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자연 마을.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쪽, 운중저수지 동쪽 일대의 마을이다. 조선 말 천주교인들이 조정의 박해를 피하여 숨어 살며 사기그릇을 구워 생활했으므로 사기막골이라 부른다고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동에 있는 근린공원. 사기 그릇을 구워 생활하였던 동네인 사기막골에 도자기를 굽는 전통 가마터와 전통 체험관, 정자 등 전통미를 가미하여 조성한 공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동에 있는 근린공원. 사기 그릇을 구워 생활하였던 동네인 사기막골에 도자기를 굽는 전통 가마터와 전통 체험관, 정자 등 전통미를 가미하여 조성한 공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동에 있는 근린공원. 사기 그릇을 구워 생활하였던 동네인 사기막골에 도자기를 굽는 전통 가마터와 전통 체험관, 정자 등 전통미를 가미하여 조성한 공원이다....
-
조선 중기 성남 출신의 효자이자 문신 본관은 남양. 자는 사길(士吉)이고 홍준(洪準)의 아들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길(士吉). 출신지는 한양. 할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낸 이돈(李墩)이며, 아버지는 이기보(李箕輔)이고, 어머니는 박원도(朴元度)의 딸이다. 부인은 조상우(趙相愚)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농아인협회 경기도협회 소속 지부. 농아인들의 재활 및 자립을 도모하고 완전한 사회 참여와 실현을 위해 설립된 사단법인 한국농아인협회의 성남지역 본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경기도지부 소속 지회.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경기도지부 성남지회는 성남시에 거주하는 3,500여 명의 시각 장애인들의 생산적 복지와 회원들의 권익, 복리 증진을 위해 조직된 복지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신장장애인연합회 경기협회 소속 지부. 만성 질환의 환자로만 여겨졌던 신장 장애인은 2000년부터 지속적인 치료와 재활을 통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장애인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사단법인 한국신장장애인연합회 경기협회 성남지부는 신장 장애인에 대한 국가의 의료비 지원부터 교육·취업 지원 등 신장 장애인들의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결성된 비영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소속 지회. 1990년 사단법인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성남시지회의 설립이후 성남시 장애인종합복지관을 위탁 운영하는 등 장애인 복지를 위해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달(士達), 호는 청련(靑蓮)이다. 한계희(韓繼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사신(韓士信)이고, 아버지는 도정 한석(韓碩)이며, 어머니는 윤지준(尹之峻)의 딸이다....
-
가족과 국가를 중심으로 하는 인륜(人倫) 공동체의 계승을 위해 선조와 성현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치르는 의례공간. 제사를 치르는 의례공간은, 가족 차원에서는 가묘(家廟), 국가 차원에서는 종묘(宗廟)가 있으며, 서원이나 향교를 비롯한 학문공동체나 지역사회에서도 제사를 드리는 의례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 전래된 주자학과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라 조...
-
지금 상대원은 본래의 느낌이 너무 없어졌다. 상대원은 이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낡은 도시의 한 지점에 불과하다. 지석태는 그것이 간혹 안타까움으로 다가섬을 느낀다. 안타까움은 그리움으로 전화된다. 그러면 그리움이란 우리의 삶에 무엇일까? 한낱 의고적 취향일 뿐일까? 상대원은 지석태에게는 또한 저만치 밀어두고 싶은, 묻어두고 싶은 장소이기도 하다. “예전에는 안 그랬거든요. 예전엔...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생활문화 동호회 연합체. 사랑방문화클럽은 성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생활문화 동호회의 네트워크로, 클럽 간 교류와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 공헌 활동과 성남생활문화동호회축제를 주관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문화 예술 동호회 및 문화 시설에서 통용되고 있는 지역 화폐. '넘실'이라는 지역 화폐를 매개로 하여 문화 서비스와 문화 재화를 교환하는 다자간 품앗이 제도로, 성남 지역의 공동체 의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지역 사회 구성원들 간의 긴밀한 유대 관계를 바탕으로, 문화를 통한 경제적인 나눔과 상생을 구현할 수 있는 ‘대안 경제 시스템’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생활문화 동호회 연합체. 사랑방문화클럽은 성남 지역에서 활동하는 생활문화 동호회의 네트워크로, 클럽 간 교류와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 공헌 활동과 성남생활문화동호회축제를 주관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사회 복지 단체. 사랑의손봉사단은 성남 지역 주부들이 “엄마의 손은 약손”이라는 옛말을 빌려 이 사회의 약손이 되어 외롭고 소외된 사회를 보듬고 사회복지를 위한 봉사를 하겠다는 뜻으로 설립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사렴(士廉)이고, 좌찬성 한계희(韓繼禧)의 넷째 아들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명(士明)이며, 호는 괴원(槐阮)이다. 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경석(李景奭)이며, 어머니는 전주유씨(柳氏)로 전라감사를 역임한 유색(柳穡)의 딸이다. 이경석의 독자(獨子)로 부인은 숙인(淑人) 보성오씨이며, 뒤에 숙인 기계유씨(兪氏)을 맞았다. 자녀는 보성오씨 사이에 2남 4녀를 두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경기 지역 교사들이 조직한 사물놀이 연구 단체. 사물놀이연구회울림터는 우리 소리를 사랑하는 일선 교육 현장의 교사 모임으로 서울지회, 성남지회, 안동지회 등 3개 지회로 구성되어 있다. 성남지회는 성남을 중심으로 경기 지역 교사 50여 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사물놀이 강습, 매년 2회의 대규모 연수 교육을 통해 우리 소리 보급에 힘쓰고 있다....
-
경기도 민요의 하나로 굿거리 장단에 의한 빠르고 경쾌한 노래. 근대의 사회현상과 관련하여 만들어진 신민요로, 한일합방 당시 우리 겨레가 지닌 울분을 토로한 데서 생겨났다. 본래의 사설에는 ‘사발’이란 말이 없고, 후에 생겨난 사설에 ‘사발’이란 노랫말이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에 기인하여 ‘사발가’라 지칭된 듯하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는 법에 의한 민사 및 형사 사건의 재판과 그에 관련되는 국가 작용. 재판과 관련된 국가 작용은 입법, 행정, 사법이라는 삼권분립 중 사법권의 형태로 행사되는데, 사법권의 행사는 구체적으로 법 집행을 전제로 한 사법 기관의 재판으로 시행된다. 사법 기관은 대법원을 비롯한 고등법원, 지방법원 등의 각급 법원과 그 관할에 속하는 국가 기관 즉 사법부를 뜻하나...
-
경기도 성남시의 분당구 야탑동과 수정구 사송동을 연결하는 다리. 사송교는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과 동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탄천으로 유입하는 여수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준공하였다. 총연장 130m, 교폭 31m, 축조 형식은 PC 슬라브 방식이다. 다리 이름은 사송동에서 유래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수정구 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인 사송동은 대부분 개발 제한 구역이어서 녹지가 많고 남쪽에는 탄천이 남북으로 흐른다. 농막(農幕)을 중심으로 동간, 듬박골, 벌말, 사촌(沙村), 샘골(泉谷), 솔고개(松峴洞), 집너머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졌다. 이 중 동간 마을 지역은 분당 지구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현재는 행정동인 시흥동 관할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추정 고인돌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은 국가에 속하는데 한반도에는 3만여 기가 분포한다. 고인돌은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북방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기반식(남방식), 지하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위치한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은 국가에 속하는데 한반도에는 3만여 기가 분포한다. 고인돌은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북방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기반식(남방식), 지하에 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양성이씨 묘역. 조선 초기에서 중기에 대대로 무반 가문을 이루었던 양성이씨의 묘역이다. 최상부에 이사치(李思恥)의 묘가 있고, 진도군수를 역임한 이몽(李蒙), 수군첨제사 이윤종(李潤終), 상호군 이양정(李養正), 선략장군 이운(李芸) 등의 묘가 순서대로 자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위치한 통일신라시대 및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1년 토지박물관의 지표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사송동 고인돌이 있는 구릉의 남동쪽 사면의 밭 경작지와 민묘군(民墓群) 주변 지역 일대에 분포한다. 경사면의 민묘 주변에서는 분청사기 조각과 백자 조각 등 자기류가 주로 채집되었으며, 편평한 경작지에서는 주로 도장무늬 토기류가 채집되었다. 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북쪽과 동남쪽으로 완만하게 뻗은 해발 65.8m의 나지막한 야산의 산줄기와 개간된 경작지에서 고려와 조선시대의 토기가 출토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송현마을에 있는 두 그루의 회화나무. 수령 300년의 노거수(老巨樹) 두 그루로 높이는 모두 10m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시립 식물원. 사송수목관찰원은 성남 시립 식물원 중 하나로 다양한 식물과 야생화, 곤충류들이 서식하여 인근 학생들의 자연 교육 학습의 장과 더불어 시민들에게 자연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수목 관리의 어려움과 각종 시설의 노후로 인하여 시민의 입장이 어려워 2021년부터 휴관 중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로(景老), 호는 사암(思菴)이다. 증 호조참판 정비(鄭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직(司直)을 지낸 정형운(鄭亨耘)이고, 아버지는 예문관대교 정전(鄭荃)이며, 어머니는 거창신씨(居昌愼氏)로 증 이조판서 신극정(愼克正)의 딸이다. 부인은 이인홍(李仁弘)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의령. 자는 사원(司遠). 계(啓)의 아들이다....
-
부처님오신날인 음력 4월 8일. ‘불탄일(佛誕日)’ 또는 ‘부처님 오신 날’이라고도 한다. 4월 초파일에는 절을 찾아 불공을 드리고 등을 단다. 연등은 가족 수대로 밝히는데, 등에는 가족의 이름과 생년을 표시한다. 그리고 탑돌이를 하며 소원을 빌기도 한다. 예전에는 절에 가면 구경거리가 많아 불교신자가 아니라도 절에 가는 주민이 많았다....
-
음력 정월 대보름날 행하는 탈놀이의 일종. 사자놀이는 나무, 대광주리, 또는 종이를 가지고 사자탈을 만들어 노는데, 하회(河回)에서는 주지놀음, 광주(廣州)에서는 사자놀음, 북청(北靑)에서는 사자놀음 등으로 불린다. 광복 8년 전까지만 해도 북청(北靑), 정평(定平), 종성(鐘城), 명천(明川), 회령(會寧), 경성(鏡城), 경흥(慶興), 고성(高城), 횡성(橫城), 순천(順川),...
-
무속의례에서 죽은 자를 저승으로 데려가는 저승사자. 진오귀굿의 한 거리에서 모셔지는 신격으로, ‘시왕사자’ 혹은 ‘사재삼성’이라고도 불려진다. 만신들에 의하면, ‘사자삼성’은 사자가 3인이라는 의미로, 일직(日直)사자, 월직(月直)사자, 청직(靑直)사자 또는 흑직(黑直)사자 세 사자를 가리키는 것이라고도 한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사장(士章)이다. 조부는 증 좌의정 이경민이고, 아버지는 이칭(李秤)이고, 어머니는 박지용(朴之鏞)의 딸이다. 부인은 남궁질(南宮膣)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정(士正). 사마시를 거쳐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의 큰아들으로, 어머니는 강덕윤(姜德胤)의 딸이다. 임란 중의 생활일기였던 『쇄미록(鎖尾錄)』을 남긴 오희문(吳希文)의 손자이고, 처부는 이경항(李景恒)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중(士仲). 사마시를 거쳐 산음현감을 지낸 월곡공(月谷公) 오윤함(吳允諴)의 다섯째 아들로, 어머니는 강덕윤(姜德胤)의 딸이다. 임란중의 생활일기였던『쇄미록(鎖尾錄)』을 남긴 오희문(吳希文)의 손자이다. 처부는 최종직(崔宗直)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중(士重). 선무랑 이석명(李錫命)의 둘째 아들로 이석구(李錫耈)에게 입양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물의 형태를 영구적으로 기록하고 표현하는 예술 활동. 우리나라의 사진 역사는 대략 1880년대부터 시작된다. 당시 외국 문물을 접할 수 있었던 역관이나 해외 시찰에 나섰던 사신들에 의해 사진에 대한 개념이 도입된 후 중국 상해와 일본 등지에서 사진기를 구입하여 사진관을 설립하고 초상 사진을 찍어주는 것이 초기의 모습이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사진작가 단체. 2012년 12월 갤러리 썬에서 사진여행그룹 창단 10주년 기념 ‘풍물기행 사진전’을 개최한 것을 계기로 이광용과 기성 사진 작가 및 신진 작가들이 함께 모여 사진여행작가회를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사진작가 단체. 2012년 12월 갤러리 썬에서 사진여행그룹 창단 10주년 기념 ‘풍물기행 사진전’을 개최한 것을 계기로 이광용과 기성 사진 작가 및 신진 작가들이 함께 모여 사진여행작가회를 설립하였다....
-
궁씨가 사진에 흥미를 갖게 된 것은 고등학교 시절부터였다. 흑백사진에 매료되어서 78년도부터 입문하게 되었다. 당시 서울 새나라백화점 7층에 있던 서울사진학원에서 배웠고, 우연치 않게 군 사진병 제도라는 것이 있다는 걸 알고 사진병으로 복무하기도 했다. “성남에서 을지로5가까지 다니는 570번 버스 있었죠. 상대원에서는 저쪽에서는 66번 있었고. 그 버스들 완전히 콩나물이었어. 이...
-
승려가 불상을 모셔놓고 불법을 수행하고 설하는 집. 절, 사원(寺院), 가람(伽藍), 정사(精舍)라고도 한다. 사찰은 인도에서 불교 발생 초기에 수행자들이 우기(雨期)를 피해 한 곳에 모여 공동생활을 한 전통에서 시작하였다. 이러한 전통을 안거(安居)라고 하는데, 이때 안거의 장소가 후대에 사찰로 발전하게 되었다....
-
승려가 불상을 모셔놓고 불법을 수행하고 설하는 집. 절, 사원(寺院), 가람(伽藍), 정사(精舍)라고도 한다. 사찰은 인도에서 불교 발생 초기에 수행자들이 우기(雨期)를 피해 한 곳에 모여 공동생활을 한 전통에서 시작하였다. 이러한 전통을 안거(安居)라고 하는데, 이때 안거의 장소가 후대에 사찰로 발전하게 되었다....
-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진주. 자는 사창(士昌). 유지발(柳之發)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수정구 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인 사송동은 대부분 개발 제한 구역이어서 녹지가 많고 남쪽에는 탄천이 남북으로 흐른다. 농막(農幕)을 중심으로 동간, 듬박골, 벌말, 사촌(沙村), 샘골(泉谷), 솔고개(松峴洞), 집너머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졌다. 이 중 동간 마을 지역은 분당 지구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현재는 행정동인 시흥동 관할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지명. 사촌리와 송현리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의 옛 지명이다. 송현리[솔고개] 남쪽에 위치한 사촌리는 전주이씨·의령남씨·평택임씨가 세거하였고, 크게 남쪽 웃말과 북쪽 아랫말로 구분되는데 웃말에는 주전소(鑄錢所)가 있었다. 송현리는 사촌리와 모랫말 사이에 위치한 마을로서 진전송씨·남양방씨·파주염씨·단양우씨 등이 세거하였으며, 수...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호(士豪). 아버지는 선무랑(宣務郞) 이석명(李錫命)이고, 어머니는 임효원(任孝遠)의 딸이다. 부인은 원진해(元振海)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는 정규 학교교육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 평생교육의 개념은 유네스코(UNESCO) 사무총장이던 랑그랑(P. Lengrand)이 1965년 프랑스어로 L’education Permanante[영어 Life-long Education]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면서 정착하였다. 일본은 ‘생애교육’이라 번역하고, 우리나라는 1973년 유네스코 한국...
-
국민의 생활 안정 및 교육, 직업, 의료 등의 보장을 포함하는 복지를 추구하기 위해 설립한 단체 사회복지는 현대사회의 구조적 소산인 사회제도의 하나이며, 생활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지향하는 것이다. 그것은 일반적인 사회보장을 그 주요한 구성 부분으로 하고 있는데, 그밖에 성립 사정과 사회적 기능 등에서 사회보장과 일부 또는 전부가 공통되는 여러 제도도 포함되어 있다. 좁은 뜻의 사회...
-
본향신 혹은 산신을 굿에 초대하는 무속의례의 한 거리. 성남을 포함한 경기도에서는 산거리 혹은 산신거리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주로 굿이 행해지는 그 지역에 소재한 산을 관장하는 산신 혹은 서낭신을 청하는 거리이다....
-
경기도 성남시의 남한산성이 있는 산지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으로 흘러가는 하천. 산성내는 하천의 발달이 미약한 남한산성이 있는 산지에서 유일하게 발원하는 하천으로,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광지원에서 번천으로 합류한다. 광주시 남한산성면 중부면 산성리에서 검복리를 지나 불당리로 이어지는 하천 유로는 침식곡의 형태를 띠며, 이 협곡을 따라 남한산성과 광지원을 연결하는...
-
경기도 성남시의 수정구와 중원구의 경계를 나누고 있는 시도. 중앙로는 성남대로의 모란사거리에서 동동북(東東北) 방향으로 분기하여 순환로의 남한산성유원지 입구까지 이르는 시도(市道)로서 현재는 산성대로로 명명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성남시 수정구 동북쪽에 있는 산성동은 단대동과 창곡동의 일부가 병합된 지역으로 남한산성 진입로인 남한산성로와 접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느티나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심전사(心田寺) 경내에 있는 수령 3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12m, 가슴높이 둘레 2.8m, 수관(樹冠) 폭 14.6m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수정로 교차점에서 남한산성으로 진입하는 도로 남한산성은 경기도 광주시의 행정구역이며, 성남시와 광주시에서는 남한산성로를 이용하고, 하남시에서는 학암로를 이용하여 산성까지 올라갈 수 있다. 과거에 산성로라는 도로는 현재 남한산성로로 명명되고 있으며, 성남시 구간은 수정구 산성동 수정로 교차점에서 광주시 남한산성면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
성남시민들의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매년 10월 남한산성 주변에서 개최하는 축제. 성남시민의 향토애 고취, 문화에 대한 질적 향상 도모, 문화적 인식 높이기 위해 역사의 무대였던 남한산성 이름을 차용하여 1986년부터 개최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지하철 8호선 역. 산성역은 서울특별시 강동구의 암사역에서 성남시 수정구 모란역을 잇는 지하철 8호선 구간 중 하나의 역으로 복정역과 남한산성입구역 사이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수정로 교차점에서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을 잇는 남한산성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 산성터널은 성남에서 남한산성 성곽을 관통하는 터널이다.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 닭죽촌민속마을에서 남한산성으로 올라가는 산성도로를 따라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까지 연결하는 남한산성로 구간에 설치되었다. 남한산성로는 성남에서 남한산성으로 올라가는 유일한 도로이며, 광주시와 연...
