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광산김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0401
한자 光山金氏
영어공식명칭 Gwangsan Gim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기도 성남시
집필자 문수진윤종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세거|집성지 광산김씨 세거지 -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지도보기 간이골|양지동지도보기|중원구 금광2동지도보기|분당구 삼평동지도보기 미듬골

[정의]

김흥광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

[유래]

광산(光山)은 현 광주광역시이다.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하는 광산김씨(光山金氏)는 고려조에서 8대 평장사를 배출하고, 조선조에서 왕비 1명, 상신 5명, 대제학 7명, 청백리 4명, 공신 7명, 문과 급제자 265명을 배출하였다. 여말 선초에 김약채(金若采), 김약항(金若恒), 김약시(金若時)의 3형제 대에서부터 번창하기 시작하였다.

[세거지]

성남 지역에서는 김약시의 후손이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김약시는 조선조에 들어와 벼슬을 단념하고 두문동 72현에 들기도 하면서, 현 중원구 금광동에 은거하였다고 한다.

김약시의 손자 김순성(金順誠)[1429~1481]의 후손들이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간이골에 거주하여 세거하고 있다. 이들 마을은 남향으로 현재 복개된 도로 쪽은 논과 밭으로 되어 있는 경작지이고, 언덕 쪽은 주거지였다고 한다. 주거지 대지는 도시 개발 때에도 그대로 환지를 받았기 때문에 현재도 가옥의 구조가 각기 다르고 도로가 반듯하지 못하고 꾸불꾸불하다.

이밖에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도 약시의 후손들이 분가하여 세거했으며 분당구 삼평동 미듬골에도 세거지가 있다. 김약시가 은거하면서 말을 하지 않아 ‘부전어동(不傳語洞)’이라는 지명도 생겨났다고 전한다.

[집성촌]

김순성의 후손들은 대대로 금광동에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다. 신 주거지가 형성되기 전까지 현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에서 세거하는 43가구 중 15호가 광산김씨였다. 금광동을 흔히 ‘금괭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광산김씨의 마을, 광김의 마을, 거꾸로 ‘금광(金光)’이라 부른 데서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 후기에 광산김씨 후손들이 재배한 담배를 ‘금광초(金光草)’라고 불렀는데, 전라북도 임실의 ‘상관초’와 함께 품질이 우수한 담배로 이름을 떨쳤다.

[인물]

김약시는 고려의 진현관 직제학을 지냈고, 김췌(金萃)는 성주목사를 지냈다. 성주 고을의 인심이 사나워 세종이 성주목사직을 공개 모집하여 18세의 김췌가 뽑혀서 성주고을의 기강을 바로잡았다고 한다. 김절(金節)은 현감, 김원우(金元祐)는 감무를 지냈고 손자 김순성은 평양부서윤 겸 평양진병마수군첨절제사(平壤副庶尹兼平壤陣兵馬水軍僉節制使)를 지냈다. 5세손 김지남(金止男)[1559~1631]은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였고, 저서로 『용계집(龍溪集)』을 남겼다.

[묘역]

성남시가 개발되기 전까지 선조 김약시의 묘가 현 신구대학교 본관 자리에 있었는데, 일대가 광산김씨의 선산이었다. 도시개발과 함께 김약시, 김췌 등의 묘는 경기도 광주시 실촌면 삼합리[현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삼합리 산50-1] 공민산(恭愍山)으로 옮겨졌으며, 2008년 12월 4일 광주시 향토문화유산 제3호[광산김씨 직제학공파 김약시·김췌 묘역내 묘표·문인석]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7.26 묘역 내용 수정 김순성의 배위 묘는 창곡동에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