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교회. 가나안교회는 서울에서 시작된 천성교회를 모체로 하며, 1993년 경기도 성남시 분당으로 이주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의 교회이다. 가나안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로, 1981년 서울에서 시작된 천성교회를 모체로 하고 있다. 1993년 분당구 야탑동 탑마을로...
-
경기도 성남시의 볼거리와 자랑거리. 성남 지역에서 직접 가서 볼 만한 곳은 많이 있다. 1970년대 초반 성남시가 독립적인 행정 도시로 확정되면서 나름의 발전을 거듭해왔고, 그 과정에서 성남 시민의 편익을 위한 여러 가지 정책과 주민 자치로 차츰 독립적으로 전개되어 성장을 거듭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행정적으로 추진된 것과 주민 자치로 시행된 성남시의 볼거리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었던 천연 가스 공급 관련 공기업. 가스를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1983년 설립한 공기업으로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위치해 있었으나 2014년 10월 대구 신서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 천연 가스의 제조·공급 및 그 부산물의 정제·판매, 생산 기지와 공급망의 건설·운영, 천연 가스와 액화 석유 가스의 개발·수출입 등의 업무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풍물굿패 우리마당을 비롯한 지역 풍물패가 매년 10월에 여는 책거리 풍물굿. 책거리란 책을 다 배우고 난 후 떡과 음식을 함께 나눠 먹으며 축하하던 풍속을 말한다. 이러한 책거리의 의미를 이어받아 책거리굿은 지역 풍물패들의 풍물학습 결과에 대한 역량을 확인하며, 많은 이들과 함께 축하하고 즐기는 자리로 만들어졌다. 가을에 농부들이 한해 농사를 추...
-
가정마다 신, 즉 가신(家神)이 있어서 집안을 보살펴 주는 것이라 믿고, 이 가신들에게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의례를 올리는 신앙형태. 가정신앙은 집안에 있는 신을 섬기는 형태이기 때문에 가신신앙, 가택신앙, 집안신앙이라고도 한다. 가신의 형태는 하나의 집안을 소우주로 보았을 때, 각자에게 공간적으로는 고유한 영역이 주어지고 맡은 역할 또한 다르다. 그리고 가신들 내에서도 위...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전국 최초의 온라인 건강증진센터. 온라인 건강 증진 센터로 건강 생활 실천을 통한 건강 증진을 위해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9년 현재 이용자 수가 적어 인터넷 서비스가 중지될 전망이다. 성남시 가족건강증진센터는 성남시 지역 주민을 최우선 대상으로 하며 모든 네티즌에게 꼭 필요한 온라인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
-
가족형태, 거주형태와 부부관계, 자녀관계 등 가족을 중심으로 한 생활 모습. 성남은 1990년대 초 주택 200만호 건설의 일환으로 분당이 신도시로 개발되면서 기존의 중심축이었던 수정구와 중원구에 분당구가 새로이 추가되었다. 분당은 다수의 외지인들이 이주해 온 지역으로서, 기존의 도심지역 주민과 토박이 주민들의 생활과 비교해서 상이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성...
-
백씨는 자신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면 마음이 복잡했다. 자신을 낳아 준 엄마의 얼굴도 모른 채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아니 생모가 따로 있다는 사실조차 까마득히 몰랐다. 그러다가 사춘기에 들어서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 끝내 몰랐더라면 어땠을까? “사춘기 때 동네 사람들이, 인제 니네 엄마 새엄마다, 이렇게 이야기했는데, 저는 아니다 우리 엄마다. 어머님이 좀 쎄셨어요. 그...
-
소년 구보의 어머니는 혼자 몸이었다. 생계를 위해서는 일거리가 필요했다. 그래서 집 짓는 공사장의 잡부가 되었다. 다행히 집짓는 일거리가 끊이지는 않았다. 어머니는 그렇게 번 돈을 조금씩 떼어 벽돌을 사다 날랐다. 그리고 저 아래쪽 개천의 모래를 퍼다 날랐다. 어머니도 형도 누나도 그리고 소년도 틈만 나면 개천의 모래를 세숫대야로 퍼다 날랐다. 그리고 시멘트를 사다가 조그만 집을...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이에 따라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새로 정하고 있다. 까치는 가치, 가티, 갓치, 가지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여수동은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의 중원구와 남쪽의 분당구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관할 면적의 대부분이 개발 제한 구역이다. 법정동인 여수동은 행정동인 중원구 도촌동에서 관할하고 있으나 생활권은 분당구에 더 가깝다. 2009년에 성남시청사를 여수동으로 이전하였고, 여수 지구가 국민 임대 단지로 지정되어 향후 많은 변화가 예상...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이에 따라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새로 정하고 있다. 까치는 가치, 가티, 갓치, 가지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분파. 가톨릭교회는 각 지역마다 교구(敎區)라는 개별 공동체를 두고 있으며, 각 교구에는 교구장 주교를 중심으로 보좌주교, 총대리, 사무처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다. 또한 각 교구 산하에 본당(성당)들이 있으며, 각 본당에는 교구장 주교를 대리한 주임 신부를 중심으로 사목회장, 사목협의회 등의 평신도 협의체가 조직되어 운영되고...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이에 따라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새로 정하고 있다. 까치는 가치, 가티, 갓치, 가지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
1575년(선조 8)~1660년(현종 1). 조선시대의 선승(禪僧), 승병장(僧兵將). 1575년(선종 8) 12월 아버지 김해김씨와 어머니 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김씨(金氏). 자는 징원(澄圓), 호는 벽암(碧巖). 각성은 법명이다. 충북 보은 출생. 9세에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생무상을 절감하고 출가를 결심하였다. 10세에 출가하여 설묵(雪黙)의 제자가 되었으며, 14세...
-
1575년(선조 8)~1660년(현종 1). 조선시대의 선승(禪僧), 승병장(僧兵將). 1575년(선종 8) 12월 아버지 김해김씨와 어머니 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김씨(金氏). 자는 징원(澄圓), 호는 벽암(碧巖). 각성은 법명이다. 충북 보은 출생. 9세에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생무상을 절감하고 출가를 결심하였다. 10세에 출가하여 설묵(雪黙)의 제자가 되었으며, 14세...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 있는 공동묘지.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과 성남시 분당구 갈현동을 연결하는 두개의 고갯길인 이배재와 갈마치고개로 연결되는 도로가 만나는 골짜기에 조성된 공원묘지로 현재 갈마공원묘지 입구에는 성남 제2공단과 성남 제3공단이 입주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갈현동은 중원구의 최동단에 위치한 중원구 도촌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 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 아랫말, 웃말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갈현동(葛峴洞)의 지명은 ‘갈마치고개’에서 유래하였으며 고개 아래에 있는 지역이라 ‘갈마치’ 또는 ‘갈현’이라 칭하였다. 일설에는 옛날부터 칡이 많...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과 광주시 삼동의 경계가 되는 고개. 갈마치고개는 중원구 갈현동의 동쪽에서 광주시와 경계가 되는 고개로, 갈현이라고 불린다. 옛날부터 칡이 많은 곳이어서 갈현(葛峴)이라 불리게 되었다고도 하고, 옛날 선비들이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가는 도중에 이곳에서 말에게 물을 먹여 갈증을 풀어주고 다시 길을 떠났다고 해서 갈마치(葛馬治) 또는 갈...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공단로 반포산업 사거리에서 남서쪽으로 나뉘어져 중원구 갈현동에서 경충국도[국도 3호선] 및 지방도 389호선와 만나는 길이다. 왕복 포장 2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1.7㎞이며 도로 폭은 10m, 총면적은 17,000㎡이다. 인근 대원로, 순환로보다는 그 활용이 적으나 성남공단 지역과 국도를 연결하는 보조기능을 담당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과 광주시 삼동을 연결하는 터널. 국도 3호선상에 위치한 중원구 갈현동과 광주시 경계를 지나는 터널이다. 상행선 터널은 연장 343m, 폭 9.9m, 높이 7.1m로 1978년에 개통하였으며, 하행선 터널은 연장 480m, 폭 9.7m, 높이 6.7m로 1992년에 추가로 개통되었다. 기존의 갈마치고개로는 국지도(局地道) 389호선이 지나고 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교회. 1985년 6월 박조준 목사와 일부 교인들에 의해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시작된 초교파 독립교회이다. 박조준 목사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측) 소속 서울 영락교회의 담임목사로 오래 있었으나 1984년 사임한 후 이때 영락교회 출신의 일부 교인들과 함께 초교파 독립교회를 시작하였다. 이후 짧은 시간 내에 급성장하였으며, 2000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과 광주시 삼동의 경계가 되는 고개. 갈마치고개는 중원구 갈현동의 동쪽에서 광주시와 경계가 되는 고개로, 갈현이라고 불린다. 옛날부터 칡이 많은 곳이어서 갈현(葛峴)이라 불리게 되었다고도 하고, 옛날 선비들이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가는 도중에 이곳에서 말에게 물을 먹여 갈증을 풀어주고 다시 길을 떠났다고 해서 갈마치(葛馬治) 또는 갈...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갈현동은 중원구의 최동단에 위치한 중원구 도촌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 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 아랫말, 웃말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갈현동(葛峴洞)의 지명은 ‘갈마치고개’에서 유래하였으며 고개 아래에 있는 지역이라 ‘갈마치’ 또는 ‘갈현’이라 칭하였다. 일설에는 옛날부터 칡이 많...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갈현동은 중원구의 최동단에 위치한 중원구 도촌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 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 아랫말, 웃말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갈현동(葛峴洞)의 지명은 ‘갈마치고개’에서 유래하였으며 고개 아래에 있는 지역이라 ‘갈마치’ 또는 ‘갈현’이라 칭하였다. 일설에는 옛날부터 칡이 많...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갈마터널이 있는 3번국도와 갈마치고개를 지나는 389번 지방도를 통해 광주(廣州)시와 연결되어 있는 중원구 최동단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은 광주시 300컨트리클럽이 있는 광남동과, 서쪽과 남쪽은 하대원동 관할 법정동인 도촌동, 북쪽은 중원구 상대원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마을을...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이에 따라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새로 정하고 있다. 까치는 가치, 가티, 갓치, 가지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소지(少之)이다. 할아버지 강은과 아버지 강해(姜諧)가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안골에 정착한 후 집성촌을 이루어 세거하였다. 종부시(宗簿侍) 소윤(小尹)을 지낸 강해의 장남이며, 숙부인 수원최씨는 감찰 최중(崔中)의 딸이다. 1438년 생원시에 입격한 후 1447년 문과에 급제하였고, 1452년 문종실록 편수관, 146...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강릉최씨가 성남시지역에 세거한 것은 3백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문정공 최수성(崔壽城)의 5대손 최윤득(崔胤得)[1710~1745]이 수원의 은행동에서 이거함으로써 세거지가 되었다. 최윤득의 증손 최창화(崔昌華)[1788~1858]가 선략장군 용양위 부사과를 지냈다. 최성규(崔聖圭)[1942년생]는 최윤득의 9대손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강백령[생몰년 미상]은 본관은 진주이고 전설사 별제를 지냈다. 진주강씨는 조선 초기에 성남시 복정동 안골마을에 자리 잡은 세거성씨로, 마을에 처음 들어와 터를 잡은 조상은 강천명(姜天命)이며, 지금 남아 있는 성남의 집성촌 성씨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편이다. 철원부사를 지내다 기묘사화로 벼슬을 그만둔 강희신[1474~1524]의 손자이...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건중(建中). 호는 강암(彊菴).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음보(蔭補: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로 관계에 진출하여 정5품 문반계인 통덕랑...
