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의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성남문화원은 서울에 인접한 지역적 특성으로 서울 문화에서 탈피하고 고유한 성남 향토문화 창달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인식하고 이를 위해 산하에 향토문화연구소[2013년 12월 27일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로 개칭]를 부설하여 매년 전문적인 학술 조사 활동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성남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강백령[생몰년 미상]은 본관은 진주이고 전설사 별제를 지냈다. 진주강씨는 조선 초기에 성남시 복정동 안골마을에 자리 잡은 세거성씨로, 마을에 처음 들어와 터를 잡은 조상은 강천명(姜天命)이며, 지금 남아 있는 성남의 집성촌 성씨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편이다....
-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위하였던 무신이자 척신. 구인후[1578~1658]는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능성(綾城), 휘는 인후(仁垕), 자는 중재(仲載), 호는 유포(柳浦),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율곡 이이의 학맥을 이어받은 김장생에게서 배웠다.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권징의 묘 및 묘갈. 권징[1538~1598]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송암(松菴)이다. 사직(司直) 굉(硡)의 아들이며, 배위(配位)는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전주이씨이다. 1562년(명종 17) 문과에 급제한 후 전주부윤, 안변부사, 강원도·충청도·함경도·평안도 관찰사, 병조판서를 지냈다. 1592년 임...
-
1484년(성종 15)~1552년(명종 7).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백순(伯順). 할아버지는 내섬시부정 남이(南儞)이고, 아버지는 군수 남변(南忭)이며, 어머니는 좌참찬 이훈(李塤)의 딸이다. 이조판서 남이공(南以恭)의 증조부이다....
-
조선 전기의 관인.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문중(文仲). 병절교위(秉節校尉) 남세칙(南世則)의 계자(繼子,양자)이며 군수 남변(南忭)의 손자이다. 생부는 이조참판 남세준(南世準)이다. 부인은 정광형(鄭光亨)의 딸이다. 김상헌(金尙憲)의 아우인 김상관(金尙寬)의 장인이 된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평숙(平淑).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이다. 정묘호란 때 순절한 충장공(忠狀公) 남이흥(南以興)의 현손이며, 증조는 장악원 첨정(僉正)을 지낸 남두극(南斗極)이고, 증호조참의 남영(南泳)의 손자이다. 의림군(宜林君) 남대(南垈)의 장자이며, 어머니는 윤민행(尹敏行)의 딸 칠원윤씨(漆原尹氏)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인서(仁瑞). 직제학공 남간(南簡)의 후손이다. 정조의 사부였던 봉조하(奉朝賀) 남유용(南有容)의 손자이며, 진사 남공보(南公輔)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목사 이종해(李宗海)의 딸 죽산이씨인데, 절행으로 정려(旌閭) 되었다. 배위는 대사성(大司成) 윤상후(尹象厚)의 딸 파평윤씨이며, 춘천부사를 지낸 남주헌(南周獻)의 아버지이다....
-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애명(愛明)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송수(松叟). 부사 남면교(南勉敎)의 아들. 부인은 이종륜(李鍾崙)의 딸이다....
-
개항기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성방(聖邦)이다. 아버지는 공조참판 남기원(南綺元)이며, 할아버지는 영의정 남공철(南公轍)이다. 부인은 홍우정(洪祐鼎)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문보(文甫), 호는 의재(宜齋). 할아버지는 남공보(南公輔)이고, 아버지는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정3품 당상)을 지낸 남인구(南麟耈)이며, 어머니는 윤상후(尹商厚)의 딸이다....
