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2677
한자 城南梧里-農樂
이칭/별칭 오리뜰 두레농악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승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7년 1월 17일연표보기 - 성남오리뜰농악 성남시 향토문화재 제16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성남오리뜰농악 성남시 향토문화재 제16호에서 성남시 향토문화유산 제16호로 변경
주관 단체 성남오리뜰농악보존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대로215번길 7[신흥동 6926]지도보기
성격 농악 놀이
예능 보유자 성남오리뜰농악보존회
문화재 지정 번호 성남시 향토문화유산 제16호

[정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오리뜰에서 전승되어 온 농악 놀이.

[개설]

성남오리뜰농악 [오리뜰 두레농악]은 1940년대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이후 6.25전쟁을 거치고 1973년 7월 성남시에 구미리[오리뜰]가 편입되고, 1989년 이 지역이 분당신도시 건설 계획에 따라 대단위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하는 등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두레농악을 놀던 사람들이 흩어지게 되면서 사라질 위기를 맞았다. 2006년 성남 지역에서 오랫동안 농악을 비롯하여 전통예술 활동을 해 오던 강승호를 중심으로 오리뜰 두레농악의 원로 연희자인 장양천의 아들 장계석, 한국농악보존협회 성남지회 회원들이 뜻을 모아 당시 원로 연희자들의 고증과 심층적 연구를 통해 오리뜰 두레농악을 복원하기로 결정하였다. 2007년 문화관광부에서 공모한 ‘2007 전통예술재현 및 복원사업’에 선정되며 성남오리뜰농악[오리뜰 두레농악]을 복원하였다. 이후 오리뜰 두레농악의 주역이었던 원로 연희자들과 지역 주민, 문화재를 원형대로 보존하여 실현할 수 있는 성남오리뜰농악보존회를 중심으로 활발한 전승 활동이 이어져 예전의 명성을 되찾아 가고 있다. 성남오리뜰농악은 시대성, 지역성, 향토성, 보편성, 특수성, 예술성, 보전 현황 등의 측면에서 향토사 연구에 대한 학술적,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1월 17일 성남시 향토문화재 제16호로 지정되었다. 또 성남오리뜰농악보존회가 문화재[문화유산] 보유 단체로 인정받았다. 성남오리뜰농악은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성남시 향토문화유산 제16호로 변경되었다.

[연원]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구미리오리뜰이 있었는데, 이곳에서 대대로 이어지던 농악이라 ‘오리뜰[두레]농악’이라고 이름하였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성남오리뜰농악 은 일반적인 농악과 마찬가지로 쇠, 징, 제금, 북, 장구, 호적 등의 전통 악기로 연주하는 경기웃다리농악을 바탕으로 전문 농악적 요소가 결합된 두레 농악이다. 광주군 낙생면 구미리 오리뜰[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을 중심으로 놀이가 이루어졌으며, 때로는 용인이나 판교 등 인근 마을 농악단과 함께 답교놀이로 연희되기도 하였다고 전한다.

[놀이 방법]

성남오리뜰농악 은 평상시에는 주로 쇠, 징, 제금, 북, 호적으로 연주하는 형태인 ‘육띠기’나 제금, 장구, 호적으로 주로 굿거리 가락을 연주하는 ‘삼잽이’ 형태의 연주를 하였으며, ‘건달춤’이라고 하는 독특한 춤사위와 함께 놀이를 하기도 하였다. 명절이나 마을의 큰 경조사, 각종 대회 때는 20명 안팎의 치배들을 구성하여 연희를 하였고, 정월에는 짠지배를 구성하여 지신밟기도 하였다. 두레 농악의 특징적 요소라 할 수 있는 농사 풀이를 통한 놀이 형태로 가래질 놀이, 써래질 놀이, 볍씨 뿌리기 놀이, 모찌기 놀이, 모심기 놀이, 놀매기 놀이, 벼베기 놀이, 벼털기 놀이, 벼말리기 놀이, 벼담기 놀이, 벼메기 놀이 등이 있다. 또한 놀이를 하며 진을 짜는 진풀이에는 십(十)자진, 대(大)자진 등의 특징적인 요소가 있으며, 놀이와 놀이 사이, 또는 진풀이의 장단과 장단 사이에 삼잽이의 연주에 맞춰 경기도의 다양한 민요를 불러 노동의 고통을 풀어 줄 뿐 아니라, 일의 능률을 높여 주기도 하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농악은 원래 굿을 가리키는 말로 전통 시대 민간에서는 굿, 매구[매귀], 풍장, 풍물, 두레 등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렸다. 설날, 정월대보름, 삼짇날, 한식, 단오, 유두, 백중, 추석 등 세시풍속과 관련하여 노작, 축원, 군사, 걸립 놀이 등으로 민중의 생활 깊이 스며들어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행하던 민속 종합 예술로, 성남오리뜰농악 역시 세시풍속과 관련하여 다양한 놀이가 진행되었다. 성남오리뜰농악은 웃다리농악의 한 갈래로 노동의 고통을 줄여 주고 능률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한 마을 단위 조직인 두레 농악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현황]

성남오리뜰농악 은 1960년대까지 전승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사라질 위기에 놓였었다. 이후 2007년 성남문화원한국농악보존협회 성남지회, 원로 연희자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옛 모습대로 복원하였다. 2007년 9월 2일 28개 시군이 참가한 제16회 경기도민속예술축제에서 3위[공로상]에 입상하였으며, 같은 해 11월 3일에는 성남 시민을 대상으로 시연회를 개최하였다. 주요 수상 실적으로는 2008년 제16회 경기도 청소년종합예술제 농악 부문 1위, 2011년 제5회 전국두레풍물경연대회 금상, 2013년 제21회 임방울국악제 전국대회 농악 부문 준우수상, 제5회 원주시 전국풍물경연대회 종합대상, 2014년 제10회 경기도 청소년 민속예술제 예술상, 2016년 제11회 경기도 청소년 민속예술제 장려상, 2020년 제19회 전국 웃다리농악 경연대회 전문인부 은상, 제13회 경기도 청소년 민속예술제 최우수상, 2021년 제23회 전국농악명인 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제40회 대한민국국악제 참가, 제4회 구미전국농악경연대회 일반부 금상을 수상하였다. 꾸준한 정기 공연과 다양한 행사에 참여하며 성남시 대표 향토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았다. 성남문화원에서는 부설 문화학교에서 성남 시민을 대상으로 ‘오리뜰농악 강좌’도 마련하여 성남오리뜰농악의 전승과 관심이 계속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