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1670~1718]의 무덤인 소령원(사적 358)을 그린 묘산도(墓山圖). 「숙빈최씨소령원도」는 숙빈 최씨의 무덤인 양주(楊洲)의 소령원(昭寧園)을 그린 묘산도이다. 숙빈 최씨는 영조의 생모로 1718년(숙종 44)에 사망하여 양주 고령동 옹장리(현 경기 파주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대한제국기의 함경도 및 러시아 동부 지역 지도. 「아국여지도」는 김광훈(金光薰)과 신선욱(申先郁)이 두만강 어귀와 연해주 일대를 16년간 직접 답사하여 제작한 함경도 및 러시아 동부 지역 지도이다. 군사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지도로 제작 연도는 불분명하지만 1885∼1905년으로 추정되며, 2...
-
경기도 성남시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교서. 임진왜란(壬辰倭亂) 평정에 큰 공훈을 세운 이들에게 내려진 훈호(勳號)는 호성(扈聖) ·선무(宣武) 두 가지로 나누고 있는데, 왕을 수종(隨從)한 사람을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정왜제장(征倭諸將) 및 원병과 양곡 요청을 위해 명(明)에 왕래한 사신을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策錄)하고, 또 각 3등으로 나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영월 일대의 단종 유적을 그린 화첩. 유배지 영월(寧越)에 남겨진 조선 단종[1441~1457]의 자취와 충신들의 절의가 깃든 장소를 8폭의 그림으로 제작한 화첩이다. ‘영월 경내의 그림’이라는 뜻을 지닌 이 「월중도」(越中圖)의 제작 시기는 단종이 숙종에 의해 복권된 1698년 이후로 추정되며 200...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20공신과 그 자손들이 숙종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회맹문 등을 적은 축.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는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으로 재집권한 서인이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에 파훈(罷勳)된 5명의 공신을 복훈(復勳)한 것을 계기로 제작된 것이다. 2007년 4월 20...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20공신과 그 자손들이 인조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회맹문(會盟文) 등을 적은 축. 「이십공신회맹축-영국공신녹훈후」는 어람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1646년(인조 24) 9월에 영국공신(寧國功臣)을 녹훈(錄勳)한 것을 계기로 국왕이 개국공신으로부터 영국공신에 이르는 20공신과 그 자손들을 거...
-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운 정사공신 한천군(漢川君) 조온에게 발급된 왕지(王旨). 「정사공신조온사여왕지」는 조선 태조 7년(1398) 제1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운 조온[1347∼1417]에게 공전(功田)을 내린 문서이다. 제1차 왕자의 난은 정종을 잇는 왕위 계승권을 놓고 태조의 계비인 강씨(康氏)의 소생 방석(芳碩) 일파와 태조의 초비(初妃)인 한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전기에 일어난 7차례의 대외 정벌사를 기록한 책. 『국조정토록』은 1419년(세종 1) 대마도 정벌 때부터 1510년(중종 5) 삼포왜란까지 7차례에 걸쳐 일어난 조선 전기의 전쟁 기록을 담은 목판본이다. 주로 『조선왕조실록』의 내용 가운데 흩어져 있는 내용들을 모아 편집한 책으로,...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고 있는 시사전문 지역 주간신문. 뉴스리더는 지역을 뉴스의 리더로, 지역을 상식이 통하는 사회로, 지역을 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기치를 내걸고 2003년 11월 7일 창간한 신문이다. 이 신문은 2003년 4월 19일 창간 준비위원회 구성하고, 같은 해 7월 19일 제호를 뉴스리더(News Leader)로 확정하였으며, 11월 7일 창간...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1087년(고려 선종 4) 송나라에서 새긴 목판을 고려로 들여와 찍어낸 경전. 『대방광불화엄경소』는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중심 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 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 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대방광...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조선시대 활자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줄여서 『대방광원각경』, 『원각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의 지눌이 깊이 신봉하여 '요의경'이라고 한뒤 널리 유통되었다.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당나라의 승려 종밀이 저술한 『원각경소』를 세조 11년에...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 말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다라니. 『대불정다라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통된 다라니 중의 하나인 범한(梵漢) 대음역본(對音譯本)이다. 흔히 짧은 구절을 진언(眞言) 또는 주(呪)라 하고, 긴 구절로 된 것을 다라니라 하며, 혹은 그 구별 없이 사용하기도 한다. 『대불정다라니』는 1992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불교 경전.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 또는 『능엄경』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부처님의 말씀을 머리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경험하여 얻을 것을 주요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스님들이 수련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배우는 경전이다. 『능엄...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1378년(고려 우왕 4)에 백운화상의 제자들이 간행한 불교 문헌의 목판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목판본은 고려시대 백운화상 경한(景閑)[1299~1375] 이 1372년(고려 공민왕 21) 제자인 법린(法隣), 정혜(靜慧)의 요청에 의하여 임제종(臨濟宗) 18대손인 원나라 석옥청공(石屋淸珙) 화상으로부...
