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 건축물에 여러 가구가 거주할 수 있도록 지어진 주택. 다가구 주택은 한 개의 주택에 여러 가구가 거주하도록 지어진 주택이지만 건축법 시행령의 규정에 의하여 광의의 단독 주택으로 분류된다. 가구별로 별도의 방, 부엌, 화장실을 구비하여야 하며 구분 소유 및 분양이 불가능한 점이 공동 주택과 다르다. 다가구 주택의 조건은 건축물의 연면적이 660㎡...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 건축물에 한 가구가 거주할 수 있도록 지어진 주택. 단독 주택은 원칙적으로 1개의 주택에 한 가구가 거주하도록 지은 주택을 말한다. 그러나 이는 협의의 단독 주택을 말하며, 건축법에서는 광의의 단독 주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①협의의 단독 주택, ②다중 주택(기숙사 등), ③다가구 주택, ④공관 등이 그것이다. 단독 주택은 일반적으로 공...
-
상대원 재래시장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젊은 사람들은 좀 비싼 가격이라도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깔끔한 매장을 선호한다. 최근 들어서는 온라인 쇼핑도 여기에 가세했다. 염씨의 딸도 한 달에 몇 번씩은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고 있다. 이래저래 상대원시장은 긴 침체의 그늘 속으로 들어가고 있는 것만 같다. 염씨가 운영하는 그릇가게도 월매출이 계속 줄더니, 요즘 들어서는 임대료...
-
정월대보름에 다리를 밟던 세시풍속의 하나. 답교놀이, 답교, 다리빼앗기 등으로도 불리는데, 본래 청계천에 있는 몇 개 안 되는 다리를 밟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다리를 밟으면 다리가 아프지 않다는 속신이 전해져 성행하였고, 양반댁 아낙네와 부녀자들은 소란한 정월 보름을 피하여 전날이나 뒷날에 다리를 밟기도 하였다. 다리밟기는 후에 다리빼앗기 놀이나 연희로 발전하였는데, 이 놀이는 너...
-
경기도 성남시 지역 주민의 복지 증진과 사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건립한 복지 회관. 다목적복지회관은 1992년 5월 12일 제정된 성남시 다목적복지회관 설치·운영 조례(2009.4.27 조례 제2314호)에 의거하여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일정한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추고 지역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지역 사회 복지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종합적인 복지 서...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주 여성과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글짓기 행사. 다문화가정이란 우리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을 통칭하며 국제결혼 가정과 이주 노동자 자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이 겪는 어려움으로는 언어 의사소통 문제가 가장 크고, 그로 인한 가정 폭력 문제나 사회 적응의 곤란, 신분상의 불안, 문화적 갈등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다살림 재가노인복지센터는 스스로 일상 생활을 유지하기 곤란한 노인을 대상으로 주거지에서 직접 전문 가정 봉사원을 파견하여 가사·보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 복지 시설이다. 기존 노인 복지 사업은 별도의 시설에 수용된 노인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점차 기존 지역 사회에서 분리되지 않고 자신의 삶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다살림 재가노인복지센터는 스스로 일상 생활을 유지하기 곤란한 노인을 대상으로 주거지에서 직접 전문 가정 봉사원을 파견하여 가사·보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 복지 시설이다. 기존 노인 복지 사업은 별도의 시설에 수용된 노인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점차 기존 지역 사회에서 분리되지 않고 자신의 삶을...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 건축물에 여러 세대가 거주할 수 있도록 지어진 공동 주택. 다세대 주택은 1개의 주택에 여러 가구가 거주하도록 지어진 주택이며, 건축법 시행령의 규정에 의하여 공동 주택의 하나로 분류된다. 다세대 주택은 한 동의 연면적이 660㎡ 이하(주차장 면적 제외)인 4층 이하(지하층 제외)의 주택이어야 한다. 단독주택인 다가구 주택과는 다르게 공동 주택의...
-
무속에서 강신무(降神巫)를 신봉하는 신도와 전라도 무당을 말하는 복합적인 용어. 성남지역은 정부의 이주정책으로 인해 다소 복잡한 무속양상을 띠는데, 단골에 있어서도 두 가지 양상을 모두 지니고 있다. 하나는 신령이 내려 내림굿을 통해 입문하는 강신무들에게 단골은 정기적으로 자신들을 찾는 신도들을 말한다. 이 신도들은 집안의 액을 막기를 바라는 의도로 정기적으로 신년의 정...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1동에 있는 초등학교. 사랑을 꿈을 키우는 단남어린이라는 교훈으로, 21세기 신지식기반을 주도할 참된 민주시민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82년 12월 30일 단남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1983년 6월 22일에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은 이도영이다. 1996년 3월 1일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변경되어 단남초등학교가 되었다. 1996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과 산성동에 걸쳐 조성된 근린공원. 단대공원은 기존의 지형을 그대로 살리면서 자연수림대를 최대한 보존한 근린공원으로, 면적은 21만 700㎡(6만 3,737평)에 이른다. 단대공원은 시민의 보건, 휴양 및 정서생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1994년 7월 31일 조성되었으나 2002년 11월 24일부터 2004년 7월 31일까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단대동은 수정구 동북부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조선시대에 광주군 세촌면 단대동, 성남 개발 이전 광주군 중부면 단대리로 불리던 지역이다. 현재 단대동 일원은 성남시 순환 재개발 1단계 주택 재개발 정비 사업 대상 구역에 포함되어 향후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단대동은 ‘단대리(丹垈里)’라는 지명...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 일대의 닭죽을 주로 판매하는 식당이 집중되어 있는 곳. 남한산성 입구에 있는 남한산성 민속마을에는 일명 단대동닭죽촌이라 불리는 22개의 닭도가니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식당이 자리 잡고 있다. 원래 이 닭죽촌은 성남에서 들어가는 남한산성 유원지 입구에 조성되어 있었다. 1969년 광주대단지가 인근에 조성되면서 이곳으로 이주해온 사람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에 있는 천주교 교회. 성남 지역에 광주대단지가 형성되고 산업공단이 들어서는 등의 이유로 인구가 증가하게 되자, 천주교 신자수도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천주교 수원교구가 1976년 10월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에 성당의 건축과 본당 사목을 위임함으로써 단대동 본당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경기도 성남 지역에 인구가 급격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옛 지명. 구의 동북부 위치한 지역으로 남북으로 긴 행정구역을 가진다. 단대자연공원 남쪽의 구릉지에 있어 지형의 기복이 심하며, 동쪽은 중원구 금광동 및 수정구 양지동 그리고 서쪽과 남쪽은 수정구 산성동 및 시흥동에 둘러싸여 있다. 탄리(炭里)와 함께 개발 초기 많이 불리어진 곳으로서 단대1동, 단대2동과 은행동(銀杏洞),...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8호선 역. 남한산성입구역은 1996년 11월 23일에 개통된 서울 지하철 8호선 전철 구간으로 산성역과 단대오거리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남한산성입구역은 서울로 이동 인구가 많은 성남시에서 서울시 간 이동을 원활히 하고자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에서 199...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2동에 위치한 지하철 8호선의 역. 단대오거리역은 서울시와 성남시를 연결하는 지하철 8호선 암사~모란 구간의 한 역으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위성 도시의 특성상 서울로 이동이 많은 성남 시민의 이동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1996년 11월 23일에 개통된 잠실~모란 간 지하철 8호선 중간역의 하나로 단대오거리역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 사이에 있는 중천. 단대라는 명칭은 이 일대는 물론 고개의 흙이 붉어서 붉은 고개의 밑이라 하여 단대골 또는 던데, 단대동이라 불렸으며, 조선조 때에 이미 단대라고 기록하였다. 단대천은 이 지역을 따라 하천이 형성되어 흐르기 때문에 단대동의 지명을 따라 단대천이라 하였다. 단대천은 탄천으로 유입되는 성남시의 13개 중천 중 하나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과 산성동 일원에 있는 공원. 주민의 건강 증진과 여가 선용에 기여할 목적으로 1994년 7월 31일 완공하였다. 기존의 지형을 이용하고 자연수림대를 최대한 보존한 공원으로, 공원을 양분하는 도로 위에 육교를 설치하여 산책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운동시설로는 궁도장, 신체단련장, 다목적 잔디구장 각 1개소, 배드민턴장 3개소, 체력단련장 4...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초등학교. '행복은 섬기는 삶에 있다'는 교훈 아래, 겸손한 사람, 정직한 사람, 지혜로운 사람, 근면한 사람, 강인한 사람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74년 11월 30일 단대국민학교 설립 인가되어, 1975년 7월 5일 개교하였다. 1981년 2월 28일 유치원 2학급이 개원되었으며, 1996년 3월 1일 단대초등학교로 개명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 건축물에 한 가구가 거주할 수 있도록 지어진 주택. 단독 주택은 원칙적으로 1개의 주택에 한 가구가 거주하도록 지은 주택을 말한다. 그러나 이는 협의의 단독 주택을 말하며, 건축법에서는 광의의 단독 주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①협의의 단독 주택, ②다중 주택(기숙사 등), ③다가구 주택, ④공관 등이 그것이다. 단독 주택은 일반적으로 공...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 건축물에 여러 가구가 거주할 수 있도록 지어진 주택. 다가구 주택은 한 개의 주택에 여러 가구가 거주하도록 지어진 주택이지만 건축법 시행령의 규정에 의하여 광의의 단독 주택으로 분류된다. 가구별로 별도의 방, 부엌, 화장실을 구비하여야 하며 구분 소유 및 분양이 불가능한 점이 공동 주택과 다르다. 다가구 주택의 조건은 건축물의 연면적이 660㎡...
