부의 하천 유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400~900m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지질은 대부분이 견고한 화강 편마암류로 사장석과 석영으로 된 백색 편마암과 석영 편마암 등으로 되어 있다.
북부에는 무등산[1,187m], 백아산[810m], 만연산[668m], 안양산[853m] 등 높은 산들이 솟아 있다. 동부에는 밤실산[598m]·모후산[918.8m]·두봉산[631m]·장재봉[550m], 남서부에는 해망산[356m]·천태산[497m]·선왕산[460m]·화학산[615m]·국사봉[499m]·봉미산[506m]이 있다. 중앙에도 천운산[605m]·용암산[547m]·노인봉[530m] 등이 솟아 있다.
동복천이 동부를 남류하며, 능주천이 중앙을 북류하고, 화순천이 북부를 서류하여 화순군 능주면 원지리에서 합류해 지석천을 이루며 서류한다. 이들 하천 유역에는 평야가 형성되어 있으나 화순천과 능주천이 합류하는 유역에 발달한 능주 평야를 제외하고는 소규모일 뿐이다. 동복면과 이서면의 경계인 협곡에는 동복댐이 건설되어 화순읍 읍민과 광주광역시 시민의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유역에는 소규모의 동복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기후는 산지가 많아 여름에도 기온이 높지 않고 안개가 자주 낀다. 연평균 기온 14.3℃, 1월 평균 기온 0.0℃, 8월 평균 기온 26.3℃이며, 연 강수량은 1,742㎜이다. 서리는 10월 하순부터 내려 이듬해 4월 중순에 끝난다.
[인구]
2013년 2월 기준으로 2만 9451세대에 6만 8311명이 거주하고 있다. 전라남도에서는 여수시·순천시·목포시·광양시·나주시·해남군·무안군·고흥군에 이어 9번째 규모이다. 남자 3만 3702명, 여자 3만 4609명이 거주하고 있고, 외국인은 782명이 거주하고 있다.
화순읍에 화순군 전체 인구의 60%[1만 5944세대, 4만 1586명]가 거주하고 있으며, 동면[1,923세대, 3,795명], 능주면[1,580세대, 3,486명], 도곡면[1,552세대, 3,108명] 순으로 거주하고 있다. 2001년 7만 9219명[남 3만 9545명, 여 3만 9674명]에서 2006년 7만 2615명[남 3만 6004명, 여 3만 6611명], 2011년 6만 8985명[남 3만 4112명, 여 3만 4873명]으로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산업]
2011년 기준 화순군의 경제 활동 참가율은 60.2%이고, 최근 3년간 소폭 감소하였다[2008년 66.7%, 2009년 63.4%, 2010년 60.0%]. 2011년 기준으로 취업자는 3만 9,000명이며 업종별로는 농림·어업 34.7%[1만 7000명], 광업 10%[3,100명], 사회 간접 자본 및 기타 사업 서비스업 55.3%[건설업 2,900명, 도소매·음식 숙박업 4,800명, 전기·운수·통신·금융업 1,700명, 사업 및 개인·공공 서비스 및 기타 7,70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1년 기준 사업체 수는 4,014개로 소폭 증가하고 있으며[2008년 3,905개, 2009년 3,948개, 2010년 3,995개], 종사자의 수는 2만 806명으로 비슷한 수준[2008년 2만 80명, 2009년 2만 1634명, 2010년 2만 1867명]을 유지하고 있다. 전체 사업체의 99%가 종사자 수 300명 이하의 영세한 업체이며, 64%가 화순읍에 위치하고 있다. 사업체의 24.8%가 도매 및 소매업, 18.3%가 숙박 및 음식점업, 13.5%가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개인 서비스 업체이며, 종사자 수의 16.1%가 보건 및 사회 복지 사업, 10.6%가 도매 및 소매업, 9.3%가 건설업에 종사하고 있다.
