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비전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0016
한자 口碑傳承
이칭/별칭 구비문학,구전문학,구비전승문학,민속문학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집필자 서영숙

[정의]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구전되어 오는 구비문학.

[개설]

구비전승(口碑傳承)은 진천 지역에서 일반 민중에 의해 글로 기록되지 않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문학이다. 이를 구비문학·구전문학·구비전승문학·민속문학 등으로도 부른다. 구비문학은 말로 의사표현을 하기 시작한 원시시대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는 문학이다. 진천의 구비문학 역시 오래 전부터 형성되어 온 진천의 역사와 진천민의 의식을 잘 담아내고 있다. 그러나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구비문학은 급속도로 소멸되어 가고 있다. 진천의 구비문학 역시 원래의 이야기판과 노래판을 많이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구비문학의 갈래는 말[속담·수수께끼], 이야기[설화: 신화·전설·민담], 노래[민요·무가·판소리], 행위[민속극]로 나눌 수 있다. 진천 지역에서는 주로 설화와 민요가 풍성하게 전승되고 있다. 특히 진천에서 태어나거나 살았던 인물, 또는 진천 지역의 지명과 관련된 전설이 풍부하고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이는 진천 지역 사람들의 진천에 대한 자긍심과 애착심이 높은 데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민요는 예사 사람들이 일상생활의 필요에 의해서 불렀던 노래로, 진천에서는 노동요(勞動謠), 의식요(儀式謠), 유희요(遊戱謠) 등이 두루 조사 채록되었다. 특히 논농사를 중심으로 한 농업노동요가 발달했는데, 모찌기에서부터 논매기까지 농사의 과정에 따라 다양한 소리가 전승된다. 또한 경기 지역과 인접해 있어서인지 유희요로 경기민요나 경기잡가가 많이 조사되었다. 이들 소리 역시 방송에서 흔히 접하는 고정된 사설이나 가락이 아니라 진천 지역 사람들의 정서가 담긴 독특한 사설과 가락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오래된 신화의 흔적]

신화는 역사로 가늠할 수 없는 오래된 옛날에 이루어졌던 사건에 관한 이야기이며, 범상한 인간이 아닌 초월적 능력을 지닌 사람이나 영웅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러므로 구비문학 중에서 가장 오래 전에 형성된 갈래라 할 수 있으며, 합리적·과학적인 인식이 자리를 잡기 시작하면서 급속도로 그 전승이 사라지고 있는 갈래이다. 그러나 진천에서 구전되는 설화 중에서 이 사라져 버린 신화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대표적인 이야기가 「가리섬과 배넘이 고개 이야기」「농다리 전설」이다.

「가리섬과 배넘이 고개 이야기」단군(檀君) 시대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단군이 팽우(彭虞)에게 산천을 다스리게 했는데, 오랫동안 비가 내려 배를 저어가다가 뾰족하게 솟은 섬이 보여 배를 댔다. 그래서 그곳이 가리섬, 두타산, 배넘이고개 등으로 이름이 지어졌다는 것이다. 태초의 홍수를 다스린 영웅 신화에 속하는 이야기로, 진천 사람들에게 두타산이 얼마나 신성하게 여겨지는 산인지를 보여주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농다리 축조에 관련된 이야기로, 「농다리 전설」에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하나는 고려시대 임연(林衍) 장군이 명마에 돌을 실어와 다리를 놓았다는 이야기이고, 다른 하나는 힘이 센 남매가 힘을 겨루기 위해 남동생은 서울을 뛰어갔다 오기로 하고, 누이는 돌을 날라 다리를 놓는 내기를 했다는 이야기이다.

어느 경우이건 축조한 이의 영웅적 성격을 강조하고 있지만, 특히 남매의 힘겨루기형 이야기의 경우 아들이 이기기를 바라는 어머니에 의해 팥죽을 먹다 누이가 다리를 완성하지 못하고 죽게 되는 비극적 여성 영웅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이야기의 구연자들은 농다리가 아무리 큰 홍수가 나도 끄떡없는데, 부문만 자꾸 무너져서 거기만 보수를 하게 된다고 말한다. 여성신이 남성신에 의해 교체되어 가는 아주 오래된 옛 신화의 흔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지역 곳곳에 묻혀 있는 전설]

