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 산신각 안에 있는 산신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에서 주신(主神)으로 받들던 산신(山神)을 형상화한 그림으로 산신각 안의 벽면에 걸려 있다. 문을 열고 들어섰을 때 오른쪽 벽면에 위치하고 있는데, 크기는 가로 131㎝, 세로 93㎝이며, 그림의 오른쪽 아래에 이를 기증한 사람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
조선조 숙종이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1595~1671]의 문집을 읽은 느낌을 쓴 7언율시. 숙종이 백헌 이경석의 문집을 읽은 느낌을 적은 시부(詩賦)를 이경석의 후손에게 하사한 것인데, 후손들이 참죽나무 필갑에 넣어 뚜껑에 ‘肅宗聖製寶墨(숙종성제보묵)’이라 전각(篆刻)하여 보관하였다....
-
구징(具徵)의 행적에 관한 이야기 남한산성에서 내려다보이는 광주군 서부면 능내에는 지금은 흔적이 사라진 백제시대 왕릉이 있었다. 그 옆에 중종 때 공신인 구징의 무덤이 있다....
-
1976년 조세희가 발표한 소설작품. 조세희가 1976년 『문학과 지성』 겨울호에 발표한 작품으로, 아버지가 난장이인 한 가족의 이야기가 큰아들 영수, 작은아들 영호, 딸 영희의 눈을 통해 각각 그려지고 있다....
-
1709년(숙종 35) 숙종이 옛날 병자호란 때의 일을 상기하면서 지은 두 편의 7언절구. 이 시는 「망견남한산성야조(望見南漢山城夜操)」라는 제목으로 『남한지(南漢誌)』에 실려 있다. 1709년 9월 28일 남한산성에 들렀던 숙종이 옛날 병자호란 때의 일을 상기하면서 당시 사람들의 충절을 기려 지은 두 편의 7언절구이다....
-
작자 미상의 민요. 이 민요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래동요로 성남 지역에서만 불리던 노래가 아니라 전국적으로 불리던 노래이다. 이 민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조선 중기 임경업(林慶業) 장군을 소재로 한 야담. 조선 후기의 문신 이원명(李源命)이 지은 『동야휘집(東野彙輯)』에 전해오는데, 임경업 장군이 사냥을 갔다가 잘못하여 들어간 태백산에서 검술을 익혀 돌아와 무과에 급제한 후 명청(明淸) 교체기에 장군이 되어 활약한 이야기이다....
-
김은집, 한세훈이 공동 연출한 연극. 1973년 성남이 시로 승격하고 1975년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가 인준을 받자 그 기념으로 여러 문화행사가 있었는데, 이 작품 역시 이때 공연한 연극작품이다. 김은집이 시나리오를 쓰고 배우 한세훈과 공동 연출하였으며, 한세훈, 박승규 등이 출연하여 당시 성호시장 앞에 자리하고 있던 천일극장에서 공연하였다....
-
성남시 중원구 금토동에 있었던 도선이고개에 얽힌 지명 유래담 도선이고개는 도생이고개라고도 불린다. 고산골에서 판교, 금토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현재는 이 고개가 없어졌으나 예전에는 이 고개에 도둑이 많았다고 한다.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활약한 명풍수 도선이가 지나간 고개라 하여 ‘도선이고개’라 불렀다고 전한다....
-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짧은 노래. 선조 말기에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단가로 일제시대에 가장 많이 불리던 노래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 선경을 찾아 유람하며 즐기자는 내용으로 성남에서도 불리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새말고개에 있는 바위 이름 유래담. 분당동 새말고개 중턱에 바위가 하나 있는데, 옛날 한 장수가 이 바위에 앉아 잠시 쉬어 갔는데 그 장수의 발자국이 새겨져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바위의 이름을 ‘명문바위’라고 불렀다 한다....
-
1670년(현종 11) 1월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제1과록을 내린 녹패. 녹패(祿牌)는 이조 혹은 병조에서 종친과 관원들에게 녹과(祿科)의 등급[제1과~제18과]을 정해주는 증서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 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
1650년(효종 1) 1월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제1과록을 내린 녹패. 녹패(祿牌)는 이조 혹은 병조에서 종친과 관원들에게 녹과(祿科)의 등급[제1과~제18과]을 정해주는 증서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 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
1663년(현종 4) 1월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제1과록을 내린 녹패. 녹패(祿牌)는 이조 혹은 병조에서 종친과 관원들에게 녹과(祿科)의 등급[제1과~제18과]을 정해주는 증서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 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
1669년(현종 10) 1월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제1과록을 내린 녹패. 녹패(祿牌)는 이조 혹은 병조에서 종친과 관원들에게 녹과(祿科)의 등급[제1과~제18과]을 정해주는 증서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 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
1668년(현종 9) 1월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제1과록을 내린 녹패. 녹패(祿牌)는 이조 혹은 병조에서 종친과 관원들에게 녹과(祿科)의 등급을 정해주는 증서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 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
1648년(인조 26) 1월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제1과록을 내린 녹패. 녹패(祿牌)는 이조 혹은 병조에서 종친과 관원들에게 녹과(祿科)의 등급을 정해주는 증서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 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
1623년(인조 1) 5월 2일 진사(進士) 이경석(李景奭)[1595~1671]이 문과 병과(丙科)에 제5인으로 급제하였음을 증명하는 교지. 교지란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들에게 관직, 품계, 자격, 시호 등을 내려줄 때 쓰는 문서로서, 관료에게 관작·관직을 내리는 고신(告身), 문무과 급제자에게 내리는 홍패(紅牌), 생원시 및 진사시 합격자에게 내리는 백패(白牌), 향리의 면...
