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백현동에 있는 근린공원. 나들이공원은 판교 신도시에 조성된 제9호 근린공원으로 삼평동의 봇들마을과 백현동의 백현마을을 나누는 경계이며 판교역 광장로에서 이매역 방향 분당~수서간 도시 고속화 도로 직전까지 조성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있는 국가기록물 전문 보존 기관.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은 역사 기록물을 보존한다는 의미로 설계되어 국가 기록물을 보존하는 시설이며, 어린이들을 위한 기록 문화 체험 학습장인 현장 체험 학습 기관이다....
-
노씨 아줌마는 삼영전자에서 2년 6개월을 근무하였다. 1년쯤 되었을 때 모범상을 탈 만큼 성실하게 일했고, 회사 생활은 나름대로 재미있었다. 일하다 쉬는 시간이면 잔디밭에서 음악을 들으며 놀았다. 무엇보다도, 같이 일하던 7, 8명의 또래 친구들이 있어서 더욱 좋았다. 그들은 회사 밖에서도 좋은 친구들이었다. 다들 집안이 어렵고 힘들었지만, 같이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우리 어...
-
음력 2월 1일에 먹는 떡. 음력 2월 1일은 농사일이 시작되는 날로, ‘중화절(中和節)’ 또는 ‘머슴날’이라고 부르며 시절 음식으로 나이떡을 해먹는다....
-
옻칠한 기물의 바탕에다 자개를 여러 가지 모양으로 박아 붙여 장식하는 장인. 나전칠기장/칠장의 기법은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하였던 평탈(平脫)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평탈은 금속기나 목공예품의 표면에 금은보석 등을 부착하고 옻칠하여 장식하였는데, 나전칠기는 금은보석을 조개껍질로 대체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잿너머 웃말에 나주정씨의 취락이 형성되었다. 병조판서, 좌찬성, 판중추부사를 역임한 정응두(丁應斗)[1508~1572]의 차남 고암 정윤희(丁胤禧)[1531~1589]는 이황의 문인으로 강원도관찰사를 지냈고, 그의 묘를 쓰고 후손이 세거하여 고암공파를 이루었다. 정윤희의 동생 정윤복(丁胤福)[1544~1592]은 도승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인(仁)·예(禮)’라는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세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간, 인성교육의 충실로 도덕적인 인간, 특기적성교육의 신장으로 창조적인 인간, 건강하고 성실한 인간성을 바탕으로 조화로운 인간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인(仁)·예(禮)’라는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세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간, 인성교육의 충실로 도덕적인 인간, 특기적성교육의 신장으로 창조적인 인간, 건강하고 성실한 인간성을 바탕으로 조화로운 인간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백현동에 있는 근린공원. 낙생대공원은 판교 신도시에 조성된 제10호 근린공원으로 분당구 백현유원지와 연결되어 있다....
-
1907년 경기도 성남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명칭. 조선시대 광주군 낙생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근대적인 행정 단위로서는 1907년 설치되어 돌마면, 대왕면, 중부면 일부의 6개리와 함께 성남 지역의 근간을 이루었다. 현재의 판교 신도시와 분당구 금곡동, 구미동 등 11개 법정동이 낙생면에 해당한다....
-
일제 강점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낙생면 관할 행정 기관. 일제강점기 총독부의 일원적 지배 구조를 위해 1911년 면 단위 행정 체계를 수립하면서 만들어진 낙생 지역의 행정기관이다....
-
1919년 3월 27일 낙생면 판교리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운동. 낙생면의 만세시위운동은 초대면장 남태희 등의 주도하에 돌마면과 연합하여 전개되었다. 남태희는 3월 27일 돌마면에서 시위를 주도한 한백봉, 한순회 등의 권유를 받고 면민들에게 시위를 권고하고 참가를 유도하였다. 율리에서 시작한 만세시위가 분당리 장날에 군중이 가담하면서 규모가 증대되었다. 시위대는 행진을 계속하여 낙생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낙생저수지 상류부에 형성된 습지. 낙생습지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과 용인시 고기동 사이에 위치하는 낙생저수지의 상류부에 형성된 습지이다....
-
조선시대에 지금의 성남시 분당 지역에 설치되었던 역참(驛站). 역참(驛站)은 중앙과 지방 사이의 공문서 전달, 왕래하는 관리나 사신의 접대, 관수 물자의 운반을 뒷받침하기 위해 설치된 조선시대의 교통·통신 기관이다. 낙생역은 조선시대에 양재→천천현로→낙생역→구흥(용인)→김령(용인)→좌찬(죽산)→분행(죽산)→무극(음죽)→강복(안성)→가천(양성)→청호(수원)→장족(수원)→동화(수원)→...
-
낙생역의 동쪽지역이 있었던 전지(田地)로 추정되는 토지. 고려, 조선시대에 설치되었던 낙생역의 동쪽지역으로, 이 역에 할당된 전지, 즉 역전(驛田)으로 추정되는 토지이다. 당시 전국 각 역에는 그 운용 경비를 위해 지급된 토지가 있었다. 고려시대의 역에는 운용 경비의 재원인 공수전(公須田)을 대로역(大路驛)에 60결(結), 중로역에 40결, 소로역에 20결씩 지급하였다. 조선시대에...
-
조선시대 삼남지방에서 서울에 이르는 교통로에 있던 낙생역의 터. 낙생역지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현재 분당중앙공원 앞의 수내로와 돌마로가 갈라지는 분기점인 역말광장 일대와 수내동 푸른마을 주변 일대로 추정되고 있다. 낙생역은 고려시대의 안업역(安業驛)이 조선 초에 이르러 개칭된 것인데, 영조 때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돌마역(突馬驛)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당시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낙생면 관할 우편·체신·금융 관련 공공 기관. 낙생우체국은 1970년대 이전까지 성남 지역 내의 유일한 우체국으로 낙생면 뿐만 아니라 돌마면 일원, 대왕면의 고등·상적·둔전·시흥·사송 등 6개리를 관할하였다....
