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건(子建)이고, 호는 추계(秋溪)이다....
-
경기도 성남시 대왕출장소에 속하였던 마을. 본래 경기도 광주군의 지역으로서 대왕면 관할 마을이었다. 대왕면에는 신촌, 오야, 심곡, 시흥, 둔전, 수서, 사촌, 송현, 금현, 둔토, 노상, 노하, 등자, 고산, 은곡, 세천, 괴하, 율현, 일원, 지곡, 자양 등 21개 동리를 관할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창원(昌原).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현 시흥동) 출신이다. 자는 자공(子公). 아버지는 황유사(黃有師)이고, 어머니는 이상린(李尙隣)의 딸이다. 부인은 김류(金磂)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도승지를 거쳐 좌찬성(左贊成:종1품)에 올랐던 황일하(黃一夏)이고, 증조(曾祖)는 사계(沙溪) 문인이자 김천역 찰방을 지낸 황면(黃沔), 고조부(高祖父)는 예천...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구(子久). 이조판서를 지낸 효정공(孝貞公) 이경증(李景曾)의 손자이자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이혜(李嵆)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참판을 지낸 신익전(申翊全)의 딸이다. 부인은 박태정(朴泰定)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가 자매결연을 맺은 국내외 도시. 자매결연은 국내의 지방들이나 해외의 공공단체들 간 교류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이다. 2024년 6월 기준 성남시와 자매결연을 맺은 국제 도시는 1986년 5월 28일 첫 우호협력도시 체결을 한 브라질 피라시카바를 비롯하여 미국의 오로라시·풀러턴시·풀턴 카운티, 중국의 선양·창춘·후이저우, 이탈리아 볼로냐,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우즈베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자문(子文)이다. 조선 개국원종공신인 이구직(李丘直)의 증손이며 관찰사 이정간(李貞幹)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한성윤을 지낸 이사관(李士寬)이고 어머니는 청주인 영의정 한상경(韓尙敬)의 딸로서, 이들 사이에서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방(子方), 호는 모와(慕窩)이다. 판돈령부사 원경하(元景夏)의 아들인데, 원경유(元景游)의 양자가 되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이자상(李子常)이다. 아버지는 증승지(贈承旨) 이승윤(李承尹)이고, 어머니는 풍천임씨(豊州任氏)로 임영노(任榮老)의 딸이다. 초배는 한양조씨(漢陽趙氏)로 병사(兵使) 조의(趙誼)의 딸이며, 계배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주부(主簿) 허혜(許譓)의 딸이다. 아버지 허승윤(許承尹)[1571-1592]이 임진왜란 당시 백의로 호종하...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자서(子序)이다. 이색의 5대손으로,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장윤(李長潤)이며, 할아버지는 성균관대사성을 지낸 이우(李堣)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자선(子善). 호는 상촌(相村). 성남시 상대원동의 입향조인 판서 언신(言愼)의 손자이며, 공청도관찰사 준(駿)의 4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효자. 한술(韓述)[1541~1616]은 다섯 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성장한 후에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아버지 묘 곁에 장사 지내고 6년상을 치렀다고 한다....
-
...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순(子順). 조부는 개국공신이고 영의정을 역임한 한상경(韓尙敬)이고, 아버지는 관찰사를 역임한 한혜(韓惠)이다....
-
나는 금광1동의 할머니 집에서 태어났다. 산부인과 병원이 아니라, 가정집에서 태어났다는 사실이 뭔가 특별한 이력으로 생각될 때도 있었다. 그 후로 나는, 스스로 생각하기에도, 똘망똘망하고 고집 센 아이로 자랐다. “쪼그만 한데 고집 세고 노래 잘 부르고 뭐 그런 아이였던 거 같애요. 말도 잘 하고. 어렸을 때 또 욕심이 무지 많았어요. 애들을 막 휘어잡으려 하고, 그리고 그거는 초...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실(子實)이다. 아버지는 돈녕부참봉을 지낸 풍성군 이의번(李宜蕃)이며, 할아버지는 이추(李抽)이다....
-
경기도 성남시 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지질·기후·토양 등의 자연지리적 환경. 성남시의 위도 및 경도의 위치는 동단이 동경 127° 11’, 서단은 동경 127° 1’, 남단은 북위 37° 19’, 북단은 37° 23’이다. 수리적 위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성남시는 내륙 중앙에 자리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대륙성기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기온의 연교차가 심하고 사계절의 변화...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예(子藝). 할아버지는 함길도관찰사 한혜(韓惠)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익대좌리공신(翊戴佐理功臣) 한계희(韓繼禧)이며, 어머니는 증호조참판 여계(呂稽)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성남 수정구 사송동(현 시흥동) 출신이다. 자는 자우(子羽). 조부는 사계(沙溪) 문인이자 김천역 찰방을 지낸 황면(黃沔)이고, 증조부(曾祖父)는 예천군수를 역임한 황입중(黃立中)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자원(子遠)이고, 아버지는 부사직(副司直) 정형운(鄭亨耘)이고 생부는 정원운(鄭元耘)이다. 조부는 정비(鄭秠), 증조부는 정선경(鄭善卿)이고 외조부는 신자수(愼自修), 처부는 신극정(愼克正)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자원봉사 단체 및 자원봉사 활동 사항을 알리고 공동체의식을 기르기 위하여 열리는 박람회. 성남시 자원봉사박람회는 시민과 청소년이 봉사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을 도우며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의식을 기르고 봉사활동 지도를 받음으로써 장차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할 미래의 자원봉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박람회이다. 연 1회 개최되며 성남시에서 주최하고 성남시 자원봉사...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자유(子有)이고, 호는 귀천(歸川)이다. 이조판서를 지낸 효정공(孝貞公) 이경증(李景曾)의 손자이자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이혜(李嵆)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신익전(申翊全)의 딸이다. 이희유(李喜濡), 광주목사(光州牧使)를 지낸 이희담(李喜聃), 증 이조참의 이희남(李喜楠) 등이 그의...
-
경기도 용인 경계에서 시작해 한강 본류와 연결되는 성남시 탄천 변 일대에 조성된 자전거 전용 도로에서 만나는 성남 이야기. 탄천(炭川)의 발원지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청덕동 법화산으로, 유로의 전체 연장은 69.2㎞이고 지류천은 총 18개인데, 성남시에만 11개의 지류천이 흐르고 있다. 이곳에 성남시가 지난 2002년 시민들의 자전거 도로 설치 민원이 제기되자 구미동부터 복정동...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 자는 자정(子正). 퇴계 문인인 황위(黃瑋)의 아들이다. 광주군 낙생면[현 성남시 삼평동]의 창원황씨 입향조로서 황제(黃濟), 황전(黃澱), 황형(黃泂) 등 7남 1여를 두었다. 1987년 천장(遷葬) 시에 그의 부인인 평양조씨가 미이라로 발견되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
초등학교 3, 4학년 무렵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어느 날 석태의 어머니는 어떤 동네 형을 집에 데려왔다. 나이 차이가 좀 많이 났던 형인데 그에게서 석태의 삼형제는 장기의 기본을 배웠다. 그 후로 장기는 중요한 놀이의 하나가 되었다. “그 형이 근데 오래 안 가르쳐 줬어요. 그 날만 가르쳐줬던 거 같아요. 그 날 장기를 했는데 서로 엉망이잖아요. 규칙도 없어요. 이 형이 이렇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여성 사회단체. 성남여성회는 생활 속에서 제기되는 교육, 지역사회, 성차별 등 여성들의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구성된 여성단체로, 금광동 지역을 중심으로 어린이 교육, 문화예술 및 사회 참여 활동을 하고 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이다. 자는 자중(子重)이고 호는 남곡(南谷)이다.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의 아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구천군(龜川君) 이수(李晬)이다. 아버지는 봉래군(蓬萊君) 이형윤(李炯胤)이며, 어머니는 최행(崔行)의 딸이다. 부인은 권근중(權謹中)의 딸이다. 아우 이무(李堥...
-
길고 짧은 막대를 치며 노는 아이들의 민속놀이. 이칭으로는 ‘메뚜기치기’·‘오둑테기’ 또는 ‘막대’,‘마때’등이 있다. 긴 막대로 작은 막대의 끝을 쳐서 공중으로 올린 다음 멀리 보낸다. 긴 막대는 ‘채’라 하고 작은 막대는 ‘메뚜기’라 하기도 한다. 채로 재서 점수를 재기 때문에 ‘자치기’라고 불린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 일원에 걸쳐 조성된 근린공원. 자혜공원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 산47번지 일원에 80,538㎡ 규모로 조성된 근린공원으로 신구대 후문과 연접하여 있고 동쪽으로 남한산성과 연결되어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중앙로 단대파출소(남한산성입구역) 인근에서 동쪽방향으로 나뉘어져 은행동 순환로까지 이르는 길이다. 도로의 이름은 종착지 부근에 있는 ‘자혜공원’에서 따왔다. 왕복 포장 2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0.97㎞, 도로 폭은 15m, 총면적은 14,550㎡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자화(子和). 신경일(申敬一)의 아들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화(子和), 호는 음애(陰涯)이다. 참판 이극기(李克基)의 아들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회(子晦)이다. 아버지는 현릉참봉을 지낸 이면행(李勉行)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이상안(李尙安)이고, 고조할아버지는 여산현감을 지낸 이광국(李匡國)이다....
-
전통시대의 지식층에서 즐기던 가곡, 가사, 시조 등의 노래에 대하여 일반 대중들이 즐겨 부르던 긴 노래. 잡가는 일반적으로 광의의 잡가와 협의의 잡가로 구분한다. 광의의 잡가는 전라도의 「화초사거리」, 「보렴」, 경기 지방의 「산타령」, 「12잡가」, 「휘모리잡가」, 서도지방의 「초한가」, 「공명가」 등 긴 노래와 각 지방의 민요까지 포함된다. 협의의 잡가는 각 지방의 민요를 제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종합 직업 체험관. 한국잡월드는 2012년 문을 연 직업 체험관으로 청소년 체험관, 어린이 체험관, 숙련기술 체험관이 갖추어져 있다. 학생들이 실제 직업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풍부한 직업 정보도 탐색할 수 있다. 다양한 직업 체험을 통해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은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모색해볼 수 있다. 교사에게는 올바른 진로를 선택...
-
여러 가지 내용의 글을 모아서 편집한 간행물. 성남지역의 잡지는 출판 등록이 비교적 자유로워진 1980년대 후반에 지역 문화의 발굴과 소개, 지역 정보의 공유 등을 목적으로 창간된다. 지역매체로서의 역할 수행에 노력을 기울이지만, 독자층이 두텁지 못하고, 자본 또한 영세성을 면치 못하여 장수하는 잡지는 그리 많지 않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소재한 신성한 기운이 들어있다고 믿어지는 바위.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남한산성유원지 입구에서 남한산성 방향으로 계곡을 따라 1㎞ 정도 올라가면 백련사와 덕운사의 갈림길이 나오는데, 갈림길에서 덕운사 방향으로 약간 가파른 언덕을 50m 정도만 걸어가면 장군바위가 있다....
