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농수산물 유통센터. 성남시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는 ‘언제나 신선한 농산물을 매일 저렴한 가격으로[Anytime fresh food, Everyday low price]’라는 슬로건과 같이 소비자가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최상품의 산지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농수산물 유통센터. 성남시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는 ‘언제나 신선한 농산물을 매일 저렴한 가격으로[Anytime fresh food, Everyday low price]’라는 슬로건과 같이 소비자가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최상품의 산지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
백제시대의 도성. 위례성은 한강을 기준으로 하북위례성(河北慰禮城)과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으로 나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부여계(夫餘系)인 비류(沸流)와 온조(溫祚)의 집단이 남쪽으로 내려와서 건국한 근거지가 위례성이었다고 한다. 이들은 건국한 지 13년만에 하남위례성으로 도읍을 옮겼다고 하므로 처음에 정착한 위례성의 위치는 하북, 즉 한강 북쪽에 있었을 것이다. 그 위치는...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신종교. 원래 명칭은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이었으나 1997년 4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으로 개칭하였다. 본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동 1가에 있다. 교단의 명칭을 개칭한 이유는 문선명이 1995년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시대를 주창하면서 가정의 화목과 평화를 통해 인간세계의 모든 평화와 행복이 시작된다고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행정동이자 법정동인 하대원동은 둔총대로를 중심으로 상가와 주택이 밀집해 있고, 주택 뒤로는 대원공원과 임야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회화나무. 대하초등학교 인근 자이 아파트 옆의 호야 경로당 마당에 있는 수령 2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17m, 가슴높이 둘레 94cm, 수관(樹冠) 폭 13m로, 콩과의 활엽수 교목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청소년 관련 문화행사. 청소년문화존이란 청소년의 건전한 여가 활용 육성을 위해 놀이마당식 체험 공간에 지역적 특성을 살린 각종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청소년활동진흥법」과 국가청소년위원회의 ‘청소년문화존 조성지원계획 및 운영’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운중동에서 관할한다. 판교 택지개발지구의 서판교에 해당하며 관내에 산운마을이 조성되어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및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1년 실시한 토지박물관의 문화유적 지표 조사를 통해 발굴된 하산운동 유물산포지와 2002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지표 조사를 통해 발굴된 하산운동 유물산포지 2 지역의 지역적 분포와 입지가 유사하여 두 지역을 통합한 유물산포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하산운동 산29-1번지 일대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국가지원지방도 57호선과 운중천이 만나는 지점의 남쪽에 있는 건너바닥들 일대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지역으로서 뫼루니 아래쪽이 되므로 아래뫼루니 또는 하산운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두밑을 병합하여 하산운리라 하며,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고 1975년에 낙생출장소에 편입되어 운중동의 관할이 되었다....
-
가정 및 시설물에서 사용하고 난 물을 처리하는 시설. 하수도는 생활이나 사업에 기인하거나 부수되는 오수(汚水) 또는 우수(雨水)를 배제 또는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관, 기타의 공작물과 시설을 총칭한다. 보통 공공(公共) 하수도를 말하며 하수도관, 하수처리장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서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까지 연결된 도로. 하오개로는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에 있는 지방도 57호선 안양판교로지점에서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운중로로 연결된 도로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함께 만들어 가는 행복한 학교’이며, 바라는 어린이상은 ‘바른 품성으로 꿈을 키우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교육 목표는 자율과 책임[책임감 있는 나], 배려[배려하는 우리], 창의[새로움에 도전하는 건강한 공동체]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공감과 배려, 참여와 협력의 학교문화 조성, 배움과 나눔, 열정과 성장의 학습 공...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함께 만들어 가는 행복한 학교’이며, 바라는 어린이상은 ‘바른 품성으로 꿈을 키우는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교육 목표는 자율과 책임[책임감 있는 나], 배려[배려하는 우리], 창의[새로움에 도전하는 건강한 공동체]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공감과 배려, 참여와 협력의 학교문화 조성, 배움과 나눔, 열정과 성장의 학습 공...
-
경기도 성남시에서 지표면에 떨어진 비·눈 등이 모여 산지와 평야를 흘러 바다나 호수로 들어가는 냇물 또는 강. 성남시의 하천과 하계망은 도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탄천(炭川)과 탄천으로 유입되는 지방하천 7개를 포함하여 모두 8개의 지방하천이 있으며, 28개의 소하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이 있는 기념탑. 성남시가 ’86아시아경기대회를 비롯한 각종 세계대회에서 구기종목으로 월등한 성적을 거둔 하키종목의 위업을 기리고 ’88서울올림픽대회에서도 영광을 재현하자는 기원을 담아 1988년 성남시립종합공설운동장 내에 건립한 기념탑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탑동과 사송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과 성남시의 동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탄천으로 유입하는 야탑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준공하였다. 총연장 128m, 교폭 36m이며, 축조 형식은 PC슬라브 방식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행정 지명. 구의 북동쪽에 있는 동으로 동쪽의 영장산[매지봉]에서 흘러내린 물줄기가 모여 형성된 야탑천이 야탑3동과 야탑2동을 지나 탄천으로 흘러들어가며, 탄천은 야탑2동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고 있다. 북쪽은 야탑1동, 동쪽은 야탑3동, 남쪽은 야탑3동과 이매1동에 둘러싸여 있고, 서쪽은 수정구 시흥동과 접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동간, 오야...
-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 벌말 사거리에서부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분당테크노파크에 이르는 도로.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 벌말 사거리에서 동쪽 방향으로 분기(分岐)한 길로서 탄천[하탑교]을 넘어 성남대로를 지나 분당테크노파크[아파트형 공장지구]까지 이르는 도로이다. 현재에는 안양판교로 하산운교차로에서부터 분당메모리얼파크까지 연결되는 판교로의 일부 도로이다. 왕복 포장 4...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최선을 다하자’이며, 스스로 계획하고 책임을 다하며 민주 이념을 실천하는 자주인, 합리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탐구력을 길러 미래를 개척하는 창조인, 인간을 존중하고 예의와 질서를 지키며 협동하는 도덕인, 심신이 건강하며 조화를 이루는 건강인,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과 기본 소양을 길러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세계인 육성을 교육...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최선을 다하자’이며, 스스로 계획하고 책임을 다하며 민주 이념을 실천하는 자주인, 합리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탐구력을 길러 미래를 개척하는 창조인, 인간을 존중하고 예의와 질서를 지키며 협동하는 도덕인, 심신이 건강하며 조화를 이루는 건강인,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과 기본 소양을 길러 남과 더불어 살아가는 세계인 육성을 교육...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꿈을 향한 참 배움으로 모두가 행복한 학교’이며, 교훈은 ‘알차고 멋지게’이다. ‘기본을 갖추고 더불어 살아가는 하탑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꿈을 향한 참 배움으로 모두가 행복한 학교’이며, 교훈은 ‘알차고 멋지게’이다. ‘기본을 갖추고 더불어 살아가는 하탑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사설 교육 기관. 법적으로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 이상의 학습자에게 30일 이상의 교습과정(교습 과정의 반복으로 교습 일수가 30일 이상이 되는 경우를 포함)에 따라 지식, 기술, 기능, 예능을 교습하거나, 30일 이상 학습 장소로 제공되는 시설을 말한다. 과외 교습을 위한 교습소는 법적인 용어로서의 학원 범주에서 제외되나, 넓은 의미에서 교습소도 학원이라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과 의왕시 청계동의 경계가 되는 고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서쪽에서 의왕시 청계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의왕시에서는 학고개 또는 학현이라 부르는데, 운중동에서는 하오개·하오고개·화의고개 등으로 불린다. 조선 말기에 천주교도들이 박해를 피하여 학현 좌우에 숨어 살았다고 하며, 고개 너머 청계동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자 한덕운[토마스]이 체...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순(子順). 조부는 개국공신이고 영의정을 역임한 한상경(韓尙敬)이고, 아버지는 관찰사를 역임한 한혜(韓惠)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계희의 묘. 한계희[1423~1482]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 자는 자순(子順)이다. 관찰출척사 한혜(韓惠)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성달생(成達生)의 딸이다. 부인 함양여씨(咸陽呂氏) 사이에 7남매를 두었다. 훈구파에 속하는 유학자로 세조의 신임을 받아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465년에는 이조판서가 되었다. 1...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계희의 묘. 한계희[1423~1482]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 자는 자순(子順)이다. 관찰출척사 한혜(韓惠)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성달생(成達生)의 딸이다. 부인 함양여씨(咸陽呂氏) 사이에 7남매를 두었다. 훈구파에 속하는 유학자로 세조의 신임을 받아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1465년에는 이조판서가 되었다. 1...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국악협회 소속 성남시 지부. 한국국악협회 성남시지부는 1979년 창립하여 성남국악제와 성남 전국 학생 국악 경연대회를 비롯하여 성남 한가위 국악큰잔치, 성남시 장수무대 등을 연례 사업으로 주관하는 등 성남시를 대표하는 공인 국악 단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있는 국제 협력 위탁 집행형 준정부 기관.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KOICA)]은 「한국국제협력단법」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개발도상국의 빈곤 감소 및 삶의 질 향상, 여성·아동·장애인·청소년의 인권 향상, 성평등 실현, 지속 가능한 발전 및 인도주의를 실현하고, 협력 대상국과의 경제협력 및 우호 협력관계 증진, 국제사회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노동자 단체. 