-
본향신 혹은 산신을 굿에 초대하는 무속의례의 한 거리. 성남을 포함한 경기도에서는 산거리 혹은 산신거리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주로 굿이 행해지는 그 지역에 소재한 산을 관장하는 산신 혹은 서낭신을 청하는 거리이다....
-
산신을 위한 의례를 행하기 위한 당. 산신각, 산제당 등으로도 불리는데, 산신을 구체화한 호랑이와 노인의 모습으로 묘사한 산신상을 봉안하거나, 이를 탱화(幀畵)로 도상화한 그림만을 모시기도 한다. 성남지역에서는 수정구 고등동 이외에는 특별히 산신당을 만든 곳은 없으며, 대체로 신목 앞에 터주가리를 만들어 놓는 정도이다....
-
마을의 주신인 산신에게 지내는 제사. 성남지역 마을공동체 제의의 성격은 ‘마을 대동으로 이루어지는 산제사’로서, 이를 통해 성남지역 마을신앙의 주요 대상이 산신계통의 신임을 알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시도. 산운로는 분당구 운중동의 산운1단지월든힐스에서 판교로 성내미터널 입구까지 서판교의 북쪽 주거지를 가로지르는 도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었던 옛 지명.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낙생면 뫼운리 지역으로 웃뫼운리와 아래뫼운리로 나뉘었다. 웃뫼운리[상산운리]는 국사봉 밑에서 청계산 아래까지 이어지는 마을로 안동김씨가 세거하였고, 자연마을인 중간말[중산운리], 점말, 백당골, 안골 마을과 함께 지금의 운중동이 되었다. 아래뫼운리는 두밀리와 함께 지금의 하산운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큰 꿈을 품고 나날이 발전하고 성장하여 사회의 훌륭한 인재가 되자는 의미로 ‘날로 새로워라’이다. 비전은 ‘배움과 존중으로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이다.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자주인], 소통과 공감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세계인], 꿈을 키우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문화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큰 꿈을 품고 나날이 발전하고 성장하여 사회의 훌륭한 인재가 되자는 의미로 ‘날로 새로워라’이다. 비전은 ‘배움과 존중으로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이다.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자주인], 소통과 공감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세계인], 꿈을 키우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문화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교회. 해고와 고발 및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지역 공단 노동자들의 노동 환경 개선과 생존권 보장이 절실한 환경에서 그들의 인권 보호와 노동조합 설립 지원, 그리고 노동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주위의 낮고 편평한 지형 면보다 높은 해발고도에 있으며 기복이 많은 지표부. 성남시의 산지는 광주산맥(廣州山脈)의 지맥인 검단산(黔丹山)의 줄기가 남한산성으로 이어지는 동쪽의 산지와 청계산(淸溪山)의 여맥이 남북으로 거의 평행선을 이루면서 이어지는 서쪽의 산지로 크게 구분된다. 동쪽과 서쪽의 산지가 분지 형태의 성남시를 둘러싸고 있으며 행정구역상 성남시의 경계를...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마을 앞에 있는 구릉성 산지. 산진막산은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마을의 앞산에 해당하며, 해발고도는 146m이다. 이곳에서는 매년 음력 10월 1일 고등동 등자리 산신제를 지낸다. 산제당이 있어 이곳에 산신령을 화본으로 모셔 놓은 상태이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
백씨는 남편을 만나 혼인신고를 하기 위해 호적을 정리하면서 생모가 살아있다는 사실을 다시 알게 되었다. 생모가 따로 있다는 것을 알고 난 이후에도 줄곧 돌아가셨다는 이야기를 들어 왔기 때문에, 생모가 살아있다는 사실은 또 한 번의 충격이었다. 집에서는 생모의 행방을 끝내 알려주지 않았다. 경찰서에 생모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부탁해 보았지만, 서민의 아픔을 하나 하나 어루만지기에...
-
언제부턴가 상대원1동 쪽에 공장들이 많이 들어섰다. 공장에서는 서울서 온 철거민들이 일을 했다. 젊은 사람들부터 아저씨 아줌마들까지 상대원 공장으로 일을 다녔다. 뿐만 아니라 지방에서 올라온 총각 처녀들도 상당히 많았다. 그들 모두에게 인근의 상대원시장은 삶의 거점과 같은 곳이었다. 쉬는 날이 오면 상대원시장통에는 총각 처녀들로 넘쳐났다. “일요일 날 보면은 그 젊은 청년들이 아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관할의 옛 지명. 옛날 주막집들이 즐비하게 늘어져 있었다는 삼평동 279번지와 283번지 일대의 마을이다. 동쪽의 보평[봇들마을]과 함께 지금의 삼평동을 구성하였으며, 삼가리(三街里)·고운골이라고도 불렸다. 동서로 각각 대왕판교로와 경부고속도로가 연결되면서 사통팔달의 요충지가 되었다....
-
조선시대 광주군 세촌면(細村面)에 있었던 주점. 광주부로부터 남쪽으로 15리, 경안(慶安)의 막감점(暯甘店)으로부터 10리 거리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오늘날의 판교읍내가 이곳에 해당된다. 주점(酒店)은 술과 밥을 팔면서 나그네 및 상인들을 숙박시키던 집으로 주막(酒幕) 또는 점막(店幕)이라고 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동망(東望)이고, 호는 국당(菊堂) 또는 삼당(三堂)이다. 정휴복(鄭休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호(鄭灝)이고, 아버지는 이조좌랑 정양우(鄭良佑)이며, 어머니는 홍백순(洪百順)의 딸이다. 부인은 우의정 강석기(姜碩期)의 딸이다. 숙부는 정양필(鄭良弼)이다....
-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 세 번의 절기. ‘삼복(三伏)’이라고 하여 하지(夏至)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을 초복(初伏), 네 번째 경일을 중복(中伏), 입추(立秋)로부터 첫 번째 경일을 말복(末伏)이라 한다. ‘삼복더위’란 말이 있듯이 이 기간은 가장 더운 여름 시기이다. 여름철에는 일을 많이 하므로 땀을 많이 흘려 몸이 허해지기 때문에 복날에는 건강을 위해 특별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종합 쇼핑몰. AK플라자는 삼성플라자를 애경그룹이 2007년 3월 인수하여 새로 개장한 백화점이다. 수인분당선 서현역과 바로 연결되어 있고, AK플라자 광장을 중심으로 상권이 밀집하여 분당 로데오거리라 불린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장학 재단. 삼송장학회는 성남을 대표하는 기업인 삼영전자공업과 성남전자공업에서 출연하여 운영하고 있는 장학회로서 사회 일반의 이익에 공여하기 위하여「공익 법인의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유능한 인재 양성을 위하여 장학사업을 실시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가신(家神)의 하나로, 출산과 육아, 그리고 산모의 건강까지를 담당하는 신. 일반적으로 산신(産神) 또는 삼신할머니라고 불리며, 흰색 저고리와 치마를 입고 흰 머리를 한 인자한 할머니 모습의 여신으로 상징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제조업체. 삼영전자공업은 전자 부품[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전기 이중층 콘덴서, 센서 제조, 도매 제품 등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로, 1972년 본사 및 공장을 성남시로 이전한 후 1976년 12월 28일 코스피에 상장하였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대한 독립을 목적으로 일어난 만세 시위 운동.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 대한 독립을 목적으로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일어난 거족적인 만세 시위로서, 경기도 광주군 일대[현 성남 지역 포함]에서는 4월까지 만세 시위가 전개되었다....
-
삼재를 막기 위한 의례행위. 삼재는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또는 병난(兵難), 역질(疫疾), 기근 등 세 가지를 말하는 것으로, 12간지(干支)로 따져서 9년에 한 번씩 3년 동안 액운이 들어온다고 믿어지고 있다. 성남에서 활동하는 만신 여윤정에 의하면, 무속의례에서는 ‘삼재풀이’라 부른다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개최되는 문화행사. 통비석 전면 삼족오(三足烏)의 전통적 고비(古碑) 문양을 지닌 연°성군 이곤의 판교동 묘소가 지닌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홍보하고 성남시 향토유적 제6호로 지정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성남문화원이 주최하고 판교문화보존회에서 주관하여 2004년 10월 24일에 낙생초등학교에서 제1회 연성군 서예 휘호대회(延城君 書藝 揮毫大會)를 개최하게...
-
음력 3월 3일에 지내는 명절. 삼짇날은 ‘제비가 오는 날’이라 하여 길하게 여겼으며, 상사일(上巳日), 중삼(重三), 답청절(踏靑節)이라고도 한다. 이 날 흰나비를 보면 상제가 되고 호랑나비를 보면 길하다고 하는데, 흰 나비를 보았을 때 액운을 막는 방법은 없다고 한다. 또한 벌과 같은 날짐승을 보면 그해는 몸이 가볍다는 말이 있다. 이 같은 속신 외에 삼짇날은 별다른 풍속이 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판교고등학교는 바른 인성을 갖춘 강한 인재, 창의 융합적인 실력을 갖춘 인재,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인재, 바르고 생각하고 협업하는 인재를 키우는 데 주력한다. 교육 방향은 참여와 배려 속에 성장하는 행복한 판교이다. 교육 목표는 지성을 갖추고 더불어 함께하며 꿈을 이루는 창의 융합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정직, 창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다리.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청계산 산지에서 발원하여 탄천으로 흘러들어가는 금토천 상에 건설된 다리이다. 1983년에 준공되었는데, 총연장 45m, 교폭 6m, 축조 형식은 RC슬라브 방식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삼평동은 분당구의 북쪽 중앙에 자리한 지역으로, 판교택지개발지구에 포함되어 편리한 교통과 쾌적한 환경 및 IT, BT, CT 등 최첨단 기술 개발을 통해 수출로 자급자족을 이룰 수 있는 66만 1915㎡[20만 평]의 판교테크노밸리 1,306개 사의 기업체와 봇들공원, 화랑공원으로 이루어져 있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자연환경이 갖추어져 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선돌. 삼평동 선돌은 성남시에서 부분적이고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던 문화유산 조사 결과를 종합·정리하여 향후 국토 이용 계획과 도시 계획 수립하고, 각종 산업 시설, 택지 개발, 사회 간접 시설 확충에 따른 개발 사업으로부터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2001년 토지박물관에서 수행한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조선시대 옹기 가마 터. 마을 주민들에 따르면, 수십 명의 일꾼들이 옹기를 굽던 곳으로 '동이점'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뚜렷한 가마터 흔적은 보이지 않지만 곳곳에서 옹기 파편 등이 확인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위치한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통일신라시대 및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2001년 실시한 토지박물관의 문화유적 지표 조사를 통해 발굴된 삼평동 유물산포지 1 지역과 2002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지표 조사를 통해 발굴된 삼평동 유물산포지 4 지역의 지역적 분포가 유사하여 두 지역을 통합한 산포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삼국시대, 고려 및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2001년 실시한 토지박물관의 문화유적 지표 조사를 통해 발굴된 삼평동 유물산포지 두 지역과 2002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지표 조사를 통해 발굴된 삼평동 유물산포지 세 지역의 지역적 분포가 유사하여 두 지역을 통합한 산포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위치한 고려와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삼평동 산73번지와 246번지 일대에 분포한다. 당시 지표조사 결과 유적의 시기와 입지 및 분포 범위가 인접한 삼평동 유물산포지1과 유물산포지6을 통합한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고려와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삼평동 527번지 일대에 분포한다. 당시 지표 조사 결과 유적의 분포 범위가 인접한 산포지 2와 삼평동 분묘군을 통합한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삼평동 462번지 일대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삼국시대와 고려 및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 삼평동 212-2번지와 192번지 일대에 분포한다. 당시 지표조사 결과 유적의 시기와 입지 및 분포 범위가 인접한 산포지7과 산포지9를 통합한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및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삼평동 산12번지 일대의 해발 108.8m 산 정상에 조성된 근린체육공원 지역에 분포한다. 2002년 지표 조사 당시 산포지8에 해당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삼거리와 보평리를 병합하여 삼평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3년 낙생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91년 분당구 삼평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널리 배우고 바르게 실천하자’이며, 어려움을 극복하고 스스로 당당히 일궈 나가는 자주인, 바른 인성을 갖추고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민주인,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며 실력 향상에 정진하는 실력인, 소질 계발과 창의적 탐구로 자아실현을 주도하는 창조인, 건강한 심신으로 긍정적이고 즐겁게 생활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널리 배우고 바르게 실천하자’이며, 어려움을 극복하고 스스로 당당히 일궈 나가는 자주인, 바른 인성을 갖추고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민주인,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며 실력 향상에 정진하는 실력인, 소질 계발과 창의적 탐구로 자아실현을 주도하는 창조인, 건강한 심신으로 긍정적이고 즐겁게 생활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
병자호란 당시 척화파로서 청의 요구에 강하게 척화소(斥和疏)를 올린 세 사람의 학사. 홍익한(洪翼漢)[1586~1637], 윤집(尹集)[1606~1637], 오달제(吳達濟)[1609~1637]를 말한다. 1671년(현종 12) 송시열이 지은 『삼학사전(三學士傳)』에서 이들을 ‘삼학사’라 불러 그 이름으로 전하게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상공인 경제 단체. 상공회의소는 글로벌 경제 단체로 프랑스에 본부를 둔 국제상업회의소[ICC]를 중심으로 전 세계 132개국 주요 도시에 설립된 세계 최대의 국제 민간 경제 기구이다. 상공업의 개선, 발전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성장 및 국제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국내 경제계를 대표하는 상공회의소는 1884년 설립된 대한상...
-
궁씨는 3학년까지 성남초등학교를 다녔다. 성남 상대원을 비롯해서, 단대리, 수진리, 탄리, 그리고 모란에서도 다니는 친구들이 있었다. 학교 가는 길은 그야말로 고개 넘고 물을 건너는 험한 길이었다. 황서고개와 박석고개를 넘어야 하는 학교길은 겨울엔 너무 추웠고, 날씨 좋은 날엔 가끔씩 출몰하는 문둥이 때문에 무시무시하기만 했다. 문둥이는 가끔씩 고갯길 이곳저곳에 나타나 등교하거나...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 보통골에서 행해졌던 마을 도당굿. 도당(都堂)은 경기도 지방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고 제사하는 당 또는 단을 뜻하며, 일반적 동제(洞祭)와는 달리 무당이 주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대원 보통골에서는 남원양씨와 온양방씨의 두 성씨가 살면서 공동으로 제비를 모아 도당굿을 행하였다....
-
상대원 사람들 이야기는 성남시 상대원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이야기북)로 재구성한 것으로,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라틴 아메리카의 작가 마르케스가 자신의 자서전에 쓰고 있듯이, “삶은 한 사람이 살았던 것 그 자체가 아니라, 현재 그 사람이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기억을 어떻게 이야기...
-
궁씨가 3년간 사진병 복무를 마치고 성남으로 돌아왔을 때, 성남에는 비디오 붐이 일었다. 결혼식, 회갑잔치 때 한 30~40분 찍어 편집해 주면 15원만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그것도 오래가지 못했다. 금새 경쟁업체들이 생겨나면서 가격은 7~8만원 대로 떨어졌다. 그 후로 얼마동안 궁씨는 주중에는 전자제품 대리점을 하는 형님 가게에서 일하고, 주말에는 결혼식장에서 결혼식 사진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과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가연성 폐기물 소각 처리장. 1970년대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상품의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이루어지자 정부는 그 과정에서 배출되는 대량의 쓰레기를 매립하는 방식으로 처리해 왔다. 현재까지도 쓰레기 처리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매립은 땅값 상승과 악취,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와 토양의 오염 원인으로 지목되었고, 매립장의 확보는...
-
집에서 학교까지는 고작 5분 거리, 엎어지면 코 닿을 데였다. 그런데도 나는 부산스럽게 준비를 하고 집을 나서서 학교를 향해 걸음을 재촉했다. 혹시 지각할까 늘 걱정스러웠다. 그런데도 간혹 지각을 했다. 그때마다 심한 벌을 받았는데, 엎드려뻗쳐서 2-30분씩 버텨내는 벌이 많았다. 누구나처럼 나는 학교에서 칭찬도 받고 벌도 받았다. 변호사를 꿈꾸기도 하고, 기자를 꿈꾸기도 하고,...
-
원다방은 한 20평이나 25평 정도 되는 다방이었다. 테이블은 15개 정도 놓여 있었고, 그처럼 선보러 나온 사람들도 자주 볼 수 있던 곳이었다. 같은 교회 다니던 권사님 한분도 원다방에서 선을 봐서 결혼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1990년 초만 해도 사람들은 만남의 장소로 다방을 주로 이용했었다. “당시에는 만날 장소가 성남 쪽에서는 특별한 장소가 없으니까 원다방이라든가 돌고래다방...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로 재구성한 책.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상대원이라는 공간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
“상대원 재개발에 대해서 은근히 집에서도 기대를 하는 것 같아요. 확실한 어떤 정보를 가지고 기대하는 건 아니겠지만 그래도 여기 사는 사람들에겐 큰 관심거리죠. 재개발하면 과연 우리집은 어떻게 비싸게 팔릴까. 우리는 어떤 이익을 받을까. 그런 기대요. 여기 사람들은 재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너저분한 느낌을 많이 받잖아요. 요즘은 건물들이 다 많이 올라가 있는데 여긴...
-
나는 아직 흔들리는 중이다. 그렇지만 나에겐 꿈이 남아 있다. “청소년들을 되게 좋아해요. 아이들을 가르치고 아이들하고 대화를 나눈다거나 얘기를 나누는 게 되게 기뻐요. 기쁘고 편하고 말이 너무 잘 통하고 그리고 아이들의 삶에 좋은 발전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건 되게 보람을 많이 느끼고 그게 기쁘고 삶의 즐거움이거든요. 그래서 계속해서 교직을 도전을 해서, 교직 임용고시를 봐서...
-
여덟 살 때 다시 성남으로 돌아오기 전, 우리 가족은 이천 쪽에서 살았다. 아빠는 제조업 분야에서 일했다. 라켓을 만들던 한일라켓, 구두를 만들던 에스콰이어 공장에서 근무하였다. 이천은 아빠의 일터가 있던 곳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친구들과 들로 물로 돌아다니던 이천이 그립기도 하다. 그후 성남으로 다시 돌아온 우리 가족은 금광2동에 자리를 잡았다. 경사가 심한 골목에서 뛰노는 아이...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상대원교회는 대한예수교장로회(契神側) 소속의 교회로 1971년 1월 광주대단지 조성사업이 한창일 때 인태교 목사가 상대원2동 산장여인숙 옆에 천막을 치고 창립예배를 드리면서 시작되었다. 첫 번째 교회 부지는 66㎡[20평]에 불과했으나 점차 주변 지역을 매입하여 1971년 6월 122㎡[37평]의 예배당을 신축하였다...
