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의 금광동과 단대동, 상대원동, 신흥동, 은행동 등 옛 금광리, 단대리, 상대원리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금광·단대·상대원 마을지』는 상대원을 중심으로 신흥동, 산성동, 단대동, 양지동, 은행동, 금광동, 중동[현 중앙동] 등 8개 동을 중심으로 하여, 마을의 역사와 지명, 세거성씨, 지리적 환경, 문화유적, 주요 기관과 사회적 기능, 생활과 문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지역과 서판교 등 낙생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낙생은 복지 사회를 의미하는 영락장생(榮樂長生)을 의미하는 옛 광주군 낙생면 지역으로 최근 판교 택지 개발 사업을 하면서 고구려와 백제시대의 무덤과 구석기 문화유적이 발굴되어 오래 전부터 인류가 거주한 역사가 확인되는 지역이다. 도시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옛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여수동, 도촌동, 갈현동과 분당구 야탑동, 분당동, 서현동, 수내동, 정자동 등 옛 돌마면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돌마 지역은 중원구의 하대원동, 갈현동, 도촌동, 여수동, 분당구의 이매동, 야탑동, 서현동, 율동, 분당동, 수내동, 정자동 일대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소개한 것으로, 우리 고장의 역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복정·태평 지역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197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성남분당 지역은 1980년대 분당이 개발되고 2000년대 중반에는 판교 신도시가 들어서는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지역의 전통문화는 변모되거나 변절의 역사를 맞이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로 재구성한 책.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상대원이라는 공간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로 재구성한 책.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은행동이라는 공간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4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로 재구성한 책.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태평동이라는 공간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1동에 있는 성남문화원에서 판교 지역에 대한 역사와 현재 문화를 정리한 단행본. 성남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현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에서는 신도시 개발로 인해 사라지는 판교 지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삶의 모습과 현지 실태를 후손들에게 남겨 후대 판교 지역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판교마을의 생활·문화지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정리한 마을지. 성남문화원에서 판교동을 중심으로 판교의 개발 이전 상태의 자연환경, 역사, 생활과 문화, 실태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기록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 운영하고 있는 가천대역은 청량리 방면 복정역과 인천 방면 태평역 사이에 있다. 역과 인접한 곳에 경원대학교가 있어 ‘경원대역’이라고 이름 붙였으나, 이후 경원대학교가 가천대학교로 변경됨에 따라 2011년 12월 28일 분당선 기흥 연장 구간의 개통과 함께 ‘가천대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 있는 공동묘지.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과 성남시 분당구 갈현동을 연결하는 두개의 고갯길인 이배재와 갈마치고개로 연결되는 도로가 만나는 골짜기에 조성된 공원묘지로 현재 갈마공원묘지 입구에는 성남 제2공단과 성남 제3공단이 입주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공단로 반포산업 사거리에서 남서쪽으로 나뉘어져 중원구 갈현동에서 경충국도[국도 3호선] 및 지방도 389호선와 만나는 길이다. 왕복 포장 2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1.7㎞이며 도로 폭은 10m, 총면적은 17,000㎡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과 경기도 광주시 삼동을 연결하는 터널. 경충국도[옛 국도 3호선] 선상에 있는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과 광주시 경계를 지나는 터널이다. 광주시의 도시개발로 인하여 광주시 및 이천시에서 성남 지역으로 진입하는 교통량이 많으며, 지역 간 교통의 흐름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갈현동은 중원구의 최동단에 위치한 중원구 도촌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 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 아랫말, 웃말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갈마터널이 있는 3번국도와 갈마치고개를 지나는 389번 지방도를 통해 광주(廣州)시와 연결되어 있는 중원구 최동단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은 광주시 300컨트리클럽이 있는 광남동과, 서쪽과 남쪽은 하대원동 관할 법정동인 도촌동, 북쪽은 중원구 상대원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과거에...
