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가겸(可謙)이고, 호는 북애(北崖)이다. 이색(李穡)의 7세손으로 아버지는 이지숙(李之菽)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가나안교회는 서울에서 시작된 천성교회를 모체로 하며, 1993년 경기도 성남시 분당으로 이주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의 교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장구 반주를 곁들여 가야금으로 연주하는 기악독주곡과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병창. 가야금 산조는 조선 시대 연주되던 심방곡(心方曲)을 바탕으로 19세기 후반 부터 평조[우조]와 계면조를 구별하면서 산조형식이 갖추어졌고, 현재까지 약 다섯 세대를 거치며 변화 발전해 왔다. 현재 가야금 산조와 병창을 묶어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돼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장구 반주를 곁들여 가야금으로 연주하는 기악독주곡과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병창. 가야금 산조는 조선 시대 연주되던 심방곡(心方曲)을 바탕으로 19세기 후반 부터 평조[우조]와 계면조를 구별하면서 산조형식이 갖추어졌고, 현재까지 약 다섯 세대를 거치며 변화 발전해 왔다. 현재 가야금 산조와 병창을 묶어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돼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가홍(可弘) 또는 가용(可容)이다. 광천군(廣川君) 이극증(李克增)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풍물굿패 우리마당을 비롯한 지역 풍물패가 매년 10월에 여는 책거리 풍물굿. 책거리란 책을 다 배우고 난 후 떡과 음식을 함께 나눠 먹으며 축하하던 풍속을 말한다. 이러한 책거리의 의미를 이어받아 책거리굿은 지역 풍물패들의 풍물학습 결과에 대한 역량을 확인하며, 많은 이들과 함께 축하하고 즐기는 자리로 만들어졌다....
-
가정마다 신, 즉 가신(家神)이 있어서 집안을 보살펴 주는 것이라 믿고, 이 가신들에게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의례를 올리는 신앙형태. 가정신앙은 집안에 있는 신을 섬기는 형태이기 때문에 가신신앙, 가택신앙, 집안신앙이라고도 한다. 가신의 형태는 하나의 집안을 소우주로 보았을 때, 각자에게 공간적으로는 고유한 영역이 주어지고 맡은 역할 또한 다르다. 그리고 가신들 내에서도 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온라인 건강 지원 기관. 온라인 건강 증진 센터로 건강 생활 실천을 통한 건강 증진을 위해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9년 현재 이용자 수가 적어 인터넷 서비스가 중지될 전망이다....
-
백씨는 자신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면 마음이 복잡했다. 자신을 낳아 준 엄마의 얼굴도 모른 채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아니 생모가 따로 있다는 사실조차 까마득히 몰랐다. 그러다가 사춘기에 들어서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 끝내 몰랐더라면 어땠을까? “사춘기 때 동네 사람들이, 인제 니네 엄마 새엄마다, 이렇게 이야기했는데, 저는 아니다 우리 엄마다. 어머님이 좀 쎄셨어요. 그러다 보니까...
-
소년 구보의 어머니는 혼자 몸이었다. 생계를 위해서는 일거리가 필요했다. 그래서 집 짓는 공사장의 잡부가 되었다. 다행히 집짓는 일거리가 끊이지는 않았다. 어머니는 그렇게 번 돈을 조금씩 떼어 벽돌을 사다 날랐다. 그리고 저 아래쪽 개천의 모래를 퍼다 날랐다. 어머니도 형도 누나도 그리고 소년도 틈만 나면 개천의 모래를 세숫대야로 퍼다 날랐다. 그리고 시멘트를 사다가 조그만 집을...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여수동은 과거에 덕지벌을 중심으로 벌말, 살나드리들, 샛터말, 소만말, 속말, 안말, 회전말 등 8개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다.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의 중원구와 남쪽의 분당구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관할 면적의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이다. 법정동인 여수동은 행정동인 중원구 도촌동에서 관할하고 있으나 생활권은 분당구에 더 가깝다. 2009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사립 대학. 교육 목표는 미래를 지향하는 지성인, 나눔에 동참하는 실천인, 최고를 추구하는 전문인이다. 교육 이념은 박애, 봉사, 애국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 운영하고 있는 가천대역은 청량리 방면 복정역과 인천 방면 태평역 사이에 있다. 역과 인접한 곳에 경원대학교가 있어 ‘경원대역’이라고 이름 붙였으나, 이후 경원대학교가 가천대학교로 변경됨에 따라 2011년 12월 28일 분당선 기흥 연장 구간의 개통과 함께 ‘가천대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사립 대학. 교육 목표는 미래를 지향하는 지성인, 나눔에 동참하는 실천인, 최고를 추구하는 전문인이다. 교육 이념은 박애, 봉사, 애국이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가홍(可弘) 또는 가용(可容)이다. 광천군(廣川君) 이극증(李克增)의 장남이다....
-
1575년(선조 8)~1660년(현종 1). 조선시대의 선승(禪僧), 승병장(僧兵將). 1575년(선종 8) 12월 아버지 김해김씨와 어머니 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
1575년(선조 8)~1660년(현종 1). 조선시대의 선승(禪僧), 승병장(僧兵將). 1575년(선종 8) 12월 아버지 김해김씨와 어머니 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 있는 공동묘지.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과 성남시 분당구 갈현동을 연결하는 두개의 고갯길인 이배재와 갈마치고개로 연결되는 도로가 만나는 골짜기에 조성된 공원묘지로 현재 갈마공원묘지 입구에는 성남 제2공단과 성남 제3공단이 입주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갈현동은 중원구의 최동단에 위치한 중원구 도촌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 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 아랫말, 웃말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과 경기도 광주시 삼동의 경계가 되는 고개. 갈마치고개는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의 동쪽에서 경기도 광주시와 경계가 되는 고개로, 갈현이라고도 부른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공단로 반포산업 사거리에서 남서쪽으로 나뉘어져 중원구 갈현동에서 경충국도[국도 3호선] 및 지방도 389호선와 만나는 길이다. 왕복 포장 2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1.7㎞이며 도로 폭은 10m, 총면적은 17,000㎡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과 경기도 광주시 삼동을 연결하는 터널. 경충국도[옛 국도 3호선] 선상에 있는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과 광주시 경계를 지나는 터널이다. 광주시의 도시개발로 인하여 광주시 및 이천시에서 성남 지역으로 진입하는 교통량이 많으며, 지역 간 교통의 흐름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개신교 교회. 1985년 6월 박조준 목사와 일부 교인들에 의해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시작된 초교파 독립교회이다. 박조준 목사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측] 소속 서울 영락교회의 담임목사로 오래 있었으나 1984년 사임하고 영락교회 출신 일부 교인들과 함께 초교파 독립 교회를 시작하였다. 이후 짧은 시간 내에 교세가 급성장하였으며, 2000년 6...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과 경기도 광주시 삼동의 경계가 되는 고개. 갈마치고개는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의 동쪽에서 경기도 광주시와 경계가 되는 고개로, 갈현이라고도 부른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갈현동은 중원구의 최동단에 위치한 중원구 도촌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 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 아랫말, 웃말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갈현동은 중원구의 최동단에 위치한 중원구 도촌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 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 아랫말, 웃말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서 발견된 고려~조선 시대 절터. 성남 갈현동 469-1번지 일원에서 발견된 고려~조선 시대 절터로 정확한 연대와 규모 등 유적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정밀 발굴조사가 진행 중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갈마터널이 있는 3번국도와 갈마치고개를 지나는 389번 지방도를 통해 광주(廣州)시와 연결되어 있는 중원구 최동단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은 광주시 300컨트리클럽이 있는 광남동과, 서쪽과 남쪽은 하대원동 관할 법정동인 도촌동, 북쪽은 중원구 상대원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과거에...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소지(少之)이다. 할아버지 강은과 아버지 강해(姜諧)가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안골에 정착한 후 집성촌을 이루어 세거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강릉최씨가 성남시지역에 세거한 것은 3백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문정공 최수성(崔壽城)의 5대손 최윤득(崔胤得)[1710~1745]이 수원의 은행동에서 이거함으로써 세거지가 되었다. 최윤득의 증손 최창화(崔昌華)[1788~1858]가 선략장군 용양위 부사과를 지냈다. 최성규(崔聖圭)[1942년생]는 최윤득의 9대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묘가 있던 고려 전기 무신. 강민첨(姜民瞻)[963~1021]은 고려 전기 여진족과 거란족의 침입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강백령[생몰년 미상]은 본관은 진주이고 전설사 별제를 지냈다. 진주강씨는 조선 초기에 성남시 복정동 안골마을에 자리 잡은 세거성씨로, 마을에 처음 들어와 터를 잡은 조상은 강천명(姜天命)이며, 지금 남아 있는 성남의 집성촌 성씨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편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건중(建中). 호는 강암(彊菴).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
조선 후기 광주군 세촌면 복정리 출신의 한학자 및 개화사상가. 강위(姜瑋)[1820~1884]는 경기도 광주군 세촌면 복정리[현재의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출생으로, 본관은 진주, 자는 중무(仲武)·위옥(葦玉)·요장(堯章), 호는 추금(秋琴)·자기(慈屺)·청추각(聽秋閣)·고환당(古懽堂)이다....
-
경기도 성남시 성남문화원에서 매년 성남 지역 발전에 기여한 여성을 대상으로 시상하는 상. 강정일당은 조선 후기 여류 문인이자 성리학자이며 귀감이 되는 인물로, 성남시에서 1986년 3월 4일 강정일당의 묘를 성남시 향토문화유적 제1호로 지정하였다. 정일당 강씨 묘는 2024년 6월 「성남시 향토유산 보호 조례」가 개정됨에 따라 성남시 향토유산 제1호로 변경되었다. 강정일당은 200...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강중(剛中). 칠원윤씨 33세손. 순수공파. 아버지는 윤형국(尹衡國)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이다. 할아버지는 통덕랑에 오른 윤경행(尹敬行), 증조부는 윤덕로(尹德老), 고조부는 윤세적(尹世績)이다. 부인은 숙인 한양조씨이다. 슬하에 아들이 없어, 윤이의(尹履誼)를 양자로 맞아들였다. 윤이의는 통훈대부로 연천현감을 지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개항기 의병. 강춘선(姜春善)은 1907년(순종 1) 남상목(南相穆) 의병 부대에 참여하여 후군장(後軍將)으로 활동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가톨릭교회 및 동방정교회와 함께 기독교의 3대 전통에 속하는 기독교의 한 분파. 개신교는 성남시에서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하고 있는 종교이다. 매번의 통계조사에서 성남시 전체 인구의 4분의 1 정도가 개신교 신자로 나타나고 있다....
-
개신교의 이념과 정신에 따라 성남시에 세워진 기관, 조직, 단체. 개신교는 교회를 기초로 한 종교이지만 동시에 수많은 단체를 가지고 있다. 교회가 예배 중심의 신앙공동체라면, 개신교 단체들은 보다 특화되고 전문적인 목표 아래세워진 기관과 조직들로서 교회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조직이다. 그렇지만 이들 역시 교회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기독교 이념의 실현을 취해 설립된 기관이자 조직이다...
-
개항기인 1864년부터 1945년 8월 15일 해방까지 경기도 성남의 역사. 19세기 중엽 조선의 전통 사회는 안으로는 부패하고 무능한 양반 지배 체제에 반대하는 민중 세력의 힘이 성숙되고, 밖으로는 일본과 서구 열강 침략 세력의 침투, 그리고 1910년 경술국치로 일제 강점기를 맞게 된다. 성남 지역은 이 시기에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고, 교통의 발전과 이에 따른 시장이 활성화 되...
-
추석날이나 음력 정월대보름에 청소년들이 거북모양을 만들어 집집마다 찾아다니면서 노는 놀이. 성남시와 가까운 경기도 광주(廣州)에서는 주로 음력 정월대보름에 논다. 정월대보름에 거북놀이를 할 때는 청소년뿐만 아니라 마을 전체 사람들의 놀이이다. 먼저 길놀이를 위한 거북이 만들기를 한다. 거북이는 옥수숫대나 비슷한 같은 재료- 왕골·덩굴·대나무·볏짚-를 사용하여 앞뒤에 두 사람이 들어...
-
안채에서 대청마루를 사이에 두고 안방과 맞은편에 있는 방 안채에 대청마루를 둔 중부지역 살림집의 경우에는 대청을 가운데에 두고 안방과 건넌방이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이때 건넌방은 안방을 기준으로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대부분 1칸에서 1칸 반 정도의 크기이다. 성남 지역의 건넌방도 중부지역의 일반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며, ‘걸음방(혹은 거름방)’이라고 칭한다. 건넌방의 출입문은...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건중(建中). 호는 강암(彊菴).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양. 강화 출신. 호는 건초(建初).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인 홍익한(洪翼漢)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의 건물, 구조물 등을 쌓아 만드는 일 또는 사람이나 물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구축물. 건축의 범위와 종류는 매우 광범위하여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집이나 궁궐, 사찰, 관아 건물은 물론이고, 성곽, 교량, 탑, 부도, 심지어는 무덤까지도 건축의 범위에 속한다. 또 그 재료에 따라서도 나무로 만든 목조 건축, 흙으로 만든 토축 건축, 벽돌로 만든 전축 건축, 돌로 만든...