-
궁씨의 눈에는 상대원의 변화가 늘 안타깝다. 상대원이 자꾸 죽어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뒷걸음질하는 상대원을 다시 활기찬 동네로 만드는 방법들이 그리 멀리 있는 것 같지는 않은데 마음처럼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상대원3동 자치센터 위원장을 맡고 있으면서 머리 속으로는 여러 가지 궁리를 해 보기도 했다. 우선 상대원에도 지하철이 필요해. 상대원을 지나는 버스가 아무리 늘어도 지하...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상대원동은 중원구 남단에 자리 잡은 법정동으로 행정동은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이다. 검단산 줄기 남쪽 구릉지를 차지하여 지대가 높고 기복이 심하다. 1970년대 광주대단지 조성 당시 성남 이주 철거민 고용을 위해 조성된 성남산업단지 제2공단, 성남산업단지 제3공단이 상대원동에 준공되면서 초기 성남 지역의 산업을 이끌었고, 상대원시...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백자 가마 터. 상대원동 백자가마터는 발굴된 자기의 바닥굽이 대나무 마디가 튀어나온 것처럼 생긴 죽절굽(대마디굽)인 점과 색조 등으로 미루어 임진왜란 이전에 조성된 가마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상수리나무. 수령 5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20m, 가슴높이의 둘레 1.12m, 수관(樹冠) 너비 25m이다. 상대원동 보통골의 숲이 울창한 산지의 경사가 시작되는 곳에 있어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이곳에 2그루의 상수리나무가 있는데, 보호수로 지정된 것은 오른쪽 나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1년 토지박물관에서 수행한 지표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상대원동 116번지 일대에 분포한다....
-
사진 작업을 하면서 궁씨는 상대원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처음에 철거민들이 이주해 와서 천막치고 살던 69년, 70년부터 상대원은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처음 상대원동은 찌들은 인생들의 집합소였다. 삶은 어렵고 구차했었다. “옛날에 지금 공단이 2공단 3공단으로 돼 있거든요. 그런데 3공단 쪽이 늦게 생겨가지고 그 당시에 철거민들이 땅을 준 걸 팔고, 제가 어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세촌면 지역으로 대야원[하대원동] 위쪽이 되므로 웃대원 또는 상대원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보통골, 중간말과 군내면의 사기막골을 병합하여 상대원리라 하여 중부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면서 상대원동이 되었고, 1989년 중원구에 편입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성남지구 소속 성당. 1976년 성남성당[현 수진동성당]에서 단대동성당이 분리 설정되고 상대원동 지역이 단대동성당에 소속된 뒤 급속하게 늘어나는 교세로 인하여 성남 지역에 새로운 본당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천주교 수원교구는 1978년 2월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1979년 6월 30일 성남 지역 세 번째...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근린 상권형 시장. 상대원시장은 1970년대 조성된 상대원 지역 공단에 노동자들이 몰리면서 번성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 지역 공단들의 이전과 대규모 할인마트 등장 등으로 쇠퇴하기 시작한 소규모 근린 상권형 시장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었던 라디오 방송국. 성남문화재단은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2006년 태평4동에서 진행된 골목길형 프로젝트인 ‘동락태평’, 2007년 은행주공아파트에서 진행된 아파트형 프로젝트 ‘풀장환상’에 이어 2008년 상가와 시장형 프로젝트 ‘원다방 사랑방 신나는 상대원시장’을 추진하였다....
-
상대원시장은 상대원공단과 지역적으로만 붙어 있는 것이 아니다. 궁씨는 상대원시장이 다시 살아나기 위해서는 공단의 인력을 시장으로 끌어들여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 주민 자치센터 위원장이 되면서부터는 그런 생각이 보다 분명하고 확고해졌다. 그래서 기회만 생기면 이런 생각을 말해 왔다. 오늘도 궁씨는 혹시 할 말을 빠뜨리지 않았나 걱정이다. “아 내가 한 마디 덜한 게 하나 있다. 지금...
-
상대원시장은 밥솥 같이 오목한 지형에 자리잡고 있다. 물을 부으면 물이 모이듯 재화가 그득하게 쌓일 장소이다. 시장 사람들은 오랫 동안 그 터에서 삶을 이어왔다. 웃는 날도 많았고, 힘들고 치열했던 날들도 있었다. 한때는 전대에 돈이 넘쳐나도록 장사가 잘 되던 때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대형마트와 재래 점포가 분리되어 서로 소통하지 못하면서 시장 기능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구조적...
-
염씨는 성수시장에 가게를 열고, 순박한 시골 아가씨와 중매로 결혼도 했다. 하지만 장사는 하면 할수록 힘들었다. 가진 자본이 얼마 없는 것도 없는 거지만, 성격이 너무 고지식한 탓도 컸다. 장사를 하다 보면 물건을 외상으로 들여놓아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염씨는 도무지 그걸 하지 못했다. 그래서 가진 돈이 없으면 필요한 물건도 제때 확보하지 못했다. 그렇게 고전을 하던 참에...
-
봉씨의 고향에서 땅 한 평에 4천원 하던 시절, 상대원에서는 20평에 2만원이었다. 한 평에 천원 꼴이었다. 그러니 300평 정도만 사서 팔면 남의 일 안하고도 살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고향 어른들에게 도리가 아닌 듯하여 많이 망설였다. 하지만 봉씨는 더 이상 떠돌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집이라도 팔아 자리잡고 장사를 시작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미리 봐둔 가게 자리가 몇...
-
성남 사람들은 남한산성에 자주 오른다. 궁씨도 황송공원 쪽을 통해 자주 오른다. 황송공원에는 게이트볼을 하거나 배드민턴을 치는 사람들도 있다. 지금이니까 등산도 하고 게이트볼도 치지만, 궁씨가 젊었을 당시에는 데이트 장소도 시장을 벗어나지 못했다. “당시에는 젊었을 때 데이트 같은 건 종합시장이 제일 좋은 장소였죠. 종합시장 다음에 상대원시장 쪽이었죠. 상대원시장 쪽도 그 당시에는...
-
염씨는 분당 아파트에 입주한 지 10년 만에 팔아버렸다. 한국에서 월드컵 열풍이 한 차례 휩쓸고 지나갔던 2002년이었다. 48평 아파트를 3억 5천에 달랑 팔아치웠으니, 지금 생각하면 싸도 너무 싼 가격이었다. 노무현 정권 말기에 아파트가 최고점을 찍고 1년 만에 반토막에 가까워진 지금 시세보다도 싼 가격이었다. 그리고 염씨네는 다시 상대원동으로 들어왔다. 처음에 살던 장모님 소...
-
상대원의 첫 가게는 겨우 5,6평 정도 밖에 안 되는 조그만 크기였다. 그래도 시장 내에 자리가 난 가게는 거기 밖에 없었다. 가게를 상대원으로 옮기긴 했지만 장사 밑천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처음 연 가게라 단골 손님도 없었다. 가게가 자리를 잡을 때까지 염씨는 아끼고 또 아껴야 했다. “지금도 생각나는 게 그 때 여기 처음 이사와 가지고 김장을 50포긴가 했을 거예요. 김장...
-
상대원시장은 1970년대 초창기에 제일 좋았고, 80년대까지만 해도 괜찮은 편이었다. 그러던 것이 막내딸이 태어나고 얼마 후, 그러니까 87, 88년 쯤부터 기울기 시작했다. 그게 지금 있는 대형 상가가 새로 지어지고, 또 노전이 없어지면서 부터였다. “모란시장처럼 천막을 쳐놓고 양쪽으로 노전을 앉혀놓고 노전길에서 사람이 많이 다녔거든요. 그랬는데 저렇게 백화점 식으로 해놔 버리니...
-
상대원 아랫시장은 제대로 된 호황기를 맞았다. 장사가 잘 되니까 점포에는 권리금이 오고갔다. 가게 자리를 원하는 사람은 많았는데 건물이 없는 형편이었다. 집들을 층을 올리고, 작은 지하실도 파서 활용하기도 했다. 한번은 지하에 다방을 내려고 터를 파다가 계속 물이 나는 바람에 무척 애를 먹은 적도 있었다. 상대원시장터가 원래는 늪지대였던 때문이다. 또 어떤 사람은 대형 상가를 짓고...
-
상대원은 이제 재개발 이야기가 나돈다. 봉씨가 생각하기에도 상대원은 많이 낙후되고 노후된 지역이 되어 버렸다. 마치 낡은 흑백필름 속의 세상을 보는 듯, 혹은 이미 오래 전에 변화가 멈춰버린 고립된 마을을 보는 듯하다. “새로운 신선한 이미지도 없고 노후될대로 됐고, 사람들도 전부 다 나태해졌고. 상인들도 요즘 들어온 사람들도 옛날에 있던 사람이 나태해 있으니까 나태해질 수밖에 없...
-
염씨네 가족이 아파트에서 좀 더 나은 삶을 꿈꾸기 시작했을 때, 염씨의 가게가 있는 상대원시장은 정반대의 운명을 맞이하고 있었다. 분당 신도시로 인해 상대원시장은 차음 활력을 잃어갔다. 상대원시장의 손님들이 신도시에 들어선 백화점과 현대식 마트들로 발길을 돌렸다. 특히 분당의 백화점들이 운행하는 셔틀버스는 상대원시장에 치명적이었다. 상대원의 지역민들에게 새로운 쇼핑 기회를 제공했던...
-
상대원시장에는 이평원 씨라고 야채 장수가 있었다. 이평원 씨는 원래 웃시장에서 장사 잘하고 있었다. 70년대 초만 해도 재래시장에서 야채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 품목이었다. 야채는 어려운 사람들이 매일 먹어야 하는 찬거리였다. 생선은 일주일에 한 번, 고기는 형편대로 먹고 없으면 안 먹던 시절이었다. 그러다 보니 아랫시장이 살아나려면 야채가게가 반드시 필요했다. “야채가 있어야 살...
-
상대원시장은 혼자서도 다닐만큼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지금은 시장 형태가 없어졌지만, 지석태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예전의 상대원시장은 정말 시장다운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 시장터가 그렇게 크지 않지만 어렸을 때니까 상대원시장이 그에게는 굉장히 크게 느껴졌다. 재래시장의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던 곳이었다. “바로 조금만 내려가면 바로 시장이었는데. 지금 상대원시장은 큰 건물이...
-
봉씨는 요즘 손님 한명 한명이 아쉽다. 시절이 변하다 보니, 물건 속이지 않고 정직하게 장사를 해도 손님들이 알아주지 않는다. 그래서 기름장사도 거의 개점 휴업 상태이고, 예전에 그렇게 호황이던 고추장사도 힘들어졌다. “사실은 말만 기름장사지 기름 안 나갑니다. 왜 안 나가느냐. 요즘 주부들이요 맛을 보고 먹어야 되는데 맛을 모르고 값싼 거만 찾아 돌아다니니, 그러니 장사가 다 한...
-
봉씨는 70년대 초 호시절에는 옆 가게를 인수해서 3개까지 운영했다. 처음에는 기름가게로 시작했는데 나중에 고추를 추가했다. 그때 고추를 팔고 빻아주면서 벌었던 돈이 전대에서 흘러나올 정도였다. 한 달 벌이면 집을 한 채 살 정도였다. 손님은 넘쳐났고 장사는 잘 되었는데, 돈은 안 모아지고, 남는 것이 없었다. 고추를 시작한 후 일손이 딸려 종업원을 두게 되었는데, 종업원은 고향...
-
지석태의 스물 여덟 해 삶은 평범했다. 앞으로도 뭐 그리 특별한 일이 있을 것 같지는 않다. 살아온 스물 여덟 해 중에서 열다섯 해는 상대원에서 보낸 세월이었다. 비슷한 환경을 가진 상대원 주변 지역에서의 삶을 더하면 스물다섯 해를 보낸 셈이었다. 상대원은 태어나서 고등학교를 졸업, 대학에 입학하고, 군복무를 하고, 다시 복학하여 졸업할 때까지 그의 삶의 근거지 역할을 했다. 물론...
-
상대원에는 중학교가 없었다. 그래서 중원초등학교 졸업생은 숭신여중이나 금광중학교, 아니면 대원여중[현 대원중학교]으로 진학했다. 내가 간 숭신여중은 공부를 많이 시키기로 유명했고, 두발이나 복장 규정이 까다로웠다. 많은 아이들이 그것을 싫어해서 금광중이나 대원여중으로 진학했다. 학교까지는 걷기에는 좀 먼 거리였다. 가끔씩은 누군가의 차를 얻어 타기도 했지만(그게 누군지 기억에 없다...
-
백씨는 90년인가 어느 날 평화방송에서 꽃꽂이 강좌를 보다가 그것을 시작하기로 마음먹었다. 처녀 시절에 아트 플라워와 분재를 배우던 취미가 꽃꽂이로 이어졌다. 좋은 선생을 찾아 월 수강료 70만원을 투자하였다. 전시회도 열심히 쫓아다녔다. 그리고 사범자격증도 땄고, 강의를 하기도 했다. 백씨는 다른 지역에서 꽃꽂이 강의를 하면서 상대원에도 꽃꽂이를 보급시키고 싶었다. 그런데 따로...
-
봉씨가 처음 상대원으로 이사왔을 때 상대원의 땅값은 굉장히 쌌다. 한 평에 천원 남짓. 그런데 지금은 전국에서 성남만큼 땅값이 많이 오른 데가 없다. 상대원시장에서 장사하던 상인들 중에도 복덕방에 자주 놀러다니고 땅에 투자했던 사람들은 모두 잘 산다. 반면에 착실히 장사만 했던 사람들은 먹고사는 것으로 끝이었다. 다행히 봉씨는 아내가 서둘러, 이사온 지 10여년 만에 집을 장만할...
-
봉씨는 막노동 판을 전전하면서 나름대로 열심히 일했다. 하지만 열흘 일하고 나면 돈 받으러 다니는데 보름이 걸릴 정도였다. 아예 못 받는 경우도 생겼다. 그래서 한때는 화장품 장수가 돌아다니는 것을 보고 그것을 따라해 보기도 했다. 400원에 가져다 450원에 팔고 다녔는데 그것도 잘 팔리지 않았다. 그러던 중에 아내가 임신중독증에 걸렸다. 봉씨는 사정이 급해 고향 어른들한테 거금...
-
상대원 사람들의 삶은 대부분 팍팍했다. 부모들은 삶에 쫓겨 아이들을 돌볼 겨를이 많지 않았다. 그래서 아이들은 부모의 간섭 없이 커 나갔다. 어떤 아이는 어려서부터 술과 담배를 배웠고 또 어떤 아이는 약간 방탕끼를 갖고 제멋대로 살았다. 어려서부터 집을 떠나 객지로 떠도는 아이들도 간혹 있었다. 그도 한때 한동안 그런 방탕한 시간을 보냈다. 친구들도 그런 부류의 친구들이었다. 희망...
-
처음 분양받은 상대원 집터 주변은 그 후 5년이 지나도록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산을 깎아 급하게 만든 그곳에 생계를 이어갈 방편이나 일자리가 있을 리 만무했다.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서 상대원 지역은 집들로 채워지기 시작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도 계속 집들이 지어졌다. “5년 이상 지나고 하니까 집들이 점점 생기기 시작하드만 71년 지나 5년 지나니까 어느 정도 들어서고, 한...
-
상대원에는 황촌말, 송촌말, 대원, 보통골, 사기막골 등 옛날 마을들이 적지 않게 있었다. 토박이 궁씨는 옛날 마을들을 마음 속에 쉽게 그릴 수 있다. 황촌말은 요기 앞동네고, 대원은 상대원1동 사무소 뒤쪽으로 원주민촌이 있었다. 사기막골 같은 데는 상대원에서도 문화적 값어치가 나가는 동네이다. 궁씨는 간혹 성남의 문화유적을 촬영하러 나선다. 작년 여름에는 사기막골을 카메라에 담았...
-
처음 가게를 시작했을 때 봉씨는 무척 힘들었다. 큰 아이가 감기에 걸렸는데 약값이 없었다. 며칠이 지났는데 잘 걷던 아이의 다리가 마비 증상을 보였다. 그때부터 아이 치료를 위해 침 맞히러 다니랴, 장사하랴, 힘든 하루 하루가 이어졌다. 방도 따로 얻을 돈이 안 돼서 가게에 다락을 매달았다. “여기 가게가 루핑집이었는데, 다락을 매놨어요. 다락에다가 우리가 잠을 잤어요. 서랍장도...
-
상대원 아이들이라고 별다르게 놀 거리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상대원의 지형적인 특성을 살린 특별한 놀이도 없었고. 어렸을 때는 사내들끼리 남성다움, 난 남자다 라는 것을 과시하려고 했던 약간 위험한 놀이들이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죽을라고 환장했는지 모르겠지만. 동네마다 비탈졌는데 제대로 비탈진 긴 거리가 많아요. 저 비탈진 끝부분엔 사거리고. 차들이 왔다갔다 하는. 골목길인데...
-
상대원은 검단산 남서쪽의 지대가 높고 기복이 심한 지역이다. 예로부터 보통골, 사기막골 등 몇 개의 마을이 자리잡고 있었다. 궁씨는 그것들이 합해져 상대원리가 되고 다시 상대원동이 되는 역사를 다 지나왔다. 예전에 비하면 인구도 많아졌고 살기도 좋아졌다. “옛날엔 상대원 1리 2리 이런 식으로, 상대원 1, 2, 3동까지 지금 현잰 바뀌어 있지 않습니까? 요새는 인구도 거의 8만...