일제 강점기부터 광복과 6.25전쟁을 거치면서 독립을 위한 노동운동과 노동자 권익을 위해 일하던 각 노동자 단체들은 1946년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을 결성하고 이어 1960년에 이르러 한국노동조합총연맹으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산하 25개의 회원 조합과 16개의 지역본부, 52개의 지역지부를 두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한국농악보존협회 소속 지회. 한국농악보존협회 성남지회는 우리나라 전통예술을 바탕으로 한 농악, 사물놀이, 전통연희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사단법인 국악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한국댄스스포츠연합회 소속 지부. 1998년 7월 첫 출발을 하게 되었다. 전문적 기능인들의 모임인 한국 댄스 스포츠 연합회에는 박효, 현 탑 아티스트의 회장인 이회진, 아메리칸 댄스 연합회 회장인 ALEX KIM 등이 있고, 이후 전·현직 챔피언들이 모임을 가짐으로써 점차 협회적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디자인 교육기관. 한국디자인진흥원은 디자인을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 설립된 준정부기관으로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람회 개최, 굿디자인(GD) 상품 선정, designDB.com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소속 성남 지역 지부.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는 성남이 시로 승격한 직후인 1975년 창립한 성남을 대표하는 문학단체로, 지역 향토문학의 발전을 위하여 지난 50여 년간 교육, 창작, 문집 발간, 문학 행사, 시상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한국문인화협회 소속 지부. 경기도 성남 지역의 미술문화 발전과 향상을 도모하고 문인화가의 위상과 권익을 높이며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협조를 목적으로 설립된 예술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미술협회 소속 성남시 지부. 한국미술협회는 민족 미술의 향상 발전을 도모하고, 미술가의 권익을 옹호하며, 국제 교류와 미술가 상호 간의 협조를 목적으로 1961년 12월 18일 설립되었으며,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는 1983년 5월 18일 성남미술협회 창립 발기인대회를 거쳐 1983년 9월 27일에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로 인준을 받았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민족미술인협회 소속 지부. . (사)한국민족미술인협회 성남지부는 민족 문화와 민족 미술의 발전을 지향하는 성남 지역 미술인들의 상호 연대와 공동 실천을 통하여 한국 예술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족 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소속 지부.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성남지부는 2002년에 설립하였으며 굿위원회, 극위원회, 음악위원회, 문학위원회, 춤위원회, 시각매체위원회, 무예위원회, 사진위원회 등 8개의 갈래[장르]위원회가 있다. 각계 시민 사회 단체와 연대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바람개비 콘서트, 백중제, 송년아리랑, 해맞이 한마당 등 성남 시민...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사립 평생교육기관. 한국복지문화교육원은 학점은행제를 통한 학위 취득과 사회복지사·가정폭력상담원 등의 국가자격 취득이 가능한 인증 교육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성남산업단지 제1공단에 있던 한국빠이롯드만년필 공장의 기계 설비. 한국빠이롯드만년필 공장 기계 설비는 한국 문구 산업사를 대변하는 성남시 보존 유물이다. 성남제1공단이 공원으로 바뀌면서 사라진 한국빠이롯드만년필 공장[1979~2016]의 기계 설비를 성남시가 보유하고 있다. 한국빠이롯드만년필 공장은 공단이 사라지는 자리에서 가장 늦게 문을 닫았다. 하지만 기계 설비는...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 회원의 사진 작품전.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는 1988년 3월 31일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 발기총회’를 개최하고, 4월 9일 창립이 인준되어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 회원단체가 되었다. 성남종합예술제와 병행하여 성남사진작가 회원전을 연례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사회적기업의 육성 및 진흥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기타공공기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은 「사회적기업 육성법」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2011년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출범하였다. 설립 목적은 사회적기업의 육성 및 진흥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고유 업무로는 사회적기업가 양성과 사회적기업 모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한국서예협회 소속 지부. 한국서예협회 산하 기관으로 성남시 지역의 서예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한국서예협회 소속 지부. 한국서예협회 산하 기관으로 성남시 지역의 서예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석유 관리 전문 공공 기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제25조 2항에 따라 설립된 한국석유관리원은 석유 및 석유 대체 연료의 품질·유통 관리, 연구 개발, 시험 조사 등을 수행하는 법정 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석유 관리 전문 공공 기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제25조 2항에 따라 설립된 한국석유관리원은 석유 및 석유 대체 연료의 품질·유통 관리, 연구 개발, 시험 조사 등을 수행하는 법정 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석유 관리 전문 공공 기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제25조 2항에 따라 설립된 한국석유관리원은 석유 및 석유 대체 연료의 품질·유통 관리, 연구 개발, 시험 조사 등을 수행하는 법정 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K-water 산하 기관. K-water 경기동남권지사는 성남, 용인, 수원, 오산, 화성, 평택, 안성 지역에 수돗물 공급 및 수도 시설을 운영 관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연극협회 소속 성남시 지부. 한국연극협회 성남지부는 1985년 성남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극인들이 모여 결성한 성남 연극 단체 및 성남 지역 극단을 대표하는 공인 연극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소속 성남시 지회.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성남지회는 1986년 1월 30일 인준을 받고 성남 지역 연예 예술 발전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
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영화인총연합회 소속 성남시 지회. 한국영화인총연합회 성남지회는 성남에 거주하고 있는 영화인들의 모임으로 지역 주민을 위한 각종 영화 상영회 등 영화 관련 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성남의 대표적인 영화인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소속 지회.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약칭 성남예총]는 문인, 국악, 무용, 연예, 연극, 음악, 미술, 사진작가, 영화인 등 9개 회원 단체로 구성되어 성남시 예술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해 온 성남을 대표하는 전문 예술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사립 외국인 학교. 한국외국인학교 판교캠퍼스는 학생들에게 교육에 대한 열정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성공에 필요한 능력과 자신감, 독창성, 창의성을 배양하는 것을 교육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사립 외국인 학교. 한국외국인학교 판교캠퍼스는 학생들에게 교육에 대한 열정을 높이고, 국제사회에서 성공에 필요한 능력과 자신감, 독창성, 창의성을 배양하는 것을 교육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관세·무역 관련 전문 공공기관. 한국원산지정보원은 「관세법」제233조의2에 따라 수출입 물품의 원산지 정보 수집·분석과 활용 및 검증을 지원하는 공공기관이다. 우리나라 기업의 수출 경쟁력 확보 및 국가의 관세 행정 정책 수립에 기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한국음식업중앙회 경기도지회 소속 지회. 국민보건 및 위생수준 향상에 기여, 식품위생 관계 법령에 의한 위임 및 위탁사업 추진, 회원간 화합과 복리 및 권익증진 도모를 위해 조직된 직능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한국음식업중앙회 경기도지회 소속 지부. 국민보건 및 위생수준 향상에 기여, 식품위생 관계 법령에 의한 위임 및 위탁사업 추진, 회원간 화합과 복리 및 권익증진 도모를 위해 조직된 직능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한국음식업중앙회 경기도지회 소속 지부. 국민보건 및 위생수준 향상에 기여, 식품위생 관계 법령에 의한 위임 및 위탁사업 추진, 회원간 화합과 복리 및 권익증진 도모를 위해 조직된 직능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음악협회 소속 성남시 지부. 성남시 초기에는 지역 음악인의 활동 무대가 서울이었으므로 현실적으로 지역 음악 발전에는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에 1987년 10월 24일 성남 음악계를 대표하는 음악 단체로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가 창립되면서 성남 음악 활동의 전환기를 가져왔다.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는 음악인들의 화합과 결속의 구심점이 되어 현재까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종합 직업 체험관. 한국잡월드는 2012년 문을 연 직업 체험관으로 청소년 체험관, 어린이 체험관, 숙련기술 체험관이 갖추어져 있다. 학생들이 실제 직업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풍부한 직업 정보도 탐색할 수 있다. 다양한 직업 체험을 통해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은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모색해볼 수 있다. 교사에게는 올바른 진로를 선택...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장애인 고용 지원 기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장애인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장애인들에 대한 직업 능력 개발, 취업 및 사업주 지원 등 장애인 고용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노동부 산하 준정부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장애인부모회 소속 지부. 1996년 정신 지체인의 권익 보호를 위한 성남부모회로 시작하여 정신 장애, 발달 장애, 시각·청각·뇌성 마비 등 본인 스스로 권익 옹호가 힘든 장애 자녀를 대변하기 위해 1999년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부모회 성남시지부로 출범하였다. 장애 자녀를 둔 성남시 거주 부모들이 하나가 되어 자녀 양육 및 재활 정보를 교환하고...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장애인부모회 소속 지부. 1996년 정신 지체인의 권익 보호를 위한 성남부모회로 시작하여 정신 장애, 발달 장애, 시각·청각·뇌성 마비 등 본인 스스로 권익 옹호가 힘든 장애 자녀를 대변하기 위해 1999년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부모회 성남시지부로 출범하였다. 장애 자녀를 둔 성남시 거주 부모들이 하나가 되어 자녀 양육 및 재활 정보를 교환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전기 공업 관련 협동조합.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은 전기 기기 및 관련 부품 제조자들의 협동조합으로 조합원들의 권익 보호, 공동 사업 확대, 신기술 개발 및 해외 사업 촉진 등을 위한 사업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연구 기관.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전자 관련 민간업계가 출연하고 정부가 연구 사업비를 지원하는 민·관 공동의 정부 산하 연구 기관이다. 한국형 CATV, HDTV, GSM 휴대폰, 초소형 정밀기계[MEMS], 모바일 TV, 핵심 전자부품 등의 대형 국책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전자산업 육성 및 신산업 창출에 기여하였으며, 중소...