-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에 있었던 우편소. 1911년 3월에 개국한 광주우편소는 낙생지역의 우편 업무를 관장하여 전신과 전화 업무를 취급하였다. 낙생지역에서 본격적인 우편 업무가 실시된 것은 1940년 3월 28일에 낙생우편소가 개소된 것이 계기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유원지. 낙생유원지는 경기도의 성남시와 용인시의 행정 경계에 있는 낙생저수지 주변에 조성된 유원지로, 낙생저수지의 이름을 따서 ‘낙생유원지’라 명명하였다.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과 인접하여 고기리 저수지라고도 부른다....
-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부(군)에 개설되었던 향시(鄕市)의 하나. 지방에서 개시되는 시장을 장문(場門) 또는 상시(上市)라고도 하였다. 그러므로 분당장문 또는 분당상시라고 불려졌을 것으로 생각되나 분당장의 현재 위치는 명확하지 않다. 15세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지방의 향시는 16세기에 보편화되어 전국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조선 중기부터 정비된 면리제로 인해 낙생면도 16세기말의 읍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위치하는 저수지. 낙생저수지는 1961년 준공한 분당 지역 최대 규모의 저수지이다. 용인시 고기동에 면하고 있어 고기리저수지라고도 불리며, 저수지의 제방 둑이 예전 낙생면 관내에 해당하여 낙생저수지라 명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바른 생각, 바른 마음, 바른 행동’이며,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학생, 스스로 탐구하는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 꿈과 끼를 찾아가는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지표는 ‘바른 생각, 바른 마음, 바른 행동’이며,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학생, 스스로 탐구하는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 꿈과 끼를 찾아가는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1975년 성남시 낙생 지역에 설치되었던 출장소. 1975년 3월 17일 성남출장소에 기획실, 총무국, 산업개발국이 신설되고, 건설담당 관제가 폐지되는 등 기구가 크게 개편됨과 동시에 성남시 판교동에 낙생출장소, 고등동에 대왕출장소, 이매동에 돌마출장소 등이 설치되었다....
-
남한산성에 있는 낙송정의 유래담 남한산성의 서장대 아래쪽에 있는 낙송정이란 우물이 있는데 그 우물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얽혀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신뢰와 배려’이며, 질서를 존중하고 예절 바르게 행동하며 책임감을 지닌 도덕인,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실력인, 창의력을 발휘하여 자신의 미래를 개척하고 사회에 이바지하는 창조인, 협동·봉사하며 신뢰받는 행동과 배려하는 마음으로 솔선하는 협동인, 세계시민으로서 자질과 소양을 갖춘 세계 일류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신뢰와 배려’이며, 질서를 존중하고 예절 바르게 행동하며 책임감을 지닌 도덕인,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실력인, 창의력을 발휘하여 자신의 미래를 개척하고 사회에 이바지하는 창조인, 협동·봉사하며 신뢰받는 행동과 배려하는 마음으로 솔선하는 협동인, 세계시민으로서 자질과 소양을 갖춘 세계 일류를...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되풀이되는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태. 우리나라의 기후는 겨울철에는 아한대 대륙기단(亞寒帶大陸氣團)인 시베리아기단이 내습하여 북서계절풍이 불고 한랭 건조하여 삼한사온의 기온 현상을 나타낸다. 여름에는 아열대 해양기단(亞熱帶海洋氣團)인 북태평양기단이 북진하여 남동계절풍이 불어 고온다습하며 장마를 불러온다. 그 외에는 동해 쪽에서 불어오는 아한대 해양...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남경(南卿). 칠원윤씨 28세손. 순수공파. 아버지는 한성부판관을 지낸 윤계기(尹啓基)이며, 어머니는 숙부인에 추증된 풍산김씨이다. 할아버지는 한성부서윤을 지낸 윤경원(尹慶元)이다. 부인은 공인 전의이씨이다. 슬하에 아들이 없어, 윤흥적(尹興績)을 양자로 맞았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고려의 밀직부사를 지낸 남을번(南乙番)의 손자이며, 조선조 개국공신으로서 태종 대에 영의정을 지낸 의령부원군 남재(南在)의 장남이다. 부인은 고려의 판전교시사(判典校侍事)를 지낸 방순(方恂)의 딸이다. 아들들이 모두 관직에 올라 첫째 아들 남지(南智)는 좌의정을, 둘째 아들 남간(南簡)은 직제학을 각각 역임하였으며, 셋째 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남경문의 묘. 남경문은 여말 선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이며, 조선조 개국공신인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 남재(南在)의 아들이다. 장남은 충간공(忠簡公) 지(智), 차남은 간(簡), 3남은 조선 태종의 4녀 정선공주의 남편 소간공(昭簡公) 휘(暉)이다. 병조의랑을 지내고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나, 일찍 요절하여 약력이 자세하지 않다. 배위(配位) 숙녕...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남계하(南啓夏)의 묘. 남계하[1643~1705]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양백(養伯)이다. 활인별제를 지낸 남수신(南守身)의 아들로 음서로 선공감(繕工監)에 나간 후 의금부도사를 역임하고 외직으로는 청하현감을 지냈다. 평소 학문에 뜻이 있어 윤원거(尹元擧)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쌓았으며, 특히 윤증(尹拯)으로부터 가례...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운장(雲長). 호는 남곡(南谷). 문과에 합격하여 병조참판을 지낸 이경헌(李景憲)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윤응빙(尹應聘)의 딸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인상(李麟祥)이다. 처부(妻父)는 유황(兪榥)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이다. 자는 자중(子重)이고 호는 남곡(南谷)이다.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의 아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구천군(龜川君) 이수(李晬)이다. 아버지는 봉래군(蓬萊君) 이형윤(李炯胤)이며, 어머니는 최행(崔行)의 딸이다. 부인은 권근중(權謹中)의 딸이다. 아우 이무(李堥...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문장가. 남공철은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원평(元平), 호는 사영(思穎)·금릉(金陵)이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며, 14년간 재상을 역임하였다. 우의정·좌의정·영의정에 올랐고, 1833년 봉조하(奉朝賀)가 되었으며, 많은 금석문·비갈을 남긴 당대의 문장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남공철의 묘 및 묘갈. 남공철[1760~1840]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이며, 자는 원평(元平), 호는 금릉(金陵), 사영(思潁)이다. 아버지는 문청공(文淸公) 남유용(南有容)이다. 재임 중 『규장전운(奎章全韻)』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정조치세에 나온 인재라는 평을 받았다. 순조 즉위 후 『정종실록』 편찬에 참가하였으며, 수차 이조판서...