-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 높이 534.7m로, 청량산(淸凉山)[479.9m]과 함께 광주산맥의 지맥으로서 남한산성과 연결되는 산줄기를 이루는 산이다. 탄천이 중앙부를 북류하고 그 좌우에 지류가 발원하는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凹형을 띠고 있다. 성남시의 지세에서 동쪽의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서쪽에 위치하는 청계산(淸溪山)[618m] 줄기와 함께 전체적...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스스로 공부하며 예절 바른 어린이 육성’이다.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건강한 어린이, 올곧은 마음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꾸준히 노력하고 스스로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스스로 공부하며 예절 바른 어린이 육성’이다.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건강한 어린이, 올곧은 마음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꾸준히 노력하고 스스로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결성장씨는 350여년 전부터 세거하기 시작했다. 결성부원군 장사(張楒)의 18세손으로 병조참판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역임하였으며 장씨 8관(八貫)의 족보를 10년간에 편찬한 장취오(張聚五)[1684~1770]가 그의 부친인 절충장군 장시서(張時瑞)[1653~1706]의 묘를 쓰고 서울에 살았다. 그후 취오의 장손 장이검(張履儉)이 광주에서...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택중(擇仲), 호는 견제(謙齋)이다. 아버지는 증호조참판 유유(柳柔)이며, 어머니는 광흥수(廣興守)를 지낸 임지재(任文載)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과 여주를 잇는 간선철도. 2000년대 중반 이후 광주시 개발로 인구와 자동차가 늘어나면서 3번 국도의 교통 정체가 심해지자 건설 계획에 착수했다. 성남과 여주를 잇는 경강선은 3번 국도인 제2경인고속도로 여수대로나들목부터 광주원주고속도로의 초월나들목, 영동고속도로의 이천나들목를 잇는 도로의 혼잡을 해소하기 위한 대체 구간이다. 성남시 판교역부터 여주시 여주역을 잇는 경...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회단체. 경기가정상담소는 가난한 자, 약자 등 번민하는 이웃의 편에서 이들의 인권 옹호에 필요한 법률 구조 사업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가정의 평화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성남·광주·용인 지역의 교사들로 구성된 음악 단체. 경기교사리코더합주단은 리코더를 연주·보급하며 연주 기법 및 교육 기법의 연구를 목표로 하는 70여명의 교사 및 일반회원들로 이루어진 음악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육 행정 기관. 경기도 성남교육지원청은 교육 격차 해소로 교육 복지 실현, 주도성과 창의성을 키우는 학교 교육과정 지원을 지표로 삼고 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의 신도시 개발 정책 업무를 담당했던 행정 기관. 서울시는 1968년 5월 7일 건설부로부터 광주군 중부면 일대[지금의 성남시]에 광주대단지 조성사업 개발 인가를 받았다. 광주대단지는 서울시의 무허가건물 철거민을 정착시키기 위한 이주단지로, 다음 해 4월 공사에 착수하였고, 5월부터 서울시 철거민들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당시 광주군은 ‘광주군 성남지구 도시건설사업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었던 공공 의료 기관. 1969년 5월 2일 광주군 보건소 관할로 입주한 뒤 같은 해 12월 5일 광주군보건소 성남지소로 개소하였다. 1972년 4월 20일에 경기도 성남출장소 보건진료소로 개칭하여 1973년 7월 1일에는 시제실시로 성남시보건소로 개칭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경기도 장애인정보화협회 소속 지회. 장애인의 정보화추진으로 사회참여의 기회를 확대하고 재활자립을 위한 여건을 조성함과 동시에 소외계층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여 장애인 및 소외계층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협회이다....
-
1대부터 11대까지 있었던 국회의원 경기도 선거구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제4선거구는 광주군, 이천군, 여주군이 포함되는데, 이때 성남은 광주군에 포함되어 투표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소속 지회.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성남시지회는 여성의 권익 증진과 지위 향상, 지역사회의 발전과 사회봉사를 목적으로 하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소속 지회로, 성남시 평생학습관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소속 지부.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성남지부는 2002년에 설립하였으며 굿위원회, 극위원회, 음악위원회, 문학위원회, 춤위원회, 시각매체위원회, 무예위원회, 사진위원회 등 8개의 갈래[장르]위원회가 있다. 각계 시민 사회 단체와 연대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바람개비 콘서트, 백중제, 송년아리랑, 해맞이 한마당 등 성남 시민...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회교육 시설이다. 경기성남교육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경기도에서 설립...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여성 미술 단체. 2002년 2월 1일 분당에서 24명이 모여 발기인대회를 열고 초대 회장에 조영실을 선출하였다. 6월 24일~30일에 분당여성문화회관에서 창립전을 개최한 이래, 7월 1일~30일에 허수아비갤러리에서 초대전을, 7월 20일에 가평군 명지산에서 야외스케치 행사를 개최하였다. 2003년 6월 24일~30일에는 수원미술관에서 제2회 정기전을, 200...
-
고려 및 조선시대에 경기도를 좌, 우로 분할하여 설치한 행정구역. 고려 현종 9년(1018) 정주(貞州), 송림(松林), 임진(臨津), 토산(兎山), 임강(臨江), 적성(積城), 파평(坡平), 마전(麻田) 등 여러 고을을 상서도성(尙書都城)의 직할이 되게 하고 처음으로 ‘경기’라 하였다. 경기는 ‘서울을 에워싼 문지방’이란 뜻이다. 이 지역은 후에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양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국악 전문 청소년 관현악단. 1988년 정길선이 세경가야금연구소를 개설한 후 가야금뿐 아니라 거문고, 대금, 해금, 피리, 사물놀이, 단소 등 국악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학원으로 확장하게 되면서 학원 수강생과 경기도 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주축으로 하여 1995년 3월 경기청소년국악관현악단을 창단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로(景老), 호는 사암(思菴)이다. 증 호조참판 정비(鄭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직(司直)을 지낸 정형운(鄭亨耘)이고, 아버지는 예문관대교 정전(鄭荃)이며, 어머니는 거창신씨(居昌愼氏)로 증 이조판서 신극정(愼克正)의 딸이다. 부인은 이인홍(李仁弘)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창원. 자는 경명(景明)이다. 부총관 황채(黃寀)의 양자이며, 생부는 황동(黃東)이다. 증 호조참판 황유사(黃有師)의 손자이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구서 인터체인지)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한남대교 남단에 이르는 고속도로. 연장 425.48㎞, 왕복 4~8차선 도로이다. 1960년대 정부는 제2차 경제개발계획의 성공적 추진과 당면 최대과제였던 육로수송체계의 개혁을 위해 국토를 종단하는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키로 하였다. 그리하여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전구간을 준공,...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과 서울시 서초구 경계의 상행선 고속도로변 우측에 세워져 있는 기념비. 1968년 2월 1일 경부고속도로 건설의 시작을 알리는 첫 발파 지점에 당시 공사에 최초로 투입되었던 국군 용사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80년 2월 15일 한국도로공사 사장 박기석(朴基錫) 명의로 건립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경석(景錫), 호는 고암(顧菴) 또는 순암(順庵)이다. 아버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 증조부는 정수강(丁壽崗)이다. 어머니는 군수 송세충(宋世忠)의 딸이고, 부인은 정형(鄭衡)의 딸이다....
-
근대 개항기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경석(敬錫)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경신연합회 소속 성남 지역 지부. 경신연합회는 1950년대 말 전국의 무당과 점복자(占卜者)를 중심으로 결성된 경신회(敬信會)가 그 모체이다. 경신회는 한국의 무속을 연구 개발하고 보존하려는 목적으로 성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여성 복지 단체.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성 불평등으로 인한 폭력으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고 성평등 사회의 주체자로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여성 복지 증진에 기여할 목적으로 경원사회복지회를 설립하였다....
-
양나라 보창과 승민 등이 정리한 불교백과전서 『경율이상』을 고려의 분사대장도감에서 간행한 서책. 『경율이상』은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보창(寶唱)과 승민(僧旻) 등이 정리한 불교백과사전이다. 불교도의 실천 윤리와 도 닦는 방법 등을 포함해 불경의 진리와 계율을 찾아보기 쉽도록 분류해놓았다. 『경율이상1책권1-6』은 1242년(고려 고종 30)에 『경율이상』을 선장본(線裝本) 6...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인(景仁)이다. 아버지는 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경인지방통계청 소속 사무소. 경인지방통계청 성남사무소는 경인지방통계청 산하 기관으로 경기도의 성남시, 광주시, 용인시, 이천시, 여주시를 관할하고 있으며, 산업·서비스·물가·고용·가계·농수산 경제와 사회 분야의 각종 통계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시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분배·소비하는 활동이나 물자·용역을 만들어내는 활동. 지난 50여 년간 한국은 경이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1953년 경제 규모는 GDP 473억 원이었으나 2000년에는 545조 원으로 1만 배 증가했다. 일인당 국민소득도 1962년 85달러[2000년 달러 기준 381달러] 수준이던 것이 급속히 증가해 1990년대 중...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노상리[옛골]에 김창환(金昌煥)[1924년생]의 10대조인 김두희(金斗熺)의 아들 김복경(金復慶)[1694~1774] 때부터 세거한 것으로 전하여진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의 창말[창곡(倉谷)]에 처음 정착하였다, 건원릉 참봉을 지낸 배한손(裵漢孫)[1564~1645]의 부친 배충과(裵忠果) 때 이주하여 대대로 살았다. 창말의 배수만(裵壽萬)[1922년생]은 그의 14대손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국당공 월성부원군 이천(李蒨)의 후손이다. 이희종(李稀鍾)[1909년생]의 14대조 이배(李培)는 경기도 광주시 서부면 말미산에서 살던 중 마침 왜란을 당하여 왜놈을 잡아 말 두 필에 얽어매고 도망가다가 처치하고 평북 가산으로 가서 살았다. 그후 아들, 장손은 놔두고 두 손자를 데리고 다시 정림(定林)으로 와서 살다가 별세하자 대왕면 천곡(泉...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중원구 도촌동 양짓말 또는 섬말[島村]이라고도 부르는데 양경공파의 정광환(鄭光煥)[1538~1610]이 경기도 고양시에서 이주하여 정착한 이래 자손이 세거하여 왔다. 정광환은 정운룡(鄭雲龍)의 차남으로 성남시내 도촌동, 고등동, 태평동 경주정씨의 파조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화숙공파 최병서(崔炳序)[1916년생]의 13대조인 최덕지(崔德枝)[1628~1684]부터 자리를 잡고 세거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덕지의 손자 최삼곤(崔三崑)[1725~1780]은 무과에 합격, 첨정이었고, 증손 최완진(崔完鎭)의 3남 최홍량(崔弘良)[1808~1862]은 고금도 수군첨절제사어모장군 전라우수군을 역임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사회 공공 안녕과 질서를 담당하는 경찰 행정 관서. 성남시에는 경기남부경찰청 산하의 성남수정경찰서[수정구], 성남중원경찰서[중원구], 분당경찰서[분당구]가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 나들목과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 교차로를 잇는 주요 간선도로. 경충대로는 경기도 이천시, 여주시, 광주시, 성남시를 잇는 도로이다.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교차로에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여수사거리, 성남IC까지 이어지는 길이 70.7km, 왕복 4~6차로의 대로이다. 전 구간이 국도 제3호선의 일부였으며, 경충산업도로, 경충국도라고 불리기도 했...
-
24절기의 하나. 우수와 춘분 사이에 들어 있으며, 양력으로는 3월 5일경, 음력으로는 2월 중이 된다. 이 날을 ‘개구리 우는 날’ 또는 ‘개구리 나오는 날’이라고도 부른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군칙(君則), 호는 동리(東里)이다. 예조좌랑을 역임한 정진의 증손이고, 좌의정 정언신(鄭彦信)의 손자로, 정율(鄭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호준(元虎俊)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조몽정의 묘. 조몽정[1535~1593]은 조선 전기의 인물로 본관은 창녕, 자는 응길(應吉), 호는 경헌(敬軒)이다. 호조좌랑 조언박(曺彦傅)의 아들로 11세에 부친상을 다하자 어른들처럼 묘 아래에 제실을 짓고 정성을 다하여 효자로 칭송을 받았다. 향시에 응시하여 여러 차례 추천되었으나 부모를 봉양하기 위하여 관직에 나아가지 않는다는 지조를 지...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령(昌寧). 자는 응길(應吉). 호는 경헌(敬軒). 무과를 거쳐 부사를 지낸 조등(曹璒)의 증손이고, 문과에 합격하여 관찰사를 지낸 조한필(曺漢弼)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문과에 합격하여 호조좌랑을 역임한 조언박(曺彦博)이며, 어머니는 윤유(尹瑠)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유생. 본관은 창원. 자는 계명(啓明)이고, 돈녕부도정 황세구(黃世耈)의 장남이다. 송문(宋炆)의 문인이다....
-
백씨는 숭신여중을 거쳐 숭신여고를 다녔다. 집이 있는 태평동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은 산길이었다. 초가을이면 코스모스가 하늘거리던 길이었지만, 가끔씩은 무서운 곳이기도 했다. “그 길이 지금도 아주 생생해요. 뒷길이 다 산길이었어요. 사고도 많이 보고 사람도 죽고, (거기서요) 예. (어쩌다가 사람이 죽어요) 그때 당시 어렸을 때 충격 먹은 게, 무슨 쫓아갔는데 살인 사건이래요. 뭘...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계원(季元)이다. 할아버지는 전성군(全城君) 이변(李忭)이며, 아버지는 광천군(廣川君) 이수린(李壽麟)이고, 어머니는 파평윤씨로 윤엽(尹燁)의 딸이다. 부인은 남준원(南俊元)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사립 특수목적 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는 기초 기본 학력 강화, 전인교육을 추구하는 인성교육 강화, 창의성 계발을 위한 학교 모습 갖추기, 긍지와 믿음이 충만한 교육 풍토 조성, 지역공동체와의 차원 높은 연계성 모색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사립 특수목적 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는 기초 기본 학력 강화, 전인교육을 추구하는 인성교육 강화, 창의성 계발을 위한 학교 모습 갖추기, 긍지와 믿음이 충만한 교육 풍토 조성, 지역공동체와의 차원 높은 연계성 모색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에서 활약한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계윤(季胤) 증조할아버지는 광주 향리인 이당(李唐)이며 할아버지는 고려 말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둔촌(遁村) 이집(李集)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계익(季益)이고, 좌의정 효순(孝純)의 셋째 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계초(啓初). 광국공신(光國功臣)으로 칠계군(漆溪君)에 봉해진 윤탁연(尹卓然)의 손자이다. 한성부 서윤(庶尹)이자 임란 당시 순절하여 충장공(忠莊公)에 봉해졌던 윤경원(尹慶元)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정연(鄭演)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때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계휘(季輝), 호는 추담(秋潭). 오경민(吳景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오희문(吳希文)이고, 아버지는 오윤해(吳允諧)이며, 어머니는 최형록(崔亨綠)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산이나 언덕을 넘어 다니도록 길이 나 있는 비탈진 곳. 성남 지역의 고개는 크게 인접한 행정구역과 경계를 이루는 산지에 형성된 것과 도시 내부에 형성된 고개로 구분할 수 있다. 성남시는 검단산(黔丹山), 문형산(文衡山), 불곡산(佛谷山)으로 이어지는 동쪽의 산지와 청계산(淸溪山), 백운산(白雲山), 인릉산(仁陵山)으로 이어지는 서쪽의 산지로 둘러싸여 남북으로...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개최되었던 고등 학생들의 연극제. 성남고교연극제는 성남종합예술제의 한 분야로 성남 관내 청소년 연극 인구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한국연극협회 성남지부에 주최하였던 연극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유원지. 낙생유원지는 경기도의 성남시와 용인시의 행정 경계에 있는 낙생저수지 주변에 조성된 유원지로, 낙생저수지의 이름을 따서 ‘낙생유원지’라 명명하였다.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과 인접하여 고기리 저수지라고도 부른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위치하는 저수지. 낙생저수지는 1961년 준공한 분당 지역 최대 규모의 저수지이다. 용인시 고기동에 면하고 있어 고기리저수지라고도 불리며, 저수지의 제방 둑이 예전 낙생면 관내에 해당하여 낙생저수지라 명명하였다....