-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휴전 성립까지 경기도 성남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남한과 북한의 전쟁.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에 북한군[조선인민군]의 남침으로 시작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까지 1,129일간 벌어진 동족상잔의 전투였다. 여기에 더하여 외국의 군대까지도 참전하여 동서진영 간의 국제전쟁으로 비화됨으로써 남북 평화통일의...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전통 민속공예 지원 단체. 한국전통민속공예협회는 전통공예 기술산업에 관한 종합정보센터의 역할을 하면서 공예인 상호 간의 발전 기회를 넓혀 후진 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한국학 전문 연구 기관.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을 진흥하기 위하여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위치하고 있다. 1978년 6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육성법에 따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설립되었다가 2005년 1월 한국학중앙연구원육성법이 공포되면서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에너지 관련 공기업. 한국지역난방공사는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을 통해 기후변화 협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에너지 절약 및 국민생활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설립된 공기업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사회 복지 단체. 참사람들은 1991년부터 성남빈민복지상담소를 시작으로 성남 지역의 소외된 이웃의 아픔과 기쁨을 함께하고,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 지역사회 복지 네트워크의 중심 기관으로서 사회의 관심 밖에 놓여 있는 노인 복지 중심의 통합적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분파. 천주교는 각 지역마다 교구(敎區)라는 개별 공동체를 두고 있으며, 각 교구에는 교구장 주교를 중심으로 보좌주교, 총대리, 사무처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다. 또한 각 교구 산하에 본당[성당]이 있으며, 각 본당에는 교구장 주교를 대리한 주임신부를 중심으로 사목회장, 사목협의회 등의 평신도 협의체가 조직되어 운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분파. 천주교는 각 지역마다 교구(敎區)라는 개별 공동체를 두고 있으며, 각 교구에는 교구장 주교를 중심으로 보좌주교, 총대리, 사무처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다. 또한 각 교구 산하에 본당[성당]이 있으며, 각 본당에는 교구장 주교를 대리한 주임신부를 중심으로 사목회장, 사목협의회 등의 평신도 협의체가 조직되어 운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청년연합회 소속 지부. 성남지역의 민주발전 및 청년들의 사회적 성장과 7천만이 번영하는 민족공동체 실현을 위해 노력하며, 나아가 세계인류와 함께 전 세계적 평화의 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국립 기능 대학. 한국폴리텍대학은 청소년의 생애 능력 개발과 평생 직업을 책임지는 대학을 목표로 최신 시설 및 장비를 갖춘 첨단 교육 구현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대학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은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로 우리 역사와 문화를 깊이 연구함과 아울러 세계성을 지닌 자체 이론을 개발하고 새로운 민족 문화 창조를 선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한국학 전문 연구 기관.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학을 진흥하기 위하여 설립된 재단법인으로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위치하고 있다. 1978년 6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육성법에 따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설립되었다가 2005년 1월 한국학중앙연구원육성법이 공포되면서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대학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은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로 우리 역사와 문화를 깊이 연구함과 아울러 세계성을 지닌 자체 이론을 개발하고 새로운 민족 문화 창조를 선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지정 악기 수리 교육 기관. 한국현악기제작수리학교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직업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성문(聖聞). 한종설(韓宗說)의 양자로 생부는 한종억(韓宗億)이다. 조부는 한몽상(韓夢相)이고 증조부는 한후명(韓厚明)이고 외조부는 이증(李增)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근지(謹之). 호는 호암(湖庵)이다. 아버지는 한종호(韓宗浩)이다. 증조부는 한진명(韓晉明)이고 조부는 한경상(韓慶相), 외조부는 이도천(李道天), 처부는 오명삼(吳命三)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야외 공연장에서 개최되는 문화 예술 축제. 분당구민한마음축제는 구민들의 정서 함양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분당구청을 비롯한 19개 동 행정복지센터와 분당구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아리들이 준비하고 공연하는 문화예술축제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욱재(泮哉), 호는 율헌(栗軒)이다. 한석(韓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지원(韓智源)이고, 아버지는 참판 한술(韓述)이며, 어머니는 이운(李韻)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명욱의 묘 및 묘갈. 한명욱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67년(명종 22)~1652년(효종 3)에 걸쳐서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욱재(勗哉), 호는 율헌(栗軒)으로, 참판 한술(韓述)의 장남이다. 처음 음사로 관직에 나아가 현감(縣監)까지 하였으나 그만두고 송강(松江) 정철(鄭澈), 우계(牛溪) 성혼(成渾) 문하에서 수학, 뒤늦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명욱의 묘 및 묘갈. 한명욱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67년(명종 22)~1652년(효종 3)에 걸쳐서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욱재(勗哉), 호는 율헌(栗軒)으로, 참판 한술(韓述)의 장남이다. 처음 음사로 관직에 나아가 현감(縣監)까지 하였으나 그만두고 송강(松江) 정철(鄭澈), 우계(牛溪) 성혼(成渾) 문하에서 수학, 뒤늦게...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직재(直哉), 직경(直卿)이고, 참판 한술(韓述)의 차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명직의 묘. 한명직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76년(선조 9)~1613년(광해군 5)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직재(直哉) 또는 직경(直卿)으로, 참판 한술(韓述)의 차남이다. 1606년(선조 39)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611년(광해군 3)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다. 이어 상서원직장(尙瑞院直長)이 되고, 통훈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명직의 묘. 한명직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76년(선조 9)~1613년(광해군 5)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직재(直哉) 또는 직경(直卿)으로, 참판 한술(韓述)의 차남이다. 1606년(선조 39)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611년(광해군 3)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다. 이어 상서원직장(尙瑞院直長)이 되고, 통훈대...
-
생몰년 미상. 독립운동가 한순회의 장남으로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월북한 인물. 한백건은 한순회의 장남으로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한순회가 일제시대 천도교에 전념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역정에 일정 부분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장남 한백건을 비롯한 네 형제들이 3.1운동과 신간회 광주지회의 지회장으로 활동한 부친의 감화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
1881년(고종 18)~1950년. 돌마면 만세시위를 주도한 후 민족협동전선 운동인 신간회 지회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한백봉은 1881년(고종 18)에 한란의 29세 손으로 태어났다. 자는 성의(聖儀), 호는 송헌(松軒)이며 본관은 청주이다. 1919년 당시 39세로 광주군 돌마면 율리에 거주하였으며 생업은 농사였다. 돌마면의 유지로 활동하며 3.1만세 시위운동을 주도하는 한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백봉의 묘. 한백봉[1881~1950]은 1919년 3.1운동 때 광주군 돌마면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인물로, 본관은 청주, 자는 성의(聖儀), 호는 송헌(松軒) 또는 벽송(碧松)이며, 한영회(韓榮會)의 3남이다. 1890년경부터 10여 년 간 분당리(盆唐里)에서 진사 서상만(徐相晩)의 문하에서 한문을 수학하고, 1900년 부친이 사망하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백봉의 묘. 한백봉[1881~1950]은 1919년 3.1운동 때 광주군 돌마면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인물로, 본관은 청주, 자는 성의(聖儀), 호는 송헌(松軒) 또는 벽송(碧松)이며, 한영회(韓榮會)의 3남이다. 1890년경부터 10여 년 간 분당리(盆唐里)에서 진사 서상만(徐相晩)의 문하에서 한문을 수학하고, 1900년 부친이 사망하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비영리 사진 단체. 사진 예술의 저변확대와 사진 기술 향상, 회원 상호 간의 친목 도모를 목적으로 한백사진연구회를 설립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사렴(士廉)이고, 좌찬성 한계희(韓繼禧)의 넷째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사개의 묘. 한사개[1453~1521]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렴(士廉)이다. 한계희(韓繼禧)의 넷째 아들이다. 1480년(성종 11) 별제(別提)에 제수되었으며, 이후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승진하여 영흥부사(永興府使)와 해주(海州), 광주(廣州), 진주(晉州) 등지의 목사(牧使)를 역임하였다. 사후...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서평군(西平君) 한계희의 둘째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한사무의 묘. 한사무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52년(문종 2)~1482년(성종 13)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로, 서평군(西平君) 한계희(韓繼禧)의 둘째 아들이다. 배위(配位)는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원주변씨(原州邊氏)이다. 1467년(세조 13) 음사(蔭仕)로 종사랑(從仕郞)에 제수되어 문소전(文昭殿) 참봉이 되었다. 148...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한사무의 묘. 한사무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52년(문종 2)~1482년(성종 13)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로, 서평군(西平君) 한계희(韓繼禧)의 둘째 아들이다. 배위(配位)는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원주변씨(原州邊氏)이다. 1467년(세조 13) 음사(蔭仕)로 종사랑(從仕郞)에 제수되어 문소전(文昭殿) 참봉이 되었다. 148...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예(子藝). 할아버지는 함길도관찰사 한혜(韓惠)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익대좌리공신(翊戴佐理功臣) 한계희(韓繼禧)이며, 어머니는 증호조참판 여계(呂稽)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사문의 묘. 한사문(韓斯文)[1446~1507)의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예(子藝)이다. 한계희(韓繼禧)의 장남이다. 1462년(세조 8년) 음보(蔭補)로 문소전직장(文昭殿直長)이 되고 이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1495년(연산군 1년) 가선대부(嘉善大夫)가 되고 아버지의 봉작을 물려받아 서천군(西川君)에 봉군되었다. 이듬해...