-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수릿날, 천중절(天中節), 단양(端陽)이라고도 하며, 설, 추석과 함께 3대 명절의 하나로 꼽는다. 단오는 여자들의 명절이라고 하였듯이, 이 날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상추 이슬을 받아 장분을 개어 얼굴에 바르고 그네를 뛰는 등 여자들과 관련된 풍속이 많다. 그리고 여름철 건강을 위해 약쑥과 익모초를 뜯었으며, 절식으로 수리취떡과 쑥떡을 빚어 먹었다...
-
경기도 성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풍물패 등이 단오에 즈음하여 개최하는 민속축제. 추석과 함께 3대 명절의 하나인 단오의 풍습이 사라져 가는 현대에 우리 민족의 풍습을 이어가고자 1997년에 시작되었다. 단오를 맞아 시민들과 함께 단오에 즐겼던 민속놀이와 풍물을 통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라는 의미에서 단오맞이 민속축제라 하게 되었다. 풍물굿패 우리마당은 시민들을...
-
운구 행렬이 끝난 수 시신을 매장하고 나서 묘의 봉분을 다질 때 부르는 소리. 운중동의 달구소리는 선소리꾼(이봉재, 1919년생)이 북을 두드리며 “이편 저편 동관님네 달구소리나 하여보세”하면서 소리를 치며 달구질을 하는 전체를 이끌어 간다. “에이여라 달구”하고 후렴을 하면 “백두산 낙맥이 뚝 떨어져서”하고 앞소리를 메기고, 계속하여 명당터의 풍수적인 내용을 가사로 죽...
-
장례 때 시신을 매장하고 나서 달구를 가지고 묘의 봉분을 다질 때 하는 노래. 상여를 가지고 하는 운구 행렬이 끝나고 무덤을 만들 때는 흙에 회를 섞어서 다졌으므로 회방아소리, 회다지소리라고도 한다. 선소리꾼 이봉재씨의 달구소리를 통해 그 내용을 소개한다. 묘의 중간에 막대기를 꽂아놓고 달구꾼들도 막대기를 하나씩 들고 멋진 동작과 함께 춤추듯이 한 발 한 발 다진다. 선소리꾼은 북...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과 금토동 사이의 고개. 달리내고개 또는 월천현(月川峴)이라고도 한다.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의 옛골마을과 금토동을 지나는 이 고개는 원래 작은 도로였으나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게 되면서 성남시와 서울시 구간을 구분 짓는 실질적인 경계가 되었다. 옛날 이 마을에 ‘달아’와 ‘달오’ 라는 남매가 일찍 부모를 여의고 고아로 살아가고...
-
청계산 자락에 있는 달래네 고개(월오천현, 월아천현, 월천현)의 유래담 옛날 이 마을에 ‘달아’와 ‘달오’ 라는 남매가 일찍 부모를 여의고 고아로 살아가고 있었다. 달아는 남의 집 빨래를 해주는 일을 했었는데, 어느 여름날도 달아는 시냇가로 가서 빨래를 하고 있었고 달오는 소 먹일 꼴을 베러 청계산으로 올라갔다. 달아가 열심히 빨래를 하는 동안 달오는 꼴 한...
-
작자 미상의 민요. 이 민요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래동요로 성남 지역에서만 불리던 노래가 아니라 전국적으로 불리던 노래이다. 이 민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 노든 달아 저기 저기 저 달속에 계수나무 박혔으니 옥도끼로 찍어 내고 금도끼로 다듬어서 초가삼간 집을 짓고 양친부모 모셔다가 천년만년 살고지고 양친부모 모셔다가 천년만년 살고지고...
-
여름에 어린이들이 모여 닭 한 사람, 너구리 한 사람, 집안 식구 여러 사람으로 나누어 닭역할을 하는 사람을 잡으며 노는 놀이. 나눠진 패에서 집안 식구가 둘러앉고 원 가운데는 닭이 앉는다. 원 바깥에는 너구리가 서서 문답을 하다가 문답이 끝나면 닭을 잡으려 한다. 둘러앉은 사람들은 손을 잡아 닭장을 만들어 너구리가 닭장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너구리가 빙빙 돌다가 원 안으...
-
소년 구보는 1963년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 315번지에서 태어났다. 당시 성남이라는 도시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았다. 사실 태어났다고 했지만, 그의 표현에 의하면, 아버지와 어머니에게서 출생되었을 뿐이다. 아버지는 2남 2녀를 출생시키고 구보의 동생이 갓 돌을 지날 무렵 돌아가시고, 어머니는 혼자가 되셨다. 아무 재산도 없고 가진 것도 없이, 네 명의 자식을 떠맡은 어머니의 서울살...
-
착실하게 석유가게를 운영하던 남편은, 군에서 제대한 조카의 꾐에 넘어가 대학가 앞에 당구장을 열었다. 처음에 당구장 이야기를 꺼냈을 때 그녀는 극구 반대했다. 그냥 몸으로 벌어먹던 사람이 젊은 대학생들을 상대로 당구장을 잘 운영할 수 있을 것 같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학생들을 상대로 당구장을 운영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뭐랄까, 대학생들 저는 좀 실망을 했던 게, 저희가...
-
경기도 성남시의 분당지역을 일컫던 옛 지명인 당우리의 원표기. 당우리 지역은 옛날 신창맹씨(新昌孟氏)의 사패지(賜牌地, 나라에서 내려준 토지)로 세조 때 신창군(新昌君)에 봉해진 맹석흠(孟碩欽)의 묘를 성덕산(불곡산의 다른 이름) 동북쪽 기슭에 쓴 후, 그 후손이 묘 아래에서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는데 그 후부터 인근에서 이 마을을 가리켜 당모루라 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지역에 있었던 옛 지명. 옛날 신창맹씨(新昌孟氏)의 사패지로 세조 때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신창군에 봉해진 맹석흠(孟碩欽)의 묘를 성덕산[불곡산의 다른 이름] 동북쪽 기슭에 조성한 뒤 그 후손이 묘 아래에서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당우리였으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의 옛 너머역말과 샛당모루 사이에 있었던 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과거 이 지역은 수내동, 서현동 및 광주시 오포읍을 잇는 삼거리에 해당하던 곳으로 동이점과 주막이 성행하였고, 분당 5일장에는 성남, 광주, 용인 등지에서 찾아오는 사람들로 붐볐다고 한다. 분당 신도시 개발 당시 공동 주택인 아파트의 대량 건축으로 대부분의 주민들이 타지에서 입주하였으며, 샛별마을과 장안타운의 2개 마을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소재한 공립 초등학교. '바르고 슬기롭게 꿈을 키우는 어린이'라는 교훈 아래, 1인 1기 인증장제 운영, 에너지 자원 절약운동, 재미로 배우는 영어학습 등 특색 있는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1991년 3월 1일 당촌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고, 1992년 6월 1일 개교하여 초대 박경신 교장이 부임했다. 1993년 4월 1일 서당국민학교의 개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소재한 공립 초등학교. '바르고 슬기롭게 꿈을 키우는 어린이'라는 교훈 아래, 1인 1기 인증장제 운영, 에너지 자원 절약운동, 재미로 배우는 영어학습 등 특색 있는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1991년 3월 1일 당촌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고, 1992년 6월 1일 개교하여 초대 박경신 교장이 부임했다. 1993년 4월 1일 서당국민학교의 개교...
-
무속신앙에서, 집안의 재수와 재복을 준다고 믿어지는 신령. 무속신앙에서 모셔지는 신격의 하나로, 가정에서는 대감신의 신체(神體)를 만들어 집안에 모셔두기도 하였다. 대감신의 유래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대감’이라는 관직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 및 경기지역과 그 이북지역에서는 모셔지지만, 전라도와 경상도 등지에서는 이 신격은 등장하지 않는다. 대감신은 크게 웃[上]대감과...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봉국사의 불전. 봉국사 대광명전은 1674년(현종 15) 왕명으로 축존화상이 창건한 봉국사 내에 있는 법당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계 수법으로 건축된 맞배지붕의 건물로 내부 중앙에 나무로 만든 아미타여래좌상이 있고 좌우로 관음보살, 지장보살을 모시고 있다. 봉국사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의 영장산...
-
대한불교천태종 소속의 현대 사찰 분당신도시 포교를 목적으로 1997년 6월 19일 기공식과 함께 창립되었다. 2000년 3월 24일 원통보전 낙성식을 봉행하고 종단 사찰로서 등록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10월 7일 대불보전 낙성식과 삼존불 점안식을 행하였다. 대광사는 천태종이 수도권에 본사급 대표적 사찰로 건립코자 총력을 기울인 사찰이라고 한다. 총무원장인 운...
-
조선 중기 임경업(林慶業) 장군을 소재로 한 야담. 조선 후기의 문신 이원명(李源命)이 지은 『동야휘집(東野彙輯)』에 전해오는데, 임경업 장군이 사냥을 갔다가 잘못하여 들어간 태백산에서 검술을 익혀 돌아와 무과에 급제한 후 명청(明淸) 교체기에 장군이 되어 활약한 이야기이다. 임경업의 무인적 출중함과 충절을 기리는 이야기로서 청나라에 적대적이었던 당시의 상황을 임경업의...
