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인라인 동호인 단체. 인라인 스케이트를 좋아하는 사람들 간의 모임을 통해 실력을 향상시키고 친목을 도모하고자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선조가 박동량에게 내린 녹훈 교서. 「박동량 호성공신교서」는 임진왜란 때 선조를 한양에서 의주까지 모신 박동량(朴東亮)[1569~1635]을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봉하고 내린 공신교서로 후대에 다시 복원한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고고학 자료와 미술품 등 학술적 자료를 수집, 보존, 진열하여 일반에게 전시하는 곳. ‘국제박물관회의헌장’[ICOM 헌장]에서는 박물관을 “예술·역사·미술·과학·기술에 관한 수집품 및 식물원·동물원·수족관 등 문화적 가치가 있는 자료 및 표본 등을 각종의 방법으로 보존하고 연구하여, 일반 대중의 교육과 오락을 위하여 공개 전시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항구적 공공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유물·유적 박물관. 판교박물관은 성남 지역의 삼국 시대 유적 및 유물을 전시한 박물관이다. 판교 개발 당시 발굴된 한성백제 돌방무덤 9기와 고구려 돌방무덤 2기의 보존·활용을 위해 건립되었다. 한성백제 유적 9기와 고구려의 석실분 2기 등 총 23기의 유적과 200여 점의 유물을 보유하고 있다. 삼국 시대 유적을 비롯하여 판교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
1901~1989. 성남초등학교 신축 교사의 부지 등을 제공한 육영사업가. 박천복은 1901년에 출생하여 정식으로 교육을 받지는 못했지만 면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사회 활동을 본격화하였다. 박천복이 성남에서 주목받을 수 있는 것은 사회적 환원을 실천적으로 보여 주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성남초등학교의 신축 교지를 기증하는 한편 사회 공적 시설인 성남출장소의 부지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작곡가. 박태현은 1907년 9월 19일 평안남도 평양 설암리에서 아버지 박일찬, 어머니 한인찬 사이에서 독실한 기독교 집안의 2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창작 동요 경연대회. 박태현전국창작동요제는 2000년에 열린 제1회 성남시전국창작동요제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는 창작 동요제로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가 주최하고,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와 박태현추진위원회가 주관하며, 매년 8월에 접수하여 10월에 본선을 진행한다....
-
관을 상여나 영구차에 싣고 장지로 향하는 일. 영결(永訣)이라고도 한다. 장사를 지낼 때 상여가 집을 떠나는 것을 의미하며 집이나 장례식장에서의 마지막 의식이라 할 수 있다. 발인제는 집 또는 장례식장을 떠날 때 관 앞에서 행하는 의식으로 견전례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었던 치안 행정 지원 봉사단체. 방범순찰대는 경찰서 안에 1개 중대가 있으며, 경찰서 관할 내의 방범 활동을 담당하고, 방범 활동 이외에도 시위 진압, 시설 경비, 혼잡 경비 등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라디오나 텔레비전을 통하여 음성이나 영상을 널리 내보내는 일. 한국언론재단의 『매스컴용어사전』에 방송에 대한 개념 정의가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오늘날 방송은 전파에 의한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로 이해되고 있다. 법률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사 등에 관한 보도, 논평 및 여론과 교양, 음악, 연예 등을 공중에게 전파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1동과 이매2동을 연결하는 다리. 방아교는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는 청계산 산지에서 발원하여 운중저수지를 거쳐 운중천이 성남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에 합류하는 지점에 건설된 다리이다. 분당구 이매1동과 이매2동을 연결하는 성남대로779번길에 설치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의 옛 지명인 이무술 지역에서 불렸던 노래. 방아타령은 이무술집터다지는소리에서 불리는 노래로, 초지경다지기의 두 곡의 소리가 끝난 후 부른다. 방아타령은 양산도가 끝나면 모갑이와 뒷잽이는 위치를 바꾸고, 나머지 사람들은 일렬로 서고 역군은 ㄷ자에서 수미가 서로 당기어 원형을 만든다. 이때 모갑이가 선창을 하고 전원이 후렴을 하며 흥겹게 춤을 추고 뛰놀며...
-
한 나라의 언어 중에서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언어. 방언이란 원래 한 가지 모습만을 가졌던 언어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리적, 사회적으로 각각 다른 모습으로 변화를 일으킨 결과로서 특정지역 또는 사회계층에서만 사용하는 음성, 음운, 문법, 어휘의 체계를 가리킨다. 즉, 방언이란 특정 언어 집단에서 쓰이면서 다른 언어 집단의 언어체계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 한 언어의 분화체(分...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국악 단체. 사라져가는 우리의 소리를 성남시민들에게 조금이나마 알리기 위하여 1981년 10월에 창단되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방옹(放翁)이고 호는 청파(青坡) 또는 부휴자(浮休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려조에 밀직부사를 지낸 이강(李岡)이고,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원(李原)이며, 아버지는 돈녕부정 이지(李墀)이다. 어머니는 감찰 정보(鄭保)의 딸인데 포은 정몽주의 증손녀이기도 하다. 부인은 교하현감 고령박씨 수림(秀林)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의 탄천 위에 놓인 인도교. 백궁교는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 상에 놓인 다리이다. 탄천을 중심으로 서편과 동편 지역을 이동할 수 있도록 보도 중심 다리를 개통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백현동·궁내동 일부의 다른 지명. 백궁동은 법정동은 아니나, 옛 낙생출장소 관내의 백현동과 궁내동의 일부를 합하여 백궁동이라 부르고 있다. 현재 행정관리는 정자1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금곡로 하얀마을 삼거리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미금로, 성남대로와 만난 후 대순진리회 구미회관 부근에서 방향을 바꿔 북진하여 탄천 궁내교 인근 백현다리길까지 이르는 길이다. 도로명은 인근 지하철역인 백궁역[현 정자역]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 3.707㎞, 도로 폭 15~20m이며, 총면적은 64,872...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묘가 있었던 조선 중기의 관리. 송맹경(宋孟璟)은 의주목사로 재임 중 노모인 광주 이씨가 체직(遞職)시켜달라는 건의가 받아 들여지지 않을 만큼 중요한 직책을 감당한 인물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대한불교원효종 소속 사찰. 대한불교원효종 소속 사찰로, 남한산성 남문 매표소에서 우측 300m 거리에 있다. 1975년 5월 24일 법선 스님이 원래 정각사(正覺寺)라는 절이 있던 자리에 개축하여 절을 지으면서 백련암(白蓮庵)이라 이름지었고, 1979년 4월 25일 백련암을 다시 백련사로 신축하였다. 매월 초하루법회와 보름법회를 운영하고 있다....
-
1484년(성종 15)~1552년(명종 7).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백순(伯順). 할아버지는 내섬시부정 남이(南儞)이고, 아버지는 군수 남변(南忭)이며, 어머니는 좌참찬 이훈(李塤)의 딸이다. 이조판서 남이공(南以恭)의 증조부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초명은 습.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보(花浦) 또는 운옹(雲翁)이다. 찬성을 지낸 남숙(南淑)의 현손으로, 진사 남이성(南以成)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김림(金琳)의 딸이다. 교위(校尉)인 큰아버지 남대성(南大成)에게 입양되었다....
-
백씨의 남편은 상대원에서 석유가게를 운영했다. 남편은 착하고 성실했으며, 석유가게는 굉장히 잘 되었다. 그야말로 눈코 뜰 새 없이 석유 배달을 했고, 그런 덕분에 돈을 꽤 모았다. 그러다가 남편은 다른 사업을 해보겠다고 했고, 어느 날 갑자기 새 일을 시작했다. 그리고 석유장사 해서 모았던 1억 6천만 원을 불과 6개월 만에 송두리째 날려버렸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백옥(伯玉)이다.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완성군(完城君)에 봉해졌던 이백유(李伯由)의 7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선공감역 이몽석(李夢錫)이고 할아버지는 무주현감 이예(李藝)이다. 아버지는 호군(護軍)을 지낸 이청신(李清臣)이며 어머니는 안동인 선무랑 김상(金鏛)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백옥(伯玉)이다. 중종반정에 협조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에 책록된 이곤(李坤)의 6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의 이홍로(李弘老)이고 할아버지는 이승원(李承元)이다. 아버지는 안악(安岳)군수를 지낸 이여주(李汝舟)이고 어머니는 평산신씨의 딸이며, 이들 사이에서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칠원윤씨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정토사에 소장되어 있는 백용성 선사가 이끈 만일선회 당시의 수행자 명단 기록물. 『백용성 선사 만일선회 방함록』은 백용성 선사[1864~1940]가 창설한 만일참선결사회(萬日參禪結社會) 참여자의 명단이다. 1925년 도봉산 망월사에서 한국 전통 선(禪)의 회복을 꾀한 만일 참선 결사를 시작한 이후 3년간 함께했던 수행자들의 명단이다....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1378년(고려 우왕 4)에 백운화상의 제자들이 간행한 불교 문헌의 목판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고려시대 백운화상 경한(景閑)[1299~1375] 이 1372년(고려 공민왕 21) 제자인 법린(法隣), 정혜(靜慧)의 요청에 의하여 임제종(臨濟宗) 18대손인 원나라 석옥청공(石屋淸珙) 화상으로부터 받은 『불조직지심체요절』을 증...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백인(伯仁)이다. 선조 때에 무과에 등제한 8대조 이종훈(李從訓) 이래로 그의 집안은 무반가를 형성하였다. 증조할아버지는 선략장군(宣略將軍) 이의집(李義集)이고 할아버지는 남병사(南兵使) 이방좌(李邦佐)이다. 아버지는 삼도통제사 이윤경(李潤慶)이고 어머니는 반남인 박사권(朴師權)의 딸이고, 이들 사이에서 첫째아들로 태어났다...
-
아기가 출생한 지 100일이 되는 날을 기념하는 잔치. 근대 이전에는 의료시설이 보급되지 못하고 위생관념이 보편화되지 않아 영아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아기가 출생하여 100일이 되도록 건강히 잘 자라는 것을 기념하고, 일가친척에게 인사시키며 아이의 평안을 기원하는 기회로 삼았다....
-
한강 유역에 있었던 마한의 소국. 후에 백제(百濟)로 성장, 발전하였다. 부여족의 이동과 분파과정에서 형성된 부여계 고구려 이주민인 온조(溫祚) 집단이 남하하여 한강 유역에 정착함으로써 이루어진 정치집단이다. 온조 집단은 처음에 위례성에 정착하여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십제(十濟)’라고 하였다가 중심지를 하남 위례성으로 옮기고 비류(沸流) 집단과 합친 뒤 국호를 ‘백제’로 고쳤다....
-
음력 7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원말은 ‘백중날’로, 백종(百種), 중원(中元)이라고도 한다. 백중날 불교를 믿는 사람들은 절에 가서 죽은 이를 위해 제사를 지내고 불공을 드린다. 그리고 칠석과 마찬가지로 밀떡과 과일로 가신(家神)에게 고사를 드리기도 하였다....
-
조선 후기 문신인 백헌 이경석(李景奭)이 현종으로부터 하사받은 의자와 지팡이, 그리고 당시의 축하 행사를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화첩. 조선시대에는 나이가 많고 학문이 높으며 덕이 많은 사람에게 궤장을 내려 편안하게 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 유물은 1668년(현종 9) 11월 27일 당시 원로 대신이었던 이경석이 현종으로부터 하사받은 궤(几: 앉아서 팔을 편안히 기대는 도구) 1점,...
