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1660 |
---|---|
한자 | 李公升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홍갑 |
성별 | 남 |
---|---|
생년 | 1501년![]() |
몰년 | 1533년![]() |
본관 | 연안(延安) |
추증/추서 |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 |
제향 | 시향일 10월 13일 |
묘지 | 분당구 판교동 산25-1번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곤(李坤)의 아들이며, 경기도관찰사를 지낸 이홍로(李弘老)가 손자이다. 부인은 의인(宜人)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일찍 요절한 탓에 관직은 장례원(掌隷院) 사평(司評)까지만 이르렀다.
공승의 묘는 분당구 판교동 산25-1번지 연안이씨 선영인 판교-안양간 57번 지방도 왼쪽에 있다. 봉분 중앙에 세워진 묘갈(墓碣)은 1576년(선조 9)에 세워졌는데, 예조판서 정유길(鄭惟吉)이 지었고, 원래의 묘갈 비문을 그대로 옮겨놓은 신묘표가 1981년에 건립되었다.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되었다. 연안이씨는 시조로부터 7세에 해당하는 이귀령(李貴齡)[1346~1439], 이귀산(李貴山) 형제대부터 벌족으로 성장하여 용인에는 의정공파, 판교에는 연성군파가 각각 자리 잡았다. 따라서 판교 너븐바위에 세거해 온 연안이씨는 시조의 10대손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후손들이 자리 잡았던 곳이다. 이곤의 아들 이공승(李公升)이 사평공파(司平公派)를 열었으며, 1700년 경 이후 문중조직이 결성되어 매년 시향(時享)을 지낸다. 사평공파 시향일은 10월 13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