-
1626년(인조 4) 9월 14일 중직대부행(中直大夫行) 이조좌랑(吏曹佐郞) 이경석(李景奭)[1595~1671]이 문과 중시(重試) 갑과에 제1인으로 장원급제하였음을 증명하는 교지. 교지란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들에게 관직, 품계, 자격, 시호 등을 내려줄 때 쓰는 문서로서, 관료에게 관작·관직을 내리는 고신(告身), 문무과 급제자에게 내리는 홍패(紅牌), 생원시 및 진사시...
-
1666년(현종 7) 1월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제1과록을 내린 녹패. 녹패(祿牌)는 이조 혹은 병조에서 종친과 관원들에게 녹과(祿科)의 등급을 정해주는 증서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 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
1708년(숙종 34)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추증한 시호교지. 교지란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들에게 관직, 품계, 자격, 시호 등을 내려줄 때 쓰는 문서로서, 관료에게 관작·관직을 내리는 고신(告身), 문무과 급제자에게 내리는 홍패(紅牌), 생원시 및 진사시 합격자에게 내리는 백패(白牌), 향리의 면역(免役)[신분이나 직책에 따라...
-
1671년(현종 12) 1월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제1과록을 내린 녹패. 녹패(祿牌)는 이조 혹은 병조에서 종친과 관원들에게 녹과(祿科)의 등급을 정해주는 증서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 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
1649년(인조 27)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겸 영경연홍문관 예문관 춘추관 세자사(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領議政兼 領經筵弘文館 藝文館 春秋館 觀象監事 世子師)로 임명하는 교지. 교지란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들에게 관직, 품계, 자격, 시호 등을 내려줄 때 쓰는 문서로서, 관료에게 관작·관직을 내리는 고신(告身), 문무과 급제자에게...
-
1646년(인조 24) 3월 27일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을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중추부사(大匡輔國崇祿大夫 領中樞府事)로 임명한 교지. 교지란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들에게 관직, 품계, 자격, 시호 등을 내려줄 때 쓰는 문서로서, 관료에게 관작·관직을 내리는 고신(告身), 문무과 급제자에게 내리는 홍패(紅牌), 생원시 및 진사시 합격자에게 내리는 백패(白牌),...
-
1645년(인조 23)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우의정겸 영경연사감 춘추관사 세자부(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右議政兼 領經筵事監 春秋館事 世子傅)에 임명한 교지. 교지란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들에게 관직, 품계, 자격, 시호 등을 내려줄 때 쓰는 문서로서, 관료에게 관작·관직을 내리는 고신(告身), 문무과 급제자에게 내리는 홍패(紅牌),...
-
1645년(인조 23)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우의정겸 영경연사감 춘추관사(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右議政兼 領經筵事監 春秋館事 世子傅)에 임명한 교지. 교지란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들에게 관직, 품계, 자격, 시호 등을 내려줄 때 쓰는 문서로서, 관료에게 관작·관직을 내리는 고신(告身), 문무과 급제자에게 내리는 홍패(紅牌), 생원시...
-
1647년(인조 25)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제1과록을 내린 녹패. 녹패(祿牌)는 이조 혹은 병조에서 종친과 관원들에게 녹과(祿科)의 등급을 정해주는 증서로 녹패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 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
1647년(인조 25)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좌의정겸 영경연사감 춘추관사 세자부(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左議政兼 領經筵事監 春秋館事 世子傅)에 임명하는 교지. 교지란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들에게 관직, 품계, 자격, 시호 등을 내려줄 때 쓰는 문서로서, 관료에게 관작·관직을 내리는 고신(告身), 문무과 급제자에게 내리는 홍패(紅牌)...
-
1648년(인조 26)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좌의정겸 영경연사감 춘추관사(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左議政兼 領經筵事監 春秋館事)에 임명하는 교지. 교지란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들에게 관직, 품계, 자격, 시호 등을 내려줄 때 쓰는 문서로서, 관료에게 관작·관직을 내리는 고신(告身), 문무과 급제자에게 내리는 홍패(紅牌), 생원시 및...
-
1646년(인조 24)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을 대광보국숭록대부 판중추부사(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左議政兼 領經筵事監 春秋館事)로 임명하는 교지. 교지란 조선시대 국왕이 신하나 백성들에게 관직, 품계, 자격, 시호 등을 내려줄 때 쓰는 문서로서, 관료에게 관작·관직을 내리는 고신(告身), 문무과 급제자에게 내리는 홍패(紅牌), 생원시 및 진사시 합격자에게 내리는...
-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의 복우물에 얽힌 이야기 세조가 사육신과 그 연루자를 처형하던 무렵에 일어난 일이다. 정호라는 선비가 난을 피해 어린 자식들과 부인을 데리고 달아나다가 지금의 복정동 정수장 뒤 산비탈인 깊은 산중에 당도하였다. 지쳐서 잠깐 잠이 들었는데 세종의 일곱 번째 아들(19세에 요절하여 지금의 수진초등학교 뒤편 양지바른 곳에 장례하였다)의 혼령이 나타나 머지않아 나라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동요. 「성남 이무술 집터 다지는 소리」는 「이무술 지경 다지는 소리」, 「지경닫는 소리」, 「지점이소리」, 「상량가」라고도 하는데,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던 자연 마을 이무술마을에서 집터를 다질 때 부르던 노동요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옛 오리뜰마을에서 전승되어 온 농요. 「성남오리뜰두레농요」로도 불리는 「성남 오리뜰 들노래」는 마을이 형성되고 두레 단위로 농업 활동을 하면서 주변 농요의 영향을 받으며 발달하였다. 그러나 1973년 7월 성남시에 구미리가 편입되고, 1989년 이 지역이 분당신도시 조성 계획에 따라 대단위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하는 등 급속한 도시화 과정 속에서 원주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동요. 「성남 이무술 집터 다지는 소리」는 「이무술 지경 다지는 소리」, 「지경닫는 소리」, 「지점이소리」, 「상량가」라고도 하는데,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던 자연 마을 이무술마을에서 집터를 다질 때 부르던 노동요였다....