-
고려 말기에 간행된 『범망경』권제10의 상·하권 중 하권에 해당하는 불교 문헌. 『범망경(梵網經)』은 우리나라 불교 계율의 기초를 이루는 불교 경전의 하나로, 원명은 『범망경노사나불설보살심지계품제십(梵網經盧舍那佛說菩薩心地戒品第十)』이다. 중국 후진(後秦)의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한역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근래에는 중국에서 찬술된 문헌이라고 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복정·태평 지역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197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성남분당 지역은 1980년대 분당이 개발되고 2000년대 중반에는 판교 신도시가 들어서는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지역의 전통문화는 변모되거나 변절의 역사를 맞이하고 있다. 성남문화원에서는 이러한 문화적 단절을 극복하고 과거의 문화를 상기하며 그 연속성 속에서 현재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지오커뮤니케이션에서 발행하던 지역 주간지. 『분당일요신문』은 『일요신문』을 모체로 하여 지역의 소식을 담아 주로 분당, 수지, 죽전 지역에 배포하던 주간지이다. 2008년 1월 한국ABC협회 부수 인증 56,700부를 발행하여 분당·용인 지역 최다 발행부수를 자랑하였으나 경영상의 문제로 2008년 7월부터 휴간 상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지역 신문. 성남시의 정치, 경제, 사회 전 분야에 걸친 기사를 12면에 기재한 신문으로 2002년 창간 당시에는 성남시에서 대판 12면에 인쇄한 유일한 지역 신문이었다. 2002년 2월 분당판교신문사를 설립하고 같은 해 3월 『분당판교신문』준비호를 발간하였으며, 배판 12면의 창간호는 4월 20일 발행하였다. 『...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하는 시정 소식지. 성남시청 공보담당관실에서 매월 15만부 발행하는 시정 소식지로 시민의 알권리 제공을 위해 성남 전역에 배포되고 있으며 성남시정 및 다양한 지역 정보를 시민에게 전달하고 있다. 『비전성남』은 1973년 7월 성남출장소가 성남시로 승격된 후 『까치소리』라는 제호로 국·도정 및 성남 시정을 시민에게 전하는 소식지(...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고 있는 온라인 신문. 『성남뉴스』는 시민기자가 참여하여 만들어가는 온라인 지역 신문이다. 『성남뉴스』는 2001년 11월 24일 먼저 인터넷 신문을, 그리고 2002년 4월 22일에는 오프라인 신문인 성남뉴스넷을 창간하였다. 인터넷 및 오프라인 뉴스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다가 현재 오프라인은 2003년 10월 20일자로 비정...
-
경기도 성남시에 발행되고 있는 지역 주간 신문. 1990년에 창간한 성남시 최초의 지역 신문으로 성남시의 사회, 정치, 경제, 시정, 문화·스포츠, 행사 안내 등에 관한 뉴스를 주로 보도하고 있다. 『성남도시신문』은 전국 주요 도시에서 도시 신문을 창간하여 궁극적으로는 전국적 네트워크를 가진 도시 신문사를 만들어 보고자 하는 구상의 첫 시도로써 성남시에서 창간...
-
경기도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에서 발행하는 향토문화 논문집. 『성남문화연구』는 성남의 뿌리를 찾고 보전하기 위해 설립된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 연구 위원들의 성남시 전통 문화, 향토 인물, 민속 관계 논문을 주로 게재하는 논문집이다. 성남문화원은 서울에 인접한 지역적 특성으로 서울 문화에서 탈피하고 고유한 성남 향토문화 창달이 가장 시급한...