-
분당구 서현동 된섬말에서 세거하는 성씨. 분당구 수내동 너머역말에 최초로 정착한 봉화현감을 지낸 봉화공 이장윤(李長潤)[1455~1528]은 성균관 대사성 이우(李堣)의 아들이다. 이장윤이 죽자 그의 손자 토정 이지함(李之函)[1517~1578]이 마을 뒤 영장산에 자리를 잡아 묘를 쓰고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취락이 형성되어 한산이씨 집성촌을 이루었다. 너머역말은 일명 작은역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조선시대에 봉화공 이장윤이 너머역말[지금의 분당구 수내동]에 최초로 정착한 후 그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집성촌을 이루었고, 마을 뒤 영장산 기슭에 한산이씨묘역을 조성하였다. 한산이씨 묘역입수비는 한산이씨묘역의 소재를 알림과 동시에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조선시대에 최초에 수내동에 정착한 봉화공 이장윤[1455~1528]과 그의 아들 이질[1473~1560], 손자 이지숙 등 한산이씨 3세의 사적을 기록한 비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한산이씨묘역의 소재를 알림과 동시에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세운 비로, 묘역이 위치한 영장산의 동쪽·서쪽·북쪽 산자락에 세워져 있었다. 그러나 분당신도시의 건설로 인해 원래의 위치에서 묘역 부근으로 이전·복원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 한산이씨묘역의 소재를 알림과 동시에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세운 비로, 묘역이 위치한 영장산의 동쪽·서쪽·북쪽 산자락에 세워져 있던 세장산비 중 하나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한산이씨의 가족 묘역. 조선 중종대의 문신 한산이씨 이장윤(李長潤)[1455~1528]과 그 후손 대대로 묘를 쓴 세장(世葬) 묘역이다. 봉화현감(奉化縣監)을 지낸 이장윤의 묘를 비롯하여 아들 한성군(韓城君) 이질(李秩)[1474~1560]과 충좌위부호군(忠佐衛副護軍) 이정(李程)[1489~1531], 손자 한평군(韓平君) 이지숙(李之菽)[?~1...
-
신라시대에 경기도 광주 지방에 배치하였던 지방군부대. 신라는 551년(진흥왕 12)에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가 점유하고 있던 한강유역을 공격하였는데, 백제군이 남북한성(南北漢城)의 6군(郡)을 수복하고, 신라군은 고현(高峴)[지금의 철령] 이남의 10군을 취하였으며, 553년에는 신라가 백제의 점령지까지 탈취하여 그곳에 신주(新州)를 설치하고 신주정(新州停)이라는 군단을 배치하였다...
-
신라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명칭. 삼국통일 직후에 완성된 이른바 9주(州)의 하나로서, 지금의 황해도와 경기도 및 충청도 일부지역을 포함하는 범위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소비자 생활 협동 조합. 생명가치 존중을 바탕으로 생산된 먹을거리와 생활용품을 생산자와 직접 교류하며 모심과 살림의 생활양식을 바탕으로 우리가 사는 지역을 생태적인 삶터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석(韓碩)의 묘. 한석[1479~미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문정공(文靖公) 한계희(韓繼禧)의 손자이며, 삼등현령(三登縣令) 한사신(韓士信) 둘째 아들이다. 1518년(중종 13)에 경상좌도수사와 교동수사를 지내고 1534년(중종 29)에 좌위장을 거쳐 가선대부 훈련원 도정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지냈으나 요절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건설업체. 1971년 4월 15일 설립된 한성은 주택자재제조, 주택분양 및 임대, 토목건축공사 등을 주요 사업내용으로 하는 종합건설업체이다. 1971년 한성프리웨브가 설립되어 판교에 국내 최초로 PC(Precast Concrete)공장을 준공하였다. 1975년 산하에 한국고압벽돌을 설립하였다. 1978년에는 한성프리웨브와 한국고압벽돌을 합병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지성(至誠)’이며, 바른 인성을 함양하고 서로 도우며 봉사하는 협동인, 기초 학력을 다지며 스스로 열심히 배우고 탐구하는 실력인, 지식정보화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능동적인 과학인, 자긍심과 민주적 신념 및 주체성이 뚜렷한 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지성(至誠)’이며, 바른 인성을 함양하고 서로 도우며 봉사하는 협동인, 기초 학력을 다지며 스스로 열심히 배우고 탐구하는 실력인, 지식정보화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능동적인 과학인, 자긍심과 민주적 신념 및 주체성이 뚜렷한 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한솔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연꽃마을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는 사회복지 기관으로, 분당구 정자동 한솔마을을 중심으로 다양한 복지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아동발달지원센터, 지역아동센터, 한솔치매노인보호센터 은빛사랑채를 운영하며 장애아동, 저소득 가정의 아동, 치매 노인에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지역 주민을 위한 다양한 문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즐겁게 배우고 실천하며 웃음이 넘치는 행복한 학교’이다. 다양한 경험으로 기초·기본이 튼튼한 어린이[경험], 다르게 보고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상상], 꿈과 끼를 키워 가는 어린이[도전]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즐겁게 배우고 실천하며 웃음이 넘치는 행복한 학교’이다. 다양한 경험으로 기초·기본이 튼튼한 어린이[경험], 다르게 보고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상상], 꿈과 끼를 키워 가는 어린이[도전]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숙의 묘표. 한숙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91년(숙종 17)~1708년(숙종 34)에 걸쳐서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달부(達夫, 建夫)로, 한선경(韓善慶)의 아들이다. 재예(才藝)가 있었으나 천연두로 요절하였다. 부인인 유인(孺人) 광산김씨는 김응서(金應瑞)의 조카 딸이다....
-
일제강점기 경기도 성남 출신의 독립운동가. 천도교 광주교구장이었던 한순회(韓順會)[1885~1964]는 신간회(新幹會) 광주지회장으로서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이끌었고, 신간회가 해체된 후에는 천도교 성미운동(聖米運動)과 멸왜기도운동(滅倭祈禱運動)을 이끌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순회의 묘. 한순회[1885~1964]는 1919년 3.1운동 때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인물로, 본관은 청주, 호는 제암(霽菴)이다. 신간회 광주지회장으로서 일본제국주의의 멸망을 기원하는 특별기도회를 추진하였고, 이 사건으로 일본 관헌에 구속되어 고초를 당하였다. 1993년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효자. 한술(韓述)[1541~1616]은 다섯 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성장한 후에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아버지 묘 곁에 장사 지내고 6년상을 치렀다고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술 묘. 한술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41년(중종 36)~1616년(광해군 8)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자선(子善), 호는 도곡(陶谷)으로, 한지원(韓智源)의 장남이다. 1570년(선조 3) 사마시에 1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80년(선조 13) 알성시에 을과로 급제한 후, 1592년(선조 25) 예조정랑에 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술 묘. 한술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41년(중종 36)~1616년(광해군 8)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자선(子善), 호는 도곡(陶谷)으로, 한지원(韓智源)의 장남이다. 1570년(선조 3) 사마시에 1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80년(선조 13) 알성시에 을과로 급제한 후, 1592년(선조 25) 예조정랑에 올...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인숙(仁叔)이고, 판관 한사무(韓士武)의 장남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형부(亨夫)이고, 판관 한사무(韓士武)의 차남이다....
-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교회. 1977년 서울 강남의 신반포 지구에서 이중표 목사에 의해 개척교회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독자적인 건물이 없어 신자들의 집에서 예배 모임을 갖는 다락방 교회 형태를 취했다. 1980년부터는 4개의 다락방 교회가 연합하여 임대 건물에서 예배를 드렸으며 그후 교세 확장과 더불어 그곳에 대규모의 독자적인 교회당을 건축하였다. 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2동에 있는 복합 상영관. 롯데시네마에서 운영하는 복합 상영관의 하나로 쇼핑센터인 세이브존[구 한신코아]과 식당가가 연결되어 있고 지하철 8호선 단대오거리역 인근에 위치해 교통이 편리하다....
