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제시대의 도성. 위례성은 한강을 기준으로 하북위례성(河北慰禮城)과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으로 나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부여계(夫餘系)인 비류(沸流)와 온조(溫祚)의 집단이 남쪽으로 내려와서 건국한 근거지가 위례성이었다고 한다. 이들은 건국한 지 13년만에 하남위례성으로 도읍을 옮겼다고 하므로 처음에 정착한 위례성의 위치는 하북, 즉 한강 북쪽에 있었을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중원구 남단에 자리한 행정동이자 법정동인 하대원동은 공단로를 중심으로 상가와 주택이 밀집해있고, 주택 뒤로는 대원공원과 임야로 이루어져있다. 옛 원터[대원]의 아래쪽이라 하여 하대원이라 부른다. 하대원(下大院)이란 명칭은 이 지역에 고려 중엽인 1225년경에 사원(寺院)이 건립되어 원터 또는 대원이라...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회화나무. 대하초등학교 인근 자이 아파트 옆의 호야 경로당 마당에 있는 수령 2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17m, 가슴높이 둘레 94cm, 수관(樹冠) 폭 13m로, 콩과의 활엽수 교목이다. 원줄기 아래쪽으로 1.8m 부위에서 한 줄기가 갈라져 올라가며, 울룩불룩 굴곡져 올라간 원줄기의 껍질은 세로로 깊게 파여 지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법정동.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운중동에서 관할한다. 판교 택지개발지구의 서판교에 해당하며 관내에 산운마을이 조성되어있다. 하산운동은 인근 운중동의 옛 지명인 산운동(山雲洞)[뫼루니]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아랫 뫼루니라고도 하였다. 즉 국사봉 자락에서 발원하여 탄천으로 흐르는 운중천 하류 지역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및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1년 실시한 토지박물관의 문화유적 지표 조사를 통해 발굴된 하산운동 유물산포지와 2002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지표 조사를 통해 발굴된 하산운동 유물산포지 2 지역의 지역적 분포와 입지가 유사하여 두 지역을 통합한 유물산포지이다. 하산운동 107번지와 산14-1번지 일대의 넓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하산운동 산29-1번지 일대에 분포한다. 지방도 57호선 남쪽의 앞잡골과 두밀 사이에 있는 해발 126.3m의 야산과 그 서쪽의 산사면, 그리고 비교적 넓은 계곡 일대이다. 석운동 야산에서 북동쪽으로 뻗은 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국가지원지방도 57호선과 운중천이 만나는 지점의 남쪽에 있는 건너바닥들 일대에 분포한다. 북쪽의 운중천과 남쪽의 한국식품연구원이 있는 해발 130m의 나지막한 산지성 구릉 사이에 위치한다. 판교 지역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지역으로서 뫼루니 아래쪽이 되므로 아래뫼루니 또는 하산운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두밑을 병합하여 하산운리라 하며,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고 1975년에 낙생출장소에 편입되어 운중동의 관할이 되었다....
-
가정 및 시설물에서 사용하고 난 물을 처리하는 시설. 하수도는 생활이나 사업에 기인하거나 부수되는 오수(汚水) 또는 우수(雨水)를 배제 또는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관, 기타의 공작물과 시설을 총칭한다. 보통 공공(公共) 하수도를 말하며 하수도관, 하수처리장이 있다. 성남의 하수도 시설은 1971년부터 3개년 계획으로 65,550m의 하수도 시설을 추진하기로 하여,...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인성 함양과 기초, 기본 학력을 충실히 다져 이웃과 더불어 즐겁게 봉사하며, 보람 있는 삶을 가꾸는 능력 있는 어린이 양성을 경영 방침으로 하고 있으며, 착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의인, 심신이 건강하며 즐겁게 생활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인성 함양과 기초, 기본 학력을 충실히 다져 이웃과 더불어 즐겁게 봉사하며, 보람 있는 삶을 가꾸는 능력 있는 어린이 양성을 경영 방침으로 하고 있으며, 착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의인, 심신이 건강하며 즐겁게 생활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
지표면에 떨어진 비·눈 등이 모여 산지와 평야를 흘러 바다나 호수로 들어가는 냇물 또는 강. 성남시의 하천과 하계망은 도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탄천(炭川)을 간천(幹川)으로 하여 탄천으로 유입하는 지류하천으로 11개의 준용하천에 해당하는 중천(中川)과 17개의 소천(小川), 그리고 22개의 세천(細川)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천은 경기도 용인시...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이 있는 기념탑. 성남시가 ’86아시아경기대회를 비롯한 각종 세계대회에서 구기종목으로 월등한 성적을 거둔 하키종목의 위업을 기리고 ’88서울올림픽대회에서도 영광을 재현하자는 기원을 담아 1988년 성남시립종합공설운동장 내에 건립한 기념탑이다. 이 기념탑은 성남시립종합공설운동장 내 원형의 기단과 13각의 원형 비대 및 10각의 길쭉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탑동과 사송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과 성남시의 동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탄천으로 유입하는 야탑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준공하였다. 총연장 128m, 교폭 36m이며, 축조 형식은 PC슬라브 방식이다. 하탑교를 지나는 도로는 하탑로로서 탄천 동쪽의 성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행정지명. 구의 북동쪽에 있는 동으로 동쪽의 영장산[매지봉]에서 흘러내린 물줄기가 모여 형성된 야탑천이 야탑3동과 야탑2동을 지나 탄천으로 흘러들어가며, 탄천은 야탑2동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고 있다. 북쪽은 야탑1동, 동쪽은 야탑3동, 남쪽은 야탑3동과 이매1동에 둘러싸여 있고, 서쪽은 수정구 시흥동과 접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동...
-
분당-장지[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에서부터 야탑동 남서울묘원에 이르는 도로. 분당-장지[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 벌말 삼거리에서 동쪽 방향으로 분기(分岐)한 길로서 탄천(하탑교)을 넘어 야탑천과 성남대로를 지나 분당테크노파크(아파트형 공장지구)까지 이르는 길이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3.273㎞이며, 도로 폭은 25~30m, 총면적은 90,007㎡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최선을 다하자' 라는 교훈 아래 스스로 계획하고 책임을 다하며 민주 이념을 실천하는 자주인, 합리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탐구력을 길러 미래를 개척하는 창조인, 인간을 존중하고 예의와 질서를 지키며 협동하는 도덕인, 심신이 건강하며 조화를 이루는 건강인,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과 기본소양을 길러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세계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최선을 다하자' 라는 교훈 아래 스스로 계획하고 책임을 다하며 민주 이념을 실천하는 자주인, 합리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탐구력을 길러 미래를 개척하는 창조인, 인간을 존중하고 예의와 질서를 지키며 협동하는 도덕인, 심신이 건강하며 조화를 이루는 건강인,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과 기본소양을 길러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세계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새로움을 찾아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 더불어 생활하는 예절바른 어린이, 쾌적한 환경을 가꾸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교훈은 실속과 재미를 겸비한 생활을 위한 '알치고 멋지게'이다. 1993년 1월 11일 하탑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1993년 7월 1일에 개교하였으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새로움을 찾아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 더불어 생활하는 예절바른 어린이, 쾌적한 환경을 가꾸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교훈은 실속과 재미를 겸비한 생활을 위한 '알치고 멋지게'이다. 1993년 1월 11일 하탑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1993년 7월 1일에 개교하였으며,...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사설 교육 기관. 법적으로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 이상의 학습자에게 30일 이상의 교습과정(교습 과정의 반복으로 교습 일수가 30일 이상이 되는 경우를 포함)에 따라 지식, 기술, 기능, 예능을 교습하거나, 30일 이상 학습 장소로 제공되는 시설을 말한다. 과외 교습을 위한 교습소는 법적인 용어로서의 학원 범주에서 제외되나, 넓은 의미에서 교습소도...