-
1974년 성남시민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제정한 노래. 성남시민의 노래는 1974년 6월 전 시민을 대상으로 현상 공모하였다. 이때 들어온 작품들을 엄정하게 심사하여 당시 성남초등학교 교사이던 이재범(李載範)의 작품을 당선작으로 채택하였다. 이에 이재범의 출품한 가사에 김학송(金學松)이 작곡하여 성남시민의 노래가 완성되었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옛 오리뜰마을에서 전승되어 온 농요. 「성남오리뜰두레농요」로도 불리는 「성남 오리뜰 들노래」는 마을이 형성되고 두레 단위로 농업 활동을 하면서 주변 농요의 영향을 받으며 발달하였다. 그러나 1973년 7월 성남시에 구미리가 편입되고, 1989년 이 지역이 분당신도시 조성 계획에 따라 대단위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하는 등 급속한 도시화 과정 속에서 원주민...
-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기인이었던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1517~1578]이 행한 기행과 선행을 적은 야담. 『토정비결』의 저자로 유명한 이지함은 고려 말 학자 이색의 후손으로 현령을 지낸 이치(李穉)의 아들이다. 어려서 맏형인 이지번(李之蕃)에게서 배웠고 뒤에는 서경덕에게서 배웠다. 수리, 의학, 복서(卜筮), 천문, 지리, 음양, 술서(術書) 등에 정통하였다. 그는 백성들...
-
윤흥길이 쓴 중편소설. 1977년 『창작과 비평』에 발표되었다. 윤흥길은 1973년 성남과 인연을 맺고, 1975년 성남을 떠났다. 도시 빈민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이 작품은, 이때의 어려웠던 생활체험을 살려 쓴 것이다....
-
성남시 중원구 사송동에 있는 안장바위에 얽힌 전설 사송동 동아다리 아래에 안장바위라고 불리는 바위가 하나 있다. 일명 건들바위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이 바위에 얽힌 간단한 이야기가 있다. 옥황상제가 너무 오래 살아 폐해가 큰 동방삭이를 잡기 위해 사자를 보내었는데 그 사자가 이곳에서 숯을 갈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조선 중기의 문신 권득기(權得己)가 기록한 잡록. 『연송잡록(然松雜錄)』이라고도 한다....
-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용마바위의 명칭 유래담 용마바위는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부처산골 아래 산27번지 내에 있는 바위의 이름이다. 분당-내곡간 도시고속화도로 동판교IC부근이다. 이 바위에 용마의 발자국이 있다고 해서 ‘용마바위’라고 불렀으며, 언젠가는 이 마을에 장수(將帥)가 태어날 것이라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
조선 정조가 지은 칠언절구 시. 『남한지(南漢志)』권8 제영(題詠) 중 「정조대왕어제(正祖大王御製)」라는 제목 아래 실려 있다. 1779년(정조 3) 남한산성에서 있었던 군사훈련을 보기 위해 들렀을 때 쓴 작품으로, 옛날 병자호란의 치욕을 생각하면서 그때 일을 절대 잊지 말도록 남한산성을 지키는 장수에게 경계하는 내용이다....
-
조선 중기 문신인 이경류(李慶流)[1564~1592]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이야기. 이희준(李羲準)이 지은 『계서야담(溪西野談)』에 전한다. 이경류는 본관이 한산, 자는 장원(長源), 호는 반금(伴琴)이다. 아버지는 이증(李增)[1525~1600]이고, 어머니는 사직 이몽원(李夢黿)의 딸이다. 1591년(선조 24)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전적을 거쳐 예조좌랑이 되었다. 임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동요. 「성남 이무술 집터 다지는 소리」는 「이무술 지경 다지는 소리」, 「지경닫는 소리」, 「지점이소리」, 「상량가」라고도 하는데,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던 자연 마을 이무술마을에서 집터를 다질 때 부르던 노동요였다....
-
이택구가 소장하고 있는 완의를 새긴 판각. 완의(完議)는 입의(立議)라고도 하는데, 종중, 가문, 계 등에서 제사, 묘소, 계 등 제반사항에 관하여 의논하고 그 합의된 내용을 적어 서로 지킬 것을 약속하는 문서이다. 완의로서 간단한 것은 한 장의 종이에 쓴 것도 있고, 두루마리에 쓴 것도 있다....
-
조선 영조가 남한산성에 들렀을 때 쓴 칠언절구 시. 『남한지(南漢志)』권8에 「영조대왕어제(英祖大王御製)」라는 제목 아래 실려 있는 3수의 영회삼수(詠懷三首)인 ‘알원릉추모(謁園陵追慕)’, ‘좌행궁유감(坐行宮有感)’, ‘등장대강개(登將臺慷慨)’ 가운데 세번째 작품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동요. 「성남 이무술 집터 다지는 소리」는 「이무술 지경 다지는 소리」, 「지경닫는 소리」, 「지점이소리」, 「상량가」라고도 하는데,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던 자연 마을 이무술마을에서 집터를 다질 때 부르던 노동요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동요. 「성남 이무술 집터 다지는 소리」는 「이무술 지경 다지는 소리」, 「지경닫는 소리」, 「지점이소리」, 「상량가」라고도 하는데,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던 자연 마을 이무술마을에서 집터를 다질 때 부르던 노동요였다....
-
경기도 성남시 창말 지역에서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 부르던 노동요. 「목도소리」는 저수지(못) 뚝을 쌓거나 강뚝, 밭뚝을 쌓기 위해 돌운반책으로 불렀던 소리이다....
-
경기도 성남시 창말 지역에서 불려지던 노동요의 한 형태. '우야'는 새 쫓을 때의 의성어이다. 논매는 종결 소리로, 또는 회방아의 마지막 소리로 불리워진다. 논맴 소리로는 풍년이 들어 알곡을 까먹으로 온갖 새들이 다 모여든다는 풍년구가의 주술적인 의미가 담겨있는 것이고, 회방아 소리로는 새가 죽은 이의 영혼을 저세상으로 인도한다는 사상의 표현이라 하겠다....