-
어느 동네에나 반푼이가 있고, 말이 어눌한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지석태는 같은 동네의 철없던 고등학생 형을 기억한다. 조금은 한심스런 형이었다. “나이가 분명히 많은 형이었는데. 되게 차이 났어요. 키도 컸고. 저희는 초등학생이었는데 그 형은 고등학생인가 그랬어요. 저희들하고 같이 놀아요. 그 형이 이해가 안 돼요. 수준이 낮은 건지. 그때는 아무렇지 않았는데 지금 생각하면 그...
-
1867년(고종 4)~?. 북경 동서동 직문대로에서 항일운동을 전개한 인물. 한영복은 1867년에 출생하였으며 거주지는 광주군 돌마면 분당리 44번지로 나타난다. 성장 과정은 정확하게 추적하기 어렵지만 1914년에 북경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한영복의 호는 유농(有農) 또는 남농(南農)으로 불리었으며 일명 세량(世良)으로 지칭되기도 하였다....
-
염씨는 여름휴가를 가본 적이 없다. 어려울 때는 어려워서, 장사가 잘 될 때는 바빠서 못 다녔다. 장사하고, 돈 버는 일 외는 별다른 취미도 여가생활도 없었다. 친목회 일 이외에는, 시장 밖 나들이를 하는 경우도 흔치 않았다. 85년도에 상가 사람들이 모여 한우리라는 친목회를 만들었다. 꽃집 사장님도, 고춧집 사장님도, 옆에 앞에, 앞에 옆에 다 해서 열 몇 사람이었다. 고향을 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한울교회는 1992년 설립되어 1994년 분당으로 이전한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의 교회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시익(時益)이고, 좌의정 한효순(韓孝純)의 다섯째 아들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한익(翰翼). 호는 안은당(安隱堂). 은일(隱逸)로 천거되어 교관(敎官)을 역임했던 황명구(黃命耈)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안몽주(安夢周)의 딸이다. 부인은 최계웅(崔繼雄)의 딸 전주최씨이다. 예천군수를 역임한 황입중(黃立中)의 증손자이고, 황동(黃洞)의 손자이다....
-
신라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명칭. 757년(경덕왕 16)에 종전의 한산주(漢山州)를 개칭한 것이다. 삼국통일 직후에 완성된 이른바 9주(州)의 하나로서, 지금의 황해도와 경기도 및 충청도 일부지역을 포함하는 범위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달(士達), 호는 청련(靑蓮)이다. 한계희(韓繼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사신(韓士信)이고, 아버지는 도정 한석(韓碩)이며, 어머니는 윤지준(尹之峻)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지원의 묘. 한지원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513(중종 8)~1560(명종 15)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사달(士達), 호는 청연(靑蓮)으로, 도정(都正) 한석(韓碩)의 넷째 아들이다. 1537년(중종32) 진사가 되고 1544년(중종39) 별시문과 병과에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에 제수된 후 홍문관(弘文館)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지원의 묘. 한지원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513(중종 8)~1560(명종 15)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청주, 자는 사달(士達), 호는 청연(靑蓮)으로, 도정(都正) 한석(韓碩)의 넷째 아들이다. 1537년(중종32) 진사가 되고 1544년(중종39) 별시문과 병과에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에 제수된 후 홍문관(弘文館)의...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계익(季益)이고, 좌의정 효순(孝純)의 셋째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한화테크윈 소속 연구 기관. 한화테크윈은 1977년 항공기엔진과 필름카메라사업에서 출발, 1986년 차세대 한국전투기사업(KFP) 주력업체로 선정되었고, 1987년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로의 개명과 함께 헬기엔진 생산사업에도 착수하였다. 1990년대에는 정밀광학부문의 디지털카메라 사업과 방위산업부문의 KF-16전투기, UH-60헬기 엔진 생산업체로...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민망(民望), 호는 태항(苔巷)이다. 한사신(韓士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석(韓碩)이고, 아버지는 교리(敎理) 한지원(韓智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한회의 묘. 한회[1550~1621]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 자는 민망(民望), 호는 태항(苔巷) 또는 유하(柳下)이다. 한지원(韓智源)의 아들이며, 1582년(선조 15) 진사, 생원이 되었고 이듬해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86년(선조 19) 광흥창봉사를 거쳐 예조좌랑이 되었고 1594년(선조 19) 서장관으로 중국 명...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임진왜란 때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의 요청으로 선조(宣祖)가 한효순(韓孝純)[1543~1621]을 한산도에 파견하여 무과를 실시하게 하였다. 이후 한효순은 전쟁 수행에 필요한 각종 군수 물자를 원만하게 조달하여 해전에서 승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한효순의 묘 및 신도비. 한효순[1543~1621]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주, 자는 면숙(勉叔), 호는 월탄(月灘)이다. 한상경(韓尙敬)의 아들로 1576년 식년문과에 급제 후 영해부사(寧海府使)가 되어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영해전투에서 전공을 세우고, 그 후 경상좌도 관찰사에 특진하여 순찰사를 겸임하였다. 1610년(광해군 2)...
-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개신교 교회. 1980년 신동아(新東亞)그룹 회장 최순영과 당시 아시아연합신학교 교수 이종윤 목사가 중심이 되어 서울 대치동에서 창립되었다. 1992년 9월 분당 신도시에 새 부지를 매입하여 교회신축 공사를 시작하였으며 1997년 10월 교회를 이전하였다. IMF를 맞아 자금난으로 공사가 지연되었으나 2004년 7월 본당이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
몰락해 가는 가정과 남편을 제자리로 되돌려 놓기 위해 그녀는 최선을 다했다. 친구를 만나는 일도 삼갔다. 아니 차비를 걱정할 만큼 사정이 안 좋아 친구를 만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 그런 최악의 상황에서 그녀는 함주부[함께하는 주부모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함주부를 통해 봉사활동에 나서게 되었다. 자신에게 닥친 최악의 상황이 자기만큼이나 힘겨운 사람들의 삶을 돌아보도록 해 주...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했던 교육가이자 정치가. 신익희는 경기도 광주에서 출생하고 성장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언론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으로서 대통령 후보가 되어 호남 지역으로 선거 유세를 가던 중 기차 안에서 뇌일혈로 사망하였다. 성남에 있는 양영고등공민학교의 이름을 지어 주었다. 양영고등공민학교는 후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나뉘었는데 지금의 양영중학교...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해여(海如)이고, 임정운(林淨運)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1동 황송공원 내에 있는 기념탑. 1998년 5월 14일 초대 민선 성남시장 오성수와 대한해외참전전우회 직할 성남시 회원들이 해외에 파병되었던 성남 지역 청년들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해외 참전 기념탑을 건립하였다. 2004년 12월 베트남(월남) 참전 기념탑으로 변경되었다가 2013년 월남 참전 기념탑으로 다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화가 단체. 1994년 3월에 창립된 연묵회는 1997년 5월에 분당주택전시관에서 1회 회원전을 개최하였다. 이후 1998년 8월에는 2회 회원전을 킴스아울렛 전시장에서, 3회 회원전은 2001년 9월 성남 문화의 집 전시장에서 개최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분당구 대장동 무두만이(舞頭滿以)에 오종환(吳悰煥)[1934년생]의 12대조인 오윤함(吳允諴)[1570~1618]의 묘를 쓴 후 그 후손이 세거하면서 오윤함의 호 월곡(月谷)을 따서 월곡공파를 이루었다....
-
윤군정을 시조로 하고 윤경지를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 해평윤씨(海平尹氏)는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 시조는 윤군정(尹君正)으로, 고려 고종과 원종 때 벼슬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公)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판공부사(判工部事)에 이르렀다. 해평윤씨 성남 입향조는 홍천현감 윤경지(尹敬之)[1604~1659]로 전해진...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했던 교육가이자 정치가. 신익희는 경기도 광주에서 출생하고 성장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언론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으로서 대통령 후보가 되어 호남 지역으로 선거 유세를 가던 중 기차 안에서 뇌일혈로 사망하였다. 성남에 있는 양영고등공민학교의 이름을 지어 주었다. 양영고등공민학교는 후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나뉘었는데 지금의 양영중학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KT&G 소속 사회복지 재단. KT&G 복지재단 행복네트워크 성남복지센터는 성남시 관내의 독거노인, 조손 세대, 차상위계층 등 사회복지 서비스가 절실하게 필요한 저소득 가정을 대상으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성남 지역의 타 사회복지 시설 및 기관과의 협력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복지 발전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의 공공 업무를 해결하고, 공공 서비스를 생산·분배하는 데 힘쓰는 성남 지방 정부의 활동. 오늘날 행정은 시민의 삶을 살피고 개선하는 방향으로 그 역할과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기존의 질서 유지 기능 외에도 수도·전기·교통·통신 등 사회 간접 시설의 제공, 학교·도서관·공원 등 문화 시설의 확충, 사회적 약자 보호와 경제 활동 촉진 등 많은 역할을 수행한다. 현대...
-
경기도 성남시의 거주 지역을 행정상의 편의에 따라서 설정한 행정구역의 단위. 1949년 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하부 행정구역인 동은 법정동(法定洞)과 행정동(行政洞)으로 구분한다. 법정동의 경우 동 구역을 조정할 경우 많은 법정 공부(法定公簿)의 정리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도시의 확장, 인구 이동 등 지역 여건 변화에 발맞추어...