-
경기도 성남 지역의 고대 역사에 관한 개관. 한강으로 흐르는 탄천 주변의 비옥한 평야가 있는 성남 지역은 사람들이 살기에 적합한 지역으로 약 1만년 전 후기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던 지역이며, 삼국시대에는 서로 차지하려고 다투던 지역이었다. 신라는 성남 지역을 비롯한 한강 유역을 장악하여 삼국시대 말부터 삼국 통일을 이루기까지 정치적인 측면은 물론 경제와 문화적인 측면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고등동과 시흥동 사이 상적천을 가로지르는 대왕판교로에 설치된 다리. 다리가 놓인 행정구역 지역 명칭인 고등동을 인용하여 고등교라고 이름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행정동인 고등동은 법정동인 고등동, 상적동, 둔전동을 관할하고 있으며, 인근에 공군성남기지[성남비행장]가 있어 대부분 지역이 개발제한구역과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서 발굴된 조선 시대 단양 우씨의 회격묘. 고등동 단양 우씨 회격묘는 경기도 지역의 대표적 동인 가문인 단양 우씨의 무덤으로 16세기에 조성된 것이다.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서 수행된 문화유산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것으로 5기의 회격묘[4, 6, 7, 8, 10호]가 확인되었다. 회격묘는 사대부 묘제로 『국조오례의』에 그 조성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특...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에 있는 덕수이씨의 선영. 이의번[생몰년 미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증좌찬성 이추(李抽)의 아들이며, 군호는 풍성군(豊城君)이다. 성종 때 인능산 아래 고등동 등자리마을에 이의번의 묘를 쓰고 그의 아들인 해풍군(海豊君) 이함과 후손들이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덕수 이씨 이우의 묘에서 출토된 토제 지석. 고등동 덕수 이씨 이우 토제 지석(誌石)은 조선 명문가 출신 이우의 무덤에서 나온 묘지문 기록이다. 과거에는 망자의 인적 사항이나 무덤의 소재 등을 판석에 기록해 무덤에 묻었다. 2017년 공공택지개발 사업 당시 이우 선조의 묘역을 이장하는 과정에서 출토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조선 후기 이위(李暐)[1839~1921]의 묘에서 출토된 청화백자 지석. 고등동 덕수이씨 이위 청화백자 지석은 2017년 공공택지 개발 사업 당시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산23-8번지에 있는 덕수 이씨 묘역을 이장하는 과정에서 이위의 묘에서 출토되었다. 지석에는 본관과 이름, 조상의 계보, 생일과 죽은 날, 평생 행적, 가족관계, 무덤 의 소재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에서 매년 마을의 주신인 산신에게 제사지내는 동제. 등자리마을을 지켜주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기원하는 동제(洞祭)의 일환이다. 과거에는 마을 사람 중에서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서 제관을 선출하였으나, 마을 주민인 이순희씨(1930년생)에 의하면, 마을 밑에 용천사라는 절이 생긴 후에는 용천사에서 제를 맡아서 행한다고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에 있는 당집. 고등동 등자리마을을 지켜준다고 믿는 수호신을 모신 당집으로 산제당(山祭堂)으로도 불린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성남지구 소속 성당. 판교신도시가 개발되며 신자 수가 증가하자 2021년 6월 15일 성남동성당에서 고등동성당이 분립되었다. 천주교 수원교구에서는 2022년 5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성당 신축 공사를 진행하였으며, 2023년 10월 14일 고등동성당 입당 감사 미사를 봉헌하였다. 천주교 수원교구 의왕성당에서는 202...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시흥동과 고등동 일대 고등공공주택지구 안에서 동서로 연결된 시도. 고등로는 고등공공주택지구 안에 신설한 도로이다. 고등공공주택지구 내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로지르는 도로로서, 대왕판교로 토끼마당삼거리 교차점에서 서쪽으로 청계산로 연내울 교차로까지 이어진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던 옛 행정구역. 1910년대까지 고등리는 크게 고산리(高山里)와 등자리(登子里)로 구분되었는데, 고산리는 안말, 웃말, 길아래, 주막거리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등자리는 인릉산 아래 지역을 말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전의 광주군 대왕면 고등동]에서 매월 2, 7일에 개설되었던 정기시장. 조선시대의 상업은 이른바 5일장이라고 하는 장시(場市) 체계를 매개로 발달하였고, 18세기 후반에 오면 장시망이 포화상태에 이른다. 성남지역의 장시 개설상황을 시기별로 보면, 조선 후기에는 판교장과 낙생장이 있었는데, 19세기 후반경 일시 소멸하였다가 1938년~1955년에 1, 6...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고등 보통교육 및 실업 전문교육 기관. 성남 지역의 고등학교는 보통교육을 주로 실시하는 인문계 고등학교와 전문교육을 주로 실시하는 전문계[실업계]고등학교, 특수목적고등학교로 구분하며, 설립자에 따라 공립고등학교와 사립고등학교로 구분한다. 고등학교 입학 자격은 중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규정하며, 수업...
-
936년 후백제 멸망 이후부터 1392년까지 고려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의 경기도 성남 지역 역사. 성남은 후삼국시대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 지역으로 궁예의 태봉에 속하였다가 왕건의 고려에 귀속되었으며, 삼국시대부터 정치 군사적으로 중시되어 온 곳 가운데 하나였다....
-
고사를 지내는 목적으로 신앙되는 나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 입구나 혹은 마을 안에 위치한 오래된 나무 앞에 음식을 진설하고 고사를 지내는데, 이러한 나무를 ‘고사나무’라 한다. 또한 제당의 중심을 이루는 신체(神體)로서, 신목으로(神木)으로 표현되는데, 성남지역의 고사나무는 회화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등의 수종으로 나타난다....
-
강강술래의 한 대목으로 부르는 유희요의 하나. 고사리꺾기를 모방한 데서 생겨난 것으로, 흔히 고사리꺾기, 고사리꺾자라고도 한다....
-
탁발승이나 직업적인 걸립패들이 걸립 때 고사상을 차려놓고 부르는 노래. 고사의 종류에 따라 성주고사, 별고사, 홍패고사, 백패고사 등이 있다. 탁발승, 절걸립패, 낭걸립패에 따라 순서나 의식 절차는 다르지만 집안에서 고사를 지내는 경우에 고사반을 차리고 고사선염불과 뒷염불을 부르는 것은 비슷하다. 추수가 끝났을 때 많이 행해졌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성백(成伯), 호는 임계(林溪), 고산(高山)이다. 현감 윤형갑(尹衡甲)의 아들이며, 남양부사 윤계(尹棨)의 아우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관할에 있는 엣 지명. 인릉산(仁陵山)의 지맥을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등자리가 있었던 마을로서, 안말, 웃말, 길아래, 주막거리로 불린다. 안말과 웃말에는 덕수이씨가, 길아래말에는 경주정씨(慶州鄭氏)가 각각 살았었다. 그리고, 주막거리(새술막)은 덕수이씨(德水李氏)의 마을로 전하여지고 있으며, 새술막은 주막거리에 한국동란 이후 술집이 새로 생겨 붙여진...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중말에는 고려 말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의 문인으로 태종을 도와 공신이 되고 세종 때에 좌의정을 지낸 이원(李原)[1368~1429]의 6세손 이오(李墺)가 병절교위로 서울에 살다가,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세거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는 양짓말 언덕에 느티나무를 네 그루를 심고 그의 호를 사괴정(...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경석(景錫), 호는 고암(顧菴) 또는 순암(順庵)이다. 아버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 증조부는 정수강(丁壽崗)이다. 어머니는 군수 송세충(宋世忠)의 딸이고, 부인은 정형(鄭衡)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소속 지청.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은 경기 동부 지역인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하남시, 여주시와 양평군을 관할하고 있으며, 실업자에 대한 실업급여 지급, 구직자에 대한 맞춤형 일자리 제공, 근로자의 권익 보호와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근대 이전에 제작된 옛 지도. 고지도는 지도가 제작된 그 시대의 여러 상황이 반영되며, 만든 목적에 따라 지도에 실린 내용이 달라진다....
-
아내 자랑하는 사람은 팔불출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궁씨는 아내가 고맙고 자랑스럽다. 아내는 1남 1녀의 아들 딸을 잘 키웠다. 딸은 대학에 다니고 아들은 대학을 준비 중이다. 그 아이들은 궁씨의 고향인 상대원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고 보니 아이들의 고향도 상대원이다. “우리 아들 딸은 빨리 가자 왜 여기 살고 있냐 난 이유를 모르겠다 라는 쪽이에요 특히 아들네미가 그런 주장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서 광주시 직동의 곧은골로 넘어가는 고개. 곧은골고개는 고개가 길어서 장현(長峴)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예전에 율동, 서현동, 분당동, 이매동 등지의 사람들이 광주 관아에 가거나 경안장을 보러 갈 때 주로 이 고개를 이용하였으므로 장고개[場峴]라 부르기도 한다....
-
지금의 상대원은 거의 차댈 데가 없을 정도로 도로를 차들이 점령하고 있다. 하지만 지석태가 자랄 때만 해도 거의 차가 없었고, 당시에는 체구도 작아서 동네길도 운동장처럼 느껴져서 동네만큼 놀기 좋은 곳도 없었다. 초등학교 시절을 떠올리면 바로 거기서 동네 친구들이랑 뛰어 노는 게 지석태에게는 제일 큰 재미이자 즐거움이었다. 그 곳에서 지석태는 평생 알아야 할 놀이나 게임의 8할을...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예(子藝). 할아버지는 함길도관찰사 한혜(韓惠)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익대좌리공신(翊戴佐理功臣) 한계희(韓繼禧)이며, 어머니는 증호조참판 여계(呂稽)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공거(公擧). 신유(申愉)의 손자이며, 통덕랑 신명직(申命禝)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 일대에 있는 군용비행장. 공군성남기지는 군용 항공기 이착륙장으로 사용된 군용비행장이며, 대한민국 공군이 관할하는 공군 기지로 군용기뿐 아니라 대통령 전용기나 외국 귀빈이 주로 이용한다. 이 때문에 서울공항으로 불리기도 하며, 성남에 있는 비행장이라 성남비행장으로도 부른다....
-
구보는 14살부터 일을 했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집에서 출퇴근 하거나 공장 기숙사에 들어가거나 혹은 혼자서 자취 생활을 하기도 했다. 공장 생활을 시작한 것은 전구를 만드는 공장이었다. 공단에서 사람을 구한다는, 동네에 떠도는 소문을 따라 찾아갔었다. 구보는 그곳에서 완성된 전구에 불이 켜지는지 검사했다. 1년 정도 했고 곧 옮겼다. 야구 글러브 공장에서는 글러브에 솜뭉치 같...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성남대로 모란시장 부근 동쪽 방향으로 분기하여 하대원동을 거쳐 상대원동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공도(公度)이다. 윤탁연의 3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 건축물에 여러 세대가 거주할 수 있도록 지어진 공동 주택. 다세대 주택은 1개의 주택에 여러 가구가 거주하도록 지어진 주택이며, 건축법 시행령의 규정에 의하여 공동 주택의 하나로 분류된다. 다세대 주택은 한 동의 연면적이 660㎡ 이하(주차장 면적 제외)인 4층 이하(지하층 제외)의 주택이어야 한다. 단독주택인 다가구 주택과는 다르게 공동 주택의 하나인 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성남 지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사회 복지 시설. 1980년대 중반 저소득층 가정의 경우 자녀들이 유기·방치되는 사태가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으나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책이 부재하여 민간단체, 종교단체, 사회운동단체들이 나서서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문화 공간으로서 공부방을 설립하였으며 저소득층 지역을 중심으로 비영리, 자원봉사 중심으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 있는 시민들의 보건·휴양·놀이를 위해 설치한 공원시설이나 공공녹지. 공원을 의미하는 파크(park)는 본래 영국에서 왕족과 귀족들이 독점하고 사용하던 수렵장이나 대정원으로서, 중세부터 19세기 중엽에 걸쳐 봉건제도의 붕괴와 함께 개방되어 퍼블릭 파크(public park)가 되었다. 현재는 퍼블릭(public)이라는 단어를 붙이지 않더라도 파크(park)만으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를 연결하는 시도. 공원로는 수정구와 중원구의 중심 주택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로 경충대로, 둔촌대로, 산성대로, 수정로 등과 차례로 교차한다. 공원로의 산성대로-수정로 구간은 수정구의 신흥2동과 신흥3동, 수정로-태평로 구간은 수정구의 신흥2동과 태평4동, 산성대로-둔촌대로 구간은 중원구 상대원동의 행정구역 경계가 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의 하대원동과 중앙동을 연결하는 터널. 공원터널은 분당구 야탑동 매화마을과 중원구 도촌동-수정·중원 본시가지-위례신도시를 연결하는 남북축 주요 간선도로인 공원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통정체 해소와 도심의 균형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1997년 9월 19일 착공하여 2001년 11월 30일 개통되면서 광명로에서 공단로까지 이어져 중앙동과 하대원동을 연결하게...
-
경기도 성남시의 풍경, 풍속, 문물, 사적 등을 구경하는 일. 관광은 독일어의 ‘프렘덴베키아(Fremdenverkehr)’, 영어의 ‘투어리즘(tourism)’ 또는 ‘투어리스트 무브먼트(tourist movement)’에 해당하는 말로 이들 모두는 외래자, 여행자의 이동을 의미한다. 원래 투어리즘은 사람들의 일시적인 이동을 의미하는 ‘투어(tour)’에서 파생한 말로 라틴어의 ‘...
-
고려시대 지방 행정구역인 10도(道)의 하나. 고려 초기 지방제도의 정비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설립된 행정구역으로, 995년(성종 14)에 중국 당나라의 제도를 모방하여 10도제(道制)를 실시하면서, 양주(楊州), 광주(廣州), 황주(黃州), 해주(海州) 등 개경을 둘러싼 지역에 관내도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때의 10도제가 형식적인 제도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관내도 역시 행정기구로...