화순군의 경지 면적은 2007년 125.71㎢에서 2011년 100.32㎢로 소폭 감소했으며, 가구당 경지 면적은 2007년 1만 2000㎡에서 2011년 1만 4100㎡로 소폭 증가했다. 식량 작물 생산지는 2007년 82.85㎢에서 2011년 62.888㎢로 감소했으나, 생산량은 농업 기술의 발달로 인해 3만 4446톤에서 3만 1121톤으로 소폭 감소했다. 또한 변동은 크지만 채소류나 특용 작물·약용 작물의 생산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화순군은 여전히 농업 중심 사회이지만 2005년 국내 최대 백신 제조 회사인 녹십자를 유치하였으며 2007년 전남 생물 의약 연구원이 설립 및 독일의 세계적 연구소인 프라운 호퍼 분자 생물 연구소를 유치하였고, 2010년 11월 백신 산업 특구로 지정되었다. 또한 화순읍 내평리 일대에 각종 생명 산업 관련 벤처 기업들의 연구 시설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2004년 7월 문을 연 화순 전남 대학교 병원은 화순군을 의료 관광지로 탈바꿈시킨 모태가 되었다. 그 동안 국가 지정 암 센터, 지역 응급 의료 센터, 희귀 난치성 질환 지역 거점 병원 등으로 지정받았으며, 2017년까지 전남 대학교 의생명 과학 융합 센터가 화순 전남 대학교 병원 옆으로 이전하고 의과 대학과 간호 대학 등이 이전하면 의료 관광 단지로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
교통은 경전선(慶全線)이 화순군의 서부를 남북으로 지나며, 화순역에서 복암역에 이르는 11.1㎞의 탄광 철도인 화순선이 있다. 도로망은 화순읍을 중심으로 광주광역시·순천시·보성군·장흥군 방면으로 국도가 연결되어 있다. 1971년 너릿재 터널의 개통으로 광주광역시와의 거리가 단축되어 광주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관광]
화순군은 국민 관광지와 국립 공원으로 지정된 무등산의 수려한 자연 경관과 주요 사찰, 그리고 무등산에서 발원하는 하천들이 조화를 이루어 인근의 도시로부터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무등산의 지붕이라 불리는 만연산의 동쪽 기슭을 따라가면 만연 폭포에 이르고, 입구에 만연사가 있다.
지석천을 따라 연주산(連珠山) 아래 아름다운 절경을 이루는 영벽정이 있고 상류에는 예성산을 배경으로 송석정이 있다. 도암면에는 천불 천탑(千佛千塔)과 와불(臥佛)로 유명한 운주사가 있고, 이양면에는 많은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는 쌍봉사가 있다. 동복천 상류에는 동복댐이 건설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경관이 아름다운 절벽이 있다. 동복댐과 송석정 일원에는 음식점·휴게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고, 광주광역시와 인접해 있어 일 년 내내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북면에는 화순 온천, 도곡면에 도곡 온천이 개발되어 종합 온천장·호텔·여관·전망대 등의 각종 편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전라남도의 새로운 온천 관광지로 각광 받고 있다.
[교육]
조선 시대 교육 기관으로는 능주 향교·화순 향교·동복 향교가 있었다. 능주 향교는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에 있다. 1392년(태조 1)에 창건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병화로 소실된 것을 1600년(선조 33)에 재건하였다. 화순읍 교리에 있는 화순 향교는 1434년(세종 16)에 창건되었으며, 정유재란 때 소실된 것을 1611년(광해군 3)에 현감 이인부(李仁傅)가 재건하였다. 동복 향교는 동복면 연월리에 창건되었으며, 1713년(숙종 39)에 동복면 독상리로 이전되었다가 1756년(영조 32)에 현 위치인 연월리로 다시 이전되었다.
이 밖에 1498년(연산군 4) 정여해가 김종직·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김일손(金馹孫)을 배향하기 위하여 춘양면 대신리에 해망 서원을 세웠다. 1871년에 유림이 정여해를 배향하였다.
1523년(중종 18)에는 양팽손이 이양면 증리에 조광조를 추모하여 죽수 서원(竹樹書院)을 설립하였다. 1570년에 한천면 모산리로 이전, 사액(賜額)되었고, 1630년(인조 8)에 양팽손을 배향하였다. 그 뒤 1869년에 대원군의 서원 철폐 명령에 따라 철폐되었다가 1971년에 도곡면 월곡리에 제주 양씨 문중과 유림이 재건하였다.
1668년에 동복면 연월리에 설립된 도원 서원은 최산두를 배향하다가 뒤에 임억령(林億齡)·정구(鄭逑)·안방준(安邦俊) 등을 배향하였다. 1868년에 철폐된 것을 1977년에 최산두의 후손인 초계 최씨 문중에서 복원하였다.
근대 교육 기관으로는 1908년에 개교한 능주 육영 보통학교가 최초이며, 1909년에 동복 공립 보통학교가 개교하였다. 또한 1917년에는 4년제 화순 공립 보통학교가 화순 향교에서 개교하였다. 중등 교육 기관으로는 1947년에 화순 공립 중학교가 설립되었다. 그 뒤 학교들이 증가하여 2014년 현재 교육 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7개교[분교 1개교], 중학교 10개교, 고등학교 4개교가 있다.
종교 시설로는 불교 사찰 27개, 원불교 교당 1개, 천주교 성당 2개, 개신교 교회 77개가 있다. 축제로는 화순 군민의 날 행사·적벽 문화제·운주 문화 축제·백아산 철쭉제·수만리 안양산 키높이 철쭉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