-
선학원 소속의 현대 사찰 1954년 김지명[김수준] 선사가 창건을 발원하고 준비하기 시작하여 1956년 창건되었다. 1974년 문화공보부에 등록하였고, 1976년 창건 20주년 기념 대법회를 개최하였다. 1981년 창건주 김지명 선사의 입적 후에도 불사를 계속하여, 1996년 요사채를 개축하고 석가모니 본존불 및 지장보살, 관세음보살 삼존불을 개금하였다. 1999년 대웅...
-
선학원 소속의 현대 사찰 1954년 김지명[김수준] 선사가 창건을 발원하고 준비하기 시작하여 1956년 창건되었다. 1974년 문화공보부에 등록하였고, 1976년 창건 20주년 기념 대법회를 개최하였다. 1981년 창건주 김지명 선사의 입적 후에도 불사를 계속하여, 1996년 요사채를 개축하고 석가모니 본존불 및 지장보살, 관세음보살 삼존불을 개금하였다. 1999년 대웅...
-
큰 규모의 건축일을 잘하는 목수. 대목장은 현대의 건축가와 마찬가지이다. 재목을 마름질하고 다듬어 궁궐이나 사찰 등 대규모의 건물을 짓는 사람을 대목장 혹은 도편수라 부르며, 건물 내부에 문짝을 붙이거나 가구를 제작하는 소목장과 구분한다. 조선시대의 선공감에 소속되어 있던 목장(木匠) 중 우두머리는 정5품에 해당되는 대목(大木)으로서, 그는 건축 기능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와장,...
-
건물이나 마당에 출입하기 위하여 설치한 큰 문. 대문은 집이나 건물로 들어가는 주 출입문으로 지붕을 갖춘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다. 조선시대의 경우 양반집 대문은 보통 세 칸으로 만드는데, 가운데 칸을 높게 만든 것을 ‘솟을 대문’이라고 한다.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가마절[부곡(釜谷)]에는 장연노씨가 세거하였는데 노효공은 한성판윤을 역임하였던 인물이다. 그러므로 그...
-
대문의 출입을 단속하면서 복은 들어오게 하고 액운과 잡귀와 잡신은 막아준다고 믿는 신앙. 대문신은 문신(門神) 혹은 수문장신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특별한 신체(神體)는 없으며, 주로 부적이나 그림, 글씨 등을 대문에 붙인다. 부적 같은 경우는 대문 안쪽이나 현관문 위쪽에 붙이기도 한다. 그림은 정초에 호랑이나 닭그림, 혹은 도교적인 영향을 받은 처용(處容) 그림을 붙여 놓았으나,...
-
음력으로 새해 첫 보름날. ‘정월 대보름’으로도 불리며,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 한다. 상원이란 중원(中元 : 음력 7월 15일, 백중날)과 하원(下元 : 음력 10월 15일)에 대칭되었던 데서 기원한다. 『동국세시기』를 비롯한 조선 후기의 세시풍속 관련 자료에도 대보름과 관련된 풍속이 다수 수록되어 있으며, 현재까지도 중요한 명절로 남아 있다. 수정구 금토동에서는 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시도(市道). 수정로는 성남대로 태평역 사거리에서 동동북 방향으로 분기한 도로로, 수정구 보건소[구 성남시청] 앞을 지나 지하철 8호선 산성역 삼거리에 이르는 길이다. 수정로의 원래 이름은 대봉로였으나 2002년 2월 성남시 도로명 및 건물 번호 부여 때 수정구 중심부를 횡단하는 길이라는 뜻에서 ‘수정로’로 개칭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불교 경전.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 또는 『능엄경』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부처님의 말씀을 머리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경험하여 얻을 것을 주요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스님들이 수련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배우는 경전이다. 『능엄...
-
소상을 지내고 만 일년 만에 지내는 제사. 일반적으로 소상을 지내고 일년 만에 지내지만 남편이 아내를 위해 지내는 대상은 13개월 만에 첫 제사로서 지낸다. 이때 지내는 제례 의식은 소상 때와 다름이 없으나 상복을 벗고 연복으로 갈아입게 됨으로써 삼년상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성남시의 경우도 경기도의 제례에 따라 보통 일년 만에 지냈다고 한다. 이 경우 가족들은 곡을 하였으며, 상...
-
박한경(朴漢慶)이 1969년에 창설한 종교단체. 박한경은 부산 태극도의 제2대 도전(都典)으로 있다가 1968년에 태극도를 탈퇴한 후, 1969년에 서울 중곡동에 기지를 두고 대순진리회를 창설하였다. 본부는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가야리에 있다. 박한경은 대순진리회를 창교하면서 자신의 계보를 ‘강증산-조철제(태극도 1대 도전)’로 찾았고, 본부와 각...
-
고려 및 조선시대의 역원제도(驛院制度)에서,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일대에 두었던 것으로 보이는 원. 원이란 전국 각 역의 중간지점에 둔 일종의 국립여관으로서 대야원도 이에 해당된다. 원주(院主)의 관할하에 있는 원은 공무연락자의 숙식을 제공하였고, 공적 임무를 띤 사람에게 공무의 편의를 보아주는 야간휴식소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대야원은 현재로선 찾아볼 수 없지만,...
-
고려 및 조선시대의 역원제도(驛院制度)에서 대야원에 지급된 토지. 원이란 전국 각 역의 중간지점에 둔 일종의 국립여관으로서 대야원도 이에 해당된다. 원주(院主)의 관할하에 있는 원은 공무연락자의 숙식을 제공하였고, 공적 임무를 띤 사람에게 공무의 편의를 보아주는 야간휴식소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대야원은 현재로선 찾아볼 수 없지만, 그 터의 대략적인 위치는 중원구 하대원동 일대로 추...
-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세곡리에 있었던 4년제 공립보통학교. 1932년 11월 25일 설립되어 이듬해인 1933년 5월 1일 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38년 4월 일제가 종래 보통학교를 심상소학교(尋常小學校)로 개명함으로 인해, 대왕심상소학교로 개명하였다. 그 뒤 1941년부터 심상소학교를 다시 국민학교로 변경되면서 대왕국민학교로 다시 개명되었다. 고등리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일대의 대왕마을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1760년대 대왕마을은 세촌 4개 동리, 돌마 2개 동리, 낙생 5개 동리 등 총 11개 동리에서 1960년대에 17개 동리가 있었던 비중 있는 마을이었다. 이후 1963년 3월 1일 법률 제1171호에 의해 일원, 수서, 자곡, 율현, 세곡 등 5개 리가 서울시로 편입되었다. 『대왕마을지』는...
-
본래 경기도 광주군(廣州郡)에 속했던 행정지역. 경기도 광주군에 속했던 지방행정 구역으로, 『여지도서』에 의하면 조선 후기에는 17개 동리로 구성되어 있었고, 1911년 대왕면사무소가 신설 당시에는 14개 동리로 구성되었다. 현재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지역에 편입된 성남시의 옛 행정구역이다. 『여지도서』에는 대왕면의 명칭이 기록되어 있는데, 대왕면에 속한 마...
-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에 있었던 행정기관. 1911년 개소한 대왕면사무소는 일제하에서는 부역과 세금을 징수하는 기구였다. 3.1 운동을 겪은 제국주의 일본은 소위 ‘문화정치’를 표방하며 한국 국민에 대해 유화 정책을 펴는 과정에서 지방 행정 기구와 교육 기관을 확대하였다. 이 과정에서 1928년 4월 1일 세곡리에 대왕면사무소를 신축 이전하며 면 행정의 정식 출발을 하게...
-
1919년 3월 28일 대왕면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운동. 광주군 돌마면 여수리가 본적인 이시종(李時鍾)은 농사에 종사하던 중 송파시위에 참가한 후 대왕면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게 된다. 「조선독립신문」의 독립에 관한 기사를 가지고 수서리에 돌아와 동리의 이재순(李載淳), 이규문(李揆文) 등 100여명을 규합하여 만세시위운동을 시작하였다. 시위대는 만세를 고창하면서 면사무소에...
-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에 있었던 우체국. 1963년 대왕우체국이 설치되면서 대왕면 지역의 독자적인 우편 업무를 전담하게 되었다.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우편 업무와 예금 금융 업무를 위해서 설치되었다. 1949년 정부조직법이 제정된 뒤 지방체신관서 설치법이 공포됨에 따라 1면(面) 1국(局) 원칙하에 우편국이 우체국으로 개칭되었고, 성남 지역에서 유일하게 우편...
-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부(군) 대왕면에 개설되었던 시장. 15세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지방의 향시는 16세기에 보편화되어 전국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조선 중기부터 정비된 면리제로 인하여 대왕면도 16세기말의 읍지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대왕장도 16세기 말이나 17세기 초에는 확실히 형성되었을 것으로 본다. 이 당시 농민들은 농업기술의 향상으로 생산고의 증대, 농업경영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에 위치하는 저수지. 1954년 착공하여 1958년 준공한 저수지로 역사가 오래 되었다. 총저수량 939㎥, 유효 저수량 919㎥, 유역 면적 750㏊, 만수 면적 18㏊, 제당 연장 168m, 제당 최대고 17.9m, 최대 수심 13m, 홍수위고 14m이다.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청계산과 인릉산 산지에서 발원하여 수정...
-
1975년 성남시 대왕 지역에 설치하였던 출장소. 1970년대 수도권의 인구 집중 억제와 수도권 주변의 무질서한 도시 확산 방지 및 서울 외곽 도시의 합리적인 육성을 위해 성남시가 성립되었고, 이후 인구가 급격히 늘자 1975년 대왕 지역을 관할하는 대왕출장소가 고등동에 설치되었다. 본청과 멀리 떨어진 대왕 지역의 주민 편의를 위해서 설치된 기관이다. 1971년 설치된 경기도 성남...
