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산(礪山). 자는 탁이(卓爾). 호는 금헌(琴軒). 증 이조참판 송말경(宋末璟)의 장남이자 증 병조참판 송수(宋壽)의 손자이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오른 제양군(齊陽君) 허광(許礦)의 외손자이고, 문과에 합격하여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오른 송언신(宋言愼)이 아들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탁지(卓之), 호는 우당(雨堂)이다. 아버지는 이교(李嶠), 할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문광공(文光公) 이륙(李陸), 증조할아버지는 이치(李穉)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옛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세촌면 탄동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남씨편(南氏便)을 합하여 탄리가 되어 중부면에 편입되었다. 이후 1946년 3월 3일 중부면 6개리에 성남출장소가 설치됨에 따라 중부면 성남출장소로 편입되었다. 그리고 1971년 9월 경기도 직할 성남출장소로 승격된 뒤 1973년 성남시로 승격되어 성남출장소 수진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봉국사 인근 태평로 건우아파트단지 앞에서 남남동(南南東) 방향으로 나뉘어져 중앙로 수진역사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원래 도로 이름은 수진동에 위치하여 수진로(壽進路)라 불리었으나, 2002년 2월 성남시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사업에 따라 이 지역의 옛 지명을 딴 ‘탄리로’로 변경되었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 총연장은 1.50㎞, 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던 조선 인조 때 창건되고 1939년에 폐사된 법륜사 절터. 법륜사 터는 성남 지역을 대표하던 법륜사가 있던 절터이다. 청나라 사찰지 『범우고(梵宇攷)』에 따르면 인조 때 창건된 절로 영창대군의 원찰 기능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 위치는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금빛초등학교 주변으로 1970년대 동제종이 발굴되어 태평동사지 혹은 탄리사지로 알려진 곳이다....
-
경기도 성남시를 관통하여 흐르는 하천. 탄천은 경기도 용인시 창덕동 법화산 자락과 응달고개, 영동고속도로를 분수령으로 발원하여 한강으로 흘러가는 지류로서, 총 유로연장은 33.16㎞이며, 성남시를 관통하는 유로연장은 15.70㎞, 제방 연장 31.4㎞이다. 성남시 관내 탄천의 지류천[지방하천]으로는 용인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동막천, 율동공원과 분당중앙공원을 관류하는 분당천, 판...
-
성남시에 있는 탄천의 명칭 유래담 옛날 옛적에 동방삭이 있었다. 동방삭이 너무 오래 살아서 천상, 천하를 막론하고 큰 골칫거리가 되었다. 천상에서 동방삭을 잡아가기 위해 계책을 꾸몄으나 워낙 장수한 사람이라 방법이 없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시도. 서현로 양현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탄천 서편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다가 여수로 여수대교 서편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지금은 탄천로라고 한다. 총연장은 3.956㎞, 도로 폭은 25m, 총면적은 9만 8,900㎡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시도. 성남대로 동쪽 용인 시계에서 시작하여 탄천과 함께 북쪽으로 향하다가 동막천을 따라 ㄱ자로 휘어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도로의 이름은 탄천 상류 지역에 있는 길이라는 뜻에서 명명되었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2.226㎞, 도로 폭은 25m, 총면적은 5만 5650㎡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시도. 탄천우로는 서현로 양현사거리에서 시작하여 탄천 동편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다가 여수천을 지나 ㄱ자로 휘어 성남대로 야탑사거리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지금은 양현로로 불린다. 총연장은 3.585㎞, 도로 폭은 25m, 총면적은 7만 1,700㎡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종합 운동 시설. 탄천종합운동장은 성남시 최대 규모의 종합 체육 시설로 주경기장, 야구 경기장, 수영장, 빙상장, 스쿼시장, 헬스장, 체육관, 숙소 등이 있으며, 탄천종합운동장 내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36레인 볼링장, 실내 골프 연습장, 실내 테니스장을 갖춘 탄천스포츠센터가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시도. 서현로 양현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탄천 서편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다가 여수로 여수대교 서편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지금은 탄천로라고 한다. 총연장은 3.956㎞, 도로 폭은 25m, 총면적은 9만 8,900㎡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시도. 불정로 불정교삼거리에서 탄천 동편을 따라 정북 및 북동쪽으로 진행하다가 서현로 삼성생명분당중앙지점 한신아파트 삼거리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지금은 황새울로로 부른다. 총연장은 3.424㎞이며 도로 폭은 25m, 총면적은 6만 8,480㎡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함께 배우고 더불어 살아가는 학교’이며, 미션은 ‘도전하고, 상상하고, 참여하는 어린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함께 배우고 더불어 살아가는 학교’이며, 미션은 ‘도전하고, 상상하고, 참여하는 어린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개최된 종합문화예술 축제. 2001년부터 세계 각국의 민속예술공연단을 초청하여 시민들에게 세계 각국의 민속예술을 소개함으로써 이국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개최하게 된 성남세계민속예술축제의 성과를 이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탄천페스티벌을 개최하게 되었다....