-
성남지역에 전해지는 남한산성과 인조의 말에 얽힌 이야기 병자호란 때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 할 때의 일이다. 전세가 날이 갈수록 불리해지자 인조는 일부 장졸들만 남기고 강화로 파천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런데 임금이 탄 어승마가 도무지 움직이지를 않았다. 모두들 기이하게 생각하였으나 움직이게 할 방안을 아무도 찾지 못하였다....
-
18세기 후반에 민간에서 제작된 크기 52x32cm의 목판본 지도첩에 수록된 경기도 지도. 조선 전기에는 원칙적으로 민간의 지도 소장을 금했으나 17세기 이후에는 민간에서도 지도를 소장하고 훌륭한 지도들이 민간 사대부들에 의해 제작되기도 했다. 이 지도 역시 민간에서 이용되던 대표적 지도이며, 전체 구도는 조선전기의 『동람도』를 계승하고 있다. 바다와 하천을 파도무늬대신 흑색으로...
-
유상(柳相)이라는 의원이 경기도 광주의 판교(板橋)를 지나던 중 어명을 받고 궁에 들어가 임금의 마마(천연두)를 고쳐주었다는 이야기. 조선 후기의 야담집인 『청구야담(靑丘野談)』에 전한다....
-
고려 말 학자인 이곡(李穀)이 광주의 관사(官舍) 북쪽에 지은 청풍정(淸風亭)에 쓴 기문. 이곡(李穀)[1298~1351]은 고려 말의 학자로, 본관은 한산,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은 그의 아들이다. 문집으로 『가정집(稼亭集)』이 전한다....
-
사위를 잘 뒷바라지하여 가족을 보호하고 좋은 집터를 택하게 되었다는 이야기. 조선 후기의 문신 이원명(李源命)이 지은 『동야휘집(東野彙輯)』에 전하는 야담으로, 조선 중기의 문신 이준경(李浚慶)[1499~1572] 집안이 임진왜란이 끝난 후 충주 남산 밑에 새롭게 정착하게 된 연유에 대한 이야기이다....
-
성남무용단이 1992년 제1회 전국무용제에서 발표한 무용작품 한국무용협회[현 대한무용협회]와 문예진흥원 공동주최로 1992년 9월 23일부터 10월 1일까지 9일동안 부산문화회관 대강당에서 제1회 전국무용제가 개최되었다. 서울을 제외한 전국 14개 시·도에서 각 1개 단체가 참여한 이 전국 무용제에는 현대무용 4개 단체, 한국무용 9개 단체, 발레 1개 단체 등 총 14개 단체가...
-
1871년(고종 8)에 편찬된 경기도 35개 군의 읍지 필사본. 『경기읍지』는 경기도 35개 군의 읍지를 합편한 6책의 필사본으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있다. 『경기읍지』에는 수원, 강화, 광주 등 경기도의 주요 유수부의 읍지가 빠져있는데 편찬 당시부터 빠진 것으로 보이며, 편자는 미상이다. 각 읍지의 첫머리에는 군의 채색지도가 첨부되...
-
1842년(헌종 8)에 편찬된 경기도 33개 군과 영종진의 읍지 필사본. 『경기지』는 경기도 33개 군과 영종진의 읍지를 합편한 4책의 필사본으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있다. 편자는 미상이며, 각 군 읍지의 첫머리에는 군의 채색지도가 부착되어 있다....
-
조선 후기의 학자 강위의 시문집. 조선 후기의 한학자이자 개화사상가인 강위(姜瑋)[1820~1884]는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복정리 출생으로, 본관은 진주, 자는 중무(仲武)·위옥(葦玉)·요장(堯章), 호는 추금(秋琴)·자기(慈屺)·청추각(聽秋閣)·고환당(古懽堂)이다. 무반집안의 출신으로 신분상의 제약 때문에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과 문학에 전념하였다....
-
조선 후기의 문신 이광덕(李匡德)[1690~1748]의 시문집. 『관양집』은 시(詩)·소(疏)·차(箚)·응제문(應製文)·전(箋)·계(啓)·공사(拱辭)·서(書)·서(序)·기(記)·논·잡저 등으로 구성된 이광덕의 시문집 필사본으로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찬 시기를 알 수 없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발행되고 있는 시사 전문 지역주간신문. 1996년 6월 12일에 창간된 이 신문은 제호를 성남시 지역이 본래 광주군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광주와 성남의 첫 글자를 합쳐 만들어진 것이다....
-
조선시대에 간행되었던 광주에 관련된 읍지. 부·목·군·현 등의 지방 각 읍을 단위로 하여 작성된 지리지로서, 방리·도로·형승·풍속·능침·단묘·역원·군병·진공 등 해당 읍과 관련된 여러 사안에 대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향토 인물 1호로 지정 받은 정일당 강씨의 유고를 완역한 단행본. 『정일당유고』는 정일당 강씨가 저술한 시와 편지 및 잡문 등을 사후 4년이 지난 1836년에 남편 윤광연이 발간한 것으로, 성남문화원에서 2002년 국역하여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
조선 후기의 문장가인 남공철의 시문집. 남공철(南公轍)[1760년~1840년]의 본관은 의령, 자는 원평(元平), 호는 사영(思潁),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1792년(정조 16)에 급제하여 이후 영의정에 이르렀다....
-
경기도 성남시의 금광동과 단대동, 상대원동, 신흥동, 은행동 등 옛 금광리, 단대리, 상대원리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금광·단대·상대원 마을지』는 상대원을 중심으로 신흥동, 산성동, 단대동, 양지동, 은행동, 금광동, 중동[현 중앙동] 등 8개 동을 중심으로 하여, 마을의 역사와 지명, 세거성씨, 지리적 환경, 문화유적, 주요 기관과 사회적 기능, 생활과 문화...