-
조선 후기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살았던 문신. 남구만(南九萬)[1629~1711]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면서 서예가이고, 시조(時調) 「동창이 밝았느냐」를 남긴 인물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의령남씨 21세손으로 감찰공파이다.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초휘(初諱)는 지구(芝耈), 자는 치호(稚皓)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령. 자는 공망(公望).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으로, 정묘호란 때 순절한 충장공(忠狀公) 남이흥(南以興)의 증손자이며, 장악원 첨정을 지낸 남두극(南斗極)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증 호조참의 남영(南泳)이며, 어머니는 완흥군(完興君) 이원영(李元榮)의 딸 전주이씨이다. 윤민행(尹敏行)의 딸 칠원윤씨(漆原尹氏)와 혼인하여 아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령. 자는 자거(子居).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으로, 남이길(南以吉)의 아들이며, 생부는 정묘호란 때 순절한 충장공(忠狀公) 남이흥(南以興)이다. 부인은 현령 이선경(李先卿)의 딸 전의이씨와 현령 변충원(卞忠元)의 딸 밀양변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령. 자는 경황(景黃).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이다. 남이경(南履慶)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이정간(李挺幹)의 딸 연안이씨이다. 부인은 최한대(崔漢大)의 딸 전주최씨와 김득기(金得夔)의 딸 안동김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남명우의 묘. 남명우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이며, 첨지중추부사 남계하(南啓夏)의 장남이다. 묘표를 통해 홍문관교리를 지낸 것 외에는 약력을 자세히 알 수 없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남명익(南溟翼)의 묘. 남명익[1542~1585]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대유(大遊)이다. 첨지중추부사 남계하(南啓夏)의 차남으로 1564년(명종 19)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여 전설별검(典設別檢)을 제수 받고 한성참군(漢城參軍)에 임명되었다. 1577년(선조 10) 문과에 뽑혀 예조, 병조, 공조, 호조의 낭관(郞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성남대로 태평고개 사거리에서 동동북(東東北) 방향으로 나뉘어져 공원로 신흥동 성당 앞 삼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왕복 포장 2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1.3㎞, 도로 폭 15m, 총면적은 19,500㎡이다....
-
전문적인 유랑 예인 집단이 마을과 마을을 돌면서 공연하는 민속예능놀이. ‘남사당패놀이’라고도 하는데, 지금은 이 놀이 가운데 하나인 줄타기를 용인 민속촌에 공연한다. 전에 전문적인 예능 집단인 남사당패는 돈을 받고 오락을 제공하였다. 남사당패가 개발한 놀이는 풍물, 버나, 살판, 어름, 덧뵈기, 덜미 등이 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역사 문화 연구 단체. 남한산성의 역사와 문화를 사랑하고자 결성된 모임으로 남한산성의 역사와 문화유적에 대한 조사와 전시 활동을 통한 계몽과 교육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의 개항기 의병.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문일(文一)이다. 아버지는 남진희(南晋熙), 어머니 전주이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령. 자는 자경(子卿).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으로,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남숙(南淑)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증 좌승지 남두강(南斗綱)이며, 어머니는 첨지 권이중(權以中)의 딸 안동권씨이다. 생부는 상서원(尙瑞院) 직장(直長)을 지낸 남두명(南斗明)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레저업체. 남서울컨트리클럽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아마추어 골프 선수권 대회를 비롯하여 아시안 투어의 일환인 매경오픈 골프대회를 1985년부터 15차례 개최한 18홀 국제 규격의 정규 코스를 갖춘 국내외에 널리 알려진 회원제 골프 클럽이다. 판교신도시 공사 당시 신설된 지방도 57호선을 사이에 두고 북쪽으로 판교동과 마주하여, 두밀로를 경계로 서쪽...