-
육지내륙 또는 변경지역에 외침에 대비하기 위해 축조한 유적. 관방유적은 봉수, 돈대, 산성 등 국경의 방비와 관련된 모든 유적을 지칭하는 용어로 해방유적(海防遺蹟)에 대비되는 용어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령(昌寧). 자는 관부(寬夫). 무과를 거쳐 부사를 지낸 조등(曹璒)의 손자이고, 문과에 합격하여 관찰사를 지낸 조한필(曺漢弼)의 양자이다. 승지를 지냈고 창성군(昌城君)에 봉해진 조계형(曺繼衡)이 생부이다. 어머니는 이승원(李承元)의 딸이며, 부인은 윤유(尹瑠)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출신이다. 자는 관오(貫吾)이고, 이후식(李厚植)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광명로는 성남대로 모란삼거리에서 동동북(東東北) 방향으로 나뉘어져 황송길 금광삼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형광등용 등가구 등 제조업체. 광명전기는 1979년 12월 31일 설립되어 1986년 한국무역협회에 가입했고, 1991년에는 병역특례업체로 선정되었다. 동사는 기술력을 인정받아 UL, 실용신안권, 의상권, KS, Q-MARK 등 많은 인증을 획득하였고, 특히 3건의 특허를 획득한바 있다(83년 균일두께를 유지하는 도장방법과 장치 특허, 95년...
-
김흥광을 시조로 하는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 광산(光山)은 현 광주광역시이다. 김흥광(金興光)을 시조로 하는 광산김씨(光山金氏)는 고려조에서 8대 평장사를 배출하고, 조선조에서 왕비 1명, 상신 5명, 대제학 7명, 청백리 4명, 공신 7명, 문과 급제자 265명을 배출하였다. 여말 선초에 김약채(金若采), 김약항(金若恒), 김약시(金若時)의 3형제 대에서부터 번창하기 시작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자연 마을. 판교동 너더리마을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 이곳의 운중천 가에는 50여평 되는 큰 바위가 깔려 있고 근처에 느티나무가 있어 정자나무로 이용되었다. 특히 이 바위는 지나는 길손이 머물기 좋았으므로 광암(廣岩) 또는 너븐바위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현재는 이 너븐바위에 해당하는 바위를 확인할 수가 없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광물을 탐사하고, 이것을 채굴해서 제련 과정을 통해 유용 광물을 선별하는 산업. 광업은 농업과 함께 인간 문명 발전의 기간(基幹)을 이루는 2대 산업이다. 광업은 1차 산업인 농업, 수산업 이어 2차산업으로 분류하지만 각종 제조업과는 크게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광업은 역사가 오래된 기초 산업으로서 인간의 문화 발달의 역사는 광물의 채굴과 가공에 의한 금속,...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광주 이씨 둔촌(遁村) 이집(李集)의 후손 묘역.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일대 광주 이씨 묘역은 3곳으로 나뉘어 있는데 청백리 이지직(李之直)[1354~1419], 광원군 이극돈(李克墩)[1435~1503], 감사공 이세정(李世貞)[1461~1528], 관찰사공 이예손(李禮孫)[?~1459] 등의 묘역이 자리 잡고 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의 치안을 담당했던 광주경찰서 소속 지서. 1954년 지금의 성남지역 치안 유지를 위해 광주군 중부면에 광주경찰서 중부지서가 설치되었는데, 1966년 7월 1일 성남출장소로 개칭되었다. 이후 광주대단지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인구가 늘어나자 1969년 7월 1일 성남지서로 승격되어 명실공히 성남지역 치안을 책임지게 되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의 치안을 담당했던 광주경찰서 소속 지서. 1954년 설치되었는데, 1966년 7월 1일 성남출장소로 개칭되었다. 이후 광주대단지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인구가 늘어나 치안문제가 현안과제로 떠오르자 1969년 7월 1일 성남지서로 승격되어 명실공히 성남지역 치안을 책임지게 되었다. 이 성남지서는 1971년 성남경찰서로 승격되었고, 1991년 성남남부경찰서가 신설되고 1...
-
1933년 석혜환 등이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설립한 사회주의 노동운동 단체. 광주공동조합의 전신은 남한산노동공조회이다.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에 근거했던 이 단체는 광주서의 탄압으로 1933년에 광주공동조합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조직의 강화를 도모하였다. 일제의 경찰 감시를 피하는 한편 지하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재편책에서 시도된 것이다. 광주공동조합은 성남지역이 수공업주의 공업 기반에...
-
경기도 광주시에 있었던 행정지명. 갑오경장 이후 새로운 행정제도 개편에 따라 이전의 전국 행정구역체제였던 팔도 및 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의 편제는 1895년(고종 32) 5월 26에 23부와 군, 즉 이원적으로 구성되게 되었다. 광주 역시 군으로 개칭되면서 한성부의 관할이 되었으며, 개편 다음해인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로 발표된 「지방제도관제봉급경비개정의 건」에 의...
-
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도시개발사업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구. 서울특별시가 광주군 중부면 관할구역에 주택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자 행정체제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서울시에서는 1969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중부면대단지사업소’라는 기구를 설치하였고, 같은 해 8월 1일 광주군에서는 서울시의 대단지 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광주군 성남지구 도시건설사업소’를 설치하여 중부...
-
1946년 광주군 중부면 내 6개 리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출장소의 명칭. 오늘날의 성남시의 모태가 된 성남시 지방행정사의 기원은 광주군 중부면 성남출장소이다. 본래 1906년 일제 통감부 체제하에서의 칙령 제 49호 ‘지방구역정리’ 때만 해도 광주군에는 중부면이 없었으나, 1910년 11월 10일에 총독부령 제8호로 공포된 ‘면에 관한 규정’에 의하여 중부면이 산성리 935...
-
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설치한 사업 조사단체. 1971년 8.10사태를 전후하여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의하여 추진되어 오던 광주대단지 개발계획이 노출되면서 우선적으로 개발주체부터 변경을 서둘렀는데 사태가 일어난 지 한 달 후인 9월 8일 내무부장관실에서 장관 주재하에 내무차관, 서울시장, 경기지사와 실무책임자인 내무부지방국장, 서울시 기획관리관, 경기도 기획관리...
-
1968년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일대에 조성된 일단의 주택 단지로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의 모체. 광주대단지는 서울시의 빈민가 정비 및 철거민 이주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위성 도시로 현 성남시의 모체가 되었다. 당시 서울시는 곳곳의 무허가 건물에 대한 억제책을 수립하면서 서울로 집중되는 인구와 도시 빈민들에 대한 분산책으로 1968년 5월 7일 건설부로부터 개발 인가를 받아 1969...
-
1971년 당시 성남시지역 주민들이 과도한 택지 분양가격의 시정을 관철하기 위하여 결성한 단체. 이 위원회는 1971년 7월 19일 ‘분양지 불하가격 시정위원회’라는 이름으로 결성되었다. 당시 광주대단지의 제일교회에 와 있던 전 공보처장 전성천(全聖天) 목사를 고문으로 추대하고 동교회 박진하(朴珍夏) 장로를 위원장으로 선출하여 그동안 구심점 없이 불만만 토로하던 주민들이 단번에 단...
-
1960년대 후반 서울시의 인구문제와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시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지금의 성남시]에 조성되었던 대규모 천막집. 1960년대에 들어 서울은 전입인구가 늘어나면서 급격한 인구증가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기존 도시기반시설은 늘어나는 수요를 따르지 못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였으며, 가장 큰 문제는 주택 부족이었다. 서울시의 국공유지에는 무허가건물이 마구 들어서게 되었...
-
1971년 8월 10일 광주대단지 빈민층이 도시화과정에서 파생하는 소외와 개발의 구조적 모순에 반대하여 일으킨 사건. 광주대단지 사건은 그동안 8·10광주대단지 사태, 8·10광주대단지사건 등으로 불렸다. 성남시청에서는 2020년 10월 8일 광주대단지사건 명칭지정을 위한 학술토론회를 개최하였고, 2021년 2월 광주대단지사건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를 개최하여 최종적으로 ‘8·10성남...
-
1969년 광주대단지 조성사업에 관한 업무를 주관하기 위하여 설치한 서울시 산하기구. 서울시는 1968년부터 서울의 인구 팽창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였는데, 그 일환으로 광주군 중부면 관할구역에 주택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위해 설치한 기구로 1969년 9월 1일 광주대단지사업소를 설치하였다....
-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지역의 광주대단지 조성 과정과 신도시 개발의 역사. 광주대단지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벌어진 광주대단지사건은 경기도 성남시 탄생의 배경이 되었으며, 이후 분당, 판교신도시를 비롯하여 여수도촌지구와 위례지구 등의 신도시 역사를 이어 가고 있다....
-
고려시대에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525개의 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치된22개 역도 중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전국에 525개의 역이 있었으며 이들은 22역도에 연결되어 있었다. 이 중 8개 도는 개경 북쪽에 배치되었으며, 청교도(靑郊道)·춘주도(春州道)·평구도(平丘道)·명주도(溟州道)·광주도(廣州道)·충청주도(忠淸州道)·전공주도(全公州道)·승나주도(昇羅州都)·산남도(山南道)...
-
경기도 광주시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행정구역. 983년(고려 성종 2)에 지방관 설치를 통하여 중앙 행정의 지방세력에 대한 통제책의 일환으로 전국을 12개로 분할하여 대단위 행정구획화하는 지방제도 정비에 의하여 설치된 행정구역이다....
-
경기도 광주시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행정구역. 조선이 건국되면서 토착적인 지방 호족·향리의 사적 지배권을 박탈하여 수령의 지배아래 예속시킴으로써, 지방 세력을 약화시키고 행정사역인화시켜 중앙집권적 행정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지방편제에 의해 구획된 8도의 하급행정지역(부·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 중의 하나로서, 1504년(연산군 10) 이후 관읍이 혁파되기 도하고 부 또는 유수부로...
-
일제강점기 때 경기도 광주 지역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한 용인헌병분견대 소속 분견소. 일제의 헌병경찰제하에 광주지역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한 남한산성 용인헌병분견대 소속의 광주지역 분견소로, 정식 명칭은 ‘남한산성 용인헌병분견대 광주분견소’이다. 일제는 조선 강점 전에는 일본 헌병을 주로 도시에 집중 배치되었으나, 강점 후에는 분산 배치 체제로 전환시켜 농촌까지 헌병분견소를 설치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광주이씨는 광주(廣州)의 토성으로 성남을 본관으로 하는 명문이다. 광주이씨의 중흥조라 할 수 있는 고려 말의 이당(李唐)은 광주의 아전을 지내다가 생원이 되었으며, 그의 아들 5형제가 모두 문과에 급제했다. 그 중 둘째아들 둔촌(遁村) 이집(李集)이 고려 말에 이색, 정몽주, 이숭인 등과 깊이 사귀고 고려가 망하자 현재 서울 강동구 둔촌동에...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명(士明)이며, 호는 괴원(槐阮)이다. 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경석(李景奭)이며, 어머니는 전주유씨(柳氏)로 전라감사를 역임한 유색(柳穡)의 딸이다. 이경석의 독자(獨子)로 부인은 숙인(淑人) 보성오씨이며, 뒤에 숙인 기계유씨(兪氏)을 맞았다. 자녀는 보성오씨 사이에 2남 4녀를 두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1동과 이매2동을 연결하는 다리. 방아교는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는 청계산 산지에서 발원하여 운중저수지를 거쳐 운중천이 성남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에 합류하는 지점에 건설된 다리이다. 분당구 이매1동과 이매2동을 연결하는 성남대로779번길에 설치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경기 지역 교사들이 조직한 사물놀이 연구 단체. 사물놀이연구회울림터는 우리 소리를 사랑하는 일선 교육 현장의 교사 모임으로 서울지회, 성남지회, 안동지회 등 3개 지회로 구성되어 있다. 성남지회는 성남을 중심으로 경기 지역 교사 50여 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사물놀이 강습, 매년 2회의 대규모 연수 교육을 통해 우리 소리 보급에 힘쓰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식·기술을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 교육은 인간으로 성장하는 과정이며, 사회인이 되기에 필요한 수단이기도 하다. 개인의 삶과 가정 생활, 사회 생활을 보다 행복하고 가치 있게 만드는 활동이기도 하다. 교육은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선천적 힘을 끊임없는 양육 과정을 통해 계발하여 부단히 자기 발전에 이르게 하는 노력이다. 또 문화나 규범, 풍속...
-
경기도 성남시에서 교육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이나 단체. 성남 지역에 가장 먼저 생긴 근대식 학교는 판교공립보통학교(板橋公立普通學校)[현 낙생초등학교]이다. 1922년 5월 1일 5년제로 개교하였다. 이후 1935년 4월 1일 돌마면 이매리[현 분당구 야탑동]에 돌마공립보통학교[현 돌마초등학교]가 설립되었고, 1936년 4월 10일 남한산공립초등학교 수진리 간이학교가 개교하였...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형원(泂遠). 호는 교촌(郊寸)이다. 별좌 이사제(李思濟)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자동차, 기차 등을 이용해 사람이나 짐이 이동하는 행위. 교통은 사람이나 재화 등이 장소적으로 이동하는 행위를 말한다. 교통은 공간적 거리를 시간적, 경제적으로 가장 효율성 있게 이동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를 실현하려는 교통 수단의 발달은 지역 산업 발전은 물론, 주거 생활에도 획기적인 진보를 가져왔다. 교통 수단은 육상 교통, 수상 교통, 항공 교통으로 나눌...
-
도성 양재에서 해문역(남양)에 이르는 교통로. 양재→ 천천현로→낙생역→구흥(용인)→ 금영(용인)→ 좌찬(죽산)→ 분행(죽산)→ 무극(음죽)→강복(안성)→가천(양성)→청호(수원)→ 장족(수원)→ 동화(수원)→해문역(남양)에 위치했던 역 중의 하나이다. 낙생역지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 파악되고 있지 않지만, 현재 수내 제2동에 위치한 중앙공원 앞의 수내로와 돌마로가 갈라지는 분기점인 역...