-
조선 현종 9년(1668년) 11월 27일, 백헌 이경석(李景奭)[1595~1671]이 현종으로부터 하사받은 의자와 지팡이. 백헌 이경석은 인조, 효종, 현종의 3대 50년에 걸쳐 안팎으로 얽힌 난국을 적절하게 주관한 명상(名相)으로, 말년에 관료로서 최고의 영예인 궤장을 하사받는 영예를 누렸다. 현종이 즉위한 뒤 송시열(宋時烈) 등 집권 서인으로부터 여러 번 배척을 받았음에도 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백현동과 정자동을 연결하는 다리. 백현교는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탄천 상에 건설된 다리로, 백현동 대왕판교로에서 정자동 성남대로로 연결되는 백현로에 설치된 교량 시설물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백현동은 분당구의 북쪽 중앙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대부분 지역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녹지였으나 판교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수준 높은 주거·교육·문화·복지 환경을 갖춘 고품격 도시로 재탄생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느티나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서 백현동으로 넘어오는 고개인 옛 잿너머마을의 언덕에 서 있는 수령 30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20m, 가슴높이 둘레 4.6m, 수관(樹冠) 폭 25m의 느티나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위치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2001년에 실시한 토지박물관의 문화유적 지표 조사와 2002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지표 조사를 통해 분당구 백현동에서 발굴된 유물산포지이다. 2개의 유물산포지가 유사한 지역적 분포와 입지, 동일한 유물상을 보여 하나로 통합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지방도 23호선 백현동 부근에서 남동쪽으로 분기한 도로로서, 탄천의 백현교 넘어 분당 중심부를 관통한 후 불정로(푸른마을 삼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도로명은 이 도로가 백현동을 지나기 때문에 명명되었다. 왕복 포장 6차선 도로로, 총연장 2.402㎞, 도로 폭 30~35m, 총면적은 78,065㎡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성남시 분당구의 북쪽 중앙에 위치한 지역으로서 경부고속도가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남서울 컨트리클럽이 있으며, 오른쪽으로는 분당~내곡간 고속화도로 및 분당~장지간 고속화도로가 지나고 있다. 동쪽으로는 탄천에 있는 수내교, 서현교, 양현교를 통해 분당구 이매동 및 수내동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쪽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중학교. 바른 인성과 창의적 사고를 지닌 백현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며, 도덕적인 학생, 창의적인 학생, 실천적인 학생, 환경을 보전하고 심신을 가꾸는 학생, 국제적인 능력을 지닌 학생을 학생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중학교. 바른 인성과 창의적 사고를 지닌 백현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며, 도덕적인 학생, 창의적인 학생, 실천적인 학생, 환경을 보전하고 심신을 가꾸는 학생, 국제적인 능력을 지닌 학생을 학생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지하 차도. 백현지하차도는 성남 지역에 있는 14개 지하차도 중 길이가 가장 길며, 전국에서도 가장 긴 지하 차도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 성실하게 공부하는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 성실하게 공부하는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다양한 상품을 부문별로 구분하여 진열하고,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판매 활동을 하는 대규모 소매점. 백화점은 특수한 조직에 의해서 경영되는 대규모의 현대식 상점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도소매업진흥법」에서 부문별로 상품을 구비해놓고 있다. 매장 면적은 3305.8㎡[지방은 2314.06㎡]를 초과하고 직영 비율이 50%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영문 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시도. 탄천종합운동장 인근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의 탑삼거리에서 동쪽으로 갈라져 나간 길로서, 탄천 야탑교를 넘어 야탑천을 따라가다가 성남대로를 지나 분당테크노파크[아파트형 공장 지구]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도로명은 종점에 자리한 산업시설의 번영을 기원하는 뜻을 담았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 2.862㎞, 도로 폭 20~25m,...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었던 마을. 벌말은 벌터로도 불려졌는데 자연취락지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 세종의 아들 평원대군(平原大君)의 묘소 관리를 위해 수진궁(壽進宮)을 지은 데서 유래한 수진리는 궁말[宮村]로도 불려졌는데, 이 궁말의 서쪽 벌판에 자리 잡은 취락지역이 벌말이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벌말공원은 산책과 간단한 체력 훈련을 할 수 있는 공원으로 성남미금초등학교 북쪽에 있는 공원이다. 미금로와 연접해 있으며 까치마을 아파트 단지가 둘러싸고 있다. 공원 면적은 12,040.7㎡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하탑로 영덕여자고등학교 입구 목련삼거리에서 북쪽 방향으로 분기한 길로서, 야탑천, 여수천을 건너 야탑3동에서 대원로[구 매화로] 중탑삼거리와 만나는 도로이다. 도로 이름은 과거 이 지역에 있었던 자연마을인 ‘벌말’에서 따온 것이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0.703㎞이며, 도로 폭은 20m, 총면적은 14,060㎡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아이들이 벌장수와 벌을 사는 사람으로 패를 갈라 놀던 놀이. 벌장수는 옛 경기도 광주 지역에서 전승되던 놀이로 어린아이들이 맨몸으로 하는 전래 놀이이다. 두 편으로 나뉘어 문답식으로 진행하며, 1인씩 들어가며 놀이한다. 승부를 가리지 않고 질문을 하며 벌장수와 벌을 구입할 사람으로 역할을 나누어 놀이를 진행한다....
-
무덤의 잡풀을 베어서 깨끗이 하는 일. 벌초는 묘소를 정리하는 과정의 하나로, 조상의 묘를 가능한 한 단정하고 깨끗이 유지하기 위한 후손들의 정성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주로 봄, 가을에 하는데, 봄에는 한식을 전후해서 벌초를 하고 가을에는 추석 성묘를 전후해서 실시한다. 전통적으로 묘소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조상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 하여 벌초에 많은 신경들을 써왔다. 하지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었던 마을. 벌말은 벌터로도 불려졌는데 자연취락지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 세종의 아들 평원대군(平原大君)의 묘소 관리를 위해 수진궁(壽進宮)을 지은 데서 유래한 수진리는 궁말[宮村]로도 불려졌는데, 이 궁말의 서쪽 벌판에 자리 잡은 취락지역이 벌말이었다....
-
고려 말기에 간행된 『범망경』권제10의 상·하권 중 하권에 해당하는 불교 문헌. 『범망경(梵網經)』은 우리나라 불교 계율의 기초를 이루는 불교 경전의 하나로, 원명은 『범망경노사나불설보살심지계품제십(梵網經盧舍那佛說菩薩心地戒品第十)』이다. 중국 후진(後秦)의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한역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근래에는 중국에서 찬술된 문헌이라고 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던 조선 인조 때 창건되고 1939년에 폐사된 법륜사 절터. 법륜사 터는 성남 지역을 대표하던 법륜사가 있던 절터이다. 청나라 사찰지 『범우고(梵宇攷)』에 따르면 인조 때 창건된 절로 영창대군의 원찰 기능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 위치는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금빛초등학교 주변으로 1970년대 동제종이 발굴되어 태평동사지 혹은 탄리사지로 알려진 곳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자연 마을을 바탕으로 하였거나 오랜 전통을 지닌 행정구역으로, 법으로 정해진 동. 법정동은 예부터 전래되어 온 우리 고유의 땅이름으로, 정부 기관의 모든 문서나 재산권 및 각종 권리 행사 등 법률 행위 때 이용되는 법정 땅이름인데, 이 중 주소로 표시되는 최하 단위 행정구역 명칭이 법정동이나 법정리이다. 현행 법정동이나 법정리의 지번(地番) 체계는 1910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불교총지종 소속 사찰. 1987년 6월 불교총지종의 서울·경기교구 소속사원의 하나로 설립되었다. 총지종은 1972년 원정(苑淨) 성사에 의해 창종된 밀교종단이다. 비로자나불을 교주(敎主)로 삼고, 관세음보살의 본심미묘진언인 ‘옴마니반메훔’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을 본존불로 모시며, 삼밀관행법(三密觀行法)을 통한 진언염송으로 즉신성불(卽身...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1동 황송공원 내에 있는 기념탑. 1998년 5월 14일 초대 민선 성남시장 오성수와 대한해외참전전우회 직할 성남시 회원들이 해외에 파병되었던 성남 지역 청년들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해외 참전 기념탑을 건립하였다. 2004년 12월 베트남(월남) 참전 기념탑으로 변경되었다가 2013년 월남 참전 기념탑으로 다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그 고달픔을 잊기 위해 부르던 노동요. 대표적인 부요(婦謠)의 하나로, 영남 지방에서 비롯되어 전국으로 널리 퍼졌다. 지방마다 내용이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내용은 대체로 비슷하다....
-
단단한 석재를 골라 조각하고 먹이 잘 갈리도록 다듬어 벼루를 만드는 장인. 벼루는 지필묵(紙筆墨)과 함께 조선시대 선비들이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반드시 갖춰야 할 문방사우의 하나였다. 벼루의 종류는 만드는 재료에 따라 돌로 만든 석제연, 쇠로 만든 철제연, 구리로 만든 동제연 등으로 나뉘며, 명칭은 일월연(日月硯), 용연(龍硯) 등과 같이 표면을 장식하는 문양에 의해 다양하...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제조업체. 아파트형 공장은 「공업배치및공장설립에관한법률」에 의한 공장의 하나로, 동일 건축물 안에 다수의 공장이 동시에 입주할 수 있는 다층형 집합 건물을 말한다. 벽산테크노피아는 성남산업단지 제3공단 내에 자리한 아파트형 공장으로 주로 전기·전자 분야의 업체들이 입주하고 있다....
-
1575년(선조 8)~1660년(현종 1). 조선시대의 선승(禪僧), 승병장(僧兵將). 1575년(선종 8) 12월 아버지 김해김씨와 어머니 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
대소변을 보도록 만들어 놓은 곳. 흔히 ‘뒷간’이라고 하며, 이외에 헛간, 북수간, 퉁시라고도 한다. 보통 살림집에서는 남녀가 사용하는 곳을 구분하여 안채의 뒤쪽에는 아녀자들이 주로 쓰는 안 뒷간이 있고, 집의 울 밖이나 행랑채 옆에는 남자들이 사용하는 뒷간이 있다. 농업이 중심이 되었던 전통사회에서는 거름으로 인분(人糞)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밖에 나가 볼 일이 급해도 자신의 집에...
-
불운한 죽음을 맞이하여 신격화된 인물, 또는 홍역과 마마를 관장하는 마마신을 위한 무속의 한 거리. ‘별성(別星)거리’라고도 불린다. 별성은 연산군, 광해군, 사도세자와 같이 불운한 죽음을 맞이한 인물이 신격화된 경우와, 홍역과 마마를 관장하는 마마신이라는 해석도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환자를 진찰하고 치료하기 위해 설치한 장소. 「의료법」 제 3조 4항에 병원, 치과 병원 또는 한방 병원이라 함은 의사, 치과 의사 또는 한의사가 각각 그 의료 행위를 행하는 곳으로서, 입원 환자 2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의료 기관을 말한다. 그리고 1957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병원은 ‘주민에게 치료와 예방을 포함하는 완전한 보건...
-
1636년(인조 14) 12월부터 1637년 1월까지 청(淸)의 침입에 의한 조선과의 전쟁. 제1차 침입인 정묘호란(1627년) 이후 맺은 조약에서 ‘형제의 맹약(盟約)’을 ‘군신의 의(義)’로 바꿀 것을 요구한 것이 직접적인 동기였다. 당시 조정은 서인이 집권하면서 숭명반청(崇明反淸) 외교노선을 취하여 오랑캐인 청나라에 대해 척화(斥和)하자는 논의가 팽배해 있었다. 이때 청은 개...
-
경기도 성남시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 질병 예방 등 지역의 공중보건 향상을 도모하는 공공보건 의료기관. 성남시 보건소는 1973년 7월 1일 성남출장소가 시로 승격되면서 성남시 신흥3동 3436번지에 처음 설립되었다. 현재는 보건소를 분리 확장하여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에 3개의 보건소를 두고 각종 보건 행정과 진료 및 건강 증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주민의 신체·정신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하여 행하는 제반 활동. 성남시는 ‘평생 건강관리 체계 구축으로 건강 도시 성남’을 지역 보건정책의 비전으로 삼아, 지역 주민의 건강을 향상하기 위한 지역 보건 서비스를 실시하여 왔다. 우리나라 의료법은 의료인이 공중 또는 특정 다수인을 위해 의료, 조산의업(助産醫業)을 행하는 곳을 의료기관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의료기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보들은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의 너더리마을 서쪽 들판에 자리 잡고 있었다. 서쪽 지역을 웃보들[웃말], 동쪽 지역을 아랫보들[아랫말]이라고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복평’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요양 재활 전문 의료기관. 보바스기념병원은 환자들을 위하여 일생을 헌신했던 영국의 보바스 부부 뜻을 기리어 영국 보바스재단으로부터 병원명 사용을 인증받아 노인 전문 치료 병원을 표방하고 2002년 개원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요양 재활 전문 의료기관. 보바스기념병원은 환자들을 위하여 일생을 헌신했던 영국의 보바스 부부 뜻을 기리어 영국 보바스재단으로부터 병원명 사용을 인증받아 노인 전문 치료 병원을 표방하고 2002년 개원하였다....