-
성남무용단이 1992년 제1회 전국무용제에서 발표한 무용작품 한국무용협회와 문예진흥원 공동주최로 1992년 9월 23일부터 10월 1일까지 9일동안 부산문화회관 대강당에서 제1회 전국무용제가 개최되었다. 서울을 제외한 전국 14개 시·도에서 각 1개 단체가 참여한 이 전국 무용제에는 현대무용 4개 단체, 한국무용 9개 단체, 발레 1개 단체 등 총 14개 단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과 의왕시 청계동의 경계가 되는 고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서쪽에서 의왕시 청계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의왕시에서는 학고개 또는 학현이라 부르는데, 운중동에서는 하오개·하오고개·화의고개 등으로 불린다. 조선 말기에 천주교도들이 박해를 피하여 학현 좌우에 숨어 살았다고 하며, 고개 너머 청계동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자...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순(子順). 조부는 개국공신이고 영의정을 역임한 한상경(韓尙敬)이고, 아버지는 관찰사를 역임한 한혜(韓惠)이다. 1435년(세종 17) 성균관에 입학하였고 1441년 진사과에 급제하고, 1448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가 되었다. 이후 7년간을 집현전에서 연구하였다.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음덕으로 벼슬길에 올랐으나 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계희의 묘. 한계희[1423~1482]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 자는 자순(子順)이다. 관찰출척사 한혜(韓惠)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성달생(成達生)의 딸이다. 부인 함양여씨(咸陽呂氏) 사이에 7남매를 두었다. 훈구파에 속하는 유학자로 세조의 신임을 받아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465년에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계희의 묘. 한계희[1423~1482]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 자는 자순(子順)이다. 관찰출척사 한혜(韓惠)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성달생(成達生)의 딸이다. 부인 함양여씨(咸陽呂氏) 사이에 7남매를 두었다. 훈구파에 속하는 유학자로 세조의 신임을 받아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465년에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둔전동 성남비행장에서 격년으로 개최되는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한국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는 국무총리를 명예대회장으로 국방부, 산업자원부장관과 건설교통부장관을 공동대회장으로 하는 범정부적인 행사로, 세계 각국의 항공 무기 체계를 비롯한 지상, 해상의 첨단 무기 체계까지 전시되어 첨단 항공기 및 방위산업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었던 천연 가스 공급 관련 공기업. 가스를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1983년 설립한 공기업으로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해 있었으나 2014년 10월 대구 신서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 천연 가스의 제조·공급 및 그 부산물의 정제·판매, 생산 기지와 공급망의 건설·운영, 천연 가스와 액화 석유 가스의 개발·수출입 등의 업무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위치한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성남 조직. 가난한 자, 약자 등 번민하는 이웃의 편에서 이들의 인권 옹호에 필요한 법률 구조 사업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가정의 평화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1987년 9월 4일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성남지부를 설립하였고, 1997년 11월에 사무소를 분당구 서현동 삼성플라자로 옮겼다. 1999년 10월 성...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국악 단체. 한국국악협회 성남시지부는 1979년 창립하여 성남국악제와 성남학생국악경연대회를 비롯하여 국악한가위큰잔치, 장수무대, 근로자를 위한 국악 한마당 등을 연례사업으로 주관하는 등 성남시를 대표하는 공인 국악 단체다. 한국국악협회 성남시지부는 성남 지역 국악의 발전과 정착을 위하여 1979년에 창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노동자 단체. 성남시, 광주시, 하남시 지역 내 노동자들의 지위와 역할을 향상하고 공통된 권익을 증진시킴과 함께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의 운동방침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 치하에서부터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독립을 위한 노동운동과 노동자 권익을 위해 일하던 각 노동자 단체들은 1946년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을 결성하고 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에 있는 농아인을 위한 복지 단체. 농아인들의 재활 및 자립을 도모하고 완전한 사회 참여와 실현을 위해 설립된 사단법인 한국농아인협회의 성남지역 본부이다. 사단법인 한국농아인협회 경기도협회 성남시지부는 농아인 복지와 관련된 제반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농아인들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고 권익을 대변하며 완전한 사회...
-
한국 무도계에서 30여 년간 활동해 온 박효를 중심으로 일부 프로 무도인들이 경기 위원회의 성격을 지닌 단체. 1998년 7월 첫 출발을 하게 되었다. 전문적 기능인들의 모임인 한국 댄스 스포츠 연합회에는 박효, 현 탑 아티스트의 회장인 이회진, 아메리칸 댄스 연합회 회장인 ALEX KIM 등이 있고, 이후 전·현직 챔피언들이 모임을 가짐으로써 점차 협회적 성격을 지니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디자인 교육기관. 한국디자인진흥원은 디자인을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 설립된 준정부기관으로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람회 개최, 굿디자인(GD) 상품 선정, designDB.com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설립목적은 우리 산업의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디자인 인프라를 확보하...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무용 단체. 한국무용협회 성남지부는 1985년 4월 25일 정금란이 주도하여 창립된 성남 무용계를 대표하는 공인 무용 단체로 성남 지역 무용 예술의 발전과 국내외 무용 예술의 교류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1986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부 창립 시 회원 단체로 참가하여 현재까지 성남 지역 문화 예술계와의 연계와 교...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대표적인 문학 단체.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는 성남이 시로 승격된 직후인 1975년 창립한 성남을 대표하는 문학 단체로 지역 향토 문학의 발전을 위해 지난 30여 년간 교육, 창작, 문집 발간, 문학 행사, 시상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는 문학성 향상 발전과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작가의 권익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예술단체. 경기도 성남 지역의 미술문화 발전과 향상을 도모하고 문인화가의 위상과 권익을 높이며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협조를 목적으로 설립된 예술단체이다. 2000년 3월 김영실, 최영성, 김인영, 임채옥 등 4인의 회동으로 창립되었는데, 초대 회장에 김영실이 맡았다. 창립 후 2003년까지 매년 회원전을 개최하고 있는데, 2...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미술 단체. 한국미술협회는 민족 미술의 향상 발전을 도모하고, 미술가의 권익을 옹호하며, 국제 교류와 미술가 상호간의 협조를 목적으로 1961년 12월 18일 설립되었으며, 1978년 2월 3일 문화공보부 장관으로부터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설립 허가(제317호) 되었다. 현재 서울을 비롯하여 광역자치단체에 지회를 두고 있으며...
-
한국의 민족·역사·자연·생활·사회 등 한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집대성한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총 면수 24,748면, 항목 수 6만 5천여 개, 사진 및 지도 도면 등 도판자료 4만여 종이 수록된 총 27권의 거대한 분량의 백과사전이다. 편찬의 기본방침은 한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정리·집대성하여 새로운 민족문화 창조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 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2동에 있는 미술인 단체. (사)한국민족미술인협회 성남지부는 민족 문화와 민족 미술의 발전을 지향하는 성남 지역 미술인들의 상호 연대와 공동 실천을 통하여 한국 예술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족 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2003년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성남지부 시각매체위원회 미술분과로 출발하여 활동 중 2006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성남 문화 예술인들의 연합 단체.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성남지부는 활동 기간이 오래되지 않았지만 젊은 활동가들의 노력 속에 각계 시민 사회 단체와 연대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인권영화제, 백중제 등 주민들을 찾아가는 문화 행사를 진행하면서 성남문화재단, 성남예총, 성남문화원과 함께 지역의 주요한 문화 예술 단체로 자리매김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사설 평생 교육 기관. 학점 은행제를 통한 학위 취득과 사회 복지사·가정 폭력 상담원 등의 국가 자격 취득이 가능한 인증 교육 기관이다. 한국복지문화교육원은 지역 주민들에게 평생 교육의 동기를 부여하고 사회 교육의 근본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4년 8월 일반 사회 교육 시설 설치를 승인 받아 고려사회문화교육원...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 회원의 사진 작품전.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는 1988년 3월 31일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 발기총회를 개최하고, 4월 9일 창립이 인준되어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 회원단체가 되었다. 성남종합예술제와 병행하여 성남사진작가 회원전을 연례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성남시 문화 예술의 발전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서예인 단체 성남 서예인의 친목을 도모하고 서예문화의 발전과 국제교류를 통하여 국위 선양을 목적으로 창립한 문화단체이다. 1999년 7월 12일 초대 강복영 회장 주도하에 성남의 문화 발전과 정신 함양을 목표로 하여 결성하였다. 창립 4년만인 2003년 11월 22일부터 5일간 성남시 여성문화회관 전시실에서 창립전을 개최하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서예단체. 한국서예협회 산하 기관으로 성남시 지역의 서예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1994년 10월 3일 유경식, 신재묵, 최영성, 심창섭, 백양묵 등 5인이 성남지역 서예문화의 창달과 대중성 모색, 그리고 서예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목적으로 창립하였다. 초대 회장 박선각(1995~1996) 이후 2대 신재묵(19...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석유 관리 전문 법정 기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제25조 2항에 따라 설립된 한국석유관리원은 석유 및 석유 대체 연료의 품질·유통 관리, 연구 개발, 시험 조사 등을 수행하는 법정 기관이다. 한국석유관리원은 공익법인의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석유 제품의 연구 개발, 시험 조사와 석유 제품에 대한 품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석유 관리 전문 법정 기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제25조 2항에 따라 설립된 한국석유관리원은 석유 및 석유 대체 연료의 품질·유통 관리, 연구 개발, 시험 조사 등을 수행하는 법정 기관이다. 한국석유관리원은 공익법인의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석유 제품의 연구 개발, 시험 조사와 석유 제품에 대한 품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석유 관리 전문 법정 기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제25조 2항에 따라 설립된 한국석유관리원은 석유 및 석유 대체 연료의 품질·유통 관리, 연구 개발, 시험 조사 등을 수행하는 법정 기관이다. 한국석유관리원은 공익법인의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석유 제품의 연구 개발, 시험 조사와 석유 제품에 대한 품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에 있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복지 단체.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경기도지부 성남지회는 성남시에 거주하는 3,500여 명의 시각 장애인들의 생산적 복지와 회원들의 권익, 복리 증진을 위해 조직된 복지 단체이다.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경기도지부 성남지회는 시각 장애인이 헌법에 명시된 평등권에 의한 법적 지위 향상...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에 있는 신장 장애인을 위한 복지 단체. 만성 질환의 환자로만 여겨졌던 신장 장애인은 2000년부터 지속적인 치료와 재활을 통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장애인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사단법인 한국신장장애인연합회 경기협회 성남지부는 신장 장애인에 대한 국가의 의료비 지원부터 교육·취업 지원 등 신장 장애인들의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결성된 비영...