-
경기도 성남시 분당 지역에서 발행되고 있는 지역 주간 신문. 『성남분당용인수지 내일신문』은 전국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주간지인 『내일신문』의 콘텐츠와 성남·용인 지역의 소식을 담아 발행하는 지역지이다. 전국지 『내일신문』은 1993년 6월 21일 주간 내일신문사를 설립하고, 1993년 10월 9일 창간호를 발간하였다. 1994년 12월 15일부터는 지역판을 발행...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발행되었던 지역 주간 신문. 『성남시정신문』은 새로운 지방 자치 창조라는 편집 방침을 세우고 시정 뉴스의 보도에 있어서 공익과 정론직필의 자세를 강조한 지역 신문이다. 한편으로는 성남 특유의 정서를 반영하고 공동체적 삶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주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행사를 주관하였다. 『성남시정신문』은 새로운 지방 자치 시대에 맞는...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성남시지회에서 발간하는 여성 전문 소식지. 『성남여성』은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성남시지회에서 매년 12월에 발행하는 여성 전문 소식지이다. 『성남여성』은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성남시지회의 활동과 사업을 널리 알리는 홍보 매체, 성남시 여성들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매체, 경기...
-
성남 지역의 문화 예술 정보·논단·정책·문예 등을 다루는 종합 예술 홍보지. 『성남예술』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에서 발행하는 지역 예술지로, 문인·국악·연예·미술·연극·음악·무용·사진·영화 등 회원 단체의 활동과 회원 작품, 문화 예술 정책 등을 담아 년 1회 발간한다.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에서 예술 창작의 창의성을 높이고 새로...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고 있는 인터넷 신문. 『성남일보』는 성남 지역 최초의 인터넷 저널리즘을 표방하며 실시간 뉴스를 제공하는 지역 온라인 신문이다. 한글 도메인 '성남일보'(songnamilbo.co.kr)로도 접속이 가능한 『성남일보』는 2000년 7월 6일 성남 지역 최초의 인터넷 신문으로 창간되었다. 창간에 앞서 『성남일보』는 1998년 11월 16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인터넷 언론사. 『성남투데이』는 성남시 전 지역의 소식을 담아내는 인터넷 언론사로 지역 언론 최초로 공동 대표제로 운영하고 있다. 지역의 올바른 언론 매체, 시민의 소리를 담아내는 지역 시사 신문,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드는 지역의 대표 주간 신문을 지향하는 『성남투데이』는 시민들과의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참여 언론으로서...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어 분당 지역과 용인 수지, 성남 등지에 무료로 배포되는 지역 주간 신문. 정식 법인명은 ㈜아이디커뮤니케이션으로 지역에서는 신문을 발행하다가 2007년 12월부터 제호를 『아이디위클리』(idweekly)』로 변경하였다. 신도시 주민들의 자기 정체성 찾기를 모토로 내걸고 『ID분당』으로 출범한 이후 분당 신도시 주민들의‘주말 프로젝트’ 전달에 초점을...
-
경기도 성남시의 성남문화재단에서 발행하는 월간 예술 잡지. 매달 1만 부 발행되는 『아트뷰』는 국내외 문화 예술계 소식과 아티스트의 근황, 성남 지역 문화 예술 소식 등 문화 예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예술 잡지이다. 『아트뷰』는 성남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성남아트센터의 소식지로서 공연 관계 전문가들과 공공 기관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각인시키고 극장을 찾는 일반인...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중국 당나라 현장(玄奘)[602?~664]이 번역한 약사여래(藥師如來)의 공덕을 칭송하는 경전의 판본.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은 줄여서 『약사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질병의 치유를 기원하기 위한 경전이다. 이 『약사경』은 속장경을 간행하기 위해 1086년 흥왕사에 설치한 교장도감(敎藏都監)에서 펴낸 것 가...
-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 이원의 문집. 『용헌집』은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인 이원(李原)[1368~1429]이 집필한 시, 관직 생활을 할 때 쓴 장주(章奏), 전(箋), 헌의(獻議) 등의 글 등을 모아 후손인 이우기, 이정진 등이 1957년 석인본으로 간행한 문집이다. 이원의 문집은 손자 이륙(李陸)과 외손 유윤겸(柳允謙)이 편찬하고, 외손 윤호(尹...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권근이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의 판본. 『입학도설』은 권근(權近)[1352∼1409]이 1390년(고려 공양왕 2)에 처음 학문을 시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로, 전집(前集) 단간본과 전·후집 합간본(合刊本)의 두 가지가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소장본은 합간본으로 1425년(세종 7) 이수(李穗)와...
-
경기도 성남시에 본사를 두고 발행되고 있는 전국 일간신문. 『전국매일』은 지방지에 전국지 개념을 도입한 일간신문으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전국매일』은 경기도를 뉴스 권역으로 하여 1997년 6월 20일 창간된 성남시 지역 주간 신문인 『한성일보』의 제호를 1999년 6월 1일 변경하고, 지방지에 전국지 개념을 도입하는...
