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0325 |
---|---|
한자 | 趙溫賜牌王旨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권오영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2년 7월 28일 - 조온 사패왕지 보물 제1135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조온 사패왕지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
성격 | 왕지(王旨) |
관련인물 | 이방원|조온|이문화 |
발급자 | 태조 |
수급자 | 조온 |
발급일시 | 1399년(태조 7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소장처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
[정의]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운 정사공신 한천군(漢川君) 조온에게 발급된 왕지(王旨).
[개설]
조온 사패왕지는 조선 태조 7년(1398) 제1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운 조온[1347∼1417]에게 공전(功田)을 내린 문서이다.
[제작 발급 경위]
제1차 왕자의 난은 정종을 잇는 왕위 계승권을 놓고 태조의 계비인 강씨(康氏)의 소생 방석(芳碩) 일파와 태조의 초비(初妃)인 한씨(韓氏)의 소생 방원(芳遠) 간에 벌어진 권력 다툼이었다. 그 결과 방원 일파가 승리하고, 이 과정에서 공로가 큰 29명에게 공신의 지위가 내려졌다. 공신은 다시 그들의 공헌 정도에 따라 나뉘었는데, 1등 공신이 12명, 2등 공신이 17명이었다.
조온(趙溫)[1347-1417]은 이때 이등 공신에 책봉되었다. 특전과 포상의 내용은 공신녹권(功臣錄券)에 명시되어 있고, 이 왕지는 녹권에 기재된 공전(功田) 150결의 위치와 수확 규모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조온은 이에 앞서 조선 건국 때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 2등에 포상되고 한천군에 책봉된 바 있다. 그는 제2차 왕자의 난 때도 방간(芳幹) 일파의 군사를 몰아낸 공로로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포상되고 (한천)부원군에 봉해졌다.
[형태]
조온 사패왕지에는 왕지의 내용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국왕의 인장 3개가 확인된다. 인장의 크기는 11.7㎝×11.7㎝이고, 「왕지(王旨)」,「한천군조온(漢川君趙溫)」및 문말(文末)에 각각 주인(朱印)하였으며, 국왕의 명령을 받들어 문서를 발급한 도승지 이문화(李文和)가 서명하였다.
[구성/내용]
조온 사패왕지의 내용에 따르면, 조온에게 하사된 공전은 양주, 견주, 교하, 개성, 광주, 연안, 이천, 강화, 서원, 마전, 수원 등에 위치한 전답 150결 38부이다.
[현황]
조온 사패왕지는 1992년 7월 28일 보물 제1135호에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기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온 사패왕지는 정사공신에게 하사하는 공전(功田)의 위치와 규모를 구체적으로 명시한 고문서로서는 최초로 발견된 것이다. 조선 초기의 역사 연구는 물론이며 고문서 연구에 있어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