-
1893년(고종 30)~1968년. 중대면 3.1만세운동에서 독립선언서와 조선독립신문을 작성 배포한 인물. 1893년 5월 경기도 광주에서 출생한 후 1919년 28세 때에는 광주군 중대면 송파리에 거주하였고 농업에 종사했다. 김준현과 함께 중대면 시위운동을 주도하였는데 중대면의 경우 면사무소와 헌병주재소가 있어 타지역과 비교해 보면 경계가 엄중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장덕균은 선언...
-
장독을 올려놓게 만든 낮은 축대. 장독대는 장독이나 항아리 등을 놓기 위해 부엌 뒷문에서 가까운 뒤꼍에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마련되는 장소는 안채에 배치 형태에 따라 안채의 뒤쪽이 되기도 하고, 옆이 되기도 하는데, 주부가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부엌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그러나 뒤꼍이 넉넉하지 못한 집들에서는 부엌 앞쪽 마당에 장독대를 두기도 한다....
-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2.044㎞, 도로 폭은 25m, 총면적은 51,100㎡이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에 있는 옛 이왕직도서관((李王職圖書館). 조선왕조는 일찍이 세종 때 집현전(集賢殿), 세조 때 홍문관(弘文館), 정조 때 규장각(奎章閣) 등을 궁 안에 설치하여 많은 전적을 모아 왕의 고문(顧問)에 대비하게 하였다. 이후 정조 때 설치한 규장각이 궁내부(宮內府)에 부속되거나, 규장원(奎章院)으로 지위가 격하되면서 그 기능이 쇠미하여자, 고종은 1908년 그 기능...
-
마을, 사찰 입구나 길가에 세워진 목상이나 석상.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서, 마을의 수문신이나 수호신, 소원을 비는 신앙대상물이 되며, 사찰이나 지역간의 경계표나 이정표 구실을 하기도 한다. 장승은 나무를 깎아 만든 목장승, 돌을 깎아 만든 석장승이 대표적이다. 장승의 상부에는 사람 또는 신장(神將)의 얼굴 형태를 조각하며, 하부에는 “天下大將軍(천하대장군)”, “地下女將軍(...
-
마을 수호신인 장승에게 지내는 동제의 일종. 장승은 마을 수호신이기도 하지만, 산신, 당산, 서낭 등 마을의 주신에 부수적인 하위신일 경우 마을굿인 동제의 하나로 장승제가 행하여지기도 한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결성(結城).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출신이다. 결성부원군(結城府院君) 장사(張楒)의 16대 손이며, 좌승지(左承旨) 장효민(張孝閔)의 장남이다. 부인은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장취규(張聚奎), 장려규(張麗奎) 등 아들 4형제를 두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꿈을 찾아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키워 가는 자주적인 사람, 다양한 체험을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사람,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사람, 배려하고 소통하며 더불어 사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꿈을 찾아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키워 가는 자주적인 사람, 다양한 체험을 바탕으로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사람,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사람, 배려하고 소통하며 더불어 사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품성의 사랑이 넘치는 어린이, 열성 어린 배움으로 꿈과 소질을 키우는 어린이, 살펴보고 익혀 가는 슬기로운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전하고 씩씩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장애인 고용 지원 기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장애인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장애인들에 대한 직업 능력 개발, 취업 및 사업주 지원 등 장애인 고용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노동부 산하 준정부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장애인들이 주체가 되어 예술적 재능을 발산하는 예술제. 성남시 장애인예술제는 장애인의 예술적 재능을 발굴·육성하여 장애인의 사회 참여 기회 확대, 자립 기반 구축을 위해 마련된 문화 예술 축제이다. 성남시 장애인단체연합회에서 주관하고 매년 9월에서 11월 사이에 개최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장애인 복지 시설. 성남시 장애인종합복지관은 장애인 복지시설로서,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위한 다양한 지원과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결성(結城).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출신이다. 좌승지 장효민(張孝閔)의 손자이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장시서(張時瑞)의 아들이다....
-
사람들이 편을 나누어 각각 공채를 가지고 장치기공을 쳐서 상대편의 구문(毬門)에 넣어 승부를 다투는 놀이. 한자어로는 ‘봉희(棒戱)’라고 한다. 이칭으로는 ‘공치기’, ‘타구(打毬)놀이’ 등이 있다. 장치기 놀이는 음력 정초나 농한기에 주로 행해지는데, 기마 타구인 격구(擊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궁중에서 시작되어 민간으로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 장치기는 현재의 하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임진왜란 때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의 요청으로 선조(宣祖)가 한효순(韓孝純)[1543~1621]을 한산도에 파견하여 무과를 실시하게 하였다. 이후 한효순은 전쟁 수행에 필요한 각종 군수 물자를 원만하게 조달하여 해전에서 승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서 광주시 직동의 곧은골로 넘어가는 고개. 곧은골고개는 고개가 길어서 장현(長峴)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예전에 율동, 서현동, 분당동, 이매동 등지의 사람들이 광주 관아에 가거나 경안장을 보러 갈 때 주로 이 고개를 이용하였으므로 장고개[場峴]라 부르기도 한다....
-
혼례식을 치룰 때, 신부집에서 신랑을 기다리던 마을 주민들이 신랑에게 재를 뿌리던 풍습. 혼례식에서 신랑이 신부를 맞이하러 신부집으로 들어올 때, 신부집에서 신랑을 기다리던 마을 주민들은 재를 한 움큼씩 손에 쥐고 있다가 사모관대를 착용하고 들어오는 신랑에게 뿌렸다. 이 중 성격이 괴팍한 주민은 숯검뎅이로 신랑 얼굴을 검게 칠하기도 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이다. 자는 재수(載叟)이다. 이시명(李蓍命)의 양자이고, 친아버지는 이시원(李蓍遠)이다....
-
집안의 액을 막고 재수와 재복을 기원하기 위해 행하는 굿. 재수굿은 봄과 가을, 혹은 정초에 하거나, 3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혹은 집안에 우환이 생기거나 불행한 일이 자꾸 일어날 경우에 재수굿을 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는 정기적으로 행하기보다는 집안에 우환이 생겼을 경우에 행하는 재수굿이 보다 일반적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재완(載抏), 호는 율원(栗園). 중종의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崎)의 후손이다. 봉창수(蓬昌守) 이형엄(李炯儼)의 장남이다....
-
1950년대 말 모란지역에 가난한 제대군인들이 개간사업을 하면서 만든 조직. 당시 광주군 돌마면 하대원리인 현재의 모란에서 황무지 개간사업을 하였다. 대상은 주로 가난한 제대한 군인들을 모아 버려진 땅을 일구기 시작하였는데 그 당시는 대원천(大院川)이나 단대천(丹垈川)이 치수(治水)가 되어 있지 않아 비만 오면 범람하여 구릉지와 자갈밭 뿐이어서 쓸모없는 땅이었다. 1958년 7월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재현(在玆). 호는 상촌(相村). 판서 송언신(宋言愼)의 손자이며, 공청도관찰사 송준(宋駿)의 장남이다....
-
인공으로 둑을 쌓아 물을 모아두는 못.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의 지류 하천들은 성남시의 동쪽과 서쪽의 산지에서 발원하여 각각 동서 방향의 유로를 흘러 탄천에 합류한다. 지류 하천 유로의 상류 지역에는 하천관리와 각종 용수의 수원으로서 저수지가 축조되어 위치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상적동은 북쪽의 인릉산과 서쪽의 청계산 아래에 있는 산지 지역으로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 제한 구역 및 군사 보호 지역으로 되어있다. 법정동인 이 동은 행정동인 고등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상적동은 북쪽의 인릉산과 서쪽의 청계산 아래에 있는 산지 지역으로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 제한 구역 및 군사 보호 지역으로 되어있다. 법정동인 이 동은 행정동인 고등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상적동은 북쪽의 인릉산과 서쪽의 청계산 아래에 있는 산지 지역으로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 제한 구역 및 군사 보호 지역으로 되어있다. 법정동인 이 동은 행정동인 고등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 소속 지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 성남지회는 성남 지역에서 교육의 자주성과 학원의 민주화를 실현하고, 교사의 정치·경제·사회적 지위 향상과 올바른 교육관 확립을 도모하며 민족·민주·인간화 교육과 참교육 실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경기도본부 소속 단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노동자의 정치, 경제, 사회적 지위 향상과 전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이 보장되는 통일조국, 민주사회 건설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하고 있는 전국 학생들의 미술 작품 전시회. 모란전국학생미술작품공모전은 학생 미술 작품을 공모·심사·시상·입상작 전시회를 함으로써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의 건전한 정서 함양과 가치관 형성에 기여하고, 미술에 재능 있는 인재를 발굴, 육성하여 청소년의 문화 예술 활동을 촉진하고자 매년 개최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학생들의 서예 대회. 전국학생휘호대회는 한국서예협회 성남시지부에서 주관하는 전국 초·중·고 학생 대상의 휘호대회이다. 매월 10월경 성남시 분당 중앙공원에서 개최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전기 공업 관련 협동조합.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은 전기 기기 및 관련 부품 제조자들의 협동조합으로 조합원들의 권익 보호, 공동 사업 확대, 신기술 개발 및 해외 사업 촉진 등을 위한 사업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전신 규정을 담고 있는 문헌. 『전보장정』은 우리나라 최초로 제정된 전신 규정을 담은 문헌으로 조선전보총국이 1888년(고종 25) 제정했다....
-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과 대장동에 살던 성씨. 분당구 구미동 골안에 처음으로 정착하여 집성촌을 형성하고 넘말에도 분가하여 마을을 형성하였다. 병조참판 이세선(李世選)의 3남 첨지 이하조(李夏肇)[1707~?]와 이세선의 장증손 도정 이방협(李邦協)의 4남 곡성현령 이윤명(李潤明)[1736~1179]과 이세선의 동생 이세연(李世延)의 손자 이의집(李義集)의 아들 청백리 이방좌(李邦佐)...
