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003
한자 世宗特別自治市
영어공식명칭 Sejong City
이칭/별칭 세종,세종시,연기군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민희·김완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757년(신라 경덕왕 16) - 구지현에서 금지현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757년(신라 경덕왕 16) - 두잉지현에서 연기현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757년(신라 경덕왕 16) - 소비포현에서 적오현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940년(고려 태조 23) - 금지현에서 전의현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414년(태종 14) - 연기현과 전의현을 병합하여 전기현 개설
특기 사항 시기/일시 1416년(태종 16) - 전기현을 연기현과 전의현으로 분리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80년(숙종 6) - 연기현을 문의현으로 병합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84년(숙종 11) - 연기현을 문의현에서 분리, 복구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95년(고종 32) 5월 26일 - 연기현을 공주부 연기군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95년(고종 32) 5월 26일 - 전의현을 공주부 전의군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96년(고종 33) - 공주부 연기군을 충청남도 연기군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96년(고종 33) - 공주부 전의군을 충청남도 전의군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4년 4월 1일 - 충청남도 전의군을 충청남도 연기군으로 병합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4년 4월 1일 - 충청남도 공주군 명탄면과 양야리면을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으로 병합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7년 10월 1일 - 충청남도 연기군 북면의 일부를 조치원면으로 편입[조치원리, 죽내리]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7년 10월 1일 - 충청남도 연기군 북면을 폐지하고 서면으로 편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1년 4월 1일 -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면을 조치원읍으로 승격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0년 7월 4일 -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의 4개리[신동리, 내창리, 번암리, 동리]를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으로 편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3년 7월 1일 - 충청남도 공주군 반포면의 3개리[도암리, 성덕리, 영곡리]를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으로 편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3년 7월 1일 - 충청남도 공주군 장기면의 2개리[나성리, 송원리]를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으로 편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 1월 1일 -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신방리, 영당리, 양곡리, 달전리, 금사리, 다방리를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으로 편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2월 1일 -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의 소정리, 대곡리, 운당리, 고등리를 충청남도 연기군 소정면으로 분리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3월 1일 -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갈산리를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으로 편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3월 1일 -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심중리를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으로 편입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7월 1일 - 충청남도 연기군과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과 의당면 일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일부,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일부를 통폐합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정의]

한반도 중앙에 위치하는 전국 17번째 광역자치단체.

[위치와 면적]

세종특별자치시는 충청권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동으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서로는 충청남도 공주시, 남으로는 대전광역시, 북으로는 충청남도 천안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전체 면적은 약 465㎢로 서울특별시의 약 4분의 3 규모이다. 동서로 가장 긴 연장선은 20.7㎞, 남북은 37.0㎞이다.

[행정구역과 인구]

세종특별자치시는 2020년 6월 기준 1읍 9면 14동(법정동)으로 편제 되어있다. 조치원읍 14개리, 연기면 9개리, 연동면 10개리, 부강면 8개리, 금남면 27개리, 장군면 14개리, 연서면 13개리, 전의면 15개리, 전동면 11개리, 소정면 4개리와 한솔동, 가람동, 도담동, 어진동, 아름동, 종촌동, 고운동, 보람동, 다정동, 새롬동, 나성동, 대평동, 소담동, 반곡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는 2020년 6월 기준 350,766명이다.

[세종의 상징물]

세종특별자치시의 새는 파랑새로 시민의 행복을 추구하고 이상적인 미래 도시로 발전을 추진하고 있는 세종특별자치시의 굳은 염원을 상징한다. 세종특별자치시의 꽃은 복숭아꽃이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대표 특산물인 복숭아의 유실수 꽃으로, 희망찬 행운의 기운을 불어넣어주고 지역의 상생 및 발전과 세종특별자치시의 도약을 상징한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나무는 소나무이다. 예부터 웅장한 자태와 올곧은 기개로 비유되는 소나무는 세계적인 명품도시로 발전하고 있는 세종특별자치시의 바르고 푸른 기상을 상징한다.

[연혁]

세종특별자치시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대부분 연기현(燕岐縣)전의현(全義縣) 지역이었다. 연기현전의현에 속하지 않았던 지역은 부강면, 금남면, 장군면, 소정면 등이 있다. 부강면고려시대가림현(嘉林縣), 조선시대문의현(文義縣) 지역이었고, 금남면장군면 일부는 공주목(公州牧) 지역이었으며, 소정면은 천안군(天安郡)과 청주목(淸州牧) 지역이었다.