-
한국대승불교여래종 소속의 현대 사찰 1970년 5월 20일 김무공 스님에 의해 세워진 여래종 소속 사찰이다. 여래종은 『법화경(法華經)』을 소의경전으로 삼고, 원효의 화쟁사상과 대각국사의 교관쌍수 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이 절은 4층의 건물로서, 4층의 법당과 2층의 요사채로 구성되어 있다. 법당에는 석가모니불, 관음보살, 지장보살이 모셔져 있으며, 삼성단, 신중단, 영...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제약기업인 대웅제약의 제조공장. (주)대웅제약은 대한민국 대표 간 관리제를 표방하는 ‘복합 우루사’를 생산하는 제약 기업으로,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에 본사를 두고 경기도 성남시 외에도 경기도 화성군, 경기도 안성시 등지에 공장을 두고 있다. 고객만족 우선, 신제품 개발 및 신약 개발 실현, 우수한 인재 양성, 투명 경영 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근린공원. 대원공원은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하고 있는 황송공원, 은행공원, 자혜공원 등 5개의 공원 중 규모가 가장 큰 근린공원으로 주민들의 산책, 운동, 휴식을 위해 조성되었다. 성남시에서는 지역 거주자의 보건, 휴양 및 정서 생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2001년 11월 21일부터 2002년 12월 26일까지 공사...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과 하대원동에 있었던 옛 지명. 대원동리는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군 세촌면에 속해있던 마을로 이후 상대원리와 하대원리로 구분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의하여 상대원리는 중부면에, 하대원리는 돌마면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모두 중원구에 편제되어 있다. 상대원리에는 보통골, 황촌, 송촌, 사기막골, 중간말, 새말 등의...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및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대원로는 공단로 대원터널 앞 사거리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대원터널을 지난 후에는 여수천을 따라 남동진하여 돌마로를 거쳐 성남대로까지 이어지는 시도(市道)다. 대원로는 과거 매화로가 2002년 2월 성남시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 때 대원로 에 병합되었고, 도로 이름은 이것이 놓인 상대원동 및 하대원동의 지역 이름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대한불교진각종 소속의 현대 사찰. 심인(心印)은 진각종의 실천 수행 도량을 일컫는 말로 중생들의 마음에 내재하여 있는 우주의 진실 또는 법신부처님의 진실을 말한다. 이 심인을 자각하고 밝히기 위한 수행 방법은 육자진언 ‘옴마니반메홈’을 염송하는 삼밀관행법이다. 따라서 심인당은 삼밀관행으로 심인을 밝혀서 실상(實相) 같이 자심(自心)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1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참되고 성실하게' 라는 교훈 아래 인간을 존중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춘 민주인, 탐구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이 있는 창의인,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과학인, 심신이 건강하고 심미적인 안목을 지닌 건강인을 기른다 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83년 1월에 설립 인가되어 같은 해 3월에 대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1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참되고 성실하게' 라는 교훈 아래 인간을 존중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춘 민주인, 탐구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이 있는 창의인,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과학인, 심신이 건강하고 심미적인 안목을 지닌 건강인을 기른다 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83년 1월에 설립 인가되어 같은 해 3월에 대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중천. 고려 시대에 대원(大院)이 있어서 위쪽을 상대원 아래쪽을 하대원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대원천은 상대원에서 하대원을 거쳐 흐르기 때문에 대원천이라 부른다. 대원천은 탄천으로 유입되는 성남시의 13개 중천 중 하나로, 상대원 쓰레기 소각장 동쪽 산간에서부터 제3공단 앞을 거쳐 상대원파출소 앞까지 흐르는 길이 2,850m의 윗대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소재한 초등학교. 착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기초, 기본을 익혀 탐구하는 어린이,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소질을 키우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1971년 9월 1일 개교하여, 1996년 3월 1일 대원초등학교로 개명하였다. 1998년 3월에 경기도 교육청 지정 경제교육 시범학교로 지정되었으며, 2...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과 도촌동을 연결하는 터널. 터널이 위치하고 있는 상대원동과 하대원동의 지역 이름을 따서 대원터널이라 명명하였다. 대원터널은 연장 540m에 폭원 9.7m, 높이 6.7m이며 상하행선 모두 2차로이다. 분당신도시가 건설되면서 분당구와 중원구 사이의 교통 체증 완화는 물론 3번국도와 중원구를 연결함으로써 광주에서 성남, 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 참된 인격의 바탕 위에 창조적 지성과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도록 함을 교육목표로 한다. 교훈은 진실·기술·봉사이다. 1977년 학교법인 제석학원이 대유공업전문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가 1979년 대유공업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92년 재단이 바뀜에 따라 법인명을 학산학원...
-
제4공화국시대 1972, 1978년 두 차례 실시되었던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선거. (1) 초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선거1972년 12월 15일에 실시되었고 선거구수는 총 1,630개 대의원정수는 2,359명이었다. 선출방법은 소선거구 및 중선거구 병용제하에서 국민의 직접선거에 의하여 다수특표자를 당선인으로 선출하였다. 선거의 양상 및 결과는 비상계엄령이 해제된지 이틀만에 실시되...
-
김은집, 한세훈이 공동 연출한 연극. 1973년 성남이 시로 승격하고 1975년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가 인준을 받자 그 기념으로 여러 문화행사가 있었는데, 이 작품 역시 이때 공연한 연극작품이다. 김은집이 시나리오를 쓰고 배우 한세훈과 공동 연출하였으며, 한세훈, 박승규 등이 출연하여 당시 성호시장 앞에 자리하고 있던 천일극장에서 공연하였다. 이 작품에 대해서는 기록,...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소재한 초등학교. 예절과 질서를 지키는 바른 어린이, 지혜롭게 탐구하며 재능을 가꾸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즐겁게 생활하는 어린이, 근검 절약하며 깨끗한 환경을 가꾸는 어린이를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1988년 12월 27일 대일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1991년 5월 4일 개교하였다. 1991년 12월 14일 병설 유치원이 개...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2∼5m이고 어린 가지에 선모(腺毛)가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법정동.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운중동에서 관할한다. 청계산 준령 자락의 산간 지역으로 그린벨트 및 녹지 보존 지역으로 지정되어 도시 개발의 제한이 많은 지역이다. 이 지역은 태릉[본동]을 중심으로 하여 도장골·무두만이·장토리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대장동의 명칭은 태릉(胎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 있는 산봉우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서 가장 큰 마을인 태릉에 있는 높이 172.2m의 나지막한 산봉우리이다. 태릉은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의 낙생저수지를 지나 분당구 대장동과 용인시 고기동 경계의 삼거리에서 1.5㎞ 지점에 위치한다. 『한국지명총람』(1985)과 『성남시사』(1993) 및 현지 주민들의 구전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법정동.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운중동에서 관할한다. 청계산 준령 자락의 산간 지역으로 그린벨트 및 녹지 보존 지역으로 지정되어 도시 개발의 제한이 많은 지역이다. 이 지역은 태릉[본동]을 중심으로 하여 도장골·무두만이·장토리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대장동의 명칭은 태릉(胎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청계산 줄기가 남북으로 뻗은 산맥의 동쪽 사면에 있는 지역으로, 북쪽과 서쪽은 운중동 관할인 석운동, 운중동, 하산운동에 둘러싸여 있고 동쪽은 분당구 금곡동과 남쪽은 용인시 수지와 접하고 있다. 이 지역은 태릉(본동)을 중심으로 도장골, 두무만이, 장토리 등의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대장동의 명칭에...
-
전통 살림집에서 바닥과 사이를 띄우고 나무판을 깔아 꾸민 큰 마루. 대청은 큰 마루라는 의미로 거의 모든 전통 살림집에 있다. 대청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4칸 대청이지만 큰 집의 경우에는 6칸 대청도 있다. 살림집의 대청은 안채의 경우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 마련되며 방의 출입문은 대청 쪽으로 나게 마련이다. 규모가 큰 사랑채의 경우에도 큰사랑방과 작은 사랑방 사이에 대청이 있지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소재한 초등학교. ‘꿈을 가진 슬기로운 대하 어린이’라는 교훈 아래, 체(體, 몸이 튼튼하고 의지가 굳은 어린이), 기(技, 소질을 계발하고 특기를 키우는 어린이), 지(智, 깊이 생각하는 슬기로운 어린이), 덕(德, 이웃과 나라를 사랑하는 예절바른 어린이)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1987년 1월 31일 대하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었고,...