-
이한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성남 지역의 세거성씨. 전주이씨(全州李氏)는 조선시대 왕족으로서, 한양[서울]에서 가까운 성남의 29개 지역에 여러 분파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에 있는 전주 이씨 덕양군파 이순제의 묘역. 전주이씨 덕양군파 이순제 묘역은 조선 중종의 후손인 이순제(李舜濟)와 그의 가족의 묘지이다. 이순제는 중종의 5남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8대손이다. 이순제의 묘역에는 부인 남양 홍씨와의 합장묘와 그의 아들의 묘가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전주이씨 태안군파의 선영. 전주이씨태안군파묘역에는 조선 전기의 문신 이팽수(李彭壽)와 그의 아들 이강, 그리고 이강의 아들인 이경인(李敬仁)과 생몰년 미상의 이석명 등 4기의 묘소가 있다. 태안군 이팽수는 성종의 제12남인 무산군의 다섯째 아들로 임진왜란 때 왕을 호위한 공을 인정받아 호성공신에 봉해졌다. 이경인은 태안군의 증손으로 이천도호부사...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서 닷새마다 열리는 수도권 최대 전통 5일장. 모란장은 작은 정기 시장으로 출발하여 지금은 전국에서 가장 유명한 5일장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민속적 가치가 큰 시장으로 알려졌다. 중원구에 있는 대원천 복개지 위에 서며, 장의 규모는 면적 1만 909m²[2,200평]이다. 매월 4와 9가 들어가는 날짜에 열리며, 가금류, 고추, 민물, 뻥튀기, 수산,...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적인 형식으로 지은 살림집 양식(洋式)으로 지은 양옥(洋屋)이라는 말에 상대하여 한옥(韓屋)이라고도 부른다. 우리의 전통적인 살림집은 일반적으로 안채와 바깥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살림이 큰 집의 경우에는 행랑채가 따로 설비되어 있기도 하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조성한 근린공원. 점골공원은 점골어린이공원과 연접한 자연 생태 공원으로 휴식뿐만 아니라 생태 체험을 할 수 있는 공원이다. 공원 면적은 270,243.9㎡이다....
-
정월에 여러 여자 아이들이 둘러 앉아 작은 접시를 돌리며 노는 놀이. 여러 여자 아이 중 술래를 가운데 앉힌다. 접시를 돌리다가 한 아이가 접시를 몰래 감추고 술래에게 맞히도록 한다. 술래가 맞히면 접시를 숨긴 아이가 다시 술래가 된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정경(鼎卿)이다. 배천군수(白川郡守)를 지낸 이경민(李景閔)의 손자이고, 이조(李稠)의 셋째 아들이다. 부인은 심지한(沈之漢)의 딸이다....
-
조선 후기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김만기(金萬基)[1633~1687]는 광주부윤으로 있을 때 병자호란의 참상을 잊지 말고 경계하라는 의미의 글을 남한산성 수어장대(守禦將臺)에 남겼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출신이다. 자는 신찬(新贊)으로, 정우주(鄭宇周)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무용 예술인. 정금란(鄭錦蘭)은 한국 무용 전문 예술인으로서 성남의 무용 뿐 아니라 국악협회와 성남문화원의 개원에 참여 했으며, 한국무용협회 경기도지회 창립에 기여한 인물이다....
-
조선시대에 군사 훈련을 하거나 사열을 하던 평원. 정금원평(定今院坪)으로도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과 복정동에 걸쳐 있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정금원 앞의 넓은 평야로 처음에는 군사를 위한 시초지(柴草地 : 땔감으로 쓰는 풀을 마련하는 토지)로 활용되다가 왕이 사냥을 나서면서 군사 훈련과 사열 장소로 자리잡은 것으로 보인다. 왕이 이곳에서 군대 사열을 하고...
-
경기도 성남시에서 정치적 목적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모여 정치권력을 얻기 위해 공동의 정책을 펼치며 정치적 이익을 도모하는 단체. 일반적으로 정당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정당은 다수인으로 구성된 집단적 조직이다. 세계 모든 국가에서 정당의 설립 요건으로 최소 당원 수를 규정하고 있듯이 정당은 규정하는 당원 수를 충족해야 한다. ② 정당의 목적은 정치권력의 획득이다. 이것...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로(景老), 호는 사암(思菴)이다. 증 호조참판 정비(鄭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직(司直)을 지낸 정형운(鄭亨耘)이고, 아버지는 예문관대교 정전(鄭荃)이며, 어머니는 거창신씨(居昌愼氏)로 증 이조판서 신극정(愼克正)의 딸이다. 부인은 이인홍(李仁弘)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정치가이자 교육가. 정동성(鄭東星)[1939~1999]은 경기도의 성남시·광주군·여주군·이천군 지역에서 10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이후로도 11대, 12대, 13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민주정의당 원내총무, 국회상공위원장과 체육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여수(汝秀)이다. 정세경(鄭世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항(鄭沆)이고, 아버지는 돈녕부 주부 정경순(鄭景淳)이며, 어머니는 청풍김씨(淸風金氏)로 김희경(金僖卿)의 딸이다. 부인은 남양홍씨(南陽洪氏) 별좌 홍곤(洪坤)의 딸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이신(而信)이다. 대제학 이척(李陟)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노인 전문 요양 시설. 정성노인의집은 사회복지법인 양친사회복지회의 산하기관으로 1991년 설립된 노인 전문 요양 시설이다. 양친사회복지회의 설립을 지원한 곳이 양친회이다. 양친회는 미국·캐나다 등에 있는 일반 독지가들이 전쟁으로 인해 고통받는 아동들과 가족들에게 물질적·정신적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자립을 돕는 순수 민간 원조기구이다. 한국에서는 1...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군칙(君則), 호는 동리(東里)이다. 예조좌랑을 역임한 정진의 증손이고, 좌의정 정언신(鄭彦信)의 손자로, 정율(鄭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호준(元虎俊)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거주한 음악가. 한석(閑石) 정세문은 1923년 3월 25일 황해도 봉산군 사인면 계동리에서 출생하였다. 춘천사범대학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한 후 춘천초등학교, 경기여자고등학교 등에서 교사로 있었다. 이후 서울대 음악대학과 건국대 사범대 음대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음악교육학회 회장, 동요작곡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일평생 동안 동요에 심취하여 작곡 활동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노래비. 동요 「겨울나무」의 작곡가인 정세문은 일생을 음악 교육에 헌신한 음악가이다. 1999년 1월 8일 분당구 구미동에서 타계하였고,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상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청백리에 오른 충정공(忠貞公) 정대년(鄭大年)의 증손이고, 통훈대부로 안성군수를 역임했던 정돈복(鄭敦復)의 손자이다. 정활(鄭活)의 양자이고, 증(贈) 참의(參議)를 지낸 정엄(鄭淹)이 생부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청백리에 오른 충정공(忠貞公) 정대년(鄭大年)의 증손이고, 통훈대부로 안성군수를 역임했던 정돈복(鄭敦復)의 손자이다. 증(贈) 참의(參議)를 지낸 정엄(鄭淹)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주부(注簿) 오영남(吳英南)의 딸 해주오씨이다. 부인은 전주이씨이다....
-
조선 후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원오(元吾). 청백리에 오른 충정공(忠貞公) 정대년(鄭大年)의 증손이고, 통훈대부로 안성군수를 역임했던 정돈복(鄭敦復)의 손자이다. 통정대부로 운산군수를 지낸 정침(鄭沈)의 장남이다. 부인은 응교(應敎)를 지낸 한영(韓詠)의 딸 청주한씨이다....
-
1912~?.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노동운동의 세포 조직인 광주공산당협의회를 조직, 결성한 인물. 일명 영린(永潾)으로도 호칭되었다. 정영배의 본적 및 거주지는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 138번지이고, 1912년 8월 29일에 출생하였다. 남한산노동공조회에 가입한 후 석혜환의 지도 아래 좌익서적을 읽고 사회주의에 심취하여 공산주의자가 되었다. 1930년 가을 남한산노동공조회가 운...
-
경기도 성남시의 성남문화원에서 매년 음력 정월대보름을 맞아 개최하는 행사. 성남문화원에서는 성남의 신시가지와 구시가지의 화합을 도모하고 마음의 벽을 허무는 계기를 조성하고자 2001년 ‘성남시 민속연날리기대회’를 개최하였으며, 다음 해인 2002년 우리 고유의 민속놀이를 통해 시민 총합과 대화합의 장을 마련하고자 ‘정월대보름 민속놀이’ 행사로 확대 추진하였다. 또 한국민족예술단체총...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출신이다. 자는 연석(演奭)이고, 정숙(鄭埱)의 장남이다. 정광환(鄭光煥)의 손자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경석(景錫), 호는 고암(顧菴) 또는 순암(順庵)이다. 아버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 증조부는 정수강(丁壽崗)이다. 어머니는 군수 송세충(宋世忠)의 딸이고, 부인은 정형(鄭衡)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사회복지단체. 정을심는복지회는 아동·청소년 사업을 중점으로 장애인·노인 등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는 복지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묘가 있던 조선 후기 무신. 이주철(李周喆)은 조선 후기에 활동한 무신으로 형조판서와 공조판서, 한성부판윤,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정이(靜而). 아버지는 충의위(忠義衛) 이광록(李匡祿)이며, 어머니는 권적(權適)의 딸이다. 큰아버지 이광국(李匡國)에게 입양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정일당 강씨의 묘. 정일당 강씨는 조선 후기의 여류문인으로, 1772년(영조 48)~1832년(순조 32)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제천 출신으로, 본관은 진주, 호는 정일당(靜一堂)이다. 강희맹(姜希孟)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강재수(姜在洙)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로, 권서응(權瑞應)의 딸이다. 1791년(정조 15) 20세의 나이로 윤광연(尹光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인 정일당 강씨의 사당. 정일당 강씨[1772~1832]는 조선 후기의 여류 문인으로 본관은 진주, 호는 정일당이다.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문장가로 이름 높았던 강희맹(姜希孟)의 후손으로 파평윤씨(坡平尹氏) 집안의 윤광연(光演)과 혼인하였다. 가난한 살림에 바느질로 생계를 이으면서도 남편을 도와 함께 공부하여 경서(經書)에 두루 통...
-
경기도 성남시 향토 인물 1호로 지정 받은 정일당 강씨의 유고를 완역한 단행본. 『정일당유고』는 정일당 강씨가 저술한 시와 편지 및 잡문 등을 사후 4년이 지난 1836년에 남편 윤광연이 발간한 것으로, 성남문화원에서 2002년 국역하여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3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정자공원은 돌마로와 불정로 옆에 자리한 산지형 공원으로 불곡산 등산로와 이어져 있다. 공원 면적은 215,106.7㎡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법정동인 정자동의 행정동은 정자동,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고려시대 건물 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와 이마트 분당점 부근, 불곡산 능선 끄트머리에 위치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추정 고인돌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은 국가에 속하는데 한반도에는 3만여 기가 분포한다. 고인돌은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북방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기반식(남방식), 지하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카페 거리. 테라스 거리라 불리기도 하는 분당 정자동 카페거리는 커피 향과 은은한 음악이 흐르며, 각각의 상가마다 독특한 건물 모양과 화려한 조명이 어우러져 정자동만의 이국적인 풍경을 만들어 내는 상가 거리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카페 거리. 테라스 거리라 불리기도 하는 분당 정자동 카페거리는 커피 향과 은은한 음악이 흐르며, 각각의 상가마다 독특한 건물 모양과 화려한 조명이 어우러져 정자동만의 이국적인 풍경을 만들어 내는 상가 거리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의 연강병원 근처에서 불정삼거리 사이에 있는 도로. 분당-장지[수서]간의 도시고속화도로 연강병원 부근에서 동쪽으로 갈라진 도로로 탄천(금곡교)를 넘어 분당 중앙부를 횡단하여 불정로 불정 삼거리에 이르는 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의 옛 지명. 이 지역 명칭은 이곳에 조선 중기 이후 왕족인 전주이씨가 살게 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수도권 지하철 수인분당선과 신분당선 환승역. 정자역은 1994년 9월 1일 개통된 수인분당선의 노선에 있는 전철역이다. 2011년 10월 28일 강남역에서 정자역까지 1단계 신분당선, 2016년 1월 30일 정자역에서 광교역까지 2단계 신분당선이 개통되면서 정자역은 수인분당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이 되었다. 정자역이 신분당선과 연계되면서 수인분당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경애(敬愛)’[사람을 공경하고 사랑하자]이며, 세계시민적 자질과 국제 문화 이해 능력을 갖춘 세계인, 성실하고 예의 바른 도덕인, 창의적이며 책임감이 강한 창조인, 심신이 건강하고 심미적인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경애(敬愛)’[사람을 공경하고 사랑하자]이며, 세계시민적 자질과 국제 문화 이해 능력을 갖춘 세계인, 성실하고 예의 바른 도덕인, 창의적이며 책임감이 강한 창조인, 심신이 건강하고 심미적인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자원(子遠)이고, 아버지는 부사직(副司直) 정형운(鄭亨耘)이고 생부는 정원운(鄭元耘)이다. 조부는 정비(鄭秠), 증조부는 정선경(鄭善卿)이고 외조부는 신자수(愼自修), 처부는 신극정(愼克正)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정중(精仲)이다. 증조부는 직예문관사를 지낸 사암공(思菴公) 이지(李墀)이다. 할아버지 이이(李峓)는 음직(蔭職)[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으로 사복시정을 지냈다. 아버지는 음직으로 경상도 단성(丹城)현감을 지낸 이황(李滉)이다. 부인은 남원양씨 판관(判官) 양윤원(梁允元)의 딸이며 눌재 양성지...