-
노씨 아줌마는 현재의 성남동으로 이사한 후 집에서 하던 또또기계 부업을 그만두었다. 그리고 집 밖에서 하는 부업을 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상대원동이 더욱 그립다. “직장이라고 나가보니까 진짜 아침부터 늦게까지 가서 돈 백만원. 여자들 뭐 기술 없고, 그리고 또 나이를 먹다보니까 써주는 데도 없어요. 진짜 힘든 데 밖에 없고, 알바 식이예요. 일도 안 써줘요. 그래도 내가 말하자면...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움과 실천으로 창의력을 발휘하는 어린이, 나눔과 배려로 협동하는 어린이,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즐기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하며 큰 꿈을 키우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움과 실천으로 창의력을 발휘하는 어린이, 나눔과 배려로 협동하는 어린이,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즐기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하며 큰 꿈을 키우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과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을 잇는 신이배재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 상대원터널은 중원구 상대원동 순환로 교차 지점부터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까지 이어지는 신이배재로 구간에 설치되었다. 기존의 이배재로는 전 구간이 고갯길이었기에 사고 위험이 크고 교통 정체가 심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체 도로로 신이배재로를 신설했다. 신이배재로를 건설할 때 자연 녹지 보존과 도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와 중원구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지명. 조선시대에 오늘날 성남시의 근간을 이루는 광주군 세촌면·낙생면·대왕면과 함께 광주군 돌마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다. 현재 상동리는 성남시 분당구 북동부 및 중원구 남부에 해당하며, 하동리는 분당구 남동부 일대에 해당된다....
-
집을 짓는 과정에서 마룻대인 상량을 올릴 때 지내는 고사. 상량고사는 건축 의례 중에 가장 크게 지내는 의례에 해당되며, 상량을 올리고 나서는 내부 공사가 진행된다. 따라서 상량을 올리는 일은 집을 짓는 과정에서 가장 어렵고 중요한 과정으로서, 큰 고비를 넘기는 행사가 된다....
-
죽은 이의 시신을 처리하는 의례. 상례는 인간의 4대 통과의례의 하나로서, 시신을 매장 또는 화장하는 의례인 장례(葬禮) 이전까지의 과정인 상중에 행하는 모든 예절을 의미한다. 사람이 운명하는 순간에서부터 시신에 수의를 입히고 입관하며 매장하거나 화장하고 근친들이 그 죽음을 애도하고 근신하면서 복을 입는 방법은 물론, 일정기간이 지난 후 평상생활로 돌아갈 때까지의 각종제례의 의식절...
-
유교식 상례 때 입는 옷. 상복은 전통적인 유교식 예법대로 갖추어 입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삼베로 만든 상복은 망자와의 친척 관계에 따라 ‘오복(五服)’ 제도에 의해서 복장이 규정되어 있었다. 가령 아버지의 상을 당했을 때 상복은 굵고 거친 삼베로 만드는데, 아래의 옷단을 꿰매지 않는다. 또 상복과 더불어 요질(腰絰:허리에 두르는 띠)과 수질(首絰:머리에 쓰는 띠)을 착용하고 행...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의 지역으로 국사봉 밑이 되므로 뫼루니, 머루니, 뫼룬, 뫼운, 또는 산운이라 하였다. 뫼루니마을의 윗마을을 윗뫼루니 또는 상산운리 등으로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운의 중간이 되므로 운중리라 하였다. 상산운리는 운중리에 속하였으며, 1973년에 성남시에 편입되었다. 1975년 낙생출장소에 편입...
-
경기도 성남시의 가정 및 모든 시설물에서 사용하는 먹을 물이나 공업 용수를 관을 통해 계통적으로 급수하는 설비. 성남의 상수도 행정은 1969년 성남 주택지 개발 당시 12개의 공동 우물로 시작하였다. 다음해 탄천변에 3개의 정호를 설치하여 하루 4톤 생산을 시작으로 1972년에는 15000톤을 생산하여 67.5%의 급수율을 유지하였고, 이후 취수 시설을 확장하여 1976년에는 하...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리를 목적으로 한 물품 매매업. 상업은 협의의 의미로는 상품의 직접적인 구매 및 판매 활동인 소매업, 도매업 등의 매매업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으로, 개념적으로 농업, 공업, 어업, 광업 등과 병행한다. 단 금융업, 운송업, 보관업, 보험업, 창고업 등 상업 행위를 촉진, 조성하는 업종은 포함하지 않는다....
-
장례 때 관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구.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상여는 두 종류로 구분된다. 하나는 조립식으로 만들어진 반영구적 상여이며, 또 다른 하나는 한 번만 쓰고 태워버리는, 보통 일컫는 꽃상여가 그것이다....
-
장례식 때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송가. 일반적으로는 향두가, 향도가 등으로 지칭하는데, 향도(香徒)가 원래는 불교를 신봉하는 집단을 이르는 말이라는 점에서 불교의식에서 유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불교에서 법요식(法要式)을 행할 때 요령을 흔드는 것이 향두가의 선창자가 요령을 흔드는 것과 흡사하며, 향두가의 대체적 내용이 불교적 내용을 위주로 한 회심곡이라는 점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밝고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며, 이웃을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예절 바른 도덕인, 즐겁게 배우고 진리를 탐구하는 창의력 있는 지식인, 건전하고 강직한 심신을 갖춘 건강인, 질서를 지키고 규범을 준수하는 준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밝고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며, 이웃을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예절 바른 도덕인, 즐겁게 배우고 진리를 탐구하는 창의력 있는 지식인, 건전하고 강직한 심신을 갖춘 건강인, 질서를 지키고 규범을 준수하는 준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밝고 슬기로운 사람이 되자’이며, 이웃을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예절 바른 도덕인, 즐겁게 배우고 진리를 탐구하는 창의력 있는 지식인, 건전하고 강직한 심신을 갖춘 건강인, 질서를 지키고 규범을 준수하는 준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깊은 생각, 바른 행동’이다. 더불어 살며 협동하는 어린이, 개성 있고 자율적인 어린이, 창의성을 가지고 실천하는 어린이, 즐겁게 생활하는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의 방향은 ‘지혜를 배우고 사랑을 가꾸는 즐거운 상원 교육’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깊은 생각, 바른 행동’이다. 더불어 살며 협동하는 어린이, 개성 있고 자율적인 어린이, 창의성을 가지고 실천하는 어린이, 즐겁게 생활하는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의 방향은 ‘지혜를 배우고 사랑을 가꾸는 즐거운 상원 교육’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상적동은 북쪽의 인릉산과 서쪽의 청계산 아래에 있는 산지 지역으로 대부분의 지역이 개발 제한 구역 및 군사 보호 지역으로 되어있다. 법정동인 이 동은 행정동인 고등동에서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에 있었던 관아 터. 관아(官衙)는 조선의 지방 행정 기구의 청사가 위치한 마을로 읍치라고도 불렀다. 관아에는 수령의 정청인 동헌, 국왕의 위패를 모시는 객사, 고을 양반들의 대표자인 좌수와 별감이 있는 향청, 아전들의 근무처인 질청, 기생과 노비들이 사용하는 관노청, 그리고 군사를 관장하는 군기청이 포함되어 있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지역으로 청계산 밑 골짜기가 되므로 저푸리 또는 적취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노상동을 병합하여 상적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 대왕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89년 수정구 고등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대왕저수지에서 나와서 둔전동에서 탄천으로 유입하는 준용하천. 상적천은 성남시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청계산과 인릉산 산지에서 발원하여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과 고등동[상적동]을 지난 후 둔전동에서 탄천에 유입하는 하천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재현(在玆). 호는 상촌(相村). 판서 송언신(宋言愼)의 손자이며, 공청도관찰사 송준(宋駿)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자선(子善). 호는 상촌(相村). 성남시 상대원동의 입향조인 판서 언신(言愼)의 손자이며, 공청도관찰사 준(駿)의 4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서로 돕는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서로 돕는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서민과 중소기업의 금융 편의를 도모하고, 저축을 증대하기 위하여 설립된 제2 금융 기관. 1972년 8월 2일 경제의 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 명령에 따라 사 금융을 양성화하려는 목적으로 상호신용금고법이 제정되면서 상호신용금고가 탄생하였다. 상호신용금고법은 당시 제도 금융권 밖에서 무질서하게 방치되어 있던 무진 회사, 서민 금고, 사채 및 계 등의 사 금융을...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서민과 중소기업의 금융 편의를 도모하고, 저축을 증대하기 위하여 설립된 제2 금융 기관. 1972년 8월 2일 경제의 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 명령에 따라 사 금융을 양성화하려는 목적으로 상호신용금고법이 제정되면서 상호신용금고가 탄생하였다. 상호신용금고법은 당시 제도 금융권 밖에서 무질서하게 방치되어 있던 무진 회사, 서민 금고, 사채 및 계 등의 사 금융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271번지에 이상희 대위를 기념하기 위해 조성한 근린공원. 상희공원은 이상희 대위의 희생 정신을 기리기 위해 조성한 공원이다. 주변에 성남시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와 시니어산업혁신센터, 고령친화체험관 등이 가까이 있어 노인 이용자들이 많다. 공원 면적은 18,143.7㎡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사회복지단체. 새날복지회는 ‘어린이전화’라는 새날아동상담소를 시작으로 20년간 성남 지역의 아동, 청소년, 노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해 온 사회복지단체이다....
-
“제가 중원초등학교를 다녔는데 저희 집에서 가까운 곳에 대일초등학교가 새로 생겼어요. 원래는 여중인가 여고가 썼던 건물인데 이사를 갔데요. 그래서 거기에 새로 대일초등학교가 들어선 거예요. 상대원3동에 살던 아이들은 의무적으로 그 학교로 전학을 가게 한 거죠. 아쉬운 건 그거에요. 초등학교 5학년 때까지 제가 어떤 친구를 만났는지에 대한 기억은 솔직히 앨범 보면 날 수도 있잖아요....
-
지석태의 어머니는 전업 주부였다. 그리고 아버지는 목수였다. 목수는 정해진 출퇴근이 없었다. 그 당시 그의 집에는 마당이 있었는데, 마당은 아버지가 목공일을 하시는 장소였다. 아버지는 자개장을 만들었다. 조개껍데기 같은 게 붙은 검은 자개장은 당시만 해도 비싸게 팔리는 인기상품이었다. 아버지가 집에서 직접 만드는 자개장은 만들었고 또 손수 판매도 했다. 꽤 잘 나갔던 기억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신촌동은 원래 담박골, 두집메, 작은새말, 큰새말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 변 평지였던 가루갈이들, 선창들, 중반들 등의 넓은 농경지가 서울공항[공군성남기지]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행정동인 신촌동은 법정동인 신촌동, 심곡동, 오야동을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과 경기도 광주시 신현동을 연결하는 고개. 태현[태재]과 마찬가지로 경기도의 성남시 분당구와 광주시 신현동를 연결하는 고개로, 태현의 동북쪽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금융 기관으로 회원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의 향상과 지역사회 개발을 위하여 설립된 비영리 법인. 새마을금고는 1963년 재건국민운동중앙회의 역점 사업의 일환으로 경상남도 지역에서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시행한 것이 효시가 되었다. 1977년에는 전국적으로 4만 2436개소의 새마을금고가 조직되었으나 이 시기를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1990년을 기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공 이동 도서관. 이동도서관은 도서 봉사를 제공받기 어려운 지역 주민의 생활 주변으로 도서관 자료, 장비, 직원을 차량에 싣고 운반하여 도서관 봉사를 제공하는 이동식 분관 도서관으로 순회문고, 순회도서관, 차량도서관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공 이동 도서관. 이동도서관은 도서 봉사를 제공받기 어려운 지역 주민의 생활 주변으로 도서관 자료, 장비, 직원을 차량에 싣고 운반하여 도서관 봉사를 제공하는 이동식 분관 도서관으로 순회문고, 순회도서관, 차량도서관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부설 역사관. 새마을운동의 탄생, 성장과정 등의 발전사를 전시한 교육 홍보의 장소이자 새마을운동 현장의 기록을 보존하고 있는 곳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교육 기관.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은 국민 의식을 선도하는 정신 교육 기관으로서 새마을 지도자를 비롯한 국민 각계각층에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연수 시설은 공공 기관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체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교육 기관.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은 국민 의식을 선도하는 정신 교육 기관으로서 새마을 지도자를 비롯한 국민 각계각층에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연수 시설은 공공 기관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체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교육 기관.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은 국민 의식을 선도하는 정신 교육 기관으로서 새마을 지도자를 비롯한 국민 각계각층에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연수 시설은 공공 기관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체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신촌동은 원래 담박골, 두집메, 작은새말, 큰새말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 변 평지였던 가루갈이들, 선창들, 중반들 등의 넓은 농경지가 서울공항[공군성남기지]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행정동인 신촌동은 법정동인 신촌동, 심곡동, 오야동을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자연 마을. 사송동의 탄천변에 형성된 마을로, 송현(松峴)[솔고개]과 시흥동을 연결하는 샘골고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 바로 위로는 여수대교를 지난 여수로가 동서로 지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소속 교회. 샘물교회는 서울영동교회에서 네 번째로 분립한 교회로, 경기도 성남시 분당 지역에 박은조 목사를 중심으로 개척한 교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신흥동의 행정동은 신흥1동, 신흥2동, 신흥3동이다. 지하철 8호선 수진역, 신흥역, 단대오거리역과 인접하고 산성대로, 수정로가 평행으로 가로질러 교통이 편리하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 창의, 도전’이며, 꾸준히 성실하게 노력하며 더불어 살아갈 줄 아는 성실인, 학업에 열중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지닌 실력인,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꿈을 키우는 창조인, 개성을 신장하며 자신의 진로를 개척하는 개척인, 글로벌 인재로서의 기본 자질과 국제 이해 능력을 지닌 세계인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 창의, 도전’이며, 꾸준히 성실하게 노력하며 더불어 살아갈 줄 아는 성실인, 학업에 열중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지닌 실력인,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꿈을 키우는 창조인, 개성을 신장하며 자신의 진로를 개척하는 개척인, 글로벌 인재로서의 기본 자질과 국제 이해 능력을 지닌 세계인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와 안양시를 잇는 안양판교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 생태복원터널은 성남시 분당구 백현1교차로에서 의왕시를 거쳐 안양시 동안구 인덕원 사거리를 잇는 안양판교로에 설치된 터널이다. 도로가 뚫리면서 자연 녹지가 분리되어 주민과 동물의 이동 경로가 막혀 있기에 이를 연결하는 터널을 설치했다. 편도 4차로 터널로 총 연장은 90m이며, 터널 폭은 33.9m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제빵·제과 업체. 샤니는 국내 양산 빵 시장에서 업계 1위를 달리는 제빵 업체로 파리크라상, 비알코리아, 삼립식품 등과 함께 SPC 그룹 계열사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성남시 분당구 율동 출신. 자는 서경(西卿). 윤석보(尹錫輔)의 둘째 아들이고, 유종선(柳從善)의 손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서현1동에서 관할한다. 마을에 밤나무가 많아 밤의 명산지로 유명했으며, 현재는 산림과 호수를 살려 조성한 총 면적 2,637,316㎡의 율동공원이 있어 분당 지역뿐만 아니라 인근 수도권 주민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서현1동에서 관할한다. 마을에 밤나무가 많아 밤의 명산지로 유명했으며, 현재는 산림과 호수를 살려 조성한 총 면적 2,637,316㎡의 율동공원이 있어 분당 지역뿐만 아니라 인근 수도권 주민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
마을의 수호신으로 서낭을 모셔놓은 신당. 성황당(城隍堂)이라고도 한다. 마을 어귀나 고갯마루에 원추형으로 쌓아 놓은 돌무더기 형태로, 그 곁에는 보통 신목(神木)으로 신성시되는 나무 또는 장승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
동제의 한 절차로 삼아 마을의 수호신인 서낭신을 모시는 의례. 성황제(城隍祭)라고도 한다. 이 서낭[城隍]은 민간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마을신앙에 중국적인 성황신앙의 영향을 받아 전승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서낭신의 신체는 흔히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신목(神木)이나 장승과 돌무더기를 쌓아 둔 경우이고, 이와는 달리 신목과 함께 신체(神體)나 신위(神位)가 있어서 신당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통로동, 양현동, 돈서동을 병합하여 돈서와 양현의 이름을 따서 서현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 서현동이 되었고, 1975년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91년 분당구에 편입되었다. 1993년 서현동의 '서'자와 그 전 분당동의 '당'자를 합하여 서당동을 신설하였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즐거운 배움으로 신나게 참·멋·꿈을 가꾸는 행복 키움 서당 교육’이다. 교육 목표는 ‘학생이 배움의 주체가 되어 미래를 살아갈 삶의 역량 기르기’이다.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름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어린이[인성인], 자기 생각을 만들어 가는 어린이[창의인], 새로움에 도전하는 어린이[도전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즐거운 배움으로 신나게 참·멋·꿈을 가꾸는 행복 키움 서당 교육’이다. 교육 목표는 ‘학생이 배움의 주체가 되어 미래를 살아갈 삶의 역량 기르기’이다.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름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어린이[인성인], 자기 생각을 만들어 가는 어린이[창의인], 새로움에 도전하는 어린이[도전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서망(西望). 호는 취전(醉全)이다. 정휴복(鄭休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호(鄭灝)이고, 아버지는 순천부사 정양필(鄭良弼)이며, 어머니는 이양(李揚)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재화의 생산보다는 서비스 자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제활동. 경제학에서는 경제활동에서 사고팔 수 있는 대상이 되는 것을 재화(財貨)와 용역(用役)으로 구분하고, 재화를 담당하는 산업을 제조업, 용역을 만들어 내는 산업은 서비스업으로 분류한다. 즉 유형재의 생산은 제조업, 무형재의 생산은 서비스업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서비스업의 범위는 매우 넓고, 단순노동...