-
그리스도교인들의 신앙 집단 혹은 예배 공간. 일반적으로 개신교인들의 그것을 가리킨다. 개신교 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달리 하나의 보편교회가 아니라 처음부터 다양한 교파로 존재하고 있다. 이 교파들은 모두 개신교 교회라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상호 협력관계를 맺고 있지만, 서로 경쟁관계에 들어가기도 한다. 현재 전 세계에는 수백 개의 교파가 존재하고 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구만(九萬)이다.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이승석(李承奭)이고, 어머니는 의령남씨(宜寧南氏)이다. 부인은 밀양박씨(密陽朴氏)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구미공원은 탄천 변을 따라 공원이 자리하고 있어 탄천을 산책하며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공원 면적은 226,188㎡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구미동과 금곡동을 연결하는 다리. 구미교는 분당구와 이웃인 경기도 용인시 수지 지역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동쪽으로 흐르는 동막천이 성남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에 유입하는 지점에 건설된 다리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구미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구미동(九美洞)은 성남시 분당구의 최남단에 있다. 법정동인 구미동은 행정동인 구미1동과 구미동에서 나누어 관할하고 있다. 원래 이 지역에는 가운뎃구미[中九美], 뒷구미[後九美], 골안, 낭떨어지마을, 넘말, 머내[遠川], 벌말, 앞구미, 오리뜰, 잣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었으나 분당신도시 개발로 아파트 및 빌라촌 단지로 바뀌었다. 남쪽으로 용...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탄천 변 근린공원 안에 있는 느티나무. 수령 2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18m, 가슴높이 둘레 92m, 수관 폭 27m의 느티나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어린이공원 안에 있는 느티나무. 수령 2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18m, 가슴높이 둘레 105cm, 수관(樹冠) 폭 8m의 느티나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던 2기의 장승. 구미동 장승은 1960년대까지 당시 용인군과 광주군의 경계를 이루던 지금의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북쪽의 지방도로 옆에 세워져 있다가 분당 신도시가 들어서면서 구미동으로 이전·복원된 장승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구미로는 지하철 수인분당선 오리역 및 성남농수산물유통센터 인근 성남대로에서 동쪽 방향으로 분기하는 길로, 탄천 오리교를 건너 구미동 지역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휘감은 후 다시 미금교를 넘어 금곡로에 이르는 도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시와 구의 최남단에 있는 지역으로서 정자동과 구미동에 걸쳐 있는 해발 312.9m의 불곡산 기슭 서쪽의 평탄면에 있다. 관내 서쪽에서 탄천이 남북으로 흐르며 분당구 금곡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쪽은 광주시 오포읍, 남쪽은 용인시 수지 지역[죽전지구], 북쪽은 분당구 금곡동 및 불정동과 접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중학교. 교훈은 ‘참되게, 슬기롭게, 꾸준하게’이며, 기본 예절을 지키며 남과 더불어 사는 도덕인,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학업에 열중하는 실력인, 일을 슬기롭게 해결하며 창의력을 발휘하는 창조인, 개성을 신장하며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개척인, 세계시민적 자질과 국제 문화 이해 능력을 지닌 세계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중학교. 교훈은 ‘참되게, 슬기롭게, 꾸준하게’이며, 기본 예절을 지키며 남과 더불어 사는 도덕인,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학업에 열중하는 실력인, 일을 슬기롭게 해결하며 창의력을 발휘하는 창조인, 개성을 신장하며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개척인, 세계시민적 자질과 국제 문화 이해 능력을 지닌 세계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바르고 알차고 슬기롭게’이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더불어 살아가는 예절 바른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꿈과 끼를 키워 가는 개성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바르고 알차고 슬기롭게’이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더불어 살아가는 예절 바른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꿈과 끼를 키워 가는 개성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소년 구보의 집은 답십리 개천 주변에 있었다. 이삽십 평 남은 되는 집이었다. 끼니도 어려운 사정이었으니 집의 형편이야 짐작이 가지만, 그래도 어머니에게는 더없는 의지처였다. 하지만 그것도 오래가지는 않았다. 바람은 밖에서 불어왔다. 소년 구보가 초등학교 2학년 될 때쯤 서울은 재개발 바람이 불었고, 소년 구보가 살던 답십리 개천 일대도 철거 대상이 되었다. 구보의 나이 아홉 살,...
-
원다방에서 맞선 봤던 여자를 두 번째 만났을 때 구보는 청혼을 했다. 둘 다 혼기가 찬 상태였고, 서로 바쁘게 사니까 시간 끌 일 없이 결론을 내려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여자 쪽에서도 자기가 마음에 드는 눈치였고 빨리 확답을 바라는 기색이 역력했다. 청혼을 받은 여자도 말 떨어지기가 무섭게 그러자고 대답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여자는 서울 대치동에서 살았고, 신학생이었다. 그리고 목...
-
한 집안의 가장이 된 구보는 구두 공장에 다니면서 구두일 하는 사람들을 많이 알고 있었다. 그들이 그랬다. 직접 구두 수선하는 일을 배워 보라고, 공장 다니는 것보다 보수가 훨씬 낫다고. 그도 그 일을 해보고 싶었다. 한참을 망설이고 생각했다. 한 달 두 달 일 년, 그 이상 고민하고 생각했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신문을 보게 되었다. 구두 세탁과 수선을 함께 하는 사람의 이야...
-
마님발 구두세탁소는 잘 되었다. IMF 경기 한파의 덕을 본 것이 운이 따랐다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보다는 오토바이를 이용한 신속 수거 배달이 사람들에게 먹혔던 것이다. 가파른 언덕배기 많은 상대원 인근에서 오토바이는 영업에 없어서는 안 될 일등공신이었다. 하지만 구보는 그게 늘 불안했다. 언덕배기에서 자칫 오토바이 사고라도 나는 날이면 큰 일이라는 생각이 때때로 머리를 스쳐...
-
집안이 워낙 가난한데다 직장생활하면서 벌었던 돈도 족족 탕진해 버린 터라 모아논 돈이 거의 없었다. 그래도 어머니 집 2층에 신혼집을 차리게 되었다. 어머니와 함께 산 것은 1년 남짓. 1년이 지나자 어머니는 400만 원을 내놓으시며 독립하도록 했다. 구보는 상대원2동에다 보증금 400만 원에 월 10만 원 하는 셋집을 얻었다. 방 하나에 부엌 하나 짜리 집이었다. 지하방은 늘 습...
-
구보의 삶에서 어머니는 조용하면서도 든든한 후원자였다. 그가 이렇게 안정된 삶을 일굴 수 있었던 것은 어머니의 역할이 컸다. 어머니는 삶의 형편을 요리조리 재는 민첩함보다는 그냥 앞만 보고 무뚝뚝하게 살아오셨다. 그의 아내도 여지껏 처음 분양받은 땅에 그대로 살고계신 어머니의 삶이 참 인상적이라며 자주 이야기하곤 했다. “처음 어머니(가 성남에) 들어왔을 때 땅이 막 이렇게 땅으로...
-
구보가 아내를 만난 건 그로부터 2년 정도 지난 후였다. 나이가 서른 즈음이 된 신앙심 깊은 그에게 주변 사람들이 중매를 서겠다고 나섰다. 아주머니들은 언제나 신앙심 좋은 아가씨를 물망에 올려놓고, 청년과의 결혼 생활을 요모조모 그려보고 예상해 보았다. 구보의 집에 세들어 살던 젊은 아주머니도 그랬다. 오랫동안 그를 지켜보고 이만 하면 되겠다는 판단을 하고서, 아는 친구의 여동생을...
-
소년 구보의 형은 집안의 장남이었고 기둥이었다. 형은 똑똑한 편이었고 공부도 좀 잘 했다. 형은 비인가 학교를 졸업했기 때문에 다시 검정고시를 봐야 했다. 그래야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 어머니는 소년 구보는 포기해도 형만은 공부를 계속하기를 바랬다. 구보도 거기에는 별 불만이 없었다. 형이 좀 더 나은 집안을 만들어 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것은 너무 큰 바람이었...
-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위하였던 무신이자 척신. 구인후[1578~1658]는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능성(綾城), 휘는 인후(仁垕), 자는 중재(仲載), 호는 유포(柳浦),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율곡 이이의 학맥을 이어받은 김장생에게서 배웠다.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다....
-
사회주의 노동운동의 세포 조직인 광주공산당협의회에 참여한 운동가. 본적은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 524번지[남한산성로 791]이며 1913년 4월 26일에 출생하였다. 1930년경에는 인천 화평리에 거주하며 안경 및 전기 상점을 운영하였다. 광주공산당협의회 사건에 참여하면서 인천지역에서 인천지역 적색노동조합과 연계를 시도하는 광주공산당협의회 세포 조직원으로 활약하였다. 193...
-
조선 중종 때의 효자. 본관은 능성(綾城). 부모에게 불효가 될까 염려하여 나이 50세가 되도록 장가들지 않고, 60세가 되서야 장가를 들었다. 지성으로 어머니를 섬겨 시종을 게을리 하지 않았고, 어머니가 죽자 죽만 먹으면서 3년 동안 여묘살이를 하였다. 충순위(忠順衛)에 입속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있는 국가기록물 전문 보존 기관.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은 역사 기록물을 보존한다는 의미로 설계되어 국가 기록물을 보존하는 시설이며, 어린이들을 위한 기록 문화 체험 학습장인 현장 체험 학습 기관이다....
-
일제 강점에 대항하여 국권 회복을 위해 벌인 실력양성운동의 총칭. 광주지역에는 성호 이익(李瀷) 계열의 남인학자들이 많이 살았고 서학과 깊은 관련을 갖는 주위 환경이 조성되었다. 남인계열 학자들이 학문연구와 포교활동을 통하여 근대화를 추구한 지역이기 때문에 개화자강파가 일찍 생겨났고, 이들의 활동으로 국권 회복을 위한 기본 토양이 형성될 수 있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국노(國老). 증 통정대부 좌승지 이기수(李箕壽)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홍덕이(洪德彛)의 딸이다. 용안현감을 지낸 이재(李栽)의 손자이자, 중종의 다섯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증손인 봉래군(蓬萊君) 이경윤(李烱胤)의 증손이다. 부인은 김상직(金相稷)의 딸이다. 아들 이문제(李文濟)가...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동망(東望)이고, 호는 국당(菊堂) 또는 삼당(三堂)이다. 정휴복(鄭休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호(鄭灝)이고, 아버지는 이조좌랑 정양우(鄭良佑)이며, 어머니는 홍백순(洪百順)의 딸이다. 부인은 우의정 강석기(姜碩期)의 딸이다. 숙부는 정양필(鄭良弼)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과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경계 사이에 있는 국도. 국도 3호선[남해-초산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평안북도 초산군까지 연결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남북 간선도로로 성남시의 중앙부를 ‘ㄴ’ 자 모양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도로는 성남에서 크게 두 구간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남북 방향으로 진행되는 복정동-여수동 구간의 성남대로이며, 후자는 여수동 교차로에서 도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었던 영화 상영 시설. 국도극장은 기광석이 대표자로 있었으며, 1988년 10월 29일에 개관하였고, 총 객석수 147석의 소극장이었다. 그러나 영화관의 멀티콤플렉스화 및 대형화 추세에 밀려 없어졌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이봉운이 집필한 국어문법서. 『국문정리(國文正理)』는 1897년 국어학자 이봉운(李鳳雲)이 한글로 써서 목판본으로 간행한 국어문법서이다. 갑오개혁 이후 한글 사용이 확산되면서 말과 글을 일치시키고 국어 교육에 활용해야 하는 시대적 필요성에 따라 발행된 국어 연구서이다. 이봉운 선생은 한글 사용에 따른 국문의 체계적 연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이봉운이 집필한 국어문법서. 『국문정리(國文正理)』는 1897년 국어학자 이봉운(李鳳雲)이 한글로 써서 목판본으로 간행한 국어문법서이다. 갑오개혁 이후 한글 사용이 확산되면서 말과 글을 일치시키고 국어 교육에 활용해야 하는 시대적 필요성에 따라 발행된 국어 연구서이다. 이봉운 선생은 한글 사용에 따른 국문의 체계적 연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소속 지사. 국민건강보험공단 성남지사는 성남 지역 주민과 근로자에 대한 건강보험료를 징수하며, 질병과 부상 예방, 진단, 치료, 재활, 출산, 사망 및 건강 증진에 대한 보험급여를 효율적으로 실시하여 시민의 건강을 향상하고 사회보장을 증진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과 수정구 금토동,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에 걸쳐 있는 산봉우리. 국사봉의 해발고도는 540.2m로, 망경대, 옥녀봉 등의 여러 산봉우리와 함께 청계산(淸溪山)[618m] 산줄기를 이루며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이룬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명상 수련 단체. 국선도는 1967년 3월부터 청산선사[고경민]가 한민족 고유의 심신 수련법이라는 논리로 보급하기 시작하였으며, 1970년 4월에 개원한 명상 수련 단체이다. 본원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39[안국동 175-3] 안국빌딩 신관 3층[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 있다. 2003년 창설된 사단법인 세계국선도연맹은 국회, 헌법재판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전기에 일어난 7차례의 대외 정벌사를 기록한 책. 국조정토록은 1419년(세종 1) 대마도 정벌 때부터 1510년(중종 5) 삼포왜란까지 7차례에 걸쳐 일어난 조선 전기의 전쟁 기록을 담은 목판본이다. 주로 『조선왕조실록』의 내용 가운데 흩어져 있는 내용들을 모아 편집한 책으로, 2003년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치원(致遠), 호는 국창(菊窓), 난재(蘭齋), 관원(灌遠)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국헌(國獻). 원석오(元錫五)의 장남이고, 원재공(元在恭)의 손자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공직선거법에 따라 국회의원을 독립적으로 선출할 수 있는 지리적 단위 구역. 선거구란 대표를 선출하는 지역 단위 구역이다. 우리나라의 국회의원 지역 선거구는 시·도의 관할 구역 안에서 행정 구역·인구·교통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구·시·군을 단위로 획정한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군서(君瑞)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을 지낸 이경안(李景顔)의 손자이고, 아버지는 이륙(李稑)이다. 어머니는 조경기(趙慶起)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군실(君實)이다. 아버지는 이색(李穡)의 후손인 진사 이경홍(李慶洪)이며, 어머니는 안렴(安濂)의 딸이다. 판서(判書)와 좌·우참찬(左·右參贊)을 역임하고 의간(懿簡)으로 시호를 받은 이증(李增)의 손자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 자는 군옥(君玉). 강무공(剛武公) 남은(南誾)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별제(別提) 남대해(南大海)이고, 조부는 진사 남만년(南萬年)이다. 아버지는 무과를 거쳐 영장(營將)을 지낸 남덕원(南德源)이고, 어머니는 완양군(完陽君) 이원로(李元老)의 딸 전주이씨이다. 배위는 최진화(崔鎭華)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군칙(君則), 호는 동리(東里)이다. 예조좌랑을 역임한 정진의 증손이고, 좌의정 정언신(鄭彦信)의 손자로, 정율(鄭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호준(元虎俊)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출신. 자는 군택(君宅). 이의집(李義集)의 넷째 아들이다. 전의이씨가 구미동에 살게 된 것은 절충장군 부호군 이하조가 17세기 초엽에 정착한 때부터였고, 현재에도 40여 가구의 전의이씨 집성촌이 존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과 백궁동을 연결하는 다리.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개통한 다리로, 총연장 145m, 교폭 46m이며, 축조 형식은 중공PC슬라브 방식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구의 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금곡동에서 관할한다. 경부고속도로 성남톨게이트가 위치한 곳이다. 궁안[宮內]을 중심으로 웃말, 아랫말 등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경부고속도로 요금소. 서울톨게이트는 경부고속도로 부산 기점 410.3㎞에 있는 폐쇄식 요금소로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해 서울에 오려면 통과해야 하는 요금소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경부고속도로 요금소. 서울톨게이트는 경부고속도로 부산 기점 410.3㎞에 있는 폐쇄식 요금소로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해 서울에 오려면 통과해야 하는 요금소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전주이씨 묘역. 조선 중종의 다섯째 왕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와 그 후손들이 대대로 묘를 쓴 묘역이다. 덕양군 이기를 비롯하여 손자 귀천군(龜川君) 이수(李晬), 증손 봉래군(蓬萊君) 이형윤(李炯胤), 봉산군(蓬山君) 이형신(李炯信), 현손 충좌위부사과(忠佐衛副司果) 이숙(李塾) 등의 묘가 집중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구의 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금곡동에서 관할한다. 경부고속도로 성남톨게이트가 위치한 곳이다. 궁안[宮內]을 중심으로 웃말, 아랫말 등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분당구 서남단에 있는 지역으로 경부고속도로 서울톨게이트가 있는 곳이다. 동쪽은 탄천을 경계로 분당구 정자동과, 서쪽은 분당구 운중동(대장동), 남쪽은 분당구 금곡동 및 동원동, 북쪽은 분당구 판교동(백현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을 지나가는 소하천. 궁내천은 궁안[宮內]을 중심으로 윗말 서쪽 절골 상부 산간에서 발원하여 아랫말과 경부고속도로를 지나 탄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으로 주변 주거 단지 개발로 인하여 선형이 일부 변형되었으며, 분당신도시 건설에 따라 중류·하류 부분을 복개하여 보이지 않는다....