-
음력 정월에 처음 드는 12지의 날. 정월 초하루부터 열이틀까지 간지에 따라 정해진 날, 곧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의 날을 정초 12지날이라 한다. 이 12지날에는 해서 좋은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이 있는데, 전체적으로는 해서는 안 되는 일이 비중을 더 차지하고 있다. 특히 여자들의 바깥출입을 금하는 일은 정초 12지날 전체에 해당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 지역민이 부여한 권한과 권력을 사용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총체적 활동. 공동생활을 이루며 사는 인간 사회는 저마다 이해관계에 따라 희소 자원의 획득·배분을 둘러싼 대립·분쟁이 발생한다. 이러한 충돌을 조정하여 균형과 질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정치가 필요하다. 정치는 국가와 정부의 제도, 혹은 권력 행위를 통해 이루어진다. 협의의 정치는 국가 권력이 수행하는 일련의...
-
경기도 성남시에서 정치 활동을 하는 사람. 정치인 선정은 공정성과 역사적 기록이라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바르고 공평해야 한다. 여기서는 성남 지역의 거시적인 정치 역사를 기반으로 정치인을 살펴보았으며, 지역에서 열성적으로 활약하며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지역 정치와 지역 운동의 위상을 높인 정치인을 꼽았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여점(汝點)이다. 청백리에 오른 충정공(忠貞公) 정대년(鄭大年)의 손자이고, 통훈대부로 안성군수를 역임했던 정돈복(鄭敦復)의 둘째 아들이다. 부인은 김여건(金汝健)의 딸 청주김씨이고, 두 번째 부인은 군수을 역임한 이여양(李汝讓)의 딸 광주이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동망(東望)이고, 호는 국당(菊堂) 또는 삼당(三堂)이다. 정휴복(鄭休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호(鄭灝)이고, 아버지는 이조좌랑 정양우(鄭良佑)이며, 어머니는 홍백순(洪百順)의 딸이다. 부인은 우의정 강석기(姜碩期)의 딸이다. 숙부는 정양필(鄭良弼)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에 있는 대각회 소속 사찰. 1982년 6월 20일 한보광(韓普光) 스님과 몇몇 신도들의 발원으로 상적동 346번지[옛골로42번길 3] 주택을 인수하여 정토선원(淨土禪院)을 연 것이 시작이다. 이때 극락정토현재설법결인(極樂淨土現在說法結印) 아미타불상을 봉안하여 지금에 이른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이희의 신도비. 이희(李憘)[1492~1551]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이다. 성종의 막내아들이며, 어머니는 숙의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중종반정 때 공을 세워 양원군에 봉해졌고 양원군파의 중시조(中始祖)가 되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청경(淸卿)이다. 청백리에 오른 충정공(忠貞公) 정대년(鄭大年)의 손자이고, 여산군수를 지내고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에 증직된 정휴복(鄭休復)의 장남이다. 부인은 군수를 지낸 송원(宋瑗)의 딸 여산송씨(礪山宋氏)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희적(希迪). 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한 정윤희(丁胤禧)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정형(鄭衡)의 딸이다. 조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증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희일(希一). 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한 정윤희(丁胤禧)의 셋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정형(鄭衡)의 딸이다. 조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증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서망(西望). 호는 취전(醉全)이다. 정휴복(鄭休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호(鄭灝)이고, 아버지는 순천부사 정양필(鄭良弼)이며, 어머니는 이양(李揚)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복초(復初)이고, 정대년(鄭大年)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사당. 덕양군 이기[1524~1581]는 조선 중종의 다섯째 서자로 전주이씨(全州李氏) 덕양군파의 중시조(中始祖)이다. 조선시대부터 덕양군을 불천지위로 삼아 정희사에 배향하였다....
-
경인고속도로의 교통량 분산을 위해 건설된 인천광역시와 성남시를 연결한 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의 전체 구간은 인천광역시-시흥시-광명시-안양시-과천시-의왕시-성남시이다. 성남시를 지나는 구간은 북판교에서 여수대로IC까지 약 3km이다. 성남시에서 3번 국도인 성남이천로 및 광주원주고속도로와 직결되어 인천국제공항에서 평창까지 빠르게 갈 수 있는 도로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조선시대 군사·통신 유적. 천림산 봉수는 조선시대 5거의 봉수제에서 부산 응봉(鷹峰)에서 처음 보내는 제2거 직봉노선(直烽路線)의 내지봉수(內地烽燧)로, 용인 석성산 봉수에서 보내는 신호를 받아 최종 서울의 목멱산(현 남산) 제2봉에 신호를 보냈던 경기도 관내의 마지막 봉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
음력 정초나 정월에 아이들이 제기를 가지고 발로 차기를 겨누는 놀이. 이칭으로는 ‘땅강아지’, ‘어지자지’, ‘헐랭이’ 등이 있다. 놀이 방법은 한 사람씩 차기도 하고 여러 사람이 하기도 한다. 제기를 차는 방법은 지방마다 혹은 노는 사람에 따라 규칙을 정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제기를 입에 물었다 차거나 제기를 차서 키를 넘기고 다시 차는 것과 같은 재주를 부린다. 잘 차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종합 의료기관. 분당제생병원은 1998년 대진의료재단에서 분당에 설립한 종합병원으로 분당 구민은 물론 성남시와 인근 지역의 환자 진료, 의료 인력 교육, 의료 기술 개발, 연구 등 질 높은 의료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고 있다....
-
불교류의 천신(天神)으로, 출산을 관장하는 가신(家神)의 일종. 성남에서는 지석, 삼신제석, 삼불제석 등으로도 불린다. 불교의 영향을 받은 신으로서,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첫째는 불교류의 신으로서, 천신(天神)이며, 범어로는 샤크라데바 인드라이다. 힌두교 계통의 신령이 불교에 차용되어 불법 수호신이 된 것이다. 둘째는 불교에서 차용하여 우리의 신격을 표현한 경우로서, 출산과 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던 예종의 아들 제안대군의 묘. 제안대군(齊安大君)[1466~1525]의 이름은 이현(李琄), 자는 국보(國寶), 시호는 영효(靈孝)이다. 예종의 아들로 생모는 안순왕후 한씨이다. 예종의 첫 부인은 상산부부인 상주 김씨이고 둘째 부인은 승평부부인 순천 박씨이다. 예종 임종 후 왕위 계승 1순위였으나 나이가 네 살밖에 안 되어 조모 정희왕후가 백부 의...
-
일제강점기 경기도 성남 출신의 독립운동가. 천도교 광주교구장이었던 한순회(韓順會)[1885~1964]는 신간회(新幹會) 광주지회장으로서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이끌었고, 신간회가 해체된 후에는 천도교 성미운동(聖米運動)과 멸왜기도운동(滅倭祈禱運動)을 이끌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제이(濟而)다. 생부는 이승업(李承業)이었으나 백부 증사복시정(贈司僕寺正) 이승원(李承元)에게 양자되었다. 생모는 수원최씨(水原崔氏)로 참판 최경숙(崔慶淑)의 딸이고, 어머니는 평산신씨(平山申氏)로 수사(水使) 신충일(申忠一)의 딸이다. 부인은 평산신씨로 정랑 신칙(申恜)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남문로에서 중원구 공단로 사이에 있는 도로. 공단로 중원구청 사거리에서 북북서(北北西) 방향으로 갈라져 가천대역 부근 태평로의 성남서초등학교 앞 3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에 있던 재래시장. 1971년에 개설된 제일시장은 현재 약 70여개의 점포가 입주해 있는 시유지 1,775평 위에 연건평 1,770평의 4층 건물로서 구 성남시청 주변 상권에 포함되는 재래시장으로 한때는 100여개 점포가 운영되기도 하였으나, 경기 침체와 건물 소유권을 지닌 운영업체의 부실 운영으로 현재는 사라졌다....
-
고려 후기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에 거주하였던 문신. 이달충(李達衷)[1309~1385]은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인 환조(桓祖)의 친구로서 이성계를 처음 만났을 때 비범한 인물임을 한눈에 알아보았으며, 노년에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炭洞]에 집을 짓고 살았다....
-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과 서현동 일대에 살던 성씨. 분당구 동원동 광주머내에는 군자감정 고광우(高光宇)의 아들 고원철이 해주에서 이주하여 살기 시작한 후 자손이 세거하여 집성촌을 이루었다....