-
경기도 성남시에서 지역 주민을 위하여 행정동 단위로 운영하는 문화 복지 편익 시설. 1999년 2월 행정자치부의 읍·면·동사무소의 기능 전환 시범 실시에 따라 설치되기 시작한 주민자치센터는 읍·면·동사무소의 여유 공간에 설치된 각종 문화, 복지, 편익 시설과 프로그램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지역 실정에 따라 동민의 집, 문화센터, 복지센터, 행정복지센터 등 다양한 이름을 붙여 사...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무용 예술인. 정금란(鄭錦蘭)은 한국 무용 전문 예술인으로서 성남의 무용 뿐 아니라 국악협회와 성남문화원의 개원에 참여 했으며, 한국무용협회 경기도지회 창립에 기여한 인물이다....
-
성남시민들이 성남에서만 맛볼 수 있는 지역음식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일반 가정에서나 외식업체에서 소비하는 음식을 가리킨다.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된 성남시는 경기도의 신생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지역민 사이에서 전승되어 오는 향토음식이 드물다. 그 대신에 성남시의 사회문화적 특색과 맞물려서 형성된 외식업이 성남의 향토음식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 중에서 남한산성 아...
-
경기도 성남 지역의 역사와 지리, 풍속, 산업 등을 조사 연구하여 기록한 책. 향토지는 지역 연구자의 애향심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문화와 역사를 조사, 연구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시, 군 향토지는 대체로 조선시대 읍지류의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서 초기의 읍지류 자료들은 지역 소개서의 성격이 강하였다. 이들 읍지류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여 편찬한 것과 도·군·현·면리 등을 단위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시도. 수정로가 끝나는 산성역 사거리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하여 서울~성남 시계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지방도 제308호선[현 지방도 제342호선]의 일부로 과거 ‘약진로’라 불렸으나 2002년 2월 성남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 때 ‘우남로’로 개칭되었고, 2009년 7월 10일 행정안전부 광역도로명 고시 때 다시 ‘헌릉로’로 개칭되었다. 현재 헌릉...
-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당시 낙생면 소재 험천에서 벌인 전투. 험천은 현재 분당구 구미동에서 탄천에 합류한 동막천을 말하는데, 예로부터 기우단이 있었던 곳이다. 조선시대 인조 14년(1636년) 병자호란 당시 약 12만명의 청 태종의 군대가 침략하자, 충청감사 정세규(鄭世䂓)가 임금을 구하기 위해 수천명의 군대를 이끌고 청군과 전투를 벌인 곳이다....
-
1945년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경기도 성남 지역의 역사. 1945년 광복 이후 미국과 소련의 분할 점령으로 인한 분단과 미군정, 6·25전쟁, 자본주의의 발전, 민주화운동 등 급변하는 역사 속에서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여 이제는 통일 시대를 대비하고 있고, 성남 지역은 광주군 성남출장소로 시작하여 서울시 성남출장소, 경기도 성남출장소, 성남시로 승격하였고, 분당신도시·판교신도시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종합 쇼핑몰. 현대백화점 판교점은 2015년 8월 21일 개점한 백화점이다. 판교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서울 광화문과 시청, 강남 등 도심을 잇는 광역버스가 연결되어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현도(顯道), 호는 세촌(細村)이다. 증조부는 이진(李進), 조부는 이권생(李權生)이며, 감무 이계상(李繼祥)의 아들이다, 김종직(金宗直)의 제자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차산(次山), 호는 현포(玄圃)이다. 이원필(李元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통(李通)이고, 아버지는 이경증(李景曾)이며, 어머니는 순화군(順和君) 이보(李𤣰)의 딸이다.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평산신씨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형부(亨夫)이고, 판관 한사무(韓士武)의 차남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형원(泂遠). 호는 교촌(郊寸)이다. 별좌 이사제(李思濟)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묘가 있던 조선 후기 무신. 이주철(李周喆)은 조선 후기에 활동한 무신으로 형조판서와 공조판서, 한성부판윤,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냈다....
-
여름에 어린이들을 호랑이와 나무꾼으로 나누어 노는 놀이. 호랑이와 나무꾼 팀 나누어 선 다음 나무꾼이 “나무를 할까?”라고 말하면 모두가 호랑이편으로 가서 나무하는 흉내를 낸다. 이 때 호랑이는 나무꾼을 잡아 호랑이집으로 데려가 가둔다. 갇힌 나무꾼을 호랑이 몇몇이 감시한다. 잡히지 않은 나무꾼이 갇혀 있는 나무꾼을 손으로 쳐주면 갇혀 있는 나무꾼은 다시 살아난다. 빠져 나오고 잡...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선조가 박동량에게 내린 녹훈 교서. 「박동량 호성공신교서」는 임진왜란 때 선조를 한양에서 의주까지 모신 박동량(朴東亮)[1569~1635]을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봉하고 내린 공신교서로 후대에 다시 복원한 것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근지(謹之). 호는 호암(湖庵)이다. 아버지는 한종호(韓宗浩)이다. 증조부는 한진명(韓晉明)이고 조부는 한경상(韓慶相), 외조부는 이도천(李道天), 처부는 오명삼(吳命三)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호연(浩然). 할아버지는 감찰(監察)과 한림(翰林)을 지낸 원맹강(元孟康)이며, 아버지는 원윤종(元胤宗)이다....
-
남녀가 혼인할 때 치르는 의례 과정. 혼례는 예나 지금이나 남녀가 부부가 되는 사회적인 의미를 지닌 의례이다. 전통적인 예법에 따르면, 친척이나 이웃을 통해서 중매가 이루어지고, 신랑 집에서 신랑의 생년월일과 태어난 시간이 적힌 사주단자(四柱單子)를 신부 집에 보내며, 이를 받은 신부 집에서 혼인날을 택일한다. 혼인 전에 신랑 집에서는 혼인서와 각종 물건이 든 납폐를 신부 집에 보...
-
혼례 때 입는 옷. 1960년대 이전까지 성남에 살았던 사람들은 대부분 혼례를 집에서 행했다. 따라서 오늘날 이른바 ‘전통혼례’라는 것을 자연스럽게 신부의 집에서 치렀다. 이때 신랑은 사모관대를 입었고, 신부는 원삼과 족두리를 걸쳤다. 이들 옷은 보통 마을에서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만약 혼인계가 있는 마을의 경우, 이 옷을 보관하면서 마을 규모에서 혼인을 도와주었...
-
남녀가 혼인하는 의식.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김씨의 사례. 1929년생, 1947년 혼인) 혼례식은 신부집 대청마루에서 했다. 신랑은 혼례식 당일 왔다. 이때 ‘함재비(함진애비)’가 따라 왔는데, 신랑댁 마을의 ‘광복씨’가 했다. 또 혼례식에는 혼주로 ‘우유샌님’이 따라 왔는데, ‘사촌 시아주버니’가 그 역할을 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홀트아동복지회 소속 기관.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에 의거, 아동 양육이 불가능한 친생부모를 상담하여 출산, 산후 조리, 아동의 입양문제 등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혼모가 정서적 안정을 회복하여 건강한 사회인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
조선 중기 성남 출신의 효자이자 문신 본관은 남양. 자는 사길(士吉)이고 홍준(洪準)의 아들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흠중(欽仲). 아버지는 판서 홍경림(洪景霖)이며, 어머니는 함양여씨(咸陽呂氏)이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
1976년 내무부에 근무하다 성남시청의 제3대 시장으로 취임한 인물. 홍석표는 1976년 7월에 내무부에 근무하다가 성남시청의 제3대 시장으로 취임하였다. 1977년 7월 19일에 강원도 기획관리실장으로 이임하여 성남시장으로 재직한 것은 1년 정도에 해당한다. 성남시에 재임하면서 문화 복지의 도시 건설을 시정 방침으로 정하여 업무를 추진하였다. 세부적인 추진 사업은 총력안보 강화,...
-
뜻밖에 일어날지도 모를 불운을 막기 위해 정월에 행하는 예방의례. 홍수맥이라고도 한다. 이는 예방 차원의 의례로서, 상가집에 다녀온 뒤에 찾아올 액운 등 일상생활에서 뜻밖에 찾아올지도 모를 가족의 액운을 막기 위한 것이다. 즉 이미 액운이나 불운이 찾아온 뒤에 행하는 의례가 아니라 예방의례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
뜻밖에 일어날지도 모를 불운을 막기 위해 정월에 행하는 예방의례. 홍수맥이라고도 한다. 이는 예방 차원의 의례로서, 상가집에 다녀온 뒤에 찾아올 액운 등 일상생활에서 뜻밖에 찾아올지도 모를 가족의 액운을 막기 위한 것이다. 즉 이미 액운이나 불운이 찾아온 뒤에 행하는 의례가 아니라 예방의례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양. 강화 출신. 호는 건초(建初).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인 홍익한(洪翼漢)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홍수원의 묘. 홍수원[1611~1637]은 인조대의 처사(處士)로 본관은 남양(南陽), 강화 출신이며, 자는 건초(建初)이다. 충청도관찰사 홍서주(洪叙疇)[1499~1546]의 현손이자 충정공(忠正公) 홍익한(洪翼漢)[1586~1637]의 아들이며, 현풍현감(玄風縣監) 이확(李穫)[1583~1658]의 사위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홍수원의 묘. 홍수원[1611~1637]은 인조대의 처사(處士)로 본관은 남양(南陽), 강화 출신이며, 자는 건초(建初)이다. 충청도관찰사 홍서주(洪叙疇)[1499~1546]의 현손이자 충정공(忠正公) 홍익한(洪翼漢)[1586~1637]의 아들이며, 현풍현감(玄風縣監) 이확(李穫)[1583~1658]의 사위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초명은 습.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보(花浦) 또는 운옹(雲翁)이다. 찬성을 지낸 남숙(南淑)의 현손으로, 진사 남이성(南以成)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김림(金琳)의 딸이다. 교위(校尉)인 큰아버지 남대성(南大成)에게 입양되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 자는 자유(子由). 승정원우승지 홍명형(洪命亨)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능성구씨이다....