-
장례과정에서 시신을 넣어 장지까지 운반한 관을 매장 직전에 제거하는 풍습. 가풍이나 지역적 특색에 따라 탈관하여 시신만 매장하는 사례도 있고, 탈관하지 않고 관을 함께 매장하는 경우도 많은데, 관을 함께 매장하는 사례는 영남지역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며, 경기 지역에서는 탈관하는 경우를 보다 많이 찾아볼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사립 대안 학교. ‘어려움을 이겨 내고 더불어 사는 행복을 만들어 가는 사람’을 교육 목적으로, 성찰과 소통을 통한 관계 능력 향상, 배려와 협력을 통한 공동체성 함양, 배움과 체험을 통한 자신감 고취, 자기 길 찾기를 통한 진로 역량 강화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여러 층으로 또는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축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또는 불교에서 석가모니의 사리나 유골을 모시거나 특별한 구역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또는 그 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건축물. 일반적으로 후자의 듯으로 많이 쓰인다. 우리나라에서 탑은 불상과 더불어 가장 뛰어난 불교미술로서 한국의 고대미술을 대표한다 할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일원에 위치한 근린공원 탑골공원은 자연 생태를 이용하여 조성한 공원으로 면적은 358,629.6㎡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성남 중원구 하대원동 출신. 자는 탕경(湯卿). 광국공신(光國功臣)으로 칠계군(漆溪君)에 봉해진 윤탁연(尹卓然)의 증손자이자 임란 때 공을 세워 시호가 충장공(忠莊公)이자 칠평군(漆坪君)으로 봉해졌던 윤경원(尹慶元)의 손자이고, 한성부 판관을 지낸 윤계기(尹啓基)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성실, 신의, 지혜’이며, 도덕적인 인격을 지닌 인간,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인간, 건전한 심신을 지닌 인간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성실, 신의, 지혜’이며, 도덕적인 인격을 지닌 인간,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인간, 건전한 심신을 지닌 인간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정자 터. 1586년 무렵에 태안군 이팽수[1520~1592]의 증손 정촌 이경인(李敬仁)[1575~1642]이 정자를 세워 학문에 전념하던 곳으로, 그 뒤로도 후손 3대가 학문을 배우고 익혀 백여 명의 인재를 배출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 있는 산봉우리. 대장동의 성남 판교대장 도시개발구역 안에 자리한 대장동 태봉은 개발 전 대장동에서 가장 큰 마을인 태릉과 인접하여 있었던 높이 172.2m의 나지막한 산봉우리이다. 이 산봉우리는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의 낙생저수지를 지나 분당구 대장동과 용인시 고기동 경계의 삼거리에서 약 1.5㎞ 지점에 자리하며, 북쪽으로 남서울 컨트리클럽과 판교동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과 경기도 광주시 신현동 사이에 있는 고개. 태재라고도 부르는 태현은 해발고지 180m로 부천당고개, 새마을고개, 새나리고개, 고든골고개 등 성남시에서 광주시로 넘어가는 고개 중에 가장 험준한 축에 속한다....