-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공헌 활동을 지역 사회 차원에서 조사 분석하여 지역 공동체의 발전과 기업의 역할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서. 『기업시민과 시민공동체』는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 설문 조사와 심층 면접 사례 조사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공헌 활동에 대한 실증적, 실천적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자 연구·집필되었으며, 지역 사회 공동체를 만드는데 지역 시민 단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지역과 서판교 등 낙생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낙생은 복지 사회를 의미하는 영락장생(榮樂長生)을 의미하는 옛 광주군 낙생면 지역으로 최근 판교 택지 개발 사업을 하면서 고구려와 백제시대의 무덤과 구석기 문화유적이 발굴되어 오래 전부터 인류가 거주한 역사가 확인되는 지역이다. 도시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옛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
-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부(군) 낙생면의 경작 상태와 전세(田稅)를 기록한 장부. 현존하는 『낙생면전부』가 없어 『여지도서』나 『호구총수』 등 당시의 다른 자료를 통해 유추 해설이 가능할 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성남문화원에서 성남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고자 간행한 개설서. 『내고장 성남』은 성남시의 역사와 문화를 개설적으로 서술한 책으로서 역사와 지명유래, 도서관, 공원 등 전반적인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남유용의 문집. 남유용(南有容)[1698~1773]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재(德哉), 호는 뇌연(雷淵)·소화(小華)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고 있는 시사전문 지역 주간신문. 뉴스리더는 지역을 뉴스의 리더로, 지역을 상식이 통하는 사회로, 지역을 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기치를 내걸고 2003년 11월 7일 창간한 신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여수동, 도촌동, 갈현동과 분당구 야탑동, 분당동, 서현동, 수내동, 정자동 등 옛 돌마면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돌마 지역은 중원구의 하대원동, 갈현동, 도촌동, 여수동, 분당구의 이매동, 야탑동, 서현동, 율동, 분당동, 수내동, 정자동 일대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소개한 것으로, 우리 고장의 역사...
-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군(부) 돌마면의 경작 상태와 전세(田稅) 관계를 기록한 장부. 현존하는 『돌마면전부』가 없어 『여지도서』나 『남한지』 등 당시의 다른 자료를 통해 유추 해설이 가능할 뿐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권득기의 문집. 권득기(權得己)[1570~1622]는 본관은 안동, 자는 중지(重之), 호는 만회(晩晦)이다....
-
조선 중기 문신인 이경석(李景奭)[1595~1671]의 문집. 이경석의 손자인 이우성(李羽成)이 이경석의 시문을 모아서 좌의정 최석정(崔錫鼎)에게 편차와 산정을 부탁했는데, 이우성이 죽어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이우성의 아들 이진양(李眞養)과 이진망(李眞望)이 1700년(숙종 26)에 간행하였다. 서문은 최석정이 쓰고, 발문은 신완(申琓)이 썼다....
-
조선 중기의 문신 이경석(李景奭)의 필적. 백헌(白軒)은 이경석(李景奭)[1595-1671]의 호이다. 1653년(효종 4) 병조판서를 지내다 갑자기 타계한 박서(朴遾)를 위해 직접 쓴 제문을 후손들이 「백헌필적(白軒筆蹟)」이라는 표제를 붙여 첩으로 만든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복정·태평 지역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197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성남분당 지역은 1980년대 분당이 개발되고 2000년대 중반에는 판교 신도시가 들어서는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지역의 전통문화는 변모되거나 변절의 역사를 맞이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지오커뮤니케이션에서 발행하던 지역 주간지. 『분당일요신문』은 『일요신문』을 모체로 하여 지역의 소식을 담아 주로 분당, 수지, 죽전 지역에 배포하던 주간지이다. 2008년 1월 한국ABC협회 부수 인증 56,700부를 발행하여 분당·용인 지역 최다 발행부수를 자랑하였으나 경영상의 문제로 2008년 7월부터 휴간 상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었던 지역 신문. 성남시의 정치, 경제, 사회 전 분야에 걸친 기사를 12면에 기재한 신문으로 2002년 창간 당시에는 성남시에서 대판 12면에 인쇄한 지역 신문이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하는 시정 소식지. 『비전성남』은 1973
7월 성남출장소가 성남시로 승격한 후 『까치소리』라는 제호로 국·도정 및 성남 시정을 시민에게 전하는 소식지[반상회보]로 발행되기 시작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 등 광주문화권 3개 지역의 문화원 협의회인 광주문화권협의회에서 발행하는 연구 논문지. 『산성논지』는 광주문화권협의회(성남·광주·하남 문화원)에서 옛 광주문화의 역사 연구와 보존을 위한 작업의 성과를 모아 발행하는 연구 논문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로 재구성한 책.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상대원이라는 공간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고 있는 온라인 신문. 『성남뉴스』는 시민기자가 참여하여 만들어가는 온라인 지역 신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발행되고 있는 지역 주간 신문. 1990년에 창간한 성남시 최초의 지역 신문으로 성남시의 사회, 정치, 경제, 시정, 문화·스포츠, 행사 안내 등에 관한 뉴스를 주로 보도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의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에서 발간하는 종합 문예지. 『성남문학』은 성남 지역 문인들에게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창작 의식 고취와 문화 창달에 기여하고 있다....
-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에서 성남 지역 문단의 역사와 지역 문학인의 작품을 모아 발간한 작품집. 『성남문학인 작품선집』은 성남 지역 문학인들의 작품을 엄선하여 1996년 이후 격년제로 발간하는 문학작품집이다....
-
경기도 성남시의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성남문화원은 서울에 인접한 지역적 특성으로 서울 문화에서 탈피하고 고유한 성남 향토문화 창달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인식하고 이를 위해 산하에 향토문화연구소[2013년 12월 27일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로 개칭]를 부설하여 매년 전문적인 학술 조사 활동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성남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 지역에서 발행되고 있는 지역 주간 신문. 『성남분당용인수지 내일신문』은 전국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주간지인 『내일신문』의 콘텐츠와 성남·용인 지역의 소식을 담아 발행하는 지역지이다....