-
조선 후기 광주군 세촌면 복정리 출신의 한학자 및 개화사상가. 강위(姜瑋)[1820~1884]는 경기도 광주군 세촌면 복정리[현재의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출생으로, 본관은 진주, 자는 중무(仲武)·위옥(葦玉)·요장(堯章), 호는 추금(秋琴)·자기(慈屺)·청추각(聽秋閣)·고환당(古懽堂)이다. 아버지는 무과를 거쳐 공주 영장(營將) 등을 역임하였으며, 형과 큰아들 그리고...
-
경기도 성남시 성남문화원에서 매년 성남 지역 발전에 기여한 여성을 대상으로 시상하는 상. 강정일당은 조선 후기 여류 문인이자 성리학자이며 귀감이 되는 인물로, 성남문화원이 성남시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8월의 문화관광부 선정 이달의 인물이기도 하다. 강정일당의 업적을 기리며 어진 인품과 부덕을 갖춘 훌륭한 여성으로서 성남 지역 사회...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강중(剛中). 칠원윤씨 33세손. 순수공파. 아버지는 윤형국(尹衡國)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이다. 할아버지는 통덕랑에 오른 윤경행(尹敬行), 증조부는 윤덕로(尹德老), 고조부는 윤세적(尹世績)이다. 부인은 숙인 한양조씨이다. 슬하에 아들이 없어, 윤이의(尹履誼)를 양자로 맞아들였다. 윤이의는 통훈대부로 연천현감을 지냈다. 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2∼5m이고 어린 가지에 선모(腺毛)가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있는 로마 가톨릭 교회 및 동방정교회와 함께 기독교의 3대 전통에 속하는 기독교의 분파. 개신교는 16세기 초 로마 가톨릭 교회 내부에서 교회 개혁을 주장하는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종교 개혁으로 알려진 이 운동의 주창자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와 ‘타락'을 고발하면서 교회의 전통과 권위에 반항하였기 때문에 프로테스탄트(protestants)라는 별...
-
개신교의 이념과 정신에 따라 성남시에 세워진 기관, 조직, 단체. 개신교는 교회를 기초로 한 종교이지만 동시에 수많은 단체를 가지고 있다. 교회가 예배 중심의 신앙공동체라면, 개신교 단체들은 보다 특화되고 전문적인 목표 아래세워진 기관과 조직들로서 교회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조직이다. 그렇지만 이들 역시 교회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기독교 이념의 실현을 취해 설립된 기관이자 조직이다...
-
추석날이나 음력 정월대보름에 청소년들이 거북모양을 만들어 집집마다 찾아다니면서 노는 놀이. 성남시와 가까운 경기도 광주(廣州)에서는 주로 음력 정월대보름에 논다. 정월대보름에 거북놀이를 할 때는 청소년뿐만 아니라 마을 전체 사람들의 놀이이다. 먼저 길놀이를 위한 거북이 만들기를 한다. 거북이는 옥수숫대나 비슷한 같은 재료- 왕골·덩굴·대나무·볏짚-를 사용하여 앞뒤에 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위치한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의 성남지역단체.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성남지회는 건강한 사회와 인간을 먼저 생각하는 진정한 민주주주의의 실현과 의약품의 상업화를 극복하고 의료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성남지회는 1987년 6·10 항쟁 시기에 보수적인 약사 사회에 호헌 철폐를...
-
안채에서 대청마루를 사이에 두고 안방과 맞은편에 있는 방 안채에 대청마루를 둔 중부지역 살림집의 경우에는 대청을 가운데에 두고 안방과 건넌방이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이때 건넌방은 안방을 기준으로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대부분 1칸에서 1칸 반 정도의 크기이다. 성남 지역의 건넌방도 중부지역의 일반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며, ‘걸음방(혹은 거름방)’이라고 칭한다. 건넌방의 출입문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위치한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의 성남지역단체.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성남지회는 건강한 사회와 인간을 먼저 생각하는 진정한 민주주주의의 실현과 의약품의 상업화를 극복하고 의료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성남지회는 1987년 6·10 항쟁 시기에 보수적인 약사 사회에 호헌 철폐를...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건중(建中). 호는 강암(彊菴).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음보(蔭補: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로 관계에 진출하여 정5품 문반계인 통덕랑...
-
경기도 성남시의 건물, 구조물 등을 쌓아 만드는 일 또는 사람이나 물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구축물. 건축의 범위와 종류는 매우 광범위하여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집이나 궁궐, 사찰, 관아 건물은 물론이고, 성곽, 교량, 탑, 부도, 심지어는 무덤까지도 건축의 범위에 속한다. 또 그 재료에 따라서도 나무로 만든 목조 건축, 흙으로 만든 토축 건축, 벽돌로 만든 전축 건축,...