-
조선 후기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김만기(金萬基)[1633~1687]는 광주부윤으로 있을 때 병자호란의 참상을 잊지 말고 경계하라는 의미의 글을 남한산성 수어장대(守禦將臺)에 남겼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둔전동 성남비행장에서 격년으로 개최되는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한국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는 국무총리를 명예대회장으로 국방부, 산업자원부장관과 건설교통부장관을 공동대회장으로 하는 범정부적인 행사로, 세계 각국의 항공 무기 체계를 비롯한 지상, 해상의 첨단 무기 체계까지 전시되어 첨단 항공기 및 방위산업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행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의 봉국사 대광명전에 있던 조선 시대 불상. 봉국사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지장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광해군의 비 문성군부인 유씨(文城君夫人柳氏)가 1622년에 조성한 불상으로 추정된다. 자인수양사(慈仁壽兩寺)에 봉안되었다가 1674년(현종 15) 봉국사가 창건되자 대광명전으로 이안(移安)되었다. 1933년 발행된 『조선총독부관보』 제1814호와 193...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봉국사에 있던 조선 시대 불상. 봉국사 석가모니불은 1622년(광해 14)에 광해군의 비 문성군부인 유씨(文城君夫人柳氏)가 조성한 불상으로 추정된다. 자인수양사(慈仁壽兩寺)에 봉안되었다가 1674년(현종 15)에 봉국사가 창건되자 봉국사로 이안(移安)되었다. 1933년 발행된 『조선총독부관보』 제1814호와 1939년 작성된 『봉국사 이전 허가에 관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 일대에 있는 군용비행장. 공군성남기지는 군용 항공기 이착륙장으로 사용된 군용비행장이며, 대한민국 공군이 관할하는 공군 기지로 군용기뿐 아니라 대통령 전용기나 외국 귀빈이 주로 이용한다. 이 때문에 서울공항으로 불리기도 하며, 성남에 있는 비행장이라 성남비행장으로도 부른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서울대학교 부설 종합 의료 기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전문 의료진과 최첨단 디지털 시스템, 의학 자료 정보센터 등 풍부한 의료 인프라를 갖춘 서울대학교병원의 분당 분원이다. 2003년 5월 개원하였으며 성인 및 노인성 질환 전문병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둔전동 성남비행장에서 격년으로 개최되는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한국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는 국무총리를 명예대회장으로 국방부, 산업자원부장관과 건설교통부장관을 공동대회장으로 하는 범정부적인 행사로, 세계 각국의 항공 무기 체계를 비롯한 지상, 해상의 첨단 무기 체계까지 전시되어 첨단 항공기 및 방위산업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행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경부고속도로 요금소. 서울톨게이트는 경부고속도로 부산 기점 410.3㎞에 있는 폐쇄식 요금소로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해 서울에 오려면 통과해야 하는 요금소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책을 갖추어 놓고 팔거나 사는 가게. 성남의 서점은 분당 지역을 중심으로 대형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문구와 음반을 판매하는 문화 공간으로 변모해가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독자 관리, 독자 서비스 행사 개발 등 새로운 매출 전략을 수립하여 운영에 혁신을 기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판교신도시 내 판교원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까지 남북으로 이어지는 도로. 2003년부터 2014년까지 수도권 제2기 신도시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판교신도시 서판교에 조성된 간선도로이다.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638번지에서 판교동 480번지까지 이어지는 연결 도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성남지구 소속 성당. 서판교성당은 판교신도시 건설에 따라 2009년 9월 1일 분당성마테오성당에서 분립하고 ‘판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성당’이란 명칭으로 현재의 성당 부지에 4개의 콘테이너 박스를 세우고 시작하였다. 이후 성당을 새로 건축하기 위하여 인근 남서울골프장 공간을 무료 임대하여 임시 건물을 지어 미사를 보았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대장나들목과 운중동 두말로 교차점을 잇는 판교대장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대장나들목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서판교터널을 잇는 판교대장로는 성남판교대장도시개발사업 지구의 간선 도로이다. 판교대장로는 운중동 산운마을에서 남쪽 대장동으로 가는 빠른 길로, 서판교터널은 안양판교로 교차점인 두밀사거리에서 판교원로82번길을 거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민주적 가치를 실천하는 사람[민주인], 꿈을 가지고 도전하는 사람[도전인], 배려와 존중으로 소통하는 사람[소통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민주적 가치를 실천하는 사람[민주인], 꿈을 가지고 도전하는 사람[도전인], 배려와 존중으로 소통하는 사람[소통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서현공원은 성남대로 변에 위치한 공원으로, 면적은 97,877.8㎡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과 내정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탄천 위에 건설된 다리로,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준공하였다. 총연장은 130m, 교폭 41m이며, 축조 형식은 PC슬라브 방식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신도시 개발 당시 시범 단지로 조성된 서현동은 2001년 서현1동과 서현2동의 2개 행정동 관할이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인 시범 단지와 서현역을 중심으로 상업 및 업무 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위치한 백제시대 주거지 흔적. 2001년 토지박물관에서 수행한 지표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백제의 주거 유적지로서 서현동 산6번지와 이매동 산53-1번지에 걸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도로. 성남시를 동서로 관통하는 지방도 제57호선 중 경부고속도로 판교인터체인지부터 광주시계까지의 구간을 말한다. 분당 신시가지[시범 단지] 건설과 함께 확충된 길로 분당과 수도권 남부 지역 개발에 따른 통행 수요 증가로 그 중요성이 커지면서 2001년 11월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 도로의 명칭은 2002년 2월 성남시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 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통로동, 양현동, 돈서동을 병합하여 돈서와 양현의 이름을 따서 서현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91년 분당구 서현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주민 문화 시설. 서현문화의집은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소규모 복합 문화 공간으로, 성남 시민이면 누구나 이용가능하며 문화 관람실, A/V 관람실, 강의실, 전시실 등의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수인분당선 전철역. 서현역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한 역으로 이매역과 수내역 사이에 있는데, 민자 역사로 AK플라자 분당점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역 주변에 형성된 역세권 상가 밀집 지대. 서현역 상가지대는 수인분당선 서현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분당의 대표적 상권으로, 서현동 AK플라자[구 삼성플라자] 일원에서 수내동 롯데백화점 구간의 970m에 조성된 분당 문화의 거리에 포함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역 주변에 형성된 역세권 상가 밀집 지대. 서현역 상가지대는 수인분당선 서현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분당의 대표적 상권으로, 서현동 AK플라자[구 삼성플라자] 일원에서 수내동 롯데백화점 구간의 970m에 조성된 분당 문화의 거리에 포함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위치하는 저수지. 서현저수지는 1945년 서현천 상류를 막아 준공된 것으로 성남 지역의 저수지 중 가장 규모가 작으며, 서현동의 이름을 따서 서현저수지라 명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다 함께, 바르게, 굳세게’이며, 더불어 배우고 함께 성장하는 사람, 민주적 가치로 글로벌 소양을 쌓아 가는 사람, 창의 지성 함양으로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다 함께, 바르게, 굳세게’이며, 더불어 배우고 함께 성장하는 사람, 민주적 가치로 글로벌 소양을 쌓아 가는 사람, 창의 지성 함양으로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생각은 깊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나라와 향토 문화를 사랑하는 어린이, 정보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어린이, 기본 생활을 습관화하여 예절 바른 어린이, 체력을 튼튼히 하며 환경을 깨끗이 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생각은 깊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나라와 향토 문화를 사랑하는 어린이, 정보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어린이, 기본 생활을 습관화하여 예절 바른 어린이, 체력을 튼튼히 하며 환경을 깨끗이 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남한산성 서남쪽 병풍산에 묻혀있는 서흔남에게 관련된 이야기 병자호란 때의 일이다.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하는 도중, 전세의 불리한 소식이 연달아 전해지자 겁을 먹은 수행원과 군졸들이 하나, 둘 도망하기 시작했다. 인조는 얼마 남지 않은 신하를 데리고 사공도 없는 나룻배로 겨우 송파강을 건너게 되었다. 다행히 강은 건넜으나 날은 이미 어두워지고 설상가상으로 눈까지 내리는 것이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 자는 석룡(碩龍)이고, 최제(崔濟)의 7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운중동에서 관할한다. 도루니[석운동]를 중심으로 고갯말, 논골, 바라산리 등의 자연마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이 산지로서 분당 지역에서 가장 오지에 속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 뫼루니마을의 주신인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제. 석운동 뫼루니마을의 도당나무라 불리는 떡갈나무 앞에서 산신제를 올렸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의 지역으로 두메가 되므로 도루니, 되루니, 돌로리 또는 돌운리, 석운리, 도윤리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루니와 바라미를 합하여 석운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 낙생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91년 분당구 석운동이 되었다....
-
일제 강점기 조선프로레타리아예술동맹원으로 활약하며 항일 의식을 심어준 문화운동가 석재홍의 본적은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 500번지이며, 1934년경 서울 훈정동(薰井洞)에 거주하였다. 훈정동에 거주하며 양복의 원단을 파는 양복지상의 일을 하였는데, 일명 일량(一良)으로도 호칭되었으며 사회주의의 문예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1931년부터 이동식 소형극장이라는 결사체를 결성한...
-
돌로 만든 창. 석창은 주로 선사시대에 사용된 무기이자 사냥용구이다. 창은 인간이 만들어 사용한 무기 중 가장 초기부터 사용되었으면서도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도구이다. 구석기시대에는 곧고 길죽한 나무의 끝 부분을 불에 그을려서 단단하게 만든 다음 사용한 것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 단양 수양개 등지에서는 슴베찌르개라고 하는 깨뜨려 만든 창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러한 타제...
-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석촌공원은 불곡산 자락에 위치한 공원으로 면적은 18,863.7㎡이다....
-
1890~?. 의병정신의 실천성에 기초하여 신간회 운동을 전개한 후 광주공산당협의회 사건을 주도한 운동가 성남지역에서 의병정신의 실천성을 시현하면서 행동한 지성인은 석혜환이라 할 수 있다. 석혜환은 1890년 10월 22일에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에서 지주의 아들로 출생하였고 1938년에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에 거주한 것으로 나타난다. 초창기 석혜환은 민족주의적인 성향을 갖고...
-
경기도 성남시에서 선거권을 가진 지역민이 공직에 임용될 사람을 직접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행위. 선거의 범위는 정치집단뿐 아니라 사회단체, 경제단체, 문화단체, 노동단체, 농업단체 등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선거는 모든 사회집단에서 실시되는 대표자 선출 방식이긴 하지만, 흔히 정치적 행위로서의 선거를 의미하며, 국민이 투표로 특정 정치적 공직자를 선출하는 방법의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
-
무당이 가무(歌舞)를 겸비하면서 서서하는 굿. 주로 충청도 지역의 법사들이 앉아서 징을 치면서 독경을 외는 앉은굿의 반대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선굿이란 화려한 무복을 입고 춤을 추면서 의례를 행하며 공수를 내릴 줄 아는 무당들의 굿을 말하는 게 일반적이다. 지역적으로는 서울과 경기도를 포함한 이북지역이 해당된다....
-
선사시대에 만들어져 사용된 유물 및 유적. 선사시대란 역사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인류의 과거로, 이 시기의 역사는 남겨진 유물과 유적을 통해 유추하고 재구성할 수 있다. 유물은 인간의 구체적인 행위가 반영된 문화적인 산물의 총체이기 때문에 인공적인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자연의 산물도 유물에 포함되며 오히려 과거의 삶의 모습을 밝히는 데 있어서는 더욱 중요한 단서를 줄 수도 있다...
-
선사시대에 만들어져 사용된 유물 및 유적. 선사시대란 역사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인류의 과거로, 이 시기의 역사는 남겨진 유물과 유적을 통해 유추하고 재구성할 수 있다. 유물은 인간의 구체적인 행위가 반영된 문화적인 산물의 총체이기 때문에 인공적인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자연의 산물도 유물에 포함되며 오히려 과거의 삶의 모습을 밝히는 데 있어서는 더욱 중요한 단서를 줄 수도 있다...
-
한국의 전통 성악곡 가운데 서서 부르는 노래의 총칭. 입창(立唱)이라고도 한다. 일곱, 여덟 명이 일렬로 늘어서서 장구를 멘 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소고를 든 나머지 사람들은 뒷소리를 받아주는 형식으로 구성되며, 정해진 여러 곡을 연속해서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선여(善餘). 할아버지는 우봉현령 윤이(尹伊)이며, 아버지는 호조판서 윤탁연(尹卓然)이다....
-
당나라 현각대사의 깨달음을 담은 『선종영가집』을 조선의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책. 『선종영가집언해권상1책』은 당나라 영가(永嘉) 현각대사(玄覺大師)가 쓴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을 세조가 한글로 토를 달고, 신미대사(信眉大師) 등이 한글로 마저 번역한 뒤 해초와 효령대군 등이 교정하여 1464년(세조 10)에 간행한 서책이다.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목판본으로 제작했다....
-
음력 12월 마지막 날. 섣달 그믐밤을 지칭하여 ‘제석(除夕)’ 또는 ‘제야(除夜)’라고 한다. 이 날은 집안을 깨끗이 청소하고 차례음식을 준비하는 등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로 매우 바쁜 날이다....
-
새해의 첫날 또는 첫머리. 한 해의 첫 명절로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이라 하고, 설은 세수(歲首)·세초(歲初)·정초(正初)라고 한다....
-
새해의 첫날 또는 첫머리. 한 해의 첫 명절로 ‘설날’은 새해의 첫날, 곧 정월 초하룻날이고, ‘설’은 새해의 첫머리이다. 이런 뜻에서 설날은 한자어로 원일(元日)이라 하고, 설은 세수(歲首)·세초(歲初)·정초(正初)라고 한다....
-
조선 전기 문신으로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인 광주 안씨의 중시조. 안성(安省)[1344~1421]은 조선 세종 3년까지 활동한 문신이다. 조선 개국 후 처음으로 청백리에 뽑힌 3인 중 한 사람이며, 한쪽 눈이 작아서 이름을 ‘소목(小目)’이라 하였는데, 벼슬을 하면서 임금의 명령으로 ‘성(省)’으로 고쳤다....
-
전승되어 오는 신화, 전설, 민담 등의 옛이야기. 성남에는 지명에 얽힌 이야기, 우물이나 바위 및 고개 등에 얽힌 이야기, 효자와 충신 등 인물의 행적에 관한 이야기 등 여러 설화들이 전해왔다. 그러나 신도시가 들어서고 주민 이동이 급격해진 이후에는 오래 전래된 이야기를 구전할 만한 인물을 발견하기 힘들다. 『성남시사』 등 문헌에 기록된 자료를 통해 성남의 설화를 살피면 대개 지명...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었던 지명. 섬말[도촌(島村)]은 자연취락으로 행정적인 측면에서 이름 붙여진 도촌리와는 그 지역적 범위가 다르다. 즉, 도촌리는 섬말, 응달말, 중말을 합친 행정 지명이고 도촌[섬말]은 도촌리의 한 부분인 자연취락 단위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도촌리라는 명칭 자체는 도촌의 이름을 따서 행정지명화 한 것으로 판단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옛 지명. 중말[中村]은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의 자연마을인 섬말과 여수동 중간에 있었던 마을로서, 고성이씨(固城李氏), 전주이씨(全州李氏) 등이 살았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섬말공원은 도촌동 주민들이 접근하기 쉬운 공원으로 다양한 문화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공원 면적은 62,458.1㎡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성균관유도회총본부 소속 단체. 1981년 2월에 설립되어 초대 지부장 박찬구(朴贊矩)를 중심으로 지부장 1명, 부지부장 2명, 부장 6명, 회원 125명의 조직을 갖추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성근(聖根)이다.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윤항(李潤恒)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구세의(具世義)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을 일컫던 옛 이름. 과거 성남에서 이 지역을 일컬어 부르던 지명으로 ‘성의 남쪽’이라는 뜻이며, ‘성내미’라고도 한다. 이를 한자어로 표기한 것이 지금의 성남(城南)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법륜사에 있던 개항기에 제작된 불화. ‘법륜사’ 명(銘) 감로도는 1889년 망경암마애여래좌상[경기도 유형문화유산]을 조성한 조선 왕실의 종친인 이규승(李奎承)[1835~?]이 경기도 광주[현재 성남시 수정구]의 옛 사찰 법륜사에 봉안한 불화이다. 1939년 법륜사가 폐사하면서 서울 지장암으로 옮겨져 2008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71호 지정되었다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법륜사에 있던 개항기에 제작된 불화와 복장물. ‘법륜사’ 명(銘) 신중도는 1889년 망경암마애여래좌상[경기도 유형문화유산]을 조성한 조선 왕실의 종친 이규승(李奎承)[1835~?]이 경기도 광주[현재 성남시 수정구]의 옛 사찰 법륜사에 봉안한 불화이다. 1939년 법륜사가 폐사하면서 서울 지장암으로 옮겨져 2008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270호 지정되...
-
경기도 성남시에서 매년 개최하는 청소년 국제 음악 축제. 성남 국제 청소년 윈드 페스티벌은 청소년들이 음악으로 소통하는 축제의 장이다. 평소 접하기 어려운 다양한 클래식과 재즈를 소개하여 음악에 대한 관심을 넓히고, 새로운 음악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대상은 청소년으로 맞춰졌지만 모든 연령과 계층이 함께 즐길 수 있다. 음악을 통해 세계 문화를 접하자는 취지에서 각국의...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진 동호인 단체. 사진은 물체에서 반사된 빛과 같은 전자기적 발광을 감광성 기록재료 위에 기록하여 얻은 빛 그림, 즉 광화상을 말하며, 사진기를 이용하여 사물을 기록하고 표현하는 전 과정을 포함한다. 고가의 카메라를 구입하는 것은 물론 현상, 인화를 개인적으로 한다는 것이 쉽지 않아 전문가를 중심으로 사진 작업이 이루어져왔으나, 1990년대 이후...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전국 규모의 가요제. 성남 남한산성 전국 가요제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가 주최하고,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성남지회가 주관하여 개최하는 전국 규모의 가요제로, 성남시의 대표적인 대중문화 예술 축제의 하나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교회. 1973년 초 한국특수지역선교위원회[위원장: 박형규 목사]는 성남 지역 민중 선교를 위해 이해학 전도사를 보내 3월 1일 성남시 수진동에 한국기독교장로회 주민교회를 설립하게 하였다. 주민교회는 설립 초기부터 의료 선교 활동, 공장 여성 노동자들의 자치모임[아카시아회] 조직 등 성남 지역 빈민, 노동자들을 위한 선교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였...