-
1575년(선조 8)~1660년(현종 1). 조선시대의 선승(禪僧), 승병장(僧兵將). 1575년(선종 8) 12월 아버지 김해김씨와 어머니 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내에 있었던 지명. 상대원동의 새말[新村, 상대원동에 있는 새로 생긴 마을] 동남쪽에 있던 마을로 온양방씨(溫陽方氏), 남원양씨(南原楊氏) 등이 살았던 곳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을 흘러 대원천에 유입하는 하천. 중원구 상대원동 보통골에서 발원하여 대원천으로 합류하는 지류 하천이며 대원천은 다시 탄천으로 합류한다. 하천 길이는 740m이며 단대천, 독정천과 함께 대원천의 지류하천을 이루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진실과 창조’이다. 세계를 가슴에 품고 더불어 사는 보평인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자율성을 신장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조인, 진취적 성품을 연마하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도덕인, 잠재 능력을 계발하고 진로를 적극적으로 개척하는 자주인, 심신을 튼튼하게 단련하고 건전하게 학교생활을 하는 건강인, 기초학력을 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진실과 창조’이다. 세계를 가슴에 품고 더불어 사는 보평인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자율성을 신장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조인, 진취적 성품을 연마하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도덕인, 잠재 능력을 계발하고 진로를 적극적으로 개척하는 자주인, 심신을 튼튼하게 단련하고 건전하게 학교생활을 하는 건강인, 기초학력을 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관할의 옛 지명.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관할의 자연마을로 신라시대 진흥왕 때에 화랑도들이 막았다는 화랑보에서 물을 끌어들인 수리안전답들이 마을 앞에 있었다. 예전에는 서울과 수원을 경유하여 영호남으로 가는 길과 광주 방면으로 하여 강원이나 경북 방면으로 가는 세 갈래 길인 삼거리 동쪽에 위치하였고, 평산신씨(平山申氏)와 연일정씨(延日鄭氏), 청풍김씨(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 창의, 열정’이며, 학생의 꿈을 기르는 교육, 예절 바른 사람을 기르는 교육, 창의성을 계발하는 교육을 토대로 예절 바르고 바른 생활을 하는 도덕인, 자주적으로 학습하는 실력 있는 실력인, 생활을 과학화하는 창의인, 건전한 정신과 튼튼한 몸으로 성장하는 건강인, 더불어 함께 사는 민주인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 창의, 열정’이며, 학생의 꿈을 기르는 교육, 예절 바른 사람을 기르는 교육, 창의성을 계발하는 교육을 토대로 예절 바르고 바른 생활을 하는 도덕인, 자주적으로 학습하는 실력 있는 실력인, 생활을 과학화하는 창의인, 건전한 정신과 튼튼한 몸으로 성장하는 건강인, 더불어 함께 사는 민주인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지·덕·체를 고루 갖춘 조화로운 어린이[조화인], 자유 의지로 행동하고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 가는 어린이[자주인], 차이를 인정하고, 모든 생명체와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공동체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지·덕·체를 고루 갖춘 조화로운 어린이[조화인], 자유 의지로 행동하고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 가는 어린이[자주인], 차이를 인정하고, 모든 생명체와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공동체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는 동일한 유형의 우연한 사고 발생 위험에 대비하여 공동의 재산을 비축하고 사고 발생 시 공동 재산에서 일정액의 손해를 보상하는 제도. 생명보험회사와 체신보험은 금융기관의 보험기관에 해당한다. 생명보험회사가 금융기관으로 분류되는 것은 손해보험과는 상이하게 손해의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기간이 경과된 후 약정된 보험금을 지급하는 저축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이...
-
경기도 성남시 관할의 보호 관찰 심사 기구.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4059호, 1988년 12월 31일]에 의거하여 1989년 7월 1일 고등검찰청이 있는 서울시, 대전시, 대구시, 부산시, 광주시에 설치되었다. 성남 지역에는 수원보호관찰소 성남지소[성남보호관찰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서울보호관찰심사위원회에 소속되어 있다. 이 위원회는 전국적 조직으로서, 상정된 안건...
-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 세 번의 절기. ‘삼복(三伏)’이라고 하여 하지(夏至)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을 초복(初伏), 네 번째 경일을 중복(中伏), 입추(立秋)로부터 첫 번째 경일을 말복(末伏)이라 한다. ‘삼복더위’란 말이 있듯이 이 기간은 가장 더운 여름 시기이다. 여름철에는 일을 많이 하므로 땀을 많이 흘려 몸이 허해지기 때문에 복날에는 건강을 위해 특별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일대에서 매년 12월에 열리는 지역 축제. 복정 어울림 빛축제는 마을 공동체의 화합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2012년 12월부터 시작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바르게, 남다르게, 세계로’이며, 바른 생각과 행동으로 예절을 실천하는 사람, 자기주도적학습의 실천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사람, 개성이 뚜렷하며 남과 다른 경쟁력을 갖춘 사람, 더불어 살아갈 세계 민주시민 의식을 갖춘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바르게, 남다르게, 세계로’이며, 바른 생각과 행동으로 예절을 실천하는 사람, 자기주도적학습의 실천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사람, 개성이 뚜렷하며 남과 다른 경쟁력을 갖춘 사람, 더불어 살아갈 세계 민주시민 의식을 갖춘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서울시 송파구 장지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북쪽 경계인 복정동과 서울 장지동을 지나는 국도 3호선 상에 위치하는 다리로, 1999년에 준공되었다. 총연장 30m, 다리 너비 50m이며, 축조 형식은 RC슬라브 방식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위치한 시립 도서관. 성남시 복정도서관은 지상 4층, 지하 2층의 규모로, 일반열람실, 어린이 가족열람실, 노트북실, 다목적실, 종합자료실 등을 갖추었다. 총 740석 규모로 총 45,000여 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다. 독서교실, 독서동아리 등록제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독서 생활화를 이끌고 있으며, 시민들의 취미, 교양을 활성화하기 위해 문화교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복정동은 수정구 북단에 있는 지역으로 서울과 인접한 성남시의 관문이다. 행정동인 복정동은 법정동인 복정동 및 창곡동을 관할하고 있다. 경기도의 성남시와 하남시, 서울특별시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위례신도시 택지개발지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느티나무. 영장산 서쪽의 망경암 대웅전 오른쪽에 있는 수령 20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20m, 가슴높이 둘레 3m, 수관(樹冠) 폭 20m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245-1번지 일대의 개발을 위한 토지구획정리사업. 정식 사업명칭은 ‘성남 복정지구 토지구획 정리사업’으로, 시행면적은 복정동 245-1번지 일원 432,617㎡이다. 사업목적은 계획적인 도시개발로 무질서한 도시의 확산을 방지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며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주택난 해소를 위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하수처리장. 하수처리장은 가정을 비롯한 각종 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수 중의 유해 물질이나 오염물질을 걸러내 마지막으로 하천에 내보내는 곳이다. 하수 슬러지[침전물]의 잔여 유기물이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악취 문제로 흔히 혐오 시설로 취급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현충탑. 성남시 현충탑은 성남시의 대표적인 현충 시설로 성남시 수정구 태평4동 주거 밀집 지역의 최북단에 있으며, 후세들의 호국정신과 애국심을 배우는 소중한 교육의 장소이기도 하다. 매년 6월 6일이면 성남시 현충탑에서는 추념식이 열리며, 성남 지역 각계 인사들이 참배를 하기 위하여 찾아온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구의 최북단에 있는 지역으로서 서울특별시와 인접한 성남지역의 관문이다. 남한산성의 서쪽 비탈면을 지나 탄천에 이르는 지역으로서 대부분이 구릉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은 수정구 창곡동과 서쪽은 신촌동과 맞닿아 있으며, 남쪽은 태평동, 북쪽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및 송파구와 접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둔전동 사이에 있는 습지. 복정습지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둔전동 사이에 있는 탄천 하도(河道)의 해발 35m 정도에 형성되어 있으며, 평균 수심은 1m, 면적은 170,000㎡이다....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에 있는 수인분당선 및 지하철 8호선의 환승 전철역. 복정역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서울특별시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지하철 8호선 간 환승역으로 성남시와 서울시 경계 부근에 자리한다. 수인분당선 복정역의 부역명은 ‘동서울대학’으로, 인근에 동서울대학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을 연결하던 다리. 성남시의 북쪽 경계인 수정구 복정동과 서울 송파구 장지동을 지나는 지방도 제342호선 헌릉로상에 있던 다리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상수도 정수장. 정수장은 강물이나 지하수 따위의 물을 먹거나 쓸 수 있도록 깨끗하게 걸러 내는 시설을 갖춘 곳으로 복정동 정수장은 성남시 맑은물관리사업소가 관할하는 상수도 정수장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건강한 어린이’이며, 비전은 ‘따뜻한 어울림과 즐거운 배움으로 만드는 행복한 성장’이다.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즐거운 배움으로 자기 삶의 주인으로 서는 어린이, 문화예술을 누리며 행복한 삶을 가꾸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착하고 슬기롭고 건강한 어린이’이며, 비전은 ‘따뜻한 어울림과 즐거운 배움으로 만드는 행복한 성장’이다.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즐거운 배움으로 자기 삶의 주인으로 서는 어린이, 문화예술을 누리며 행복한 삶을 가꾸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복초(復初)이고, 정대년(鄭大年)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관할의 옛 지명.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관할의 자연마을로 신라시대 진흥왕 때에 화랑도들이 막았다는 화랑보에서 물을 끌어들인 수리안전답들이 마을 앞에 있었다. 예전에는 서울과 수원을 경유하여 영호남으로 가는 길과 광주 방면으로 하여 강원이나 경북 방면으로 가는 세 갈래 길인 삼거리 동쪽에 위치하였고, 평산신씨(平山申氏)와 연일정씨(延日鄭氏), 청풍김씨(淸...
-
상대원시장에는 가게 앞마다 노점도 많았다. 노점을 하는 사람이나 상가를 운영하는 사람 모두가 상대원시장이라는 공동체 내에 있었다. 그들은 친목회도 같이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염씨는 친목회 회원에게서 동업 제안을 받았다. 헌집을 매입하여 새집으로 지어 파는 일이었는데, 집을 많이 지어본 사람의 제안이라 거절하지 않았다....
-
본향신 혹은 산신을 굿에 초대하는 무속의례의 한 거리. 성남을 포함한 경기도에서는 산거리 혹은 산신거리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주로 굿이 행해지는 그 지역에 소재한 산을 관장하는 산신 혹은 서낭신을 청하는 거리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보들은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의 너더리마을 서쪽 들판에 자리 잡고 있었다. 서쪽 지역을 웃보들[웃말], 동쪽 지역을 아랫보들[아랫말]이라고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복평’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근린공원. 봇들공원은 판교 신도시의 제6호 근린공원으로 판교테크노밸리와 접해있는 자연·생태 공원과 교육·체험 공원으로 계획되어 조성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서 삼평동을 연결하는 시도(市道). 봇들로는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 백현동 지점에서 북쪽 방향으로 분기하여 판교테크노밸리까지 연결된 도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총본산 조계사 소속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교구 말사로, 영장산 서남쪽 기슭에 있다. 고려 현종 19년(1028년) 창건되었으며, 그 뒤 폐허화된 것을 조선 태조 4년(1395년) 왕명으로 담화(曇華)가 중수하였다. 1674년(현종 15)에는 1년 사이에 요절한 공주 명혜(明惠)와 명선(明善)의 명복을 빌기 위해 현종이 공주의 능...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의 봉국사 대광명전에 있던 조선 시대 불상. 봉국사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지장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광해군의 비 문성군부인 유씨(文城君夫人柳氏)가 1622년에 조성한 불상으로 추정된다. 자인수양사(慈仁壽兩寺)에 봉안되었다가 1674년(현종 15) 봉국사가 창건되자 대광명전으로 이안(移安)되었다. 1933년 발행된 『조선총독부관보』 제1814호와 193...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봉국사에 있던 조선 시대 불상. 봉국사 석가모니불은 1622년(광해 14)에 광해군의 비 문성군부인 유씨(文城君夫人柳氏)가 조성한 불상으로 추정된다. 자인수양사(慈仁壽兩寺)에 봉안되었다가 1674년(현종 15)에 봉국사가 창건되자 봉국사로 이안(移安)되었다. 1933년 발행된 『조선총독부관보』 제1814호와 1939년 작성된 『봉국사 이전 허가에 관한...