-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 높이 534.7m로, 청량산(淸凉山)[479.9m]과 함께 광주산맥의 지맥으로서 남한산성과 연결되는 산줄기를 이루는 산이다. 탄천이 중앙부를 북류하고 그 좌우에 지류가 발원하는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凹형을 띠고 있다. 성남시의 지세에서 동쪽의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서쪽에 위치하는 청계산(淸溪山)[618m] 줄기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공부하며 예절바른 어린이 육성이라는 교훈으로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건강한 어린이, 올곧은 마음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꾸준히 노력하고 스스로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71년 11월 검단국민학교 설립 인가되어 1974년 11월 30일에 개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공부하며 예절바른 어린이 육성이라는 교훈으로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건강한 어린이, 올곧은 마음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꾸준히 노력하고 스스로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71년 11월 검단국민학교 설립 인가되어 1974년 11월 30일에 개교...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결성장씨는 350여년 전부터 세거하기 시작했다. 결성부원군 장사(張楒)의 18세손으로 병조참판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역임하였으며 장씨 8관(八貫)의 족보를 10년간에 편찬한 장취오(張聚五)[1684~1770]가 그의 부친인 절충장군 장시서(張時瑞)[1653~1706]의 묘를 쓰고 서울에 살았다. 그후 취오의 장손 장이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택중(擇仲), 호는 견제(謙齋)이다. 아버지는 증호조참판 유유(柳柔)이며, 어머니는 광흥수(廣興守)를 지낸 임지재(任文載)의 딸이다. 작은아버지인 전적 유정(柳貞)에게서 수학하였다. 1543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46년(명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부정자·박사를 거쳐 감찰이 되고, 양구현감으로 나아가 백성들을 구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위치하고 있는, 성남·광주·용인 지역의 교사들로 구성된 음악 단체. 경기교사리코더합주단은 리코더를 연주·보급하며 연주 기법 및 교육 기법의 연구를 목표로 하는 70여명의 교사 및 일반회원들로 이루어진 음악 단체이다. 2000년 2월 11일에 당시 단장이었던 송근후를 주축으로 하여 성남 관내 초등학교 리코더를 연주하는 교사들이 창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경기도 교육청 산하 교육 행정 기관.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경기도 교육청 산하 교육 행정 기관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 인재 육성을 지표로 삼고 있다. 성남시의 교육·과학·기술·체육 및 기타 학예에 관한 사무를 지원하여 성남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3년 7월 1일에 광주교육청에서 분리되어...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에 있었던 보건진료소. 1969년 5월 2일 광주군 보건소 관할로 입주한 뒤 같은 해 12월 5일 광주군보건소 성남지소로 개소하였다. 1972년 4월 20일에 경기도 성남출장소 보건진료소로 개칭하여 1973년 7월 1일에는 시제실시로 성남시보건소로 개칭하였다. 그 뒤 1985년 10월 4일에는 단대4동 4894-1번지로 신축, 이전하여 1989...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사회복지단체. 장애인의 정보화추진으로 사회참여의 기회를 확대하고 재활자립을 위한 여건을 조성함과 동시에 소외계층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여 장애인 및 소외계층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협회이다. 사단법인 성남시장애인정보화협회는 1999년 설립되어 정보화 소외계층의 주를 이루는 장애인 및 노인, 소년소녀 가장들에...
-
1대부터 11대까지 있었던 국회의원 경기도 선거구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제4선거구는 광주군, 이천군, 여주군이 포함되는데, 이때 성남은 광주군에 포함되어 투표했다. 성남지역의 선거구는 시제 이전에는 독립적으로 제도화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광복 이후 처음부터 광주군에 포함되어 인접 지역인 이천군 등과 통합된 선거구가 운영되었다. 구획을 나누어 선거구를 획정한 제도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2동에 있는 도립 공공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회 교육 시설이다. 경기도립 성남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 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경기도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성남시 여성 단체. 여성의 권익 증진과 지위 향상, 지역 사회의 발전과 사회 봉사를 목적으로 하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소속 지회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성남시 여성문화회관 내에 있다.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성남시지회는 성남시 여성 단체 상호간 협조와 친선을 도모하고 남녀평등 촉진 및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와 여...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미술단체. 2002년 2월 1일 분당에서 24명이 모여 발기인대회를 열고 초대 회장에 조영실을 선출하였다. 6월 24일~30일에 분당여성문화회관에서 창립전을 개최한 이래, 7월 1일~30일에 허수아비갤러리에서 초대전을, 7월 20일에 가평군 명지산에서 야외스케치 행사를 개최하였다. 2003년 6월 24일~30일에는 수원미술관에서 제2회...
-
1871년(고종 8)에 편찬된 경기도 35개 군의 읍지 필사본. 『경기읍지』는 경기도 35개 군의 읍지를 합편한 6책의 필사본으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있다. 『경기읍지』에는 수원, 강화, 광주 등 경기도의 주요 유수부의 읍지가 빠져있는데 편찬 당시부터 빠진 것으로 보이며, 편자는 미상이다. 각 읍지의 첫머리에는 군의 채색지...
-
고려 및 조선시대에 경기도를 좌, 우로 분할하여 설치한 행정구역. 고려 현종 9년(1018) 정주(貞州), 송림(松林), 임진(臨津), 토산(兎山), 임강(臨江), 적성(積城), 파평(坡平), 마전(麻田) 등 여러 고을을 상서도성(尙書都城)의 직할이 되게 하고 처음으로 ‘경기’라 하였다. 경기는 ‘서울을 에워싼 문지방’이란 뜻이다. 이 지역은 후에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양주,...
-
1842년(헌종 8)에 편찬된 경기도 33개 군과 영종진의 읍지 필사본. 『경기지』는 경기도 33개 군과 영종진의 읍지를 합편한 4책의 필사본으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있다. 편자는 미상이며, 각 군 읍지의 첫머리에는 군의 채색지도가 부착되어 있다. 제1책의 「교동군읍지」와 제2책의 「죽산군읍지」 등의 서명에 ‘도광이십이년(...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 합주단. 1988년 현재 경기 청소년 국악관현악단의 정길선 단장이 세경가야금연구소를 개설하고 그 뒤 가야금 뿐만 아니라 단소 등 국악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학원으로 확장되어 학원 수강생들이 주축이 되어 1995년 3월에 창단되었다. 경기 청소년 국악관현악단은 정길선 단장이 1998년까지 7회의 전통음악연주회와 성남국악제...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로(景老), 호는 사암(思菴)이다. 증 호조참판 정비(鄭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직(司直)을 지낸 정형운(鄭亨耘)이고, 아버지는 예문관대교 정전(鄭荃)이며, 어머니는 거창신씨(居昌愼氏)로 증 이조판서 신극정(愼克正)의 딸이다. 부인은 이인홍(李仁弘)의 딸이다. 1531년(중종 26) 사마시 생원과에 합격하고 1532년...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구서 인터체인지)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한남대교 남단에 이르는 고속도로. 연장 425.48㎞, 왕복 4~8차선 도로이다. 1960년대 정부는 제2차 경제개발계획의 성공적 추진과 당면 최대과제였던 육로수송체계의 개혁을 위해 국토를 종단하는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키로 하였다. 그리하여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전구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과 서울시 서초구 경계의 상행선 고속도로변 우측에 세워져 있는 기념비. 1968년 2월 1일 경부고속도로 건설의 시작을 알리는 첫 발파 지점에 당시 공사에 최초로 투입되었던 국군 용사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80년 2월 15일 한국도로공사 사장 박기석(朴基錫) 명의로 건립하였다. 경부고속도로 판교인터체인지에서 서울 방면으로 직진하...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경석(景錫), 호는 고암(顧菴) 또는 순암(順庵)이다. 아버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 증조부는 정수강(丁壽崗)이다. 어머니는 군수 송세충(宋世忠)의 딸이고, 부인은 정형(鄭衡)의 딸이다. 1552년(명종 7) 생원시와 진사시 양과에 합...
-
근대 개항기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경석(敬錫)이다. 첨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성남시 율동을 중심으로 세거하였다....
-
경신연합회 산하에 있는 성남지역 무속인들의 단체. 경신연합회는 1950년대 말 전국의 무당과 점복자(占卜者)를 중심으로 결성된 경신회(敬信會)가 그 모체이다. 경신회는 한국의 무속을 연구 개발하고 보존하려는 목적으로 성립되었다. 1960년대에는 대한정도회(大韓正道會)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71년 1월 6일 대한승공경신연합회를 설립하였고, 설립과 동시에 문화공...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던 사립 전문대학. 경원전문대학은 웅지, 창조, 기술이라는 학훈 아래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 경쟁력을 갖춘 전문인의 양성을 교육 목표로 삼았다. 1978년 7월 경원공업전문대학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1979년 3월 개교하였다. 학과는 전기과, 토목과, 건축과, 건축설비과, 공업경영과, 도안과 등 6개학과에 입학 정원은 640명이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분당선의 역. 코레일(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분당선의 한 역으로 태평역과 복정역 사이에 위치한다. 인근에 가천대학교가 위치하여 ‘ 가천대역’이라 명명하였다. 1994년 분당 신도시 개발과 함께 수서~오리 구간의 분당선이 개통됨에 따라 그 노선 중간역의 하나로 경원대역이 개통되었으나 인근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2동에 위치 한 여성 복지 단체. 경원사회복지회는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성 불평등으로 인한 폭력으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고 성 평등 사회의 주체자로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여성 복지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경원사회복지회는 2001년 4월 개소하였으며 9월에는 부설 여성장애인 성폭력상담소를 열었다. 2002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던 사립 전문대학. 경원전문대학은 웅지, 창조, 기술이라는 학훈 아래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 경쟁력을 갖춘 전문인의 양성을 교육 목표로 삼았다. 1978년 7월 경원공업전문대학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1979년 3월 개교하였다. 학과는 전기과, 토목과, 건축과, 건축설비과, 공업경영과, 도안과 등 6개학과에 입학 정원은 640명이었...
