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2579 |
---|---|
한자 | 粉靑沙器象嵌四角墓誌-粉靑沙器印花文四角扁甁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윤혜숙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6년 1월 17일 -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 및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 보물 제1450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 및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 보물 재지정 |
성격 | 분청사기 |
제작시기/일시 | 조선시대 |
재질 | 점토 |
문양 | 인화문 |
소장처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
소유자 | 박영숙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
[정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묘지와 편병.
[개설]
조선시대에 제작된 장방형 기둥 모양의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와 동시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은 2006년 1월 17일 보물 제1450호로 지정되었으며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소재하고 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는 긴 직사각형의 형태로, 각 면에 한자가 음각되어 있고 상단에 구멍이 있다.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은 넓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전면·후면·측면의 4면은 조밀한 선으로 음각되어있고, 상단에는 편병의 입 양쪽으로 꽃 문양이 하나씩 음각되어있다.
[특징]
묘지는 죽은 사람의 신분 따위를 기록한 글로, 돌 등에 새겨 무덤 옆에 묻는 것이 일반적이나 더러는 관에 직접 새기기도 했다. 도자기에 새기는 묘지는 조선시대부터 나타난다.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 및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은 각각 태토와 유약의 상태, 물레로 형태를 만든 후 두들겨 사각으로 만들고 칼로 깎아 모서리각을 세우는 방식, 모래 섞인 내화토로 굽받침을 한 점 등 모든 만듦새가 같기 때문에 이 두 작품은 동시에 함께 제작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절대 연대가 있는 묘지와 같이 제작된 인화문 편병은 분청 연구에 획을 긋는 중요한 자료다. 특히, 면으로 만들고 모서리를 깍은 후 조각을 한 방법이나 예상보다 큰 구연부를 붙인 점에서 조형적으로 뛰어난 제작자의 조형 감각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