-
봉씨는 보통 오전 9시에 가게 문을 연다. 그 시간에 아내는 집안일을 해결하고 좀 늦게 가게로 나온다. 벌써 오래된 생활 규칙이지만, 요즘은 낮 동안에 낮잠 자는 일이 많아졌다. 한참 바쁠 땐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그래가 내려오면 둘이 밥 먹고 낮에는 낮잠 자야지. 왜냐하면 손님 없으니까. 혼자 있을 때는 혼자 자버리는 거야. 손님 없으니까. 그러면 이제 한 사람은 보초...
-
경기도 광주시 지역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역참. 현재 봉안역에 대한 자료는 거의 전해오고 있지 않아 확실한 위치를 알 수 없다. 대부분의 자료는 조선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세종실록지리지』의 표를 보면 경기도에 속한 역도는 모두 3개로(좌도충청도, 우도충청도, 경기·강원도), 경기, 강원도에는 다시 5개의 역도(중림도·평구도·도원도·월화도·경안도)가 있었다....
-
사람의 죽음을 알리는 글. 부음(訃音)이라고도 하며, 초상이 났음을 알리는 방법의 하나이다. 초상이 났음을 알리는 것을 발상(發喪)이라 하는데, 발상의 방법으로는 소리를 통한 초혼(招魂), 즉 고복(皐復)이 있고, 발상을 알리는 종이를 붙이는 시각적인 방법이 있다. 이 두 방법이 그 대상을 이웃으로 한정한다면, 부고는 멀리 있는 친척이나 친지에게 사람이 죽었다는 소식을 서면으로 알...
-
노씨 아줌마는 2007년 10월에 상대원을 떠나 현재의 성남동으로 이사했다. 이사 전까지는 부업을 계속했다. 그녀는 스스로 생각해도 일복이 참 많았다. “진짜 수없이 밤낮없이 했어요. 어느 때는 새벽부터 일어나가지고 밥 간단하게 해주면서 애들 가기 전부터 시작을 해야 돼요. 그냥 뭐 몸빼바지 하나 주서 입고 허구헌 날, 그 시간대를 맞춰줘야 되니까 날짜를 맞춰줘야 되기 땜에. 제가...
-
노씨 아줌마는 부업하는 사람들이 손 못 놓는 이유를 잘 안다. 또 텔레비전 프로 ‘생활의 달인’에 나오는 부업하는 달인 아줌마들이 왜 그렇게 손이 빠르고 정확해졌는지 잘 안다. 노력한 만큼 정확하게 들어오는 돈 맛을 잊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 20일 정도 한다면 될 거예요, 없을 땐 없고 있을 땐 있고 그러니까. 그러면 그게 보통 평균적으로 고정적으로 들어오는 수입이, 우리 아저...
-
신혼 초에는 그냥 집안일만 했다. 하지만 삶의 목표를 생각하면 뭐라도 해야 했다. 그러다가 주위 할머니들을 도와 심심풀이 삼아 도라지 까기를 시작했다. 상대원시장 상인에게서 도라지를 받아다가 한 양푼씩 까면 그 때 돈으로 1000원을 받았다. 1986년 즈음해서 우연히 지퍼 부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389단지의 쓰러져 가는 허름한 2층 기와집으로 이사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때였다...
-
솥을 걸고 불을 때어 음식물을 만들 수 있도록 만든 곳. 우리나라의 부엌은 음식물을 만들고 저장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는 동시에 난방의 기능도 가진다. 이에 따라 부엌은 취사와 난방을 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온돌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지표보다 60~90㎝ 정도 낮은 흙바닥이 일반적이다. 부엌은 가족의 식생활을 담당하는 중요한 장소로서 여성생활의 중심이 되는 안채나 여주인의 생활공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의 별칭.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金光洞)은 1989년 5월 단대동의 일부를 금광동으로 명칭을 변경한 것인데, 원래 이 지역에 있던 자연 취락인 금광리의 지명을 살려 이름 붙인 것이다. 금광리에는 고려 말 불사이군의 절개를 지킨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인 김약시(金若時)가 은거하다가 별세하였는데, 그 자손이 벼슬에 오르고 집성촌을 이루어 세상...
-
굿이 행해지는 공간인 굿청을 정화(淨化)하는 거리. 부정 혹은 부정거리라고도 불린다. 부정은 무속의례의 거리 중에서 가장 처음 행해지는 거리이다. 성남지역에서는 일부에 한해 산거리가 먼저 행해지기도 하지만, 부정거리가 가장 먼저 행해지는게 일반적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증(李增)의 사당. 부조묘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증[1525~1600]의 제사를 모시는 사당이다. 이증은 본관은 한산, 호는 북애(北崖)이며,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 3등에 책록되고 아천군(鵝川君)에 봉해졌다. 성품이 청렴하였으며, 효도와 우애가 지극하였다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노인 요양 시설. 부처님마을 자광원은 환자들을 수용하여 요양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은 보건 기관인 요양 시설이다. 2008년 7월 1일자로 무의탁, 장애 노인을 위한 무료 요양 시설에서 노인복지법에 따른 장기 요양 보험 기관으로 지정되어 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 상태에 따라 1~2등급 판정을 받은 노인들이 입소하는 생활 시설로 변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과 구미동의 경계에 있는 고개. 부천당고개는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과 구미동을 구분하는 능선상의 고개로 해발 281m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방옹(放翁)이고 호는 청파(青坡) 또는 부휴자(浮休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려조에 밀직부사를 지낸 이강(李岡)이고,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원(李原)이며, 아버지는 돈녕부정 이지(李墀)이다. 어머니는 감찰 정보(鄭保)의 딸인데 포은 정몽주의 증손녀이기도 하다. 부인은 교하현감 고령박씨 수림(秀林)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가겸(可謙)이고, 호는 북애(北崖)이다. 이색(李穡)의 7세손으로 아버지는 이지숙(李之菽)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제2경인고속도로 요금소. 북판교요금소는 폐쇄식 요금소로, 성남으로 가는 차량만 요금을 지불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제2경인고속도로 요금소. 북판교요금소는 폐쇄식 요금소로, 성남으로 가는 차량만 요금을 지불한다....
-
나는 상대원1동의 중원초등학교를 졸업했다. 어렵게 사는 아이들이 많이 다니던 학교였다. 나이 들어 생각해 보면, 그 지역 아이들은 부모의 양육이 부재한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많은 경우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끼리끼리 어울리고 놀았다. 그러다 보니 불량 끼가 있는 애들도 생겨났다. 그런 아이들 사이에서 나는 발언을 잘 하지 못했고, 주눅도 잘 들었다. 편애가 심하던 6학년 때 담임 선...
-
염씨는 90년 분당 신도시 아파트에 당첨이 되었다. 장사에서도 이문이 많이 남았고, 거기다 집짓기 동업에서도 이윤이 있었던 터라, 그는 돈의 여유가 있었다. 처음에는 집짓기 동업자의 추천대로, 성남 시민이면 누구나 분양 신청이 가능한 시범단지를 노렸다. 하지만 경쟁률이 워낙 심했다. “그 다음서부터는 주택 청약예금인가 뭐를 얼마를 넣으면 하는 게 있었어요. 처음에는 삼십 몇 평 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카페 거리. 테라스 거리라 불리기도 하는 분당 정자동 카페거리는 커피 향과 은은한 음악이 흐르며, 각각의 상가마다 독특한 건물 모양과 화려한 조명이 어우러져 정자동만의 이국적인 풍경을 만들어 내는 상가 거리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관현악단. 분당 챔버 오케스트라는 음악 전공자로 구성되어 매년 정기 연주회와 더불어 작은 음악회, 자선 음악회 등 음악이 필요한 곳은 어디든지 찾아가 연주 활동을 벌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성남 지역에서 가장 높은 주거용 오피스텔. 코오롱건설 주식회사에서는 업무 시설, 운동 시설, 근린 생활 시설이 합쳐진 초고층 고급 주거용 오피스텔로 트리폴리스라는 브랜드를 제작한 후, 1998년 11월 분당구 금곡동 210번지[정자일로 1]에 분당 코오롱 트리폴리스Ⅰ을 착공하여 2001년 12월 준공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겸비한 맞춤 경영인 양성이다. 교육 목표는 도덕인, 창조인, 자주인, 세계인, 행복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겸비한 맞춤 경영인 양성이다. 교육 목표는 도덕인, 창조인, 자주인, 세계인, 행복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분당구 관할 치안 행정 기관. 분당경찰서는 성남시 분당구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의 경찰권을 운영하는 경찰 행정기관으로 치안 업무를 관장한다. 판교신도시 조성 후 많은 인구가 유입되고, 다수의 공기업 및 벤처 기업이 들어오며 분당경찰서의 치안 및 민원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성남수정경찰서, 성남중원경찰서와 함께 경기남부경찰청 소속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성실, 자율’이며, 튼튼한 몸과 건전한 정신을 지닌 건강한 사람, 민주적 신념과 주체 의식이 강한 자주적인 사람, 열심히 배우고 스스로 탐구하는 실력 있는 사람, 취미와 여가를 선용하여 마음이 아름다운 사람, 서로 돕고 봉사하여 공동체 의식을 실천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성실, 자율’이며, 튼튼한 몸과 건전한 정신을 지닌 건강한 사람, 민주적 신념과 주체 의식이 강한 자주적인 사람, 열심히 배우고 스스로 탐구하는 실력 있는 사람, 취미와 여가를 선용하여 마음이 아름다운 사람, 서로 돕고 봉사하여 공동체 의식을 실천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분당구는 수정구, 중원구와 함께 성남시 3개 구 중 하나로, 지리적으로는 서울 도심에서 남동쪽으로 약 25㎞, 강남에서 약 10㎞ 떨어진 곳에 있다. 분당구는 새로 계획된 도시형 정주 공간으로, 분당신도시 개발 이전까지 이곳은 구 「건축법」 제40조의 ‘건축 허가 제한’에 따라 이른바 ‘성남시 남단 녹지’로 불리던 건축행위 제한지역이었다. 정부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분당구 관할 공공 보건 의료 기관. 분당구 보건소는 분당신도시 건설로 인구가 증가하고 행정구역이 분구되어 증대된 성남시 분당구의 보건의료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
-
...
-
...
-
...
-
신기동은 조선시대에 광주군 낙생면 금곡리에 속한 지역이었다. 1971년 9월 13일 광주군에서 성남출장소가 분리, 독립하면서 낙생면 금곡리에 속하였고, 1975년 3월 17일 성남시 낙생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89년 5월 1일 성남시 중원구에 편입되었다가 1991년 9월 17일 분당출장소가 분당구로 승격될 때 금곡동에 속하였다. 1996년 1월 15일 분당구 금곡동과 정자동 일...
-
정자동은 성남시 분당구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탄천이 동의 서쪽을 남출북류(南出北流 : 남쪽에서 나와 북쪽으로 흐름)하고 있다. 불곡산의 북서쪽 기슭에 해당되며 분당신도시 개발로 인하여 기존의 정자동 행정구역에서 불정동, 신기동 등이 새로 생겨나면서 면적이 크게 축소되었다. 동의 북쪽은 백현로에 의하여 수내동 및 내정동과, 동의 남쪽은 정자로에 의하여 불정동과, 동의 서쪽은 내정로에...
-
불정동은 성남시 분당구의 동남쪽에 위치한다. 동쪽은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과 불곡산 줄기에 의하여 나누어지며, 남쪽은 구미동과 금곡동, 서쪽은 신기동, 북쪽은 수내동, 정자동과 접하고 있다. 정자로가 동서로 뻗으면서 정자동의 경계를 이룬다. 분당을 남북으로 관류하는 탄천의 동쪽에 자리잡은 신설 동으로 분당신도시 개발로 인하여 기존의 행정구역이 새도시의 구조와 아파트 입지여건에 맞추어...