-
경기도 성남시에 활동하고 있는 연극 단체. 한국연극협회 성남지부는 1985년 성남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극인들이 모여 결성한 성남 연극 단체 및 성남 지역 극단을 대표하는 공인 연극 단체다. 한국연극협회 성남지부는 성남 지역의 연극과 문화 예술 진흥은, 연극 저변 확대와 회원 상호간의 친목 도모를 위해 설립하였다. 한국연극협회 성남지부는 1...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3동에 있는 대중 문화예술 단체. 한국연예협회 성남지부는 1986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부에 가입한 이후 회원 간의 친선과 단결로 연예인의 활동 무대 확장과 더불어 성남 지역 문화 예술 발전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한국연예협회 성남지부는 연예 예술의 발전과 향상을 도모하고, 회원 간의 친선과 단결로 사회적 지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영화 단체. 한국영화인협회 성남지부는 성남에 거주하고 있는 영화인들의 모임으로 성남 지역 주민을 위한 각종 영화 상영회를 주관하고 있는 성남의 대표적인 영화인 단체다. 한국영화인협회 성남지부는 노인 복지 사업 및 청소년 여가 선용 등 성남 시민의 건전한 여가 선용 및 시민 문화 정착에 이바지하고자 창단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2동에 있는 문화 예술 단체.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는 문인, 국악, 무용, 연예, 연극, 음악, 미술, 사진작가, 영화인 등 9개 회원단체로 구성되어 성남시 예술 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해온 성남을 대표하는 문화 예술 단체라 할 수 있다.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는 예술 문화인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회원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외국인 학교. 학생들에게 교육에 대한 열정을 높이고, 국제 사회에서 성공에 필요한 능력과 자신감, 독창성, 창의성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외국인학교는 1999년 2월 27일 설립 인가되어 2000년 8월 21일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에 유치원과 6개 학년으로 문을 열었다. 그 후 2001년 2월 7학년과 8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외국인 학교. 학생들에게 교육에 대한 열정을 높이고, 국제 사회에서 성공에 필요한 능력과 자신감, 독창성, 창의성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외국인학교는 1999년 2월 27일 설립 인가되어 2000년 8월 21일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에 유치원과 6개 학년으로 문을 열었다. 그 후 2001년 2월 7학년과 8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직능단체. 국민보건 및 위생수준 향상에 기여, 식품위생 관계 법령에 의한 위임 및 위탁사업 추진, 회원간 화합과 복리 및 권익증진 도모를 위해 조직된 직능단체이다. 식품위생법 제44조 각항에 보건복지부장관 설립허가 제7317호로 설립되었다. 1971년 8월 1일 광주군 조합에서 분리 발족되었고, 11월 5일 한국음식업중앙회로부터 성남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3동에 있는 직능단체. 국민보건 및 위생수준 향상에 기여, 식품위생 관계 법령에 의한 위임 및 위탁사업 추진, 회원간 화합과 복리 및 권익증진 도모를 위해 조직된 직능단체이다. 식품위생법 제44조 각항에 보건복지부장관 설립허가 제7317호로 설립되었다. 1971년 8월 1일 광주군 조합에서 분리 발족되었고, 11월 5일 한국음식업중앙회로부터 성남...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직능단체. 국민보건 및 위생수준 향상에 기여, 식품위생 관계 법령에 의한 위임 및 위탁사업 추진, 회원간 화합과 복리 및 권익증진 도모를 위해 조직된 직능단체이다. 식품위생법 제44조 각항에 보건복지부장관 설립허가 제7317호로 설립되었다. 1971년 8월 1일 광주군 조합에서 분리 발족되었고, 11월 5일 한국음식업중앙회로부터 성남시...
-
경기도 성남시 음악계를 대표하는 공인 음악 단체.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는 성남시 초기 많은 성남의 음악인들의 활동 무대가 서울이었으므로 지역 음악 발전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1987년 10월 24일 성남 음악계를 대표하는 음악 단체로 창립되면서 성남 음악 활동의 전환기를 가져왔다. 음악인들의 화합과 결속의 구실점이 되어 지금까지 지역 음악 발전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장애인부모회 산하 장애인 복지 단체. 1996년 정신 지체인의 권익 보호를 위한 성남부모회로 시작하여 정신 장애, 발달 장애, 시각·청각·뇌성 마비 등 본인 스스로 권익 옹호가 힘든 장애 자녀를 대변하기 위해 1999년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부모회 성남시지부로 출범하였다. 장애 자녀를 둔 성남시 거주 부모들이 하나가 되어 자녀 양육 및...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장애인부모회 산하 장애인 복지 단체. 1996년 정신 지체인의 권익 보호를 위한 성남부모회로 시작하여 정신 장애, 발달 장애, 시각·청각·뇌성 마비 등 본인 스스로 권익 옹호가 힘든 장애 자녀를 대변하기 위해 1999년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부모회 성남시지부로 출범하였다. 장애 자녀를 둔 성남시 거주 부모들이 하나가 되어 자녀 양육 및...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협동 조합.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은 전기기기 및 관련 부품 제조자들의 협동조합으로 조합원들의 권익 보호, 공동 사업 확대, 신기술 개발 및 해외 사업 촉진 등을 위한 사업을 하고 있다. 전기 기기 및 동 부품 제조자가 상부상조 정신에 의거한 협동사업을 행함으로서 경제적인 사회 균등과 자주적인 경제 활동을 조장하여 균등 발전 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정보 통신 관련 민영 기업. 1981년 12월 한국전기통신공사법(1981.3.21)에 의거하여 설립되어 2002년 5월 민영화된 정보 통신 및 IT기업이다. 1981년 12월 전기 통신 사업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통신 부분을 분리하여 한국전기통신공사를 설립하였다. 창립 초기 통신 대중화를 위해 전화 시설 공급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에 있는 공예 진흥을 위한 단체. 사단법인 한국전통민속공예협회는 전통공예 기술 산업에 관한 종합 정보 센터의 역할을 하면서 공예인 상호간의 발전 기회를 넓혀 후진 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경기도 성남시의 민속공예 전통 고유 기술의 계승 발전과 보호 육성 및 진흥을 도모하며 성남시 공예인들의 공예 발전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한국 문화의 심층 연구 및 교육을 수행하는 정부 출연 연구 기관.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을 진흥하기 위하여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위치하고 있다. 1978년 6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육성법에 따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설립되었다가 2005년 1월 한국학중앙연구원육성법이 공포되면서 한국중앙연구원으로 명칭이 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공공기관. '한난'을 약칭으로 한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주거 및 상업지역 등에 대한 집단에너지 공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된 공기업이다. 집단에너지 사업의 효율적 수행을 통하여 기후변화협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에너지 절약 및 국민생활의 편익 증진을 설립목적으로 한다. 1985년 11월 한국지역난방공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에 있는 지체 장애인을 위한 복지 단체. 1990년 사단법인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성남시지회의 설립이후 성남시 장애인종합복지관을 위탁 운영하는 등 장애인 복지를 위해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사단법인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성남시지회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 인식 개선, 장애인의 사회 참여 확대와 재활·자립을 통한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2동에 있는 사회 복지 단체. 한국참사랑복지회는 1991년부터 성남 빈민복지상담소를 시작으로 성남 지역의 소외된 이웃들의 아픔과 기쁨을 함께 하고,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 지역 사회 복지 네트워크의 중심 기관으로서 관심밖에 놓여있는 노인 복지 중심의 통합적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한국참사랑복지회는 성남 주민들의 복지와 권익...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시민사회단체. 성남지역의 민주발전 및 청년들의 사회적 성장과 7천만이 번영하는 민족공동체 실현을 위해 노력하며, 나아가 세계인류와 함께 전 세계적 평화의 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1995년에 성남청년광장이라는 청년단체로 창립하여 활동하였다. 