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0057
한자 文學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집필자 조도현

[정의]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언어와 문자를 매체로 표현하는 창작 활동.

[개설]

문학이란 상상의 힘을 빌려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와 문자로 표현한 예술, 또는 작품을 일컫는다. 충청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서산은 지리적 특성상 사람들의 왕래가 활발한 곳이 아니었지만, 여유와 한가로움을 즐겼던 문인의 문학적 자취가 서려 있으며 다채로운 문학 작품이 남아 있다. 서산의 문학은 서산의 산과 평야, 그리고 바다가 펼쳐진 아름다운 자연 환경과, 서산 사람들의 여유롭고 은근한 멋과 정취가 어우러져 고유한 독자성을 지니며 생명력을 유지해 오고 있다.

[고전 문학]

서산 문학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신라의 독보적 문인이자 한국 한문학의 시조(始祖)로 불리는 최치원은 이 지역에 태수로 부임하면서 서산 문학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으며,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고려 시대의 문인으로는 김주정(金周鼎), 정인경(鄭仁卿), 유숙(柳淑) 등이 유명하다. 특히 유숙서거정의 『동문선(東文選)』에 한시 8수가 선택될 만큼 문학성이 뛰어났다.

조선 전기의 문인으로는 유방선(柳方善), 유백유(柳伯濡), 유백순(柳伯淳), 유윤겸(柳允謙) 등이 있다. 그중 유방선은 당나라 시인 두보에 정통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학의 모든 장르에 두루 재능이 있었고, 아들 유윤겸 또한 두시에 밝았다.

조선 후기에는 더욱 다양한 문인들이 서산 문학의 계맥을 이었다.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의 문장가 박홍미(朴弘美)는 자연 친화의 강호가도로 문명을 떨쳤으며, 비슷한 시기에 활약한 한여현(韓汝賢)은 최초의 서산군지 『호산록(湖山錄)』을 저술하여 역사적·문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남겼다. 김홍익(金弘翼)·김홍욱(金弘郁) 형제와 이진백(李震白)은 청렴한 관리로서 뿐만 아니라 문장가로 이름을 떨쳤다. 18세기에 활약했던 오청취당(吳淸翠堂)은 서산으로 시집와서 29세라는 짧은 생애를 마칠 때까지 삶의 희로애락을 절절히 노래한 여류 시인으로 비범하고 섬세한 시 세계를 보여 주며 서산 여류 문학의 장을 열었다.

또한 조선 말기에 유진하(兪鎭河)·민태직(閔泰稷)·김상억(金商億) 등은 한학자로 인재 양성에 힘쓴 문인이다. 이석태(李錫泰)는 20세기 후반까지 활동한 문인이었으며, 청렴한 선비로서 후학을 육성하였고, 「소매고(小梅考)」를 남기는 등 한학에 조예가 깊었다.

[현대 문학]

서산 현대 문학의 초기에 활약한 인물로는 먼저 이종린(李鍾麟)을 들 수 있다. 그는 1910년 단편 소설 「모란봉」을 발표하였고, 『독립신문』 주필, 조선어 학회 표준어사전위원, 동인지 『개벽』 사장을 역임하는 등 서산뿐만 아니라 한국 현대 문학의 기틀을 세운 문인이다. 소설가·수필가·언론인이었던 민태원(閔泰瑗)은 「무쇠탈」, 「서유기」, 「집 없는 아이」, 「부평초」 등 번안 소설로 인기를 얻었으며, 수필 「청춘예찬」은 그의 대표작이 되었다.

시인 윤곤강(尹崑崗)은 1930년대 중앙 문단에서 활약하며 시적 재능을 보여 주었고, 초기 퇴폐적 정서의 시를 창작하다가 광복 전후 전통적 정서를 바탕으로 한 시적 세계로 전향하였다. 시 「나비」와 저서 『시와 진실』은 그의 대표작이다.

아동 문학가 윤석중(尹石重)은 서산 태생은 아니지만 1930년대 초부터 1961년까지 이곳에 적을 두어 서산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그는 1,200여 편의 동시를 지었으며, 그중 800여 편이 동요로 작곡될 만큼 아동 문학계의 독보적 문인이다. 또한 김용돈(金容敦)한담(韓湛)은 한문학 분야에서 서산 문학에 기여한 문인이다.

이렇듯 초기 서산의 현대 문학은 전국적으로 이름을 떨쳤던 문인들의 든든한 토대 위에서 발전을 거듭하였다. 현대 문학을 견인했던 요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동인지이다. 1947년 이생진(李生珍), 이원표(李元杓), 김용만(金容萬) 등을 중심으로 결성한 ‘수라장(修羅場)’ 동인은 광복 후 잠시 주춤했던 서산의 현대 문학에 다시 생기를 불어넣는 역할을 하였다. 이후 1963년 이생진과 윤덕구(尹德九)가 만든 2인 동인지 『문(門)』, 1964년 윤덕구, 송종학(宋鍾學)을 중심으로 만든 동인지 『황인부락(黃人部落)』은 서산 지역 문학 발전에 디딤돌이 되었다.

현재 서산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문학회로는 흙빛문학회, 서산문학회, 한국문인협회 서산지부, 서산여성문학회, 지곡문학회, 갯벌문학회, 마삼말씀 등이 문예지를 통해 활발한 창작 활동과 문학적 교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서산 문학제’와 ‘청소년 문학제’는 백일장을 통해 문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저변을 넓히며, 서산 문학의 정체성을 고양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서산 지역 출신으로 현재 활동하고 있는 시인으로는 시조 시인 조재억(趙載億), 시인 이생진, 김영만(金榮晩)[2009년 작고], 박진환(朴鎭煥), 조재훈(趙載勳), 김수경(金守經), 신미철(申美澈), 김순일(金淳一), 함웅선(咸雄善), 박만진(朴萬眞), 임명희(林明姬), 유병환(柳炳環), 정상덕(鄭祥德), 한수(韓洙), 유구환(柳久桓), 박주택(朴柱澤), 박문식(朴文植) 등이 있다. 또한 소설가 남정현(南廷賢), 권순악(權純岳), 언론인·수필가 안영진(安榮眞), 농민 문학가 권순하(權純河), 동화 작가 조규선(曺圭宣) 등이 서산의 현대 문학을 주도하는 문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