-
경기도 성남시 구미동에 있는 중부지방노동청 산하 행정 기관. 경기 동부 지역 성남시, 광주시, 하남시, 이천시, 여주군, 양평군의 노동 행정 업무를 관장하는 노동부 산하 지청이다. 경기 동부 지역의 산업 현장 근로자의 권익 보호, 노사 분쟁의 사전 예방, 산업 재해 예방, 주민을 위한 고용 보험, 고용 안정 및 직업 훈련 등의 업무를 수행하여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1동에 있는 경인지방통계청 관할 사무소. 경인지방통계청 산하 기관으로서 경인지방통계청 성남사무소는 성남시, 과천시, 광주시를 관할 지역으로 산업·서비스·물가·고용·가계·농수산 등 경제와 사회 분야의 각종 통계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21세기 경제와 사회의 환경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하고 정확한 통계를 생산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
-
경제와 산업을 함께 일컫는 학술용어. 경제란 생산수단과 노동으로써 자연에 작용하여 이러한 경제재를 획득(생산)하고, 그 생산물을 분배, 소비하는 과정을 말하며, 산업은 인간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종사하는 생산적 활동을 말한다. 생산은 일반적으로 물적 재화의 생산과 더불어 서비스의 생산을 말하는데, 따라서 산업은 경제활동 중에서 생산영역이므로 경제의 하위개념으로 볼 수...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노상동[옛골]에 김창환(金昌煥)[1924년생]의 10대조인 김두희(金斗熺)의 아들 김복경(金復慶)[1694~1774] 때부터 세거한 것으로 전하여진다. 김복경의 증손 김노규(金魯奎)가 승정원좌승지, 김노규의 아들 김준희(金俊喜)가 호조참의, 손자 김상집(金商集)이 오위장을 역임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의 창말[창곡(倉谷)]에 처음 정착하였다, 건원릉 참봉을 지낸 배한손(裵漢孫)[1564~1645]의 부친 배충과(裵忠果) 때 이주하여 대대로 살았다. 창말의 배수만(裵壽萬)[1922년생]은 그의 14대손이다.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일대에는 배씨의 종산이 있었다. 분당구 서현동 은행쟁이에 세거...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국당공 월성부원군 이천(李蒨)의 후손이다. 이희종(李稀鍾)[1909년생]의 14대조 이배(李培)는 경기도 광주시 서부면 말미산에서 살던 중 마침 왜란을 당하여 왜놈을 잡아 말 두 필에 얽어매고 도망가다가 처치하고 평북 가산으로 가서 살았다. 그후 아들, 장손은 놔두고 두 손자를 데리고 다시 정림(定林)으로 와서 살다가 별...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중원구 도촌동 양짓말 또는 섬말[島村]이라고도 부르는데 양경공파의 정광환(鄭光煥)[1538~1610]이 경기도 고양시에서 이주하여 정착한 이래 자손이 세거하여 왔다. 정광환은 정운룡(鄭雲龍)의 차남으로 성남시내 도촌동, 고등동, 태평동 경주정씨의 파조가 되었다. 정광환의 9세손 중에 정행발(鄭行潑)은 수정구 태...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화숙공파 최병서(崔炳序)[1916년생]의 13대조인 최덕지(崔德枝)[1628~1684]부터 자리를 잡고 세거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덕지의 손자 최삼곤(崔三崑)[1725~1780]은 무과에 합격, 첨정이었고, 증손 최완진(崔完鎭)의 3남 최홍량(崔弘良)[1808~1862]은 고금도 수군첨절제사어모장군...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사회 공공 안녕과 질서를 담당하는 경찰 행정 관서. 성남시에는 경기도 지방경찰청 산하의 성남수정경찰서(성남시 수정구), 성남중원경찰서(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분당경찰서(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개 경찰서가 있다. 1966년 7월 1일 경기도 광주경찰서 중부지서 성남출장소를 개소하여 성남 지역의 경찰 업무를 담당하기 시작했다. 1969...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과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경계 사이에 있는 국도. 국도 3호선(남해~초산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평안북도 초산군까지 연결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남북 간선 국도로 성남시의 중앙부를 ‘ㄴ'자 모양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길은 성남에서 크게 두 구간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남북 방향으로 진행되는 복정동~성남동 구간이며, 후자는 성남동 교차...
-
24절기의 하나. 우수와 춘분 사이에 들어 있으며, 양력으로는 3월 5일경, 음력으로는 2월 중이 된다. 이 날을 ‘개구리 우는 날’ 또는 ‘개구리 나오는 날’이라고도 부른다. 경칩은 글자 그대로 땅속에서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서 꿈틀거리기 시작하는 절기이다. 이 무렵 논이나 물이 괸 곳에서 도룡뇽 알(도룡이 알이라고도 함)이나 개구리 알을 건져 먹는 풍습이 있다. 미끄러운...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군칙(君則), 호는 동리(東里)이다. 예조좌랑을 역임한 정진의 증손이고, 좌의정 정언신(鄭彦信)의 손자로, 정율(鄭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호준(元虎俊)의 딸이다. 1613년(광해군 5) 사마시에 합격하고, 문음(門蔭: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으로 의금부도사를 거쳐 화순현령, 안산군수를 역임...
-
백씨는 숭신여중을 거쳐 숭신여고를 다녔다. 집이 있는 태평동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은 산길이었다. 초가을이면 코스모스가 하늘거리던 길이었지만, 가끔씩은 무서운 곳이기도 했다. “그 길이 지금도 아주 생생해요. 뒷길이 다 산길이었어요. 사고도 많이 보고 사람도 죽고, (거기서요) 예. (어쩌다가 사람이 죽어요) 그때 당시 어렸을 때 충격 먹은 게, 무슨 쫓아갔는데 살인 사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2동에 있는 사립 예술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는 기초 기본 학력 강화, 전인 교육을 추구하는 인성 교육 강화, 창의성 계발을 위한 학교 모습 갖추기, 긍지와 믿음이 충만한 교육 풍토 조성, 지역 공동체와의 차원 높은 연계성 모색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79년 설립되어 1980년 1월 24일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은 김원경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2동에 있는 사립 예술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는 기초 기본 학력 강화, 전인 교육을 추구하는 인성 교육 강화, 창의성 계발을 위한 학교 모습 갖추기, 긍지와 믿음이 충만한 교육 풍토 조성, 지역 공동체와의 차원 높은 연계성 모색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79년 설립되어 1980년 1월 24일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은 김원경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계초(啓初). 광국공신(光國功臣)으로 칠계군(漆溪君)에 봉해진 윤탁연(尹卓然)의 손자이다. 한성부 서윤(庶尹)이자 임란 당시 순절하여 충장공(忠莊公)에 봉해졌던 윤경원(尹慶元)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정연(鄭演)의 딸이다. 음보(蔭補)로 출사(出仕)하여 무반직인 사과(司果)를 거쳤다. 통훈대부(通訓大夫)로 한성부(漢城府) 판관(判官)을...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때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계휘(季輝), 호는 추담(秋潭). 오경민(吳景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오희문(吳希文)이고, 아버지는 오윤해(吳允諧)이며, 어머니는 최형록(崔亨綠)의 딸이다. 1627년(인조 5) 사마시에 합격, 1634년(인조 12) 26세에 별시(別試)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전적(典籍),병조좌랑...