-
고려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초명은 조윤(趙胤), 자는 종견(從犬), 호는 송산(松山)이다. 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이고, 어머니는 오의(吳懿)의 딸이다. 영의정부사 조준(趙浚)의 동생이다. 증조부는 문하시중 정숙공(貞肅公) 조인규(趙仁規)로 제 26대 충선왕(忠宣王)의 국구(國舅)[임금의 장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조견의 묘 및 신도비. 조견[1351~1425]은 고려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종견(從犬), 호는 송산(松山)이고, 초휘(初諱)는 윤(胤)이다. 정숙공(貞肅公) 조인규(趙仁規)[1227~1308]의 증손이자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덕유(趙德裕)[1314~1352]의 아들이며, 영의정 조준(趙浚)[1346~1405]의 동...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조견의 묘 및 신도비. 조견[1351~1425]은 고려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종견(從犬), 호는 송산(松山)이고, 초휘(初諱)는 윤(胤)이다. 정숙공(貞肅公) 조인규(趙仁規)[1227~1308]의 증손이자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덕유(趙德裕)[1314~1352]의 아들이며, 영의정 조준(趙浚)[1346~1405]의 동...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인물. 조경찬(曹敬瓚)은 조선 후기에 혼란한 정계에 진출하지 않고 전라남도 영암 월출산 아래에 안용당(安用堂)을 짓고 유유자적하며 살았던 은일지사(隱逸志士)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평양(平壤). 개국공신 조준(趙浚)의 아우 조견(趙狷)의 5대손으로, 조필(趙㻶)의 셋째 아들이다. 처는 숙인(淑人) 흥양신씨(興陽申氏)와 숙인(淑人) 인동장씨(仁同張氏)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조기서(曹麒瑞)의 묘. 조기서[1556~1591]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인길(仁吉)이다. 아버지는 조세준(曹世俊)이다. 1582년(선조 15)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정여립옥사’에 연루된 강해(姜海), 양천경(梁千頃) 일파의 탄핵으로 영암 월출산 아래로 낙향하여 36세로 죽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령(昌寧). 자는 응길(應吉). 호는 경헌(敬軒). 무과를 거쳐 부사를 지낸 조등(曹璒)의 증손이고, 문과에 합격하여 관찰사를 지낸 조한필(曺漢弼)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문과에 합격하여 호조좌랑을 역임한 조언박(曺彦博)이며, 어머니는 윤유(尹瑠)의 딸이다....
-
무속신앙 혹은 가정신앙에서 죽은 조상을 신격화하여 받드는 신. 조상신은 죽은 조상이 신의 반열에 올라서 집안을 돌봐준다고 믿어지는 존재로서, 가신으로는 성남의 일부지역에서는 조상단지 혹은 신주단지라는 신체(神體)를 만드는데, 단지 안에 쌀을 채워서 안방 한쪽 구석이나 대청에 모셨으나, 현재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가을고사시에 조상을 위한 신체가 없는 경우에도 조상을 위해서 안방이...
-
집안의 죽은 조상을 신격화하고 이를 섬기기 위해 조상의 혼령이 담겨 있다고 모시는 단지. 신주단지라고도 불린다. 조상신은 가신(家神)의 신체(神體)로서, 후손을 보살펴주며 화복을 좌우한다고 믿어진다. 그래서 조상을 잘 섬기면 복을 받고 잘 섬기지 않으면 복을 받지 못하여 불행하게 된다고 믿는다....
-
1392년에서 1863년까지 경기도 성남의 역사. 조선시대 성남 지역은 광주에 속해 있었으며, 돌마면·세촌면·대왕면·낙생면 지역이 성남 시역에 포함된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령(昌寧). 자는 관부(寬夫). 무과를 거쳐 부사를 지낸 조등(曹璒)의 손자이고, 문과에 합격하여 관찰사를 지낸 조한필(曺漢弼)의 양자이다. 승지를 지냈고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진 조계형(曺繼衡)이 생부이다. 어머니는 이승원(李承元)의 딸이며, 부인은 윤유(尹瑠)의 딸이다....
-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운 정사공신 한천군(漢川君) 조온에게 발급된 왕지(王旨). 조온 사패왕지는 조선 태조 7년(1398) 제1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운 조온[1347∼1417]에게 공전(功田)을 내린 문서이다....
-
부엌을 관장하는 신을 믿는 신앙. 조왕은 가신(家神)의 하나로, 조신(竈神), 조왕님 등으로 불리며, 화신(火神), 재물신으로 인식된다. 과거에는 부엌의 아궁이와 부뚜막에 좌정되어 있다고 믿어졌으며, 특별한 신체(神體)는 없다....
-
고려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초명은 조윤(趙胤), 자는 종견(從犬), 호는 송산(松山)이다. 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이고, 어머니는 오의(吳懿)의 딸이다. 영의정부사 조준(趙浚)의 동생이다. 증조부는 문하시중 정숙공(貞肅公) 조인규(趙仁規)로 제 26대 충선왕(忠宣王)의 국구(國舅)[임금의 장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조철산의 묘. 조철산[1404~1465]은 세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평양(平壤), 호는 석실(石室)이다. 정숙공(貞肅公) 조인규(趙仁規)[1227~1308]의 현손이자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덕유(趙德裕)[1314~1352]의 손자이며 평간공(平簡公) 조견(趙狷)[1351~1425]의 아들이다. 또한 태종대에 영의정을 역임한 월정(月亭) 유정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조철산의 묘. 조철산[1404~1465]은 세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평양(平壤), 호는 석실(石室)이다. 정숙공(貞肅公) 조인규(趙仁規)[1227~1308]의 현손이자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덕유(趙德裕)[1314~1352]의 손자이며 평간공(平簡公) 조견(趙狷)[1351~1425]의 아들이다. 또한 태종대에 영의정을 역임한 월정(月亭) 유정현...
-
고려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초명은 조윤(趙胤), 자는 종견(從犬), 호는 송산(松山)이다. 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이고, 어머니는 오의(吳懿)의 딸이다. 영의정부사 조준(趙浚)의 동생이다. 증조부는 문하시중 정숙공(貞肅公) 조인규(趙仁規)로 제 26대 충선왕(忠宣王)의 국구(國舅)[임금의 장인]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시민이 믿고 있는 신념 체계, 신앙 공동체 및 활동 등의 모든 것. 성남시에는 불교, 개신교, 천주교와 더불어 원불교와 같은 신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종교 인구 평균보다 높은 종교 인구를 유지하고 있으며, 각 종교는 수정구와 중원구, 분당구 등의 지역사회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시장. 종합시장은 주변 상권이 발달하고, 지하철 8호선 신흥역과 수진역을 연결하는 지하상가가 있어 유동 인구가 많은 성남 지역의 중심 상권 중 하나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수연(秀衍). 호는 좌은(坐隱)이다. 문과에 합격하여 병조좌랑을 역임한 이기상(李箕相)의 넷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윤유진(尹惟晉)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지(李至)이고, 중종의 다섯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증손인 봉래군(蓬萊君) 이경윤(李烱胤)의 증손이다. 부인은 김우량...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소비자 생활 협동 조합. 생활협동조합은 서로 돕는 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조합원의 생활 개선과 생활 문화 향상,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자연 생태계 질서를 보전하고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생활인들이 만드는 자발적인 자조·자립·자치의 협동 조직이다. 주민두레소비자생활협동조합[주민두레생협]은 1989년 성남 주민교회에서 생명과 환경을 살리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소비자 생활 협동 조합. 생활협동조합은 서로 돕는 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조합원의 생활 개선과 생활 문화 향상,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자연 생태계 질서를 보전하고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생활인들이 만드는 자발적인 자조·자립·자치의 협동 조직이다. 주민두레소비자생활협동조합[주민두레생협]은 1989년 성남 주민교회에서 생명과 환경을 살리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소비자 생활 협동 조합. 생활협동조합은 서로 돕는 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조합원의 생활 개선과 생활 문화 향상,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자연 생태계 질서를 보전하고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생활인들이 만드는 자발적인 자조·자립·자치의 협동 조직이다. 주민두레소비자생활협동조합[주민두레생협]은 1989년 성남 주민교회에서 생명과 환경을 살리고...
-
경기도 성남 지역의 집이나 사는 곳의 형태와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생활. 성남시는 서울의 남동부에 인접하여 있으며 탄천이 남북으로 관통하고 시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은 낮고 동쪽과 서쪽은 높은 둥근 형태의 도시이다. 따라서 전통적 주택의 모습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주택과 크게 다르지 않다. 성남의 전통적인 살림집 형태를 지닌 단독주택은 개축 및 신축으로 인해 줄어드는 추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묘가 있던 조선 후기 무신. 이주철(李周喆)은 조선 후기에 활동한 무신으로 형조판서와 공조판서, 한성부판윤,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주택공원의 면적은 212,563.3㎡이며 주변에 주택전시관과 성남시분당도서관, 성남시분당노인종합복지관이 있다....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여승(汝昇), 호는 죽창(竹窓). 윤시영(尹時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사랑 윤징(尹澄)이고, 아버지는 임천군수(林川郡守) 윤극신(尹克新)이며, 어머니는 동몽교관 남견손(南堅孫)의 딸이다. 이황(李滉), 기대승(奇大升)의 문인이다....
-
대보름날에 여러 사람들 혹은 마을 사람들이 양편으로 나뉘어 줄을 잡아 당겨 승부를 내는 놀이. 당나라 봉연(封演)이 쓴 『봉씨문견기(封氏聞見記)』에는 춘추시대 오(吳), 초(楚) 사이의 싸움에서 유래하였다한다. 그러나 풍년을 비는 농경의식으로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본다, 놀이의 초기 이름이 ‘발하(拔河)’로 농경과 관련 있음을 보여준다. 그 밖의 중국의 『수서』, 『전당서』에...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권(仲權). 참의 이지직(李之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이고, 아버지는 좌찬성(左贊成) 이극돈(李克墩)이며, 어머니는 예조참판 권지(權至)의 딸이며, 부인은 예천군(蘂川君) 이청(李蒐)[효령대군 증손]이다....
-
고려 후기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에 거주하였던 문신. 이달충(李達衷)[1309~1385]은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인 환조(桓祖)의 친구로서 이성계를 처음 만났을 때 비범한 인물임을 한눈에 알아보았으며, 노년에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炭洞]에 집을 짓고 살았다....
-
경기도 광주군에 있었던 행정지명. 조선총독부에서 제작했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에 의하면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에는 거여리, 장지리, 문정리, 가락리, 방이리, 송파리, 삼전리, 이동(二洞), 오금리, 마천리 등 10개리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옛 지명. 중말[中村]은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의 자연마을인 섬말과 여수동 중간에 있었던 마을로서, 고성이씨(固城李氏), 전주이씨(全州李氏) 등이 살았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명(仲明). 이자(李澬)의 둘째아들이다....
-
경기도 광주군에 있었던 행정지명. 경기도 광주군에 속했던 지방행정 구역으로, 조선시대부터 있던 세촌면, 돌마면, 낙생면, 대왕면과는 달리 1910년 근대적인 개념의 행정 단위로 가장 나중에 설치되었다....