-
아버지에 대한 애증에서 벗어났던 대학 시절은 즐거웠다. 고교 시절 학교에서 받았던 여러 심적 갈등도 떨쳐버릴 수 있었다. 나는 대학 기숙사 생활을 하면서 맘껏 해방감을 누렸고 그것이 너무 좋았다. 외로움을 타지도 않았고, 새로운 환경이 낯설거나 힘들지도 않았다. 적응하는 데 문제도 없었다. “사실 대학교 기숙사는 특별히 4인 1실이 많거든요. 4인 1실에서 3년을 생활했었는데, 물...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고등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 기관. 초등학교 교육을 초등 교육,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을 중등 교육이라고 하는데 비하여 대학교 교육을 고등 교육이라 한다. 전국의 대학은 2005년 349개를 정점으로 완만하게 줄어들고 있으나 2008년 현재 무려 367개에 달할 만큼 양적으로 팽창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양적으로 비대해진 대학의 문제를 해결하기...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었던 영화관. 대한극장은 기세진이 대표자로 있었으며, 1988년 1월 24일에 개관하였고, 총 객석수 226석의 소극장이었다. 그러나 영화관의 멀티콤플렉스화 및 대형화 추세에 밀려 없어졌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법률 자문 기관. 법률 복지 기관인 대한법률구조공단의 성남출장소이다. 대한법률구조공단 성남출장소는 법률 지식이 부족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어려워 법의 보호를 충분히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법률 상담, 변호사에 의한 소송 대리 및 형사 변호 등의 법률적 지원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성남출장소는...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산악을 중심으로 신행증진을 도모하는 불교단체. 국내외 산악을 수행처로 삼아 심신연마, 신행증진, 자연보호, 불교사찰 및 문화재보호 등 불교중흥에 힘쓸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처음에는 조계종 중앙신도회 산하 성남불교신도회 포교원에서 파생되어 각 사찰별로 회원을 모집하였으나, 점차 성남사암연합회의 도움을 받아 초종파적 통합모임으로 발전하였다. 199...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경질유 송유관 사업과 종합건설업을 영위하는 기업. 전국에 1,208㎞의 송유관을 첨단 IT 기반으로 구축하여 휘발유 등의 석유 제품을 유류 수송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소비지로 수송하는 송유관 전문 회사이다. 1990년 공기업으로 출발하여 2001년 1월 경영 효율화를 위해 민영 기업으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현재 전체 경질유(경유·휘발유...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시조단체. 대한시조협회는 가사 기능보유자인 정경태가 1963년 조직한 단체로 성남지회는 1973년 10월에 설립되었다. 2004년 1월에는 대한시우회가 대한시조협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대 임화규 회장부터 시작하여 현재는 8대 윤종덕 회장이 이 단체를 맡고 있다. 태평2동 노인정, 신흥동 팔각정 아래 반공회관,...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시조인 단체 시조는 고려 중엽에 발생한 한국 전통 시 양식의 하나이며, 조선 시대에 유행한 시가 양식이다. 경기도 성남시 단대동에 있는 대한시조협회 성남시지회는 시조, 가사, 가곡 등에 곡을 붙여 부르는 시조창(時調唱), 정악(正樂) 등을 시민에게 보급한다. 전통 예술의 대표인 정악을 위시하여 국악의 전반적인 발전은 물론 애국 애족, 효도의 핵...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시조인 단체 시조는 고려 중엽에 발생한 한국 전통 시 양식의 하나이며, 조선 시대에 유행한 시가 양식이다. 경기도 성남시 단대동에 있는 대한시조협회 성남시지회는 시조, 가사, 가곡 등에 곡을 붙여 부르는 시조창(時調唱), 정악(正樂) 등을 시민에게 보급한다. 전통 예술의 대표인 정악을 위시하여 국악의 전반적인 발전은 물론 애국 애족, 효도의 핵...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덕수이씨는 고려시대 이돈수(李敦守)를 시조로 하고 있다. 조선조에 상신 7명, 대제학 5명, 호당 6명, 청백리 2명, 공신 4명, 장신 7명, 문과 급제자 105명을 배출하였다. 적은 인원수에 비하여 율곡 이이(李珥)와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등 훌륭한 인물을 많이 배출하였다. 수정구 사송동 벌말 서쪽에 있는...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 의령. 자는 덕원(德遠), 남의(南嶬)의 아들이다. 첨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묘소는 중원구 상대원동 사기막골에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재(德哉), 호는 뇌연(雷淵), 소화(小華). 서울 출신. 증조는 대제학 남용익(南龍翼), 할아버지는 대사헌 남정중(南正重),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남한기(南漢紀)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1721년(경종 1)에 진사가 되고, 강릉참봉(康陵參奉), 종묘서부봉사(宗廟署副奉事),세자익위사 시직(世子...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리를 목적으로 한 물품 매매업. 상업은 협의의 의미로는 상품의 직접적인 구매 및 판매 활동인 소매업, 도매업 등의 매매업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개념적으로 농업, 공업, 어업, 광업 등과 병행한다. 단 금융업, 운송업, 보관업, 보험업, 창고업 등 상업 행위를 촉진, 조성하는 업종은 포함하지 않았다. 소매상의 종류는 잡화상, 단위상...
-
마을 사람들이 도당(都堂 : 마을의 수호신을 모신 당 또는 단)에 모여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는 굿. 도당제(都堂祭) 혹은 대동굿이라고도 하는데, 매년 혹은 2년 정도의 주기로 봄, 가을에 정기적으로 행한다. 경기지역의 도당굿은 같은 행정구역에 속해 있지만 한강을 기준으로 이북과 이남의 도당굿으로 명확히 구분된다. 한강 이북의 도당굿은 강신무에 의해, 이남은 수원을 중심으로...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인간이나 차가 다니는 비교적 넓고 큰 길. 교통망은 인구의 이동뿐 아니라 물류 이동에도 중추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 도시의 시세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성남시는 개발 이전에는 서울에 인접해 있으면서도 교통망은 극히 취약했다. 광주대단지 사업과 분당 신도시 건설 등 지역 개발 사업과 전국적으로 이루어진 고속도로 건설 및 국도, 지방도로의 확충 등...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종합운동장 내에 있는 도로의 경과지를 표시하는 표지. 도로원표는 도로 노선의 기점과 종점 또는 경과지를 표시한 것으로 성남종합운동장내 88서울올림픽 기념조형물과 인접하여 백색화강암제의 정방형 비대와 비신 및 상부 첨탑의 형태이다. 비대는 3면에 ‘성남시’ 및 후면에 ‘2000년 6월 5일’의 설치연월이 새겨져 있다. 비신은 4면에 현 위치에서...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도서 및 자료를 모아두고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 경기도 성남시의 도서관은 공공 도서관, 대학 도서관, 학교 도서관, 전문 도서관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어 있는 공공 도서관은 경기도립성남도서관을 포함하여 7개가 있으며, 학교 도서관은 모든 학교에 법으로 도서실을 설치하여 운영하도록 되어 있지만 초․중등학교의...
-
성남시 중원구 금토동에 있는 도선이 고개에 얽힌 지명 유래담 도선이 고개는 도생이 고개라고도 불린다. 고산골에서 판교, 금토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현재는 이 고개가 없어졌으나 예전에는 도둑이 많았다고 한다. 신라 말과 고려 초에 활약한 명풍수 도선이가 지나간 고개라 하여 ‘도선이 고개’라고 불리웠다 한다....
-
석유가게를 접은 지 그럭저럭 1년이 지났을 때, 백씨의 남편은 상대원으로 돌아와서 다시 석유가게를 냈다. 원래 남편은 서울 마포 사람이었다. 총각 때 누나(지금의 시누이)를 쫓아 성남으로 왔다. 그리고 상대원 최초의 석유가게였던 대원석유에서 직원으로, 소장으로 일했었다. 총각 때부터 해오던 일이라 우선 시작하기는 쉬웠다. 석유는 전화 장사였기 때문에 고정 고객 확보가 중요했다. 그...
-
광주대단지 건설의 본격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돌마면, 낙생면, 대왕면 이외의 신흥동, 태평동, 성남동, 은행동, 수진동, 중동[현 중앙동], 단대동, 상대원동의 8개 법정동. 1975년 10월 1일 내무부 도시 동 행정 표준화 지침에 따라 성남시 동사무소의 분동이 실시되면서 명칭, 위치, 관할 구역에 변동이 발생하였다. 동시에 분동을 계기로 인구수에 따라 총무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국악 단체. 민간 전문 국악 단체인 한민족예술원은 단원을 비롯하여 일반 회원까지 100여명에 이르는 회원이 국악 전반의 다양한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국악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자라나는 미래의 기둥들에게 민족 예술이 지니고 있는 멋과 신명, 민족혼을 일깨워주기 위한 교육 지원 사업을 하고 있으며, 국악 기초 과정을 거쳐 간 강...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도촌동은 중원구 동남단에 자리 잡은 행정동으로, 법정동인 도촌동, 여수동, 갈현동을 관할하고 있다. 과거 개발 제한 구역으로 지정된 농촌 지역이었으나 도촌 지구와 여수 지구 택지 개발 사업, 2009년 성남시청사의 여수동 확장 이전 등으로 성남시의 중심 지역으로 성장할 것이 예상된다. 도촌동은 마을 앞...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느티나무 수령 40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25m, 가슴높이 둘레 18.5m, 수관(樹冠) 폭 30m의 느티나무이다. 원줄기의 아래쪽 0.5m 부위에서 크게 두 갈래로 갈라진 줄기가 다시 각각 두 갈래로 갈라져 올라가 수관부를 이루는 형태이다. 두 개의 굵은 줄기 사이에 가지의 발달이 거의 없어 전체적인 모습은 아랫부분이 비고 굵...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의 섬말에서 지내던 마을 동제. 도촌동 섬말은 옹점리라고도 하는데, 마을의 동쪽 끝으로 이왕산(利旺山)[334.5m]이 있으며, 이 산의 고개를 이왕이고개(혹은 이양이고개)라 부른다. 마을에서 모셔지는 신격은 ‘서낭[城隍]’이며, 제당은 ‘서낭당’이라 부른다. 서낭당은 이왕이고개에 벚나무와 돌무더기가 있는 곳을 이르며, 전에는 토석(...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섬말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과 갈현동 일대 799,000㎡에 대한 도촌택지개발지구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발굴된 유물산포지로 고려와 조선시대의 토기·도기·자기 조각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도촌동 섬말 유물산포지는 도촌동 섬말 뒤편의 해발 80.5m 산지 전반과 섬말 동쪽 산사면 일대,...