-
산이나 언덕의 넘어 오르거나 내리게 된 비탈진 곳. 성남시의 고개는 크게 인접한 행정구역과 경계를 이루는 산지에 형성된 것과 도시 내부에 형성된 고개로 구분할 수 있다. 성남시는 검단산(黔丹山), 문형산(文衡山), 불곡산(佛谷山)으로 이어지는 동쪽의 산지와 청계산(淸溪山), 백운산(白雲山), 인릉산(仁陵山)으로 이어지는 서쪽의 산지로 둘러싸여 남북으로 분지를...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개최되었던 고등 학생들의 연극제. 성남고교연극제는 성남종합예술제의 한 분야로 성남 관내 청소년 연극 인구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한국연극협회 성남지부에 주최하였던 연극제다. 성남고교연극제는 1986년부터 성남종합예술제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나, 1991년 제6회 대회 후 중단되었다가, 1999년 다시 제7회로 다시 개최되었다. 그러나 경기도에서 경기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유원지. 성남시와 용인시의 경계가 되는 낙생저수지 주변에 조성된 유원지로 용인시 수지읍 고기리에 인접해 있어 고기리 저수지라고도 부르며, 낙생저수지의 이름을 따서 낙생유원지라 명명하였다. 낙생유원지는 1961년 낙생저수지가 완공된 이후 그 주변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자연 취락지구이다. 1961년 낙생저수지가 완공되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위치하는 저수지. 낙생저수지는 1961년 준공한 분당 지역 최대 규모의 저수지이다. 용인시 고기동에 면하고 있어 고기리저수지라고도 불리며, 저수지의 제방 둑이 예전 낙생면 관내에 해당하여 낙생저수지라 명명하였다. 성남시는 광주산맥의 두 낙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발 전에는 전형적인 산간 농업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서 광주시 직동의 곧은골로 넘어가는 고개. 곧은골고개는 고개가 길어서 장현(長峴)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예전에 율동, 서현동, 분당동, 이매동 등지의 사람들이 광주 관아에 가거나 경안장을 보러 갈 때 주로 이 고개를 이용하였으므로 장고개[場峴]라 부르기도 한다. ‘곧’은 ‘가도 가도 끝이 없다’는 뜻이 있어서 ‘매우 긴 산굽잇길’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과 시흥동을 연결하는 다리. 1992년에 준공되었으며, 총연장 30m, 교폭 35m, 축조형식은 RC슬라브 방식이다.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청계산 산지에서 발원하여 대왕저수지를 거쳐 성남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에 유입하는 상적천에 건설된 다리이다. 고등교를 지나는 도로는 국지도 23호선으로 북쪽으로 수정구 고등동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행정동인 고등동은 법정동인 고등동, 상적동, 둔전동을 관할하고 있으며, 인근에 있는 성남공군기지로 인하여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제한구역과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고등동은 크게 고산동(高山洞)과 등자리(登子里)로 구분되며, 각 마을의 '고(高)’자와 '등(登)’자를 따서 고등동이 되었다. 고산동은 안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에 있는 덕수이씨의 선영. 이의번[생몰년 미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증좌찬성 이추(李抽)의 아들이며, 군호는 풍성군(豊城君)이다. 성종 때 인능산 아래 고등동 등자리마을에 이의번의 묘를 쓰고 그의 아들인 해풍군(海豊君) 이함과 후손들이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이의번(李宜蕃)의 묘는 고등동 등자리마을 소류지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에서 매년 마을의 주신인 산신에게 제사지내는 동제. 등자리마을을 지켜주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기원하는 동제(洞祭)의 일환이다. 과거에는 마을 사람 중에서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서 제관을 선출하였으나, 마을 주민인 이순희씨(1930년생)에 의하면, 마을 밑에 용천사라는 절이 생긴 후에는 용천사에서 제를 맡아서 행...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에 있는 당집. 고등동 등자리마을을 지켜준다고 믿는 수호신을 모신 당집으로 산제당(山祭堂)으로도 불린다. 등자리마을에서 약 300m 정도 걸어 올라가면 용천사가 있는데, 산신각은 절 바로 뒤편에 50m 정도를 경사가 있는 길을 올라가면 만나는 6~7부 능선 상에 북향하고 있다. 1999년까지는 슬레이트 지붕에 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 산신각 안에 있는 산신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에서 주신(主神)으로 받들던 산신(山神)을 형상화한 그림으로 산신각 안의 벽면에 걸려 있다. 문을 열고 들어섰을 때 오른쪽 벽면에 위치하고 있는데, 크기는 가로 131㎝, 세로 93㎝이며, 그림의 오른쪽 아래에 이를 기증한 사람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그림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북쪽의 인릉산과 서쪽의 청계산 줄기에 둘러싸인 산지 지역으로서, 동쪽과 서쪽은 고등동 관할인 둔전동, 상적동과 각각 접하며, 남쪽은 수정구 시흥동 및 금토동과, 북쪽은 수정구 신촌동[심곡동] 및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과 접하고 있다. 고등동은 크게 고산리(高山里)와 등자리(登子里)로 구분되는데, 고산리는 안말, 웃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전의 광주군 대왕면 고등동]에서 매월 2, 7일에 개설되었던 정기시장. 조선시대의 상업은 이른바 5일장이라고 하는 장시(場市) 체계를 매개로 발달하였고, 18세기 후반에 오면 장시망이 포화상태에 이른다. 성남지역의 장시 개설상황을 시기별로 보면, 조선 후기에는 판교장과 낙생장이 있었는데, 19세기 후반경 일시 소멸하였다가 1938년~1955년...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고등 보통 교육 및 실업 전문 교육 기관. 경기도 성남 지역의 고등학교는 보통 교육을 주로 실시하는 인문계 고등학교와 전문 교육을 주로 실시하는 전문계[실업계], 특수 목적 고등학교로 구분되며, 설립자에 따라 공립과 사립으로 구분된다. 고등학교 입학 자격은 중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고사를 지내는 목적으로 신앙되는 나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 입구나 혹은 마을 안에 위치한 오래된 나무 앞에 음식을 진설하고 고사를 지내는데, 이러한 나무를 ‘고사나무’라 한다. 또한 제당의 중심을 이루는 신체(神體)로서, 신목으로(神木)으로 표현되는데, 성남지역의 고사나무는 회화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등의 수종으로 나타난다. 성남지역의 고사나무로는 수령이...
-
강강술래의 한 대목으로 부르는 유희요의 하나. 고사리꺾기를 모방한 데서 생겨난 것으로, 흔히 고사리꺾기, 고사리꺾자라고도 한다. 「남생아 놀아라」를 부르고 놀다가 선소리꾼이 “고사리 대사리 껑자. 나무 대사리 껑자.”라고 부르면 그밖의 놀이꾼들은 “유자콩콩 재미나 넘자. 아장장장 벌이어.”라고 화창하면서 원무 상태로 그대로 앉아 어깨만 들썩 움직인다. 그러면 선두가 일어서서 노랫가...
-
탁발승이나 직업적인 걸립패들이 걸립 때 고사상을 차려놓고 부르는 노래. 고사의 종류에 따라 성주고사, 별고사, 홍패고사, 백패고사 등이 있다. 탁발승, 절걸립패, 낭걸립패에 따라 순서나 의식 절차는 다르지만 집안에서 고사를 지내는 경우에 고사반을 차리고 고사선염불과 뒷염불을 부르는 것은 비슷하다. 추수가 끝났을 때 많이 행해졌다. 걸립패가 굿을 마치고 집안으로 들어오면 집 주인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성백(成伯), 호는 임계(林溪), 고산(高山)이다. 현감 윤형갑(尹衡甲)의 아들이며, 남양부사 윤계(尹棨)의 아우이다. 1627년(인조 5) 생원이 되었고, 1631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632년 설서가 되고, 1636년 이조정랑·부교리를 거쳐 교리로 있을 때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국왕과 조정대신들이 남한산성으로 난을 피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행정동인 고등동은 법정동인 고등동, 상적동, 둔전동을 관할하고 있으며, 인근에 있는 성남공군기지로 인하여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제한구역과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고등동은 크게 고산동(高山洞)과 등자리(登子里)로 구분되며, 각 마을의 '고(高)’자와 '등(登)’자를 따서 고등동이 되었다. 고산동은 안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관할에 있는 엣 지명. 인릉산(仁陵山)의 지맥을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등자리가 있었던 마을로서, 안말, 웃말, 길아래, 주막거리로 불린다. 안말과 웃말에는 덕수이씨가, 길아래말에는 경주정씨(慶州鄭氏)가 각각 살았었다. 그리고, 주막거리(새술막)은 덕수이씨(德水李氏)의 마을로 전하여지고 있으며, 새술막은 주막거리에 한국동란 이후 술집...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중말에는 고려 말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의 문인으로 태종을 도와 공신이 되고 세종 때에 좌의정을 지낸 이원(李原)[1368~1429]의 6세손 이오(李墺)가 병절교위로 서울에 살다가,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세거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는 양짓말 언덕에 느티나무를 네 그루를 심...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경석(景錫), 호는 고암(顧菴) 또는 순암(順庵)이다. 아버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 증조부는 정수강(丁壽崗)이다. 어머니는 군수 송세충(宋世忠)의 딸이고, 부인은 정형(鄭衡)의 딸이다. 1552년(명종 7) 생원시와 진사시 양과에 합...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고용 행정을 담당하는 공공 기관. 성남고용센터는 고용노동부 성남지청 산하의 공공 기관으로, 성남 지역의 취업 중추 기관이자 지역 사회의 공공 서비스 기관이며, 성남 지역의 유관 기관 및 단체들로 구성된 지역 고용 관리 조직을 구성하여 지역 고용 대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현실에 맞는 특화된 고용 대책 방안 도출하기...
-
근대 이전에 제작된 옛 지도. 고지도는 지도가 제작된 그 시대의 여러 상황이 반영되며, 만든 목적에 따라 지도에 실린 내용이 달라진다. 기록상으로는 고구려 때 우리나라 지도를 중국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려시대에도 우리나라 지도를 중국에 밀반출하려다 탄로가 나서 지지용(智之用)이 처형받았다는기록이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 이전에 발간된 지도는 남아 있지 않으며, 현존하는 최고(...
-
아내 자랑하는 사람은 팔불출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궁씨는 아내가 고맙고 자랑스럽다. 아내는 1남 1녀의 아들 딸을 잘 키웠다. 딸은 대학에 다니고 아들은 대학을 준비 중이다. 그 아이들은 궁씨의 고향인 상대원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고 보니 아이들의 고향도 상대원이다. “우리 아들 딸은 빨리 가자 왜 여기 살고 있냐 난 이유를 모르겠다 라는 쪽이에요 특히 아들네미가 그런 주장이...
-
조선 후기의 학자 강위의 시문집. 조선 후기의 한학자이자 개화사상가인 강위(姜瑋)[1820~1884]는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복정리 출생으로, 본관은 진주, 자는 중무(仲武)·위옥(葦玉)·요장(堯章), 호는 추금(秋琴)·자기(慈屺)·청추각(聽秋閣)·고환당(古懽堂)이다. 무반집안의 출신으로 신분상의 제약 때문에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과 문학에 전념하였다. 민노행(閔魯行) 문...