1999년에 한국청년연합회(Korea Youth Corps) 설립과 함께 성남청년광장은 한국청...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정보 통신 관련 민영 기업. 1981년 12월 한국전기통신공사법(1981.3.21)에 의거하여 설립되어 2002년 5월 민영화된 정보 통신 및 IT기업이다. 1981년 12월 전기 통신 사업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통신 부분을 분리하여 한국전기통신공사를 설립하였다. 창립 초기 통신 대중화를 위해 전화 시설 공급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정보 통신 관련 민영 기업. 1981년 12월 한국전기통신공사법(1981.3.21)에 의거하여 설립되어 2002년 5월 민영화된 정보 통신 및 IT기업이다. 1981년 12월 전기 통신 사업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통신 부분을 분리하여 한국전기통신공사를 설립하였다. 창립 초기 통신 대중화를 위해 전화 시설 공급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노동부 산하 기능인 양성 특수대학. 한국폴리텍I대학은 청소년의 생애 능력 개발과 평생 직업을 책임지는 대학을 목표로 최신 시설 및 장비를 갖춘 첨단 교육 구현을 목표로 한다. 1976년 12월에 설립된 성남직업훈련원이 그 모태이다. 기능인 양성을 목적으로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소지자를 선발하여 교육하던 성남직업훈련원[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대학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은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로 우리 역사와 문화를 깊이 연구함과 아울러 세계성을 지닌 자체 이론을 개발하고 새로운 민족 문화 창조를 선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학과 관련된 인문·사회과학 분야를 연구하여 한국 문화의 정수를 계발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한국 문화의 심층 연구 및 교육을 수행하는 정부 출연 연구 기관.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을 진흥하기 위하여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위치하고 있다. 1978년 6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육성법에 따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설립되었다가 2005년 1월 한국학중앙연구원육성법이 공포되면서 한국중앙연구원으로 명칭이 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대학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은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로 우리 역사와 문화를 깊이 연구함과 아울러 세계성을 지닌 자체 이론을 개발하고 새로운 민족 문화 창조를 선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학과 관련된 인문·사회과학 분야를 연구하여 한국 문화의 정수를 계발하고...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주 여성과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글짓기 행사. 다문화가정이란 우리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을 통칭하며 국제결혼 가정과 이주 노동자 자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이 겪는 어려움으로는 언어 의사소통 문제가 가장 크고, 그로 인한 가정 폭력 문제나 사회 적응의 곤란, 신분상의 불안, 문화적 갈등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성문(聖聞). 한종설(韓宗說)의 양자로 생부는 한종억(韓宗億)이다. 조부는 한몽상(韓夢相)이고 증조부는 한후명(韓厚明)이고 외조부는 이증(李增)이다. 31세 때인 1735년(영조 11)에 을묘(乙卯) 식년시 병과(丙科) 11위로 급제하여 도사(都事)를 거쳐, 통훈대부(通訓大夫) 병조정랑(兵曹正郞)을 지내고, 춘추관(春秋館)·기주관(...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근지(謹之). 호는 호암(湖庵)이다. 아버지는 한종호(韓宗浩)이다. 증조부는 한진명(韓晉明)이고 조부는 한경상(韓慶相), 외조부는 이도천(李道天), 처부는 오명삼(吳命三)이다. 1762년(영조 38)에 진사시에, 33세였던 1767년(영조 43)에 정시 문과 을과 1위로 급제하였다. 알성(謁聖)할 때 보인 제술 시험에서 차등(次等)...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야외 공연장에서 개최되는 문화 예술 축제. 분당구민한마음축제는 구민들의 정서 함양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분당구청을 비롯한 19개 동 행정복지센터와 분당구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아리들이 준비하고 공연하는 문화예술축제이다. 분당구민한마음축제는 분당구민 모두가 한마음으로 함께 준비하고 참여하는 분당구의 특화 축제로 승화시켜 e-푸른성남의...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욱재(泮哉), 호는 율헌(栗軒)이다. 한석(韓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지원(韓智源)이고, 아버지는 참판 한술(韓述)이며, 어머니는 이운(李韻)의 딸이다. 1606년(선조 39) 진사가 되고, 문음(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으로 입사(入仕)하여 충무위사과(忠武衛司果), 호조좌랑을 거쳐, 현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명욱의 묘 및 묘갈. 한명욱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67년(명종 22)~1652년(효종 3)에 걸쳐서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욱재(勗哉), 호는 율헌(栗軒)으로, 참판 한술(韓述)의 장남이다. 처음 음사로 관직에 나아가 현감(縣監)까지 하였으나 그만두고 송강(松江) 정철(鄭澈), 우계(牛溪) 성혼(成渾)...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명욱의 묘 및 묘갈. 한명욱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67년(명종 22)~1652년(효종 3)에 걸쳐서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욱재(勗哉), 호는 율헌(栗軒)으로, 참판 한술(韓述)의 장남이다. 처음 음사로 관직에 나아가 현감(縣監)까지 하였으나 그만두고 송강(松江) 정철(鄭澈), 우계(牛溪) 성혼(成渾)...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직재(直哉), 직경(直卿)이고, 참판 한술(韓述)의 차남이다. 어려서 형 명욱(明勗)을 따라 정철(鄭澈)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06년(선조 39)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611년(광해군 3)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다. 이어 상서원직장으로 옮겼다. 그 후 통훈대부에 올라 통례원인의 겸 한성부참군이 되었다. 묘소는 성남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명직의 묘. 한명직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76년(선조 9)~1613년(광해군 5)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직재(直哉) 또는 직경(直卿)으로, 참판 한술(韓述)의 차남이다. 1606년(선조 39)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611년(광해군 3)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다. 이어 상서원직장(尙瑞院...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명직의 묘. 한명직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76년(선조 9)~1613년(광해군 5)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직재(直哉) 또는 직경(直卿)으로, 참판 한술(韓述)의 차남이다. 1606년(선조 39)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611년(광해군 3)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다. 이어 상서원직장(尙瑞院...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국악 단체. 민간 전문 국악 단체인 한민족예술원은 단원을 비롯하여 일반 회원까지 100여명에 이르는 회원이 국악 전반의 다양한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국악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자라나는 미래의 기둥들에게 민족 예술이 지니고 있는 멋과 신명, 민족혼을 일깨워주기 위한 교육 지원 사업을 하고 있으며, 국악 기초 과정을 거쳐 간 강...
-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 한순회의 장남으로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월북한 인물. 한백건은 한순회의 장남으로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한순회가 일제시대 천도교에 전념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역정에 일정 부분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장남 한백건을 비롯한 네 형제들이 3.1운동과 신간회 광주지회의 지회장으로 활동한 부친의 감화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한순회는...