-
1484년(성종 15)~1552년(명종 7).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백순(伯順). 할아버지는 내섬시부정 남이(南儞)이고, 아버지는 군수 남변(南忭)이며, 어머니는 좌참찬 이훈(李塤)의 딸이다. 이조판서 남이공(南以恭)의 증조부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 자는 군옥(君玉). 강무공(剛武公) 남은(南誾)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별제(別提) 남대해(南大海)이고, 조부는 진사 남만년(南萬年)이다. 아버지는 무과를 거쳐 영장(營將)을 지낸 남덕원(南德源)이고, 어머니는 완양군(完陽君) 이원로(李元老)의 딸 전주이씨이다. 배위는 최진화(崔鎭華)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의령. 자는 익장(益章)이다. 강무공(剛武公) 남은(南誾)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별제(別提) 남대해(南大海)이고, 조부는 진사 남만년(南萬年)이다. 아버지는 무과를 거쳐 영장(營將)을 지낸 남덕원(南德源)이고, 어머니는 완양군(完陽君) 이원로(李元老)의 딸 전주이씨이다. 배위는 김극관(金克寬)의 딸 안동김씨이다. 공조참의 남세진(南世珍)의 형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남순민의 묘. 남순민[1484~1569]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 자는 가봉(可封)이며, 충청도수군절도사를 지낸 남효원(南孝元)의 아들이다. 배위(配位) 정부인 전주이씨는 창화수(昌化守) 이장손(李長孫)의 딸이다. 1519년(중종 14) 사마시에 합격하고, 1524년(중종 1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첨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을...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음죽현감 홍사립(洪思立)의 아들 첨지 홍위(洪煒)가 1600년대 초에 정착하여 은거한 이래 후손이 세거하였으며, 익산군파에서는 홍학표(洪學杓)[1935년생]의 10대조인 홍창(洪昶)[1634~1698]이 처음 정착한 이래 세거하여 왔다. 중원구 도촌동 양짓말에는 승정원 우승지를 지냈고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적병이 쳐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이다. 순흥부사를 역임한 남오훈(南五熏)의 셋째아들로, 어머니는 박순례(朴純禮)의 딸 밀양박씨이다. 배위는 부사 성숙갑(成璹甲)의 딸 창녕성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 자는 훈약(熏若)이다.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이다. 호조참판 남이신(南以信)의 증손이며, 병조참지 남두첨(南斗瞻)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경상감사를 지낸 남선이며, 어머니는 목사 권현(權晛)의 딸 안동권씨이다.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한 남연명(南衍明)의 아버지이다....
-
윤위를 시조로 하는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 윤관의 증손자인 윤위(尹威)가 남원백에 봉하여지면서 남원윤씨의 시조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위례신도시 남쪽에 있는 서울지하철 8호선 전철역. 남위례역은 2019년 12월 23일 착공하여 2021년 12월 18일 개통된 서울지하철 8호선 전철역이다. 위례신도시 개발 사업을 하면서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일환으로서 헌릉로와 공원로가 교차하는 창곡교차로 인근에 지상 역사로 건설되었다. 공사 비용은 위례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분담금에서 충당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재(德哉), 호는 뇌연(雷淵), 소화(小華). 서울 출신. 증조는 대제학 남용익(南龍翼), 할아버지는 대사헌 남정중(南正重),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남한기(南漢紀)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남유용(南有容)의 묘. 남유용[1698~1773]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재(德哉), 호는 뇌연(雷淵), 소화(小華)이다. 영의정 남공철(南公轍)의 아버지이며, 동지돈녕부사 남한기(南漢紀)의 아들이다. 1721년(경종 1) 진사시에 급제하여 강릉참봉(康陵參奉), 영춘현감(永春縣監)을 지냈다. 1740년(영조 16) 알성...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치원(致遠), 호는 국창(菊窓), 난재(蘭齋), 관원(灌遠)이다....
-
조선 전기의 관인.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문중(文仲). 병절교위(秉節校尉) 남세칙(南世則)의 계자(繼子,양자)이며 군수 남변(南忭)의 손자이다. 생부는 이조참판 남세준(南世準)이다. 부인은 정광형(鄭光亨)의 딸이다. 김상헌(金尙憲)의 아우인 김상관(金尙寬)의 장인이 된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의령. 자는 사원(司遠). 계(啓)의 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 의령. 자는 덕원(德遠), 남의(南嶬)의 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평숙(平淑).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이다. 정묘호란 때 순절한 충장공(忠狀公) 남이흥(南以興)의 현손이며, 증조는 장악원 첨정(僉正)을 지낸 남두극(南斗極)이고, 증호조참의 남영(南泳)의 손자이다. 의림군(宜林君) 남대(南垈)의 장자이며, 어머니는 윤민행(尹敏行)의 딸 칠원윤씨(漆原尹氏)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인서(仁瑞). 직제학공 남간(南簡)의 후손이다. 정조의 사부였던 봉조하(奉朝賀) 남유용(南有容)의 손자이며, 진사 남공보(南公輔)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목사 이종해(李宗海)의 딸 죽산이씨인데, 절행으로 정려(旌閭) 되었다. 배위는 대사성(大司成) 윤상후(尹象厚)의 딸 파평윤씨이며, 춘천부사를 지낸 남주헌(南周獻)의 아버지이다....
-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애명(愛明)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송수(松叟). 부사 남면교(南勉敎)의 아들. 부인은 이종륜(李鍾崙)의 딸이다....
-
개항기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성방(聖邦)이다. 아버지는 공조참판 남기원(南綺元)이며, 할아버지는 영의정 남공철(南公轍)이다. 부인은 홍우정(洪祐鼎)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문보(文甫), 호는 의재(宜齋). 할아버지는 남공보(南公輔)이고, 아버지는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정3품 당상)을 지낸 남인구(南麟耈)이며, 어머니는 윤상후(尹商厚)의 딸이다....
-
근대 개항기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경석(敬錫)이다....
