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1078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경기도 성남시
집필자 최진아

[정의]

무당이 가무(歌舞)를 겸비하면서 서서하는 굿.

[개관]

주로 충청도 지역의 법사들이 앉아서 징을 치면서 독경을 외는 앉은굿의 반대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선굿이란 화려한 무복을 입고 춤을 추면서 의례를 행하며 공수를 내릴 줄 아는 무당들의 굿을 말하는 게 일반적이다. 지역적으로는 서울과 경기도를 포함한 이북지역이 해당된다.

[내용 및 특징]

성남은 광주굿이 성행하던 곳으로, 주로 선굿이 행해지던 곳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행해진 이주 정책으로 인해, 지방 지역민들이 대거 이주해 오면서, 무속인들도 함께 이주해 왔다. 이로 인해 성남지역은 선굿을 주로 행하는 무당, 앉은굿만을 주로 행하는 법사류, 이 두 의례 형태를 모두 행하는 무속인들이 공존하고 있다.

현재 성남의 선굿의 의례 형태는 과거 광주굿의 형태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대신 서울굿과 경기도굿이 혼재되어서 나타나고 있다. 선굿의 형태는 무속의례는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는 나라굿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굿, 그리고 개인을 위해서 행해지는 개인굿으로 나뉜다. 성남지역에서는 주로 마을굿과 개인굿이 이루어졌지만, 현재는 개인굿이 주를 이룬다. 개인굿은 주로 집안의 재수를 기원하고 액을 막아주기를 기원하는 재수굿과, 죽은 망자를 저승으로 천도해주기 위한 천도굿인 진오귀굿이 행해진다.

성남에서 활동하는 만신 장석만[1946년생]이 행하는 재수굿의 순서는 산거리→부정→(가망청배)→불사거리→대내림→군웅거리→대검거리→조상→제석→성주→창부→뒷전 순이며, 진오귀굿의 순서는 부정→가망청배(앉아서 행함)→진적→상산→별성→신장→영실→구조상→대감→창부→시왕사자→말미→도령돌기→배째기→상식→후영실→뒷전순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