-
1938년생(67세)으로 한산이씨이다. 그의 집안은 500년간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 수내리[현재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부근]에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다. 그도 일제강점기에 이곳에서 태어나 현 야탑동의 돌마초등학교에 다녔으며, 현재도 30~40명이 매년 한두 번 동창회를 연다. 초등학교 1학년 담임 한백효 선생을 아직도 기억하는데, 이 분은 광복 후 중동고등학교 교장을 지냈다...
-
현재 가족은 아버님, 부인, 자녀 3남매이다. 큰딸은 시집가고, 큰아들은 결혼하여 분가해서 따로 나가 살고, 막내는 집에 있어서 네 식구가 살고 있다. 선산은 대부분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에 있는데 조선시대 선조 때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지낸 아천군 이증(李增) 선조 등 24개의 묘소들이 있고, 일부는 분당이 개발되면서 경기도 여주로 이장하였다. 서울로 이주한 이유는, 서울사범학교...
-
전에 수내동에는 100여호 정도 살았는데, 숲안, 역말, 넘어말 등 세 마을로 구성되었다. 수내동의 유래는 이곳 마을이 안 보이게 그 앞으로 큰 나무들이 심어져 있기 때문에 ‘숲안’이라고 불리다가 ‘수내리’가 되었다고 전한다. 그런데 이 나무는 조선시대 청백리였던 한산이씨 이병태 선조가 많이 심었다고 한다. 마을의 역사적 사건으로는 6·25전쟁 때 면사무소 직원, 선생님, 농협직원...
-
연령별, 계절별 의복을 회상하면 해방될 무렵 초등학교 1, 2학년 다닐 때는 바지, 저고리에 조끼를 입고 등교하였다. 6·25전쟁 이후부터 아이들의 바지, 저고리가 사라진 것 같다. 광복 후 초등학교 5, 6학년 때는 단추 달린 학생복을 입었다. 그 당시는 옷장수가 집집마다 방문하여 외상으로 옷을 팔았다. 농촌인 관계로 남자어른들은 바지, 저고리를 입고 다니고, 여름에는 중의적삼에...
-
전에 일주일 식단은 없이 주식은 밥, 김치, 된장, 고추장인데, 광복 직후에 학교에 가지고 간 도시락에 반찬 대신 깨소금을 가지고 다녔다. 반찬은 여름에 고등어, 굴비를, 겨울에 동태, 북어를 가지고 요리하였다. 그 당시 학교에 가자고 온 아이에게 아침을 굶고 왔을 것 같아 “먹었어도 더 먹으라”고 권하기도 하였다. 일상식에 소요되는 비용은 자급자족이므로 계산을 할 수가 없었고,...
-
수내동은 중앙공원 내에 큰역말(30여 호), 넘어말(20여 호), 숲안(20여 호) 등의 세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고, 6·25 때 피난 온 이들이 중앙공원 쪽을 보고 명당이라는 말을 하였다. 6·25전쟁 이전에는 큰 기와집 한 채에 대부분 초가집으로 마을이 이루어져 있었는데 전쟁 때 거의 소실되었다. 1990년대 개발사업으로 마을의 한옥 한 채만 중앙공원 내에 남아 있고, 역말에는...
-
역사상의 인물에 얽힌 이야기로는 이경류(李慶流) 할아버지가 임진왜란 때 상주전투에서 전사하자, 타고 다니던 말이 이곳 집으로 와서 대문간에 머리를 부딪치고 죽었다고 한다. 그래서 한산이씨 집안사람들이 이경류 산소 앞에 말을 장사지내서 지금도 낮은 무덤이 있는데 이를 말무덤이라고 부르고, 매년 풀도 깎아준다. 그 후 이경류 모친의 꿈에 나타나서 “어머니 저를 보려거든 깨끗한 대야에다...
-
일할 때나 놀 때, 명절에 얽힌 노래는 기억이 없고, 잘 부르는 유행가도 없는데, 가수 이미자의 「총각선생님」, 배호의 「장충단공원」은 알고 있다. 초등학교 다닐 때 본인하고 같은 반에 있던 '최선봉'이라는 사람의 별명이 ‘둥금이’고, 또 ‘.오쟁이’도 있는데 지금도 73, 4세가 모두 지났지만 지금도 동문회를 하면서 부르기도 한다. 친구들이 그 동안에 벌써 상당히 세상을 떠나고,...
-
...
-
자녀는 산부인과에서 낳았고, 백일잔치도 집안 식구끼리 조촐하게 치렀다. 돌잔치에는 자녀들이 연필이나 돈을 잡은 것 같았다. 생일잔치는 어렸을 때나. 현재도. 집안 식구끼리 하고 있다. 결혼은 지금과 달리 많은 사람들이 치르는 통과의례로 생각하여 나도 장가가야 하는가 보다 하여 현재 부인을 만났는데, 서울예식장에서 결혼식을 하였다. 당시 본인이 대학원 학생일 땐데 은사님이 집에 얘기...
-
가정신앙은 기독교가 차차 퍼지면서 유교식에서 기독교로 바뀌어가는 과도기적 과정이다. 기독교를 신봉하는 며느리가 들어오면서 집안의 종교가 바뀌어가고 있으며, 유교식으로 사당을 모셔놓지는 않고, 기독교식으로 십자가를 걸고 예배를 드리고 있다. 제삿날은 음력 3월 20일인데, 저녁 8시경에 가족이 모여서 추모예배를 한다. 어릴 때는 새벽 1시까지 기다려서 눈을 비비고 세수한 다음에 제사...
-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구립 여성합창단. 분당구 여성합창단은 분당구에 거주하고 있는 58세 이하의 여성으로 구성된 합창단으로 현재 46명의 단원이 매주 2회 정기 연습을 하고 있다. 매년 정기연주회를 열고 전국 합창대회 및 초청 연주회 등에 참가하고 있는 순수 아마추어 여성 합창단이다....
-
...
-
...
-
이용환옹은 본관은 용인이고, 조사시점 현재의 연령은 80세이다. 고연령임에도 불구하고 기억력이 좋고, 성격이 적극적이기 때문에 인터뷰의 개략적인 설명을 듣고 곧바로 녹화에 참여해 주셨다. 다만 청년시절에 앓았던 축농증으로 인해 발음을 알아듣기가 약간 어려웠다. 조사자가 이해하지 못한 발음을 수차례 되물은 까닭이 이 때문이다. 이용환옹은 판교보통학교 11회 졸업생이다. 국민학교 동창...
-
이용환옹은 모두 4남 2녀를 두었다. 장남은 농업을 하고, 차남은 수자원공사에 근무하고 있으며, 삼남은 자영업으로 상점을 운영하고 있다. 사남은 전문대를 졸업하고 기계회사의 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큰자부는 고령박씨이고, 둘째자부는 덕수이씨, 셋째자부는 파평윤씨, 넷째자부는 김해김씨이다. 장녀는 남편이 갑자기 죽어 홀로 되었고, 이용환씨가 손자들의 학비를 부담하고 있다. 차녀는 경...
-
운중동은 1950년대까지만 해도 매우 깊은 산골로 야산과 구릉지대로 이루어졌던 곳이다. 노루와 산돼지, 여우가 민가 근처까지 출몰하기도 했고 무서운 도둑들이 이곳에 숨어 살기도 했다. 언젠가는 이곳에서 살던 안동김씨 중 한 사람이 호랑이 새끼를 주워와서 기르려다가 어미 호랑이가 나타나서 마을 전체가 두려움에 떨게 된 적까지 있다고 전한다. 또한 이곳은 예로부터 안동김씨, 경주이씨,...
-
이 지역의 의생활은 인접 지역의 경우와 큰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대개 경기도의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여름에는 남자들의 경우, 바지저고리와 고의적삼, 홑조끼 등을 입었는데, 등걸잠뱅이, 고의적삼 등은 빨래를 위해 여러 벌을 해서 입었다. 그리고 여자들은 치마저고리에 속곳 고쟁이 등을 입었다고 한다. 다만 친정과는 달리 운중동으로 시집을 오니 어른들의 저고리에 단추가 위에만 하나...
-
운중동은 전형적인 농촌 지역이었기 때문에 보리밥 등의 잡곡을 주식으로 하고 철마다 나는 야채 중심으로 식단을 짰었다. 반찬은 배추장아찌, 오이장아찌, 오이상채, 오이통김치 등을 많이 만들어 먹었고, 농사철에는 비빔밥을 즐겨 먹었다. 과거에는 음식을 보관하기가 마땅치 않아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여름에는 높은 기온으로 음식물이 잘 상했으므로 상시로 밥과 반찬을 만들어 먹을 수밖에...
-
운중동의 이용환옹 주택은 얇은 편마암 돌조각들로 기와를 대신한 특이한 지붕으로 되어 있는 한옥이다. 과거에는 나무와 연탄을 연료로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석유보일러로 교체한 상태이다. 원래의 칸수는 8칸 반인데, 여러 차례의 개축을 통해 크기는 매우 늘어났다. 최근에 개축한 것은 13년이 되었는데, 돈이 약 천여만원이 들었다. 먼저 볏집으로 쌓고, 그리고 비닐을 대고, 그 다음에 스티...
-
•갓굴길 - 갓골길의 변한 발음 •나무굴고개 - 분당에서 광주 쪽으로 넘어가는 고개. 예전에는 나무가 많고 너무 험할 뿐만 아니라, 도둑들도 출현하여 청년들도 왕래하기를 두려워하였다고 전한다....
-
...
-
•출산과 태몽 - 정숙현 여사는 나이 어렸을 때 장남을 임신하고, 참외를 3-4개 따고 싸리 보구리에대가 수박 세 개를 담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차남 태몽은 친정집 우물 앞에 오디나무가 있는데, 큰 구렁이가 자기의 팔을 깨물어서 아주 놀라 잠을 깼다. 큰 구렁이를 보았기 때문에 둘째아들의 몸이 다른 아이들보다 컸다고 믿고 있다. 딸을 임신했을 때에는 태몽이 좀 달랐다고 생각한다....
-
...
-
정월 초하루에는 제사를 지낸다. 정월 보름에는 아이들을 중심으로 부럼깨기를 한다. 그러나 옛날에 여자는 제사 음식 준비와 빨래 때문에 그냥 쉴 새가 없었다. 단오나 초파일은 뭐 특별히 하는 일은 없다. 팔월 명절 때는 제사를 모시는데, 할아버지가 외아들이기 때문에 칠촌 당숙만 계시고 제사 지내는 사람은 많아도 누가 고기 한 근 사오는 사람은 없다고 한다. 그래서 아들들을 기르면서...
-
...
-
이 지역은 분당구의 북쪽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가 동(洞)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판교-구리간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가 동의 북단을 동서로 지나가고 있다. 또 동의 동쪽에는 남북을 가로질러 내곡-분당간 도시고속화도로가 지나간다. 북쪽은 수정구 신흥동, 동쪽은 매송동, 동남쪽은 서현동과 초림동, 남쪽은 정자동, 신기동과 금곡동, 서쪽은 운중동과 접하고 있다. 동의 서쪽에는...
-
이용학옹은 연안이씨 연성군파 종손이며 종친회장을 역임하였다. 조사시점 현재 73세로, 형제는 5남매인데 남동생인 이용집씨 외에 세 사람의 누이가 있다. 현재 거주하는 자택에서 출생하였다. 5~6 세 때에 집안 할아버지한테 천자문의 계몽편까지 배우다가, 7세에 낙생공립심상소학교(일본어로 진주쇼각고)에 입학했다. 낙생공립심상소학교에서는 2학년 때까지 조선어독본을 배웠고 3학년 때부터...
-
이용학씨는 3남 1녀를 두었다. 장남은 1956년생이고 차남은 1959년생, 삼남은 1970년생이고, 외동딸은 1961년생이다. 삼남만 아직 결혼을 시키지 못했다. 현재 자녀들과 동거를 하고 있지는 않지만 농사를 도와주려고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장남이 항상 이곳에 들른다 한편 이용집씨는 딸만 여섯을 두었는데, 삼녀까지만 시집을 가고 나머지는 미혼이다. 특히 사녀는 경희대 간호학과를...