-
수정구 상적동 저푸리에 세거하던 성씨. 홍천용씨는 용달성(龍達成)[1912년생]의 10대조 용의생(龍誼生) 때부터 세거하였다. 용의생의 장남 용호강(龍鎬康)[1660~1732]이 조봉대부 장례원정을 역임하였다....
-
쇠뿔을 이용하여 목질 세공품을 곱게 하는 장식 공예. 채색 그림이 은은하게 비쳐 보이며 부드럽고 고상한 장식적 효과를 나타내는 공예 방법이다. 화각(華角)은 솨뿔을 얇게 갈아 투명하게 만든 판을 말하며, 이러한 화각을 이용해서 공예품을 만드는 사람을 화각장이라 한다. 화각공예는 재료가 귀하고 공정이 까다로워 생산이 많지 않았으므로, 특수 귀족층들의 기호품이나 애장품으로 이용되었고...
-
쇠뿔을 이용하여 목질 세공품을 곱게 하는 장식하는 기술을 가진 장인. 쇠뿔 뒷면에 그림을 그리는 기법은 이미 통일신라시대에 거북이 등껍질을 갈아 공예품을 제작하고 있어 화각공예 기법의 연원이 된다. 이 기법이 조선시대에 들어와 쇠뿔을 이용하기 시작하여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서만 유일하게 발달한 독창적인 공예기법으로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근린공원. 화랑공원은 판교 신도시에 조성된 제8호 근린공원으로 판교 신도시의 대표적인 수체계(Blue-network) 공간 계획을 통한 친수가로경관으로 조성된 공원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초명은 습.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보(花浦) 또는 운옹(雲翁)이다. 찬성을 지낸 남숙(南淑)의 현손으로, 진사 남이성(南以成)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김림(金琳)의 딸이다. 교위(校尉)인 큰아버지 남대성(南大成)에게 입양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대한불교천태종 소속 사찰. 대한불교천태종 소속 사찰로, 1979년 2월 20일 대한불교천태종 총본산인 구인사(救仁寺)를 다녀온 16명 신도들의 모임에서 이룬 사찰이다. 1980년 1월 30일 초대 신도회장을 선임하고, 대한불교천태종 성남지회로 등록하였다....
-
같은 성(姓)을 가진 사람들이 친목을 위해 이루는 모임. 화수회의 어원은 하겸진(河謙鎭)[1870~1946]의 문집 『회봉집(晦峰集)』에 의하면, “옛날 위씨(韋氏) 일가가 꽃피는 나무 밑에서 모여 술을 마시고 친목을 도모하였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였다....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화중(和仲). 이곤(李坤)의 손자이자 이공승(李公升)의 아들이다. 김문서(金文瑞)의 사위이며,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광주김씨(光州金氏)이다. 경기도관찰사(觀察使)를 지낸 이홍로(李弘老)의 아버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환경 관련 시민 단체. 시민연대 환경365는 환경오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한 성남 시민들이, 단체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하고 깨끗한 도시, 맑은 환경 속에서 다 함께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고자 설립된 환경 관련 비영리 민간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환경오염의 감시나 행위 발견시 신고할 수 있도록 한 제도. 환경신문고란 환경오염행위를 단속하는 공무원의 인력, 시간적 한계로 인한 공백을 시민들이 참여 할 수 있는 곳으로 환경신문고의 신고대상으로는 자동차매연 및 공장굴뚝매연 등의 대기오염행위와 폐수무단방류 등 수질오염행위, 쓰레기 불법소각 및 불법투기행위, 유독물 유출사고 및 불법방치행위 등이다....
-
초등학교 때였다. 근데, 이래도 되나? 내 이야기가 이렇게 이렇게 두서없어도 되나? 괜찮겠지. 어차피 이것은 나의 구술일 뿐이니까. 혹시 내 구술이 책으로 나온들 누가 그것을 읽겠어. 그냥 이 구술은 심심풀일 뿐야. 편하게 편하게... 초등학교 때는 음악을 되게 좋아했다. 노래 부르는 것도 좋아하고, 방과 후에 학교에서 플루트를 배우기도 했다. 연말쯤에 있는 학교 학예회에서 플루트...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유생. 본관은 창원. 자는 계명(啓明)이고, 돈녕부도정 황세구(黃世耈)의 장남이다. 송문(宋炆)의 문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 자는 원로(元老)이고, 증 승정원좌승지 황형(黃泂)의 장남이다. 예천군수 황입중(黃立中)의 손자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살고 있는 황미숙이 이끌고 있는 무용 단체. 황미숙은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 대학원에서 현대 무용을 전공하였으며, 경희대학교 공연예술학과 무용 전공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실기 위주의 테크닉뿐 아니라 창작 무용과 현대 무용의 조류에 관한 다수의 논문 및 무용 요법에 대한 번역서를 출간 하는 등 탄탄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활발한 작품 활동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한국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체육공원. 황새울공원은 체육공원이자 근린공원으로 탄천 변을 따라 조성되어 있다. 아파트촌 사이에 확 트인 잔디 광장이 있고, 꽃과 나무들이 잘 어우러져 있어 탄천을 산책하며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봄이면 벚꽃이 만개하여 많은 사람이 찾는 곳이다. 공원 안에 퍼걸러, 의자, 야외 탁자, 정자 등의 휴식 시설을 갖추었고, 게이트볼장과 풋...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초림동과 백현동을 연결하는 보도교.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 상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준공한 다리로서 차량이 다니지 못하는 보도교이다. 총연장 147m, 교폭 105m로, 축조형식은 PC슬라브 방식이다. 예로부터 이 부근이 황새가 많이 날아왔던 곳이므로 ‘황새울들’이라고 불렀는데, 그 이름을 따서 황새울교라 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종합 체육시설. 황새울국민체육센터는 지역 체육시설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스포츠 공간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시도. 불정로 불정교삼거리에서 탄천 동편을 따라 정북 및 북동쪽으로 진행하다가 서현로 삼성생명분당중앙지점 한신아파트 삼거리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지금은 황새울로로 부른다. 총연장은 3.424㎞이며 도로 폭은 25m, 총면적은 6만 8,480㎡이다....
-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창원. 자는 자망(子望)이고, 좌승지 황윤구(黃胤耈)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 자는 군원(君原)이고, 황선(黃鏇)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 자는 정노(廷老)이고, 증 승정원좌승지 황형(黃泂)의 아들이며, 예천군수 황입중(黃立中)의 손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과 상대원동 일원에 있는 공원. 황송공원은 면적 390,731㎡의 근린 공원으로, 각종 운동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체육 시설을 마련하여 시민의 정서 함양은 물론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교통 교육장은 유소년에게 이론 교육과 병행한 현장 체험 학습 기회를 부여하여 교통 법규의 중요성과 질서 의식 확립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의 상대원1동과 금광동을 연결하는 터널. 황송터널은 남한산성의 동남쪽에 위치한 황송공원과 가까이에 있어 ‘황송터널’이라 하였다....
-
일제 강점기 경기도 성남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여성운동가. 황에스더는 1913년 비밀결사대 송죽회를 조직해 학생들과 항일 정신을 고취하고 군자금을 마련해 중국의 항일 단체를 지원했다.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나 ‘에스더’라는 세례명을 받았는데, 비슷한 한글 이름으로 황애덕(黃愛德)은 ‘황애시덕(黃愛施德)’이라고도 불렸다. 1892년(고종 29)에 태어나 1971년에 별세했다....
-
일제 강점기 경기도 성남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여성운동가. 황에스더는 1913년 비밀결사대 송죽회를 조직해 학생들과 항일 정신을 고취하고 군자금을 마련해 중국의 항일 단체를 지원했다.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나 ‘에스더’라는 세례명을 받았는데, 비슷한 한글 이름으로 황애덕(黃愛德)은 ‘황애시덕(黃愛施德)’이라고도 불렸다. 1892년(고종 29)에 태어나 1971년에 별세했다....