-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지역에 있었던 지명. 조선 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무덤이 있었으므로 '궁안' 또는 '궁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돌마면의 정자동 일대를 병합하여 궁내리라 하여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다. 1975년에는 낙생출장소에 편입되어 금곡동의 관할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법정동인 수진동은 행정동인 수진1동과 수진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정로 및 성남대로 인근 지역의 상업지역과 구릉지대의 주택 밀집지대로 구별되며, 향후 성남시 재개발사업에 따라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을 지나가는 소하천. 궁내천은 궁안[宮內]을 중심으로 윗말 서쪽 절골 상부 산간에서 발원하여 아랫말과 경부고속도로를 지나 탄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으로 주변 주거 단지 개발로 인하여 선형이 일부 변형되었으며, 분당신도시 건설에 따라 중류·하류 부분을 복개하여 보이지 않는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법정동인 수진동은 행정동인 수진1동과 수진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정로 및 성남대로 인근 지역의 상업지역과 구릉지대의 주택 밀집지대로 구별되며, 향후 성남시 재개발사업에 따라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권괄(權佸)의 묘. 권괄[생몰년 미상]의 본관은 안동이며 안양공(安襄公) 권반(權攀)의 아들이다. 음보(蔭補)로 충훈도사(忠勳都事)나 승정원(承政院)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보(聖甫). 원주목사 영가군(永嘉君) 권우(權愚)의 장남이며 안양공(安襄公) 권반(權攀)의 증손자이다. 부인은 청주한씨로 군수 한승우의 딸이며, 후배는 여산송씨로 통례 송승은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굉의 묘. 권굉[1508년~1568]의 본관은 안동, 자는 견보(堅甫)이며, 영가군(永嘉君) 권우(權愚)의 아들이다. 배위(配位)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청주한씨는 군수 한승우의 딸이고, 재배(再配) 정부인(貞夫人) 여산송씨는 통례 송승은의 딸이며, 아들은 권긍(權兢), 권잉(權仍), 권징(權徵)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무신. 권긍[1527~1607]은 본관은 안동, 자는 수옹(壽翁)이다.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안말은 증조할아버지인 권괄의 묘가 들어서면서 안동권씨의 세거지가 되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지(重之), 호는 만회(晩晦)이다. 권득기가 궁내동에 살고 있던 전주이씨 집안의 귀성군 이첨의 사위가 되어 분당구 금곡동 쇳골에 처음 정착하게 된 이후 안동권씨의 세거지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권득기(權得己)의 묘 및 묘갈. 권득기[1570~1622]는 광해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중지(重之)이며 호는 만회(晩悔)이다. 판제용감사(判濟用監事) 권순(權循)의 6세손이자 우참찬(右參贊) 권극례(權克禮)[1513~1590]의 아들이나 숙부(叔父)인 증좌승지(贈左承旨) 권극관(權克寬)[1546~1613]에게 입양되었다. 현종대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권득기(權得己)의 묘 및 묘갈. 권득기[1570~1622]는 광해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중지(重之)이며 호는 만회(晩悔)이다. 판제용감사(判濟用監事) 권순(權循)의 6세손이자 우참찬(右參贊) 권극례(權克禮)[1513~1590]의 아들이나 숙부(叔父)인 증좌승지(贈左承旨) 권극관(權克寬)[1546~1613]에게 입양되었다. 현종대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권명주 무용가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전문 무용 단체. 권명주 느루무용단은 국가무형유산 승무와 살풀이춤 이수자인 권명주가 창단한 무용 단체이다. 지역 밀착형 문화 정책을 실현하여 지역 예술을 육성하는 한편, 지역 주민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공연을 선보이며 전통무용의 보존과 계승에 기여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권반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룡(子龍), 호는 무진정(無盡亭)이다. 권반이 예조참판 겸 경기도 관찰사를 역임할 때 큰아들인 권괄(權佸)의 장지를 구하지 못하자 세조가 그 사정을 듣고 청계산 아래 금현동[금토동]을 하사하여 처음 성남 지역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이로부터 오늘날의 수정구 금토동이 권씨의 세거지가 되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효자. 권수는 본관은 안동, 자는 천경(天卿), 호는 운곡(雲谷)이며, 경기도 성남시 금토동 출신의 효자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안동, 자는 사성(思誠), 호는 탄옹(炭翁). 아버지는 좌랑 권득기(權得己)이고,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도정(都正) 이첨(李瞻)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우의 묘. 권우는 1461년(세조 7)에 출생하여 문신으로 활약한 조선 전기의 인물이다. 본관은 안동, 자는 희안(希顔)으로, 안양공(安襄公) 권반(權攀)의 장손이며, 도사(都事) 권활의 아들이다. 배위는 증정부인 연일 정씨(贈貞夫人延日鄭氏)로 별제 정순(鄭淳)의 딸이고 병조판서 정연(鄭淵)의 증손녀이다. 음보(蔭補)로 벼슬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권잉(權仍)의 묘. 권잉[생몰년 미상]의 본관은 안동이며 화성군(花城君) 권굉(權硡)의 아들이다. 음보(蔭補)로 사옹원판관(司饔院判官)이나 승지(承旨)에 추증되었다....
-
조선 중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송암(松菴). 찬성사(贊成事) 권근(權近)의 후손이다. 원주목사 권우(權愚)의 손자이자 사직(司直) 권굉(權硡)의 아들이며, 현감 이효언(李孝彦)의 사위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권징의 묘 및 묘갈. 권징[1538~1598]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송암(松菴)이다. 사직(司直) 굉(硡)의 아들이며, 배위(配位)는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전주이씨이다. 1562년(명종 17) 문과에 급제한 후 전주부윤, 안변부사, 강원도·충청도·함경도·평안도 관찰사, 병조판서를 지냈다. 1592년 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권형의 묘. 권형[1571~1633]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자성(子誠)이며, 대호군(大護軍) 권긍(權兢)의 아들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이듬해인 1593년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 덕포만호(德浦萬戶)를 거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이후 지방 군수와 부사를 차례로 거친 후 1621년(광해군 13) 가선대부(嘉...
-
음력 정월보름날 새벽에 귀가 밝아지라고 마시는 술. 한자어로는 ‘이명주(耳明酒)’라고 한다. 귀밝이술은 정월 대보름날 아침 일찍 식사 전에 마시는데, 막걸리보다는 주로 청주와 같은 맑은 술을 마신다. 귀밝이술은 데우지 않고 차갑게 해서 마시는 것이 특징이며, 이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져서 귀가 어둡지 않고 남의 말을 잘 들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 그래서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이라...
-
음력 정월 열엿새날. ‘귀신날’이라고도 한다. ‘귀신닭날’이란 ‘귀신을 달구는 날’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귀신날의 풍습은 정월 열나흗날과 대보름날에도 나타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남공철이 만년에 거주하던 건물터.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인 남공철은 본관은 의령, 자는 원평(元平), 호는 금릉(金陵)과 사영(思潁)이다.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던 정자에 자신의 호를 따서 '우사영정(又思穎亭)'이라 하고, 그 옆에 '옥경산장(玉磬山莊)'을 지은 것이 귀은당의 모태가 되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자유(子有)이고, 호는 귀천(歸川)이다. 이조판서를 지낸 효정공(孝貞公) 이경증(李景曾)의 손자이자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이혜(李嵆)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신익전(申翊全)의 딸이다. 이희유(李喜濡), 광주목사(光州牧使)를 지낸 이희담(李喜聃), 증 이조참의 이희남(李喜楠) 등이 그의...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일경(一卿), 호는 귀천(歸川)이다. 아버지는 도호부사를 지낸 이제(李穧)이며, 어머니는 임서(林笭)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좌랑을 지낸 이경류(李慶流)이며, 증조부는 이증(李增)이다. 이정룡(李廷龍)이 아우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귀향(貴萫)이고, 임종한(林宗漢)의 둘째 아들이다....
-
아들 범구가 초등학교 3학년 되었나, 그 무렵에 분당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그때 28평 아파트가 육칠천 갔었다. 그때 노씨 아줌마는 부업으로 벌어들인 꽤 큰 목돈을 쥐고 있어서 분당으로 이사갈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남편의 반대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지금도 생각하면 아깝고 후회스럽다. 그때 그 일을 실행에 옮겼다면, 하는 말로 그때 그거 잡았다면, 노씨 아줌마의 인생길이 많...
-
그물을 물 속에 가라앉게 하는 구실을 하는 도구. 물고기잡이에 쓰이는 그물의 부속품으로, 어망추(漁網錘)라고도 한다. 그물은 부자, 망, 침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침자에 해당하는 것이 그물추다. 그물로 물고기잡이를 할 때 그물의 아래쪽에 매달아 그물이 물 속 바닥까지 늘어지게 한다. 그물추는 원시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신석기시대에는 주로 납작하고 둥그스름한 강돌의 양 끝단을 오목하...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연극 공연 단체. 극단 동선은 성남 지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성남을 대표하는 극단이라 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했던 연극 단체. 푸리는 극단 동선 6기생으로 입단한 장운섭이 선교극단 ‘생명’으로 옮겨가 서울에서 작품 활동을 하다가 성남으로 돌아와 창단한 극단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활동했던 연극 공연 단체. 1996년 6월 이광수가 여러 단원으로 하여 성남시민의 연극의 이해 뿐만 아니라 지역 연극의 활성화 및 관내의 문화발전에 기여하고자 창단되었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출신. 자는 극서(極敍). 원재공(元在恭)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연극이나 음악, 무용 따위를 공연하거나 영화를 상영하기 위하여 무대와 객석 등을 설치한 건물이나 시설. 극장은 영어로 theatre로 '구경하는 곳'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theatron'에서 유래했다. 극장은 대개 공연을 위한 무대 공간을 갖추고 있다. 극장은 고대부터 발달했으며 주로 배우들의 동작을 보고 대사를 들어야 하는 관객의 필요에 따라, 그리고 시대...