진천은 발길이 닿는 곳마다 모두 이야기를 지니고 있다. 높은 산뿐만 아니라 낮은 고개, 크고 작은 연못과 저수지, 들판과 바위에 이르기까지 저마다 독특한 이름을 지니고 있다. 이들 이름에는 진천에서 태어나고 살았던, 그리고 진천을 거쳐 갔던 인물에 대한 진천 사람들의 기억과 상상이 담겨 있다. 그러므로 이들 인물 전설과 지명 전설은 진천 지역에서 이루어진 사건에 대해 진천민에 의해 이루어져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서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진천에서 태어난 김유신(金庾信) 장군에 대한 전설이다. 진천에는 태령산, 장수터, 담안밭, 장수굴, 화랑벌, 송덕불상 등 김유신 장군과 관련된 이야기가 무궁무진하다. 특히 진천읍 「구당재 전설」은 김유신이 현몽하여 자신의 사당을 더럽힌 충청감사를 치죄하고 진천현감에게 새로운 사당 터를 알려주는 신이담(神異譚)으로, 진천 사람들의 김유신 장군에 대한 존숭과 경외감을 짐작케 한다. 이밖에도 세종대왕을 비롯한 황희(黃喜) 정승, 오성대감, 퇴계 이황(李滉), 신립(申砬), 임연, 기황후, 조종덕, 이여송(李如松), 박상의, 도선, 충비 개덕(介德) 등과 관련된 인물전설이 매우 풍부하게 전승된다.

지명 전설 중에서 화살보다 먼저 달린 말을 알아보지 못하고 장수가 말의 목을 베어 버렸다는 「말머리마을 이야기」, 빈대가 들끓어 절이 망하게 되었다는 「미역수 절과 빈대」, 용이 되지 못하고 떨어진 「이심이 소 전설」, 손님이 많이 오지 않게 하는 방법을 스님에게 물어 산줄기에 길을 냈다가 집안이 망하게 된 며느리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용두산 전설」 등은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광포 전설에 속하면서도 지역에 맞게 변형되어 독특한 각 편을 형성해 내고 있어 흥미롭다.

[진천 사람의 슬기가 어린 민담]

진천 지역에는 다양한 유형의 민담들이 전승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효자담, 보은담, 풍수담이 많이 전승된다. 진천에서 전승되는 효자담의 특징은 효자의 지극한 정성에 하늘이 감동하여 보답을 해준다는 것이다. 부모님이 죽을병을 앓자 겨울에 얼음을 깨고 잉어를 구해 드리거나, 겨울에 구하기 힘든 오이나 약초를 구해 드려 부모를 살린다든지, 자식이 어머니의 음식을 축내자 자식을 묻으러 갔다가 금덩이를 발견한다든지 하는 이야기가 그런 예이다.

보은담은 사람이나 동물이 은혜를 입은 데에 대해 보답하는 이야기로, 밥을 먹여 길러준 본부인의 아이를 키운 「개의 보은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또한 진천에는 명당에 관련된 풍수담이 많이 전승되는데, 특징적인 것은 명당은 단지 지세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덕을 쌓은 사람만이 명당을 얻을 수 있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는 점이다. 이는 다른 무엇보다도 사람됨을 중요하게 여겼던 진천 사람들의 도덕적 의식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웃음을 자아내는 해학적인 이야기로 「바보사위 이야기」, 「방귀쟁이 며느리 이야기」, 「임금보다 팔자 좋은 사람 이야기」 등이 전승된다. 이런 이야기 속에는 부귀영화나 높은 벼슬이 아니더라도 사람의 도리를 다하며 넉넉하게 베풀고 사는 것을 참된 가치로 여겼던 진천 사람들의 슬기와 해학이 어려 있다.

[생거진천의 넉넉함이 배어 있는 민요]

진천 사람들은 이야기만큼이나 노래도 즐겨 불렀다. 이야기가 여가 시간에 사랑방에 둘러 앉아 주고받았던 것이라면, 노래는 생활상의 필요, 즉 일을 하거나 의식을 치르면서 또는 놀이를 하면서 불렀던 것으로, 그 기능에 따라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로 나눌 수 있다. 진천에는 이 세 가지 기능을 지닌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가 고루 전승된다.

진천은 특히 도내의 유수한 쌀 생산지로 꼽힐 만큼 논농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노동요로는 풍부하고 다양한 논농사 소리가 조사되었다. 이들 논농사 소리는 「모찌는 소리」, 「모심는 소리」, 「논매는 소리」, 「논뜯는 소리」 등에 이르기까지 논농사의 과정에 따라 소리가 세분되어 있으며 사설과 가락이 매우 풍부하다. 2003년 덕산면 용몽리 농요가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의식요로는 「고사 소리」와 같은 농사의 풍요를 비는 소리와 「회심곡」, 「상여 소리」 등 장례 의식과 관련된 소리가 전승된다. 유희요로 「노랫가락」, 「창부 타령」, 「양산도」, 「청춘가」 등과 같은 경기 민요와 잡가가 많이 조사된 것도 진천민요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소리가 상투적이고 고정적인 사설과 가락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부르는 사람과 상황에 따라 개성적이고 독창적으로 변형되고 있다는 점은 진천 사람들의 예술적 소양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진천민요를 이루고 있는 사설의 특징이라면 다른 지역 민요의 사설에 비해 신세한탄과 같은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내용보다는 교훈적이고 긍정적 사설이 많이 나온다는 점이다. 이는 ‘생거진천(生居鎭川)’이란 말을 형성해 낼 수 있었던, 진천군이 지닌 넉넉한 생활환경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밑바탕을 이루고 있는 진천 사람들의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의식과 결코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