-
신라 중고기 지금의 한강 유역 이남 경기도와 충청남도 일부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 통치구역 명칭. 주치는 옛 경기도 광주 지역이었다. 백제, 신라, 고구려 삼국의 기초가 마련되고 삼국이 정립하는 형세로 된 이후, 삼국의 세력이 서로 접촉하는 지점인 오늘날 서울 일대는 이들의 쟁탈 대상이 되어 여러 차례 전쟁이 벌어졌다. 결국 신라의 진흥왕이 승리하여, 이곳에 신주(新州)를 설치함으로...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숙남(叔南). 참판 남응운(南應雲)의 3남이며, 참판 남세건(南世健)의 손자이다. 부인은 구윤(具潤)의 딸이다. 1604년(선조 37)에 성균관 문묘의 벽에 재상(宰相)과 환관(宦官)의 비행을 폭로한 벽서사건(壁書事件)으로 이름을 떨친 유생 정언선(丁彦璿)과 광해군의 폐모론을 극력 반대하였던 대사헌 해천군(海川君) 최유원(崔有源)이 그...
-
범구는 노씨 아줌마의 큰 아들이다. 남편 강씨는 성남 상대원동 구석에서 이름도 없이 살지만, 범구만은 넓은 세상에 나가 살길 바랬다. 다행히 범구는 깐깐하면서도 화통하고 남자다웠다. 자기를 더 많이 닮은 큰 아들을 보면 노씨 아줌마는 뿌듯했다. 아들 범구는 공군사관학교를 가서 전투기 조종사가 되고 싶어 했다. 하지만 수술 자국이 있어서 불가능했다. 한동안 방황하는 범구를 노씨 아줌...
-
백씨는 포장마차를 시작했다. 남편의 석유가게 앞에서 튀김 같은 간식거리를 파는 장사였다. 사실 수익도 수익이지만, 포장마차를 차린 결정적인 이유는 남편을 가까이서 관리하기 위함이었다. 그녀는 가게에 드나드는 놀음꾼들을 원천적으로 봉쇄해 버리지 않으면 남편의 놀음 습관을 돌이킬 수 없다고 판단했다. 물론 빚도 갚아야 했다. 그래서 소중하게 키워오던, 꽃꽂이에 대한 꿈을 접어 버렸다....
-
그녀의 남편은 상대원1동에 자신의 석유가게를 내고 7년 간 운영했다. 그리고 잠깐의 외도(당구장 사업) 후에 상대원3동으로 옮겼다. 그 후로 지금까지 장장 9년의 세월이 흘렀다. 1994년도에 결혼을 했는데, 그 직후만 해도 석유가게의 석유는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다. 남편과 두 명의 기사들이 배달을 나가면, 그녀는 가게로 석유를 사러 오는 사람들을 상대했다. 손님들은 줄을 서서...
-
삶을 살아가면서 아쉬움을 느낀다는 것은, 사실 현재가 어느 정도 안정되어 있다는 증거이다. 겁도 없이 일수를 얻어 포장마차를 차렸던 때를 생각하면 아쉬움보다는 무서운 감정이 몰려든다. 남편의 사채 빚이 점차 늘어갔고, 가깝던 친척들이 다들 멀어져갔을 때, 백씨는 이를 악물어야 했다. “포장마차 맞추고 그릇 사고 하는데 130이 들더라고요. 그걸 시작을 하면서 일단은 빚은 갚아야 할...
-
백씨는 꽃꽂이 강사를 하고 있었다. 몇 군데 강의를 나가면 적지 않은 강의료가 들어왔다. 그러나 소용이 없었다. 강의료는 고스란히 남편의 카드빚을 갚는 데 들어갔다. 그런데도 그것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은 집에 차압(압류)이 들어오기에 이르렀다. “그래갖고 집에 차압까지. 처음 봤어요, 진짜 남자들이 와가지고. 그때 당시 차압이 들어올려 하는데 딱 들고 나갔죠. 애기 아...
-
남편 강씨는 부모를 일찍 여의었다. 꼼꼼하고 가정적이긴 했지만, 내성적이고 소심한 성격을 노씨 아줌마는 좋아하지 않았다. 노씨 아줌마는 꿈도 많고 성격이 화통한 편이었다. 옆에서 밀어줄 테니 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한번 밀어붙여 보라고 부추겨도 남편은 이리 재고 저리 재고하면서 평생을 직장에 매어 직장 생활을 했다. 부업을 해서 현금이 들어와도 노씨 아줌마는 기분 좋게 한 턱씩 내...
-
한강 유역에 있었던 역사지명. 고구려의 수도 평양에 대비하여 남쪽에 있는 특별한 도읍이라는 의미이다. 고구려의 광개토왕은 정복사업을 크게 일으키고 백제를 침공함으로써 한강 유역을 둘러싸고 쟁패전이 본격적으로 벌어지게 되었다. 고구려의 남하정책이 본격화된 것은 광개토왕 다음 왕인 장수왕 때였다. 장수왕은 그 427년(장수왕 15)에 수도를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기고 남하정책을 단행하...
-
경기도 성남시 동북쪽과 경기도 광주시 및 하남시의 일부에 위치하는 산. 남한산성이 위치하여 남한산성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해발 고도 479.9m이다....
-
경기도 성남시 야탑동에 있는 성남문화재단에서 제작한 뮤지컬.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을 원작으로 성남문화재단에서 제작한 창작 뮤지컬로 2009년 10월 9일부터 11월 4일까지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에서 초연되었고, 향후 경기도 및 서울과 중국 등 해외 순회 공연을 추진하고 있다....