-
근대 개항기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경석(敬錫)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숙남(叔南). 참판 남응운(南應雲)의 3남이며, 참판 남세건(南世健)의 손자이다. 부인은 구윤(具潤)의 딸이다. 1604년(선조 37)에 성균관 문묘의 벽에 재상(宰相)과 환관(宦官)의 비행을 폭로한 벽서사건(壁書事件)으로 이름을 떨친 유생 정언선(丁彦璿)과 광해군의 폐모론을 극력 반대하였던 대사헌 해천군(海川君) 최유원(崔有源)이 그...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신창(新昌).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한 맹수서(孟修瑞)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신창(新昌). 용양위(龍驤衛)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맹만장(孟萬章)의 아버지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작곡가. 박태현은 1907년 9월 19일 평안남도 평양 설암리에서 아버지 박일찬, 어머니 한인찬 사이에서 독실한 기독교 집안의 2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언규(彦圭). 정주목사를 지낸 송수(宋壽)의 셋째아들로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이다. 생원 송윤은(宋胤殷)의 손자이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올랐던 대표적 훈구세력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외손자이다. 처부(妻父)는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오른 제양군(齊陽君) 허광(許礦)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산(礪山). 자는 탁이(卓爾). 호는 금헌(琴軒). 증 이조참판 송말경(宋末璟)의 장남이자 증 병조참판 송수(宋壽)의 손자이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오른 제양군(齊陽君) 허광(許礦)의 외손자이고, 문과에 합격하여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오른 송언신(宋言愼)이 아들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산(礪山). 자는 윤보(允甫). 의금부도사를 역임한 송희성(宋希聖)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최세윤(崔世胤)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첨정(僉正)을 지낸 송숙경(宋叔璟)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려산(礪山). 자는 여오(汝五).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송준(宋駿)의 2남이고, 어머니는 김급(金汲)의 딸 청풍김씨(淸風金氏)이다. 할아버지는 퇴계(退溪) 문인으로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역임했던 송언신(宋言愼)이고, 증조부는 종성부사(鍾城府使)를 역임한 송율(宋嵂)이다. 처부(妻父)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한 청주한씨(淸州韓氏) 한효중(韓孝仲)이...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 여산(礪山). 자는 여눌(汝訥). 감역(監役)을 지낸 송덕융(宋德隆)의 손자이자 송유(宋濡)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박동유(朴東維)의 딸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여현(汝賢). 왕자사부(王子師傅)를 지낸 송숙경(宋叔璟)의 큰아들이며, 어머니는 양숙(梁淑)의 딸이다. 정주목사(定州牧使)를 지낸 송수(宋壽)가 할아버지이니, 할머니는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녹공되었던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딸 광주이씨이다....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직장을 지낸 신도(申燾)의 아들이고, 할아버지는 문과를 거쳐 한림으로 이름 높았던 신준미(申遵美)이며, 생부는 신묵(申黙)이다. 아들은 찰방을 지낸 신유(申愉)이다....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숙보(肅甫). 아버지는 통정대부까지 오른 불여당(不如堂) 신암(申黯)이고, 어머니는 김지(金墀)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신준미(申遵美)의 아우인 신정미(申廷美)이다. 한여선(韓汝善)의 딸 청주한씨와 혼인하였고, 아들은 찰방을 지낸 신황(申惶)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공조판서 안침(安琛)의 증손자이며, 병조좌랑 안처선(安處善)의 손자, 성균관(成均館) 전적(典籍)을 역임한 안정의 셋째 아들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정연(挺然), 호는 죽창(竹窓). 전주부윤 안지귀(安知歸)의 증손이며, 공조판서 안침(安琛)의 손자이고, 병조좌랑 안처선(安處善)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최윤신(崔潤身)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가헌(可獻). 