-
판교동은 연안이씨 연성군 이곤이 사패지로 하사받아 후손들이 정착하게 되었다고 전한다. 이곤은 1506년 중종반정 때 공을 세워 문의정국공신이 되면서 통정대부에 올라 첨지중추부사, 예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가문에 전하는 이야기로는 집 뒤편에 있는 500여년 된 느티나무를 선조들이 심어서 가꾼 것이라고 하니 마을의 연원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다. 예로부터 이 지역은 부산에서 서울...
-
이 지역 사람들의 옷차림은 인접한 지역과 차이가 별로 없었다. 보통 사람들은 무명옷을 입었고, 돈이 있는 사람들이나 모시옷 또는 비단옷을 입었다. 6.25 때만 해도 중의적삼에 바지저고리를 입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그것도 안팎으로 여러 차례 기운 옷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렇게 가난한 시절이었지만, 손님을 맞거나 제사를 지내거나 할 때면 어른들은 반드시 정장인 두루마기나 도포를 갖...
-
일제강점기 때에는 농사를 아무리 많이 지어도 공출로 빼앗기는 것이 너무 많았다. 또한 쌀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면계(面界)를 넘어갈 때에는 검문을 하기도 했다. 쌀밥을 먹는 것은 제사 때나 가능하였기 때문에, 공출을 피해 제사용 쌀을 숨기기가 일쑤였다. 제사에는 꼭 쌀이 있어야 되기 때문에 일제 때의 어려운 시절에도 반드시 별도로 남겨 두었던 기억이 있다. 제사 음식은 특별히 기피하...
-
이용학씨가 출생하고 성장해온 자택은 전형적인 한옥으로 지은 것인데, 일제 소화시대의 상량문이 남아 있다. 소화 17년(1942년)에 이 집이 동쪽으로 기울어지자 목수를 불러 조부와 부친이 함께 뒷산의 나무를 벌목해서 지었다. 기본적인 재료는 가능하면 옛날 것을 그대로 썼다. 행랑채는 초가집이었는데 부분적으로 개축한 것이다. 집의 구조는 안방, 건넌방, 툇마루, 부엌 등이 거의 1칸...
-
•가마바위 - 바위가 큰 집채 만한 것이 있었는데 가마같이 생겼다고 해서 붙여졌다. •광암 - 느티나무 사이에 있는 큰 바위이다....
-
정보제공자들은 처음부터 오로지 농사를 짓던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에 농사와 관련된 노동요를 직접 알고 있지 못했다. 들었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지만 구술녹화를 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한편, 이용집씨는 노래방도 가끔 이용하고 최신 유행가도 몇 곡 부를 수 있었다. 여학교에 근무했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유행 감각이 있는 듯했다....
-
...
-
이용학씨는 1953년도에 수원의 이의리에 있는 안동김씨 종손집의 딸과 중매로 혼인을 하였다. 처가 근처에 살던 대고모할머니 댁까지 자전거를 타고 가서 혼례를 치렀다. 그러나 양평의 직장 때문에 1년여간은 관사에서 자취생활을 하느라고 부부가 떨어져 살았다. 그후에 부부가 함께 양평에 가서 살게 되었다. 정월 초하룻날 제사는 17대조 할아버지 할머니의 사당 제사로 지낸다. 그리고 종손...
-
...
-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분당지구 소속 성당. 1991년 첫 입주가 시작된 분당신도시에 계속해서 많은 인구가 유입되면서 천주교 신자들도 계속 증가하였다. 이에 천주교 수원교구에서는 2002년 11월 24일 새로운 본당의 신설을 본격화하였으며, 2003년 1월 28일 구미동성당이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야외 공연장에서 개최되는 문화 예술 축제. 분당구민한마음축제는 구민들의 정서 함양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분당구청을 비롯한 19개 동 행정복지센터와 분당구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아리들이 준비하고 공연하는 문화예술축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분당구 관할 지방 자치 행정 기관. 분당구청은 분당구의 18개 법정동과 20개 행정동을 관할하고 있으며, 총무과·시민과·세무1과·세무2과·주민생활지원과·경제교통과·환경위생과·건설과·도로관리과·녹지공원과·건축과·도시미관과 등 12개과 51팀으로 구성되어 분당 구민에게 행정 및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구립 여성합창단. 분당구 여성합창단은 분당구에 거주하고 있는 58세 이하의 여성으로 구성된 합창단으로 현재 46명의 단원이 매주 2회 정기 연습을 하고 있다. 매년 정기연주회를 열고 전국 합창대회 및 초청 연주회 등에 참가하고 있는 순수 아마추어 여성 합창단이다....
-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서 수정구 고등동 서울시계까지 성남시를 북북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시도(市道)이자 도시고속화도로. 분당신도시 개발로 급격히 늘어난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서울과 성남시간에 신설된 자동차전용 도시고속화도로이다.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와 교차하는 탄천 수내교 부근에서 시작하여 인릉산 및 청계산 줄기를 관통하는 내곡터널을 통해 서울과 연결된다. 왕복 포장 6차선...
-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서 수정구 고등동 서울시계까지 성남시를 북북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시도(市道)이자 도시고속화도로. 분당신도시 개발로 급격히 늘어난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서울과 성남시간에 신설된 자동차전용 도시고속화도로이다.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와 교차하는 탄천 수내교 부근에서 시작하여 인릉산 및 청계산 줄기를 관통하는 내곡터널을 통해 서울과 연결된다. 왕복 포장 6차선...
-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서 수정구 고등동 서울시계까지 성남시를 북북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시도(市道)이자 도시고속화도로. 분당신도시 개발로 급격히 늘어난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서울과 성남시간에 신설된 자동차전용 도시고속화도로이다.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와 교차하는 탄천 수내교 부근에서 시작하여 인릉산 및 청계산 줄기를 관통하는 내곡터널을 통해 서울과 연결된다. 왕복 포장 6차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노인 여가 문화 시설. 분당노인종합복지관은 분당 지역 노인들에게 건강관리는 물론 문화와 예술, 체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건강한 노후 생활을 지원하는 노인 여가 문화 시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노인 여가 문화 시설. 분당노인종합복지관은 분당 지역 노인들에게 건강관리는 물론 문화와 예술, 체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건강한 노후 생활을 지원하는 노인 여가 문화 시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지역에서 논매기를 할 때 부르던 노래. 분당논맴양산도는 논매기를 할 때 부르는 소리로서, 보통 「양산도」라는 곡명으로 불리는 논맴소리이다. 이 소리는 주로 서울 아래의 서부지방에서 불리는 소리로, 통속 민요인 「양산도」를 원용해서 부르기도 한다. 노래의 가창방식은 메기고 받는 선후창방식으로 되어 있는데, 메기는 부분은 통속 민요의 「양산도」와 거의 비슷하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성실, 경건, 신념’이며, 실력을 바탕으로 매사에 정성을 다하는 성실인, 겸허하고 예절 바른 상생의 덕을 갖춘 겸허인, 굳은 의지로 자아실현의 능력을 갖춘 신념인, 정보화 및 국제사회에 대응하는 세계인,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하는 애국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성실, 경건, 신념’이며, 실력을 바탕으로 매사에 정성을 다하는 성실인, 겸허하고 예절 바른 상생의 덕을 갖춘 겸허인, 굳은 의지로 자아실현의 능력을 갖춘 신념인, 정보화 및 국제사회에 대응하는 세계인,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하는 애국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회교육 시설이다. 성남시 분당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하기 위해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1992년부터 성남시에 소속된 분당신도시 주민들이 분당 자체만을 성남시에서 분리시켜 독립시로 만들고자 한 주민운동. 1992년 여름에 분당시 독립 문제가 주민들의 최대 숙원사업으로 떠오르면서 같은 해 7월 1일 새마을연수원 공개강좌에서 분당 독립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어, 분당시범단지 총부녀회장 조모씨가 3일 긴급부녀회를 통해 분당 주민들의 자치시 여론에 따라 서명운동을 전개키로 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동 지역은 과거에 수내동, 서현동 및 광주시 오포읍을 잇는 삼거리에 해당하던 곳으로 동이점과 주막이 성행하였으며, 분당 5일장에는 성남, 광주, 용인 등지에서 찾아오는 사람들로 붐볐다고 한다. 분당신도시 개발 당시 공동주택인 아파트의 대량 건축으로 대부분의 주민이 타지에서 입주하였으며, 샛별마을과 장안타운의 2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위치했던 청동기시대 추정 고인돌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은 국가에 속하는데 한반도에는 3만여 기가 분포한다. 고인돌은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북방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기반식(남방식), 지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수원지방법원 소속 등기소. 수원지방법원 관할 등기소로 분당구 지역의 부동산 및 법인 등기 업무를 취급하고, 등기 전산화 시설과 장애인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분당-장지간 도시고속화도로의 서현지하차도 부근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갈라져 나간 도로로, 탄천의 서현교를 넘어 중앙공원 북쪽을 지나 서현로에 이르는 길이다. 분당로라는 도로명은 이 길이 분당동을 지나기 때문에 붙여졌다. 왕복 포장 4~6차선 도로로, 총연장 3.743㎞, 도로 폭 25~35m, 총면적은 112,290㎡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기독교한국루터회 소속 교회. 기독교한국루터회 소속의 교회로, 2003년 6월 현 위치에서 이영호 목사가 시무하면서 시작되었다. 루터교회는 중세 가톨릭교회에 대항하는 16세기 종교개혁의 과정에서 등장한 개신교 최초의 교파이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개신교 교파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수천만 명에 달하는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1958...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었던 지명. 성남시 분당구의 동쪽에 위치하고 불곡산 북서 기슭에 자리 잡은 지역으로 녹지경관이 많고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과거 이 지역은 수내동, 서현동 및 광주시 오포읍을 잇는 삼거리에 해당하던 곳으로 동이점과 주막이 성행하였고, 분당 5일장에는 성남, 광주, 용인 등지에서 찾아오는 사람들로 붐볐다고 한다. 이 장은 1970년대에 성남 모란장...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만돌린 연주 단체. 분당만돌린오케스트라는 순수 아마추어 주부들로 구성된 만돌린 연주 클럽으로 1994년 4월 창단하여 정기 공연 및 작은 연주회, 국제 페스티발 참가를 비롯한 폭넓은 활동을 벌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설 공원묘지. 분당메모리얼파크는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의 웃탑골 동쪽 큰 매지봉[영장산, 412m] 서쪽 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원묘지로 봉안묘, 봉안담, 매장 묘역 등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회교육 시설이다. 성남시 분당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하기 위해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일대에 조성된 첨단 복합 벤처타운. 분당벤처타운은 경기도 성남시의 벤처 기업 육성 촉진 지구로 지정된 전철 분당선[현 수인분당선] 정자역 주변에 2000년 8월부터 민간 자본 유치 사업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업무와 주거, 휴식과 비즈니스, 레저 시설 등을 갖춘 복합 벤처 단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과 구미동에 걸쳐 있는 수도권 지하철 수인분당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 분당선은 1990년대 초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과 함께 추진되어 1994년 수서-오리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3년 수서에서 선릉 구간, 2007년에 오리에서 죽전까지의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송도 개통, 2012년 10월 6일 왕십리-선릉 개통, 20...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서울대학교 부설 종합 의료 기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전문 의료진과 최첨단 디지털 시스템, 의학 자료 정보센터 등 풍부한 의료 인프라를 갖춘 서울대학교병원의 분당 분원이다. 2003년 5월 개원하였으며 성인 및 노인성 질환 전문병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 시설. 분당서현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청소년 활동 활성화와 지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청소년 복지 강화를 위해 성남시가 건립하고 성남시청소년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 교육·문화·복지 시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분당지구 소속 성당. 1995년 분당성마태오성당을 설립하였지만, 분당 지역의 인구 증가와 맞물려, 이 지역의 천주교 신자들도 계속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분당성마태오성당의 공간만으로는 신자들을 수용하기 어렵게 되어 금곡동성당을 분리, 신설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분당지구 소속 성당. 분당성마태오성당은 분당신도시 개발로 천주교 신자가 급격히 늘어나자 1995년 2월에 분당성마르코성당[현 분당야탑동성당]과 함께 분당성요한성당에서 분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분당지구 소속 성당. 1989년 4월 2일 분당신도시 건설 계획이 발표되자 천주교 수원교구에서는 이 지역의 천주교 교세가 늘어날 것을 예상하고 ‘분당성전건립추진위원회’를 발족한 후 성남동성당에서 분당성요한성당을 분립시켰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분당구 관할 세무 행정 기관. 분당세무서는 2012년 성남세무서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2017년 성남시 분당구 분당로 23에 위치한 신청사로 이전하여 분당구의 세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분당구 관할 소방 행정 기관. 분당소방서는 분당구 일원의 소방 업무를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계획된 도시형 정주 공간으로 성남시에 조성된 1기 신도시. 서울 도심에서 남동쪽으로 25㎞, 강남에서 10㎞ 떨어진 곳에 자리한 분당신도시는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과 부동산 가격 안정, 수도권의 기능 분담 등을 목적으로 1989년부터 한국토지공사에서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관현악단. 작은 규모의 단체였던 분당 심포니를 2001년 8월에 김필주가 확대, 개편하여 대규모의 오케스트라로 재편성한 민간 전문 오케스트라단이다. 