-
성남지역에 전해지는 조선 태종의 행적담 태종 18년에는 유례없는 큰 가뭄이 오래 계속되었다. 모든 백성들이 하늘을 우러러 비를 빌었지만 좀처럼 비가 내리지 않았다. 민심이 소란하고 흉흉해지면서 백성들은 도탄에 빠져들고 드디어 하늘을 원망하기 시작했다. 이 소식이 태종의 귀에까지 들려 태종은 밤마다 하늘을 우러러 비를 빌었으나 소용이 없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현충탑. 성남시 현충탑은 성남시의 대표적인 현충 시설로 성남시 수정구 태평4동 주거 밀집 지역의 최북단에 있으며, 후세들의 호국정신과 애국심을 배우는 소중한 교육의 장소이기도 하다. 매년 6월 6일이면 성남시 현충탑에서는 추념식이 열리며, 성남 지역 각계 인사들이 참배를 하기 위하여 찾아온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태평동은 성남시의 도시개발 당시 가장 먼저 개발된 지역의 하나로 수정구 중앙에 자리하며, 행정동은 태평1동과 태평2동, 태평3동, 태평4동이다. 주택 및 상업 혼합 지역으로 수정구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위치하였던 청동기시대 고인돌의 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은 국가에 속하는데 한반도에는 3만여 기가 분포한다. 고인돌은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북방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기반식(남방식), 지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비. 성남 시민의 윤리 및 실천규범을 새겨 놓은 비로, 태평동 성남아트리움(옛 성남시청사) 정문 입구에 남서향하여 있다. 1990년 4월 20일 서성남청년회의소에서 건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 그리고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1년 토지박물관에서 수행한 지표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태평동 산21-1번지의 임야 지대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1년 토지박물관에서 수행한 지표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태평동 1271번지[태평로90번길 19] 일대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의령남씨의 선영. 고려 말에서 조선 전·후기에 걸쳐 이 지역에 세거하였던 의령남씨의 선영으로, 여말 선초의 문신이었던 남경문(南景文), 조선 전기에 충청도수군절도사를 지낸 남효원(南孝元)과 아들 남순민(南舜民),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남계하(南啓夏)와 그의 아들 남명우(南溟羽), 남명익(南溟翼) 등 6기의 묘소가 안장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4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로 재구성한 책.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태평동이라는 공간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
경기도 성남시 개발 초기에 지어진 수정구 태평동 광주대단지 주택. 광주대단지는 서울의 철거민 이주단지 조성을 위해 1960~70년대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현재 성남시 수정구]에 조성한 주택단지이다. 서울에서 이주한 철거민들에게 가구당 20평씩 땅을 분양해 주고 집은 자력으로 짓도록 했다. 1969년부터 서울시 철거민 이주가 시작되었지만, 철거민 상당수는 생활 기반이 서울에 있었기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던 조선 인조 때 창건되고 1939년에 폐사된 법륜사 절터. 법륜사 터는 성남 지역을 대표하던 법륜사가 있던 절터이다. 청나라 사찰지 『범우고(梵宇攷)』에 따르면 인조 때 창건된 절로 영창대군의 원찰 기능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 위치는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금빛초등학교 주변으로 1970년대 동제종이 발굴되어 태평동사지 혹은 탄리사지로 알려진 곳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성남지구 소속 성당. 태평동성당의 설립 계획은 1996년부터 시작되었다. 설립 계획에 따라 성당 부지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던 중, 현재의 성당 신축지가 3필지로 나뉘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997년 2월 10일, 1997년 8월 30일, 그리고 1998년 3월 13일 등 세 차례에 걸쳐 이 터를 매입...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시도. 태평로는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의 주거 지역을 동서로 관통하는 시도(市道)로, 구릉지인 태평동의 최북단에 있어 경사와 굴곡이 심하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나라의 평안과 태평성대를 기리는 뜻을 담은 춤. 태평무는 나라의 평안과 태평성대를 기리는 뜻을 담은 춤이다. 