-
성남시사편찬위원회 주관으로 성남시의 역사와 향토문화를 집대성한 저서. 성남시에서는 성남시 출범 20주년인 1993년 시사(市史) 편찬을 목적으로 1990년 5월 17일 성남시사편찬위원회 조례를 제정하고, 성남시사편찬위원회를 구성하여, 1991년부터 시사 편찬을 위한 자료 수집 및 조사와 연구에 착수하였다. 그 결과 『성남시사』 상·중·하 3권이 1993년 10월 20일 발간되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발행되었던 지역 주간 신문. 『성남시정신문』은 새로운 지방 자치 창조라는 편집 방침을 세우고 시정 뉴스의 보도에 있어서 공익과 정론직필의 자세를 강조한 지역 신문이다. 한편으로는 성남 특유의 정서를 반영하고 공동체적 삶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주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행사를 주관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성남시지회에서 발간하는 소식지. 『성남여성』은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성남시지회에서 매년 12월에 발행하는 여성 전문 소식지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의 문화예술 정보, 논단, 정책, 문예 등을 다루는 종합 예술 잡지. 『성남예술』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성남예총]에서 발행하는 지역 예술지로, 문인·국악·연예·미술·연극·음악·무용·사진·영화 등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의 9개 지부 활동과 회원 작품, 문화예술 정책 등을 담아 연 1회 발간하고 있다....
-
1989년 경원공업전문대학 경원학보사에서 발간한 성남시지. 성남시의 역사와 문화, 지명과 인물, 남한산성의 역사, 광주부(廣州府)의 인물 등 향토 사료를 발굴·정리하여 편집한 책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의 향토 인물 총서. 성남문화원에서 1945년 광복 이전까지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주요 인물로, 지역 내에 출생지 또는 묘소가 있는 인물 중 종 6품 이상의 품계를 받았거나 관직을 가졌던 인물, 품계나 관직이 없더라도 사회에 현저한 귀감이 되는 인물 830여명의 전기를 수집, 정리하여 간행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고 있는 인터넷 신문. 『성남일보』는 성남 지역 최초의 인터넷 저널리즘을 표방하며 실시간 뉴스를 제공하는 지역 온라인 신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인터넷 언론사. 『성남투데이』는 성남시 전 지역의 소식을 담아내는 인터넷 언론사로 지역 언론 최초로 공동 대표제로 운영하고 있다....
-
1994년 순수 성남 출신 소설가들이 뜻을 같이하여 만든 동인회 및 동인지. 1981년 김건중, 윤광섭, 김만태 등 순수 성남 출신 소설가들이 뜻을 같이하여 소설동인회 ‘산성소설문학회’를 만든 바 있다. 소설동인회라고 했지만 그 모임체의 성격은 소설만이 아니고 지역 문학도들에게 포괄적으로 문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모임이었다. 그러나 창립시기가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여서 모임 자...
-
경기도 성남시 주민들의 사회 참여 활동에 대한 실태 분석 및 시민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영향에 관한 사회과학 연구서. 『시민들의 사회참여와 시민공동체』는 책임 연구원인 한도현을 비롯한 사회학자들이 시민공동체의 활성화와 더불어 시민들의 사회 참여와 봉사 활동 연구를 활성화하고 시민 사회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고자 기업, 종교, 결사체와 함께 시민 공동체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일반 시...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어 분당 지역과 용인 수지, 성남 등지에 무료로 배포되는 지역 주간 신문. 정식 법인명은 ㈜아이디커뮤니케이션으로 지역에서는 신문을 발행하다가 2007년 12월부터 제호를 『아이디위클리』(idweekly)』로 변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성남문화재단에서 발행하는 월간 예술 잡지. 『아트뷰』는 성남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성남아트센터의 소식지로서 공연 관계 전문가들과 공공기관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각인하고 극장을 찾는 일반인의 전반적인 문화 지평을 넓히고자 2005년 10월 창간하였다....
-
1995년부터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성 문인 단체에서 발간하는 문학 동인지. 『에세이성남』의 전신은 『여성문학』이다. 1988년부터 연례적으로 개최된 성남시 여성 백일장 수필 부문에서 입상한 여성들을 모아 김건중이 주도하여 창립한 순수 여성 문학 단체인 성남여성문학회에서 동인지 『여성문학』을 창간하였다. 지역 문학과 여성 수필 문학의 발전을 위하여 창립한 성남여성문학회는...
-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 이원의 문집. 『용헌집』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인 이원(李原)[1368~1429]이 집필한 시, 관직 생활을 할 때 쓴 장주(章奏), 전(箋), 헌의(獻議) 등의 글 등을 모아 후손인 이우기, 이정진 등이 1957년 석인본으로 간행한 문집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었던 지역 주간신문. 『UP』는 창간 당시 3만 5000부 정도를 발행하였으며, 지역에서 발했되었음에도 종합 전국지 못지않은 수준의 기획, 편집, 인쇄로 고단가 광고를 수주하였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건강 등 사회 전반을 다룰 수 있는 일반 주간지로 등록되어 있었지만 기사의 주 방향은 종합 문화 잡지 형태였다. 이는 삶의 여유를 향유하려는 신...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로 재구성한 책.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은행동이라는 공간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
조선 중종 때의 문신 입암 민제인의 시문집. 민제인(閔齊仁)[1493~1549]의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이다. 1520년(중종 15)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에서 독서하다가 다음해 승정원주서가 되었는데, 이때 「척간유생도기(擲奸儒生到記)」를 가필하였다가 탄핵되었다. 광주목사, 평안도관찰사를 역임했고 명나라에도 다녀왔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본사를 두고 발행하는 전국 일간신문. 『전국매일신문』은 경기도를 뉴스 권역으로 하여 지방지에 전국지 개념을 도입하는 새로운 성격의 전국지를 모색하는 종합 일간신문으로 창간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하고 있는 종교들의 사회 참여와 봉사 활동 등이 시민공동체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서. 『종교와 시민공동체』는 공동체, 화해, 구제 등의 이념을 교리 속에 포함하고 있으나, 그것을 사회 속에 실현하는 방식이나 노력이 상이한 여러 종교, 종파들의 사회 봉사 유형을 분석하여 시민 공동체의 형성 발전을 위한 정책 자료를 계발하고, 종교 단체의 사회...