-
지금의 상대원은 거의 차댈 데가 없을 정도로 도로를 차들이 점령하고 있다. 하지만 지석태가 자랄 때만 해도 거의 차가 없었고, 당시에는 체구도 작아서 동네길도 운동장처럼 느껴져서 동네만큼 놀기 좋은 곳도 없었다. 초등학교 시절을 떠올리면 바로 거기서 동네 친구들이랑 뛰어 노는 게 지석태에게는 제일 큰 재미이자 즐거움이었다. 그 곳에서 지석태는 평생 알아야 할 놀이나 게임의 8할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불곡산(佛谷山)에 위치한 조선 후기의 사찰. 창건된지 약 250여년 된 조선 후기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이나 현재 재단법인 선학원으로 등록되어 있다. 원래의 사찰명은 불곡사(佛谷寺)였으나 성오 주지스님이 과거 이 지역 지명인 ‘골안’을 따와 골안사로 바꾸었다. 그 이유는 분당신도시 개발과정에서 고향을 떠난 주민들이 이곳을 다시 찾아왔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불곡산(佛谷山)에 위치한 골안사 대웅전. 골안사는 창건된 지 250여년 된 조선 후기의 사찰로 분당구 구미동 불곡산에 위치한다. 골안사 대웅전 안에는 결가부좌한 석가모니 삼존불이 봉안되어있고, 산신도와 칠성탱화를 비롯한 다수의 불화, 영가(靈駕)의 위패를 모신 단 등이 설치되어 있다. 미금교를 건너 분당서울대병원과 구미중...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의 골안사에 있는 조선시대 석불(石佛). 골안사 석상은 분당구 구미동 불곡산에 위치한 골안사 대웅전 계단의 좌우에 각각 1기씩 놓여 있는 석불을 말한다. 원래는 현재 대웅전에 봉안된 본존불(本尊佛) 좌우에 각각 안치되어 있었던 협시불(夾侍佛)이었는데, 본존불은 새로 금도금을 하여 대웅전에 안치하고 본존불 양 옆에 있던 합장 형태의 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의 골안사에 있는 불상. 일제강점기에 불교 신자가 제작한 것으로 분당구 구미동 불곡산에 위치한 골안사 입구의 도로변 왼쪽에 남향하여 있다. 골안사 지장보살상은 흰색 화강암으로 만든 높이 50㎝, 너비 32㎝의 주형광배(舟形光背) 안에 높이 30㎝로 조각된 소형의 불상이다. 이 불상은 높이 60㎝, 너비 약 5m의 석축 가운데 놓여 있...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공거(公擧). 신유(申愉)의 손자이며, 통덕랑 신명직(申命禝)의 아들이다. 조봉대부를 지냈다. 할아버지인 신유 이후로 성남시 삼평동이 평산신씨의 세거지가 되었으나, 삼평동에 있었던 문중산은 현재 성남시 금토동으로 옮겨졌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 일대에 위치하는 군용 비행장. 공군성남기지는 군용 항공기 이착륙장으로 사용된 군용 비행장이며, 대한민국 공군이 관할하는 공군 기지로 군용기 뿐 아니라 대통령 전용기나 외국 귀빈이 주로 이용한다. 이 때문에 서울공항으로 불리기도 하며, 성남에 위치하고 있는 비행장이라 성남비행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공군성남기지는 군사 전략적...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 일대에 위치하는 군용 비행장. 공군성남기지는 군용 항공기 이착륙장으로 사용된 군용 비행장이며, 대한민국 공군이 관할하는 공군 기지로 군용기 뿐 아니라 대통령 전용기나 외국 귀빈이 주로 이용한다. 이 때문에 서울공항으로 불리기도 하며, 성남에 위치하고 있는 비행장이라 성남비행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공군성남기지는 군사 전략적...
-
구보는 14살부터 일을 했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집에서 출퇴근 하거나 공장 기숙사에 들어가거나 혹은 혼자서 자취 생활을 하기도 했다. 공장 생활을 시작한 것은 전구를 만드는 공장이었다. 공단에서 사람을 구한다는, 동네에 떠도는 소문을 따라 찾아갔었다. 구보는 그곳에서 완성된 전구에 불이 켜지는지 검사했다. 1년 정도 했고 곧 옮겼다. 야구 글러브 공장에서는 글러브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성남대로 모란시장 부근 동쪽 방향으로 분기하여 하대원동을 거쳐 상대원동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공단로라는 도로의 이름은 그 종점인 상대원동 일대에 성남산업단지(城南産業團地)가 위치하였기 때문에 명명되었다. 공단로는 왕복 포장 8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3.30㎞, 도로 폭은 35~50m, 총면적은 140,250㎡이...
-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공도(公度)이다. 윤탁연의 3남이다. 충무위(忠武衛) 부사용(副司勇)을 역임하였다. 묘갈(墓碣)은 조경(趙絅)이 찬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 건축물에 여러 세대가 거주할 수 있도록 지어진 공동 주택. 다세대 주택은 1개의 주택에 여러 가구가 거주하도록 지어진 주택이며, 건축법 시행령의 규정에 의하여 공동 주택의 하나로 분류된다. 다세대 주택은 한 동의 연면적이 660㎡ 이하(주차장 면적 제외)인 4층 이하(지하층 제외)의 주택이어야 한다. 단독주택인 다가구 주택과는 다르게 공동 주택의...
-
경기도 성남시에서 성남 지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사회 복지 시설. 1980년대 중반 저소득층 가정의 경우 자녀들이 유기·방치되는 사태가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으나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책이 부재하여 민간단체, 종교단체, 사회운동단체들이 나서서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문화 공간으로서 공부방을 설립하였으며 저소득층 지역을 중심으로 비영리, 자원봉사 중심으로 운영되기 시...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시민들의 보건·휴양·놀이를 위해 설치한 시설이나 공공 녹지. 공원을 의미하는 파크(park)는 본래 영국에서 왕족과 귀족들이 독점하고 있었던 수렵장이나 대정원으로서, 중세부터 19세기 중엽에 걸쳐 봉건제도의 붕괴와 함께 개방되어 퍼블릭 파크(public park)가 되었다. 현재는 퍼블릭(public)이라는 단어를 붙이지 않더라도 파크(park)만으...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를 연결하는 시도(市道) 공원로는 공단로에서 북북서 방향으로 나뉘어져 공원터널을 지나 우리은행 사거리를 거쳐 태평로 현충탑 앞까지 연결된 시도(市道)이다. 공원로라는 도로의 이름은 성남시내 주요 공원인 대원공원, 희망대공원, 영장공원 등을 지나가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공원로는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과 중앙동을 연결하는 터널. 공원터널은 희망대공원을 지나가는 공원로에 위치하고 있어 공원터널이라 했다. 공원터널의 길이는 상행선 중앙동 방향 756m이고, 하행선 하대원동 방향은 749m이다. 터널의 높이는 6.8m, 폭은 양방향 합쳐 19.2m이며, 차선은 상하행선 각각 2차로이다. 수정구 신흥동 및 중원구...
-
경기도 성남시의 풍광, 풍속, 사적 등을 구경하는 일. 관광은 독일어의 ‘Fremdenverkehr’, 영어의 ‘tourism’ 또는 ‘tourist movement’에 해당하는 말로 이들 모두는 외래자, 여행자의 이동을 의미하고 있다. 원래 관광(tourism)은 사람들의 일시적인 이동을 의미하는 ‘tour’에서 파생된 말로 라틴어의 ‘tornus(돌다, 순회하다)’에...
-
고려시대 지방 행정구역인 10도(道)의 하나. 고려 초기 지방제도의 정비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설립된 행정구역으로, 995년(성종 14)에 중국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10도제(道制)를 실시하면서, 양주(楊州), 광주(廣州), 황주(黃州), 해주(海州) 등 개경을 둘러싼 지역에 관내도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때의 10도제가 형식적인 제도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관내도 역시 행정기구로...
-
육지내륙 또는 변경지역에 외침에 대비하기 위해 축조한 유적. 관방유적은 봉수, 돈대, 산성 등 국경의 방비와 관련된 모든 유적을 지칭하는 용어로 해방유적(海防遺蹟)에 대비되는 용어이다. 오늘날 성남지역내에 소재하는 관방유적은 크게 봉수(烽燧)와 돈대(墩臺)로 구분된다. 우선 봉수는 횃불과 연기로 변방의 급보를 중앙[병조(兵曺)] 혹은 지방[진보(鎭堡)]에 전달하던 군사적 목적의 통...
-
조선조 숙종이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1595~1671]의 문집을 읽은 느낌을 쓴 7언율시. 숙종이 백헌 이경석의 문집을 읽은 느낌을 적은 시부(詩賦)를 이경석의 후손에게 하사한 것인데, 후손들이 참죽나무 필갑에 넣어 뚜껑에 ‘肅宗聖製寶墨(숙종성제보묵)’이라 전각(篆刻)하여 보관하였다. 이경석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자는 상보(尙輔), 호...