-
경기도 성남과 여주를 잇는 간선철도. 2000년대 중반 이후 광주시 개발로 인구와 자동차가 늘어나면서 3번 국도의 교통 정체가 심해지자 건설 계획에 착수했다. 성남과 여주를 잇는 경강선은 3번 국도인 제2경인고속도로 여수대로나들목부터 광주원주고속도로의 초월나들목, 영동고속도로의 이천나들목를 잇는 도로의 혼잡을 해소하기 위한 대체 구간이다. 성남시 판교역부터 여주시 여주역을 잇는 경...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구서 인터체인지)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한남대교 남단에 이르는 고속도로. 연장 425.48㎞, 왕복 4~8차선 도로이다. 1960년대 정부는 제2차 경제개발계획의 성공적 추진과 당면 최대과제였던 육로수송체계의 개혁을 위해 국토를 종단하는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키로 하였다. 그리하여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전구간을 준공,...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 나들목과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 교차로를 잇는 주요 간선도로. 경충대로는 경기도 이천시, 여주시, 광주시, 성남시를 잇는 도로이다.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교차로에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여수사거리, 성남IC까지 이어지는 길이 70.7km, 왕복 4~6차로의 대로이다. 전 구간이 국도 제3호선의 일부였으며, 경충산업도로, 경충국도라고 불리기도 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고등동과 시흥동 사이 상적천을 가로지르는 대왕판교로에 설치된 다리. 다리가 놓인 행정구역 지역 명칭인 고등동을 인용하여 고등교라고 이름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행정동인 고등동은 법정동인 고등동, 상적동, 둔전동을 관할하고 있으며, 인근에 공군성남기지[성남비행장]가 있어 대부분 지역이 개발제한구역과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시흥동과 고등동 일대 고등공공주택지구 안에서 동서로 연결된 시도. 고등로는 고등공공주택지구 안에 신설한 도로이다. 고등공공주택지구 내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로지르는 도로로서, 대왕판교로 토끼마당삼거리 교차점에서 서쪽으로 청계산로 연내울 교차로까지 이어진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던 옛 행정구역. 1910년대까지 고등리는 크게 고산리(高山里)와 등자리(登子里)로 구분되었는데, 고산리는 안말, 웃말, 길아래, 주막거리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등자리는 인릉산 아래 지역을 말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관할에 있는 엣 지명. 인릉산(仁陵山)의 지맥을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등자리가 있었던 마을로서, 안말, 웃말, 길아래, 주막거리로 불린다. 안말과 웃말에는 덕수이씨가, 길아래말에는 경주정씨(慶州鄭氏)가 각각 살았었다. 그리고, 주막거리(새술막)은 덕수이씨(德水李氏)의 마을로 전하여지고 있으며, 새술막은 주막거리에 한국동란 이후 술집이 새로 생겨 붙여진...
-
근대 이전에 제작된 옛 지도. 고지도는 지도가 제작된 그 시대의 여러 상황이 반영되며, 만든 목적에 따라 지도에 실린 내용이 달라진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성남대로 모란시장 부근 동쪽 방향으로 분기하여 하대원동을 거쳐 상대원동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 있는 시민들의 보건·휴양·놀이를 위해 설치한 공원시설이나 공공녹지. 공원을 의미하는 파크(park)는 본래 영국에서 왕족과 귀족들이 독점하고 사용하던 수렵장이나 대정원으로서, 중세부터 19세기 중엽에 걸쳐 봉건제도의 붕괴와 함께 개방되어 퍼블릭 파크(public park)가 되었다. 현재는 퍼블릭(public)이라는 단어를 붙이지 않더라도 파크(park)만으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를 연결하는 시도. 공원로는 수정구와 중원구의 중심 주택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로 경충대로, 둔촌대로, 산성대로, 수정로 등과 차례로 교차한다. 공원로의 산성대로-수정로 구간은 수정구의 신흥2동과 신흥3동, 수정로-태평로 구간은 수정구의 신흥2동과 태평4동, 산성대로-둔촌대로 구간은 중원구 상대원동의 행정구역 경계가 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의 하대원동과 중앙동을 연결하는 터널. 공원터널은 분당구 야탑동 매화마을과 중원구 도촌동-수정·중원 본시가지-위례신도시를 연결하는 남북축 주요 간선도로인 공원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통정체 해소와 도심의 균형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1997년 9월 19일 착공하여 2001년 11월 30일 개통되면서 광명로에서 공단로까지 이어져 중앙동과 하대원동을 연결하게...