안향(安珦)의 후손으로, 가정대부 의정부좌참찬 안구(安玖)의 손자이고, 전주부윤 안지귀(安知歸)의 큰아들이며, 공조판서를 지낸 안침(安琛)의 형이다. 어머니는 형조참판을 지낸 박이창(朴以昌)의 딸이고, 부인 안동김씨는 김철균(金哲鈞)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서 출토된 영창대군 이의(李㼁)의 묘지석. 영창대군은 조선 선조의 14명의 왕자 중 막내이며, 인목왕후의 유일한 소생이다. 선조는 이미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光海君) 대신 영창대군을 왕세자로 책봉할 것을 영의정 유영경(柳永慶) 등과 비밀리에 의논하였다. 그러나 선조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서인(庶人)으로 강등되고 만 8세의 나이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중(士仲). 사마시를 거쳐 산음현감을 지낸 월곡공(月谷公) 오윤함(吳允諴)의 다섯째 아들로, 어머니는 강덕윤(姜德胤)의 딸이다. 임란중의 생활일기였던『쇄미록(鎖尾錄)』을 남긴 오희문(吳希文)의 손자이다. 처부는 최종직(崔宗直)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정(士正). 사마시를 거쳐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의 큰아들으로, 어머니는 강덕윤(姜德胤)의 딸이다. 임란 중의 생활일기였던 『쇄미록(鎖尾錄)』을 남긴 오희문(吳希文)의 손자이고, 처부는 이경항(李景恒)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승(子承), 호는 환범재(換凡齋)이다. 친아버지는 판돈령부사 원경하(元景夏)인데, 원경조(元景祚)의 양자가 되었다. 우의정 원인손(元仁孫)과 대사헌 원의손(元義孫)의 동생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출신. 자는 극서(極敍). 원재공(元在恭)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출신. 자는 치영(穉永). 호는 지산(芝山). 원석규(元錫圭)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국헌(國獻). 원석오(元錫五)의 장남이고, 원재공(元在恭)의 손자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방(子方), 호는 모와(慕窩)이다. 판돈령부사 원경하(元景夏)의 아들인데, 원경유(元景游)의 양자가 되었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여실(汝實).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셋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건중(建中). 호는 강암(彊菴).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성심(聖心). 원세창(元世昌)의 장남이고, 원석오(元錫五)의 손자, 원재공(元在恭)의 증손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호연(浩然). 할아버지는 감찰(監察)과 한림(翰林)을 지낸 원맹강(元孟康)이며, 아버지는 원윤종(元胤宗)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성남시 분당구 율동 출신. 자는 서경(西卿). 윤석보(尹錫輔)의 둘째 아들이고, 유종선(柳從善)의 손자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선여(善餘). 할아버지는 우봉현령 윤이(尹伊)이며, 아버지는 호조판서 윤탁연(尹卓然)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계초(啓初). 광국공신(光國功臣)으로 칠계군(漆溪君)에 봉해진 윤탁연(尹卓然)의 손자이다. 한성부 서윤(庶尹)이자 임란 당시 순절하여 충장공(忠莊公)에 봉해졌던 윤경원(尹慶元)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정연(鄭演)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성남 중원구 하대원동 출신. 자는 탕경(湯卿). 광국공신(光國功臣)으로 칠계군(漆溪君)에 봉해진 윤탁연(尹卓然)의 증손자이자 임란 때 공을 세워 시호가 충장공(忠莊公)이자 칠평군(漆坪君)으로 봉해졌던 윤경원(尹慶元)의 손자이고, 한성부 판관을 지낸 윤계기(尹啓基)의 장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신수(莘叟). 아버지는 판관(判官)을 지낸 윤문형(尹文亨)이고, 어머니는 한언륜(韓彦倫)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직제학에 올라 청백리로 추앙 받는 윤석보(尹碩輔)이다. 처부는 김윤선(金允先)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인로(仁老). 성균관 전적(典籍)을 지낸 윤재(尹材)의 큰아들이고, 어머니는 김선생(金善生)의 딸이다. 사헌부(司憲府) 집의(執義)를 지낸 윤형언(尹衡彦)의 손자이다. 처부(妻父)는 조진양(趙進陽)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묘가 있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남원(南原), 본명은 윤재옥(尹在鋈)이고 윤재원(尹在元)으로도 불렀다. ‘치장(致長)’은 자이다. 아버지는 윤한섭(尹漢燮)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 자는 응성(應聖), 호는 회원(檜圓)이다. 할아버지는 군수(郡守)를 지낸 윤극신(尹克新), 아버지는 홍문관 교리를 지낸 윤엽(尹曄)이다....