-
조선 후기의 문신 이광덕(李匡德)[1690~1748]의 시문집. 『관양집』은 시(詩)·소(疏)·차(箚)·응제문(應製文)·전(箋)·계(啓)·공사(拱辭)·서(書)·서(序)·기(記)·논·잡저 등으로 구성된 이광덕의 시문집 필사본으로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찬 시기를 알 수 없다. 『관양집』은 9권 4책으로 이루어져 있고, 크기는 가로 18.6㎝, 세로 28.7㎝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광명로는 성남대로 모란삼거리에서 동동북(東東北) 방향으로 나뉘어져 황송길 금광삼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2002년 2월 성남시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 때 광명로로 명명하였다. 광명로는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 4.25㎞, 도로 폭은 20m, 총면적은 85,000㎡이다. 광명로는 성남시가 형성되면서 생성된 도로이다. 광...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333-9번지[갈마치로203번길 12]에 위치한 형광등용 등가구 및 안정기 전문 제조업체. (주)광명전기는 1979년 12월 31일 설립되어 1986년 한국무역협회에 가입했고, 1991년에는 병역특례업체로 선정되었다. 동사는 기술력을 인정받아 UL, 실용신안권, 의상권, KS, Q-MARK 등 많은 인증을 획득하였고, 특히 3건의...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광산(光山)은 현 光州로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한다. 광산김씨는 고려조에서 8대 평장사를 배출하고, 조선조에서 왕비 1명, 상신 5명, 대제학 7명, 청백리 4명, 공신 7명, 문과 급제자 265명을 배출했다. 여말 선초에 김약채(金若采), 김약항(金若恒), 김약시(金若時)의 3형제 대에서부터 번창하기 시작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발행되고 있는 시사 전문 지역주간신문. 1996년 6월 12일에 창간된 이 신문은 제호를 성남시 지역이 본래 광주군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광주와 성남의 첫 글자를 합쳐 만들어진 것이다. 광성신문은 6월 3일 공보처에 등록을 마치고, 같은 달 22일 주간신문으로 창간하여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는 지역신문이다. 성남시 시정 뉴스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마을 이름. 판교동 너더리마을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 이곳의 운중천 가에는 50여평 되는 큰 바위가 깔려 있고 근처에 느티나무가 있어 정자나무로 이용되었다. 특히 이 바위는 지나는 길손이 머물기 좋았으므로 광암(廣岩) 또는 너븐바위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현재는 이 너븐바위에 해당하는 바위를 확인할 수가 없...
-
경기도 성남시에서 광물을 탐사하고, 이것을 채굴해서 제련 과정을 통해 유용 광물을 선별하는 산업. 광업은 농업과 함께 인간 문명 발전의 기간(基幹)을 이루는 2대 산업이다. 광업은 1차 산업인 농업, 수산업 이어 2차산업으로 분류하지만 각종 제조업과는 크게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광업은 역사가 오래된 기초 산업으로서 인간의 문화 발달의 역사는 광물의 채굴과 가공에 의...
-
성남경찰서 신설 이전에 성남지역의 치안을 담당하였던 광주경찰서 소속 지서. 1954년 지금의 성남지역 치안 유지를 위해 광주군 중부면에 광주경찰서 중부지서가 설치되었는데, 1966년 7월 1일 성남출장소로 개칭되었다. 이후 광주대단지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인구가 늘어나자 1969년 7월 1일 성남지서로 승격되어 명실공히 성남지역 치안을 책임지게 되었다. 1971년 1월 1...
-
지금의 성남지역 치안을 담당하였던 광주경찰서 소속 지서. 1954년 설치되었는데, 1966년 7월 1일 성남출장소로 개칭되었다. 이후 광주대단지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인구가 늘어나 치안문제가 현안과제로 떠오르자 1969년 7월 1일 성남지서로 승격되어 명실공히 성남지역 치안을 책임지게 되었다. 이 성남지서는 1971년 성남경찰서로 승격되었고, 1991년 성남남부경찰서가 신설되고 19...
-
1933년 석혜환, 정영신 등이 주도하여 조직한 사회주의 노동운동 단체. 광주공동조합의 전신은 남한산노동공조회이다.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에 근거했던 이 단체는 광주서의 탄압으로 1933년에 광주공동조합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조직의 강화를 도모하였다. 일제의 경찰 감시를 피하는 한편 지하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재편책에서 시도된 것이다. 광주공동조합은 성남지역이 수공업주의 공업...
-
경기도 광주시에 있었던 행정지명. 갑오경장 이후 새로운 행정제도 개편에 따라 이전의 전국 행정구역체제였던 팔도 및 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의 편제는 1895년(고종 32) 5월 26에 23부와 군, 즉 이원적으로 구성되게 되었다. 광주 역시 군으로 개칭되면서 한성부의 관할이 되었으며, 개편 다음해인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로 발표된 「지방제도관제봉급경비개정의...
-
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도시개발사업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구. 서울특별시가 광주군 중부면 관할구역에 주택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자 행정체제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서울시에서는 1969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중부면대단지사업소’라는 기구를 설치하였고, 같은 해 8월 1일 광주군에서는 서울시의 대단지 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광주군 성남지구 도시건설사...
-
1946년 광주군 중부면 내 6개 리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출장소의 명칭. 오늘날의 성남시의 모태가 된 성남시 지방행정사의 기원은 광주군 중부면 성남출장소이다. 본래 1906년 일제 통감부 체제하에서의 칙령 제 49호 ‘지방구역정리’ 때만 해도 광주군에는 중부면이 없었으나, 1910년 11월 10일에 총독부령 제8호로 공포된 ‘면에 관한 규정’에 의하여 중부면이 산성리 935...
-
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설치한 사업 조사단체. 1971년 8.10사태를 전후하여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의하여 추진되어 오던 광주대단지 개발계획이 노출되면서 우선적으로 개발주체부터 변경을 서둘렀는데 사태가 일어난 지 한 달 후인 9월 8일 내무부장관실에서 장관주재 하에 내무차관, 서울시장, 경기지사와 실무책임자인 내무부지방국장, 서울시 기획관리관, 경기...
-
1968년 당시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일대에 조성된 일단의 주택단지. 서울시의 빈민가 정비 및 철거민 이주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위성도시로 현 성남시의 모체가 되었다. 당시 서울시는 곳곳의 무허가 건물에 대한 억제책을 수립하면서 서울로 집중되는 인구와 도시빈민들에 대한 분산책으로 1968년 5월 7일 건설부로부터 개발인가를 받아 1969년 4월 1일 광주군 중부면 성남출...
-
1971년 당시 성남시지역 주민들이 과도한 택지 분양가격의 시정을 관철하기 위하여 결성한 단체. 이 위원회는 1971년 7월 19일 ‘분양지 불하가격 시정위원회’라는 이름으로 결성되었다. 당시 광주대단지의 제일교회에 와 있던 전 공보처장 전성천(全聖天) 목사를 고문으로 추대하고 동교회 박진하(朴珍夏) 장로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여 그동안 구심점 없이 불만만 토로하던 주민들이 단번에 단...
-
1960년대 후반 서울시의 인구문제와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시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지금의 성남시]에 조성되었던 대규모 천막집. 1960년대에 들어 서울은 전입인구가 늘어나면서 급격한 인구증가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기존 도시기반시설은 늘어나는 수요를 따르지 못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였으며, 가장 큰 문제는 주택 부족이었다. 서울시의 국공유지에는 무허가건물이 마구 들어서게 되었...
-
1969년 광주대단지 조성사업에 관한 업무를 주관하기 위하여 설치한 서울시 산하기구. 서울시는 1968년부터 서울의 인구 팽창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였는데, 그 일환으로 광주군 중부면 관할구역에 주택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위해 설치한 기구로 1969년 9월 1일 광주대단지사업소를 설치하였다. 당시 서울시는 대규모 주택단지를 조성하여 불량건물 정...
-
고려시대에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525개의 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치된22개 역도 중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전국에 525개의 역이 있었으며 이들은 22역도에 연결되어 있었다. 이 중 8개 도는 개경 북쪽에 배치되었으며, 청교도(靑郊道)·춘주도(春州道)·평구도(平丘道)·명주도(溟州道)·광주도(廣州道)·충청주도(忠淸州道)·전공주도(全公州道)·승나주도(昇羅州都)·산남도(山南道)...
-
경기도 광주시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행정구역. 983년(고려 성종 2)에 지방관 설치를 통하여 중앙 행정의 지방세력에 대한 통제책의 일환으로 전국을 12개로 분할하여 대단위 행정구획화하는 지방제도 정비에 의하여 설치된 행정구역이다. 『고려사』 지리지에 의하면 성종 때 광주목의 관할 범위는 광주목[현재의 광주시·성남시 및 서울특별시 강남구·서초구·강동구·송파구 일...