-
경기도 성남시의 풍경, 풍속, 문물, 사적 등을 구경하는 일. 관광은 독일어의 ‘프렘덴베키아(Fremdenverkehr)’, 영어의 ‘투어리즘(tourism)’ 또는 ‘투어리스트 무브먼트(tourist movement)’에 해당하는 말로 이들 모두는 외래자, 여행자의 이동을 의미한다. 원래 투어리즘은 사람들의 일시적인 이동을 의미하는 ‘투어(tour)’에서 파생한 말로 라틴어의 ‘...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광명로는 성남대로 모란삼거리에서 동동북(東東北) 방향으로 나뉘어져 황송길 금광삼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
경기도 광주시에 있었던 행정지명. 갑오경장 이후 새로운 행정제도 개편에 따라 이전의 전국 행정구역체제였던 팔도 및 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의 편제는 1895년(고종 32) 5월 26에 23부와 군, 즉 이원적으로 구성되게 되었다. 광주 역시 군으로 개칭되면서 한성부의 관할이 되었으며, 개편 다음해인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로 발표된 「지방제도관제봉급경비개정의 건」에 의...
-
1968년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일대에 조성된 일단의 주택 단지로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의 모체. 광주대단지는 서울시의 빈민가 정비 및 철거민 이주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위성 도시로 현 성남시의 모체가 되었다. 당시 서울시는 곳곳의 무허가 건물에 대한 억제책을 수립하면서 서울로 집중되는 인구와 도시 빈민들에 대한 분산책으로 1968년 5월 7일 건설부로부터 개발 인가를 받아 1969...
-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지역의 광주대단지 조성 과정과 신도시 개발의 역사. 광주대단지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벌어진 광주대단지사건은 경기도 성남시 탄생의 배경이 되었으며, 이후 분당, 판교신도시를 비롯하여 여수도촌지구와 위례지구 등의 신도시 역사를 이어 가고 있다....
-
고려시대에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525개의 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치된22개 역도 중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전국에 525개의 역이 있었으며 이들은 22역도에 연결되어 있었다. 이 중 8개 도는 개경 북쪽에 배치되었으며, 청교도(靑郊道)·춘주도(春州道)·평구도(平丘道)·명주도(溟州道)·광주도(廣州道)·충청주도(忠淸州道)·전공주도(全公州道)·승나주도(昇羅州都)·산남도(山南道)...
-
경기도 광주시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행정구역. 983년(고려 성종 2)에 지방관 설치를 통하여 중앙 행정의 지방세력에 대한 통제책의 일환으로 전국을 12개로 분할하여 대단위 행정구획화하는 지방제도 정비에 의하여 설치된 행정구역이다....
-
경기도 광주시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행정구역. 조선이 건국되면서 토착적인 지방 호족·향리의 사적 지배권을 박탈하여 수령의 지배아래 예속시킴으로써, 지방 세력을 약화시키고 행정사역인화시켜 중앙집권적 행정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지방편제에 의해 구획된 8도의 하급행정지역(부·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 중의 하나로서, 1504년(연산군 10) 이후 관읍이 혁파되기 도하고 부 또는 유수부로...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자동차, 기차 등을 이용해 사람이나 짐이 이동하는 행위. 교통은 사람이나 재화 등이 장소적으로 이동하는 행위를 말한다. 교통은 공간적 거리를 시간적, 경제적으로 가장 효율성 있게 이동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를 실현하려는 교통 수단의 발달은 지역 산업 발전은 물론, 주거 생활에도 획기적인 진보를 가져왔다. 교통 수단은 육상 교통, 수상 교통, 항공 교통으로 나눌...