-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섬말의 마을 입구에 세워졌던 장승. 섬말마을 입구에 장승이 세워졌었지만, 현재는 그 터만 남아 있다. 주민들에 의하면 과거에는 장승이 낡으면 새로 세웠다고 한다. 장승이 언제부터 세워지지 않았는지는 정확히는 알 수는 없으나, 장승이 없어진 이후에도 장승을 새로 세우자는 제의는 없었다고 한다. 마을 입구에 세워졌던 것으로 보아 마을의 수문신...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응달말에 위치한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과 갈현동 일대 799,000㎡에 대한 도촌택지개발지구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발굴된 유물산포지로 고려와 조선시대의 토기·자기 조각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산78 일대, 응달말마을 뒤편에 자리하였다. 응달말은 이왕이고개로 향하는...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추정 고인돌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은 국가에 속하는데 한반도에는 3만여 기가 분포한다. 고인돌은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북방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기반식(남방식...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동쪽은 광주시 광남동과, 서쪽과 남쪽은 같은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 법정동인 여수동과 분당구 야탑동, 북쪽은 하대원동 관할 법정동인 갈현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총 3.0㎢의 면적으로 중말(中村)과 그 남쪽에 응달말, 북쪽에 섬말[도촌(島村)]의 3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약 250년전 강씨에 의하여 형성된 마을로서,...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도촌중학교의 교훈은 바르게, 슬기롭게, 아름답게이며, 도덕인, 실천인, 창조인, 건강인, 국제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도촌동 택지개발사업과 함께 도촌중학교 건립이 추진되어 2008년 1월 13일 27개 학급으로 도촌중학교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2008년 3월 1일 특수 학급 1개를 포함한 9...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도촌중학교의 교훈은 바르게, 슬기롭게, 아름답게이며, 도덕인, 실천인, 창조인, 건강인, 국제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도촌동 택지개발사업과 함께 도촌중학교 건립이 추진되어 2008년 1월 13일 27개 학급으로 도촌중학교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2008년 3월 1일 특수 학급 1개를 포함한 9...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시도(市道). 성남시 중원구 도촌지구와 하대원동 공단로를 연결하는 도로로 분당 신도시에서 기존 시가지를 관통해 위례 신도시를 연결하는 간선도로 중 한 구간이다. 도촌지구와 공단로를 연결하여 도촌지구-공단로간 도로로 부르고 있으며 이 도로 중 둔촌 이집 선생의 묘역 밑에 형성된 터널을 둔촌터널이라 명명하였다. 왕복 4차선...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도촌초등학교의 교훈은 큰 꿈, 바른 행동으로 열심히 배우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2008년 1월 7일 도촌초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동년 3월 1일 12학급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으로 오양기가 부임하였다. 2008년 5월1일 16학급으로 증설하였으며, 2009년 3월 1일 18학급으로 증설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도촌초등학교의 교훈은 큰 꿈, 바른 행동으로 열심히 배우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2008년 1월 7일 도촌초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동년 3월 1일 12학급으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으로 오양기가 부임하였다. 2008년 5월1일 16학급으로 증설하였으며, 2009년 3월 1일 18학급으로 증설하였다....
-
조선 후기 외세의 침투에 대항하여 국권을 지키고자 하는 움직임으로부터 일제강점 후 주권을 되찾고자 벌였던 일련의 반외세, 반봉건을 지향한 운동가 근대화 과정에서 민족주의운동은 대내적으로 반봉건적인 모순을 제거하는 동시에 제국주의 외압으로부터 자주 국가를 건설하려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이런 점에서 보면 근대 민족주의운동은 두 개의 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나는 개...
-
내가 다니던 고등학교는 동아리 활동이 활발했다. 나는 한늘품이라는 독서토론부에서 가입했다. 남녀공학에서 몇 안 되는 여학생 전용 동아리였다. 여학생 끼리 모여 세계 명작, 한국 명작을 선정해서 읽고 토론하고, 가끔은 다른 학교를 섭외하여 같이 대외토론을 하기도 했다. 대부분 고등학생 수준으로는 쉽지 않은 주제를 가지고 토론했었다. 보통 네댓 개의 주제를 두고 한 달에 한 번씩 토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중천. 지금의 수정구 태평동은 본래 광주군 세촌면 탄동이었다. 예전에 이 일대가 참나무가 많아 숯을 굽던 마을이라 탄리 혹은 숯골이라고도 하였다. 이 숯골 동쪽에 있는 마을에 동래 정씨가 정자를 짓고 글을 가르치던 곳을 독정리라 했는데 이 지명을 따라 독정천이라 했다. 독정천은 탄천으로 유입되는 성남시의 13개 중천 중 하나로, 창...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다방. 다방은 커피나 녹차, 쌍화차, 대추차, 우유 및 청량음료와 과일, 아이스크림 같은 가벼운 음식을 판매하는 곳이다. 커피숍(coffee shop)·커피 하우스(coffee house)·커피 살롱(coffee salon)·티살롱(tea salon)·티룸(tea room)·다실이라고도 한다. 만남과 대화의 장소로 80년대까지는 동네마다 있을...
-
1919년 3월 27부터 3일간 한백봉, 한순회, 남태희 등이 돌마면과 낙생면의 면민을 규합하여 진행한 연합적 만세시위운동. 돌마면과 낙생면 면민의 연합시위는 규모나 영향력이 지대한 것으로 파급효과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시위를 주도하기 이전에 봉화와 횃불을 통해 상호 교감을 일으켜 분위기를 조성하는 작전을 구사하였다. 시위운동의 주도자들은 3월 28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도덕적이고 민주적인 사람, 공동체 발전에 공헌하고 봉사하는 사람,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사람, 정서적이고 건강한 사람, 자기 주도적으로 미래를 개척하는 사람 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1년 1월에 인가되어 3월에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은 안재호이다. 개교 당시 36학급과 3개의 특수 학급이 인가되어 12학급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도덕적이고 민주적인 사람, 공동체 발전에 공헌하고 봉사하는 사람,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사람, 정서적이고 건강한 사람, 자기 주도적으로 미래를 개척하는 사람 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1년 1월에 인가되어 3월에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은 안재호이다. 개교 당시 36학급과 3개의 특수 학급이 인가되어 12학급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돌마초등학교의 옛 이름. 1935년 10월 9일 돌마면 판교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38년 보통학교를 심상소학교(尋常小學校)로 개명함으로써, 돌마심상소학교로 되었다. 그 뒤 1941년 심상소학교가 다시 돌마국민학교로 되었다가, 1996년 3월 1일에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되면서 돌마초등학교가 되었다. 돌마공립보통학교로 설립된 당...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과 구미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 상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3년에 준공되었으며, 총연장 102m, 교폭 415m, 축조 형식은 중공PC슬라브 방식이다. 분당신도시 개발에 따른 탄천 정비사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새로 놓은 다리이다. 인접하여 탄천의 물을 막기 위한 돌마보가 설치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및 중원구에 있는 시도(市道). 돌마로는 지방도 23호선 금곡IC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중원구 성남동 제일로를 연결하는 총 길이 8.18㎞의 도로로, 수정·중원구와 분당구를 연결하는 남북간 간선 도로망이다. 도로의 이름은 과거 이 지역의 지명인 광주군 돌마면에서 유래한 것이다. 분당구 금곡동 국지도 23호선 금곡IC에서 서현동,...
-
본래 경기도 광주군(廣州郡)에 속했던 행정지명. 돌마면은 현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지역에 편입된 성남시의 옛 행정구역이다. 경기도 광주군에 속했던 지방행정 구역으로 『여지도서』에 의하면 조선 후기에는 2개 동리로 구성되어 있었고, 1907년에 세촌면, 낙생면과 함께 근대적 행정 단위로 설치되었다. ‘돌마’라는 명칭은 ‘말이 갑자기 나타났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에 있던 행정기관. 일제 강점기에는 군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던 지방의 행정 체계를 소규모의 면 중심으로 개편하여 면 단위까지 경찰, 행정관서 등을 설치하고 총독이 일원적으로 지배하는 식민지 탄압망을 구축하였다. 성남 지역은 1910년 11월 10일 총독부령 제8호에 공포된 면의 관한 규정에 의하여 중부면은 산성리 935~3, 5 번지의 행궁터에 처음...
-
1919년 3월 27일 돌마면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운동. 돌마면의 시위운동은 천도교인과 농촌의 지식인층 일단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운동을 주도하였다는 점이 특색이다. 이로써 참가자가 증폭하였고 낙생면과의 연합시위도 이끌어낼 수 있었다. 돌마면 율리의 한순회(韓順會), 한백봉(韓百鳳) 등은 1919년 고종 장례식에 참여한 후 3.1운동을 직접 경험하였다. 이들은...