-
1846년(헌종 12) 광주부윤 겸 수어사이던 홍경모(洪敬謨)가 편찬한 경기도 광주 읍지. 1779년(정조 3)에 서명응(徐命膺)이 수어사 재직 중에 왕명을 받고 착수하여 미완으로 그친 『남성지(南城志)』와 『여지승람』 등 여러 사서와 지리지를 참고, 수정, 보완하여 홍경모가 편찬한 것으로 사찬읍지에 속한다. 남한산성을 주로 다루었기 때문에 『남한지』라 하였고, ‘남한(南漢)’이란...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결사체들의 활동을 분석하고 지역 시민 사회의 발전을 위해 지역 결사체 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 사회과학 연구서. 『지역 결사체와 시민공동체』는 지역 단위에서 활동하고 있는 지역 결사체들의 활동을 분석하고 지역 시민 사회의 발전을 위해 지역 결사체 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연구서이다....
-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권시의 문집. 『탄옹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탄옹 권시(權諰)[1604~1672]의 문집으로, 시(詩)·소(疏)·경연(經筵) 강의와 서연(書筵) 강의·편지·잡저·한거필설·제문·묘갈명 등으로 구분되어 목판본 13권 7책으로 간행되었다....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이지직의 문집. 이지직(李之直)[1354~1419]은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평(伯平), 호는 탄천(炭川)이다. 1380년(우왕 6) 과거에 급제하고, 한림, 교리를 거쳐 관동과 호서 지방의 관찰사 등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정치적 격변기에 고위직을 역임하였다. 1398년(태조 7) 보문각직제학 재임 당시 소도 변란이 일어 광주[지금의 성남]의 탄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4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로 재구성한 책.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태평동이라는 공간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1동에 있는 성남문화원에서 판교 지역에 대한 역사와 현재 문화를 정리한 단행본. 성남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현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에서는 신도시 개발로 인해 사라지는 판교 지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삶의 모습과 현지 실태를 후손들에게 남겨 후대 판교 지역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판교마을의 생활·문화지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성남문화원에서 판교동을 중심으로 판교의 개발 이전 상태의 자연환경, 역사, 생활과 문화, 실태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기록하였다....
-
한국의 민족·역사·자연·생활·사회 등 한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집대성한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총 면수 24,748면, 항목 수 6만 5천여 개, 사진 및 지도 도면 등 도판자료 4만여 종이 수록된 총 27권의 거대한 분량의 백과사전이다....
-
우리나라 팔도를 그린 아름다운 채색필사본 지도. 1869년에 함경도 후주(厚州)가 후창(厚昌)으로 개칭되었는데, 이 지도에는 후창으로 표기되어 있어 1869년 이후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지도로 보인다. 지도 이면에는 도별 민호, 전결, 군정 자료와 각 군현에서 사방경계에 이르는 이수(里數)와 서울과의 거리 이수도 수록되어 있다. 도별지도는 『동람도』처럼 군현명, 주요 산천명 등만...
-
조선 중기 문신 송언신의 문집. 『호봉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송언신(宋言愼)[1542~1612]의 글을 후손인 송영대가 1910년 경 발간한 문집이다. 임진왜란 당시 선조가 내린 어찰이 다수 실려 있어 당시의 전황을 아는데 도움을 준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각 관할 지역의 소방 업무를 일차적으로 처리하는 곳. 성남시에는 1975년에 설치된 성남소방서 관할 소방파출소 5개소와 1999년에 설치된 분당구 서현동 소재 분당소방서 관할 소방파출소 6개소가 있었다. 2007년 9월 3일 기구 개편을 단행하며 소방파출소를 119안전센터로 변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 일원에 위치한 경공업 중심의 산업단지. 성남산업단지 제1공단은 1970년대 초반 서울의 남부 위성 도시에서 경공업 육성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고용을 촉진하고, 주민들의 생활 안정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산업 단지이지만, 2007년부터 공단의 기능을 상실한 채 철거되어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
성남시내버스 220번을 타고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을 출발해 판교를 따라 성남의 구시가지와 신시가지의 모습을 살펴보는 2시간 여의 짧은 여행. 성남 사기막골에서 출발하여 상대원과 성남시 의료원, 모란역을 거쳐 여수동 성남시청을 지나 야탑역 성남아트센터, 이매역, 서현역, 분당중앙공원을 지나 정자역, 한국잡월드, 판교도서관을 경유해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회차하는 성남시내버스 2...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조성되어 있는 산업 단지. 서울의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성남시는 공해 없는 경공업 도시 건설을 표방할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성남시 자체의 자립 도시 건설 계획인 동시에 정부의 수도권 관리 정책의 목표이기도 했다. 이러한 방향에 따라 지역 내의 공업 단지 조성 계획은 당초의 광주 대단지 개발 계획에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최초의 계획 면적은 성남산업단...
-
경기도 성남시에서 1987년 6월에 발생했던 반독재 민주화 운동. 12·12 사태로 집권한 제5공화국 전두환 군부독재정권이 장기 집권을 위해 재야와 야당 인사를 대대적으로 탄압했다. 이에 맞서 재야 인사를 비롯한 학생·노동자 등 국민들은 직선제 개헌 주장을 키워갔고, 1986년 5월 3일 수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인천에서 일어났다....
-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휴전 성립까지 경기도 성남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남한과 북한의 전쟁.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에 북한군[조선인민군]의 남침으로 시작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까지 1,129일간 벌어진 동족상잔의 전투였다. 여기에 더하여 외국의 군대까지도 참전하여 동서진영 간의 국제전쟁으로 비화됨으로써 남북 평화통일의...