-
1919년 3월 27일 중부면 단대리, 탄리, 수진리 일대 주민이 벌인 만세시위운동. 중부면의 만세시위운동은 남한산성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일제하 중부면은 면소재지 산성리를 비롯하여 13개 동리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1919년 3월 27일 새벽을 기하여 남한산에서 횃불을 밝히고 이를 신호로 하여 단대리, 탄리, 수진리의 주민 300여명이 만세시위를 펼쳤다. 이들은 남한산성...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즐겁게 배우고 함께 성장하는 학교’이며, 구체적으로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학생, 예의 바르고 조화롭게 살아가는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 육성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는 ‘즐겁게 배우고 함께 성장하는 학교’이며, 구체적으로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학생, 예의 바르고 조화롭게 살아가는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 육성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옛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의 지역으로서 국사봉(도산천)의 아래가 되므로 뫼루니, 머루니, 뫼룬, 뫼운, 또는 산운이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산운의 중간이 되므로 운중리 또는 중산운리가 되었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고, 1975년 낙생출장소에 편입되어 운중, 대장, 석운, 하산운의 4개 동을 합하여 운중동의 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인물. 조경찬(曹敬瓚)은 조선 후기에 혼란한 정계에 진출하지 않고 전라남도 영암 월출산 아래에 안용당(安用堂)을 짓고 유유자적하며 살았던 은일지사(隱逸志士)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일원에 조성된 근린공원. 중앙공원은 면적 420,982㎡으로, 성남시에 위치하는 공원 중 최대의 규모를 자랑하며, 분당의 한가운데에 위치하여 지리적인 접근성이 좋고, 각종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는 성남시의 대표적인 공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내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무덤군. 분당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조사된 171기의 추정 고인돌 중 대표적인 10기를 모아놓은 고인돌군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3동에 있었던 영화관. 중앙멀티씨네마는 2009년 현재 건물 신축으로 폐쇄된 극장으로 종합시장의 신흥역 등 지하철과 버스 등의 대중교통이 잘 연결되어 있는 곳에 위치하였으며, 같은 건물에 있는 당구장과 PC방은 영화 관람 전후의 공백 시간을 충족시키는 시설들이 있었다. 또한 중앙멀티씨네마의 휴게 공간은 100여 평의 넓은 공간으로 영화를 관람하지 않더라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중앙동은 원래 하천보다 고도가 낮아 뽕나무밭과 갈대밭이 우거진 곳이었으며, 서울시가 광주대단지 건설 사업을 시행할 때 철거민들을 입주시키기 위해 떼어 준 10만 평[33만 578㎡]의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1969년 7월부터 분양을 시작하였으며, 각각 20평[66.11㎡]씩 나누어 주었다. 전통적으로 유흥과 소비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산성대...
-
경기도 성남시의 수정구와 중원구의 경계를 나누고 있는 시도. 중앙로는 성남대로의 모란사거리에서 동동북(東東北) 방향으로 분기하여 순환로의 남한산성유원지 입구까지 이르는 시도(市道)로서 현재는 산성대로로 명명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3동에 있었던 영화관. 중앙멀티씨네마는 2009년 현재 건물 신축으로 폐쇄된 극장으로 종합시장의 신흥역 등 지하철과 버스 등의 대중교통이 잘 연결되어 있는 곳에 위치하였으며, 같은 건물에 있는 당구장과 PC방은 영화 관람 전후의 공백 시간을 충족시키는 시설들이 있었다. 또한 중앙멀티씨네마의 휴게 공간은 100여 평의 넓은 공간으로 영화를 관람하지 않더라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중앙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 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종합병원. 1977년 설립된 양친회병원을 모태로 환자 제일주의 정신을 근본 취지로 삼아 1982년 성남 지역 최초의 종합병원으로 개원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지정 악기 수리 교육 기관. 한국현악기제작수리학교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직업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지정 악기 수리 교육 기관. 한국현악기제작수리학교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직업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지하상가. 지하상가란 공공 도로에 면한 지하에 점포·사무실 및 이와 유사한 시설을 설치한 건축 복합체를 가리킨다. 한국의 지하상가는 상업 이윤에 의해 지하철·지하도 등의 건설비 일부를 보전할 목적으로 조성한 것이 대부분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양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옥(仲玉). 안악군수 이여주(李汝舟)의 둘째 아들이고 조부는 이승원(李承元)이다. 부친이 출계(出系)한 것이라서 생조부는 이승원의 동생 이승업(李承業)이다. 모친은 평산신씨로 외조는 문정랑(文正郞) 신칙(申恜)이며 처가는 진주(晋州)유씨로 처부는 첨지중추부사 유자(柳玼)다....
-
경기도 성남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중원구는 수정구, 분당구와 함께 성남시 3개 구 중의 하나로 지리적으로는 서울의 도심에서 남동쪽으로 약 25㎞, 강남에서 약 10㎞ 떨어진 곳에 자리해 있고, 북쪽으로 경기도의 하남시와 광주시, 서쪽으로 수정구, 남쪽으로 분당구, 동쪽으로는 광주시와 접한다. 수정구와 함께 발전되고 있어 향후 많은 변화가 예상된 시가지의 한 축을 이룬다. 기반 시...
-
...
-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세촌면 단대동(丹垈洞)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은행정이 논골, 금광리를 병합 단대리라 하여 중부면에 편입되었으며, 1971년 7월 창곡을 병합하여 단대동으로 되었다. 단대동은 1976년 10월 단대1동, 단대2동으로 분동되었으며 단대2동은 1980년 9월 다시 단대2동, 단대3동으로 분동되었다....
-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세촌면 단대동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은행정 논골, 금광리를 병합 단대리라 하여 중부면에 편입되었다.1971년 경기도 성남출장소에 편입되고 1973년 7월 창곡을 병합하여 단대동으로 되었다. 단대동은 1976년 10월 단대1동, 단대2동으로 분동되었으며, 단대2동은 1980년 9월 다시 단대2동, 단대3동으로 분동되었다. 그후 1989년 5월 단...
-
1930년생(75세)으로 광산김씨이다. 600여년간 현재 중원구 금광2동에 광산김씨 집성촌이 형성되어 왔고, 본인도 여기서 낳고 살았다. 일제강점기 때 현 남한산성에 있는 남한산성초등학교에 다녔다. 당시는 송파, 중부면, 하남시 일대에 국민학교가 하나밖에 없었다. 신익희 선생도 남한산성초등학교 2회 졸업생이란다. 집에서 학교까지의 거리는 6㎞ 정도 된다. 중학교는 당시 중고등학교가...
-
광산김씨로, 가족은 부인과 자녀 2남 3녀이다. 큰딸은 시집가서 외손녀가 중학교 다니는데 같은 집에서 동거한다. 다른 아들과 딸들은 분가하여 따로 산다. 결혼은 스물두 살에 했다. 부인은 광주이씨로 양주 출신인데, 당시 세살 아래로 열아홉 살이었다. 전통혼례로 처가에서 치르고 다음날 하루에 집에 못 와서 중간에 하남에 있는 친척 집에서 자고 왔다. 선산은 원래 금광2동 현재 신구대...
-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세촌면 단대동(丹垈洞)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은행정이 논골, 금광리를 병합하여 단대리라 하여 중부면에 편입되었다. 1971년 경기도 성남출장소에 편입되고, 1973년 7월 창곡을 병합하여 단대동으로 되었다. 단대동은 1976년 10월 단대1동, 단대2동으로 분동되었으며, 단대2동은 1980년 9월 단대2동, 단대3동으로 분동되었다. 그후 19...
-
연령별, 계절별 의복을 회상하면, 해방되기 전에 학교를 다녔기 때문에 초등학교 다닐 때는 바지, 저고리에 조끼를 입는 한복을 입고 다녔다. 농촌이므로 옷감은 자급자족이었다. 베, 모시 등의 여름옷과 겨울에는 무명으로 된 바지 저고리와 여자들은 저고리와 치마를 입었다. 6·25전쟁을 계기로 남녀의 옷의 차이가 줄어들었다. 6·25전쟁 후에는 일반인은 물론 학생들도 염색한 군복을 입었...
-
식단이라고 짜놓고 생활한 적은 없고, 주식은 밥, 김치, 된장, 고추장이었다. 쌀은 뒤주나 항아리에 넣어 보관하였고, 채소는 겨울에 움집에 넣어 보관하였으며, 가정마다 메주를 만들어 간장과 된장을 담갔다. 간식으로는 조청이나 엿을 고아 먹었거나 배급 나온 흑설탕을 즐겼고, 손님이 오면 계란을 찌거나 닭을 잡아 대접하기도 하였다. 계절에 따른 음식으로 봄에는 쑥을 넣은 개피떡, 여름...
-
금광2동은 단대오거리에서 동쪽의 남향받이 언덕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웃말, 아랫말, 중간말로 이루어졌다고 하나 단조로운 밀집된 단독주택으로 이루어졌다. 개발전에는 기와집과 전통한옥이 있었으나 지금은 양옥 중심의 주택 밀지지역이다. 도로변에 약간 높은 5층 이상의 건물이 약간 있을 뿐, 단층 내지는 2, 3층의 단독주택 및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이 중심을 이룬다. 남향으로 주택지구로서...
-
...
-
...
-
...
-
...
-
...
-
...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중원구 관할 공공 보건 의료 기관. 보건소는 전국의 시·군·구에 설치되어 공공 부문의 지역 보건 활동을 담당하는 의료기관이다. 성남시에는 각 구별로 보건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원구 보건소는 중원 구민의 질병 예방·관리, 건강 증진 사업, 금연 사업 등 다양한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중원구 관할 선거 사무 관리 기관. 성남시 중원구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 정당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헌법 기관으로 약칭 ‘중원구 선관위’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구립 여성 합창단. 중원구 어머니합창단은 중원구에 거주하고 있는 30대에서 50대의 주부로 구성된 여성 합창단으로, 수정구·중원구·분당구 중에서 가장 먼저 창단되어 각 구청 직할 합창단 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
...
-
은행정에서 유래한다. 은행시장 뒤 수령 300년의 은행나무가 있었다고 전한다. 은행나무가 위치한 지역에 정자를 설치하고 은행정이라 지칭했는데 은행동은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이 지역은 남한산성과 경충국도가 연결되어 지형지대가 높고 경사가 심하고 고밀도 주거환경과 좁은 도로로 도시기능이 미약하다는 점, 그리고 은행공원 및 수목관찰원이 위치하여 환경친화적인 주거지역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
1949년생(56세)으로 달성서씨이고, 태어나서부터 현재의 주거지 은행동에서 살았다. 6.25 직전에 태어났으며 현 남한산성 내에 있는 남한산성초등학교에 입학하여 2학년 초까지 다녔으며, 중간에 학군이 바뀌어 성남초등학교를 졸업했다. 거리는 남한산성초등학교가 조금 가까웠다. 당시 중부면에는 중학교가 없어 정식 인가도 나지않은 모란중고등학교에 다녔다. 그게 현재의 풍생중고등학교 전신...
-
현재 가족은 어머님, 부인, 자녀 1남 2녀로, 큰딸은 시집가고, 막내인 아들이 먼저 결혼하여 손녀까지 함께 살고 있어 4대가 한 집에 살고 있다. 큰딸도 수지에 살고 있어 외손녀가 주로 와 있다. 딸 둘이 마을금고 건물에 함께 고시학원, 입시학원, 피아노학원을 경영하고 있다. 달성서씨로서 증조부 때 현재의 주거지로 이주하였다. 먼 조상은 조선 초의 유명한 서거정 선생이시다. 서정...
-
은행동은 1975. 7. 1. 성남시 조례 제70호에 의하여 단대동의 은행정이를 갈라서 은행동이라 하였다. 1979년 9월 15일 분동하여 은행1동, 은행2동으로 되었다. 1989년 중원구에 편입되었다. 동명은 은행정(銀杏亭)이라는 정자에서 유래한다. 은행시장 뒤편에 높이 30m, 둘레 6m, 수령 약 300년가량의 은행나무가 있는데, 여름이면 정자나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은행정...
