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0805 |
---|---|
한자 |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
이칭/별칭 | 불조직지심체요절,불조직지심체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종교/불교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송현주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2년 4월 20일 -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보물 제1132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
성격 | 불교 문헌 |
관련인물 | 백운화상|석옥청공|이색 |
저자 | 백운화상 |
편자 | 백운화상 |
저술연도/일시 | 1372년(고려 공민왕 21) |
편찬연도/일시 | 1372년(고려 공민왕 21) |
권수 | 2권 |
책수 | 1책 |
가로 | 21.4㎝ |
세로 | 15.8㎝ |
간행처 | 여주 취암사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소장처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
[정의]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1378년(고려 우왕 4)에 백운화상의 제자들이 간행한 불교 문헌의 목판본.
[개설]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고려시대 백운화상 경한(景閑)[1299~1375] 이 1372년(고려 공민왕 21) 제자인 법린(法隣), 정혜(靜慧)의 요청에 의하여 임제종(臨濟宗) 18대손인 원나라 석옥청공(石屋淸珙) 화상으로부터 받은 『불조직지심체요절』을 증보하여 상·하 2권으로 편집한 것이다. 1992년 4월 20일에 보물 제113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소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발간경위]
장서각 소장의 이 판본은 1378년(고려 우왕 4) 6월에 백운화상이 입적한 여주 취암사에서 제자인 법린 등이 1377년(우왕 3)년에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한 금속 활자본을 바탕으로 간행한 것이다. 서문은 1377년에 성사달(成士達)이 쓴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앞부분에 1378년에 이색(李穡)이 쓴 서문을 추가하여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1377년(우왕 3)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 활자인 주자(鑄字)로 인쇄한 판본이 초간본이며, 그중 하권 1책이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닥종이에 찍은 2권 1책으로, 크기는 세로 21.4㎝, 가로 15.8㎝이다. 1377년의 주자본(鑄字本)은 하권의 낙질만 있는데, 장서각 소장의 이 판본은 상하권이 완전하다. 같은 목판본이 국립중앙도서관에 한 벌만 더 있다고 알려져 있는 귀중한 책이다.
[구성/내용]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역대 여러 부처와 고승들의 법어, 대화, 편지 등에서 중요한 내용을 뽑아서 편찬한 것이다. 중심 주제인 직지심체는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가졌을 때 그 심성이 곧 부처님의 마음임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직지심경(直指心經)』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