연주활동을 통해 성남 시민의 정서 함양에 힘쓸 뿐 아니라, 국내외 활동으로 인하여 성남문화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창단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양성이다. 교훈은 자주, 협력, 창의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양성이다. 교훈은 자주, 협력, 창의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남성 합창단. 분당아버지합창단은 30대에서 50대의 남성 50여 명이 활동하고 있는 순수 아마추어 남성 합창단으로 2002년 7월 창단하여 주1회 연습, 매년 정기 연주회 1회 개최, 자선 음악회를 비롯한 지역 봉사 등 폭넓은 활동을 벌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어 분당 지역과 용인 수지, 성남 등지에 무료로 배포되는 지역 주간 신문. 정식 법인명은 ㈜아이디커뮤니케이션으로 지역에서는 신문을 발행하다가 2007년 12월부터 제호를 『아이디위클리』(idweekly)』로 변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분당지구 소속 성당. 분당신도시 개발로 천주교 신자가 급격히 늘어나자 1995년 2월 분당성마태오성당과 함께 분당성요한성당에서 분리하여 분당구 야탑동, 중원구 도촌동, 여수동을 관할하는 본당으로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청소년 첨단 학습 체험 및 복합문화공간. 분당야탑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첨단 복합문화공간이다. 전국 최고 규모로 미래 4차산업을 체험할 수 있는 첨단 시설과 다양한 문화시설을 구비하였다. 디지털도서관, 과학수학관, 도예공방과 상담실, 코딩공작소, 프리미엄 학습 공간 등에서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다. 과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여성 합창단. 분당여성합창단은 20~50대 주부들로 구성된 여성 합창단으로 바로크에서 현대 음악, 성가, 가곡, 민요, 가요 등 폭넓은 레퍼토리를 자랑한다. 각종 합창제 참가 및 정기 연주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전국 교도소, 군부대, 양로원, 병원, 종교 단체 등을 방문하여 합창으로 사랑을 전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바른 마음’이며, 민주정신이 투철한 애국하는 여성, 학문을 탐구하고 소질을 계발하는 여성, 교양과 충효를 겸비한 여성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바른 마음’이며, 민주정신이 투철한 애국하는 여성, 학문을 탐구하고 소질을 계발하는 여성, 교양과 충효를 겸비한 여성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분당시범아파트단지 내에 있는 종합체육시설. 분당올림픽스포츠센터는 한국체육산업개발에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시설물 관리 및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스포츠센터, 공연장 대관 등 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공익 가치를 실현하고 분당 지역의 편안한 휴식처와 복합 문화 레저 공간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1994년 7월 건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아마추어 관현악단. 분당 YMCA 민트오케스트라는 순수 클래식 음악을 지향하는 여성 오케스트라로, 2003년 3월 창단 이래 음악을 통한 지역사회 봉사 활동과 개인의 음악적 기량 향상을 위해 꾸준한 연주 활동을 해오고 있다. MINT(Madams who are Inspired by Noble Touch)는 고귀한 선율에 영감을 받은 여성들이라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분당우리교회는 2002년 이찬수 목사가 중심이 되어 개척한 교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분당구 관할 관할 우편·체신·금융 관련 공공기관. 시·군·구 등의 기초 자치 단체 단위로 1국이 설치되는 집배국인 성남분당우체국은 성남시 분당구 전역의 우편 업무를 총괄한다. 우편·체신 업무와 더불어 금융 업무를 담당하며, 분당구 관할 하에 7개 관내국, 6개 취급국을 두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관현악단. 분당윈드오케스트라는 관악기 중심의 단원들의 연주 기량 향상과 지역사회 봉사 연주를 목적으로 창단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의 분당지역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 1991년에 분당신도시가 건설된 이래 13년여가 되었다. 이제 분당은 우리나라 신도시의 전형으로 자리 잡았고, 21세기를 맞아 또 다른 모습으로 탈바꿈하려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분당지구 소속 성당. 분당이매동성당은 교세 증가로 인하여 신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자 분당성요한성당에서 분리하여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전 지역과 야탑동, 삼평동, 서현동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본당으로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미술 작가 단체. 1999년 6월 18일 초대 장완 회장을 중심으로 분당지역 미술문화 창달과 회원 친목을 목적으로 창립하였다....
-
일제강점기인 1910년대에 분당리에 개설되었던 향시(鄕市)의 하나. 15세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지방의 향시는 16세기에 보편화되어 전국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그러나 일제가 강점하면서 행정구역 변경과 함께 시장의 개설과 역할도 달라지게 되었다. 조선시대는 대부분 면 단위로 시장이 개설되었으나 이때에 이르면 이(里) 단위로도 시장이 개설되게 된다. 1917년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장애인 복지 단체. 분당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장애를 가지고 있는 당사자들이 주축이 되어 중증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며 장애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이다. 매년 4회에 걸쳐 중증장애인을 위한 사회 적응 훈련을 실시하고, 매월 자립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이론 및 실습을 병행한 자립생활 기술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매년 2회씩 동료 상담사 교육 프로...
-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서 수정구 복정동 서울시계까지 성남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시도(市道)이자 도시고속화도로. 분당신도시 개발로 급격히 늘어난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서울과 성남시 간에 신설된 자동차전용 도시고속화도로이다. 분당구 구미동에서 시작하여 분당신도시 서편을 남북방향으로 종단하다가 성남대로[3번 국도]와 나란하게 서울시계까지 연결된다. 왕복 포장 6차선의 자동차 전용도로로...
-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서 수정구 복정동 서울시계까지 성남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시도(市道)이자 도시고속화도로. 분당신도시 개발로 급격히 늘어난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서울과 성남시 간에 신설된 자동차전용 도시고속화도로이다. 분당구 구미동에서 시작하여 분당신도시 서편을 남북방향으로 종단하다가 성남대로[3번 국도]와 나란하게 서울시계까지 연결된다. 왕복 포장 6차선의 자동차 전용도로로...
-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서 수정구 복정동 서울시계까지 성남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시도(市道)이자 도시고속화도로. 분당신도시 개발로 급격히 늘어난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서울과 성남시 간에 신설된 자동차전용 도시고속화도로이다. 분당구 구미동에서 시작하여 분당신도시 서편을 남북방향으로 종단하다가 성남대로[3번 국도]와 나란하게 서울시계까지 연결된다. 왕복 포장 6차선의 자동차 전용도로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저수지. 분당저수지는 몽리 구역(蒙利區域)[농경지 중 관개시설을 통하여 물의 혜택이 미치는 구역]으로 분당신도시 건설 후 분당동, 서현동, 이매동, 정자동, 수내동 등이 속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 시설. 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 문화공간으로 다양한 청소년 활동, 수련 활동 등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종합 의료기관. 분당제생병원은 1998년 대진의료재단에서 분당에 설립한 종합병원으로 분당 구민은 물론 성남시와 인근 지역의 환자 진료, 의료 인력 교육, 의료 기술 개발, 연구 등 질 높은 의료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배움, 사랑, 성장’이며, 도덕적인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조적인 사람, 건강한 사람, 진취적인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분당중앙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네 가지이다. 첫째, 도덕적 가치관을 함양하여 건강한 인성을 기른다. 둘째, 열린 사고와 자기 주도적 탐구 학습으로 창의력을 기른다. 셋째, 글로벌 시대의 다양한 문화와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넷째, 남을 배려하는 따뜻한 성품을 길러 건전한 인간관계를 형성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분당중앙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네 가지이다. 첫째, 도덕적 가치관을 함양하여 건강한 인성을 기른다. 둘째, 열린 사고와 자기 주도적 탐구 학습으로 창의력을 기른다. 셋째, 글로벌 시대의 다양한 문화와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넷째, 남을 배려하는 따뜻한 성품을 길러 건전한 인간관계를 형성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분당중앙교회는 1991년 최종천 목사를 중심으로 개척된 교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배움, 사랑, 성장’이며, 도덕적인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조적인 사람, 건강한 사람, 진취적인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차의과학대학교 부설 종합 의료 기관.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성광의료재단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1995년에 설립된 분당 최초의 종합병원이다. 불임 및 여성 의학, 생명 과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가 주력 분야이다. 성광의료재단은 의료 그룹으로 분당차병원 외에 분당차한의원, 분당차여성병원, 강남차병원, 구미차병원, 대구여성차병원, 치바이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수내동을 흘러 탄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의 매지봉에서 발원하여 분당저수지, 분당동, 중앙공원 을 거쳐 탄천으로 유입하는 하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청년 사회단체. 1995년 분당신도시의 형성과 함께 자치와 통일시대를 지향하고자 하는 청년들의 모임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청소년 관현악단. 분당청소년오케스트라는 문화와 예술의 도시 분당을 대표하는 청소년 교향악단으로 2008년 4월 창단식을 갖고 출범했다. 2010년 8월 성남아트센터의 콘서트홀에서 세계적인 첼리스트 장한나와 함께 하는 세계청소년 관현악 페스티벌에 초청받아 연주회를 펼쳤다. 2011년 2월에는 일본 아이치카쿠센대학에서 초청 연주를 가졌으며, 2011...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움과 나눔으로 다 함께 성장하는 행복 배움터’를 비전으로 한다. 나눔과 배려로 민주적인 생활을 실천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여 창의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 개성과 재능을 기르고 문화 감성이 풍부한 어린이, 바른 생활 습관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움과 나눔으로 다 함께 성장하는 행복 배움터’를 비전으로 한다. 나눔과 배려로 민주적인 생활을 실천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여 창의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 개성과 재능을 기르고 문화 감성이 풍부한 어린이, 바른 생활 습관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1989년 성남시 분당지구에 설치되었던 출장소. 현재의 분당구은 성남시 중원구 관할이었으나 분당신도시 개발계획에 의해 분당지구 개발 사업이 실시되자 분당출장소를 설치하고, 1991년 9월 17일 분당구가 독립하여 분당구청이 세워지기 전까지 분당 지역의 행정업무를 담당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일원에 있는 첨단 IT기업 및 벤처기업 아파트형공장. 첨단산업도시, 디자인도시를 지향하는 성남시는 다양한 최적의 입지조건과 시의 적극적인 벤처기업 육성책에 힘입어 신흥 벤처밸리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분당테크노파크는 성남 구시가지의 제2, 제3산업단지의 성남벤처빌딩과 분당, 판교 벤처밸리와 함께 성남시의 첨단벤처산업벨트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문서·기록·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판교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판교신도시 개발에 참여한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청소년 수련관. 분당판교청소년수련관은 수정 지역의 성남시 수정청소년수련관, 분당 지역의 성남시 분당청소년수련관, 분당서현청소년수련관, 중원 지역의 성남시 중원청소년수련관과 함께 판교 지역의 청소년 수련 시설로 지역 청소년들이 사회, 문화적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성남시청소년육성재단[현 성남시청소년재단]에서 시설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관현악단. 분당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지방에서의 열악한 심포니 환경속에서 일반인들에게 서양 고전음악을 자주 접할 기회를 줌으로써 고전음악에 대한 흥미와 색다른 느낌을 갖도록 하는데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생활 하수 종말 처리장. 분당하수종말처리장는 1997년 한국토지공사가 경기도 용인시의 수지지구·구성지구 하수 처리를 위해 분당구 구미동에 설치한 하수 종말 처리장으로 시험 가동까지 마쳤다. 1일 10만 5000톤의 하수 처리 능력을 가진 하수 종말 처리장이었지만 구미동 주민들의 집단 반발로 완공 이후 가동을 멈춘 상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동국대학교 부설 한방 전문 의료 기관.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은 수도권 지역에서는 처음 개설된 한방 병원이다. 자비 실천과 중생 제도에 앞장서고자 1996년 10월에 개원하여 한방·양방 협진 체제의 특성을 살려 완벽한 의료 시스템으로 지역민과 함께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민사회단체. 분당신도시 개발 초기인 1994년에 설립된 분당환경시민의모임은 성남 지역의 자연 보전 활동과 더불어 가족공동체의 올바른 형성, 지역 환경에 대한 애착과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는 활동을 중심으로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 환경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었던 개신교 사회단체. 분당구 금곡동에 있었던 한국YMCA 분당 사회관으로 12년간 분당구민에게 사회 체육, 사회 교육,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2007년 9월 해체하였다....