-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군(부) 돌마면의 경작 상태와 전세(田稅) 관계를 기록한 장부. 현존하는 『돌마면전부』가 없어 『여지도서』나 『남한지』 등 당시의 다른 자료를 통해 유추 해설이 가능할 뿐이다. 돌마면의 인구는 조선시대 각 시기마다 다르지만 1760년(영조 36)에 편찬한 『여지도서』에 의하면 인구 2,505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 1846년(헌종 12) 『남한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지역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역참. 『여지도서』에 돌마역[현재 수내동 역말]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과 달리 『여지도서』 이전과 이후 즉, 조선 전기, 후기에 편찬된 다른 자료인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도로고』, 『만기요람』, 『대동지지』 등에는 모두 낙생역으로 기재되어 있다. 현재 낙생역 또는 돌마역은...
-
조선시대 삼남지방에서 서울에 이르는 교통로에 있던 낙생역의 터. 낙생역지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나 현재 분당중앙공원 앞의 수내로와 돌마로가 갈라지는 분기점인 역말광장 일대와 수내동 푸른마을 주변 일대로 추정되고 있다. 낙생역은 고려시대의 안업역(安業驛)이 조선 초에 이르러 개칭된 것인데, 영조 때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돌마역(突馬驛)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
분당우체국 개관 이전에 돌마지역에 있었던 우체국. 1971년 9월 광주군 중부면의 6개리와 돌마면, 낙생면, 대왕면을 합쳐 경기도 성남시 출장소가 설치되었다. 즉 현재의 분당은 광주군의 돌마면(분당동, 정자동, 수내동, 서현동, 이매동, 여수동, 율동, 야탑동, 도촌동), 낙생면(동원동, 금곡동, 궁내동, 삼평동, 백현동)과 용인군 수지면의 구미동이 합쳐진 것이며, 19...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참되고 지혜로운 어린이'를 교훈으로, 미래를 이끌 능력 있는 돌마 어린이를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35년 4월 1일에 3학급으로 돌마공립보통학교를 개교하였으며, 1994년 1월 6일에 교사 개축 이전, 1996년 3월 1일에는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변경되어 돌마초등학교가 되었다. 1998년 2월 2일에 급식소를 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참되고 지혜로운 어린이'를 교훈으로, 미래를 이끌 능력 있는 돌마 어린이를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35년 4월 1일에 3학급으로 돌마공립보통학교를 개교하였으며, 1994년 1월 6일에 교사 개축 이전, 1996년 3월 1일에는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변경되어 돌마초등학교가 되었다. 1998년 2월 2일에 급식소를 신...
-
1975년 성남시 돌마 지역에 설치되었던 출장소. 1970년대 수도권의 인구 집중 억제와 수도권 주변의 무질서한 도시 확산 방지 및 서울 외곽 도시의 합리적인 육성을 위해 성남시가 성립되었고, 이후 인구가 급격히 늘자 1975년 돌마 지역을 관할하는 돌마출장소가 이매동에 설치되었다. 본청과 멀리 떨어진 돌마 지역의 주민 편의를 위해서 설치된 기관이다. 1971년 설치된 경기도 성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목련마을)과 서현동(효자촌)을 연결하는 터널. 돌마터널은 시도 85호선 상에 위치한 야탑동과 서현동의 경계를 지나는 터널로서 2006년 10월 31일에 개통되었다. 1터널은 연장 225m, 폭 7.9m, 높이 6.5m이며, 2터널은 연장 710m, 폭 8.8m, 높이 6.5m이다. 시도 85호선이 돌마터널을 지나고 있다....
-
노씨 아줌마, 그녀는 강원도에서 태어났다. 어느 날 아버지가 성남이 개발될 것이라는 정보를 어디서 주워듣고 와서는 보따리를 싸게 했다. 성남과의 느닷없는 인연이 시작된 것이었다. 물론 노씨 아줌마는 아직도 아버지의 정보의 출처를 알지 못한다. 출처조차 확실치 않는 정보에 의지해서 그녀의 가족은 1968년 무렵 성남으로 이주해 왔다. 그녀 나이 9살 무렵이었다. 아버지 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한방 병원. 성남시 분당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 부속 한방 병원으로서, 분당차한방병원과 아울러 2대 한방 병원으로 손꼽힌다. 한의학의 연구와 후진 양성으로 한의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인술을 통한 자비를 실천하며, 중생 제도를 목적으로 개원한 한방 병원이다. 1992년 분당구 수내동 87-2[불정로 268] 현 위치의 건립 부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한방 병원. 성남시 분당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 부속 한방 병원으로서, 분당차한방병원과 아울러 2대 한방 병원으로 손꼽힌다. 한의학의 연구와 후진 양성으로 한의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인술을 통한 자비를 실천하며, 중생 제도를 목적으로 개원한 한방 병원이다. 1992년 분당구 수내동 87-2[불정로 268] 현 위치의 건립 부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한방 병원. 성남시 분당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 부속 한방 병원으로서, 분당차한방병원과 아울러 2대 한방 병원으로 손꼽힌다. 한의학의 연구와 후진 양성으로 한의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인술을 통한 자비를 실천하며, 중생 제도를 목적으로 개원한 한방 병원이다. 1992년 분당구 수내동 87-2[불정로 268] 현 위치의 건립 부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성남문화재단이 진행한 문화예술 활동. 태평동이라는 지명과 연계하여 태평함을 같이 즐긴다는 마을 공동체의 의미를 담아 동락태평이라 하였다. 성남문화재단에서는 문화도시 성남 창조를 위해 2006년부터 2008년까지를 기반 조성과 비전 창출이라는 계획을 세워나가는 1단계로 설정하고 문화도시 5대 정책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신흥2동 옹정촌(甕亭村)[독정리]에 정형운(鄭亨耘)이 최초로 거주하였다. 정형운의 손자 정대년(鄭大年)[1503~1578]이 신흥주공아파트 자리에 지은 정자가 있어, 옹촌의 ‘옹’자와 정자의 ‘정’자를 합쳐 옹정촌이라 불렀고, 그 일대 산을 옹정산이라 칭하였다. 중원구 여수동 벌말에 세거하였으나...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군칙(君則), 호는 동리(東里)이다. 예조좌랑을 역임한 정진의 증손이고, 좌의정 정언신(鄭彦信)의 손자로, 정율(鄭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호준(元虎俊)의 딸이다. 1613년(광해군 5) 사마시에 합격하고, 문음(門蔭: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으로 의금부도사를 거쳐 화순현령, 안산군수를 역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성남시 분당구의 서남단에 있는 지역으로 동쪽과 북쪽은 금곡동과 분당구 구미동에 둘러싸여 있으며, 서쪽은 분당구 운중동[대장동]과 남쪽은 탄천과 합해지는 동막천이 동류하면서 용인시 수지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막(東幕)’을 중심으로 광주머내, 샛터, 안골, 양짓말 등의 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과거 이 일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의 동막골과 머내를 지나 탄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광교산과 발화산의 골짜기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굴에서 발원하여 낙생저수지를 거쳐 분당구 금곡동의 동막골과 머내를 지나 한국토지주택공사 동쪽에서 탄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이다. 총 연장 7,120m이며, 최대 폭 170m, 유역 면적 29.34ha이다. 『동여도』와 『...
-
경기도 성남시 일원에 살고 있는 동물의 모든 종류. 특정 동물 분류군에 따라 곤충상·어류상·양서류상·조류상 등으로, 지역에 대해서는 한국의 동물상, 경기도의 동물상, 성남의 동물상 등으로, 생활형(life form)에 따라 부유 동물상·유영 동물상 등으로 구분하고, 지구상의 특징 있는 서로 다른 동물상을 가진 구역을 동물지리구로 구별한다. 동물 군집이 여러 개체군이 모인...
-
경기도 성남시 일원에 살고 있는 동물의 모든 종류. 특정 동물 분류군에 따라 곤충상·어류상·양서류상·조류상 등으로, 지역에 대해서는 한국의 동물상, 경기도의 동물상, 성남의 동물상 등으로, 생활형(life form)에 따라 부유 동물상·유영 동물상 등으로 구분하고, 지구상의 특징 있는 서로 다른 동물상을 가진 구역을 동물지리구로 구별한다. 동물 군집이 여러 개체군이 모인...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사립 전문대학. 참된 인격의 바탕 위에 창조적 지성과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도록 함을 교육목표로 한다. 교훈은 진실·기술·봉사이다. 1977년 학교법인 제석학원이 대유공업전문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가 1979년 대유공업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92년 재단이 바뀜에 따라 법인명을 학산학원...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극 단체. 극단 동선은 성남 지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성남을 대표하는 극단이라 할 수 있다. 극단 동선은 1982년 연극 문화의 저변을 확대시키고, 서울 중심의 연극 활동에서 벗어나 성남 지역 연극의 창작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한 극단이다. 서울에서 활동했던 연극인들 중에서...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노동부 지정 교육 기관. 성남직업전문학교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직업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맞춤형 인재를 배출하여 인력 수급 불일치를 해소하고자 설립되었다. 1980년 7월 동양자동차정비중장비학원이라는 이름으로 경기도 성남교육청으로부터 인가받아 개원하였다. 1994년 1월 교육부로부터 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과 용인시 수지 지역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청계산 산지에서 발원하여 성남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으로 유입하는 성복천과 동막천이 합류하는 지점 하류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2년에 준공되었으며, 총 연장 75m, 교폭 30m, 축조 형식은 PC슬라브 방식이다. 이 다리를 지나는 도로는 국지도(局地道)...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법정동.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구미1동에서 관할한다. 용인시와 인접한 도농 복합 지역으로 낙생저수지가 있고, 그 주변으로 약 15만㎡ 규모의 유원지가 조성되어 있어 도시민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과거 이 일대는 삼남 지방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이어서 주막과 대장간 등이 번창하였던 곳이다. 동막...