-
경기도 성남시에서 민족 절기 중 하나인 백중[음력 7월 보름]을 즈음하여 지역의 문화운동 단체가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문화행사. 모내기와 김매기 등 바쁘고 힘든 노동의 시기가 지나고 호미씨세[호미 씻기]라고 하여 하루를 놀던 백중날을 기념하여 하는 놀이를 백중제 혹은 백중놀이라고 하였기에 ‘백중놀이한마당’으로 이름 붙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민족 절기 중 하나인 백중[음력 7월 보름]을 즈음하여 지역의 문화운동 단체가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문화행사. 모내기와 김매기 등 바쁘고 힘든 노동의 시기가 지나고 호미씨세[호미 씻기]라고 하여 하루를 놀던 백중날을 기념하여 하는 놀이를 백중제 혹은 백중놀이라고 하였기에 ‘백중놀이한마당’으로 이름 붙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봉국사의 불전. 성남 봉국사 대광명전은 1674년(현종 15) 왕명으로 축존화상이 창건한 봉국사 내에 있는 법당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계 수법으로 건축된 맞배지붕의 건물로 내부 중앙에 나무로 만든 아미타여래좌상이 있고 좌우로 관음보살, 지장보살을 모시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의 봉국사 대광명전에 있는 조선시대 불상. 봉국사 대광명전의 주존불(主尊佛)로서 조선시대인 1674년(현종 15) 대광명전이 건립될 때 함께 조성되었다. 좌우에 협시한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은 1993년에 조성된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위치하고 있는 봉국사대광명전에 소장된 불화. 봉국사대명광전의 본존불(本尊佛)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오른쪽 지장보살, 왼쪽 관음보상의 삼존불 뒤에 걸린 아미타불화(阿彌陀佛畵)이다. 2016년 7월 22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10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
-
성남시내버스 220번을 타고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을 출발해 판교를 따라 성남의 구시가지와 신시가지의 모습을 살펴보는 2시간 여의 짧은 여행. 성남 사기막골에서 출발하여 상대원과 성남시 의료원, 모란역을 거쳐 여수동 성남시청을 지나 야탑역 성남아트센터, 이매역, 서현역, 분당중앙공원을 지나 정자역, 한국잡월드, 판교도서관을 경유해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회차하는 성남시내버스 2...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실내 체육관. 성남 실내체육관은 주 경기장, 인조 잔디 구장, 씨름 경기장 등을 갖춘 종합 체육 시설인 성남 종합운동장의 주요 시설 중 하나이다. 성남 실내체육관은 농구, 배구, 핸드볼 등 각종 실내 스포츠 경기와 생활 체육 동호인들의 스포츠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각종 중·소형 행사 및 콘서트 등 다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약사사에서 봉안하고 있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지장보살과 명부의 시왕을 그린 불화. 성남 약사사 지장시왕도는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구원하는 지장보살과 명부(冥府)의 심판자인 시왕[十王]을 비롯한 여러 명의 권속(眷屬)을 담은 불화이다. 1880년 서울 화양사에서 조성한 불화를 2001년 5월 약사사가 이어받아 2017년 보존 처리를 마치고 성보관에 봉...
-
경기도 성남시에서 지역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통 지원 서비스. 교통약자인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여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 교통 서비스를 지원하여 장애인의 행복한 삶을 도모하고자 성남시 장애인복지택시 제도를 제정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전국 학생 국악 경연대회. 성남 전국 국악 경연대회는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펼쳐지는 국악 경연대회이다. 1986년에 처음 개최되어 2022년에 제37회를 치렀다. 한국국악협회 성남지부가 주최한다. 2021년 8월 28일 제36회 성남 전국 국악 경연대회에서는 판소리, 민요, 시조, 기악, 타악 등 각 분야에 많은 참가자가 몰려 행사를 성황리에...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전국 무용 경연대회. 성남 전국 무용 경연대회는 성남시에서 개최하는 전국 무용인 대상의 경연대회이다. 1986년에 처음 개최되어 2022년에 제37회를 치렀다. 대한무용협회 성남지부가 주최한다. 참가 대상은 전국 초·중·고 학생, 청소년, 대학생을 포함하는 일반인이다.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실용무용의 4개 부분으로 나누어 경연을 펼치고 수상자를 선...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전국 시조, 가사, 가곡 경연대회. 우리 선조들의 삶과 정서가 깃들어 있는 옛 시조와 가사, 가곡을 부르고 자웅을 겨루는 대회이다. 시조와 가곡은 ‘아정(雅正)한 노래’라는 뜻으로 ‘정가(正歌)’라고 불렸으며, 오늘날에는 정악 가운데 전통 성악곡으로 맥을 잇고 있다. 시조와 가곡은 우리 민족 고유의 운율인 4음보로 구성된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형식의...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의 성남시 지회.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성남지회는 교육 현안의 근본적인 해결을 모색하고, 학교 운영위원회 활동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화·교육 활동을 지원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매년 여름, 가을에 열리는 무료 야외 공연. ‘파크콘서트’와 ‘피크닉콘서트’는 시민들의 문화 향유의 기회를 충족시켜 문화 도시로서의 성남시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하여 각각 2012년과 2013년 성남문화재단 주최로 시작되었다. ‘파크콘서트’는 자연과 음악, 관객이 어우러지는 무료 야외 콘서트로, 매년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성남 분당중앙공원 야외공연장에서 개최된다. ‘...
-
경기도 성남시에서 펼쳐지는 판소리 대공연. 성남 판소리 큰잔치는 성남시 전통소리연구회가 매년 개최하는 판소리 한마당이다. 2003년 우리 판소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처음 기획되었다. 2008년 첫 공연을 시작으로 2022년 제14회 공연을 펼쳤다. 2021년에는 코로나19 감염증 확산으로 비대면 공연을 촬영하여 성남시민에게 유튜브 방송으로 공개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하는 게임문화 축제. GXG[성남게임문화축제]는 성남시가 게임 산업 발전과 게임문화 콘텐츠 진흥을 위하여 주최하는 행사이다. 2023년 9월 8~9일까지 제1회 행사인 ‘GXG 2023’이 판교역 광장 등에서 개최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성남고등학교의 캐치프레이즈는 미래를 설계하는 학교, 꿈을 키워주는 학교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사람을 기른다. 둘째, 자신의 말과 행동에 책임질 줄 아는 사람을 기른다. 셋째, 건전한 정신과 튼튼한 몸을 지닌 건강한 사람을 기른다. 넷째, 꿈을 갖고 열심히 노력하는 미래지향적인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개최되었던 고등 학생들의 연극제. 성남고교연극제는 성남종합예술제의 한 분야로 성남 관내 청소년 연극 인구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한국연극협회 성남지부에 주최하였던 연극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성남고등학교의 캐치프레이즈는 미래를 설계하는 학교, 꿈을 키워주는 학교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사람을 기른다. 둘째, 자신의 말과 행동에 책임질 줄 아는 사람을 기른다. 셋째, 건전한 정신과 튼튼한 몸을 지닌 건강한 사람을 기른다. 넷째, 꿈을 갖고 열심히 노력하는 미래지향적인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소속 지청.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은 경기 동부 지역인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하남시, 여주시와 양평군을 관할하고 있으며, 실업자에 대한 실업급여 지급, 구직자에 대한 맞춤형 일자리 제공, 근로자의 권익 보호와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성남지청 산하의 공공기관. 성남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지역의 유관 기관 및 단체들로 구성된 지역 고용 관리 조직을 구성하여 지역 고용 대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현실에 맞는 특화된 고용 대책 방안 도출하기 위한 지역 밀착형 공공 서비스 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성남지청 산하의 공공기관. 성남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지역의 유관 기관 및 단체들로 구성된 지역 고용 관리 조직을 구성하여 지역 고용 대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현실에 맞는 특화된 고용 대책 방안 도출하기 위한 지역 밀착형 공공 서비스 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교사 플룻 연주 단체. 음악을 통하여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청소년들의 음악적 심성을 길러 아름다운 정서를 함양시키고자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열리는 성남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영화제. 성남 교육영화제는 2016년 ‘유스필름페스티벌’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최되었다. 2020년 제4회부터는 ‘성남 교육영화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성남 교육영화제의 목적은 교육 및 사회문제, 청소년 문제를 테마로 교육 문제를 깊이 있게 바라보고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 변화를 모색하는 데 있다. 청소년을 주인공으로 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육 행정 기관. 경기도 성남교육지원청은 교육 격차 해소로 교육 복지 실현, 주도성과 창의성을 키우는 학교 교육과정 지원을 지표로 삼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육 행정 기관. 경기도 성남교육지원청은 교육 격차 해소로 교육 복지 실현, 주도성과 창의성을 키우는 학교 교육과정 지원을 지표로 삼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대한성공회 소속 교회. 성공회는 16세기 영국 종교개혁의 과정에서 등장한 교회로서 가톨릭과 개신교의 중도[via media]를 표방하여 왔다. 현재 전 세계 160여 개국에 7,000여만 명의 신자가 있다. 성남시의 경우 성남교회가 1978년, 분당교회가 1999년에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구미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었던 국악 전문 연주 관현악단. 성남국악관현악단은 성남시 최초의 국악 관현악단으로 성남문화예술제 축하 공연, 정기 공연 등 꾸준한 활동을 하였으나 2006년 성남시립국악관현악단의 창립으로 구심력이 취약해져 2006년 자진 해단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었던 국악 전문 연주 관현악단. 성남국악관현악단은 성남시 최초의 국악 관현악단으로 성남문화예술제 축하 공연, 정기 공연 등 꾸준한 활동을 하였으나 2006년 성남시립국악관현악단의 창립으로 구심력이 취약해져 2006년 자진 해단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국악제. 성남국악제는 성남 지역 민간 예술인 한마당인 성남문화예술제 축제 기간에 성남예총의 9개 회원단체 중 하나인 한국국악협회 성남시지부에서 주관하는 행사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국악협회 소속 성남시 지부. 한국국악협회 성남시지부는 1979년 창립하여 성남국악제와 성남 전국 학생 국악 경연대회를 비롯하여 성남 한가위 국악큰잔치, 성남시 장수무대 등을 연례 사업으로 주관하는 등 성남시를 대표하는 공인 국악 단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열렸던 국제 무용 행사. 성남국제무용제는 성남문화재단이 추진하는 국제적인 무용 축제로 성남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무용계의 국제적 교류와 더불어 성남시민들에게 높은 수준의 무용 공연에 참여하고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개최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성남아트센터에서 개최되는 국제 청소년 관현악 축제. 청소년들에게 오케스트라의 경험을 키워주고, 국제 청소년 오케스트라와의 교류를 통해 우애 증진과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성남문화재단의 주최로 성남국제청소년관현악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성남아트센터에서 개최되는 국제 청소년 관현악 축제. 청소년들에게 오케스트라의 경험을 키워주고, 국제 청소년 오케스트라와의 교류를 통해 우애 증진과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성남문화재단의 주최로 성남국제청소년관현악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연극 공연 단체. 극단 동선은 성남 지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성남을 대표하는 극단이라 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개신교 사회단체. 성남YMCA[성남기독교청년회]는 한국YMCA전국연맹 소속 성남 지역 조직으로 분당구 구미동에 회관이 있다. YMCA는 선교에 목적을 둔 청년들의 자발적 결사체였으나 도시 단위, 지역 단위, 전국 단위 나아가서는 세계적인 차원의 시민운동으로 발전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노숙인 자활 시설. 1970년대 서울의 빈민가 정비 및 철거민 이주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성남시는 수정구와 중원구, 분당신도시, 판교신도시를 아우르는 인구 100만의 거대 도시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시민의 약 10% 정도가 저소득층이며, 복정동 인력시장이 형성 될 정도로 단순 노무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다. 성남시에는 150여명의 시설 및 거리 노숙자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농아(聾啞)란 청각·언어 장애인으로 말도 못 하고 소리도 듣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농아인은 극히 적고, 듣지 못하는 농자(聾者)가 대부분이다. 농아 선교는 농아인을 대상으로 하는 선교이므로 말이 아닌 수화(手話)를 사용해야 하는 특수성이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었던 농악 경연 대회. 성남농악경연대회는 매년 성남에서 활동하고 있던 농악단이 그동안 쌓은 실력을 시민들 앞에서 겨루는 동 대항 농악 경연 대회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한국농악보존협회 소속 지회. 한국농악보존협회 성남지회는 우리나라 전통예술을 바탕으로 한 농악, 사물놀이, 전통연희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사단법인 국악 단체이다....
-
성남시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주요 간선도로. 수정구 복정동 서울시계부터 분당구 구미동 용인시계까지 성남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대표적인 간선도로로 성남시 도로망의 척추에 해당하는 길이다. ‘성남대로(城南大路)’라는 명칭 역시 이 도로가 갖는 중요성에 기반하여 2002년 2월 성남시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사업에서 확정되었다. 왕복 포장 8~10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15.668㎞이며 도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도시개발사업 관련 공기업. 성남도시개발공사는 성남 시민을 위한 건강한 도시 환경과 살기 좋은 지역사회 개발을 위해 설립한 지방 공기업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성남시가 개발되기 이전부터 중부면 일대에서 가장 먼저 개척된 지역의 하나여서 상징적으로 성남동이라 불리게 되었다. 지형이 대체로 평탄하고, 성남대로,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 수인분당선과 지하철 8호선이 교차하는 교통 요충지이자 상업 중심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성남지구 소속 성당. 1982년 2월 8일 교세가 확장됨에 따라 수진동성당에서 분리하여 성남동·하대원동·중동[현 중앙동] 일부와 분당구 전체를 관할하는 본당으로 설립되었다. 1993년 1월 7일 분당성요한성당이 성남동성당에서 분리되어 설립됨으로써 지금은 성남동·하대원동 전역과 중앙동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고 의롭게’이며, 체력을 단련하고 풍부한 정서를 지닌 건강인, 어른을 공경하고 남을 존중할 줄 아는 도덕인, 자주적으로 학습하고 새롭게 탐구하는 자주인, 상부상조 생활로 협동 봉사를 실천하는 협동인, 민주의식이 투철하고 애국애족하는 애국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고 의롭게’이며, 체력을 단련하고 풍부한 정서를 지닌 건강인, 어른을 공경하고 남을 존중할 줄 아는 도덕인, 자주적으로 학습하고 새롭게 탐구하는 자주인, 상부상조 생활로 협동 봉사를 실천하는 협동인, 민주의식이 투철하고 애국애족하는 애국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꿈과 사랑이 있는 활기찬 학교, 재미와 감동이 있는 행복한 교실을 추구하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자주인], 더불어 사는 어린이[세계인],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인], 감성을 지닌 어린이[문화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꿈과 사랑이 있는 활기찬 학교, 재미와 감동이 있는 행복한 교실을 추구하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자주인], 더불어 사는 어린이[세계인],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인], 감성을 지닌 어린이[문화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를 중심으로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락 그룹이 중앙공원 야외공연장에서 진행했던 공연. 2005년 8월 27일에 공원별 테마사업으로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성남지부[현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성남지부]가 주최하고 성남시, 성남문화연대, 분당id 등의 후원 하에 제1회 성남락페스티벌을 진행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자원 봉사 단체. 성남로타리클럽은 경기 동부 지역의 90여 개 클럽이 소속된 국제로타리(Rotary International) 3600지구 소속으로, 1974년 성남 지역에서는 최초로 설립된 로타리클럽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위치했던 실내 인라인스케이트장. 성남인라인스케이트장은 성남종합운동장 내에 위치했던 실내 체육 시설로 계절 및 날씨에 관계없이 시민들이 생활 체육을 즐길 수 있도록 상시 개방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지역 자활 단체.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는 재단법인 포교성베네딕도수녀회에서 설립하여 소득 지원 사업, 일자리 창출 사업, 구인 구직 알선, 자활 자립 교육 및 정보 제공, 생업 자금 융자 알선 등 성남 지역 저소득층의 자립과 자활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사랑, 지혜’이다. 스스로 계획하여 실행하는 어린이[자주인], 호기심을 키워 궁리하는 어린이[창의인], 여러 문화를 이해하고 누리는 어린이[문화인], 배려하고 나누며 더불어 사는 어린이[세계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사랑, 지혜’이다. 스스로 계획하여 실행하는 어린이[자주인], 호기심을 키워 궁리하는 어린이[창의인], 여러 문화를 이해하고 누리는 어린이[문화인], 배려하고 나누며 더불어 사는 어린이[세계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무용 단체. 성남무용단은 성남 지역 향토 무용계의 대모로 추앙되고 있는 한국 무용가 정금란의 문하생인 성남무용학원 동문들이 모여 구성한 성남 최초의 무용단으로 현재까지 성남 지역 무용계를 주도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대한무용협회 소속 성남시 지부. 대한무용협회 성남지부는 1985년 4월 25일 정금란이 주도하여 창립된 성남 무용계를 대표하는 공인 무용 단체로 성남 지역 무용 예술의 발전과 국내외 무용 예술의 교류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1986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 창립 시 회원 단체로 참가하여 현재까지 성남 지역 문화 예술계와의 연계와 교류를...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이며, 다르게 생각하고 도전하는 창의인, 주도적으로 진로를 계발하는 탐구인, 소통과 협력으로 더불어 성장하는 민주시민,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세계시민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이며, 다르게 생각하고 도전하는 창의인, 주도적으로 진로를 계발하는 탐구인, 소통과 협력으로 더불어 성장하는 민주시민,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세계시민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소속 성남 지역 지부.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는 성남이 시로 승격한 직후인 1975년 창립한 성남을 대표하는 문학단체로, 지역 향토문학의 발전을 위하여 지난 50여 년간 교육, 창작, 문집 발간, 문학 행사, 시상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었던 문학 단체. 성남문학동인회는 성남시 초기에 설립된 문학단체 중 하나로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 창립의 모태가 되었던 단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에서 제정, 시행하는 문학상. 성남문학상은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에서 지역 문인의 창작 의욕 고취와 향토문학 발전을 위해 훌륭한 작품을 쓰는 문인을 선정하여 매년 시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문학인들과 성남 시민들이 참여하는 문학 행사. 성남문학축전은 문화 예술을 사랑하는 성남 시민과 성남에서 활동하는 문학인들이 만드는 축제의 한마당이다. 성남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문학인들이 한 자리에 모여 교류하며 성남 시민들과 함께 문학 정신을 공유하는 자리이다. 2014년 처음으로 개최되어 2022년 제9회 행사를 치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소속 성남 지역 지부.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는 성남이 시로 승격한 직후인 1975년 창립한 성남을 대표하는 문학단체로, 지역 향토문학의 발전을 위하여 지난 50여 년간 교육, 창작, 문집 발간, 문학 행사, 시상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지역의 문화유산과 역사의 흔적들을 보존하는 의미로 세운 비. 1970년대 이후 성남시는 급격한 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지역의 전통과 역사, 문화가 훼손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되는 등 정체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성남시의 역사와 정체성을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 상징비를 설치할 필요를 확인하고 성남문화상징 비 세우기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문화 예술 단체. 성남에서는 최초로 문화를 생산하고 나누는 문화생활 협동조합을 표방한 단체로 매월 정기적인 공연을 통해 소규모 문화 활동 그룹이나 개인들의 문화 활동을 활성화시키고, 교회, 사찰, 영화관, 공연장 등 주민을 찾아다니는 공연을 통해 시민들에게 문화 공연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하는 성남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행사. 성남문화예술제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가 주최하고, 문인·국악·연예·미술·연극·음악·무용·사진작가·영화인협회 등 9개 지역 예술인 단체가 분야별로 다양한 예술 행사를 여는 성남시의 대표적인 종합 예술 축제의 하나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미술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 회원들의 작품 전시회. 성남미술협회전은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에서 성남시의 미술협회 회원들의 친목과 미술 문화의 증진을 위해 개최하는 전시회로서 성남에서 가장 오래된 미술 전시회이며, 2000년부터 우수 작가상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 회원의 사진 작품전.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는 1988년 3월 31일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 발기총회’를 개최하고, 4월 9일 창립이 인준되어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 회원단체가 되었다. 성남종합예술제와 병행하여 성남사진작가 회원전을 연례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지역 문화 예술 진흥 기관. 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해 시·군·구 단위에 설립되는 특별 법인이다. 향토사 연구, 문화 교육 등 지역 전통문화의 발굴·보존과 각종 문화 행사를 주최하는 등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방문화원을 지원해야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성남문화원 부설 연구 단체.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는 1993년 향토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성남문화원 부설 연구 기관으로 만들어진 향토문화 연구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주민 문화 시설. 성남문화의집은 수정구 신흥1동에 있는 소규모 복합 문화 공간으로, 성남 시민이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문화 관람실, A/V 관람실, 강의실, 전시실 등의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문화 예술 재단. 성남문화재단은 2004년 12월 1일[설립 등기일] 설립된 성남시 산하 문화예술 기관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정책 생산과 시설 관리, 시민 문화 활성화 사업 등 지역문화와 관련한 전반적인 사업을 관리, 운영하고 있다....