-
어려서 초등학교 다닐 때는 주로 바지, 저고리에 조끼를 입고 학교를 다녔다. 집에서 만든 옷감으로 옷을 만들어 입다가 중학교 다니면서 학생복을 입었다. 1960년대가 되면서 주로 시장에서 옷을 사 입게 되었다. 어른들은 바지저고리를 입었으나 아이들은 교복이나 양복을 입었다. 1970년대가 되면서 어른들도 양복을 입게 되어 지금과 별 차이가 없게 되었다. 혼례, 상례에는 주로 한복을...
-
정해진 식단은 없이 주식은 잡곡밥, 김치, 된장, 고추장이었다. 조리는 할머니나 어머니들이 부엌에서 자체에서 생산한 것으로 만들어 먹었다. 쌀은 뒤주나 항아리에 넣어 보관하였고, 채소는 겨울에 움집에 넣어 보관하였으며, 가정마다 메주를 만들어 간장, 된장을 담갔다. 겨울에 시루떡을 해서 집집에 돌려 먹었다. 식량 저장은 뒤주 같은 것이 있는 집도 있으나 이사장 집에서는 쌀 두 가마...
-
은행동은 감나무골, 안골, 배나무골, 이바리골이 있는데, 전형적인 산골마을로 40여호가 모여 살았다. 달성서씨와 버들류씨(문화류씨)가 10여호씩 살고 연안이씨가 7, 8호 살았다. 주로 초가였으나 서서히 슬레이트, 기와 등의 양옥으로 바뀌고 도시개발이 시작되면서 시장도 커지고 상가건물이 들어섰다. 1980년대부터 은행주공아파트나 은행1동에 현대아파트가 들어섰다. 이후 도시화되면서...
-
...
-
...
-
...
-
...
-
가정신앙은 기독교로 바꾸면서 유교식에서 기독교로 바뀌어나갔다. 어머니가 서 이사장을 어려서부터 교회에 나가도록 하여 성인이 되고 부친이 돌아가시고 기독교식으로 추모예배로 대신한다. 종손으로 주도하니 집안어른도 따르게 되었다. 본인이 모범적인 생활을 하다보니 여기에 대한 문중의 거부감은 없었다. 할아버지가 병이 들어 주위에서는 무당을 시켜 굿을 하자고 야단이었으나 할머니는 이 말을...
-
...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중원구 관할 지방 자치 행정 기관.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중원구청은 11개의 행정동을 관할하고 있으며, 행정지원과·시민봉사과·세무과·사회복지과·가정복지과·경제교통과·환경위생과·건설과·건축과 9개 과 45팀으로 구성되어 중원 구민에게 행정 및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중원노인종합복지관은 성남시 중원구 지역의 노인들에게 각종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 증진 및 취미 여가, 자립 지원 등 노인들의 복지 증지에 필요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복지시설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 복지 시설. 중원청소년수련관은 수정 지역의 수정청소년수련관, 분당 지역의 분당청소년수련관, 판교 지역의 판교청소년수련관과 함께 중원 지역의 청소년 수련 시설로 지역 청소년들이 사회, 문화적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성남시청소년육성재단[현 성남시청소년재단]에서 시설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학교’이며, 교훈은 ‘큰 꿈을 가꾸어 세계로 나아가는 중원 어린이’, 목표는 ‘더불어 도전하고 협력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더불어 사는 어린이, 도전하는 어린이, 협력하는 어린이,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초등학교에 입학한 지석태는 장난기가 많은 아이였다. 중원초등학교, 그 당시는 중원국민학교였다. 1학년 때 장난이 워낙 심해서 짝꿍이 여섯 번 바뀌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어머님 말씀에, 짝꿍이 여섯 번인가 바뀌었다고 하더라구요. 그것도 초반에. 학급이 딱 배치가 되면 짝꿍을 맺어주는데 여섯 번인가 바뀌었다고. 처음에 짝꿍을 붙여줬는데 엄청 괴롭히더래요. 금 그어 놓고. 금 넘...
-
경기도 성남시에 있었던 행정기관. 성남시는 1973년 7월 1일에 시로 승격하면서 1실, 10과, 2개 사업소, 2개 출장소, 18개 동사무소를 설치하여 시의 행정 업무를 관장하였다. 중원출장소의 설치는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해 성남시가 전국적으로 규모 면에서 제10위로 급부상한 결과에서 비롯되었다. 관할 지역은 10개동, 269통, 1,612반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7개과 37...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과 경기도 광주시 직동을 잇는 성남이천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 중원터널은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서 출발해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를 잇는 국도 3호선 도로인 성남이천로에 설치된 터널이다. 고불산과 영장산 아래 성남시 중원구 도촌 지역에서 경기도 광주시 직동을 연결하는 성남이천로를 건설히면서 산을 관통하는 중원터널을 설치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윤(仲胤), 호는 풍애(楓厓)이다. 참의 이지직(李之直)의 아들이다. 할아버지는 둔촌공(遁村公) 이집(李集)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고려말 생원(高麗末 生員) 이당(李唐)이다. 외할아버지는 지주사(知州事)인 이원보(李元普)이다. 부인은 별장(別將) 노신(盧信)의 딸인 정경부인(貞敬夫人) 교하노씨(交河盧氏)이며, 이극배(李克培)...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중장(仲章), 아버지는 대사헌 이감(李戡), 조부는 참판 이광식(李光軾)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이매동을 관할하는 행정동. 중탑동(현재 야탑3동)은 분당구의 북단 동측에 위치한 동이다. 남쪽에는 매지봉이 있어 산지 지역을 이루고 있으며, 매지봉, 즉 영장산 줄기에서 발원한 야탑천과 북쪽으로는 하대원동의 갈마치 일대에서 발원한 여수천이 서쪽으로 흐르고 있다. 동쪽은 한남정맥에 해당하는 이왕산, 영장산 줄기가 경계를 이루어 광주시와 접하고, 남쪽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중탑종합사회복지관은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와 일반 아파트, 주택단지가 서로 공존하는 야탑동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민 모두의 건강한 사회생활을 위해 지역사회 내 문제 예방 및 해결을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 사업들을 실시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행복한 학교, 꿈을 키우는 교육’으로 바르게 행동하고, 스스로 노력하며, 재능을 발휘하는 꿈을 가꾸는 어린이, 사랑으로 헌신하고, 신바람 나게 가르치며, 전문성을 발휘하는 배우며 가르치는 교사, 함께하고 책임을 다하며 지역과 함께하는 학교로서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행복 교육이다. 교육 목표는 꿈과 소질을 키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행복한 학교, 꿈을 키우는 교육’으로 바르게 행동하고, 스스로 노력하며, 재능을 발휘하는 꿈을 가꾸는 어린이, 사랑으로 헌신하고, 신바람 나게 가르치며, 전문성을 발휘하는 배우며 가르치는 교사, 함께하고 책임을 다하며 지역과 함께하는 학교로서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행복 교육이다. 교육 목표는 꿈과 소질을 키우...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중등 보통교육 담당 기관. 중학교는 설립자에 따라 공립중학교와 사립중학교로 구분한다. 중학교의 입학 자격은 초등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규정하고 있다. 중학교의 입학 방법과 절차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며 수업 연한은 보통 3년이다....
-
중학교에 올라가면서는 집이 같은 방향인 친구들끼리 뭉쳐서 놀았다. 같이 집에 가는 도중에 누구네 집에 놀러간다든지 노래방을 간다든지 하는 일도 있었다. 중학교 1학년 때 노래방이 생겨서 처음 가 봤는데 그 때는 한 곡당 500원, 만 원이면 스무 곡을 부를 수 있었다. 그렇게 노래방을 가든지 친구 집에 가서 만화책을 보든지 하면서 초등학생 때와는 놀이의 종류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
정월에 어린이들이 어미쥐가 새끼쥐를 데리고 가는 모양을 흉내내는 놀이. 놀이에 참가한 아이들은 일렬로 앉고 뒤사람이 앞사람의 허리띠를 꽉 붙잡는다. 이런 모양으로 맨 앞사람이 황새걸음으로 걷기 시작하면 다른 사람은 모두 몸을 앞으로 구부린 모양이 되어 발끝으로 걸으며 앞으로 나간다. 단지 문헌으로만 전해지며, 앞으로 현지 답사를 통해 조사해 보아야 한다....
-
재산상의 권리, 의무 등을 나타내는 문서. 증권은 재산상의 권리를 표시하는 유가증권(有價證券)과 특정 권리관계의 존재 및 내용을 표시하는 증거증권(證據證券)으로 나눌 수 있다. 유가증권에는 물재증권(物財證券), 통화증권(通貨證券), 자본증권(資本證券)이 있고, 증거증권에는 차금증서, 영수증 등이 있다. 증권은 일반적으로 유가증권, 특히 자본증권을 지칭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증산교 계통의 신종교. 안세찬이 1974년부터 충청남도 지역에서 신도들을 모으고, 1978년 대전[현 대전광역시]에서 ‘대법사 증산교’라는 명칭으로 창교하고 1980년에 교당을 신축하고 증산도라 개칭하였다. 현재 본부는 대전광역시 서구 괴정동에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지경(智卿)이다.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이암(李嵒)의 7세손으로 문과를 급제하여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한 이륙(李陸)의 손자이자 부사(府使)를 지낸 이이(李峓)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기독교한국침례회 소속 교회. 지구촌교회는 기독교 한국침례회에 소속되어 있으며, 성남에 본당을 두고 있는 교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매년 5월에 개최되는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행사. 지구촌어울림축제는 5월 20일 세계인의 날을 기념하여 매년 5월 성남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성남시 외국인주민복지지원센터에서 주관하는 행사이다....
-
지리지란 특정 지역의 인문 환경 및 자연 환경을 비롯하여 지역 정보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술한 책이다. 보통의 경우 국가 통치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제작되었다. 현재 성남이 위치하고 있는 곳은 과거에는 광주군이었던 만큼 광주와 관련된 지리지를 살펴보면 먼저 1451년(조선 문종 원년)에 편찬된 『고려사(高麗史)』지리지이다. 『고려사(高麗史)』137권 중 56-58권으로 편...