-
조선 시대 수도 한양을 지키던 성곽으로 성남시, 광주시, 하남시에 걸쳐 있는 남한산의 산성. 남한산성은 신라 주장성(晝長城)의 옛터이자 고려 시대의 광주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조선 왕실의 보장처(保障處)로 유사시 도성의 기능을 수행했으며, 성내에 행궁을 설치하여 종묘와 사직을 옮길 수 있도록 했다. 1626년(인조 4) 공역이 완성되자 광주부의 읍치를 남한산성으로 옮겨 방...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및 중원구에 있는 시도(市道). 순환로는 남한산성 주변을 순환하여 남한산성 순환도로라고도 한다. 성남시 외곽도로로서 황송터널을 통해 도심을 거치지 않고 서울과 광주 지역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에 있는 시립 식물원. 남한산성 우리꽃동산은 성남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성남시립식물원 중 하나로 다양한 식물과 야생화, 곤충류들이 서식하여 인근 학생들의 자연 교육 학습의 장과 더불어 시민들에게 자연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 하남시 경계에 있는 도립공원. 수리적으로 동경 127도 11분, 북위 37도 28분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약 24㎞ 떨어져 있다. 면적은 36.4㎢로 성남시에 4.2㎢, 하남시에 6.6㎢, 광주시에 25.6㎢ 속해 있다. 1971년 3월 17일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1896년 남한산성전투를 승리로 이끌기 위해 광주, 이천, 여주의 의병들이 결성한 연합의병진. 의병진의 결성은 실학정신을 계승한 정신사적 토양에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을미사변에 대한 충격, 단발령으로 대표되는 민족자존심에 대한 도전에 반발하려는 의지력으로 가속화되었다. 이런 관계로 전국 유림의 결단에 따라 직접무장투쟁을 독려한 전체적인 흐름에 호응하여 체계적인 의병부대를...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유원지. 남한산성유원지는 문화관광 벨트 조성 사업의 하나로 조성되어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맑은 공기로 등산, 삼림욕 등 체력 단련을 위한 휴식 공간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으며, 잔디 놀이마당에서는 전통 축제와 같은 각종 문화 행사가 다채롭게 열려 시민들에게 질 높은 문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역사 문화 연구 단체. 남한산성의 역사와 문화를 사랑하고자 결성된 모임으로 남한산성의 역사와 문화유적에 대한 조사와 전시 활동을 통한 계몽과 교육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지하철 8호선 역. 남한산성입구역은 1996년 11월 23일에 개통된 서울 지하철 8호선 전철역으로 산성역과 단대오거리역 사이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
신라 중대의 지방통치구역 명칭. 『삼국사기 권43 』 「김유신 열전」 하에, “문무대왕이 이미 영공(英公)[당나라 이적(李勣)]과 함께 평양을 격파한 다음 남한주(南漢州)로 돌아왔다”는 기록에 그 명칭이 보일 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남효원의 묘. 남효원[1454~1521]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 자는 거인(居仁), 증참의(贈參議) 남염(南恬)의 아들이다. 1474년(성종 5) 사마시에 합격하여 1507년(중종 2)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충청도수군절도사를 지냈다. 배위(配位) 숙부인 청주한씨는 양혜공(襄惠公) 한백륜(韓伯倫)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과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을 연결하는 터널. 내곡터널이 설치된 분당-내곡간 도시고속화도로는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수내사거리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의 구룡터널 교차로를 연결하는 도로이다. 1994년 개통된 이 도로는 총 연장 12.26㎞의 자동차전용도로이며, 도로 너비 29m, 왕복 6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울특별시 관할의 내곡터널과 구룡터널을...
-
생몰년 미상.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에 살았던 사비(私婢)이다. 효녀로 유명하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 지역에서 발행되고 있는 지역 주간 신문. 『성남분당용인수지 내일신문』은 전국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주간지인 『내일신문』의 콘텐츠와 성남·용인 지역의 소식을 담아 발행하는 지역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했던 행정동. 내정동은 수내동에서 나누어진 동으로, 2000년 10월 18일 공포된 시 조례에 따라 수내2동으로 변경되었다. 관내 분당천이 동쪽에서 흘러와 서쪽의 수내1동으로 흘러 나가며, 동쪽은 분당동, 남쪽은 수내3동과 정자2동, 서쪽은 수내1동, 북쪽은 서현1동과 접한다. 이 지역에는 숲안, 아랫말, 웃말 등의 자연 마을이 있었으나 분당신도시 개발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분당구 중앙공원(초림삼거리)에서 능골공원을 거쳐 봉우재공원 아래 한국통신 및 주택전시관(계원삼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내정로(內亭路)라는 도로의 명칭은 이 도로가 속한 지역인 수내동과 정자동에서 1자씩 따서 명명되었다. 왕복 포장 6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1.934㎞이며, 도로 폭은 35m, 총면적은 69,690㎡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이며, 강인한 체력과 인내력을 지닌 사람, 창의적 사고와 탐구력을 지닌 사람, 올바른 판단력과 도덕성을 지닌 사람,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며 책임감을 지닌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이며, 강인한 체력과 인내력을 지닌 사람, 창의적 사고와 탐구력을 지닌 사람, 올바른 판단력과 도덕성을 지닌 사람,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며 책임감을 지닌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인성과 지성, 감성이 조화로운 창의 융합형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는데, 인성에서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지성에서는 창의적인 사고로 실력 있는 어린이, 감성에서는 새로움을 찾는 개성 있는 어린이 육성이다....