-
1881년(고종 18)~1950년. 돌마면 만세시위를 주도한 후 민족협동전선 운동인 신간회 지회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한백봉은 1881년(고종 18)에 한란의 29세 손으로 태어났다. 자는 성의(聖儀), 호는 송헌(松軒)이며 본관은 청주이다. 1919년 당시 39세로 광주군 돌마면 율리에 거주하였으며 생업은 농사였다. 돌마면의 유지로 활동하며 3.1만세 시위운동을 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백봉의 묘. 한백봉[1881~1950]은 1919년 3.1운동 때 광주군 돌마면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인물로, 본관은 청주, 자는 성의(聖儀), 호는 송헌(松軒) 또는 벽송(碧松)이며, 한영회(韓榮會)의 3남이다. 1890년경부터 10여 년 간 분당리(盆唐里)에서 진사 서상만(徐相晩)의 문하에서 한문을 수학하고, 190...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백봉의 묘. 한백봉[1881~1950]은 1919년 3.1운동 때 광주군 돌마면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인물로, 본관은 청주, 자는 성의(聖儀), 호는 송헌(松軒) 또는 벽송(碧松)이며, 한영회(韓榮會)의 3남이다. 1890년경부터 10여 년 간 분당리(盆唐里)에서 진사 서상만(徐相晩)의 문하에서 한문을 수학하고, 190...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사렴(士廉)이고, 좌찬성 한계희(韓繼禧)의 넷째 아들이다. 1480년(성종 11) 처음 별제에 제수되고, 이어 의금부도사를 거쳐 주부, 좌랑을 역임하였다. 그 후 조봉대부에 올라 상의원별좌와 부정, 정을 역임하였다. 1503년(연산군 9) 1월 4일에는 전주판관(全州判官)을 지낼 때에 외사촌형인 여자신(呂自信)이 전라도 관찰사(全羅...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사개의 묘. 한사개[1453~1521]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렴(士廉)이다. 한계희(韓繼禧)의 넷째 아들이다. 1480년(성종 11) 별제(別提)에 제수되었으며, 이후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승진하여 영흥부사(永興府使)와 해주(海州), 광주(廣州), 진주(晉州) 등지의 목사(牧使...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서평군(西平君) 한계희의 둘째 아들이다. 1467년(세조 13) 음사[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로 종사랑에 제수되어 문소전참봉(文昭殿參奉)이 되고, 1487년(성종 9) 중직대부에 올라 통례원인의가 되었다. 이듬 해 사헌부감찰, 개성부도사를 거쳐 예빈시판관이 되고, 1481년(성종 12) 통훈대부가 되어 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한사무의 묘. 한사무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52년(문종 2)~1482년(성종 13)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로, 서평군(西平君) 한계희(韓繼禧)의 둘째 아들이다. 배위(配位)는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원주변씨(原州邊氏)이다. 1467년(세조 13) 음사(蔭仕)로 종사랑(從仕郞)에 제수되어 문소전(文昭殿)...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한사무의 묘. 한사무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52년(문종 2)~1482년(성종 13)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로, 서평군(西平君) 한계희(韓繼禧)의 둘째 아들이다. 배위(配位)는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원주변씨(原州邊氏)이다. 1467년(세조 13) 음사(蔭仕)로 종사랑(從仕郞)에 제수되어 문소전(文昭殿)...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예(子藝). 할아버지는 함길도관찰사 한혜(韓惠)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익대좌리공신(翊戴佐理功臣) 한계희(韓繼禧)이며, 어머니는 증호조참판 여계(呂稽)의 딸이다. 공신의 자제로서 1462년(세조 8) 음보(蔭補: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로 문소전지기(文昭殿直)에 임명된 뒤 세자익위사세마 겸 선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사문의 묘. 한사문(韓斯文)[1446~1507)의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예(子藝)이다. 한계희(韓繼禧)의 장남이다. 1462년(세조 8년) 음보(蔭補)로 문소전직장(文昭殿直長)이 되고 이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1495년(연산군 1년) 가선대부(嘉善大夫)가 되고 아버지의 봉작을 물려받아 서천군(西川君)...
-
분당구 서현동 된섬말에서 세거하는 성씨. 분당구 수내동 너머역말에 최초로 정착한 봉화현감을 지낸 봉화공 이장윤(李長潤)[1455~1528]은 성균관 대사성 이우(李堣)의 아들이다. 이장윤이 죽자 그의 손자 토정 이지함(李之函)[1517~1578]이 마을 뒤 영장산에 자리를 잡아 묘를 쓰고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취락이 형성되어 한산이씨 집성촌을 이루었다. 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조선시대에 봉화공 이장윤이 너머역말[지금의 분당구 수내동]에 최초로 정착한 후 그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집성촌을 이루었고, 마을 뒤 영장산 기슭에 한산이씨 묘역을 조성하였다. 한산이씨 묘역입수비는 한산이씨 묘역의 소재를 알림과 동시에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안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한산이씨의 가족 묘역. 조선 중종대의 문신 한산이씨 이장윤(李長潤)[1455~1528]과 그 후손 대대로 묘를 쓴 세장(世葬) 묘역이다. 봉화현감(奉化縣監)을 지낸 이장윤의 묘를 비롯하여 아들 한성군(韓城君) 이질(李秩)[1474~1560]과 충좌위부호군(忠佐衛副護軍) 이정(李程)[1489~1531], 손자 한평군(韓平君)...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조선시대에 최초에 수내동에 정착한 봉화공 이장윤[1455~1528]과 그의 아들 이질[1473~1560], 손자 이지숙 등 한산이씨 3세의 사적을 기록한 비이다. 한산이씨 삼세유사비는 1728년(영조 4) 11월에 건립되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내에 탄천을 바라보고 남서향하여 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한산이씨 묘역의 소재를 알림과 동시에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세운 비로, 묘역이 위치한 영장산의 동쪽·서쪽·북쪽 산자락에 세워져 있었다. 그러나 분당신도시의 건설로 인해 원래의 위치에서 묘역 부근으로 이전·복원되었다. 한산이씨 세장산비1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중앙공원 내의 영장대(靈長臺)라 이름 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한산이씨 묘역의 소재를 알림과 동시에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세운 비로, 묘역이 위치한 영장산의 동쪽·서쪽·북쪽 산자락에 세워져 있던 세장산비 중 하나이다. 한산이씨 세장산비2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중앙공원에서 분당구청을 정면에 바라보며 도로와 인접한 횡단보도 변에 서북향하여 있다. 한산...
-
신라시대에 경기도 광주 지방에 배치하였던 지방군부대. 신라는 551년(진흥왕 12)에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가 점유하고 있던 한강유역을 공격하였는데, 백제군이 남북한성(南北漢城)의 6군(郡)을 수복하고, 신라군은 고현(高峴)[지금의 철령] 이남의 10군을 취하였으며, 553년에는 신라가 백제의 점령지까지 탈취하여 그곳에 신주(新州)를 설치하고 신주정(新州停)이라는 군단을...
-
신라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명칭. 삼국통일 직후에 완성된 이른바 9주(州)의 하나로서, 지금의 황해도와 경기도 및 충청도 일부지역을 포함하는 범위이다. 신라는 553년(진흥왕 14) 7월에 백제로부터 한강 유역을 빼앗아 신주(新州)를 설치하였는데, 이것이 4년 후인 557년에 북한산주(北漢山州)로, 다시 568년에는 남천주(南川州)로, 그리고 604년(진평왕 26)에는 북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주민생활공동체. 생명가치 존중을 바탕으로 생산된 먹을거리와 생활용품을 생산자와 직접 교류하며 모심과 살림의 생활양식을 바탕으로 우리가 사는 지역을 생태적인 삶터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2년 3월 23일에 분당과 수지의 조합원들이 모여 한살림 서울생활협동조합 분당지부를 창립하여 활동하였다. 2005년 1월에 수지지역을 분리하고 성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석(韓碩)의 묘. 한석[1479~미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문정공(文靖公) 한계희(韓繼禧)의 손자이며, 삼등현령(三登縣令) 한사신(韓士信) 둘째 아들이다. 1518년(중종 13)에 경상좌도수사와 교동수사를 지내고 1534년(중종 29)에 좌위장을 거쳐 가선대부 훈련원 도정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종합건설회사. 1971년 4월 15일 설립된 (주)한성은 주택자재제조, 주택분양 및 임대, 토목건축공사 등을 주요 사업내용으로 하는 종합건설업체이다. 1971년 한성프리웨브(주)가 설립되어 판교에 국내 최초로 PC(Precast Concrete)공장을 준공하였다. 1975년 산하에 한국고압벽돌(주)을 설립하였다. 1978년에는 한성프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 '지성(至誠)'이라는 교훈으로, 바른 인성을 함양하고 서로 도우며 봉사하는 협동인, 기초학력을 다지며 스스로 열심히 배우고 탐구하는 실력인, 지식정보화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능동적인 과학인, 자긍심과 민주적 신념 및 주체성이 뚜렷한 자주인 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4년 11월 1일에 각 학년 12개 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지역 사회 복지 기관. 한솔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승가원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는 사회 복지 기관으로 분당구 정자동 한솔마을을 중심으로 다양한 복지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아동발달지원센터, 지역아동센터, 한솔치매노인보호센터 은빛 사랑채를 운영하며 장애아동, 저소득 가정의 아동, 치매 노인에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지역 사회 복지 기관. 한솔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승가원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는 사회 복지 기관으로 분당구 정자동 한솔마을을 중심으로 다양한 복지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아동발달지원센터, 지역아동센터, 한솔치매노인보호센터 은빛 사랑채를 운영하며 장애아동, 저소득 가정의 아동, 치매 노인에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초등학교. 깊이 생각학고 바르게 실천하는 슬기로운 어린이라는 교훈으로, 예의바르고 더불어 사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소질을 기르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학고 탐구하는 어린이, 건강하고 명랑한 어린이를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4년 2월 28일 정자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같은해 6월 1일에 개교하는데, 초대 교장에 박남규가 취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숙의 묘표. 한숙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91년(숙종 17)~1708년(숙종 34)에 걸쳐서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달부(達夫, 建夫)로, 한선경(韓善慶)의 아들이다. 재예(才藝)가 있었으나 천연두로 요절하였다. 부인인 유인(孺人) 광산김씨는 김응서(金應瑞)의 조카 딸이다. 묘표는 한지원(韓智源) 묘소 바...