-
근대 개항기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자는 무선(武善), 호는 동은(東隱). 아버지는 맹윤순(孟胤淳)이며, 생부는 맹현순(孟賢淳)이다. 통사랑 선공감역을 역임했다. 묘는 분당구 분당동에 있다. 분당동의 샛당모루는 신창맹씨의 세거지이다. 샛당모루는 신창맹씨의 사패지로 신창군 맹석흠(孟碩欽)[1429~?]의 자손이 세거한 것으로 전해진다. 맹석흠은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이시애의 난을...
-
마을을 지켜주는 마을신[동신(洞神)]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기원하는 제의. 동신제(洞神祭)라고도 하며, 성남지역에서는 동신의 구체적인 명칭을 들어 산신제, 동네고사, 서낭제, 도당굿 등으로 불린다. 동제를 지내는 목적은 마을사람들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고, 또한 농사가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 성남지역에서 동제의 대상신은 산신, 서낭신 등 다양한데,...
-
24절기의 하나. 대설과 소한 사이에 있으며, 음력으로는 11월 중에 있고, 양력 12월 22일경이다. 예로부터 ‘작은 설’이라 하여 명절로 여겼다. 동짓날에는 시절식(時節食)으로 동지팥죽을 쑤어먹는다. 팥죽에는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새알만한 크기로 만든 옹심이(새알심)을 넣는다. 이 동지팥죽으로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는 집도 있고, 또 집안에 신을 모시는 집에서는 조상단지 등에 팥죽...
-
금기시된 행위를 하였을 경우에, 귀신을 노하게 하여 받게 되는 재앙을 예방하는 행위. ‘동토예방(動土豫防)’이라고도 한다. 동티의 징후는 대개 질병으로 나타나고 심하면 죽게 되기도 한다. 동티가 나는 신체(神體)를 상징하는 물체나 귀신이 거주하거나, 신이 관장하는 자연물과 인공물을 함부로 훼손 또는 침범할 때 적절한 절차에 따라서 다루지 않으면 일어난다. 이러한 경우, 신이 진노하...
-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마을 단위로 둔 조직. 두레는 논농사지대에서 마을 성년남자들이 협력하여 농사를 지음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공동노동조직체였다. 주로 모내기와 김매기 등 단기간 내에 노동력을 집약시켜야 할 시기에 마을 주민들은 두레를 구성, 운영하여 농업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따라서 두레는 마을 성년남자들 전원이 참가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
마을 내 공동노동조직체인 두레에서 행해진 놀이. 두레는 농민들이 농번기에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부락이나 마을 단위로 만든 조직이다. 두레는 노동에만 주안점을 둔 것이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놀이에도 관심을 가졌다. 성남지역에서 두레싸움은 대체로 두 경우에 이루어졌다. 첫번째로 노동을 마치고 마을로 돌아오는 길에 타동네 두레와 마주쳤을 때, 서로 길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내에 있었던 지명. 둔서촌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숲안에 살던 한산이씨 봉화공 후손들이 분가하여 살면서 형성된 마을로 조선시대에 통로골, 돈서촌과 함께 지금의 서현동을 구성하였다. 둔서촌은 구전에 의하면 조선시대 한 거사(居士)가 마을에 은거하면서 서당을 짓고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뜻에서 돈서촌으로 불리어지다 후대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법정동. 분당 신도시 개발 당시 시범 단지로 조성된 서현동은 서현1동과 서현2동의 2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인 시범 단지와 서현역을 중심으로 상업 및 업무 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은 조선시대에 광주군 돌마면 둔서촌, 양현, 통로골 등의 마을로 이루어진 곳으로, 1914년 전국의 행정구역 개편 때 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속하는 마을 이름. 조선시대 이 마을에 둔전(屯田)이 위치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본래 광주군 대왕면에 속하는 지역으로 둔전촌이라 불리던 곳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둔전리가 되었다. 이후 성남시로 편입되어 둔전동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동쪽과 서쪽으로 산지가 분포하고, 대규모 충적지는 탄천이 북류하며 수정구를 지나는 구간의 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교회.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교회로, 1904년 경기도 광주군 둔전리에서 시작되었다. 성남지역 최초의 교회의 하나로, 교회 창립에 주도적 역할을 한 사람은 이사윤(李思潤)이며, 조덕현, 홍상준, 김용배, 김기배(金琪培) 가족이 초기 교회의 주춧돌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북장로회 소속 선교사 피득(彼得, Alexander A...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 둔전동은 서쪽의 인릉산과 동쪽의 탄천 사이에 위치한 평야 지역으로, 원래 건넌말, 둔전말, 안말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서울공항의 건설로 인해 폐동되었다. 법정동인 둔전동은 행정동인 고등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이 지역은 조선시대에 군량을 충당하기 위해 설치하였던 둔전(屯田)이 있었기 때문에 둔전말 또는 둔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관할에 있었던 옛 지명. 서쪽의 인릉산과 동쪽의 탄천 사이에 위치한 평야지역으로서 동쪽은 탄천을 경계로 수정구 수진동, 서쪽은 고등동, 남쪽은 시흥동, 북쪽은 신촌동(심곡동)과 접하고 있다. 본래 건너말, 둔전말, 안말 등의 마을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서울공항의 건설로 인하여 없어진 동이 되었다. 이곳의 둔전은 영장산(靈長山)에 장사지낸...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 둔전동은 서쪽의 인릉산과 동쪽의 탄천 사이에 위치한 평야 지역으로, 원래 건넌말, 둔전말, 안말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서울공항의 건설로 인해 폐동되었다. 법정동인 둔전동은 행정동인 고등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이 지역은 조선시대에 군량을 충당하기 위해 설치하였던 둔전(屯田)이 있었기 때문에 둔전말 또는 둔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 둔전동은 서쪽의 인릉산과 동쪽의 탄천 사이에 위치한 평야 지역으로, 원래 건넌말, 둔전말, 안말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서울공항의 건설로 인해 폐동되었다. 법정동인 둔전동은 행정동인 고등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이 지역은 조선시대에 군량을 충당하기 위해 설치하였던 둔전(屯田)이 있었기 때문에 둔전말 또는 둔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산봉우리. 둔지봉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신시가지 아파트단지와 궁내동 경부고속도로 서울요금소의 서쪽에 위치하는 해발고도 310.8m의 산봉우리이다. 둔지봉의 동쪽으로는 분당구 궁내동의 궁안마을이 형성되어 있고, 서쪽으로는 능고개로 이어져 분당구 대장동과 하산운동의 갈림길이 되며, 경부고속도로 서울톨게이트 서쪽에 인...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문신 이집(李集)의 묘역. 이집[1327~1387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초명은 원령(元齡), 자는 성노(成老), 호연(浩然), 호는 묵암자(墨岩子), 둔촌(遁村)이다. 이당(李唐)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 이색(李穡), 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했다. 충목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해박...
-
경기도 광주군 구천면(지금의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에 있었던 마을. 둔촌리는 고려시대 관리였던 이당(李唐)의 셋째 아들 이집(李集)의 호에서 유래된 지명으로서, 이집은 적승 신돈(申旽)을 탄핵하였다가 목숨이 위태로워지자 은둔 생활을 하였으며, 이후 신돈이 살해되자 은둔 생활을 끝내고 정착을 하였다. 이때 원령(元齡)의 초명에서 ‘집’으로 이름을 고치고 자를...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시도(市道). 성남시 중원구 도촌지구와 하대원동 공단로를 연결하는 도로로 분당 신도시에서 기존 시가지를 관통해 위례 신도시를 연결하는 간선도로 중 한 구간이다. 도촌지구와 공단로를 연결하여 도촌지구-공단로간 도로로 부르고 있으며 이 도로 중 둔촌 이집 선생의 묘역 밑에 형성된 터널을 둔촌터널이라 명명하였다. 왕복 4차선...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 금토동은 수정구 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이 지역은 금현동, 바깥말(바깥골, 외둔토리, 바깥두리이골), 안골(안골, 안둔토리, 안두래이골)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이 산지이다. 행정동인 시흥동에서 관할한다. 금토동은 금현동(金峴洞)에서 '금'자를 취하고 ‘둔토리(遁土里)’의 '토'자를 따서 지은 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행정동인 고등동은 법정동인 고등동, 상적동, 둔전동을 관할하고 있으며, 인근에 있는 성남공군기지로 인하여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제한구역과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고등동은 크게 고산동(高山洞)과 등자리(登子里)로 구분되며, 각 마을의 '고(高)’자와 '등(登)’자를 따서 고등동이 되었다. 고산동은 안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조선시대에 광주군 대왕면 지역에 있었던 등자리는 인능산의 지맥을 사이에 두고 고산리와 남북으로 있었으며, 등칡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한국전쟁 이후 다른 지방 사람들이 이주해 와서 하천가에 만든 마을이 고등동의 중심지를 이루게 되었고, 이때 술집이 많이 생겨났다 하여 ‘새술막’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등자리의 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작은 저수지. 소류지란 예로부터 하천이 잘 발달하지 않은 지역에서 경작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조한 소규모 저수시설을 가리키는 것으로 ‘늪지’가 표준어이다. 등자소류지는 작은 규모의 하천 골짜기에 제방을 축조하여 물을 저수하고 있는데, 그 규모는 인근에 있는 대왕저수지나 심곡소류지에 비하여 규모가 훨씬 작다. 등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