-
상대원 사람들 이야기는 성남시 상대원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이야기북)로 재구성한 것으로,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라틴 아메리카의 작가 마르케스가 자신의 자서전에 쓰고 있듯이, “삶은 한 사람이 살았던 것 그 자체가 아니라, 현재 그 사람이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기억을 어떻게 이야기...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하는 성남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행사. 성남문화예술제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가 주최하고, 문인·국악·연예·미술·연극·음악·무용·사진작가·영화인협회 등 9개 지역 예술인 단체가 분야별로 다양한 예술 행사를 여는 성남시의 대표적인 종합 예술 축제의 하나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미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꿈과 끼를 함께 끼워 미래와 지금의 삶이 행복한 학교’를 지향하며, 공감과 협력으로 행복의 삶을 함께 드림(Dream), 스스로 배우고 생각하는 창의 삶을 다르게 드림(Dream), 건강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건강의 삶을 이롭게 드림(Dream)이 교육목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미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꿈과 끼를 함께 끼워 미래와 지금의 삶이 행복한 학교’를 지향하며, 공감과 협력으로 행복의 삶을 함께 드림(Dream), 스스로 배우고 생각하는 창의 삶을 다르게 드림(Dream), 건강한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건강의 삶을 이롭게 드림(Dream)이 교육목표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미디어 교육 단체. 성남미디어공동체 늘봄은 단순한 영상 제작이나 기술 교육을 넘어 소통과 나눔을 위한 미디어 교육과 활동을 하는 미디어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전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미술 전시회. 모란현대미술대전은 1986년 9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부 창립 직후 성남 미술인의 창작 의욕을 높이고 신인 작가를 발굴,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성남미술대전이라는 행사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술인에게 수여하는 상. 성남미술상은 매년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 송년회 때 작가로서의 창작성과성남미술협회에 봉사활동을 기준으로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 이사회에서 결정하여 시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 되었던 미술 축제. 성남미술제는 성남시 미술인들의 활동을 돕고 친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의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미술협회 소속 성남시 지부. 한국미술협회는 민족 미술의 향상 발전을 도모하고, 미술가의 권익을 옹호하며, 국제 교류와 미술가 상호 간의 협조를 목적으로 1961년 12월 18일 설립되었으며,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는 1983년 5월 18일 성남미술협회 창립 발기인대회를 거쳐 1983년 9월 27일에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로 인준을 받았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미술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 회원들의 작품 전시회. 성남미술협회전은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에서 성남시의 미술협회 회원들의 친목과 미술 문화의 증진을 위해 개최하는 전시회로서 성남에서 가장 오래된 미술 전시회이며, 2000년부터 우수 작가상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민족미술인협회 소속 지부. . (사)한국민족미술인협회 성남지부는 민족 문화와 민족 미술의 발전을 지향하는 성남 지역 미술인들의 상호 연대와 공동 실천을 통하여 한국 예술 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족 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소속 지부.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성남지부는 2002년에 설립하였으며 굿위원회, 극위원회, 음악위원회, 문학위원회, 춤위원회, 시각매체위원회, 무예위원회, 사진위원회 등 8개의 갈래[장르]위원회가 있다. 각계 시민 사회 단체와 연대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바람개비 콘서트, 백중제, 송년아리랑, 해맞이 한마당 등 성남 시민...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중앙동에 있었던 민중 운동 관련 시민단체. 민족자주 민주주의 민중생존권 쟁취 성남민중연대는 성남 지역 민중 운동 진영의 대표적 연대 기구로 민족의 자주와 평화통일, 민중의 생존권 확보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단체들의 연대 모임이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창작 동요 경연대회. 박태현전국창작동요제는 2000년에 열린 제1회 성남시전국창작동요제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는 창작 동요제로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가 주최하고,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와 박태현추진위원회가 주관하며, 매년 8월에 접수하여 10월에 본선을 진행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사회단체. 성남발전연합은 성남 지역의 각종 현안에 대한 연구 조사와 관련 정보, 자료의 축적, 간행물 발간, 캠페인 등의 활동을 통하여 방향과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성남 지역의 발전과 올바른 지방 자치의 모델을 내보여 시민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민족 절기 중 하나인 백중[음력 7월 보름]을 즈음하여 지역의 문화운동 단체가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문화행사. 모내기와 김매기 등 바쁘고 힘든 노동의 시기가 지나고 호미씨세[호미 씻기]라고 하여 하루를 놀던 백중날을 기념하여 하는 놀이를 백중제 혹은 백중놀이라고 하였기에 ‘백중놀이한마당’으로 이름 붙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지하철 8호선 역. 남한산성입구역은 1996년 11월 23일에 개통된 서울 지하철 8호선 전철역으로 산성역과 단대오거리역 사이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중소·벤처 기업 지원 기관. 성남산업진흥원은 기초자치단체로서는 성남시가 전국 최초로 설립·운영하고 있는 중소·벤처 기업 지원 기관이다. 중소·벤처 기업 육성 지원, 종합 무역 투자·정보 제공, 국내외 마케팅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벤처기업 집적 시설. 성남벤처빌딩은 성장 잠재력이 우수하고 신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창업 초기 기업의 조기 성장을 위하여 설치·운영되는 시설이다....
-
경기도 성남시를 관할하는 법무부 수원보호관찰소 소속 지소. 보호관찰소는 선고 유예나 가석방 등의 처분을 받은 범죄자에 대한 선도 및 교화 업무를 담당하는 법무부 산하 기관이다. 1988년 12월 31일 제정된 「보호관찰법」[법률 제4059호]에 따라 1989년 7월 서울·인천·수원·춘천·청주·대전·대구·부산·마산·광주·전주·제주 등에 총 12곳의 보호관찰소가 설치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장애인부모회 소속 지부. 1996년 정신 지체인의 권익 보호를 위한 성남부모회로 시작하여 정신 장애, 발달 장애, 시각·청각·뇌성 마비 등 본인 스스로 권익 옹호가 힘든 장애 자녀를 대변하기 위해 1999년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부모회 성남시지부로 출범하였다. 장애 자녀를 둔 성남시 거주 부모들이 하나가 되어 자녀 양육 및 재활 정보를 교환하고...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어린이, 스스로 노력하고 사고하며 창조하는 어린이, 질서를 지키고 자율적이며 서로 돕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즐겁게 생활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어린이, 스스로 노력하고 사고하며 창조하는 어린이, 질서를 지키고 자율적이며 서로 돕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즐겁게 생활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분당구 관할 관할 우편·체신·금융 관련 공공기관. 시·군·구 등의 기초 자치 단체 단위로 1국이 설치되는 집배국인 성남분당우체국은 성남시 분당구 전역의 우편 업무를 총괄한다. 우편·체신 업무와 더불어 금융 업무를 담당하며, 분당구 관할 하에 7개 관내국, 6개 취급국을 두고 있다....
-
1989년 9월 경기도 성남시 분당신도시의 대규모 개발에 앞서 개발예정지 내에 산재하는 각종 문화유적에 대하여 실시한 지표조사. 정부에서 수도권의 주택난 해소와 인구분산을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동 일대 약 540만평을 주택건설지역으로 지정하면서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실시하였다. 이로써 이 지역의 지형적인 변화는 물론 국산유산과 생태계의 파괴 및 주민생활과 전통문화의 변화에 직면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 일대에 있는 군용비행장. 공군성남기지는 군용 항공기 이착륙장으로 사용된 군용비행장이며, 대한민국 공군이 관할하는 공군 기지로 군용기뿐 아니라 대통령 전용기나 외국 귀빈이 주로 이용한다. 이 때문에 서울공항으로 불리기도 하며, 성남에 있는 비행장이라 성남비행장으로도 부른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조선 후기 여류 문인 정일당 강씨를 추모하며 매년 7월 성남시청 광장에서 개최하는 글짓기 대회. 성남사랑 글짓기대회는 성남 지역 청소년 문필가의 등용문으로 잘 알려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조선 후기 여류 문인 정일당 강씨를 추모하며 매년 7월 성남시청 광장에서 개최하는 글짓기 대회. 성남사랑 글짓기대회는 성남 지역 청소년 문필가의 등용문으로 잘 알려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제작한 재래시장 이용 상품권. 성남사랑 상품권은 2006년 7월부터 성남시가 추진해 온 재래시장 특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제도이다. 유통시장의 개방화 이후 대형마트와 인터넷 쇼핑몰 등 새로운 업태가 확산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의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재래시장을 활성화하고 지역 상권 공동체를 형성하여 경쟁력을 높이며 시민들의 재래시장 이용을 늘려 재래시장...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학생 글짓기 대회. 성남사랑 학생 창작 글짓기대회는 학생들의 글쓰기 역량을 높이고 정서 함양을 위해 1973년부터 개최되었다. 당시 시민의 날 기념으로 개최되었던 백일장을 2001년부터 ‘성남사랑 학생 창작 글짓기대회’로 명칭을 새로 지어 시행했다. 매년 입상한 작품은 『성남사랑』이라는 책으로 엮어 배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었던 사이버 관련 문화 축제. 전국 최초의 사이버 관련 시민 축제로 성남사이버문화제 추진위원회가 주관하였다. 행사 내용은 정보올림피아드, 컴퓨터 관련 사무 능력, 컴퓨터게임대회 등 경진대회 형식을 취하였다. 1999년 제1회 문화제를 시작하여 2006년 제8회 문화제를 끝으로 현재는 없어진 행사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진 단체 연합체.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는 성남 지역을 대표하는 단체 중 하나로, 지역에서 개별적으로 활동하고 있던 사진 단체들의 교류와 지역 사진 문화 예술의 발전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진 단체 연합체.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는 성남 지역을 대표하는 단체 중 하나로, 지역에서 개별적으로 활동하고 있던 사진 단체들의 교류와 지역 사진 문화 예술의 발전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사진 전시회.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 회원전은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 소속의 사진 동호회 회원들이 함께 참여하여 진행하는 사진전으로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 회원전’ 혹은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 작품전’이라 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사진 전시회.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 회원전은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 소속의 사진 동호회 회원들이 함께 참여하여 진행하는 사진전으로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 회원전’ 혹은 ‘성남사진단체총연합회 작품전’이라 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생활하는 직장인 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진 촬영 대회. 성남시민사진촬영대회는 지역 사진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아마추어 사진 동호인들의 창작열을 고양시킬 목적으로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 주관으로 시행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 회원의 사진 작품전.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는 1988년 3월 31일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 발기총회’를 개최하고, 4월 9일 창립이 인준되어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 회원단체가 되었다. 성남종합예술제와 병행하여 성남사진작가 회원전을 연례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시민 연합 단체. 2001년 6월 26일 성남환경운동연합, 성남참여자치시민연대, 성남청년대학, 성남YMCA, 성남문화연대, 성남여성의 전화, 분당환경시민의 모임 등 20개 성남 지역 시민 사회 단체가 상설적인 연대체를 구성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 일원에 위치한 경공업 중심의 산업단지. 성남산업단지 제1공단은 1970년대 초반 서울의 남부 위성 도시에서 경공업 육성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고용을 촉진하고, 주민들의 생활 안정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산업 단지이지만, 2007년부터 공단의 기능을 상실한 채 철거되어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조성되어 있는 산업 단지. 서울의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 성남시는 공해 없는 경공업 도시 건설을 표방할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성남시 자체의 자립 도시 건설 계획인 동시에 정부의 수도권 관리 정책의 목표이기도 했다. 이러한 방향에 따라 지역 내의 공업 단지 조성 계획은 당초의 광주 대단지 개발 계획에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최초의 계획 면적은 성남산업단...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성남산업단지 관리 운영 기관. 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은 성남산업단지 입주 업체의 입주 업무 안내 및 생산 활동 지원과 근로자 복지 후생에 대한 지원 업무 등의 관리 및 운영을 맡고 있는 법인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중소·벤처 기업 지원 기관. 성남산업진흥원은 기초자치단체로서는 성남시가 전국 최초로 설립·운영하고 있는 중소·벤처 기업 지원 기관이다. 중소·벤처 기업 육성 지원, 종합 무역 투자·정보 제공, 국내외 마케팅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
경기도 성남시의 성남상공회의소에서 성남 지역 상공인을 대상으로 수여하는 상. 성남상공대상은 성남 지역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지역 경제 발전에 헌신 노력하는 중소기업 경영인과 근로자, 공직자를 발굴 포상함으로써 경영 의욕을 높이고 좋은 근로 분위기를 확산시켜 지역 경제에 활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침체된 기업 분위기를 일신하여 우수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자부심을 높이고 기업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상공인 경제 단체. 상공회의소는 글로벌 경제 단체로 프랑스에 본부를 둔 국제상업회의소[ICC]를 중심으로 전 세계 132개국 주요 도시에 설립된 세계 최대의 국제 민간 경제 기구이다. 상공업의 개선, 발전과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성장 및 국제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국내 경제계를 대표하는 상공회의소는 1884년 설립된 대한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던 생활체육 단체. 성남시 생활체육회는 성남 시민의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해 다양한 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생활체육을 지원한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하는 아마추어 동호인들의 축제. 성남생활문화동호회축제는 성남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아마추어 생활문화동호회[인]의 전시, 공연, 체험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문화예술 동호인들의 교류와 생활 문화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시민 문화축제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성남서고등학교[현 성남고등학교] 동문회. 동문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모교와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서예인 단체. 1997년 1월 서예를 통한 성남시 문화 발전에 힘쓴다는 취지하에 서예가 소암 허윤희를 초대 회장으로 추대하여 창립하였다. 이후 2대 김영실(1999. 12. 23~2000. 6. 3), 3대 유경식(2000. 7. 8~2003. 3. 8) 등이 회장직을 맡아 활동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 정직’이며, 민주의식이 투철하고 애국하는 사람, 사고하고 창의적으로 대응하는 사람, 세계시민의 자질을 갖춘 교양 있는 사람, 튼튼한 몸과 건전한 생각을 가진 사람, 더불어 돕고 봉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 정직’이며, 민주의식이 투철하고 애국하는 사람, 사고하고 창의적으로 대응하는 사람, 세계시민의 자질을 갖춘 교양 있는 사람, 튼튼한 몸과 건전한 생각을 가진 사람, 더불어 돕고 봉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어린이들 개개인의 잠재된 능력과 창의성을 개발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즐겁고 의욕적인 학교생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교육적 성장 발달에 적절한 보상으로 성취 의욕을 강화하여 조화로운 인격 형성 및 전인교육 실현과, 다양한 소질 계발과 특기를 길러 21세기를 대처해 나가는 유능한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어린이들 개개인의 잠재된 능력과 창의성을 개발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즐겁고 의욕적인 학교생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교육적 성장 발달에 적절한 보상으로 성취 의욕을 강화하여 조화로운 인격 형성 및 전인교육 실현과, 다양한 소질 계발과 특기를 길러 21세기를 대처해 나가는 유능한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성폭력 상담소. 성폭력 상담 시 의료 및 법률 지원을 통해 성폭력 피해자를 돕고, 상담을 통하여 피해자가 심리적인 안정감을 가지고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세계 각국의 민속 예술 공연단을 초청하여 열었던 축제. 성남세계민속예술축제는 2001년부터 매년 세계 각국의 민속 예술 공연단을 초청하여 열었던 행사로 2006년에 탄천페스티벌로 통합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관세 행정 기관. 성남세관은 관세청의 산하기관으로, 재정 수입의 확보와 국내 산업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조세를 부과·징수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성남시 관할 세무 행정 기관. 성남세무서는 성남시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 전체 지역을 관할하며 각종 세무 신고, 세무 조사, 세무 징수 업무를 수행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수정구·중원구 관할 소방 행정 기관. 성남소방서는 1975년 4월 1일 설치되고 2022년 5월 30일 신청사를 개청하여 수정구, 중원구 일원 36개 동의 소방 업무를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성남소방서 소속 비상설 소방대. 성남소방서 의용소방대는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비상설 소방대로, 성남 지역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소비자 단체.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성남지부는 소비자운동 확산의 일환으로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의 첫 번째 지부로 개설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꿈은 크게, 생각은 지혜롭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예절 바르고 더불어 사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여 꿈을 기르는 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꿈은 크게, 생각은 지혜롭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예절 바르고 더불어 사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여 꿈을 기르는 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수정구 관할 치안 행정 기관. 성남수정경찰서는 1966년 성남 지역 최초로 설치된 경찰서로, 성남시 수정구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의 경찰권을 운영하는 경찰 행정기관이다. 성남중원경찰서, 분당경찰서와 함께 경기남부경찰청 소속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구립 여성 합창단. 수정구 여성합창단은 1993년 5월 3일에 수정구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만든 여성 합창단으로 수정구 어머니합창단 또는 수정구 여성합창단으로 불린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착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탐구하며 창조하는 어린이[실력인], 꿈과 끼를 키우는 어린이[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착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탐구하며 창조하는 어린이[실력인], 꿈과 끼를 키우는 어린이[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하수처리장. 하수처리장은 가정을 비롯한 각종 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수 중의 유해 물질이나 오염물질을 걸러내 마지막으로 하천에 내보내는 곳이다. 하수 슬러지[침전물]의 잔여 유기물이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악취 문제로 흔히 혐오 시설로 취급된다....