-
도성 양재에서 해문역(남양)에 이르는 교통로. 양재→ 천천현로→낙생역→구흥(용인)→ 금영(용인)→ 좌찬(죽산)→ 분행(죽산)→ 무극(음죽)→강복(안성)→가천(양성)→청호(수원)→ 장족(수원)→ 동화(수원)→해문역(남양)에 위치했던 역 중의 하나이다. 낙생역지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 파악되고 있지 않지만, 현재 수내 제2동에 위치한 중앙공원 앞의 수내로와 돌마로가 갈라지는 분기점인 역...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구미공원은 탄천 변을 따라 공원이 자리하고 있어 탄천을 산책하며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공원 면적은 226,188㎡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구미동과 금곡동을 연결하는 다리. 구미교는 분당구와 이웃인 경기도 용인시 수지 지역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동쪽으로 흐르는 동막천이 성남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탄천에 유입하는 지점에 건설된 다리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구미동(九美洞)은 성남시 분당구의 최남단에 있다. 법정동인 구미동은 행정동인 구미1동과 구미동에서 나누어 관할하고 있다. 원래 이 지역에는 가운뎃구미[中九美], 뒷구미[後九美], 골안, 낭떨어지마을, 넘말, 머내[遠川], 벌말, 앞구미, 오리뜰, 잣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었으나 분당신도시 개발로 아파트 및 빌라촌 단지로 바뀌었다. 남쪽으로 용...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구미로는 지하철 수인분당선 오리역 및 성남농수산물유통센터 인근 성남대로에서 동쪽 방향으로 분기하는 길로, 탄천 오리교를 건너 구미동 지역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휘감은 후 다시 미금교를 넘어 금곡로에 이르는 도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시와 구의 최남단에 있는 지역으로서 정자동과 구미동에 걸쳐 있는 해발 312.9m의 불곡산 기슭 서쪽의 평탄면에 있다. 관내 서쪽에서 탄천이 남북으로 흐르며 분당구 금곡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쪽은 광주시 오포읍, 남쪽은 용인시 수지 지역[죽전지구], 북쪽은 분당구 금곡동 및 불정동과 접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과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경계 사이에 있는 국도. 국도 3호선[남해-초산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평안북도 초산군까지 연결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남북 간선도로로 성남시의 중앙부를 ‘ㄴ’ 자 모양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도로는 성남에서 크게 두 구간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남북 방향으로 진행되는 복정동-여수동 구간의 성남대로이며, 후자는 여수동 교차로에서 도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과 백궁동을 연결하는 다리.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개통한 다리로, 총연장 145m, 교폭 46m이며, 축조 형식은 중공PC슬라브 방식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구의 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금곡동에서 관할한다. 경부고속도로 성남톨게이트가 위치한 곳이다. 궁안[宮內]을 중심으로 웃말, 아랫말 등의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분당구 서남단에 있는 지역으로 경부고속도로 서울톨게이트가 있는 곳이다. 동쪽은 탄천을 경계로 분당구 정자동과, 서쪽은 분당구 운중동(대장동), 남쪽은 분당구 금곡동 및 동원동, 북쪽은 분당구 판교동(백현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지역에 있었던 지명. 