-
3·1운동 때 돌마면의 만세운동을 주도하고, 신간회 광주지회에서 활동한 성남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보경(輔卿), 호는 제암(霽菴)이다. 한진기의 셋째 아들로 평택군 포승면 내기리에서 출생하여 광주군 돌마면 율리[현재의 성남시 분당구 율동]의 한영우에게 입양되었다. 어려서 한영창으로부터 한학을 수학하여 일찍이 한학 칠경서(七經書)에 통달하였다. 국권피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순회의 묘. 한순회[1885~1964]는 1919년 3.1운동 때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인물로, 본관은 청주, 호는 제암(霽菴)이다. 신간회 광주지회장으로서 일본제국주의의 멸망을 기원하는 특별기도회를 추진하였고, 이 사건으로 일본 관헌에 구속되어 고초를 당하였다. 1993년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다. 한순회 묘는...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선(子善), 호는 도곡(陶谷)이다. 한사신(韓士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석(韓碩)이고, 아버지는 교리 한지원(韓知源)이며, 어머니는 윤박(尹璞)의 딸이다. 어려서 문장에 힘썼으며, 고시(古詩)로 이름이 높았다. 1570년(선조 3) 진사시에 1등으로 합격하고, 1580년에 알성문과 을과에 급제하였으며, 1596년에는 중시에 급제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술 묘. 한술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41년(중종 36)~1616년(광해군 8)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자선(子善), 호는 도곡(陶谷)으로, 한지원(韓智源)의 장남이다. 1570년(선조 3) 사마시에 1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80년(선조 13) 알성시에 을과로 급제한 후, 1592년(선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술 묘. 한술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41년(중종 36)~1616년(광해군 8)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자선(子善), 호는 도곡(陶谷)으로, 한지원(韓智源)의 장남이다. 1570년(선조 3) 사마시에 1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80년(선조 13) 알성시에 을과로 급제한 후, 1592년(선조...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인숙(仁叔)이고, 판관 한사무(韓士武)의 장남이다. 1501년(연산군 7) 음사(蔭仕: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받은 벼슬)로 전함사별제(典艦司別提)가 되고, 1504년 통선랑에 올라 이듬해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1506년(중종 1) 종묘서령에 옮겼다가 같은 해 호조정랑이 되었다. 1513년(중종 8) 군기시판관, 선공감주부를 거...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형부(亨夫)이고, 판관 한사무(韓士武)의 차남이다. 1507년(중종 2) 사마시에서 장원하여 중종으로부터 곧 바로 전시 응시의 특명이 내려져 그 해 식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종부시정이 되었다. 그 뒤 성주목사로 나갔다가 1515년(중종 10) 상의원정이 되고, 1520년(중종 15) 봉상시첨정이 되었다. 묘소는 서현동에 있다....
-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대형교회 1977년 서울 강남의 신반포 지구에서 이중표 목사에 의해 개척교회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독자적인 건물이 없어 신자들의 집에서 예배 모임을 갖는 다락방 교회 형태를 취했다. 1980년부터는 4개의 다락방 교회가 연합하여 임대 건물에서 예배를 드렸으며 그후 교세 확장과 더불어 그곳에 대규모의 독자적인 교회당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2동에 있는 복합 상영관. 롯데시네마에서 운영하는 복합 상영관의 하나로 쇼핑센터인 세이브존[구 한신코아]과 식당가가 연결되어 있고 지하철 8호선 단대오거리역 인근에 위치해 교통이 편리하다. 롯데시네마 성남신흥관은 성남 시민들의 영화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영화 선택의 폭을 다양화시키고 최상의 영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1996년 6월...
-
어느 동네에나 반푼이가 있고, 말이 어눌한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지석태는 같은 동네의 철없던 고등학생 형을 기억한다. 조금은 한심스런 형이었다. “나이가 분명히 많은 형이었는데. 되게 차이 났어요. 키도 컸고. 저희는 초등학생이었는데 그 형은 고등학생인가 그랬어요. 저희들하고 같이 놀아요. 그 형이 이해가 안 돼요. 수준이 낮은 건지. 그때는 아무렇지 않았는데 지금 생각하면 그...
-
1867년(고종 4)~?. 북경 동서동 직문대로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한 인물. 한영복은 1867년에 출생하였으며 거주지는 광주군 돌마면 분당리 44번지로 나타난다. 성장 과정은 정확하게 추적하기 어렵지만 1914년에 북경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한영복의 호는 유농(有農) 또는 남농(南農)으로 불리었으며 일명 세량(世良)으로 지칭되기도 하였다. 돌마면 분당리에...
-
염씨는 여름휴가를 가본 적이 없다. 어려울 때는 어려워서, 장사가 잘 될 때는 바빠서 못 다녔다. 장사하고, 돈 버는 일 외는 별다른 취미도 여가생활도 없었다. 친목회 일 이외에는, 시장 밖 나들이를 하는 경우도 흔치 않았다. 85년도에 상가 사람들이 모여 한우리라는 친목회를 만들었다. 꽃집 사장님도, 고춧집 사장님도, 옆에 앞에, 앞에 옆에 다 해서 열 몇 사람이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교회. 한울교회는 1992년 설립되어 1994년 분당으로 이전한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의 교회이다. 1992년 2월 두 가정이 주축이 되어 분당신도시에 교회를 개척하기 위해 기도회가 열렸으며, 10월 대한예수교장로회 동평양노회로부터 한울선교교회 설립 인가를 받았다. 11월에 서울 강남구 신사동 임시 예배처에서 창립 예배...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시익(時益)이고, 좌의정 한효순(韓孝純)의 다섯째 아들이다. 음사(蔭仕)[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으로 받은 벼슬]로 감역이 되고, 1616년(광해군 8)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이듬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정자가 되고 이어서 전적을 거쳐 홍주현감이 되고 그 뒤 도사가 되었다. 묘소는 분당구 서현동 선영(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전의 묘. 한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609년(광해군 1)~1688년(숙종 14)에 걸쳐 살았던 사람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치숙(治叔)이며, 증좌승지 한명직(韓明直)의 아들이다. 부인 순흥안씨(順興安氏)는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딸이다. 종묘서(宗廟署)의 부봉사(副奉事)를 지냈다. 묘소는 서현동에서 율동공...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전의 묘. 한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609년(광해군 1)~1688년(숙종 14)에 걸쳐 살았던 사람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치숙(治叔)이며, 증좌승지 한명직(韓明直)의 아들이다. 부인 순흥안씨(順興安氏)는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딸이다. 종묘서(宗廟署)의 부봉사(副奉事)를 지냈다. 묘소는 서현동에서 율동공...
-
신라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명칭. 757년(경덕왕 16)에 종전의 한산주(漢山州)를 개칭한 것이다. 삼국통일 직후에 완성된 이른바 9주(州)의 하나로서, 지금의 황해도와 경기도 및 충청도 일부지역을 포함하는 범위였다. 신라는 553년(진흥왕 14) 7월에 백제로부터 한강유역을 빼앗아 신주(新州)를 설치하였는데, 이것이 557년에 북한산주(北漢山州)로, 다시 568년에는 남천...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달(士達), 호는 청련(靑蓮)이다. 한계희(韓繼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사신(韓士信)이고, 아버지는 도정 한석(韓碩)이며, 어머니는 윤지준(尹之峻)의 딸이다. 1537년(중종 32) 진사시를 거쳐 1544년(중종 3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 정자, 수찬 등을 지냈다. 1548년(명종 3) 이조좌랑이 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지원의 묘. 한지원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514년(중종 9)~1561년(명종 16)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사달(士達), 호는 청연(靑蓮)으로, 도정(都正) 한석(韓碩)의 넷째 아들이다. 1537년(중종32) 진사가 되고 1544년(중종39) 별시문과 병과에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에 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지원의 묘. 한지원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514년(중종 9)~1561년(명종 16)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사달(士達), 호는 청연(靑蓮)으로, 도정(都正) 한석(韓碩)의 넷째 아들이다. 1537년(중종32) 진사가 되고 1544년(중종39) 별시문과 병과에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에 제...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계익(季益)이고, 좌의정 효순(孝純)의 셋째 아들이다. 태천현감(泰川縣監)을 거쳐 단천군수를 역임하였다. 이때 관서의 관기로 첩을 삼았다 하여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그 뒤 통정대부 동부승지를 지냈다. 광해군 대북정권 당시 이이첨(李爾瞻)과 함께 폐모론을 주도하였다가 인조반정으로 삭탈관직되었다. 묘는 성남시 중원구 서현동...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민망(民望), 호는 태항(苔巷)이다. 한사신(韓士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석(韓碩)이고, 아버지는 교리(敎理) 한지원(韓智源)이다. 1582년(선조 15) 진사, 생원의 양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자(正字)를 거쳐 1586년 광흥창봉사(廣興倉奉事)가 되었다. 1594년 진주사(陳奏使)의 서장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회의 묘. 한회[1550~1621]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 자는 민망(民望), 호는 태항(苔巷) 또는 유하(柳下)이다. 한지원(韓智源)의 아들이며, 1582년(선조 15) 진사, 생원이 되었고 이듬해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86년(선조 19) 광흥창봉사를 거쳐 예조좌랑이 되었고 1594년(선조 19...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한효순의 묘 및 신도비. 한효순[1543~1621]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 자는 면숙(勉叔), 호는 월탄(月灘)이다. 한상경(韓尙敬)의 아들로 1576년 식년문과에 급제 후 영해부사(寧海府使)가 되어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영해전투에서 전공을 세우고, 그 후 경상좌도 관찰사에 특진하여 순찰사를 겸임하였다....