연기현전의현은 조선 태종 때 전기현(全岐縣)으로 합쳐진 때도 있었으나 다시 나누어 복설하였다. 또 연기현은 조선 숙종 때 문의현에 잠시 속해있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 관제를 개정할 때 연기현전의현을 각각 연기군전의군으로 개칭하였다. 이때 전의군은 충청남도 천안군 소동면(小東面)과 충청북도 청주목의 월경지였던 덕평면(德坪面)[현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일대]을 흡수하였다.

1914년 지방행정구역 개편 때 기존의 연기군은 「연기군면의 폐합에 관한 건」에 따르면 북면(北面), 남면(南面), 동면(東面), 금남면(錦南面), 서면(西面)으로 재편되었다. 북일면(北一面)과 봉암리(鳳岩里)를 제외한 북이면(北二面)을 북면에, 남면과 군내면(郡內面) 일부와 공주군 삼기면(三岐面) 일부를 남면에, 동일면(東一面)과 동이면(東二面)을 동면에, 공주군 명탄면(鳴灘面)과 양야리면(陽也里面)을 금남면에, 서면과 북이면 봉암리와 군내면 일부를 서면에 편입하였다. 전의군은 「전의군면 폐합에 관한 건(충청남도)」에 따르면 전의면(全義面)전동면(全東面)으로 통폐합되어 연기군에 흡수되었다. 전의면은 군내면(群內面), 대서면(大西面), 북면(北面), 덕평면을, 전동면은 동면(東面), 남면(南面), 소서면(小西面)을 통합하였다. 이로써 북면, 남면, 동면, 금남면, 서면, 전의면, 전동면의 7면으로 구성된 연기군이 탄생하였다.

1917년 북면의 일부를 조치원면으로 편제하고, 그 나머지를 서면에 편제하였다. 1931년 조치원면을 조치원읍으로 재편하여 1읍 6면 체제가 되었다. 1940년 연기군 서면의 신동리, 내창리, 번암리, 동리를 조치원읍으로 편입하였고, 1973년 공주군 반포면의 3개리[도암리, 성덕리, 영곡리]를 금남면에, 공주군 장기면의 2개리[나성리, 송원리]를 남면에 편입하였다. 1987년 전동면신방리, 영당리, 양곡리, 달전리, 금사리, 다방리전의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전의면소정리, 대곡리, 운당리, 고등리소정면으로 분리하였고, 동면 갈산리를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에,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심중리를 전동면에 편입하였다.

2012년 연기군을 폐지하고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과 의당면 일부를 장군면에,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일부를 금남면에,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일부를 부강면에 편입하고 연기군 남면·금남면과 공주시 장기면의 리 일부를 통폐합하여 동으로 승격하였다. 한솔동은 남면 나성리, 송원리 일부, 가람동은 남면 송원리 일부, 도담동은 남면 고정리, 종촌리, 방축리, 갈운리, 진의리 일부, 어진동은 남면 종촌리, 방축리, 진의리, 송담리, 나성리 일부와 장기면 당암리, 제천리 일부, 아름동은 남면 고정리, 갈운리 일부, 종촌동은 남면 고정리, 종촌리 일부와 장기면 제천리 일부, 고운동은 남면 고정리 일부와 장기면 제천리 일부, 보람동은 금남면 신촌리, 호탄리, 장재리, 대평리 일부, 다정동은 장기면 제천리, 당암리 일부, 새롬동은 남면 나성리, 송담리 일부와 장기면 당암리 일부, 나성동은 남면 송담리, 나성리 일부와 장기면 당암리 일부, 대평동은 금남면 용포리, 대평리, 신촌리 일부, 소담동은 금남면 석삼리, 호탄리, 장재리 일부, 반곡동은 금남면 황용리, 석교리, 봉기리, 석삼리, 장재리, 반곡리 일부이다.

[문화유산]

세종특별자치시의 지정문화재는 국가지정 문화재 8개, 시지정 문화재 19개, 문화재자료 12개, 향토문화유산 69개, 기념물 11개, 전통사찰 8개이다.