-
시신이나 유골을 땅에 묻은 곳. 즉 무덤을 말한다. 분묘는 성남지역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구성요소가 된다. 왜냐하면 이 지역이 조선시대에 수도 한양에 인접한 기전지역(畿甸地域)으로서 산세가 수려하고 길지가 많아 이 지역으로 이사하여 살아온 명문 사대부들의 양택(陽宅:주택) 및 음택(陰宅:무덤)이 많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궁내동, 금토동, 고등동, 판교동, 수내...
-
일정한 토지나 건축물을 분양할 수 있는 예비 권리증. 대체로 자기 소유가 아닌 땅에서 일정기간 그 땅을 점유하여 생활을 영위해 온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토지나 건물의 분양 예비 권리증이라 할 수 있다. 일명 딱지라고도 한다. 서울특별시가 관악구 봉천동과 난곡, 노원구 상계동 등 빈민지역을 중심으로 개발하면서 그곳에서 철거되는 주민들의 주거지를 보장해 주는 예비 소유 권리증으로 분양증...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장군은 넓은 직사각형의 듬직하고 무게감 있는 형태로, 문양으로 모란꽃과 잎을 넣었고 가운데에 가느다란 선으로 당초문 띠를 수직으로 넣었다. 15세기 분청사기장군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2004년 3월 3일 보물 제140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묘지와 편병. 조선시대에 제작된 장방형 기둥 모양의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와 동시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은 2006년 1월 17일 보물 제1450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정의(正義)·성실(誠實)·역행(力行)’이며, 올곧은 마음으로 규범을 잘 지키는 사람, 학문에 정진하여 이타적인 삶을 사는 사람, 스스로 계획하고 도전하여 희망을 이루는 사람, 잠재적인 소질을 계발하여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 몸과 마음을 조화롭게 유지, 관리하는 평온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정의(正義)·성실(誠實)·역행(力行)’이며, 올곧은 마음으로 규범을 잘 지키는 사람, 학문에 정진하여 이타적인 삶을 사는 사람, 스스로 계획하고 도전하여 희망을 이루는 사람, 잠재적인 소질을 계발하여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 몸과 마음을 조화롭게 유지, 관리하는 평온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과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의 경계에 있는 산. 불곡산은 골안사 동쪽의 산으로 분당구 정자동과 광주시 오포읍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344.5m의 산이다. 나지막한 데다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분당 지역 주민들의 휴식처 역할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21세기를 주도할 창의력 있는 한국인 육성이라는 교육 이념 아래, 인간을 존중하고 예의와 질서를 지키는 사람, 창의적의 사고력을 길러 시대 변화에 적응하는 사람, 심신을 단련하여 건강하고 풍부한 정서를 지닌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21세기를 주도할 창의력 있는 한국인 육성이라는 교육 이념 아래, 인간을 존중하고 예의와 질서를 지키는 사람, 창의적의 사고력을 길러 시대 변화에 적응하는 사람, 심신을 단련하여 건강하고 풍부한 정서를 지닌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꿈과 끼를 키우고 사랑으로 보듬는 행복한 불곡교육’이다. 착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탐구하며 창조하는 어린이[실력인], 꿈과 끼를 키우는 어린이[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부처를 교조로 하고 그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 성남 지역의 불교 역사는 백제에 불교가 전래된 것을 기점으로 시작하여 고려와 조선,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천을 거듭하여 왔다. 일제의 사찰령(寺刹令)[1911년 6월 반포]이 시행되면서 한국 불교는 ‘조선불교선교양종(朝鮮佛敎禪敎兩宗)’이라는 단일 종단 아래 30본산(本山) 체제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불교의 이념과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 불교 교단이 처음 성립한 것은 붓다의 성도(成道) 후 녹야원(鹿野園)에서 다섯 비구에게 설법하고[초전법륜(初傳法輪)], 그들이 붓다에게 귀의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다섯 비구의 출가로 최초의 불교 승가(僧伽)가 탄생한 것이다. 그러나 초기 불교 교단은 출가 비구승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비구(比丘 : 남자 출가...
-
과거 역사 속에 불교가 남긴 국가유산. 일반적으로, 유물은 형태가 작아 운반이 가능한 석기, 토기, 금속기 등을 가리키며, 유적이란 형태가 커서 이동할 수 없고 그 위치가 변경 불가능한 패총(貝塚), 분묘(墳墓), 사적(史蹟) 등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 본다면, 불교의 유물·유적에는 불상이나 불화와 같은 불교미술품, 전각(殿閣)과 같은 불교건축물, 불경과 같은 불교 문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골짜기. 석운동에서 으뜸되는 마을이 바라미(망산리, 바라산리, 발화산리)이며, 바라미에 있는 골짜기를 불당골이라 한다. 과거에 불당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불곡사가 있어 불당골 또는 북당골이라 불리었다. 요즘은 대규모 산업시설이 들어서서 예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지명. 운중동 관할의 석운동 뫼루니 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전에 절이 있던 곳이어서 불당골, 당골이라 불리었다....
-
출산을 관장하는 제석(帝釋)을 위해 만든 신체(神體). 제석주머니, 삼신주머니, 삼신제석주머니 등으로도 불린다. 불사주머니는 불교적인 연계성을 고려한 호칭으로 보이는데, 주로 집안의 출산과 관련된 삼신을 위해 만들어 놓은 형태를 말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불정동과 신기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탄천에 건설된 다리로,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준공하였다. 총연장 110m, 다리 너비 36m이며, 축조 형식은 중공PC슬라브 방식이다. ‘불정’이란 다리 이름은 동쪽의 불곡산(佛谷山)과 이곳의 법정동인 정자동(亭子洞)의 머리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행정동인 정자3동의 과거 지명. 분당구 동남쪽에 위치한 곳으로 불곡산의 북서쪽 기슭에 해당한다. 동쪽은 불곡산 줄기를 맞대고 광주시 오포읍과 접해 있으며, 북쪽과 서쪽은 수내동 및 정자1동, 정자2동에 둘러싸여 있고, 남쪽은 구미동과 경계를 이룬다. 2001년 1월 정자3동으로 행정동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2003년 12월 31일 현재 1.92㎢의 면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분당-장지간 도시고속화도로의 상록마을 부근 농산물직거래장터에서 동쪽 방향으로 분기한 도로로, 분당지역을 동북 방향으로 관통하여 서현로 서당삼거리에 이르는 길이다. 도로의 이름은 불정동(佛亭洞)[정자3동의 과거 지명]을 지나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왕복 포장 6차선 도로로, 총연장 4.004㎞, 도로 폭 30m, 총면적 120,120㎡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션은 ‘Happy Together’이고, 비전은 ‘각자의 빛깔로 더불어 손잡고 함께 가는 with 교육’이다.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배려를 실천하는 어린이[품성인], 지적 탐구심이 강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어린이[지성인], 다름과 차이를 인정하고 더불어 함께 가는 어린이[공동체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생활이 행복한 어린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션은 ‘Happy Together’이고, 비전은 ‘각자의 빛깔로 더불어 손잡고 함께 가는 with 교육’이다.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배려를 실천하는 어린이[품성인], 지적 탐구심이 강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어린이[지성인], 다름과 차이를 인정하고 더불어 함께 가는 어린이[공동체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생활이 행복한 어린이...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1378년(고려 우왕 4)에 백운화상의 제자들이 간행한 불교 문헌의 목판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고려시대 백운화상 경한(景閑)[1299~1375] 이 1372년(고려 공민왕 21) 제자인 법린(法隣), 정혜(靜慧)의 요청에 의하여 임제종(臨濟宗) 18대손인 원나라 석옥청공(石屋淸珙) 화상으로부터 받은 『불조직지심체요절』을 증...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1378년(고려 우왕 4)에 백운화상의 제자들이 간행한 불교 문헌의 목판본.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고려시대 백운화상 경한(景閑)[1299~1375] 이 1372년(고려 공민왕 21) 제자인 법린(法隣), 정혜(靜慧)의 요청에 의하여 임제종(臨濟宗) 18대손인 원나라 석옥청공(石屋淸珙) 화상으로부터 받은 『불조직지심체요절』을 증...
-
사적을 기념하기 위해 돌, 철, 나무 등에 글을 새겨 세워놓은 물건. 혹은 후세에 전하고자 하는 일을 새겨 세우는 돌. 비는 보통 비석(碑石)이라고 하는데, 주로 모양이 네모진 것을 말하며 둥근 것은 갈(碣)이라 한다. 오늘날 성남지역에 잔존하는 비는 주로 조선 전기부터 궁내동, 금토동, 고등동, 판교동, 수내동, 율동 등의 지역을 중심으로 세거하였던 유력가문 사대부들의 묘역에 세...
-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고, 과거로부터 개인적 혹은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비밀스런 방책. 집안에서 아이들이 아프거나 가벼운 질병에 걸렸을 경우, 과거로부터 집안 대대로 어른들로부터 전해받은 민간요법 등으로 치료하는 방법 등이 이에 해당된다. 수정구 복정동의 이원을은 과거 아이들이 병이 났을 때, 집안에서 내려오는 치료법으로 파뿌리에 엿기름을 섞고 들기름을 조금 부어서 화로에 올려 푹...
-
적당한 거리(2.5~3m)에 상대편의 비석돌(손바닥만한 납작한 돌)을 세워 놓고 자신의 비석으로 상대편의 비석을 맞혀 쓰러뜨리는 아이들의 놀이. 전국적으로 행해지는 놀이로, ‘비석치기’, ‘비석차기’라고도 한다. 특별히 때를 가려 행해지지는 않지만 선선한 가을부터 추석에 많이 행해진다. 보통은 동네의 아이들이 패를 나누어 노는데, 전체적인 틀에 마을과 아이들마다의 창의성이 더해진다...
-
간단한 제물을 차려 놓고 신에게 손을 비비면서 행하는 의례. 비손은 무속의례의 하나이지만, 꼭 무당이 직접 할 필요는 없고, 한 가정의 주부가 직접 할 수도 있다. 비손은 집안에 우환이 있거나 가신(家神)에게 고사를 지낼 때 행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공동 주택의 하나. 연립 주택은 주택건설촉진법에 의하면 동당 건축 연면적이 660㎡(200평)를 초과하는 3층 이하의 공동 주택을 말하며, 개별 분양이 가능하다. 연립 주택은 아파트에 비해 단지의 규모가 작기 때문에 소규모 토지를 이용하면서도 건설비를 절약하고, 유지 및 관리비가 절감된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으로는 단독 주택보다 높은 밀도를 유지할 수 있고,...
-
표면에 빗살 같은 평행선이나 물결 모양을 이룬 점선 따위의 무늬를 넣어 얄팍하게 만든 토기. 빗살무늬토기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토기를 총칭하여 이르는 말이다. 이는 광의의 의미로 신석기시대라는 시대개념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빗살무늬토기는 비단 외면에 빗살무늬만을 시문한 것은 아니며 점열문, 조문 등 찍은무늬와 사선문, 어골문 등 그은무늬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