-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권시의 문집. 『탄옹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탄옹 권시(權諰)[1604~1672]의 문집으로, 시(詩)·소(疏)·경연(經筵) 강의와 서연(書筵) 강의·편지·잡저·한거필설·제문·묘갈명 등으로 구분되어 목판본 13권 7책으로 간행되었다. 권시의 손자인 권이진(權以眞)과 증손인 권정징(權瀞徵) 등이 유고를 수습하여 1738년(영...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1동에 있는 성남문화원에서 판교 지역에 대한 역사와 현재 문화를 정리한 단행본. 성남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에서는 신도시 개발로 인해 사라지는 판교 지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삶의 모습과 현지 실태를 후손들에게 남겨 후대 판교 지역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판교마을의 생활·문화지도』를 발간하게...
-
조선 중기 문신 송언신의 문집. 『호봉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송언신(宋言愼)[1542~1612]의 글을 후손인 송영대가 1910년 경 발간한 문집이다. 임진왜란 당시 선조가 내린 어찰이 다수 실려 있어 당시의 전황을 아는데 도움을 준다. 간행 시기는 서문에 “선생이 돌아가신 뒤 300여년 …… 후생 경연참찬관 송영대는 삼가 쓴다(先生之歿巳三百有餘年求先…… 後生前經筵參...
-
경기도 성남시 내에 각 관할 지역의 소방 업무를 일차적으로 처리하는 곳. 성남시에는 1975년에 설치된 수정구 수진2동 소재 성남소방서 관할 소방파출소 5개소와 1999년에 설치된 분당구 서현동 소재 분당소방서 관할 소방파출소 6개소가 있다. 2007년 9월 3일 기구 개편으로 인해 소방파출소가 119안전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19안전센터는 수정구에 4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4동에 있는 청소년 복지 단체. 성남시는 경기도 31개 시군 중 중고등학생 중퇴율이 가장 높아 한해 1,300명의 아이들이 학교를 떠나고 있다. 이러한 탈학교 아이들에게 발생하는 교육 격차, 문화 격차, 정보 격차, 위기 노출 등 다양한 청소년 문제를 극복하고 지역 사회 내 건강한 청소년 문화, 복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 일원에 위치한 경공업 중심의 산업단지. 성남산업단지 제1공단은 1970년대 초반 서울의 남부 위성 도시에서 경공업 육성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고용을 촉진하고, 주민들의 생활 안정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산업 단지이지만, 2007년부터 공단의 기능을 상실한 채 철거되어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성남산업단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3동에 살고 있는 평범한 직장인인 나는 주말을 어떻게 보내는지와 주말 하루 밖에서 사용하는 비용은 얼마인지 체험을 통하여 2007년 현재 성남 지역의 평범한 생활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는 1973년생으로 28년째 성남 지역에서 살고 있는 나름 성남 지역 토박이이다. 2007년 현재 나이는 35세이며 아직 미혼이고 인터넷 관련 업체에서 근무...
-
경기도 성남시 분당 지역의 지식인 및 전문가 단체. 사단법인 21세기분당포럼은 사회 전반에 관련된 주제들에 대해서 명사들을 초청하여 토론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전문가 집단으로 각종 정치 토론회 개최와 회원 친목 및 학문 교류를 위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사단법인 21세기분당포럼은 정보 및 지식과 창조성이 고도로 중요시 되는 지식 기반 사회에 적...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조성되어 있는 산업 단지. 서울의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성남시는 공해 없는 경공업 도시 건설을 표방할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성남시 자체의 자립 도시 건설 계획인 동시에 정부의 수도권 관리 정책의 목표이기도 했다. 이러한 방향에 따라 지역 내의 공업 단지 조성 계획은 당초의 광주 대단지 개발 계획에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최초의...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과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경계 사이에 있는 국도. 국도 3호선(남해~초산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평안북도 초산군까지 연결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남북 간선 국도로 성남시의 중앙부를 ‘ㄴ'자 모양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길은 성남에서 크게 두 구간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남북 방향으로 진행되는 복정동~성남동 구간이며, 후자는 성남동 교차...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의 생산보다는 서비스 자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 활동. 경제학에서는 경제 활동에 있어서 사고 팔 수 있는 대상이 되는 것을 재화(財貨)와 용역(用役)으로 구분하고, 재화를 담당하는 산업을 제조업, 용역을 만들어내는 산업은 서비스업으로 분류한다. 즉 유형재의 생산은 제조업, 무형재의 생산은 서비스업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서비스업...