처음 시작된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종묘제례 때 보태평무(保太平舞)를 추었던 것으로 보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말의 학자인 목은 이색(李穡)의 시에 태평무가 언급되어 있어서 조선 건국 이전부터 추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정조...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조성한 생태 공원. 태평동 탄천 변에 길게 조성된 인공 습지 공원으로 면적은 27,600㎡, 길이는 800m, 폭은 30m이다. 습지에서 살아가는 생물들과 다채로운 수생식물들을 관찰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수도권 수인분당선 중간역. 태평역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한 역으로 가천대역과 모란역 사이에 있다. 역명과는 달리 역사의 대부분이 태평동이 아닌 수진동에 자리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몸과 마음이 건강하며 의지력이 강한 건강인, 지식과 기술을 탐구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창조인, 예절과 질서를 존중하고 성실하게 실천하는 도덕인,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주인 의식이 투철한 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몸과 마음이 건강하며 의지력이 강한 건강인, 지식과 기술을 탐구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창조인, 예절과 질서를 존중하고 성실하게 실천하는 도덕인,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주인 의식이 투철한 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배려와 공감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우리’이며, 바라는 인간상은 꿈을 갖고 존중·배려·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학생상], 참여·소통·나눔·협력의 동반 성장 파트너[학부모상], 함께 꿈꾸며 즐겁게 가르치는 선생님[교사상]이다. 예의 바르고 배려하는 어린이[도덕인], 자기 관리 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인], 꿈과 끼를...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배려와 공감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우리’이며, 바라는 인간상은 꿈을 갖고 존중·배려·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학생상], 참여·소통·나눔·협력의 동반 성장 파트너[학부모상], 함께 꿈꾸며 즐겁게 가르치는 선생님[교사상]이다. 예의 바르고 배려하는 어린이[도덕인], 자기 관리 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인], 꿈과 끼를...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민망(民望), 호는 태항(苔巷)이다. 한사신(韓士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석(韓碩)이고, 아버지는 교리(敎理) 한지원(韓智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과 경기도 광주시 신현동 사이에 있는 고개. 태재라고도 부르는 태현은 해발고지 180m로 부천당고개, 새마을고개, 새나리고개, 고든골고개 등 성남시에서 광주시로 넘어가는 고개 중에 가장 험준한 축에 속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태현공원은 주택으로 둘러싸인 공원으로 공원 주변에 나무를 식재해 사시사철 아름다운 숲을 볼 수 있다. 공원 면적은 16,319.5㎡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택중(擇仲), 호는 견제(謙齋)이다. 아버지는 증호조참판 유유(柳柔)이며, 어머니는 광흥수(廣興守)를 지낸 임지재(任文載)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청년 사회단체. 지역사회 청년들이 지역 주민과 소외된 이웃, 그리고 노동자들과 함께하는 삶을 나누고 민주적인 사회와 통일된 나라를 위해 1989년 10월 3일 터사랑 청년학우회를 창립하였다. 이것을 모체로 1991년에 지역의 청년들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서기 위해 터사랑청년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
가신의 하나인 집터를 관장하는 신을 모시는 신앙. 터대감, 터줏대감, 터왕터주 등으로도 불린다. 터주는 성남지역에서 현재까지 가장 강하게 남아 있는 가신으로서, 이는 다른 경기도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뒷마당이나 장독대 앞에 터주를 상징하는 신체(神體)를 터주가리라고 하는데, 가신의 신체 중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남겨두었다 없애는 신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현재는 거의 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카페 거리. 테라스 거리라 불리기도 하는 분당 정자동 카페거리는 커피 향과 은은한 음악이 흐르며, 각각의 상가마다 독특한 건물 모양과 화려한 조명이 어우러져 정자동만의 이국적인 풍경을 만들어 내는 상가 거리이다....