-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공도(公度)이다. 윤탁연의 3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언신(彦信). 아버지는 문과를 거쳐 참판에 오른 이광식(李光軾)이며, 어머니는 이세응(李世應)의 딸 함안이씨(咸安李氏)이다. 할아버지는 동돈녕(同敦寧) 이지방(李之芳)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단성현감을 지낸 이언(李偃)의 장남이고, 성남 판교 땅에 사평공파(司平公派)를 열었던 이공승(李公升)의 손자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군진(君陳). 통정대부 행집의 이후(李厚)의 둘째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인수(仁叟). 이재(李載)의 첫째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군필(君弼)이다. 이질(李耋)의 둘째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경삼(景參)이다. 이윤항(李閏恒)의 둘째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출신. 자는 계형(季馨). 이택민(李澤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기선(李起先)이고, 아버지는 이몽석(李夢錫)이며, 어머니는 안응창(安應昌)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구이(久而). 좌랑과 목천현감을 지낸 이배(李培)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정진하(鄭振河)의 딸이다. 무과를 거쳐 부사를 지낸 이희인(李喜寅)의 손자. 덕창군(德昌君) 이륙(李稑)의 증손이다. 부인은 원손(元潠)의 딸이며, 정조때 부총관을 지낸 안풍군(安豊君) 이관(李灌)의 아버지이다....
-
1756년(영조 32)~1835년(헌종 1).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출신이다. 자는 성찬(聖贊). 이기서(李蓍瑞)의 손자이고, 증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 이순제(李純濟)의 셋째 아들이다. 무과에 합격하여 오위 부총관을 지낸 이동선(李東善)의 형이다....
-
조선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원(而元). 이기서(李蓍瑞)의 손자이고, 증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 이순제(李純濟)의 넷째 아들이다. 증 호조참판을 지낸 이동복(李東樸)의 동생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원(而元). 이기서(李蓍瑞)의 손자이고, 증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 이순제(李純濟)의 장남이다.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총관을 지낸 이동선(李東善)의 형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 자는 추빈(秋賓). 호는 능호(菱湖). 이경민(李景閔)의 셋째 아들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원근(李元謹)이며, 어머니는 영성군(永城君) 이축의 딸이다. 부인은 김광지(金匡址)의 딸이다....
-
1609년(광해군 1)~1640년(인조 18). 조선 중기의 인물.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 자는 수유(秀有). 선조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을 역임한 이경안(李景顔)의 셋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김응희(金應禧)의 딸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인상(李麟祥)이다. 부인은 조경기(趙慶起)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자는 대중(大仲). 이여상(李汝相)의 둘째 아들이다. 연안이씨 연성군파에 속한다....
-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광주(廣州). 성남시 중원구 대원동 출신. 이극돈(李克墩)의 7세손이다. 호란 때 강계부사로서 안주성에서 순절한 충민공(忠愍公) 이상안(李尙安)의 장남이고, 현감의 지낸 이광국(李匡國)의 손자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 자는 중심(仲深). 호는 북계(北溪). 이종건(李宗健)의 양자이고, 조부는 이강(李杠), 증조부는 이학서(李鶴瑞)이다. 생부는 선조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정언을 역임한 이경안(李景安)이고, 어머니는 김응희(金應禧)의 딸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인상(李麟祥)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출신(옛 광주군 돌마면 여수동). 자는 편경(貵卿). 중군사직(中軍司直)을 지낸 이석곤(李石崑)의 손자이고, 호군(護軍)을 역임한 이식(李植)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영숙(寧叔). 통덕랑 이시노(李蓍老)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김상직(金相稷)의 딸이다. 증좌승지 이기수(李萁壽)의 손자이고, 증조부(曾祖父)는 이재(李栽)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시 분당 구미동 출신. 이의보(李義輔)의 장남이다. 전의이씨가 구미동에 살게 된 것은 절충장군 부호군 이하조가 17세기 초엽에 정착한 때부터였고, 현재에도 40여 가구의 전의이씨 집성촌이 존재한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출신. 자는 군택(君宅). 이의집(李義集)의 넷째 아들이다. 전의이씨가 구미동에 살게 된 것은 절충장군 부호군 이하조가 17세기 초엽에 정착한 때부터였고, 현재에도 40여 가구의 전의이씨 집성촌이 존재한다....