조선 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무덤이 있었으므로 '궁안' 또는 '궁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돌마면의 정자동 일대를 병합하여 궁내리라 하여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다. 1975년에는 낙생출장소에 편입되어 금곡동의 관할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체육공원. 금곡공원은 탄천 변을 따라 조성되어 체육 활동이 가능하고, 탄천 변 길을 산책하며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도 있다. 성남도시개발공사에서 금곡공원 안에 금곡공원 국민체육센터를 건립하여 2024년 4월에 문을 열었는데, 시민들이 헬스, 배드민턴, 탁구, 수영 등 체육 활동을 하기 위해 많이 찾는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의 탄천을 가로지르는 정자로에 설치된 다리. 분당신도시 건설 때 탄천을 중심으로 서쪽 지역 정자1동과 동쪽 지역 정자2동을 연결하는 도로망 계획에 따라 정자로 탄천 구간에 금곡교를 설치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법정동인 금곡동은 궁내동과 함께 행정동인 금곡동 관할이다. 과거 이 지역은 샛터말[新基], 쇠골[金谷], 승주골[성주곡(姓主谷), 승지곡(承旨谷)]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분당신도시가 건설되면서 경부고속도로를 경계로 동편은 아파트 단지, 서쪽은 구릉성 산지 및 농경지 지역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지하철 수인분당선 미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도로명은 이 도로가 속한 금곡동 이름을 따서 명명하였다. 성남대로가 동막천과 만나는 북단 부근에서 동쪽 방향으로 분기한 도로로, 동막천 및 탄천변을 따라 구미동과 금곡동 일대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휘감은 후, 다시 성남대로를 지나 분당-장지간 도시고속화도로까지 이르는 도로이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3.283㎞, 도로 폭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금광동의 행정동은 금광1동과 금광2동이다. 주거 밀집 지역으로 신구대학교를 비롯하여 초·중·고등학교가 고루 분포하고 시장, 백화점, 공원 등이 가까운 거리에 있어 주거지로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시도(市道). 금상로는 음촌로 상대원 시장 앞 삼거리에서 북동쪽으로 나뉘어져 순환로 황송터널 입구까지 이르는 길이다. 성남시가 형성되면서 건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금토동은 수정구 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이 지역은 금현동, 바깥말(바깥골, 외둔토리, 바깥두리이골), 안골(안골, 안둔토리, 안두래이골)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이 산지이다. 행정동인 시흥동에서 관할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서쪽의 청계산 줄기가 흘러내린 수정구 최남단에 위치한 지역이다. 동쪽은 같은 시흥동 관할 법정동인 시흥동과 서쪽은 의왕시 청계동과 맞닿아 있으며, 남쪽은 분당구 운중동 및 판교동, 북쪽은 수정구 상적동과 접하고 있다. 이 지역은 금현동(金峴洞), 바깥말(바깥골, 외둔토리, 바깥두리이골) 및 안골(안골, 안둔토리, 안두래이골), 금...
-
경기도 성남시 백현동에 있는 근린공원. 나들이공원은 판교 신도시에 조성된 제9호 근린공원으로 삼평동의 봇들마을과 백현동의 백현마을을 나누는 경계이며 판교역 광장로에서 이매역 방향 분당~수서간 도시 고속화 도로 직전까지 조성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백현동에 있는 근린공원. 낙생대공원은 판교 신도시에 조성된 제10호 근린공원으로 분당구 백현유원지와 연결되어 있다....
-
1907년 경기도 성남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명칭. 조선시대 광주군 낙생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근대적인 행정 단위로서는 1907년 설치되어 돌마면, 대왕면, 중부면 일부의 6개리와 함께 성남 지역의 근간을 이루었다. 현재의 판교 신도시와 분당구 금곡동, 구미동 등 11개 법정동이 낙생면에 해당한다....