-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초교파 독립교회. 1980년 신동아(新東亞)그룹 회장 최순영과 당시 아시아연합신학교 교수 이종윤 목사가 중심이 되어 서울 대치동에서 창립되었다. 1992년 9월 분당 신도시에 새 부지를 매입하여 교회신축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1997년 10월 교회를 이전하였다. IMF를 맞아 자금난으로 공사가 지연되었으나 2004년 7월 본당이 최종적으로 완성...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여성 단체. 성남함께하는주부모임은 마을의 생활 공동체와 문화 공동체를 지향하며, 여성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여성 단체다. 민주적이고 행복한 가정을 만들고, 나아가 건강하고 살기 좋은 지역 사회 건설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성남함께하는주부모임을 설립한 포교 성 베네딕도 수녀회는 소외된 이웃...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여성 단체. 성남함께하는주부모임은 마을의 생활 공동체와 문화 공동체를 지향하며, 여성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여성 단체다. 민주적이고 행복한 가정을 만들고, 나아가 건강하고 살기 좋은 지역 사회 건설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성남함께하는주부모임을 설립한 포교 성 베네딕도 수녀회는 소외된 이웃...
-
몰락해 가는 가정과 남편을 제자리로 되돌려 놓기 위해 그녀는 최선을 다했다. 친구를 만나는 일도 삼갔다. 아니 차비를 걱정할 만큼 사정이 안 좋아 친구를 만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 그런 최악의 상황에서 그녀는 함주부[함께하는 주부모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함주부를 통해 봉사활동에 나서게 되었다. 자신에게 닥친 최악의 상황이 자기만큼이나 힘겨운 사람들의 삶을 돌아보도록 해 주...
-
경기도 성남시 분당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화단체. 1994년 3월에 창립된 연묵회는 1997년 5월에 분당주택전시관에서 1회 회원전을 개최하였다. 이후 1998년 8월에는 2회 회원전을 킴스아울렛 전시장에서, 3회 회원전은 2001년 9월 성남 문화의 집 전시장에서 개최하였다. 김인영의 문인화 제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사군자를 일반인들에게...
-
우리나라 팔도를 그린 아름다운 채색필사본 지도. 1869년에 함경도 후주(厚州)가 후창(厚昌)으로 개칭되었는데, 이 지도에는 후창으로 표기되어 있어 1869년 이후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지도로 보인다. 지도 이면에는 도별 민호, 전결, 군정 자료와 각 군현에서 사방경계에 이르는 이수(里數)와 서울과의 거리 이수도 수록되어 있다. 도별지도는 『동람도』처럼 군현명, 주요 산천명 등만...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분당구 대장동 무두만이(舞頭滿以)에 오종환(吳悰煥)[1934년생]의 12대조인 오윤함(吳允諴)[1570~1618]의 묘를 쓴 후 그 후손이 세거하면서 오윤함의 호 월곡(月谷)을 따서 월곡공파를 이루었다. 오윤함은 선공감역 오희문(吳希文)의 셋째아들이요, 인조 때 좌의정을 역임한 추탄공 오윤겸(吳允謙)[1550~...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웃말에서 세거하는 성씨. 홍천현감 윤경지(尹敬之)[1604~1659]가 정착한 것으로 전해진다. 윤경지는 영일정씨 공조참판 정입(鄭岦)[1574~1629]의 사위로, 정입이 아들이 없이 딸만 두어 윤경지의 아들 윤기(尹圻)가 외손봉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웃말에 세거하고 있는 성씨집단으로, 경원대학교...
-
경기도 성남시의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지방 정부의 활동. 현대의 행정은 국민 또는 주민의 일상 생활 전반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그 역할과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질서 유지 기능 외에도 수도·전기·교통·통신 등 사회 간접 시설의 제공, 학교·도서관·공원 등 문화 시설의 확충, 사회적 약자 보호와 경제 활동의 적...
-
경기도 성남시의 거주 지역을 행정상의 편의에 의하여 설정한 행정 구역의 단위. 행정 관청이 관할 구역의 넓이보다는 주로 인구의 증감에 따라 인구가 많은 하나의 법정동에 여러 행정동을 설정하여 동 행정을 따로따로 보게 한다든지, 인구가 적은 여러 법정동을 묶어 하나의 행정동을 두기도 한다. 행정동은 동사무소를 단위로 하는 행정 구역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설정은 시 조례...
-
경기도 성남 시민에게 수여하는 상. 1981년부터 시정의 발전과 시민의 복리증진 및 사회도의와 미풍양속 등에 솔선수범한 시민에게 1년에 1회 부문별로 나누어 포상하는 모범시민상이다....
-
성남 지역 향토 유적 등의 보호 관리 및 조사 연구를 위하여 설치한 위원회. 향토유적보호위원회는 문화재 보호법, 전통 건조물 보존법 및 경기도 문화재 보호 조례의 규정에서 제외된 향토 유적 가운데 지역적으로 역사 및 예술상의 가치가 있고 이에 준하는 고고학적 자료와 향토 유적으로서 보존 가치가 있다고 기대되는 유적, 향토문화·토속·풍속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자료...
-
성남시민들이 성남에서만 맛볼 수 있는 지역음식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일반 가정에서나 외식업체에서 소비하는 음식을 가리킨다.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된 성남시는 경기도의 신생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지역민 사이에서 전승되어 오는 향토음식이 드물다. 그 대신에 성남시의 사회문화적 특색과 맞물려서 형성된 외식업이 성남의 향토음식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 중에서 남한산성 아...
-
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한 책. 향토지는 지역 연구자의 애향심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문화와 역사를 조사, 연구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시, 군향토지들은 대체로 조선시대 읍지류로부터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서 초기의 읍지류 자료들은 지역소개서의 성격이 강하였다. 이들 읍지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여 편찬된 것과 도, 군, 현, 면리 등을 단위로 편찬된 것이 있으며, 조선시대 군현지의...
-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당시 낙생면 소재 험천에서 벌인 전투. 험천은 현재 분당구 구미동에서 탄천에 합류한 동막천을 말하는데, 예로부터 기우단이 있었던 곳이다. 조선시대 인조 14년(1636년) 병자호란 당시 약 12만명의 청 태종의 군대가 침략하자, 충청감사 정세규(鄭世䂓)가 임금을 구하기 위해 수천명의 군대를 이끌고 청군과 전투를 벌인 곳이다. 당시 적군의...