-
개항기인 1864년부터 1945년 8월 15일 해방까지 경기도 성남의 역사. 19세기 중엽 조선의 전통 사회는 안으로는 부패하고 무능한 양반 지배 체제에 반대하는 민중 세력의 힘이 성숙되고, 밖으로는 일본과 서구 열강 침략 세력의 침투, 그리고 1910년 경술국치로 일제 강점기를 맞게 된다. 성남 지역은 이 시기에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고, 교통의 발전과 이에 따른 시장이 활성화 되...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근지(謹之). 호는 호암(湖庵)이다. 아버지는 한종호(韓宗浩)이다. 증조부는 한진명(韓晉明)이고 조부는 한경상(韓慶相), 외조부는 이도천(李道天), 처부는 오명삼(吳命三)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게임 개발사 지원을 위한 산업 지원 시설. 글로벌게임허브센터는 게임 개발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업체들의 임대료는 무료이며, 관리비도 50%만 지불하며 최대 4년까지 머무를 수 있고, 업체들은 게임 개발 교육, 솔루션 및 기술적인 부분은 물론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도 지원받을 수 있다. 더불어 첨단 보안시스템과 개발 서비스에 반드시 필요한 테스트룸(T...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금융 거래의 중개를 주요 업무로 하는 기관. 금융기관의 분류는 그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우선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은행과 은행 이외의 금융 중개 기관 또는 비화폐적 금융 중개 기관의 분류가 있다. 중앙은행이 현금 통화를 공급하는 데 반하여 예금 은행은 요구불 예금과 저축성 예금을 흡수하고, 요구불 예금에 관해서는 예금 통화의 창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체육공원. 금곡공원은 탄천 변을 따라 조성되어 체육 활동이 가능하고, 탄천 변 길을 산책하며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도 있다. 성남도시개발공사에서 금곡공원 안에 금곡공원 국민체육센터를 건립하여 2024년 4월에 문을 열었는데, 시민들이 헬스, 배드민턴, 탁구, 수영 등 체육 활동을 하기 위해 많이 찾는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금곡공원 안에 있는 종합 체육시설. 금곡공원 국민체육센터는 분당구 주민들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스포츠 공간이다. 성남시 공공 체육시설의 체계적인 관리·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시민들의 여가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의 탄천을 가로지르는 정자로에 설치된 다리. 분당신도시 건설 때 탄천을 중심으로 서쪽 지역 정자1동과 동쪽 지역 정자2동을 연결하는 도로망 계획에 따라 정자로 탄천 구간에 금곡교를 설치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법정동인 금곡동은 궁내동과 함께 행정동인 금곡동 관할이다. 과거 이 지역은 샛터말[新基], 쇠골[金谷], 승주골[성주곡(姓主谷), 승지곡(承旨谷)]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분당신도시가 건설되면서 경부고속도로를 경계로 동편은 아파트 단지, 서쪽은 구릉성 산지 및 농경지 지역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지하철 수인분당선 미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쇳골마을에서 가뭄이 계속되는 경우에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면서 행하였던 제사. 금곡동 쇳골마을은 대왕판교로를 따라 판교에서 용인시 수지 방면으로 가다가면 경부고속도로 서울톨게이트를 지나 오른쪽에 위치한다. 기우제는 마을의 남쪽 진재산(陳在山)[현재의 안산] 안에 있는 용바위와 용바위 우물에서 행해졌으며, 용이 비를 지배한다고 믿어 용신에게 바치는 용제(龍...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용머리 모양의 바위. 기린·봉황·거북과 함께 4대 영물 중 하나인 용(龍)은 용왕·용신·용왕할머니·수신이라고도 하며, 특히 비를 내리게 한다고 하여 예로부터 민간신앙으로 자리 잡았다. 옛날에 이 바위에서 이무기가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고 전해지는 금곡동 용바위는 일제강점기 때까지는 정기적으로, 이후에는 비정기적으로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냈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도로명은 이 도로가 속한 금곡동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성남대로가 동막천과 만나는 북단 부근에서 동쪽 방향으로 분기한 도로로, 동막천 및 탄천변을 따라 구미동과 금곡동 일대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휘감은 후, 다시 성남대로를 지나 분당-장지간 도시고속화도로까지 이르는 도로이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3.283㎞, 도로 폭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을 지나 탄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 금곡천은 탄천으로 유입되는 성남시의 13개 소하천 중 하나로, 남서울골프장 서남쪽 산간에서 판교더샵퍼스트파크를 지나 백현고가차도로를 흐르는 쇳골천과 모내골천의 합수점에서 궁내동 서울톨게이트 남단을 지나 탄천으로 유입되는 길이 1,500m, 하폭 4m, 몽리면적 13만㎡로 기록되어 온 소하천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시설. 금광 청소년문화의집은 글로벌·문화·예술 중심의 수련 시설이다. 청소년들이 자기 주도적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건전한 청소년 문화 조성에 앞장서 지역사회 학교 및 유관 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청소년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금광교회는 1973년 선병문 목사와 7명의 신자가 결의하여 1976년에 세운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의 교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금광동의 행정동은 금광1동과 금광2동이다. 주거 밀집 지역으로 신구대학교를 비롯하여 초·중·고등학교가 고루 분포하고 시장, 백화점, 공원 등이 가까운 거리에 있어 주거지로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서 출토된 17~19세기 목관. 금광동 목관은 금광1 주택재개발사업 과정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공사 중 금광동 2435-1번지 일원 도로 아래에서 회곽묘 1기가 출토되었는데, 동혈이곽(同穴二槨)의 부부합장묘로서 회곽묘 안에서 옷칠된 목관 2기가 또 출토되었다. 관 뚜껑에는 각각 “通政大夫行泗川縣監兼晉州鎭管兵馬節制都尉李公之柩(통정대부행사천현감겸진주진관병마...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공립중학교. 건전한 정신과 체력이 조화된 사람, 예의 바르고 질서를 잘 지키는 사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능한 사람, 스스로 공부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공립중학교. 건전한 정신과 체력이 조화된 사람, 예의 바르고 질서를 잘 지키는 사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능한 사람, 스스로 공부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사전적인 의미는 “꺼리어서 싫어하거나 꺼림”의 뜻이나 학술적으로는 “‘신앙이나 관습 등으로 꺼려 금하거나 피함”의 의미를 지닌다. 성남지역에서만 국한되는 금기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대부분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것이지만 성남에도 여러 가지 금기의 내용이 전해오고 있다....
-
남한산성 동문 북쪽에 있는 장경사에 얽힌 전설 옛날에 금단선사라는 스님이 남한산성 안에 작은 암자를 짓고 수도생활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선사는 한 착한 소년을 우연히 알게 되어 매일 같이 바둑을 두며 가까이 지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슬기롭고 예절 바르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몸이 튼튼하고 마음이 건실한 어린이, 바른 생각을 실천하고 책임을 다하는 어린이, 지혜롭게 생각하고 열심히 공부하는 어린이, 서로 돕고 예의 바른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슬기롭고 예절 바르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몸이 튼튼하고 마음이 건실한 어린이, 바른 생각을 실천하고 책임을 다하는 어린이, 지혜롭게 생각하고 열심히 공부하는 어린이, 서로 돕고 예의 바른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시도(市道). 금상로는 음촌로 상대원 시장 앞 삼거리에서 북동쪽으로 나뉘어져 순환로 황송터널 입구까지 이르는 길이다. 성남시가 형성되면서 건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생각, 바른 마음, 바른 행동’이라는 교훈으로, 예절 바르고 기본 질서를 지키는 어린이, 슬기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소질과 자기 자랑을 가꾸어 가는 어린이, 몸이 튼튼하고 굳센 체력을 지닌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생각, 바른 마음, 바른 행동’이라는 교훈으로, 예절 바르고 기본 질서를 지키는 어린이, 슬기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소질과 자기 자랑을 가꾸어 가는 어린이, 몸이 튼튼하고 굳센 체력을 지닌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종이나 비석 등에 새겨진 글자. 혹은 새긴 글의 총칭. 오늘날 성남지역에 잔존하고 있는 금석문은 비(碑)와 마찬가지로 조선 전기부터 성남 각지에 정착하여 유력가문을 형성하였던 사대부들의 사후 음택(陰宅:무덤)에 세워져 있는 신도비(神道碑), 묘갈(墓碣), 묘표(墓表) 등의 각종 석비(石碑)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종이나 비석 등에 새겨진 글자. 혹은 새긴 글의 총칭. 오늘날 성남지역에 잔존하고 있는 금석문은 비(碑)와 마찬가지로 조선 전기부터 성남 각지에 정착하여 유력가문을 형성하였던 사대부들의 사후 음택(陰宅:무덤)에 세워져 있는 신도비(神道碑), 묘갈(墓碣), 묘표(墓表) 등의 각종 석비(石碑)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영리를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화폐의 수요와 공급 관계. 금융이란 이자를 받고 자금을 융통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즉 일정 기간을 정하고, 앞으로 있을 원금의 상환과 이자 변제를 약속받고 상대방에게 자금을 이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금융은 약속된 상환 기간의 장기, 단기에 따라 단기금융과 장기금융으로 분류된다. 주로 전자는 운전자금의 대차를, 후자는 설비자금의 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었던 금융결제원 소속 지부. 금융결제원은 1986년 사단법인 금융결제관리원으로 설립되어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에 본부를 두고 있다. 지급 결제 시스템의 주 참가 기관인 은행 간의 자금 결제와 지급 결제 서비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으로서 어음 교환, 지로 제도의 원활한 운영, 국가 기간 전산망 사업의 일환인 금융 공동망의 구축을 주요 업무로 하...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금융 거래의 중개를 주요 업무로 하는 기관. 금융기관의 분류는 그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우선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은행과 은행 이외의 금융 중개 기관 또는 비화폐적 금융 중개 기관의 분류가 있다. 중앙은행이 현금 통화를 공급하는 데 반하여 예금 은행은 요구불 예금과 저축성 예금을 흡수하고, 요구불 예금에 관해서는 예금 통화의 창조...
-
부정(不淨)한 것의 침범이나 접근을 막기 위해 대문 밖이나 길 어귀, 또는 신목(神木) 등과 같은 신성한 대상물에 매는 줄. 성남지역에서는 ‘인줄‘이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금줄은 대개 볏짚을 일정한 분량을 두 가닥으로 나누어, 너비 1.5~2㎝ 정도의 굵기와 길이 15~30㎝ 정도로 왼 새끼줄을 꼬아서 여기에 다른 물건을 첨가시켜서 만든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금토동은 수정구 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이 지역은 금현동, 바깥말(바깥골, 외둔토리, 바깥두리이골), 안골(안골, 안둔토리, 안두래이골)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이 산지이다. 행정동인 시흥동에서 관할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남원윤씨의 묘역. 조선시대 이 지역에 세거하였던 남원윤씨의 선영으로, 조선 전기의 문신 윤극신(尹克新)과 그의 아들 윤돈(尹暾)과 윤엽(尹曄), 윤돈의 아들 윤형철 등의 묘소가 안장되어 있다. 이외에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 활동을 했던 윤재옥의 묘가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위치한 조선시대 전기 도요지. 도요지는 금토동 546번지 일대의 군사보호구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도요지의 북서쪽 능선 이수봉[545m]과 남쪽 국사봉[510m] 사이를 동남부로 흐르는 청계골의 마을 입구에서 약간 안쪽에 위치하는 계곡의 동쪽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위치한 돌기와 농가. 금토동 돌기와집은 외동 바깥말에서 세거했던 나주 임씨(羅州 林氏)의 살림집이다. 안채와 행랑채가 있는 튼ㅁ자형의 홑집 구조로 안채의 돌기와 지붕이 특징적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위치한 안동 권씨 농가. 금토동 안동 권씨 가옥은 금토동 내동 안말에서 세거했던 안동 권씨(安東 權氏) 집안의 살림집으로 안채와 바깥채가 있는 튼ㅁ자형 홑집 구조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안동권씨의 선영. 조선 전기의 문신 안양공(安襄公) 권반(權攀)이 예조참판 겸 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할 때 장자인 권괄이 사망하였으나 장지를 구하지 못하자 세조가 그 사정을 듣고 청계산 아래 금현동을 하사하였다. 이로부터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은 안동권씨의 세거지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바위에 글씨를 새긴 암각자(岩刻字) 유적. 금토동 산64-2번지 일대는 1963년 군사보호구역이 된 이후 기존의 건물 등이 대부분 철거되고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게 될 지역이었다. 금토동 옥경산명·청계명 암각자는 개발 사업으로 인하여 훼손 혹은 멸실될 수 있는 문화유산과 문화유적을 사전에 조사·확인하여 국가유산을 적극 보호하고자 실시된 2002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위치한 돌기와 농가. 금토동 돌기와집은 외동 바깥말에서 세거했던 나주 임씨(羅州 林氏)의 살림집이다. 안채와 행랑채가 있는 튼ㅁ자형의 홑집 구조로 안채의 돌기와 지붕이 특징적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자리한 정미소. 금토동 정미소는 사라진 지역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남겨둔 건축물이다. 1980년대 전까지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던 금토동은 내동[안말], 외동[바깥말], 금현동 등 3개 작은 마을이 있었고, 각 마을마다 정미소가 하나씩 있었다. 하지만 금현동과 외동의 정미소가 차례로 문을 닫았고 금토동의 정미소도 1995년에 폐업했다. 금토동 정미소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서쪽의 청계산 줄기가 흘러내린 수정구 최남단에 위치한 지역이다. 동쪽은 같은 시흥동 관할 법정동인 시흥동과 서쪽은 의왕시 청계동과 맞닿아 있으며, 남쪽은 분당구 운중동 및 판교동, 북쪽은 수정구 상적동과 접하고 있다. 이 지역은 금현동(金峴洞), 바깥말(바깥골, 외둔토리, 바깥두리이골) 및 안골(안골, 안둔토리, 안두래이골), 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과 판교동 일원에 있는 근린공원. 판교공원은 판교 신도시에 조성된 제4호 근린공원으로 숲 생태계를 보전하여 생태적 안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용객이 숲 생태계와 호흡하여 적극적인 자연체험을 할 수 있도록 조성된 판교 신도시 개발 지구 중 가장 넓은 공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자리한 정미소. 금토동 정미소는 사라진 지역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남겨둔 건축물이다. 1980년대 전까지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던 금토동은 내동[안말], 외동[바깥말], 금현동 등 3개 작은 마을이 있었고, 각 마을마다 정미소가 하나씩 있었다. 하지만 금현동과 외동의 정미소가 차례로 문을 닫았고 금토동의 정미소도 1995년에 폐업했다. 금토동 정미소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중천. 금토동은 금현동(金峴洞)에서 금(金)자와 둔토리(遁土里)에서 토(土)자를 가져와 지어진 이름으로 이곳을 지나는 하천이라 하여 금토천이라 부른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산(礪山). 자는 탁이(卓爾). 호는 금헌(琴軒). 증 이조참판 송말경(宋末璟)의 장남이자 증 병조참판 송수(宋壽)의 손자이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오른 제양군(齊陽君) 허광(許礦)의 외손자이고, 문과에 합격하여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오른 송언신(宋言愼)이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금토동은 수정구 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이 지역은 금현동, 바깥말(바깥골, 외둔토리, 바깥두리이골), 안골(안골, 안둔토리, 안두래이골)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이 산지이다. 행정동인 시흥동에서 관할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예수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한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는 종교. 한국에는 기독교의 3대 종파에 해당하는 가톨릭, 동방정교회, 그리고 개신교가 모두 있지만, 기독교의 대부분은 가톨릭과 개신교이다. 천주교라고도 불리는 가톨릭은 230여 년 전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많은 박해를 받으면서 성장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전국에 16개 교구에 약 1400여개 가까운...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가톨릭교회 및 동방정교회와 함께 기독교의 3대 전통에 속하는 기독교의 한 분파. 개신교는 성남시에서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하고 있는 종교이다. 매번의 통계조사에서 성남시 전체 인구의 4분의 1 정도가 개신교 신자로 나타나고 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대한 독립을 목적으로 일어난 만세 시위 운동.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 대한 독립을 목적으로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일어난 거족적인 만세 시위로서, 경기도 광주군 일대[현 성남 지역 포함]에서는 4월까지 만세 시위가 전개되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대한 독립을 목적으로 일어난 만세 시위 운동.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 대한 독립을 목적으로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일어난 거족적인 만세 시위로서, 경기도 광주군 일대[현 성남 지역 포함]에서는 4월까지 만세 시위가 전개되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기수(耆叟). 생원(生員) 송윤은(宋胤殷)의 장자. 부안현감(扶安縣監)을 역임한 송관(宋觀)의 손자.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올랐던 대표적 훈구세력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사위이다. 따라서 당시 성남 지역에 세거하던 두 벌열(閥閱) 가문이 혼맥으로 서로 맺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겠다....
-
내 아버지는 무섭고 엄했다. 딸을 아들처럼 키우고 싶어했다. 그래서 꿈도 이루고 인정도 받고, 리더가 될 수 있는 그런 강한 사람으로 키우고 싶어했다. 그래서 였을까, 내 기억의 창고에는 아빠에게 혼나던 내가 참 많기도 하다. “강한 사람으로 키우겠다 해서 어렸을 때부터 혼났던 기억이 무지 많아요. 지금은 물론 아빠를 존경하기도 하고 감사하는 부분도 있지만, 어렸을 때 제가 필요로...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조직적인 경제 단위. 성남시에는 KT 등 대기업 본사를 비롯하여 대기업의 물류 센터, 제조 공장, 은행, 백화점 등 많은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분당신도시 개발 이전에는 중소 제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분당신도시 개발과 함께 대기업 본사, 벤처 기업들이 성남 지역으로 이주하여 성남시의 기업들은 새로운 발전 단계에...