-
경기도 광주시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행정구역. 조선이 건국되면서 토착적인 지방 호족·향리의 사적 지배권을 박탈하여 수령의 지배아래 예속시킴으로써, 지방 세력을 약화시키고 행정사역인화시켜 중앙집권적 행정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지방편제에 의해 구획된 8도의 하급행정지역(부·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 중의 하나로서, 1504년(연산군 10) 이후 관읍이 혁파되기 도하...
-
일제강점기 때 경기도 광주 지역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한 용인헌병분견대 소속 분견소. 일제의 헌병경찰제하에 광주지역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한 남한산성 용인헌병분견대 소속의 광주지역 분견소로, 정식 명칭은 ‘남한산성 용인헌병분견대 광주분견소’이다. 일제는 조선 강점 전에는 일본 헌병을 주로 도시에 집중 배치되었으나, 강점 후에는 분산 배치 체제로 전환시켜 농촌까지 헌병분견소를 설치했다....
-
조선시대에 간행되었던 광주에 관련된 읍지. 부·목·군·현 등의 지방 각 읍을 단위로 하여 작성된 지리지로서, 방리·도로·형승·풍속·능침·단묘·역원·군병·진공 등 해당 읍과 관련된 여러 사안에 대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경기도의 경우 19세기 중엽부터 다수의 읍지가 작성되었으며, 『광주읍지』의 경우에도 19세기에 작성된 3권의 읍지가 전해오고 있다. 1871년에 작성된...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광주이씨는 광주(廣州)의 토성으로 성남을 본관으로 하는 명문이다. 광주이씨의 중흥조라 할 수 있는 고려 말의 이당(李唐)은 광주의 아전을 지내다가 생원이 되었으며, 그의 아들 5형제가 모두 문과에 급제했다. 그 중 둘째아들 둔촌(遁村) 이집(李集)이 고려 말에 이색, 정몽주, 이숭인 등과 깊이 사귀고 고려가 망하자 현재...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금광동은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금광1동과 금광2동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거 밀집 지역으로 신구대학을 비롯하여 초·중·고교의 교육 시설이 고루 분포해 있고 시장, 백화점, 공원 등이 가까운 거리에 있어 주거지로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금광동이란 명칭은 금광리(金光里)라는 자연마을의 이름을 살려서...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들의 사물놀이 연구회. 사물놀이연구회울림터는 우리 소리를 사랑하는 일선 교육 현장의 교사 모임으로 서울지회, 성남지회, 안동지회 등 3개 지회로 구성되어 있다. 성남지회는 성남을 중심으로 경기 지역 교사 50여 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사물놀이 강습, 매년 2회의 대규모 연수 교육을 통해 우리 소리 보급에 힘쓰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간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모든 행위. 교육은 인간 형성의 과정이며, 사회 개조의 수단이다. 바람직한 인간을 형성하여 개인 생활, 가정 생활, 사회 생활에서 보다 행복하고 가치 있는 나날을 보내게 하며 나아가 사회 발전을 꾀하는 작용인 것이다. 교육은 어버이와 자식 사이, 어른과 아이 사이, 교사와 제자...
-
교육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 단체. (1) 광복 전 현재의 성남지역에 가장 먼저 생긴 근대식 학교는 판교공립보통학교(板橋公立普通學校)[현 낙생초등학교]이다. 이 학교는 1922년 5월 1일 2년제로 개교했고, 1923년 12월 30일 4년제로 인가를 받아 1924년 4월 1일 설립을 완료했다. 그 후 1935년 4월 1일 돌마면 이매리[현재의 중원구 야탑동]에 돌마공립보통학...
-
경기도 성남시에서 사람이나 화물이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일. 교통은 사람이나 재화 등 유체물(有體物)은 물론, 의사(意思), 정보 등 무체물(無體物)의 장소적 이동을 총칭하나, 좁은 의미에서의 교통은 그 중 유체물의 장소적 이동을 뜻한다. 인간의 사회생활은 항상 일정한 지역적인 확대를 가지는데, 이 지역적인 확대, 즉 공간적 거리를 극복하는 행위가 교통이다...
-
도성 양재에서 해문역(남양)에 이르는 교통로. 양재→ 천천현로→낙생역→구흥(용인)→ 금영(용인)→ 좌찬(죽산)→ 분행(죽산)→ 무극(음죽)→강복(안성)→가천(양성)→청호(수원)→ 장족(수원)→ 동화(수원)→해문역(남양)에 위치했던 역 중의 하나이다. 낙생역지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 파악되고 있지 않지만, 현재 수내 제2동에 위치한 중앙공원 앞의 수내로와 돌마로가 갈라지는...
-
그리스도교인들의 신앙 집단 혹은 예배 공간. 일반적으로 개신교인들의 그것을 가리킨다. 개신교 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달리 하나의 보편교회가 아니라 처음부터 다양한 교파로 존재하고 있다. 이 교파들은 모두 개신교 교회라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상호 협력관계를 맺고 있지만, 서로 경쟁관계에 들어가기도 한다. 현재 전 세계에는 수백 개의 교파가 존재하고 있다. 한국 개신교의 역사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사립 종합 대학. 을지대학교는 성실, 진리, 실천을 교훈으로서 지, 덕, 체를 겸비한 능력 있는 보건, 의료 및 각종 지식 기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전문 기술인을 양성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기술 입국의 확고한 정신을 가진 보건, 의료, 식품 및 각종 미래 산업 기술 분야의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데 교육 목적을 두고 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과 금곡동을 연결하는 다리.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개통하였다. 총연장 135m, 교폭 36m이며, 축조 형식은 중공PC슬라브 방식이다. 분당구와 이웃 용인시 수지 지역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동쪽으로 흐르는 동막천이 성남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에 유입하는 지점에 건설되었다. 구미교를 지나는 도로는 미금로로, 북쪽으로 분당구 금곡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공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구미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 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 도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분당구의 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구미1동과 행정동인 구미동에서 나누어 관할하고 있다. 분당 신시가지 개발의 마지막 입주 지역이다. 원래 이 지역에는 가운뎃 구미(中九美), 뒷 구미(後九美), 골안, 낭떨어지 마을, 넘말, 머내(遠川), 벌말, 앞구미, 오리뜰, 잣골 등의 자연마을이 있었으나 분당 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탄천 변 근린공원 안에 있는 느티나무. 수령 2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18m, 가슴높이 둘레 92m, 수관 폭 27m의 느티나무이다. 줄기의 아래쪽 1.8m 부위에서 갈라지기 시작한 줄기와 잎이 한쪽으로 치우쳐 전체 적으로 마치 바람에 휘어진 것처럼 보인다. 굵은 줄기의 일부 가지는 거칠게 벗겨지고 말랐으나 수세는 양호한 편이다. 밑...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어린이공원 안에 있는 느티나무. 수령 2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18m, 가슴높이 둘레 105cm, 수관(樹冠) 폭 8m의 느티나무이다.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만 잎과 가지가 발달하여 한쪽으로 불안정하게 기울어진 모습이다. 어린이공원으로 조성되기 전 이 느티나무가 서 있는 곳은 마을이 시작되는 고갯길이었다고 전해진다. 현재 나무의 3분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천주교 교회. 1991년 첫 입주가 시작된 분당신도시에 계속해서 많은 인구가 유입되자, 더불어 천주교 신자들도 계속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천주교 수원교구에서는 2002년 11월 24일 새로운 본당의 신설을 본격화시켰으며, 2003년 1월 28일에 구미동성당이 설립되었다. 교세 증가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자 금곡동 본당에서 분리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던 2기의 장승. 구미동 장승은 1960년대까지 당시 용인군과 광주군의 경계를 이루던 지금의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북쪽의 지방도로 옆에 세워져 있다가 분당 신도시가 들어서면서 구미동으로 이전·복원된 장승이다. 구미동 장승은 경기도 분당구 구미동 오리역 한국토지주택공사 인근 동막교 사거리의 동막천변 횡단보도 옆에 있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구미로는 지하철 분당선 오리역 및 성남농수산물유통센터 인근 성남대로에서 동쪽 방향으로 분기하는 길로, 탄천 오리교를 건너 구미동 지역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휘감은 후 다시 미금교를 넘어 금곡로에 이르는 도로이다. 도로 이름은 이 도로가 속한 지역인 구미동 이름을 본떠 명명되었다. 구미로는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시와 구의 최남단에 있는 지역으로서 정자동과 구미동에 걸쳐 있는 해발 312.9m의 불곡산 기슭 서쪽의 평탄면에 있다. 관내 서쪽에서 탄천이 남북으로 흐르며 분당구 금곡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쪽은 광주시 오포읍, 남쪽은 용인시 수지 지역[죽전지구], 북쪽은 분당구 금곡동 및 불정동과 접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가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참되게, 슬기롭게, 꾸준하게'라는 교훈 아래, 기본예절을 지키며 남과 더불어 사는 도덕인,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학업에 열중하는 실력인, 일을 슬기롭게 해결하며 창의력을 발휘하는 창조인, 개성을 신장하며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개척인, 세계 시민적 자질과 국제 문화 이해 능력을 지닌 세계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