-
조선 중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출신. 고려 말 유학자 이색(李穡)의 12대손으로 문과를 거쳐 이조참의를 지낸 이택(李澤)의 장남이자, 군수를 역임한 이정룡(李廷龍)의 손자이다. 부인은 윤상명(尹商命)의 딸이며, 문과에 합격하여 부제학을 역임한 이덕중(李德重)이 아들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문백(文伯). 이수형(李隧亨)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 이희정(李喜禎)의 장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계반(季反).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으로 판서를 역임한 이축(李軸)의 둘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최희경(崔希慶)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극포수(克浦守) 이희남(李希男). 증조부는 헌양정(獻陽正) 이사(李嗣)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으로 판서를 역임한 이축(李軸)의 둘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최희경(崔希慶)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극포수(克浦守) 이희남(李希男). 증조부는 헌양정(獻陽正) 이사(李嗣)이다. 병자호란 때 공신에 책봉되고 청백리에 오른 이자(李澬)의 아버지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기중(起中). 재령 교수를 역임한 이공승(李公升)의 2남이자 증 예조판서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손자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학이(學而). 중종의 다섯 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현손(玄孫)으로, 봉산군(蓬山君) 이형신(李烱信)의 1남이고, 어머니는 한득일(韓得一)의 딸이다. 조부는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이고, 증조부는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이다. 부인은 여산송씨(礪山宋氏)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중종 때 중군사직(中軍司直)을 지낸 이석곤(李石崑)의 후손이다. 무반 종6품 여절교위(勵節校尉)를 지낸 이원로(李元老)의 아들이고, 조부는 이령(李彾), 증조부는 이청신(李淸臣)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여화(汝華). 중종의 다섯 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崎)의 8세손이다. 이시서(李蓍瑞)의 넷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유선익(柳善翊)의 딸이다. 판서를 역임한 간헌공(簡憲公) 이기익(李箕翊)의 손자이고, 호조참판을 지낸 장정공(莊靖公) 이무(李堥)의 증손이다. 나란히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의 전주 이씨 덕양군파 참판공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순제 관련 고문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모여 살았던 전주 이씨 덕양군파에서 최초로 정착한 사람은 중종의 다섯째 아들 이기(李岐)[1524~1581]이다. 덕양군 이기의 참판공 8대손이 이순제(李舜濟)[1721~1784]이다. 참판공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순제 고문서는 시장(諡狀), 교지...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증 통정대부(通政大夫) 이국노(李國老)의 다섯째 아들. 단성현감을 지낸 이언(李偃)의 손자이고, 증 승정원 좌승지 이공승(李公升)의 증손이자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현손이다. 연안이씨 연성군파에 속한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자는 몽경(夢卿). 돈령(敦寧) 교위(校尉)를 지낸 이대로(李大老)의 장남. 고성군수를 역임하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간(李侃)의 손자이고, 증 승정원 좌승지 이공승(李公升)의 증손이자 연성군(延城君) 이곤(坤)의 현손이다. 연안이씨 연성군파에 속한다....