-
음력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는 부녀자들의 집단 민속놀이. 기와밟기는 나라의 공주가 위험에 빠졌을 때 이를 구하기 위하여 마을의 부녀자들이 다리를 만들어 도망가게 도와준 것이 계기가 되어 나라를 위한 일을 기념하거나 자신의 자손의 복을 빌기 위해 행해졌다....
-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는 제사. 성남지역은 분당신도시로 개발되기 이전에는 농업을 주요 산업기반으로 삼았으며, 또한 농사를 좌우하는 것이 바로 비였기 때문에, 기우제를 지냈던 기우제단이 마련되어 있거나 혹은 일부 마을에서는 바위나 우물, 신목(神木)에서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
기우제를 지내기 위해 의례를 행하는 제의 장소. 즉 제장(祭場) 과거 나라에서 행하는 기우제는 주로 명산대천에서 천지, 산천, 종묘, 부처, 용신에게 제를 지냈으며, 마을단위나 작은 군현 단위도 기우제를 지냈는데 성남도 마찬가지로 그러한 기우제를 지냈던 터가 남아 있다. 특히, 기우제를 지냄에도 불구하고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도 가뭄이 더욱 심해지면 기우초제를 지내는 제단인 기우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내 영장산(靈長山) 정상에 있었던 제단 터. 이 터는 숲안과 역말 주민들이 날이 가물면 기우제를 지냈던 곳이라고 한다. 기우제는 산봉우리나 냇가, 연못 등지에 제단을 만들고, 그 일대를 신역(神域)으로 정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낸 행사였다. 이곳은 지금 그 흔적을 찾을 수 없으며, 대신 영장대(靈長臺)라 이름붙여진 8각정과 체육시설이 들어서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기지(起之). 할아버지는 유회(柳淮)이고, 아버지는 장군으로 좌의정에 증직된 유림(柳琳)이다....
-
개항기 경기도 성남·광주 지역을 관할한 기호흥학회 소속 지회.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는 일제의 침입에 대항하여 1908년 1월 경기도와 충청도 지방을 중심으로 교육 진흥과 지역 개발을 목표로 자강 운동을 벌인 애국 계몽 단체이다. 경기도에 6개 군, 충청북도에 4개 군, 충청남도에 7개 군의 지회를 두었는데, 기호흥학회 광주지회는 경기도 광주와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지회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되풀이되는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태. 우리나라의 기후는 겨울철에는 아한대 대륙기단(亞寒帶大陸氣團)인 시베리아기단이 내습하여 북서계절풍이 불고 한랭 건조하여 삼한사온의 기온 현상을 나타낸다. 여름에는 아열대 해양기단(亞熱帶海洋氣團)인 북태평양기단이 북진하여 남동계절풍이 불어 고온다습하며 장마를 불러온다. 그 외에는 동해 쪽에서 불어오는 아한대 해양...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길보(吉甫). 판서를 역임한 간헌공(簡憲公) 이기익(李箕翊)의 둘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최상익(崔尙翼)의 딸이다. 호조참판을 지낸 장정공(莊靖公) 이무(李堥)의 손자이다. 중종의 다섯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증손인 봉래군(蓬萊君) 이경윤(李烱胤)의 증손이다....
-
사전적인 의미는 ‘좋은 일이 있을 징조’, ‘상서로운 조짐’의 의미를 지닌다. 성남지역에서만 국한되는 길조에 관한 내용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대부분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것이지만, 성남에도 여러 가지 길조의 내용이 전해오고 있다. 특히 민간사회란 매일매일 사람끼리 부벼대는 생활의 ‘연속극’이나 ‘단막극’ 같은 생활의 반복이다. 따라서 조금이나마 자기 자신을 보다 윤택하고 살찌게...
-
경기도 성남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김교상(金敎爽)은 서울에서 출생했지만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인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탄리 256번지에서 거주했다. 1920년 대한독립단을 조직하여 이재인(李載仁), 안교동(安敎童), 강학희(姜學熙) 등과 함께 항일 문서를 인쇄 배포하는 등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
조선 후기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김만기(金萬基)[1633~1687]는 광주부윤으로 있을 때 병자호란의 참상을 잊지 말고 경계하라는 의미의 글을 남한산성 수어장대(守禦將臺)에 남겼다....
-
생몰년 미상. 신라 중고기의 장군. ‘무력지(武力知)’·‘무력(茂力)’·‘무력(另力)’이라고도 표기되어 있다. 김무력은 김유신(金庾信)의 할아버지이고,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仇衡王)의 셋째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소장되어 있는 시인 김소월이 생전에 간행한 유일한 시집. 시인 김소월은 1920년 『창조(創造)』에 「낭인의 봄」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으며, 이별과 그리움에서 비롯하는 슬픔, 눈물, 정한(情恨) 등을 주제로 하여 일상적이면서 독특하고 울림이 있는 시를 창작했다. 1922년에 「진달래꽃」을 발표했으며, 1925년 12월 26일 127편의 시를 모아서 시집 『진달래...
-
조선 중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가선대부로 평안병사와 부총관을 역임한 김윤제(金允濟)의 손자로, 아버지는 통훈대부 군자감(軍資監) 판관을 역임한 김자호(金自湖)이며, 어머니는 승지를 역임한 정성근(鄭誠謹)의 딸 진주정씨(晉州鄭氏)이다. 아들은 현령을 지낸 김장(金檣)이다....
-
고려 말, 조선 초 경기도 광주군 출신의 문신. 고려 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개를 지킨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인 김약시는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하고 조선을 건국하자 벼슬에서 물러나 부인과 함께 광주의 금광리(金光里)[현재의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 산골에 은거하였다. 그 후 김약시의 자손이 집성촌을 이루자 세상 사람들이 ‘광산김씨네가 사는 마을’이라 하여 금광리라 칭하였다고...
-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선비.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낭향(郞鄕). 아버지는 참봉 김유(金裕), 할아버지는 김언국(金彦國)이며, 중종 때 군수와 부사를 역임한 김윤탁(金尹濯)의 현손이다. 부인은 남양홍씨 홍백순(洪百順)의 딸이며, 아들은 김굉(金鍠)과 김환(金鋎)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김양필(金良弼)의 묘 및 묘갈 김양필[1587~1624]은 인조대의 인물로,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은경(殷卿)이다. 상의원정(尙衣院正)을 역임한 김사원(金嗣源)의 5세손이자 헌릉참봉(獻陵參奉)을 지낸 김유(金裕)의 장남이다.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아 평생 고향에서 은거하였으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명문 사대부가의 자손으로서 근원을 잃...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김양필(金良弼)의 묘 및 묘갈 김양필[1587~1624]은 인조대의 인물로,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은경(殷卿)이다. 상의원정(尙衣院正)을 역임한 김사원(金嗣源)의 5세손이자 헌릉참봉(獻陵參奉)을 지낸 김유(金裕)의 장남이다.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아 평생 고향에서 은거하였으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명문 사대부가의 자손으로서 근원을 잃...
-
생몰년 미상. 광주대단지 8.10 사태의 시위운동을 주도한 인물 성남의 8.10사태는 도시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소외된 도시 빈민층의 적극적인 생존 투쟁으로 전개되었다.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되었다는 불만과 함께 정부의 부당한 조처에 반대한 시위운동은 폭력적인 양상으로 치달았다. 1971년 8월 10일 시위대가 관용차를 불태우고 시영버스를 탈취하며 극단적인 상황으로 전개된 것은 관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김유(金裕)의 묘 및 묘갈. 김유[1561~1616]는 광해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공작(公綽)이다. 상의원정(尙衣院正)을 지낸 김사원(金嗣源)의 현손(玄孫)이자 충좌위부호군(忠佐衛副護軍) 김언국(金彦國)의 아들이다. 관직은 헌릉참봉(獻陵參奉)을 지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김유(金裕)의 묘 및 묘갈. 김유[1561~1616]는 광해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공작(公綽)이다. 상의원정(尙衣院正)을 지낸 김사원(金嗣源)의 현손(玄孫)이자 충좌위부호군(忠佐衛副護軍) 김언국(金彦國)의 아들이다. 관직은 헌릉참봉(獻陵參奉)을 지냈다....
-
경기도 성남시 상대원1동 제2공단에 있는 덕진양행의 노동조합 탄압에 맞서 분신 사망한 노동 운동가. 1980년대 말에는 1987년 6월 항쟁 이후 노동자들의 민주적인 노동조합 설립을 위한 투쟁이 전국적으로 일어났으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성남 지역에서도 공단의 사업장별로 노동조합 설립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
생몰년 미상.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순중(純仲), 호는 상촌(桑村). 아버지는 통례문부사(通禮門副使) 지제고(知制誥)를 지낸 김오(金珸)이다....
-
1858년(철종 9)~1894년(고종 31). 조선 후기의 무신. 자는 도순(道淳)이고, 광산김씨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의 35세손이다. 부친은 김기석(金箕奭), 모친은 진천송씨와 함양박씨이다. 할아버지는 만포(晩圃) 김상식(金相植), 증조할아버지는 김인서(金人叙)이다....
-
1828년(순조 28)~1893년(고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사공(士公)이고, 광산김씨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35세손이다. 부친은 김의교(金義敎), 모친은 청송심씨이다. 조부는 김현일(金顯鎰), 증조부는 김재욱(金載煜)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개항기 의병. 김재선(金在善)[1885~?]은 대한제국 시위대(侍衛隊)에서 퇴역한 군인으로 성남 출신의 남상목(南相穆)이 일으킨 의병 부대에 좌익장으로 참여하였다....
-
1867년(고종 4)에서 1928년까지 활동한 무신. 자는 진옥(振玉)이고, 광산김씨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의 35세손이다. 부친은 김기삼(金箕三), 모친은 고성이씨, 전주이씨이다. 조부는 첨추(僉樞)를 지낸 김상선(金相善), 증조부는 호조참판에 추증된 김낙서(金洛叙)이다....
-
1861년(철종 12)~1895년(고종 32). 조선 후기의 무신. 자는 윤일(允一)이고, 광산김씨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의 35세손이다. 부친은 김기삼(金箕三), 모친은 고성이씨, 전주이씨이다. 조부는 첨추(僉樞)를 지낸 김상선(金相善), 증조부는 호조참판에 추증된 김낙서(金洛叙)이다....
-
1927~?. 군인, 공무원, 사업가. 본적은 서울, 고향은 평양, 주소는 광주 중부면 탄리이다. 한국전쟁 기간 중 월남하여 군생활을 하였고, 32세 때인 1958년 육군 대령으로 예편하였다. 1961년에는 3개월간에 걸쳐 광주군수를 지냈다. 그 후 무적(無籍)으로 전전하다가 개발사업에 착수하여, 1971년 서울에서 모란개척단을 설립하고 대표이사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했던 개항기 의병. 김태동(金泰東)[1888~?]은 독일어를 공부하며 인쇄소 문선으로 일하다 성남 출신의 남상목(南相穆)이 일으킨 의병 부대에 종사(從事)로 가담하여 항일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
조선시대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징보(澄甫). 호는 이안당(易安堂). 광해군 때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지남(金止南)의 계자(系子 : 양자)이며, 어머니는 오경민(吳景閔)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진사를 지낸 김양(金讓)이고, 그의 처부는 최일원(崔一源)이다....
-
1846~1896. 개항기의 의병장. 본관은 의성(義城). 경북 의성에서 출생하였으며, 후에 서울로 이주하였다. 자는 계삼(季三), 호는 해운당(海雲堂)이다. 젊어서 천문, 지리, 병서, 의학서 등을 널리 탐독하였다. 1895년 11월 단발령이 내려지자 이종동생 조성학(趙成學), 동지 구연영(具然英) 등과 이천으로 가서 이천, 양근, 지평, 광주, 안성, 음죽 방면의 의병을 모집하...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응달말[음촌(陰村)]에 석성공파(石城公派) 김상용(金相龍)[1930년생]의 9대조인 통정대부 김대희(金大熙)가 정착한 이래 후손이 세거했다. 중원구 상대원동 사기막골에는 역시 석성공파의 후손 김진희(金震熙)가 처음 정착하여 9대째 살고 있다....
-
조선 후기 광주군 돌마면 출신의 효자. 김호는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자는 사종(士宗), 호는 순천(順天)이며, 김홍필(金弘弼)의 큰아들이다. 부인은 인천최씨이다....
-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노동운동의 세포 조직인 광주공산당협의회에 참여한 인물. 본적은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 268번지이며, 1902년 12월 7일에 출생하였다. 1936년에는 당시 시흥군 서이면 안양리 김원식(金元植)의 집에서 거주하면서 점원으로 활동하며 사회주의운동에 적극 가담하였다. 광주공산당협의회 사건에 연루되어 1936년 1월 분실된 문건이 일경의 수중에 들어가 체포되었...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던 들판. 까치나무들은 수풍안들과 함께 운중동의 운중천 변에 있던 들판 이름이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진 동호인 단체. 사진은 물체에서 반사된 빛과 같은 전자기적 발광을 감광성 기록재료 위에 기록하여 얻은 빛 그림, 즉 광화상을 말하며, 사진기를 이용하여 사물을 기록하고 표현하는 전 과정을 포함한다. 고가의 카메라를 구입하는 것은 물론 현상, 인화를 개인적으로 한다는 것이 쉽지 않아 전문가를 중심으로 사진 작업이 이루어져왔으나, 1990년대 이후...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개최되는 통일 문화 행사. 까치의 통일아리랑은 통일을 염원하는 성남시민들과 사회단체들이 하나가 되어 통일의 필요성을 알리고 기원하는 문화 행사로 매년 8월 15일을 전후하여 개최된다. 기행, 백일장, 노래자랑, 사진전, 영화제 등 매년 행사의 규모나 내용은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진행되었지만 문화 공연 중심의 까치의 통일아리랑은 1993년 제1회 행사부터...
-
찌그러진 빈 깡통을 발로 차며 노는 남자아이들의 놀이. 깡통이 우리나라에 유입된 근대 이후에 형성된 놀이로, 다음의 세 가지가 전해진다....
-
서울로 대학을 가게 되었을 때, 지석태는 처음 성남을 벗어났다. 지하철로 학교에 통학을 했는데 처음엔 무척 재밌었다. “지하철이라는 게 재밌더라구요. 열차 타는 거 같고. 처음에 대학교 다닐 때 몇 달 간은 재밌었어요. 처음 타보잖아요. 지하철 처음 타는데 재밌었어요. 웃겨요. 마주 보고 앉아 있는 게. 마주 보는 게 이상하지만 그때는 모든 게 재밌었어요. 신기하고. 대학생인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