국가지정 문화재로는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국보 제106호, 국립청주박물관], 계유명삼존천불비상[국보 제108호, 국립공주박물관], 기축명아미타불비상[보물 제367호, 국립청주박물관], 미륵보살 반가사유비상[보물 제368호, 국립청주박물관],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보물 제649호], 세종시 연화사 칠존불비상[보물 제650호], 연기 봉산동 향나무[천연기념물 제321호], 세종 홍판서 댁[국가민속문화재 제138호]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시지정 문화재는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 보호 조례」 제17조에 따라 지정한 것을 말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시지정 문화재 중 유형문화재는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제1호], 연서 효교비[제2호], 전의 비암사 삼층석탑[제3호], 남평조씨 병자일기[제4호], 부강초등학교 강당[제5호], 전의 비암사 영산회 괘불탱화[제12호], 전의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제13호], 류형장군 호패 및 교지[제14호], 고봉화상선요[제17호], 장군 영평사 목조나한상 및 복장유물 일괄[제18호], 연동 황룡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제19호], 금남 송림사 팔상도 초본[제20호], 남양홍씨 연기파 종중문서 일괄[제21호], 전의 청안사 지장시왕도[제22호], 연서 학림사 신중도[제23호], 정만익 정위필 지석 및 탁본첩[제24호]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시지정 문화재 중 무형문화재는 전의궁인[제1호], 용암 강다리기[제2호], 판소리 흥보가[제3호]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는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 보호 조례」 제18조에 따라 지정한 것을 말한다.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로는 금남 문절사[제1호], 연동 합호서원[제2호], 소정 대곡리 삼층석탑[제3호], 연동 송용리 마애여래입상[제4호], 조치원 봉산영당[제5호], 장군 덕천군사우[제6호], 금남 남산영당[제7호], 나성 독락정[제8호], 금남 모인당[제9호], 부강 보만정 및 검담서원 묘정비[제10호], 장군 보광사 산신도[제11호], 장군 보광사 독성도[제12호]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은 「문화재보호법」과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 보호 조례」에 따라 지정되지 않지 않았지만, 지역에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큰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을 말한다.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으로는 밀양박씨 오충 정려[제1호], 충신 홍직 정려[제2호], 효자 최회 정려[제3호], 효자 김백열 정려[제4호], 효자 임양문 정려[제5호], 효자 민후건 정려[제6호], 효자 김연 정려[제7호], 효자 김종철 정려[제8호], 효자 김한정 정려[제9호], 효자 성이복 정려[제10호], 전주이씨 삼효 정려[제11호], 부안임씨 쌍효 정려[제12호], 효자 임명즙 정려[제13호], 효자 임수준 정려[제14호], 효자 강협 정려[제15호], 안동김씨 쌍효 정려[제16호], 효자 박이명 정려[제17호], 진주정씨 사효 정려[제18호], 효자 김충열 정려[제19호], 열녀 전주이씨 정려[제20호], 열녀 언양김씨 정려[제21호], 열녀 광산김씨 정려[제22호], 열녀 한양조씨 정려[제23호], 열녀 밀양손씨 창녕성씨 정려[제24호], 열녀 경주최씨 정려[제25호], 열녀 부안임씨 정려[제26호], 열녀 의성김씨 정려[제27호], 열녀 창녕성씨 결성장씨 정려[제28호], 김해김씨 열녀문[제29호], 열녀 남양홍씨 정려[제30호], 양주조씨 삼효 정려[제31호], 열녀 나주나씨 정려[제32호], 열녀 기계유씨 정려[제33호], 변응정 사당[제34호], 숭모각[제35호], 병산사[제36호], 문목사[제37호], 충정사[제38호], 육영재[제39호], 숭덕사(덕성서원)[제40호], 어서각[제41호], 임씨 가묘[제42호], 봉서재[제43호], 용호산제 및 관련자료[제44호], 원수산제 및 관련자료[제45호], 전의초수[제46호], 대곡리 장승제[제47호], 충신 유지걸 정려[제48호], 효자 이면주 정려[제49호], 국곡리 고인돌[제50호], 국곡리 입석[제51호], 이덕사 이태연 묘비[제52호], 류충걸 묘소 및 신도비[제53호], 성산성[제54호], 테뫼산성[제55호], 성재산성[제56호], 복두산성[제57호], 화봉산성[제58호], 노고봉산성과 애기바위산성[제59호], 등곡리 부도[제60호], 이광흥 효자각[제61호], 열녀 삼척진씨 정려[제62호], 열녀 진주정씨 정려[제63호], 박산리 작약골 쌍탑제[제64호], 윤각장군 묘[제65호], 주당풀이[제66호], 충경공 류형 신도비[제67호], 진주류씨 삼효열 정려[제68호], 지게장인[제69호(무형)]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로는 운주산성[제1호], 김종서 장군 묘[제2호], 금남 백로 서식지[제3호], 이성[제4호], 금이성[제5호], 연기향교[제6호], 전의향교[제7호], 연기 세종리 은행나무[제8호], 부강 남성골산성[제9호], 전동 박안생 묘[제10호], 연기 척화비[제11호]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전통사찰로는 비암사[제1호], 연화사[제2호], 관음암[제3호], 청안사[제4호], 신광사[제5호], 황룡사[제6호], 영평사[제7호], 학림사[제8호]가 있다.