-
경기도 성남시에서 1987년 6월에 발생했던 반독재 민주화 운동. 12·12 사태로 집권한 제5공화국 전두환 군부독재정권이 장기 집권을 위해 재야와 야당 인사를 대대적으로 탄압했다. 이에 맞서 재야 인사를 비롯한 학생·노동자 등 국민들은 직선제 개헌 주장을 키워갔고, 1986년 5월 3일 수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인천에서 일어났다. 군부 정권은 이러한 재야와 야...
-
경기도 성남시에서 1987년 6월에 발생했던 반독재 민주화 운동. 12·12 사태로 집권한 제5공화국 전두환 군부독재정권이 장기 집권을 위해 재야와 야당 인사를 대대적으로 탄압했다. 이에 맞서 재야 인사를 비롯한 학생·노동자 등 국민들은 직선제 개헌 주장을 키워갔고, 1986년 5월 3일 수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인천에서 일어났다. 군부 정권은 이러한 재야와 야...
-
궁씨가 중학생이었을 때 상대원공단은 활기가 넘쳤다. 아침 상대원 거리는 공단에 출퇴근하는 사람들로 넘쳐났다. “공단에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어마어마 했어요 그냥 뭐 봇 진짜 그야말로 뭐 봇물이라고 그러나 막 밀고 들어가는 그러고 다녔어요 샤니케잌 뭐 또 콘티빵 뭐 이런 때는 진짜 인구 많았었고. 또 상대원에 방이 웬만하면 방이 조금만 꾸며서 놔도 다 세가 나가고, 어릴 때...
-
백씨는 상대원에서 18년 세월을 살아오는 동안, 생모를 찾았고 아이를 출산했다. 신장이 좋지 않았던 그녀는 요관 수술을 크게 받았다. 그런데 수술이 있은 지 일년 만에 뱃속에 아이가 들어섰다. 결혼한 지 7년 만의 일이었다. 거의 포기한 상태에서 들어선 아이는 너무 소중한 존재였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다. “건강한 사람도 아이를 가지면 심장이 눌리니까 힘든데, 저는 잘못...
-
경기도 성남시 지역에서 1980년대에 진행된 노동 운동. 1980년대는 우리나라 현대사에서 매우 격동적인 시기였다. 신군부 세력의 군사 정변에 맞선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 무력 진압, 그리고 이어지는 군사 독재의 폭압에 맞선 1987년 6월 항쟁과 직선제 쟁취, 저임금과 열악한 근로 조건에 맞선 노동자들의 대투쟁으로 이어지면서 민주화의 토대를 마련한 시기이다. 이...
-
육아가 해결되어 집안이 안정되자, 장사도 차츰 나아졌다. 이후로는 큰 어려움이 없었고, 그렇게 다시 3년여가 흐르면서 돈도 좀 모아졌다. 그즈음 해서 위쪽 가게 바로 옆에 빈 가게 자리가 하나 났다. 그래서 염씨는 아래쪽에 있던 첫 가게를 정리하고 그리로 옮겼다. 아내가 맡은 가게와 자신이 맡아보는 가게가 이제 나란히 있게 되었다. 그 후로 지금까지 20년 이상을 염씨는 같은 자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유선 방송국. 성남 지역 케이블TV 사업자(SO)인 ㈜아름방송 네트워크가 운영하며 케이블방송 송출 사업과 더불어 지역방송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성남시의 유일한 종합 유선 방송국(CATV)으로 방송·정보 서비스를 통해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원래 성남 지역 난시청 해소를 위해 설립된 성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종합 쇼핑몰 AK플라자는 삼성플라자를 애경그룹이 2007년 3월 인수하여 새로 개장한 백화점이다. 분당선 서현역과 바로 연결되어 있고, AK플라자 광장을 중심으로 상권이 밀집하여 분당 로데오거리라 불린다. AK플라자는 깨끗함과 신뢰 혁신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질 좋은 상품과 세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1...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영화관. CGV는 인터넷 예매 등 한국 멀티플렉스 극장 기능을 가장 먼저 도입한 CJ CGV 주식회사의 체인 영화관으로 1998년 국내 최초 멀티플렉스 극장 CGV 강변 개점을 시작으로 현재 국내에 71개의 지점과 중국 다닝과 신좡 등 2개의 해외 지점을 두고 있다. CGV 야탑은 ‘영화 그 이상의 감동 CGV’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종합 병원. 성광의료재단 CHA 의과학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1995년에 설립된 분당 최초의 종합 병원이다. 불임 및 여성 의학, 생명 과학 분야의 줄기 세포 연구가 주력 분야이다. 의료 그룹으로 분당차병원 외에 분당차한의원, 분당차여성병원, 강남차병원, 구미차병원, 대구여성차병원, 치바이오메디컬센터, 그룹종합검진센터, 차병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종합 병원. 