-
궁씨는 지금도 상대원3동에 살고 있다. 1959년 태어나서 지금까지 상대원을 떠나본 적이 없는 터줏대감이다. 상대원 곳곳에 50년의 삶의 자취가 기록되어 있는 셈이다. 궁씨는 사진작가이며, 동시에 사진을 전공하는 대학원 학생이다. 상대원시장 입구의 한 5층 건물에 궁씨의 사진 작업실이 있다. 좀 낡은 계단을 올라 들어가게 되는 작업실에는 촬영도구들과 함께 그가 찍은 사진들이 놓여...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육상의 지각을 덮고 있는 기반암 풍화 물질에 생물체의 유기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물질. 토양이란 장기간에 걸쳐 생성 작용을 받음으로써 형성된 뚜렷한 증 즉 토층을 보여주는 지표의 물질로 토양의 특성은 근본적으로 기후, 식생, 모재, 지형, 시간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성남의 토양모암은 대부분 화강암에서 유래한 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신도시 개발 당시 시범 단지로 조성된 서현동은 2001년 서현1동과 서현2동의 2개 행정동 관할이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인 시범 단지와 서현역을 중심으로 상업 및 업무 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었던 옛 지명 서현동의 마을로는 된섬말(遯書村), 볕고개[陽峴], 안골, 은행정이, 절말 그리고 통로골이 있었다. 통로골(遯路洞, 通路谷)은 광주군 통로동(通路洞)으로 불리었던 마을로서 은행쟁이(안골과 율동 서근배미 사이에 있는 마을) 남쪽에 있었다. 즉, 서현동 볕고개에서 율동 서근배미로 가면 앞에 작은 통로가 있어 통로골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개최되는 통일 문화 행사. 까치의 통일아리랑은 통일을 염원하는 성남시민들과 사회단체들이 하나가 되어 통일의 필요성을 알리고 기원하는 문화 행사로 매년 8월 15일을 전후하여 개최된다. 기행, 백일장, 노래자랑, 사진전, 영화제 등 매년 행사의 규모나 내용은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진행되었지만 문화 공연 중심의 까치의 통일아리랑은 1993년 제1회 행사부터...
-
증권투자신탁의 업무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 크고 작은 여러 형태의 투자가의 자금을 모아 하나의 기금으로 만들고, 이 기금을 전문관리자가 증권투자를 중심으로 운영이식을 도모하고 이 결과 얻어진 이익은 출자구수(出資口數)에 따라 투자가에게 배분된다. 물론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투자가의 부담이 되므로 일정한 이익이나 원금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손실 발생의 위험을 분산시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성남 지역에서 가장 높은 주거용 오피스텔. 코오롱건설 주식회사에서는 업무 시설, 운동 시설, 근린 생활 시설이 합쳐진 초고층 고급 주거용 오피스텔로 트리폴리스라는 브랜드를 제작한 후, 1998년 11월 분당구 금곡동 210번지[정자일로 1]에 분당 코오롱 트리폴리스Ⅰ을 착공하여 2001년 12월 준공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지혜롭고 창조적인 기술인이다. 교육 목표는 꿈을 향해 도전하는 기술인 양성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위치한 청소년을 위한 공공 도서관. 라이브러리 티티섬은 청소년들을 위한 신개념 도서관으로, 감각적이고 역동적인 문화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도전과 탐험, 충분한 자기 표현을 할 수 있는 곳이다. 라이브러리 티티섬은 용자와 영자가 서로 소통하며 함께 만들어가는 도서관으로 운영된다. 용자는 이용자이고, 영자는 운영자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