-
일제 강점기 경기도 성남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여성운동가. 황에스더는 1913년 비밀결사대 송죽회를 조직해 학생들과 항일 정신을 고취하고 군자금을 마련해 중국의 항일 단체를 지원했다.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나 ‘에스더’라는 세례명을 받았는데, 비슷한 한글 이름으로 황애덕(黃愛德)은 ‘황애시덕(黃愛施德)’이라고도 불렸다. 1892년(고종 29)에 태어나 1971년에 별세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 자는 몽여(夢汝)이고, 좌찬성 황일하(黃一夏)의 둘째 아들이며, 교하현감 황유후(黃有垕)의 동생이다....
-
조선 후기의 선비. 본관은 창원. 자는 운보(雲甫)이다. 좌찬성 황일하(黃一夏)의 셋째 아들이며, 현감 황유후(黃有垕)와 군수 황유목(黃有牧)의 동생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 자는 여상(汝相)이고, 좌찬성 황일하(黃一夏)의 장남이다. 김포군수 황유목(黃有牧)의 형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 아버지는 금성현령(錦城縣令) 황욱(黃##氵+勗##)이다. 아들 황복(黃鍢)은 진사, 황창(黃錩)은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황선(黃鏇)은 증 호조참판이며, 황선의 아들 황성하(黃聖河)는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창원. 자는 경명(景明)이다. 부총관 황채(黃寀)의 양자이며, 생부는 황동(黃東)이다. 증 호조참판 황유사(黃有師)의 손자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성남 수정구 사송동(현 시흥동) 출신이다. 자는 자우(子羽). 조부는 사계(沙溪) 문인이자 김천역 찰방을 지낸 황면(黃沔)이고, 증조부(曾祖父)는 예천군수를 역임한 황입중(黃立中)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 자는 자정(子正). 퇴계 문인인 황위(黃瑋)의 아들이다. 광주군 낙생면[현 성남시 삼평동]의 창원황씨 입향조로서 황제(黃濟), 황전(黃澱), 황형(黃泂) 등 7남 1여를 두었다. 1987년 천장(遷葬) 시에 그의 부인인 평양조씨가 미이라로 발견되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수보(秀甫). 감역(監役) 첨정(僉正)을 지낸 황도(黃鍍)의 4남이며, 어머니는 박상호(朴相皓)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동정(同正)을 지낸 황진구(黃盡耈)이다. 배위는 홍욱(洪煜)의 딸이다. 부사(府使)를 지낸 조카 황은(黃隱)을 양자로 맞아 들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한익(翰翼). 호는 안은당(安隱堂). 은일(隱逸)로 천거되어 교관(敎官)을 역임했던 황명구(黃命耈)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안몽주(安夢周)의 딸이다. 부인은 최계웅(崔繼雄)의 딸 전주최씨이다. 예천군수를 역임한 황입중(黃立中)의 증손자이고, 황동(黃洞)의 손자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현 시흥동) 출신이다. 자는 동로(東老). 사계(沙溪) 문인이자 김천역 찰방을 지낸 황면(黃沔)의 아들이고, 조부(祖父)는 예천군수를 역임한 황입중(黃立中)이다. 퇴계 문인으로 선조 13년 문과에 급제하여 평안병사를 지낸 황위(黃瑋)의 증손자이다. 도승지를 거쳐 좌찬성(左贊成; 종1품)에 올랐던 황일하(黃一夏...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창원(昌原).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현 시흥동) 출신이다. 자는 자공(子公). 아버지는 황유사(黃有師)이고, 어머니는 이상린(李尙隣)의 딸이다. 부인은 김류(金磂)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도승지를 거쳐 좌찬성(左贊成:종1품)에 올랐던 황일하(黃一夏)이고, 증조(曾祖)는 사계(沙溪) 문인이자 김천역 찰방을 지낸 황면(黃沔), 고조부(高祖父)는 예천...
-
조선 전기의 선비. 본관은 창원. 자는 여함(汝涵)이고, 예천군수 황입중(黃立中)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회경(晦卿)이다.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행돈령부도정(行敦寧府都正)을 지낸 이방협(李邦協)이고, 형으로는 이윤성(李潤成), 이윤영(李潤榮), 이윤신(李潤身) 등이 있고, 아우로는 이윤형(李潤衡)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 자는 응성(應聖), 호는 회원(檜圓)이다. 할아버지는 군수(郡守)를 지낸 윤극신(尹克新), 아버지는 홍문관 교리를 지낸 윤엽(尹曄)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성실’이며, 언행이 바르고 자율적인 사람, 질서를 지키고 사회에 공헌하는 사람,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사람, 심신을 연마하는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성실’이며, 언행이 바르고 자율적인 사람, 질서를 지키고 사회에 공헌하는 사람,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사람, 심신을 연마하는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부모를 잘 섬기는 아들. 효 또는 효도는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를 지배한 전통적인 규범으로서, 부모가 살아 계실 때 정성껏 모시는 것뿐만 아니라 돌아가신 뒤에도 극진히 제사를 모시는 것 등을 포함한다. 역사적으로 유교사상이 전래되면서 효도가 강조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통일신라 경덕왕 때 아버지가 굶어 죽게 되자 자신의 살을 베어내어 들게 한 충청도 공...
-
남한산성에 있는 효자정에 얽힌 전설 효자정은 남한산성 북문 안에 잇는 조그만 우물이다. 옛날에 북문 안 마을에 병든 아버지를 모시고 가난하게 살아가는 정남이란 소년이 살고 있었다.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한 정남은 자신의 능력으로 끼니를 이으며 아버지의 병환을 극진히 간호하였으나 제대로 약을 쓰지 못한 까닭으로 좀처럼 차도가 없었다....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여승(汝昇), 호는 죽창(竹窓). 윤시영(尹時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사랑 윤징(尹澄)이고, 아버지는 임천군수(林川郡守) 윤극신(尹克新)이며, 어머니는 동몽교관 남견손(南堅孫)의 딸이다. 이황(李滉), 기대승(奇大升)의 문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 자는 훈약(熏若)이다.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이다. 호조참판 남이신(南以信)의 증손이며, 병조참지 남두첨(南斗瞻)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경상감사를 지낸 남선이며, 어머니는 목사 권현(權晛)의 딸 안동권씨이다.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한 남연명(南衍明)의 아버지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흠중(欽仲). 한양 출신으로 효령대군 이보(李𥙷)의 후손이며, 예빈시별좌 이호(李浩)의 손자이다. 홍주현감 이언사(李彦師)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감역(監役) 희숙(希淑)의 딸이다. 배위는 원주변씨 사과(司果) 극성(克誠) 딸과, 광주김씨 김경태(金景泰)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흠중(欽仲). 아버지는 판서 홍경림(洪景霖)이며, 어머니는 함양여씨(咸陽呂氏)이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재실. 흥모재는 조선 중기의 문신 권득기(權得己)를 배향하는 재실이다. 권득기는 본관이 안동이고, 호는 만회(晩悔)이며, 조선 광해군 때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예조좌랑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이 인목대비를 폐위하는 등 정치가 어지러워지자 관직에서 물러나 여생을 은거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2동에 있는 공원. 희망대공원은 성남시의 도심 중앙 해발고도 133m의 독립 구릉 산지에 자리잡고 있어 활기차고 의욕 넘치는 성남시의 발전상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다. 또한 시 발전의 역사와 함께한 공원의 모습은 시민헌장비와 더불어 겸허한 시민상을 되새기게 하는 공간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회교육 시설이다. 경기성남교육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경기도에서 설립...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즐겁게 공부하는 어린이, 새로운 생각으로 탐구하는 어린이, 다양한 체험으로 생각을 넓히는 어린이,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키고, 소질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게 하며,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즐겁게 공부하는 어린이, 새로운 생각으로 탐구하는 어린이, 다양한 체험으로 생각을 넓히는 어린이,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키고, 소질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게 하며,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
-
경기도 성남시의 수정구와 중원구를 잇는 시도. 음촌로는 수정로 산성역포레스티아 삼거리에서 동남 방향으로 나누어져 둔천대로 대원터널 앞 사거리까지 연결된 도로였으나, 2011년 기존 대원로와 합쳐 희망로로 변경하여 명명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과 수정구 산성동을 잇는 구시가지 내부의 간선도로. 희망로는 성남시 구시가지 내부의 교통을 담당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중원구 도촌 사거리에서 수정구 산성동 삼거리까지 남북으로 이어진다. 희망로는 원래 두 개 노선이 합쳐진 도로이다. 산업공단 대원터널 앞 사거리에서 성남대로까지 이어진 대원로와 수정로에서 산업공단 대원터널까지 연결되는 음촌로가 따로 있었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이로(李潞)는 세도가에서 자신들의 선영에 투장(偸葬)한 것을 알면서도 그 후환부터 두려워한 문중 사람들과 달리 용기 있게 효도를 다하고 죽어서 고성 이씨 선영에 묻혔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희일(希一). 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한 정윤희(丁胤禧)의 셋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정형(鄭衡)의 딸이다. 조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증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희적(希迪). 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한 정윤희(丁胤禧)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정형(鄭衡)의 딸이다. 조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증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흥(驪興).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 사간(司諫) 민수(閔粹)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전적(典籍) 민구손(閔龜孫)이고, 어머니는 김효진(金效震)의 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