-
굽이굽이굽이 고생고생고생 하면서 살아오는 중에도 아이들 키우는 일이 제일 힘겨웠다. 내외가 장사를 하기 때문에 아이들을 늘 저희들끼리 놀았다. 장사를 마치고 집에 들어가면 집안은 발 디딜 틈도 없이 어지럽혀 있었다. 그럴 때면 큰 소리가 오가고, 속도 상했다. 아이들이 초등학교 입학하기 전에 있었던 일이었다. “냉장고를 처음에 쪼매난 거 하나. 참 좋아서 죽겠더라고, 냉장고 사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판교동은 분당구의 중북부, 판교신도시의 중앙부에 자리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과거 이 지역은 너더리마을과 너븐바위, 낙생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고 서울과 경기 남부 지역, 경기 중부, 동서 지역을 잇는 도로가 교차하던 요충지로 장터와 주막, 객사 등으로 번창한 곳이었다. 오늘날에도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한 주요 간선도로와 지방도로가 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자연 마을. 판교(板橋)라는 이름은 ‘널다리’의 한자 표기이고, 널다리는 옛날 운중천의 하천 위에 널(판자)로 만든 다리를 놓고 건너 다닌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마을 일대는 예전 광주군 낙생면 소재지였으며, 3.1운동 당시에는 낙생, 돌마 지역을 관할하는 순사주재소가 위치하여 만세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이 이곳으로 끌려와 수난을 당하기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너더리마을에서 정월 보름에 마을 회화나무에서 지내던 고사. 너더리마을 회화나무 고사는 농경사회 시절 너더리마을 주민들이 당산나무인 회화나무에게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고 액운을 떨쳐 버리기 위하여 정월 보름날 올리던 제사이다. 고사가 끝난 후 마을 주민들은 쌍용거줄다리기 놀이를 하며 화합을 다졌다. 1970년대 산업화시대 이후 사라졌던 널다리 쌍용거줄다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자연 마을. 판교동 너더리마을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 이곳의 운중천 가에는 50여평 되는 큰 바위가 깔려 있고 근처에 느티나무가 있어 정자나무로 이용되었다. 특히 이 바위는 지나는 길손이 머물기 좋았으므로 광암(廣岩) 또는 너븐바위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현재는 이 너븐바위에 해당하는 바위를 확인할 수가 없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자연 마을. 판교(板橋)라는 이름은 ‘널다리’의 한자 표기이고, 널다리는 옛날 운중천의 하천 위에 널(판자)로 만든 다리를 놓고 건너 다닌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마을 일대는 예전 광주군 낙생면 소재지였으며, 3.1운동 당시에는 낙생, 돌마 지역을 관할하는 순사주재소가 위치하여 만세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이 이곳으로 끌려와 수난을 당하기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판교동은 분당구의 중북부, 판교신도시의 중앙부에 자리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과거 이 지역은 너더리마을과 너븐바위, 낙생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고 서울과 경기 남부 지역, 경기 중부, 동서 지역을 잇는 도로가 교차하던 요충지로 장터와 주막, 객사 등으로 번창한 곳이었다. 오늘날에도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한 주요 간선도로와 지방도로가 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서 매년 정월 보름에 행해지는 민속놀이. 판교 쌍용거줄다리기는 ‘쌍용줄다리기’라고도 불리는데, 쌍용거줄다리기보존회의 김광영에 따르면, 판교동에는 1970년대 초반 경부고속도로가 나기 전 길을 가로지르는 신작로를 따라 길게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곳에서 정월 보름에 줄다리기를 하였다고 한다....
-
널빤지의 한가운데에 짚단이나 가마니로 밑을 괴고 양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마주보고 번갈아 뛰면서 즐기는 여자들의 놀이. 한자어로는 초판희(超板戱), 판무(板舞), 도판희(跳板戱)라고도 하며, 정초나 단오, 혹은 추석 같은 명절에 많이 행한다. 널뛰기는 우리나라에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일본과 중국에도 비슷한 놀이가 있다....
-
임금노동자 계급이 자신들의 경제적, 사회적 생활조직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개하는 일체의 조직적인 활동. 여기서는 일제강점기 성남지역에서의 노동운동을 말한다. 성남지역의 자유노동자들은 영등포 공업지대 노동력의 원천이며 한편으로는 노동운동의 주체였다. 성남지역은 노동운동이 발전하는 데 있어 배후기지의 역할을 하며 1930년대 사회주의 노동운동이 세포조직을 구축하는 지역으로 부상한다. 그...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138-12번지[갈마치로288번길 24]에 위치한 아파트형 공장. 노벨테크노타워는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이른바 아파트형 공장이다. 아파트형 공장은 “하나의 건축물 내에 여러 공장이 동시에 입주할 수 있는 다층의 집합건물”인데, 이는 토지 이용의 고도화와 관리 운용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홍콩, 싱가포르 등 공업용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국가에서 활성화되고...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관할 3개의 법정동 중 하나인 상적동 내의 옛 지역. 노상리·노하리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지역의 옛 지명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이 마을과 적푸리를 통합하여 상적리가 되었다. 덕수이씨가 많이 살았었으나 지금은 여러 성씨가 살고 있으며, 청계산 등산객을 상대로 하는 음식점이 많아 한적하던 산촌 마을의 옛 정취는 사라지고 붐비는 위락지로...
-
경기도 성남시에서 노인의 사회 적응을 돕고 노후 생활의 안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노인에게 공부할 기회를 제공하는 학교. 한국에서 최초로 노인 대상의 강의를 시작한 곳은 1972년 10월 서울특별시에서 개강한 서울평생교육원이다. 그 후 1973년 서울특별시 명동 가톨릭여성회관 내에 덕명의숙이라는 노인 교육기관이 설립되었고, 1974년에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문화촌에 인왕노인학교가 설립...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홀몸 노인을 위한 무상 복지 주택. 성남시가 옛 성남동 주민자치센터[현 성남동 행정복지센터] 부지 575㎡를, 한국지역난방공사가 기금 17억 원을, 금호아시아나가 건설비 6억 원을 각각 제공해 건립된 시설로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 민간 기업이 협력해 제3섹터 방식 즉 민관 공공 개발 방식으로 건립되었다. 아리움은 '아름다운 우리들의 보금자리'라는...