-
땅에 붙여진 이름. 즉, 땅을 인식하고 그 땅과 다른 땅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붙인 이름. 사람이 땅에 정착하여 생활하기 시작하면서 생활의 편리함을 얻기 위해 자연적 환경이나 지형의 특색, 또는 당시의 산업이나 사회제도 등의 인문적 특성을 반영하여 땅에 각각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그리하여 지명에는 사람들의 사상, 의지, 생활모습, 언어, 풍속, 도덕, 종교 등이 표현되어 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중원구 은행동 남한산성 사이에 있는 지방도. 지방도 제342호는 서울특별시와 양평군을 연결하는 지방도이다. 성남에서는 복정역 부근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시의 최북단을 동서로 지나 남한산성에 이른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서 상대원동을 지나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까지 이어지는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제338호는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을 기점으로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도수리를 연결하는 총 길이 24.6㎞의 도로이며, 주요 경과지는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성남산업단지, 성남시 환경에너지시설, 광주시 탄벌동 등이다. 둔촌대로와 마지로로 명명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에서 분당구 금곡동까지 성남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제23호 천안-서울선은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로사거리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에서 끝나는 도로이다. 지방도 제23호은 성남시 구간에서 성남시를 남북으로 관통하여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에서 분당구 금곡동을 잇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서 상대원동을 지나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까지 이어지는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제338호는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을 기점으로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도수리를 연결하는 총 길이 24.6㎞의 도로이며, 주요 경과지는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성남산업단지, 성남시 환경에너지시설, 광주시 탄벌동 등이다. 둔촌대로와 마지로로 명명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중원구 은행동 남한산성 사이에 있는 지방도. 지방도 제342호는 서울특별시와 양평군을 연결하는 지방도이다. 성남에서는 복정역 부근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시의 최북단을 동서로 지나 남한산성에 이른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를 지나가는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제57호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대전광역시까지 연결된 국가에서 지원한 지방도로서 성남시를 동서로 관통하고 있다. 국도 3호선과 함께 성남에서 가장 중요한 동서 간선도로의 하나로 예부터 중요한 통행로였으나, 분당신도시 및 수도권 남부 지역 개발로 통행 수요가 늘면서 1996년 7월 국가 기간 도로망을 보조하는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
-
경기도 성남시에서 관료 중심의 중앙집권적인 지방자치를 배제하고 주민들이 자치권을 이양받아 스스로의 참여와 결정에 의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제반 활동. 지방자치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국가]와의 관계에서 파악하는 것과, 지방자치단체 안의 지방정부와 주민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그것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출신. 자는 치영(穉永). 호는 지산(芝山). 원석규(元錫圭)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덕수 이씨 이우의 묘에서 출토된 토제 지석. 고등동 덕수 이씨 이우 토제 지석(誌石)은 조선 명문가 출신 이우의 무덤에서 나온 묘지문 기록이다. 과거에는 망자의 인적 사항이나 무덤의 소재 등을 판석에 기록해 무덤에 묻었다. 2017년 공공택지개발 사업 당시 이우 선조의 묘역을 이장하는 과정에서 출토되었다....
-
돌로 기둥을 만들고 그 위에 납작한 돌은 얹어 만든 무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형태에 따라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기반식, 지하에 만든 무덤방 위에 바로 덮개돌을 놓은 개석식 고인돌로 나뉜다. 탁자식 고인돌은 중부 이북 지방에 주로...
-
경기도 성남시의 시장과 시의회 의원을 독립적으로 선출할 수 있는 지리적 단위. 헌법 117조, 118조 에서는 지방자치를 보장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법률로 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자치법이 제정되었다.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와 같은 모습의 통치 단체 성격을 가지며, 그 권한으로는 자치행정권은 물론이고 조례(條例)를 제정·개폐하는 자치입법권과 지방세...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법륜사에 있던 개항기에 제작된 불화. ‘법륜사’ 명(銘) 감로도는 1889년 망경암마애여래좌상[경기도 유형문화유산]을 조성한 조선 왕실의 종친인 이규승(李奎承)[1835~?]이 경기도 광주[현재 성남시 수정구]의 옛 사찰 법륜사에 봉안한 불화이다. 1939년 법륜사가 폐사하면서 서울 지장암으로 옮겨져 2008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71호 지정되었다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법륜사에 있던 개항기에 제작된 불화와 복장물. ‘법륜사’ 명(銘) 신중도는 1889년 망경암마애여래좌상[경기도 유형문화유산]을 조성한 조선 왕실의 종친 이규승(李奎承)[1835~?]이 경기도 광주[현재 성남시 수정구]의 옛 사찰 법륜사에 봉안한 불화이다. 1939년 법륜사가 폐사하면서 서울 지장암으로 옮겨져 2008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70호 지정되...
-
집을 세우기 위하여 집터를 다져서 단단하게 하는 일. ‘지경다지기’ 또는 ‘달구질’이라고도 한다. 집을 짓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집터를 고른다. 이때는 지형과 함께 향을 보는데, 지형이 높은 곳은 깎아내고, 낮은 곳은 메우는 식으로 지면을 고른다. 메운 땅을 뜬흙[부토(浮土)]이라 부르는데, 이 흙이 땅에 단단히 자리 잡도록 큰 돌로 다지는 것을 지정다지기라고 한다. 지정다지기는...
-
고려 후기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에 거주하였던 문신. 이달충(李達衷)[1309~1385]은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인 환조(桓祖)의 친구로서 이성계를 처음 만났을 때 비범한 인물임을 한눈에 알아보았으며, 노년에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炭洞]에 집을 짓고 살았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지각을 이루고 있는 여러 가지 암석이나 지층의 성질 또는 상태. 성남 지역의 지질은 크게 선캄브리아기(precambrian period)의 경기변성암 복합체로 이루어진 변성암류와 신생대 제4기(Quaternary)에 형성된 충적층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소속 지회. 1990년 사단법인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성남시지회의 설립이후 성남시 장애인종합복지관을 위탁 운영하는 등 장애인 복지를 위해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상가(喪家)에 부조하는 종이와 담배. 지초에서 종이는 저지(楮紙)를 말하는 것인데, 요즘 한지 또는 창호지라는 호칭은 잘못된 것이다. 창호지는 옛날에 문에 붙였기 때문에 유래된 말인데 원이름은 닥지[저지(楮紙)]이다. 닥나무 껍질로 만든 것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종이는 전에 상가에서 시신을 염습(斂襲)할 때 종이를 많이 사용하였기 때문에 종이를 부조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모란역에서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역 구간의 전철. 지하철 8호선은 성남의 구 시가지를 관통하는 지하철로 서울에서 복정동과 단대동을 경유하여 수정구와 중원구의 경계를 나누고 있는 중앙로를 따라 모란까지 연결된 지하철이다. 지하철 8호선의 구간은 총 17.7㎞이며, 17개 역으로 되어 있다. 그 중 성남 관내 구간은 복정역에서 단대오거리역을 경유하여 모란역까지 총...
-
경기도 성남시 지역에 나타나는 지표면의 기복 및 모양이나 형태. 성남의 지형은 탄천이 도시의 중앙부를 남쪽에서 북쪽으로 관통하여 흐르고, 탄천 유로를 기준으로 동쪽과 서쪽으로 탄천의 지류 하천이 발원하며 성남시 전체의 경계를 이루는 산지가 형성되어 있는 요(凹)형의 분지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고도별로 살펴보면 총면적 141.63㎢ 중 높이 100m 이하의 구릉과 하천 평야지대가 총...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직재(直哉), 직경(直卿)이고, 참판 한술(韓述)의 차남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직재(直哉), 직경(直卿)이고, 참판 한술(韓述)의 차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진고개공원은 탄천 옆에 위치하여 아파트단지 주민들과 탄천 산책로를 찾는 이용객들에게 안락한 쉼터를 제공한다. 공원 면적은 21,059.1㎡이다....
-
죽은 사람을 무속적인 의례방식으로 천도(薦度)해 주는 의례. 진오귀굿의 가장 큰 의의는 죽은 자를 저승으로 천도[죽은 이를 좋은 세상에 가도록 기원함]해 줌으로써, 극락왕생하게끔 도와주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심곡동, 중원구 상대원동 등에 살던 성씨. 진주강씨는 성남시에 5개의 세거지를 가지고 있다. 수정구 복정동 안골[내곡(內谷)]은 마옥리(馬玉里)라고도 하며 그 남쪽에 최초로 진주강씨가 정착하였다....
-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살던 성씨. 분당구 율동의 서근배미에는 호조참판 유유(柳柔)의 차남 유종선(柳從善)[1519~1578]이 양주에서 이주하여 처음 정착한 후에 후손이 세거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동막골 묘하에 살아온 유씨는 유종선의 16대손 유희춘(柳熙春)의 고조부 때 큰말에 내려와 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큰말에는 유종선의 16대손 유희일(柳熙日)이 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청군 주둔지. 청군주둔지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군사의 주둔지로,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일원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은 위례신도시 택지 개발지구에 포함되어 대규모 공동 주택단지가 들어서, 옛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
남한산성 아래 광나루 쪽 진터벌에 얽힌 이야기. 병자호란이 일어나고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옮겨가자 조정 벼슬아치의 권속들도 함께 남한산성으로 피난길에 올랐다. 피난 일행 중에는 김승지 부인과 이참판 부인이 있었는데 광나루를 건너자마자 용골대의 병사들에게 사로잡히고 말았다....
-
당시에 소년 구보의 집 주변에는 여전히 집이 몇 채 없었다. 대신 갈대처럼 우거진, 1미터 이상 되는 풀들이 사방팔방에 자라고 있었다. 풀밭은 아이들의 놀이터가 되었다. 그렇게 우거진 풀들도 장마철이 되면 빗물에 다 씻겨 내렸다. 상대원3동은 산을 깎아 잡은 터였다. 그래서 장마철이면 늘상 일이 터졌다. “상대원3동 모든 일대에 산을 다 깎아놓았기 때문에, 장마가 한번 지면은 1미...
-
새집을 지어 들어가거나 이사를 한 후에 이웃과 친지를 불러 집을 구경시키고 음식을 대접하는 일. 본래는 새집으로 처음 들어가거나 다른 사람이 살던 집으로 이사하는 날 저녁에 무당을 불러 굿을 하거나 고사를 올렸는데, 요즘에는 제의적인 성격보다 집을 다 지은 것에 대한 축하의 뜻이 강해지면서 행사의 내용이 바뀌게 된 것이다....
-
한 마을에 같은 본관을 가진 성씨끼리 함께 모여 사는 곳. 집성촌이란 동족마을이라고도 부르며 성씨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원시사회에서 씨족생활이 이루어지듯이 근대 도시사회로 발전하기까지 농업국가에서는 같은 씨족끼리 모여 살게 되어 있다. 우리 민족이 성(姓)을 가진 것은 아득히 먼 옛날이다. 그러나 왕족이나 귀족은 일찍부터 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천민이나 노예는 근대사회까지...
-
조선시대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징보(澄甫). 호는 이안당(易安堂). 광해군 때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지남(金止南)의 계자(系子 : 양자)이며, 어머니는 오경민(吳景閔)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진사를 지낸 김양(金讓)이고, 그의 처부는 최일원(崔一源)이다....
-
1575년(선조 8)~1660년(현종 1). 조선시대의 선승(禪僧), 승병장(僧兵將). 1575년(선종 8) 12월 아버지 김해김씨와 어머니 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작은 공원에 관한 이야기. 태평동의 사유지이면서 주인이 없는 짜투리 땅을 이용하여 만든 휴식공간으로 이용되는 공원으로서 넓은 지역을 배경으로 계획하여 만든 일반 큰 공원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