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0073
한자 姓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성남시
집필자 문수진윤종준

[정의]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동일한 인물을 시조로 하는 성들.

[개관]

성(姓)이라는 것은 혈연적인 것을 말하고 씨(氏)는 지역을 뜻한다. 그러므로 ‘김해김씨’하면 김은 성이고 씨는 김해가 된다. 삼국시대의 시조들이 모두 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 성을 사용한 것은 삼국시대 이전이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까지도 성이 일반화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통일신라 이전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성으로는 김·이(李)·박(朴)·최(崔)·정(鄭)·장(張)·설(薛)·손(孫)·왕(王)·배(裵)·한(韓)씨 정도였다. 그러다가 후삼국시대, 특히 고려가 통일전쟁을 치르는 과정에서 성이 보편화되어 갔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의 개국공신 중에도 대부분이 자신의 성이 없어서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왕씨 성을 하사하는 사례도 많았는데,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경우에는 권씨, 장씨, 김씨 등의 성이 하사되었다.

한편, 조선 전기에 토성(土姓)·속성(續姓)·내성(來姓) 등의 성씨가 지리지에 기록되고 있는데, 역사적으로 성씨라고 하면 이들 세 가지 성씨의 유형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먼저 성남 지역의 토성은 정확하게 어떤 성이었는지 자세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광주목의 토성으로 이·안(安)·김씨 등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이 성남 지역의 토성이었을 가능성을 추측해 볼 수 있다. 광주가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큰 고을인데도 토성이 이렇게 적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도 광주의 성씨로는 이·윤(尹)·석(石)·한·안·김·지(池)·소(素)씨 등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토성에 가깝다고 할 수 있고, 병속(竝屬)한 성으로 노(盧)·장·박 등이 기록되어 있는 이는 전술한 속성에 가까운 성씨로 볼 수 있다.

[내용]

성남 지역은 조선시대 광주목의 일부에 해당한다. 당시 광주목의 전 영역은 현재 성남시 일원과 광주시·하남시, 그리고 서울특별시의 강동구·송파구·강남구와 서초구의 일부까지도 포함된다. 광주의 토성이나 속성 등이 모두 현재의 성남 지역에 거주하였다고 할 수는 없으나 광주목의 요충지를 성남시가 차지했던 관계로 이들 성씨가 현재의 성남 지역과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성남 지역이 포함된 광주목에 토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아주 적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를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 지역에는 고려시대 왕규(王規)와 같은 호족이 혜종 때에 난을 일으킨 사실이 있는데, 이러한 사건 등으로 집단적인 성씨의 토착화를 중앙에서 부분적으로 막았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조선시대는 광주 유수부로 제도화될 정도로 광주군이 도성에서 가까우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므로 토성들이 집단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꺼려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일찍이 광주 지역에 자리 잡았을 토성들이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선 시대 성남 지역에 토착 성씨와는 다른 집성촌을 형성한 성씨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내성이라 할 수 있고, 토성과 속성도 일부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내성이 대부분으로 이루어진 집성촌이 성남 지역을 포함한 광주 지역에 많이 형성된 것은 조선시대 양반들의 거주지 선택과도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낙향을 하더라도 가능하면 한성에서 100리 이내에 거주지를 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였다. 그것은 왕의 교지(敎旨)가 내려지면 바로 한성으로 올라갈 수 있는 거리가 대략 100리 정도로 주로 경기도 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양주·파주·여주·이천·수원·안산과 오늘의 성남 지역이 포함된 광주가 이러한 지역에 속하였다.

현재 성남 지역은 조선 시대 광주목에 속하였던 곳으로 수도 서울에 가까워 중앙의 권세가들이 낙향하거나 사패지(賜牌地)[나라에서 내려준 토지]를 받거나, 조상의 묘를 쓰면서 후손들이 이주하여 사는 경우가 많았다. 변두리에는 지금도 집성촌의 형태가 그대로 남아 있는 곳이 많지만 성남시 중앙은 도시계획으로 철거되어 형태를 알 수 있는 곳이 극히 드물다.

성남의 성씨의 내력을 말해 주는 집성촌이나 세거지는 1960년대 말부터 급속히 추진된 도시화로 그 기능이 해체되었다. 즉, 도시화로 인하여 이주민이 대거 정착하기 이전에 형성되었던 집성촌이나 세거지의 상황은 많이 없어졌던 것이다. 대부분이 급격한 도시화로 뿔뿔이 흩어지거나 없어졌지만, 아직도 그 자취를 볼 수 있는 곳이나 이전의 집성촌 상황을 찾을 수 있는 곳도 상당수 있다.

1993년에 조사한 성남 지역의 세거 성씨는 본관을 밝힌 것이 77개, 성만 밝힌 것이 8개가 된다. 전주이씨가 28곳에서 세거하고, 김해김씨가 15곳, 광주이씨가 13곳, 남양홍씨가 11곳, 밀양박씨가 9곳, 경주이씨경주최씨가 각각 8곳, 문화유씨·순흥안씨·파평윤씨·동래정씨가 각각 7개의 세거지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주이씨가 많은 것은 조선 왕조가 건국하고 왕족으로서 도성에 가까운 성남 지역에 낙향하거나, 사패지를 많이 받고 선조의 묘역 등을 조성하면서 세거하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의령남씨·평산신씨·청주한씨가 6곳, 진주강씨·경주김씨·광산김씨·전의이씨가 각각 5곳, 안동김씨·고성이씨·성주이씨·한산이씨·평택임씨가 각각 4곳의 세거지를 가지고 있다.

현재에도 각 성씨들은 성남 지역 전체에 걸쳐 일부 지역은 집성촌을 형성하여 거주하고 있는 것도 있다. 그렇지만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다른 지역에서 들어온 수많은 성씨들이 혼재하여 살게 되고 집성촌을 이루던 지역도 차츰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토성과 속성, 그리고 내성의 기반을 무너져 가고 있다. 특히, 판교의 개발로 이 지역에 형성된 성씨들은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특징]

1969년부터 광주대단지 시업으로 인구가 집중되기 시작하여 성남시의 인구는 100만 명에 가까워지다가 현재는 약 92만 명 정도로 감소하였지만, 전국 각지에서 인구가 유입되었기 때문에 성씨도 전국의 각성이 모여들게 되었다. 도시화 되기 이전의 세거지 수를 보더라도 전국적으로 다수인 성씨, 즉 전국적인 성이 성남에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대표적으로 김해김씨밀양박씨전주이씨가 많았던 것이 그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특히 전주이씨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것은 조선 왕조의 도읍지가 한양이고 종친에게 도성에 가까운 성남 지역 땅을 사패지로 많이 주고, 이로써 묘를 쓰게 되고, 후손들이 거주한 데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성남 지역의 성씨 특징을 구태여 추정해 본다면 조선 왕조 시대 권세가가 낙향하거나 은둔하여 후손이 거주하게 된 것이 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내성 내지 속성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