-
여름에 어린이들을 호랑이와 나무꾼으로 나누어 노는 놀이. 호랑이와 나무꾼 팀 나누어 선 다음 나무꾼이 “나무를 할까?”라고 말하면 모두가 호랑이편으로 가서 나무하는 흉내를 낸다. 이 때 호랑이는 나무꾼을 잡아 호랑이집으로 데려가 가둔다. 갇힌 나무꾼을 호랑이 몇몇이 감시한다. 잡히지 않은 나무꾼이 갇혀 있는 나무꾼을 손으로 쳐주면 갇혀 있는 나무꾼은 다시 살아난다. 빠져 나오고 잡...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호연(浩然). 할아버지는 감찰(監察)과 한림(翰林)을 지낸 원맹강(元孟康)이며, 아버지는 원윤종(元胤宗)이다. 1528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31년(중종 26)의 식년시(式年試)에는 을과(乙科) 7등으로 급제하였다. 이조참의(吏曹 參議)와 부사(府使)를 역임하였다. 가선대부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
-
남녀가 혼인할 때 치르는 의례 과정. 혼례는 예나 지금이나 남녀가 부부가 되는 사회적인 의미를 지닌 의례이다. 전통적인 예법에 따르면, 친척이나 이웃을 통해서 중매가 이루어지고, 신랑 집에서 신랑의 생년월일과 태어난 시간이 적힌 사주단자(四柱單子)를 신부 집에 보내며, 이를 받은 신부 집에서 혼인날을 택일한다. 혼인 전에 신랑 집에서는 혼인서와 각종 물건이 든 납폐를 신부 집에 보...
-
혼례 때 입는 옷. 1960년대 이전까지 성남에 살았던 사람들은 대부분 혼례를 집에서 행했다. 따라서 오늘날 이른바 ‘전통혼례’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신부의 집에서 치렀다. 이때 신랑은 사모관대를 입었고, 신부는 원삼과 족두리를 걸쳤다. 이들 옷은 보통 마을에서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만약 혼인계가 있는 마을의 경우, 이 옷을 보관하면서 마을 규모에서 혼인을 도와주었...
-
남녀가 혼인하는 의식.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김씨의 사례. 1929년생, 1947년 혼인) 혼례식은 신부집 대청마루에서 했다. 신랑은 혼례식 당일 왔다. 이때 ‘함재비(함진애비)’가 따라 왔는데, 신랑댁 마을의 ‘광복씨’가 했다. 또 혼례식에는 혼주로 ‘우유샌님’이 따라 왔는데, ‘사촌 시아주버니’가 그 역할을 했다. 신랑 일행이 도착하자 제일 먼저 함을 받는 절차를 했다. 이른...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에 있는 아동복지기관.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에 의거, 아동 양육이 불가능한 친생부모를 상담하여 출산, 산후 조리, 아동의 입양문제 등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혼모가 정서적 안정을 회복하여 건강한 사회인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홀트아동복지회 성남시지소는 가정위탁 양육사업, 입양사업, 장학사업, 후원사업, 지...
-
조선 중기 성남 출신의 효자이자 문신 본관은 남양. 자는 사길(士吉)이고 홍준(洪準)의 아들이다. 일찍이 처사 송익필(宋翼弼)을 스승으로 섬기고 문원공 김장생(金長生)을 공경으로 섬겼다. 성품이 사정에 어두웠으나 학문에 뜻을 두었고 효행이 있었다. 광해군 당시 계축옥사(癸丑獄事)로 뜻있는 인사 중에 시사에 분개한 나머지 반대하는 글을 올려 극력 투쟁하다가 멀리 귀양 간 사람도 있고...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흠중(欽仲). 아버지는 판서 홍경림(洪景霖)이며, 어머니는 함양여씨(咸陽呂氏)이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조광조가 죽어 용인 심곡리(深谷里)에 장사지내자 신진사류로 가장 절친하였던 성수침(成守琛), 이충건(李忠楗) 등과 달려가 제사하고 통곡하였다. 사림의 두터운 신망이 있어 김안국(金安國)이 성수침을 천거할...
-
생몰년 미상. 1976년 내무부에 근무하다 성남시청의 제3대 시장으로 취임한 인물. 홍석표는 1976년 7월에 내무부에 근무하다가 성남시청의 제3대 시장으로 취임하였다. 1977년 7월 19일에 강원도 기획관리실장으로 이임하여 성남시장으로 재직한 것은 1년 정도에 해당한다. 성남시청에 재임하면서 문화 복지의 도시 건설을 시정 방침으로 정하여 업무를 추진하였다. 세부적인...
-
뜻밖에 일어날지도 모를 불운을 막기 위해 정월에 행하는 예방의례. 홍수맥이라고도 한다. 이는 예방 차원의 의례로서, 상가집에 다녀온 뒤에 찾아올 액운 등 일상생활에서 뜻밖에 찾아올지도 모를 가족의 액운을 막기 위한 것이다. 즉 이미 액운이나 불운이 찾아온 뒤에 행하는 의례가 아니라 예방의례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주부에 의해서 가족단위로 행하며, 정월에 무당을 찾아가거나 혹은 절에...
-
뜻밖에 일어날지도 모를 불운을 막기 위해 정월에 행하는 예방의례. 홍수맥이라고도 한다. 이는 예방 차원의 의례로서, 상가집에 다녀온 뒤에 찾아올 액운 등 일상생활에서 뜻밖에 찾아올지도 모를 가족의 액운을 막기 위한 것이다. 즉 이미 액운이나 불운이 찾아온 뒤에 행하는 의례가 아니라 예방의례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주부에 의해서 가족단위로 행하며, 정월에 무당을 찾아가거나 혹은 절에...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양. 강화 출신. 호는 건초(建初).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인 홍익한(洪翼漢)의 아들이다. 성품이 효성스러워 부친이 악성종기로 병을 앓아 매우 위태로울 때 입으로 종기의 고름을 빨아내고 대변을 받아내는 등 온갖 정성으로 시병하였다. 병자호란으로 호병들이 강화성에 들이닥치자 계모 허씨를 모시고 교동으로 피난하였으나 포구에서 적을 만나 위태롭...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홍수원의 묘. 홍수원[1611~1637]은 인조대의 처사(處士)로 본관은 남양(南陽), 강화 출신이며, 자는 건초(建初)이다. 충청도관찰사 홍서주(洪叙疇)[1499~1546]의 현손이자 충정공(忠正公) 홍익한(洪翼漢)[1586~1637]의 아들이며, 현풍현감(玄風縣監) 이확(李穫)[1583~1658]의 사위이다. 어려서부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홍수원의 묘. 홍수원[1611~1637]은 인조대의 처사(處士)로 본관은 남양(南陽), 강화 출신이며, 자는 건초(建初)이다. 충청도관찰사 홍서주(洪叙疇)[1499~1546]의 현손이자 충정공(忠正公) 홍익한(洪翼漢)[1586~1637]의 아들이며, 현풍현감(玄風縣監) 이확(李穫)[1583~1658]의 사위이다. 어려서부터...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초명은 습.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보(花浦) 또는 운옹(雲翁)이다. 찬성을 지낸 남숙(南淑)의 현손으로, 진사 남이성(南以成)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김림(金琳)의 딸이다. 교위(校尉)인 큰아버지 남대성(南大成)에게 입양되었다. 이정구(李廷龜)의 문인이다. 1615년(광해군 7)에 생원이 되고, 1624년(인조 2)...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 자는 자유(子由). 승정원우승지 홍명형(洪命亨)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능성구씨이다. 영양현감을 역임하였으나 재임 중 그만 두고 현재의 성남시 도촌동에 들어와 세거하였다. 묘는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사곡(寺谷)에 자좌(子坐)로 안장되어 있다. 그의 아버지 홍명형은 병자호란시 강화에서 순절하여 의열(義烈)이라는 시호가 내려졌고 정문(旌門)이 세워졌던...
-
수정구 상적동 저푸리에 세거하던 성씨. 홍천용씨는 용달성(龍達成)[1912년생]의 10대조 용의생(龍誼生) 때부터 세거하였다. 용의생의 장남 용호강(龍鎬康)[1660~1732]이 조봉대부 장례원정을 역임하였다. 수정구 상적동의 저푸리[적취리(笛吹里)]에 세거하였다....
-
쇠뿔을 이용하여 목질 세공품을 곱게 하는 장식 공예. 채색 그림이 은은하게 비쳐 보이며 부드럽고 고상한 장식적 효과를 나타내는 공예 방법이다. 화각(華角)은 솨뿔을 얇게 갈아 투명하게 만든 판을 말하며, 이러한 화각을 이용해서 공예품을 만드는 사람을 화각장이라 한다. 화각공예는 재료가 귀하고 공정이 까다로워 생산이 많지 않았으므로, 특수 귀족층들의 기호품이나 애장품으로 이용되었고...
-
쇠뿔을 이용하여 목질 세공품을 곱게 하는 장식하는 기술을 가진 장인. 쇠뿔 뒷면에 그림을 그리는 기법은 이미 통일신라시대에 거북이 등껍질을 갈아 공예품을 제작하고 있어 화각공예 기법의 연원이 된다. 이 기법이 조선시대에 들어와 쇠뿔을 이용하기 시작하여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서만 유일하게 발달한 독창적인 공예기법으로 되었다. 화각공예는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