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009
한자 政治
영어공식명칭 Politics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경희

[정의]

경상북도 영주 지역에서 권력과 권위를 획득·유지·행사하고,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조정·통합하는 총체적 활동.

[개설]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에는 항상 희소한 자원을 획득하고 배분하는 과정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개개인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지위가 평등하지 않은 데다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기 때문이다.

정치는 이러한 불평등과 갈등·대립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과정이며, 권력을 매개로 한 강제력 행사와 설득, 그리고 이익을 표출하고 집약하는 일련의 정치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정치란, 지배와 복종의 상호 과정이며, 권력의 획득·유지·행사를 둘러싼 모든 집단 간 투쟁, 그리고 이의 조정과 통합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주시에서 정치도 이러한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수행된다.

[영주 지역 민주정치의 기원과 변화]

영주 지역에서 근대 민주주의 정치가 제도적으로 시작된 것은 1946년 「조선과도입법의원의 창설」[미군정법령 제118호, 1946년 8월 24일]에 의해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이 설치되는 때부터라고 볼 수 있다. 좌익 측이 참여를 거부한 가운데 설치된 과도입법의원은 미군정장관이 지명한 관선 의원 45명과 주민투표로 당선된 민선 의원 45명, 총 9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는데, 경북 지역에서는 6개 구(區)의 대표 6인과 1명의 도(道) 대표를 선출했다. 당시 영주군은 봉화군·예천군·문경군과 함께 제4구로 편성되어 주민투표를 했다.

이후 주민투표는 1948년 실시된 5.10 총선거 이래 6차례의 국민투표, 13차례의 대통령 선거, 세 차례의 부통령 선거, 한차례의 일부 재선거를 포함한 21차례의 국회의원 선거, 6차례의 전국 지방 동시 선거를 포함한 18차례의 지방자치 선거, 두 차례의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와 한차례의 대통령 선거인단 선거를 치렀다. 그리고 1991년부터 주민의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하고 구성하는 기초의회[영주시의회]와 광역의회[경상북도의회], 1995년부터는 주민의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되는 자치단체장[영주시장, 경상북도지사]과 영주시의회, 경상북도의회 등을 통해 지역의 주요 정책을 수립하고 심의·의결·집행하는 지방자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영주 지역에서의 정치 과정]

영주 지역 정치 과정의 주요한 요소는 선거민과 투표, 정당, 이익집단 및 사회단체들이다. 영주 지역주민의 정치 참여도는 전국 평균 또는 경상북도 평균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구가 계속 감소하면서 국회의원 선거구가 현재 영주시·봉화군·예천군 복합 선거구로 운영됨으로써,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정당의 지역 사무소는 대부분 선거가 임박해서 정당별 또는 개인별 선거사무소를 운영한다. 농촌 지역이라는 특성상 이익집단 및 사회단체의 활동은 영주농민회, 영주농업협동조합, 영주축산업협동조합, 풍기인삼농업협동조합, 지역의 각 작목반 등 농민단체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다. 이외 영주시새마을회이자 새마을운동중앙회 영주시지회 등 새마을운동 단체, 대한노인회 영주시지회, 영주시여성단체협의회 등 노인·여성 단체들이 주요 사회단체로 활동하면서 지역 여론을 형성하고 필요한 경우 자치의회 의원, 자치단체장, 국회의원 입후보자를 내기도 한다.

[영주 지역 정치의 특성]

영주시는 1914년 3월 조선총독부의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영주군이 만들어지고, 1980년 4월 영주읍이 영주시로 승격하면서 영풍군 지역이 분리되어 나갔다가 1995년 1월 영주시와 영풍군이 다시 통합되면서 형성되었다. 따라서 영주 지역의 정치는 조선시대 ‘선비의 고장’으로 명성을 높여 오던 경북 북부 지역이 가진 문화적 특성과 정치적 요인보다 사회적 여건을 우선시하는 한국 정치의 특성을 주요 요소 중 하나로 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에서 활동하는 정치인, 또는 정치단체들은 지연, 또는 문벌을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는 지역 정치문화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이승만의 비서실장 출신인 박용만(朴容萬), 재무부 이재국장 출신인 황호영(黃虎榮), 노태우와 김영삼 간 가교 구실을 했던 김창근(金昌槿) 등 몇몇 인물이 당시 대통령과 인맥 등을 통해 중요한 정치인으로 성장했고, 3선 이상 당선되는 현상이 되풀이되었다. 그렇지만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촌 지역인 영주 지역의 발전이 상대적으로 소외되자 1990년대 중후반에는 출양 인사들이 3차례(1988년, 1996년, 2000년) 낙선하는 상황이 나타나기도 했다.

2019년 현재 국회의원 선거구의 획정에 있어서 영주시는 인접 시·군과 복합 선거구를 운영해야 하는 형편에 처해 있다. 영주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는 제3공화국 시기인 1963년 12월 17일 실시된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이래 영주군·봉화군[제6~7대], 영주군·봉화군·영양군[제9~10대], 영주시·영풍군·봉화군·영양군[제11~12대], 영주시·영풍군[제13~14대] 체제로 운영되다가, 이후 제19대 선거까지는 영주시 단일 선거구로 운영해 왔다. 그렇지만 제20대 선거에서는 다시 영주시·문경시·예천군 체제로 운영됨으로써, 지역의 문제를 직접 대변할 수 있는 지역에 기반을 둔 인물을 국회의원으로 선출하는 일이 현실적으로 녹록지 않은 형편이 되었다.

지방선거의 경우 영주시는 1995년 6월 27일 자치단체장을 주민의 직접선거로 처음 선출했는데 초대와 제2대 시장을 역임한 김진영(金晉榮)과 제3대 시장 권영창(權寧昌)은 각각 영주축산업협동조합 조합장, 영주연탄 대표이사를 지낸 지역 농민단체, 지역 기업인 출신이기도 했다. 그러나 2006년에 치러진 제4대 민선 영주시장 선거에서는 출향 인사인 김주영이 당선되어 2010년에 재선하였다. 2014년 제6대 민선 영주시장 선거에서도 출향 인사인 장욱현(張彧鉉)이 당선되었으며, 2018년 7월 1일부터는 제6대 시장을 역임했던 장욱현 시장이 재임하고 있다.

[영주 시민의 정치 성향]

영주 지역주민의 정치적 성향은 1996년 이전까지만 해도 여당 공천자가 낙선한 일이 없을 정도로 당시의 집권당에 호의적인 지역이었다. 이 때문에 지역 정치인 중에는 자유당-민주공화당-민주정의당-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으로 당명이 이어지는 보수정당 인사가 소선거구제에서는 한차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당선되었으나, 중선거구제에서는 신민당, 민주한국당, 민주당 등 야당 출신 인사도 당선되었다. 6선 의원으로 국회부의장을 지낸 홍사덕(洪思德)이 1981년 치러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입후보해서 당선된 곳도 바로 영주 지역이었다.

따라서 영주 지역주민의 이념적 성향은 인접한 경상북도 내 다른 시·군과 비교해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렇지만 이런 정치 성향은 중선거구제이던 국회의원 선거구가 다시 소선거구제로 환원된 1988년의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바뀌기 시작해 1996년 치러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차례 무소속 후보가 당선된 것을 빼면, 2018년까지 민주정의당-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으로 이어지고 있는 보수정당 편향의 정치 지향이 계속 유지되어 오고 있다. 지방자치 선거의 경우에는 무소속, 또는 진보정당의 후보가 보수정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는 일이 자주 나타나 ‘수구(守舊)’ 이미지가 강한 경상북도 내 다른 지역과 다른 모습을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