-
조선 전기의 인물.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자는 선경(善卿). 문과에 급제하여 경기관찰사를 역임한 이홍로(李弘老)의 장남이다. 고성군수를 역임하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간(李侃)의 손자이고, 증 승정원 좌승지 이공승(李公升)의 증손이자 연성군(延城君) 이곤(坤)의 현손이다. 연안이씨 연성군파에 속한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자는 윤경(允卿). 돈령(敦寧) 교위(校尉)를 지낸 이대로(李大老)의 장남이다. 고성군수를 역임하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간(李侃)의 손자이고, 증 승정원 좌승지 이공승(李公升)의 증손이자 연성군(延城君) 이곤(坤)의 현손이다. 이승설(李承說)의 동생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국노(國老). 증 통정대부 좌승지 이기수(李箕壽)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홍덕이(洪德彛)의 딸이다. 용안현감을 지낸 이재(李栽)의 손자이자, 중종의 다섯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증손인 봉래군(蓬萊君) 이경윤(李烱胤)의 증손이다. 부인은 김상직(金相稷)의 딸이다. 아들 이문제(李文濟)가...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수연(秀衍). 호는 좌은(坐隱)이다. 문과에 합격하여 병조좌랑을 역임한 이기상(李箕相)의 넷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윤유진(尹惟晉)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지(李至)이고, 중종의 다섯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증손인 봉래군(蓬萊君) 이경윤(李烱胤)의 증손이다. 부인은 김우량...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길보(吉甫). 판서를 역임한 간헌공(簡憲公) 이기익(李箕翊)의 둘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최상익(崔尙翼)의 딸이다. 호조참판을 지낸 장정공(莊靖公) 이무(李堥)의 손자이다. 중종의 다섯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증손인 봉래군(蓬萊君) 이경윤(李烱胤)의 증손이다....
-
1718년(숙종 44)~1803년(순조 3).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출신. 성종의 아들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후손이다. 문과 급제후 병조좌랑을 역임한 이수대(李遂大)의 손자이자, 이민헌(李民獻)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정팔주(鄭八柱)의 딸이다. 부인은 황한(黃憪)의 딸이며, 슬하에 이의록(李宜祿), 이응록(李膺祿) 두 아들이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 자는 사완(士完). 무과에 합격하여 경흥부사를 역임한 이순(李洵)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강원(康遠)의 딸이다. 무반직 사과(司果)를 역임한 이득윤(李得胤)의 손자이며, 역시 사과(司果)를 역임한 이제(李悌)의 증손이다. 부인은 유명익(柳命益)의 딸이며, 아들은 진사 이덕숭(李德崇)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재완(載抏), 호는 율원(栗園). 중종의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崎)의 후손이다. 봉창수(蓬昌守) 이형엄(李炯儼)의 장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수연(粹然). 이색(李穡)의 5대손으로, 할아버니는 판서를 역임하고 세조공신이었던 문열공(文烈公) 이계전(李季甸)이다. 문과를 거쳐 대사성을 역임한 이우(李堣)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운장(雲長). 호는 남곡(南谷). 문과에 합격하여 병조참판을 지낸 이경헌(李景憲)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윤응빙(尹應聘)의 딸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인상(李麟祥)이다. 처부(妻父)는 유황(兪榥)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건(子建)이고, 호는 추계(秋溪)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14대 손으로,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냈고 또 청백리에 오른 문청공(文淸公) 이병태(李秉泰)의 양자이다. 친아버지는 이병항(李秉恒)이며, 할아버지는 진사 이협(李浹)이다. 장인은 김시보(金時保)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숙화(叔和)이다. 이색(李穡)의 12대손으로,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이정룡(李廷龍)이고, 어머니는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응교(應敎)를 지낸 양만용(梁曼容)의 딸 제주양씨(濟州梁氏)이다. 할아버지는 대구부사(大邱府使)를 역임한 이제(李穧)이고, 임란 때 순절한 이경류(李慶流)의 증손이다. 부인은 한제유(韓濟愈)의 딸...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경(汝慶)이다. 덕양군(德陽君)[중종의 다섯째 아들] 이기(李岐)의 증손이며,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손자이고,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의 넷째아들이다. 사도시(司䆃寺) 첨정(僉正) 정인수(鄭麟壽)의 외손이다. 이형신(李炯信)의 동생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군실(君實)이다. 아버지는 이색(李穡)의 후손인 진사 이경홍(李慶洪)이며, 어머니는 안렴(安濂)의 딸이다. 판서(判書)와 좌·우참찬(左·右參贊)을 역임하고 의간(懿簡)으로 시호를 받은 이증(李增)의 손자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지경(智卿)이다.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이암(李嵒)의 7세손으로 문과를 급제하여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한 이륙(李陸)의 손자이자 부사(府使)를 지낸 이이(李峓)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무향(茂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