-
조선시대에 지금의 성남시 분당 지역에 설치되었던 역참(驛站). 역참(驛站)은 중앙과 지방 사이의 공문서 전달, 왕래하는 관리나 사신의 접대, 관수 물자의 운반을 뒷받침하기 위해 설치된 조선시대의 교통·통신 기관이다. 낙생역은 조선시대에 양재→천천현로→낙생역→구흥(용인)→김령(용인)→좌찬(죽산)→분행(죽산)→무극(음죽)→강복(안성)→가천(양성)→청호(수원)→장족(수원)→동화(수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유원지. 낙생유원지는 경기도의 성남시와 용인시의 행정 경계에 있는 낙생저수지 주변에 조성된 유원지로, 낙생저수지의 이름을 따서 ‘낙생유원지’라 명명하였다.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과 인접하여 고기리 저수지라고도 부른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위치하는 저수지. 낙생저수지는 1961년 준공한 분당 지역 최대 규모의 저수지이다. 용인시 고기동에 면하고 있어 고기리저수지라고도 불리며, 저수지의 제방 둑이 예전 낙생면 관내에 해당하여 낙생저수지라 명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성남대로 태평고개 사거리에서 동동북(東東北) 방향으로 나뉘어져 공원로 신흥동 성당 앞 삼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왕복 포장 2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1.3㎞, 도로 폭 15m, 총면적은 19,500㎡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위례신도시 남쪽에 있는 서울지하철 8호선 전철역. 남위례역은 2019년 12월 23일 착공하여 2021년 12월 18일 개통된 서울지하철 8호선 전철역이다. 위례신도시 개발 사업을 하면서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일환으로서 헌릉로와 공원로가 교차하는 창곡교차로 인근에 지상 역사로 건설되었다. 공사 비용은 위례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분담금에서 충당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에 있는 시립 식물원. 남한산성 우리꽃동산은 성남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성남시립식물원 중 하나로 다양한 식물과 야생화, 곤충류들이 서식하여 인근 학생들의 자연 교육 학습의 장과 더불어 시민들에게 자연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 하남시 경계에 있는 도립공원. 수리적으로 동경 127도 11분, 북위 37도 28분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약 24㎞ 떨어져 있다. 면적은 36.4㎢로 성남시에 4.2㎢, 하남시에 6.6㎢, 광주시에 25.6㎢ 속해 있다. 1971년 3월 17일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유원지. 남한산성유원지는 문화관광 벨트 조성 사업의 하나로 조성되어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맑은 공기로 등산, 삼림욕 등 체력 단련을 위한 휴식 공간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으며, 잔디 놀이마당에서는 전통 축제와 같은 각종 문화 행사가 다채롭게 열려 시민들에게 질 높은 문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지하철 8호선 역. 남한산성입구역은 1996년 11월 23일에 개통된 서울 지하철 8호선 전철역으로 산성역과 단대오거리역 사이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과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을 연결하는 터널. 내곡터널이 설치된 분당-내곡간 도시고속화도로는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수내사거리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의 구룡터널 교차로를 연결하는 도로이다. 1994년 개통된 이 도로는 총 연장 12.26㎞의 자동차전용도로이며, 도로 너비 29m, 왕복 6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울특별시 관할의 내곡터널과 구룡터널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했던 행정동. 내정동은 수내동에서 나누어진 동으로, 2000년 10월 18일 공포된 시 조례에 따라 수내2동으로 변경되었다. 관내 분당천이 동쪽에서 흘러와 서쪽의 수내1동으로 흘러 나가며, 동쪽은 분당동, 남쪽은 수내3동과 정자2동, 서쪽은 수내1동, 북쪽은 서현1동과 접한다. 이 지역에는 숲안, 아랫말, 웃말 등의 자연 마을이 있었으나 분당신도시 개발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분당구 중앙공원(초림삼거리)에서 능골공원을 거쳐 봉우재공원 아래 한국통신 및 주택전시관(계원삼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내정로(內亭路)라는 도로의 명칭은 이 도로가 속한 지역인 수내동과 정자동에서 1자씩 따서 명명되었다. 왕복 포장 6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1.934㎞이며, 도로 폭은 35m, 총면적은 69,690㎡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자연 마을. 판교(板橋)라는 이름은 ‘널다리’의 한자 표기이고, 널다리는 옛날 운중천의 하천 위에 널(판자)로 만든 다리를 놓고 건너 다닌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마을 일대는 예전 광주군 낙생면 소재지였으며, 3.1운동 당시에는 낙생, 돌마 지역을 관할하는 순사주재소가 위치하여 만세시위에 참가한 사람들이 이곳으로 끌려와 수난을 당하기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