-
경기도 성남시에서 노인의 사회 적응을 돕고 노후 생활의 안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노인에게 공부할 기회를 제공하는 학교. 한국에서 최초로 노인 대상의 강의를 시작한 곳은 1972년 10월 서울특별시에서 개강한 서울평생교육원이다. 그 후 1973년 서울특별시 명동 가톨릭여성회관 내에 덕명의숙이라는 노인 교육기관이 설립되었고, 1974년에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문화촌에 인왕노인학교가 설립...
-
성남시 분당구 율동의 한 저수지에 얽힌 이야기. 지금의 분당구청 뒤 통로골에서 새마을연수원으로 가는 길 좌측에 작은 저수지가 있다....
-
전근대사회 및 일제강점기 때 농민들이 지배세력에 대항하여 벌인 저항운동. 농민들은 총체적인 봉건사회의 억압하에 어떠한 사회적, 신분적 모순을 의식못한 채 살아왔다. 그러나 19세기 근대사회가 태동하여 봉건사회체제가 무너지면서 농민은 점차 봉건적 모순을 자각하게 되었다. 농민들이 집단을 이루어 봉건적 모순에 저항하며 개혁운동을 폄으로써 우리나라 농민운동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성남...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농아인협회 경기도협회 소속 지부. 농아인들의 재활 및 자립을 도모하고 완전한 사회 참여와 실현을 위해 설립된 사단법인 한국농아인협회의 성남지역 본부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토지를 이용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동식물을 길러 생산물을 얻어내는 경제활동. 농업은 인류가 지구상에 태어나 가장 먼저 시작한 원시산업으로 여러 산업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따라서 예로부터 인류의 발달과 직접, 간접으로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농업은 기상 조건에 크게 의존하는 바, 성남 지역의 기상 개황을 보면 연평균 기온은 12.9℃이고, 연강우량은...
-
성남시의 본격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성남출장소 관할 구역 이외의 지역인 돌마면, 낙생면, 대왕면 지역. 1975년 10월 1일 당시 내무부의 도시 동 행정 표준화 지침에 따라 성남시 동사무소의 분동이 실시되면서 명칭, 위치, 관할 구역에 변동이 발생하였다. 동시에 분동을 계기로 인구수에 따라 총무계,・시민계,・세무계를 설치하기 위하여 동의 직제가 인구수에 의해 3개 유형으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농수산물 유통센터. 성남시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는 ‘언제나 신선한 농산물을 매일 저렴한 가격으로[Anytime fresh food, Everyday low price]’라는 슬로건과 같이 소비자가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최상품의 산지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재(德哉), 호는 뇌연(雷淵), 소화(小華). 서울 출신. 증조는 대제학 남용익(南龍翼), 할아버지는 대사헌 남정중(南正重),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남한기(南漢紀)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종합 쇼핑몰. NC백화점 야탑점은 (주)이랜드리테일이 운영하는 백화점으로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57-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
가게는 쉬는 날이 없었다. 연중무휴로 장사를 했다. 언젠가는 여러 가게가 의논하여 정기 휴일을 정한 적이 있었다. 휴일이 되어 다른 용무를 보고 돌아왔는데 어느 집에서는 가게를 열고 손님을 받고 있었다. 신사협정은 그 후로도 잘 지켜지지 않았다. 그래서 시장 상인들은 제대로 된 휴일도 찾아먹을 수 없었고, 그럴싸한 취미생활도 하지 못했다. 저녁이 되면 텔레비전 틀어놓고 꾸벅꾸벅 조...
-
궁씨는 상대원의 변화를 다른 부분에서도 느낀다. 상대원은 더 이상 폐쇄된 지역사회가 아니다. 상대원은 이미 세계를 향해 열린 사회이다. 상대원에 많이 생겨나기 시작한 다문화가정이 그것을 증명한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다문화가정에 관심을 갖기도 하고, 정책적으로 동사무소 같은 데서 외국인 대상의 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한다. 궁씨와 같은 사진작가 중에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작업...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자율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조인, 예의 바르고 공익과 질서를 존중하는 세계 시민의 태도를 갖춘 도덕인, 꾸준한 자아 탐색과 자기실현으로 이루는 자주인, 긍정적인 생각과 튼튼한 체력을 갖춘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자율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조인, 예의 바르고 공익과 질서를 존중하는 세계 시민의 태도를 갖춘 도덕인, 꾸준한 자아 탐색과 자기실현으로 이루는 자주인, 긍정적인 생각과 튼튼한 체력을 갖춘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열린 마음으로 배움을 실천하는 행복한 사람, 새로운 발상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심신이 건강하며 문화적 소양을 갖춘 사람, 바른 민주시민으로서 서로를 존중하는 사람, 참여와 협력을 통해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열린 마음으로 배움을 실천하는 행복한 사람, 새로운 발상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심신이 건강하며 문화적 소양을 갖춘 사람, 바른 민주시민으로서 서로를 존중하는 사람, 참여와 협력을 통해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자주적인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며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자주적인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며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대장동과 백현동 사이에 있는 고개. 능고개는 분당구 대장동의 태릉에서 남서울컨트리클럽 부근을 지나 백현동으로 넘어가는 고갯길로, 능현(陵峴)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능골공원은 정자동 아파트 단지 주민과 학생들이 즐겨 찾는 공원으로 다양한 운동·편의 시설과 물놀이장이 구비되어 있다. 공원 면적은 30,590.2㎡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불교 경전.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 또는 『능엄경』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부처님의 말씀을 머리로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경험하여 얻을 것을 주요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스님들이 수련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배우는 경전이다. 『능엄경』은 전 10권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대장동과 백현동 사이에 있는 고개. 능고개는 분당구 대장동의 태릉에서 남서울컨트리클럽 부근을 지나 백현동으로 넘어가는 고갯길로, 능현(陵峴)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