[관광]

세종특별자치시의 대표적인 관광지로는 세종호수공원, 방축천 수변공원, 금강자연휴양림, 세종합강캠핑장, 베어트리파크, 뒤웅박고을, 3대벚꽃길, 고복자연공원, 밀마루전망대,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조치원 문화정원 등이 있다. 세종호수공원은 국내 최대의 인공호수로 5개의 인공섬이 조성되어 있고, 호수 주변에는 산책로와 자전거도로가 조성되어 있어 시민들이 휴식을 즐기는 공간이다. 또한 세종호수공원세종축제, 세종호수예술축제 등의 다양한 문화행사가 진행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방축천 수변공원은 도심 속 테마하천공원으로 수변식물테마공원, 세종광장, 자연생태학술, 친수문화, 친수활동의 5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방축천 10교에서 16교 둔치 사이에 조성되어 있다. 전동면 송성리에 위치한 베어트리파크는 곰과 나무라는 테마로 조성된 동물이 있는 수목원이다. 2010년 베어트리파크를 수목원으로 등록하였다. 전동면 청송리에 위치한 뒤웅박고을은 운주산 자락에 위치한 전통장류테마공원이다. 2013년 세종전통장류박물관을 세종시 사립박물관으로 등록하였다. 고복자연공원은 고복저수지 주변에 조성된 자연공원이다. 고복자연공원은 매년 4월 열리는 복사꽃 전국마라톤대회 코스 중 일부 구간으로, 복사꽃·배꽃·벚꽃·유채꽃 등이 만발하는 시기와 맞물려 방문하면 자연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고복저수지의 남쪽 끝에는 고려 충렬왕 때 원나라 반란군인 합단(哈丹)을 연서면 정좌산에서 물리친 연기대첩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한 연기대첩비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에 위치한 옥상정원은 전체길이 3.6㎞, 면적 79,194㎡의 세계 최대 규모의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 2014년부터 시민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문화·교육]

세종특별자치시의 주요 문화·예술 시설로는 대통령기록관, 국립세종도서관, 국립조세박물관, 세종시립민속박물관, 마을기록문화관, 산림박물관 등이 있다. 한편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서는 세종시의 문화 역량 강화 및 자족기능을 확보하여 세종시를 세계적 문화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국립박물관단지를 조성 중에 있다. 국립박물관으로 어린이박물관, 도시건축박물관, 디지털문화유산관, 국가기록박물관, 디자인박물관을 건립하고 국립박물관단지를 통합 운영하기 위한 센터, 수장고 등을 건립할 계획에 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2020년 6월 기준 유치원 60개원, 초등학교 49개교, 중학교 24개교, 교등학교 20개교, 특수학교 1개교, 대학교 4개교가 있어 교육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다. 교육 정책의 기본 방향은 혁신 교육, 미래 교육, 책임 교육으로 집약된다. 혁신 교육은 학교 자치의 힘을 키우고 교육 주체의 참여를 넓히는 것, 미래 교육은 학생들이 남북한 통일 시대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 갈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 책임 교육은 공평한 기회를 보장하고 안심교육을 실현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교육을 중심으로 학습 도시 세종에서 문화 예술을 꽃 피우게 하겠다는 목표이다.

[참고문헌]
  • 「연기군면의 폐합에 관한 건」(충청남도, 1914)
  • 「전의군면 폐합에 관한 건(충청남도)」(충청남도, 1914)
  •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 보호 조례」(세종특별자치시, 2017)
  •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 보호 조례」(세종특별자치시, 2018)
  • 「2019 주요업무계획」(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 2019)
  • 세종특별자치시청(https://www.sejong.go.kr)
  • 정부 24(https://www.gov.kr)
이용자 의견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2024.08.1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