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달구질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0632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기도 성남시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최원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가창자/시연자 이봉재
관련의례 장례

[정의]

장례 때 시신을 매장하고 나서 달구를 가지고 묘의 봉분을 다질 때 하는 노래.

[내용]

상여를 가지고 하는 운구 행렬이 끝나고 무덤을 만들 때는 흙에 회를 섞어서 다졌으므로 회방아소리, 회다지소리라고도 한다.

선소리꾼 이봉재씨의 달구소리를 통해 그 내용을 소개한다. 묘의 중간에 막대기를 꽂아놓고 달구꾼들도 막대기를 하나씩 들고 멋진 동작과 함께 춤추듯이 한 발 한 발 다진다. 선소리꾼은 북을 두드리면서 “이 편 저 편 동관님네 달구소리나 하여 보세.” 하면서 전체를 이끌어간다. 선소리꾼 이봉재씨는 여러 가지 노래를 잘 하기 때문에 달구소리도 다양하게 매겼다. “어이여라 달구” 하고 후렴을 하면 “백두산 낙맥이 뚝 떨어져서” 하고 앞소리를 매기고 그렇게 명당 터의 풍수적 내용을 가사로 계속해서 메기고 자손이 번창하도록 축원까지 한다. 묘 다지는 일이 어느 정도 진척되어서 슬픔은 가버리고 오히려 흥겨움이 고조되면 달구소리도 멋진 가락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방아타령」, 「잦은 방아타령」, 「상사도야」, 「잦은 놀놀이」, 「새타령」 등을 노래한다.

[변이양상]

성남지역의 달구소리는 인근 지역과 차이를 보인다. 용인지역의 후렴은 “에헤리 달공”으로 되어 있고 느린 소리로 메기고 받을 때에도 “오 호 오호이 오호야 오호야”로 받는다. 양평은 “에야 하리 달고”로 받고 처음 시작 부분에 왕박산 등에 고시레를 한다. 이천에서는 일곱 가지나 되는 후렴을 사용하고, 노래도 작업의 순서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다.

[기타]

새 집을 지으려고 터를 다질 때 부르는 성조가인 「지경소리」와는 다르다. 지경소리는 새 집을 지어 새 삶을 꾸리려는 희망에 부푼 노래라면, 「달구질소리」는 인생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노래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