성광의료재단 CHA 의과학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1995년에 설립된 분당 최초의 종합 병원이다. 불임 및 여성 의학, 생명 과학 분야의 줄기 세포 연구가 주력 분야이다. 의료 그룹으로 분당차병원 외에 분당차한의원, 분당차여성병원, 강남차병원, 구미차병원, 대구여성차병원, 치바이오메디컬센터, 그룹종합검진센터, 차병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경질유 송유관 사업과 종합건설업을 영위하는 기업. 전국에 1,208㎞의 송유관을 첨단 IT 기반으로 구축하여 휘발유 등의 석유 제품을 유류 수송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소비지로 수송하는 송유관 전문 회사이다. 1990년 공기업으로 출발하여 2001년 1월 경영 효율화를 위해 민영 기업으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현재 전체 경질유(경유·휘발유...
-
그래도 1996년 무렵까지는 어느 정도 장사가 유지되었다. 문제는 97년 IMF였다. IMF 1년 전부터 장사는 급격한 내리막을 걸었다. IMF가 뭔지 시장 사람들은 잘 몰랐다. 가게를 닫고 떠나는 사람들도 생겨났고, 겨우 현상 유지를 하면서 IMF 터널을 벗어나길 기다리는 사람도 있었다. 염씨는 후자에 속했다. 장사는 가게 세내고 먹는 거 충당하고 나면 끝이었다. 그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자IT 분야 전문 생산 연구 기관.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1991년 8월 전자 관련 민간업계가 출연하고, 정부가 연구 사업비를 지원하는 민·관 공동의 정부 산하 연구 기관이다. 한국형 CATV, HDTV, GSM 휴대폰, 초소형 정밀 기계(MEMS), 모바일 TV, 핵심 전자 부품 등의 대형 국책 사업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외국인 학교. 학생들에게 교육에 대한 열정을 높이고, 국제 사회에서 성공에 필요한 능력과 자신감, 독창성, 창의성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외국인학교는 1999년 2월 27일 설립 인가되어 2000년 8월 21일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에 유치원과 6개 학년으로 문을 열었다. 그 후 2001년 2월 7학년과 8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었던 천연 가스 공급 관련 공기업. 가스를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1983년 설립한 공기업으로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해 있었으나 2014년 10월 대구 신서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 천연 가스의 제조·공급 및 그 부산물의 정제·판매, 생산 기지와 공급망의 건설·운영, 천연 가스와 액화 석유 가스의 개발·수출입 등의 업무를...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에 있는 케이티(KT)의 지점. 케이티는 전화, 전신 등 통신 업무를 담당하는 주식회사로, 전화국, 한국통신공사 등의 명칭을 거쳐 현재의 케이티(KT)로 바뀌었다. 통신의 대중화와 정보화를 위해 첨단 인터넷망과 위성 통신망을 확보함으로써 성남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케이티(KT) 모란지사는 1972년...
-
니치렌(日蓮)이 주창한 불법(佛法)을 신앙의 근간으로 삼는 일련정종(日蓮正宗)에 소속된 재가신조의 조직. 초대회장인 목구상삼랑(牧口常三郞)에 의해 1930년 11월 18일에 창립된 종교단체. 한국에서는 각 일련정종의 파들이 1974년에 ‘한국일련정종불교회’라는 연합체를 구성하면서 시작된 종교단체. 현재 구로구 구로 5동 45번지[공원로 54]에 본부동과 광선회관을 두고...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We Start 운동 운영 마을. We Start 운동이란 빈곤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복지·교육·건강을 3대 축으로 해당 가정과 아동에 대한 개별 사례 관리를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문 인력 및 지역 사회의 자원봉사 네트워크와 자치 단체의 지원 등으로 가난의 대물림이라는 악순환에서 벗어나게 하고자 시작된 사회운동의 일환이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