-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휴전 성립까지 경기도 성남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남한과 북한의 전쟁.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에 북한군[조선인민군]의 남침으로 시작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까지 1,129일간 벌어진 동족상잔의 전투였다. 여기에 더하여 외국의 군대까지도 참전하여 동서진영 간의 국제전쟁으로 비화됨으로써 남북 평화통일의...
-
1971년 8월 10일 광주대단지 빈민층이 도시화과정에서 파생하는 소외와 개발의 구조적 모순에 반대하여 일으킨 사건. 광주대단지 사건은 그동안 8·10광주대단지 사태, 8·10광주대단지사건 등으로 불렸다. 성남시청에서는 2020년 10월 8일 광주대단지사건 명칭지정을 위한 학술토론회를 개최하였고, 2021년 2월 광주대단지사건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를 개최하여 최종적으로 ‘8·10성남...
-
1971년 8월 10일 광주대단지 빈민층이 도시화과정에서 파생하는 소외와 개발의 구조적 모순에 반대하여 일으킨 사건. 광주대단지 사건은 그동안 8·10광주대단지 사태, 8·10광주대단지사건 등으로 불렸다. 성남시청에서는 2020년 10월 8일 광주대단지사건 명칭지정을 위한 학술토론회를 개최하였고, 2021년 2월 광주대단지사건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를 개최하여 최종적으로 ‘8·10성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유선 방송. 아름방송은 성남시의 유일한 종합 유선방송국[CATV]으로 방송·정보 서비스를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서양 타악기 연주 단체. AM앙상블은 서양 타악기의 대중적 저변확대와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다양한 공연 레퍼토리 개발 및 타악기 교육의 커리큘럼을 연구하고 보급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차의과학대학교 부설 종합 의료 기관.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성광의료재단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1995년에 설립된 분당 최초의 종합병원이다. 불임 및 여성 의학, 생명 과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가 주력 분야이다. 성광의료재단은 의료 그룹으로 분당차병원 외에 분당차한의원, 분당차여성병원, 강남차병원, 구미차병원, 대구여성차병원, 치바이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차의과학대학교 부설 종합 의료 기관.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성광의료재단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1995년에 설립된 분당 최초의 종합병원이다. 불임 및 여성 의학, 생명 과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가 주력 분야이다. 성광의료재단은 의료 그룹으로 분당차병원 외에 분당차한의원, 분당차여성병원, 강남차병원, 구미차병원, 대구여성차병원, 치바이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송유관 운영 전문 기업. 대한송유관공사는 전국에 1,208㎞의 송유관을 첨단 IT 기반으로 구축하여 휘발유 등의 석유 제품을 유류 수송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소비지로 수송하는 송유관 전문 회사이다. 1990년 공기업으로 출발하여 2001년 1월 경영 효율화를 위해 민영 기업으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
경기도 파주에서 서울특별시 삼성동과 경기도의 성남시를 거쳐 동탄까지 운행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는 수도권의 교통난 해소와 장거리 통근자들의 교통 복지 증진을 위해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 주요 3개 거점역인 서울역·청량리역·삼성역을 방사형으로 교차, 30분대에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계획 중인 광역급행철도이다. 전체적인 철도 노선망은 총 6개로 1기...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하는 게임문화 축제. GXG[성남게임문화축제]는 성남시가 게임 산업 발전과 게임문화 콘텐츠 진흥을 위하여 주최하는 행사이다. 2023년 9월 8~9일까지 제1회 행사인 ‘GXG 2023’이 판교역 광장 등에서 개최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청소년 관련 문화행사. 청소년문화존이란 청소년의 건전한 여가 활용 육성을 위해 놀이마당식 체험 공간에 지역적 특성을 살린 각종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청소년활동진흥법」과 국가청소년위원회의 ‘청소년문화존 조성지원계획 및 운영’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연구 기관.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전자 관련 민간업계가 출연하고 정부가 연구 사업비를 지원하는 민·관 공동의 정부 산하 연구 기관이다. 한국형 CATV, HDTV, GSM 휴대폰, 초소형 정밀기계[MEMS], 모바일 TV, 핵심 전자부품 등의 대형 국책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전자산업 육성 및 신산업 창출에 기여하였으며, 중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사립 외국인 학교. 한국외국인학교 판교캠퍼스는 학생들에게 교육에 대한 열정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성공에 필요한 능력과 자신감, 독창성, 창의성을 배양하는 것을 교육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KT&G 소속 사회복지 재단. KT&G 복지재단 행복네트워크 성남복지센터는 성남시 관내의 독거노인, 조손 세대, 차상위계층 등 사회복지 서비스가 절실하게 필요한 저소득 가정을 대상으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성남 지역의 타 사회복지 시설 및 기관과의 협력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복지 발전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었던 KT&G 소속 지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담배 및 인삼에 관련된 사업은 정부 기업 형태로 전매청에서 관장해 왔다. 1986년 외국산 담배의 수입 개방에 따라 1987년 정부 직영의 전매사업체에서 공영 기업 조직으로 개편하여 한국전매공사로 개칭하였고, 이듬해 담배 시장이 완전 개방되자 「한국담배인삼공사법」을 제정하여 1989년에 순수 민간 기...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K-water 산하 기관. K-water 경기동남권지사는 성남, 용인, 수원, 오산, 화성, 평택, 안성 지역에 수돗물 공급 및 수도 시설을 운영 관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국SGI 소속 교당. 초대회장인 목구상삼랑(牧口常三郞)에 의해 1930년 11월 18일에 창립된 종교단체. 한국에서는 각 일련정종의 파들이 1974년에 ‘한국일련정종불교회’라는 연합체를 구성하면서 시작된 종교단체. 현재 구로구 구로 5동 45번지[공원로 54]에 본부동과 광선회관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