-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도시. 성남시는 경위도 상 북위 37°19´~37°28´, 동경 127°01´~127°11´의 위치에 있다. 동쪽 끝은 중원구 상대원동, 서쪽 끝은 분당구 석운동, 남쪽 끝은 분당구 구미동, 북쪽 끝은 수정구 창곡동이다. 서울의 위성도시로서 서울의 중심에서 남동쪽으로 약 20㎞ 거리에 있으며 동쪽은 광주시, 서쪽은 과천시와 의왕시, 남쪽은 용인시, 그리고 북쪽...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온라인 건강 지원 기관. 온라인 건강 증진 센터로 건강 생활 실천을 통한 건강 증진을 위해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9년 현재 이용자 수가 적어 인터넷 서비스가 중지될 전망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가정 복지 기관. 성남시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성남에 거주하고 있는 개인이나 가족을 대상으로 가정 문제의 예방, 상담 및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건강한 가족문화운동을 전개하고 가정과 관련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는 등 전문적인 가족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검도 단체. 성남시 검도회는 성남 시민에게 검도의 중요성을 알리고 보급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수련을 쌓게 하고, 이를 통하여 시민 체력 증진과 정신건강 함양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1998년부터 벌어진 건축물 고도 제한과 관련한 사회운동. 광주대단지사건을 거쳐 지난 1973년 조성된 성남시 지역은, 서울공항[공군성남기지]이 수정구 둔전동에 자리하여 건축 고도가 12m로 제한되어 있었다. 이에 원도심[수정구·중원구] 주민들이 고도제한완화운동을 진행하여 건축물 규제가 45m[최대 15층]까지 상향되었으나, 분당신도시가 조성되고 도시가 팽창·발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골프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골프 문화와 마찬가지로 성남시에서도 1980~1990년대 초기에는 동호인 위주로 골프가 시작되었고, 이후 경기도체육대회 참가를 계기로 골프를 좋아하는 관내 골퍼들의 소규모 모임이 생겨났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구미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 연합 조직. 성남시 국공립어린이집연합회는 성남 지역 어린이집의 발전과 보육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하여 힘쓰며, 보육 시설 상호 간 친목을 도모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궁도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궁도협회는 우리 고유의 민속경기인 궁도[국궁]를 성남 시민에게 널리 보급하여 시민 체력 향상과 건전하고 명랑한 기풍을 진작하고, 향토문화와 엘리트 체육을 접목함으로써 민족의 얼과 혼을 계승 발전시킬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근로자 종합 복지 시설. 성남 지역 근로자들을 위한 노동복지 및 사회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성남시 근로자종합복지관은 성남산업단지와 인접하고 남한산성 자락과 연결되어 있어 근로자 및 근로자 가족, 시민들의 이용이 활발하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노인보건센터. 성남시 노인보건센터는 국가적으로 당면한 고령화사회를 맞아 급증하는 노인성질환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건립한 전국 최초의 보건·의료·복지 통합 서비스 기관이다....
-
성남시 거주 노인들의 취미 활동을 위해 성남시 주최로 매년 시행되고 있는 휘호대회. 성남시 노인휘호대회는 성남 지역에서 서예를 취미로 활동하고 있는 노인들이 그동안 배우고 익힌 솜씨를 뽐내는 문화 활동의 장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논골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농수산물 유통센터. 성남시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는 ‘언제나 신선한 농산물을 매일 저렴한 가격으로[Anytime fresh food, Everyday low price]’라는 슬로건과 같이 소비자가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최상품의 산지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농수산물 유통센터. 성남시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는 ‘언제나 신선한 농산물을 매일 저렴한 가격으로[Anytime fresh food, Everyday low price]’라는 슬로건과 같이 소비자가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최상품의 산지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농업 기술 지원 기관. 성남시 농업기술센터는 도심 외곽의 농업인에게는 친환경 농업 기술과 정보를 보급하고 시민에게는 농업의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한 다양한 농사 체험과 생활 농업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럭비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2002년 4월 창립총회를 거쳐 성남시체육회로부터 인가를 받은 가맹경기단체이다. 성남시의 뜻있는 럭비인들이 모여 보다 체계적인 육성지원으로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어 성남시민의 체력 증진 및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무지개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으로 성...
-
경기도 성남시가 향토 문화와 민속문화 발전에 공로가 있는 자에게 수여하는 상. 성남시 문화상은 1993년부터 성남시에서 학술·예술·교육·체육 발전에 공적이 큰 시민을 발굴·시상하는 상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조성한 기금. 성남시 문화예술발전기금은 1999년 2월 27일에 「성남시 문화예술발전기금설치 및 운용조례」가 제정되어 설치되었고, 1999년 5월에 시행 규칙이 제정되었다. 1999년 5억 원을 시작으로 2005년까지 매해 5억~10억 원씩 적립하여 2007년 말 기준 53억 6200만 원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민간·가정 어린이집 연합 단체. 성남시 민간·가정어린이집연합회는 성남시의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공공성 확보 및 제도 개선을 이행하며 영유아 보육 사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민방위대. 1975년 9월 1일 자로 민방위과가 신설되며 성남시 민방위대가 편성되었다. 같은 해 9월 30일까지 지역민방위대 358개대에 3만 4,105명, 기술지원대는 657명, 직장민방위대는 105개 대에 4,702명이 조직되었으며, 12월 15일에는 민방위 업무가 치안본부에서 내무부 민방위본부로 이관되었다. 1976년 10월 31일에는 민방공정보망 업무...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었던 공예품 전시 시설. 성남시 민속공예전시관은 성남시와 한국전통민속공예협회에서 운영하는 전시관으로 100여 명의 전통공예 작가가 직접 작품을 만들고 전시·판매하는 전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배구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배구협회는 배구를 국민 체육으로 널리 보급하고 이를 통해 체력 증진과 활기찬 여가 생활을 함으로써 명랑한 시민사회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배드민턴 연합 단체. 배드민턴을 사랑하고 배드민턴을 통하여 정을 나누고 건강의 유지 및 증진과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길잡이 역할을 위하여 1980년에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배드민턴을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배드민턴협회는 성남시 체육회의 인가를 받은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국은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산성실내배드민턴장 전용 경기장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보디빌딩을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보디빌딩협회는 국민 체육 진흥을 표방한 비영리단체로서, 성남시 체육회가 인가한 가맹 경기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복싱을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복싱협회는 성남시 체육회가 인가한 정회원 종목 단체이다. 사무국은 성남시 분당구 탄천로 215[야탑동 486]에 있는 탄천종합운동장 실내 트랙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위치한 시립 도서관. 성남시 복정도서관은 지상 4층, 지하 2층의 규모로, 일반열람실, 어린이 가족열람실, 노트북실, 다목적실, 종합자료실 등을 갖추었다. 총 740석 규모로 총 45,000여 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다. 독서교실, 독서동아리 등록제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독서 생활화를 이끌고 있으며, 시민들의 취미, 교양을 활성화하기 위해 문화교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볼링을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볼링협회는 성남시 체육회가 인가한 가맹 경기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분당구 관할 선거 사무 관리 기관.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 및 정당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헌법 기관으로 약칭 선관위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회교육 시설이다. 성남시 분당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하기 위해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빙상 경기 단체 연맹. 성남시 빙상경기연맹은 성남시 체육회로부터 인가받은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분당구 야탑동 탄천종합운동장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었던 사이버 관련 문화 축제. 전국 최초의 사이버 관련 시민 축제로 성남사이버문화제 추진위원회가 주관하였다. 행사 내용은 정보올림피아드, 컴퓨터 관련 사무 능력, 컴퓨터게임대회 등 경진대회 형식을 취하였다. 1999년 제1회 문화제를 시작하여 2006년 제8회 문화제를 끝으로 현재는 없어진 행사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는 성남 지역 사회 복지 단체들이 함께하는 박람회. 성남시 사회복지박람회는 9월 7일 사회복지의 날을 기념하여 매년 9월 초 성남시 사회복지협의회와 성남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에서 주관하는 행사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산악 경기 단체 연맹. 성남시 산악연맹은 성남시 체육회가 인가한 가맹 경기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공 이동 도서관. 이동도서관은 도서 봉사를 제공받기 어려운 지역 주민의 생활 주변으로 도서관 자료, 장비, 직원을 차량에 싣고 운반하여 도서관 봉사를 제공하는 이동식 분관 도서관으로 순회문고, 순회도서관, 차량도서관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성남문화원에서 주최하는 새해 행사. 천제봉행은 시민들의 뜻을 받들어 하늘에 드리는 제사를 말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던 생활체육 단체. 성남시 생활체육회는 성남 시민의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해 다양한 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생활체육을 지원한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던 생활체육 단체. 성남시 생활체육회는 성남 시민의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해 다양한 스포츠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생활체육을 지원한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서현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소프트테니스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소프트테니스협회[성남시 정구협회]는 성남시 체육회의 인가를 받은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성남시 중원구 제일로 60[성남동 3110] 성남종합운동장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수영 단체 연맹. 성남시 수영연맹은 성남시 체육회의 인가를 받은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성남시 분당구 탄천로 215[야탑동 486] 제2종합운동장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수정구 관할 선거 사무 관리 기관. 수정구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 정당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헌법 기관으로 약칭 ‘수정구 선관위’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수정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스쿼시 단체 연맹. 스쿼시 경기를 널리 보급하여 시민들의 체력 향상과 엘리트 선수 발굴을 기본 목표로 하여 성남시 체육회가 인가한 가맹 경기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었던 정책 자문 단체. 성남시 시정발전위원회는 1996년 제정된 성남시시정발전위원회 설치 및 운영 조례에 근거하여 시정 자문 기구로 설치되었으나, 2008년 3월 성남시 비전추진협의체가 설치 운영되면서 기능 중복을 이유로 폐지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었던 정책 자문 단체. 성남시는 1973년 7월 1일 시 승격과 동시에 시조례 제6호에 의거하여 행정자문위원회를 설치하여 1981년 정책자문위원회로 개칭하였고, 1983년 시정자문위원회로 개칭되었다. 시정자문위원회는 시정의 주요시책에 관하여 시장의 자문에 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위원은 주민의 의사와 권익을 지방행정에 반영시킬 수 있는 유능...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시립 식물원. 성남시 식물원은 성남시 중원구 은행1동에 있었던 양묘장과 용도 폐기된 배수지 등을 재활용하여 조성한 시립 식물원이다. 은행동에 자리하여 은행식물원으로도 불린다. 다양한 식물과 야생화, 곤충류들이 서식하여 어린이들에게 자연 교육 학습의 장을 제공하고, 시민들에게는 친숙한 자연 휴식 공간이 되어 준다. 자연체험학습교실, 방문자센터, 목...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씨름을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씨름협회는 성남시 체육회의 인가를 받은 가맹 경기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알코올 중독 관련 상담 기관. 성남시알코올상담센터는 성남 지역 사회의 건전한 음주 문화 형성을 통한 주민들의 정신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알코올 의존자와 그 가족에게 알코올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치료 및 재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알코올 의존자의 사회 복귀를 촉진시키며, 지역 사회를 알코올 의존자에게 우호적이고 치료적인 환경으로 변화시켜 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야구 소프트볼을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야구소프트볼협회는 성남시 야구협회와 성남시 야구연합회가 통합한 단체이며, 성남시 체육회가 인가한 정회원 종목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야구 연합 단체. 사회체육활동의 증가에 따른 성남시민의 건전한 야구문화 형성과 야구동호인들의 건강 및 취미생활을 위하여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약사 권익 보호 단체. 성남시 약사회는 성남 지역 약사들의 활동과 업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회원들에게 알리고 유용한 자료들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약사 모임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양궁을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양궁과 양궁인에 대한 뜨거운 사랑을 바탕으로 심신을 단련함은 물론 친목을 다지며, 양궁의 보급과 발전을 통하여 시민 체력 향상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1987년 2월 양궁 동호인 36명이 발기하여 1988년 9월 창립총회를 열었고, 성남시 체육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평생 교육 시설. 성남시 평생학습관은 양질의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성남 시민의 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를 위하여 조성한 기금. 성남시 여성발전기금은 성남시가 1998년 11월 「여성발전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를 제정하여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 동안 매년 10억 원씩 총 30억 원을 출연하여 조성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여성 복지 시설. 성남시 여성복지회관은 여성들에게 교육을 실시하여 자격증 취득 및 취업·창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 기반을 마련해 주고, 남성의 교육 참여를 확대하여 건전 가정 육성을 도모하는 한편, 다문화가족 및 노년 여성에 대한 교육, 전문 직업 상담, 교육생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복지 실현을 도모하고자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여성 합창단. 성남시 여성합창단은 1972년 창단한 성남 최초의 합창단으로, 문화의 불모지였던 성남에 문화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매년 정기연주회를 비롯하여 각종 행사 및 활동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 진흥에 힘쓰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역도 단체 연맹. 성남시 역도연맹은 성남시 체육회가 인가한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성남시 중원구 제일로 60[성남동 3110] 성남종합운동장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사회단체. 성남시 영남향우회는 영남 출신으로 성남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들의 복리 증진과 권익 보호, 더 나아가서는 국가와 지역 사회 발전에 적극 기여할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사회단체이다. 역대 회장으로 오해곤, 김영규, 강선장, 이상호, 정주열, 손국한 회장 등이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외국인 주민 지원 시설. 한국에는 약 250만 명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고, 남북한 전체 인구의 10% 이상의 한국인이 해외에 거주하는 시대가 되었다. 성남시는 외국인 주민의 복지 향상을 위해 민관이 협력하여 성남시 외국인주민복지지원센터를 세우고 상담·교육·의료·문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우슈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우슈협회는 성남시 체육회에 가맹한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제2종합운동장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운중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위례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유도 단체. 성남시 유도회는 성남시 체육회로부터 인가를 받은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탄천종합운동장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육상 단체 연맹. 성남시 육상연맹은 성남시 체육회와 경기도 육상연맹의 승인을 받은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중원구 성남동 성남종합운동장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공 의료 기관. 성남시의료원은 성남 시민들이 주도한 시립병원 설립 조례 제정 운동을 통해 설립된 공공 병원이다. 2020년 5월 6일 22개 진료과를 두고 문을 열었으며, 2022년 현재, 25개 진료과에 총 509 병상을 갖추었으나, 23개 진료과 307 병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의사 권익 보호 단체. 성남시 의사회는 「의료법」에 의거하여 설립된 대한의사협회의 지부인 경기도 의사회의 분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운영하던 온라인 무역 중계 기관. 빠르게 변화하는 인터넷 무역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인터넷을 통한 성남시 중소기업의 해외 시장 개척을 지원하기 위하여 2001년에 설립되었으나 2008년 4월 폐지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자원봉사 단체 및 자원봉사 활동 사항을 알리고 공동체의식을 기르기 위하여 열리는 박람회. 성남시 자원봉사박람회는 시민과 청소년이 봉사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을 도우며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의식을 기르고 봉사활동 지도를 받음으로써 장차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할 미래의 자원봉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박람회이다. 연 1회 개최되며 성남시에서 주최하고 성남시 자원봉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자원 봉사 기관. 성남시 자원봉사센터는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재능 나눔, 지역 자원 연계, 자원봉사 단체와 기관의 네트워크 형성 등 자원봉사 문화 정착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 있는 시민 화장장. 성남시 장례문화사업소는 자동 처리 시스템을 갖춘 화장장과 유골을 뿌릴 수 있는 유택 동산,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추모의 집 등을 운영하고 있다. 가족 제도의 변천과 매장 중심의 장묘 관행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장례 문화가 종래의 장묘 문화에서 화장 봉안 문화로 바뀌고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장애인 복지 연합 단체. 성남시 장애인단체연합회는 유형별 장애인 7개 단체[시각장애인협회, 신체장애인복지회, 장애인정보화협회, 농아인협회, 신장장애인협회, 지체장애인협회, 장애인부모회]가 하나 되어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비영리 단체로 장애인의 날 기념식, 한마음체육대회, 송년행사, 장애인 단체 종사자 직무향상교육, 각종 체육 프로그램...
-
경기도 성남시에서 지역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통 지원 서비스. 교통약자인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여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 교통 서비스를 지원하여 장애인의 행복한 삶을 도모하고자 성남시 장애인복지택시 제도를 제정하였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장애인들이 주체가 되어 예술적 재능을 발산하는 예술제. 성남시 장애인예술제는 장애인의 예술적 재능을 발굴·육성하여 장애인의 사회 참여 기회 확대, 자립 기반 구축을 위해 마련된 문화 예술 축제이다. 성남시 장애인단체연합회에서 주관하고 매년 9월에서 11월 사이에 개최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장애인 복지 시설. 성남시 장애인종합복지관은 장애인 복지시설로서,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위한 다양한 지원과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소프트테니스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소프트테니스협회[성남시 정구협회]는 성남시 체육회의 인가를 받은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성남시 중원구 제일로 60[성남동 3110] 성남종합운동장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중앙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 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중앙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 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중원구 관할 선거 사무 관리 기관. 성남시 중원구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 정당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된 헌법 기관으로 약칭 ‘중원구 선관위’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중원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 복지 시설. 중원청소년수련관은 수정 지역의 수정청소년수련관, 분당 지역의 분당청소년수련관, 판교 지역의 판교청소년수련관과 함께 중원 지역의 청소년 수련 시설로 지역 청소년들이 사회, 문화적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성남시청소년육성재단[현 성남시청소년재단]에서 시설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의 시장과 시의회 의원을 독립적으로 선출할 수 있는 지리적 단위. 헌법 117조, 118조 에서는 지방자치를 보장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법률로 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자치법이 제정되었다.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와 같은 모습의 통치 단체 성격을 가지며, 그 권한으로는 자치행정권은 물론이고 조례(條例)를 제정·개폐하는 자치입법권과 지방세...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사회 복지 단체. 성남시 사회복지협의회는 성남 지역의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연구와 각종 복지사업을 조성하고, 사회복지 사업과 활동을 조직적으로 협의·조정·평가하며 사회복지에 대한 시민의 참여를 촉진시킴으로서 지역사회의 복지 증진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자동차 등록 관리 업무를 하는 행정 기관. 성남시 차량등록사업소는 차량의 신규 등록에서 말소 등록에 이르기까지 자동차와 관련한 모든 민원 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청소년 관련 문화행사. 청소년문화존이란 청소년의 건전한 여가 활용 육성을 위해 놀이마당식 체험 공간에 지역적 특성을 살린 각종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청소년활동진흥법」과 국가청소년위원회의 ‘청소년문화존 조성지원계획 및 운영’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청소년 문화 예술 축제. 성남시 청소년예술제는 청소년들의 문화 예술적 기량을 발산하고 관심을 불러일으켜 건전한 청소년 문화를 만들고자 추진하는 예술 행사로 부산, 원주, 부천, 군포, 성남 등 전국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마다 특성을 살려 진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청소년 인터넷 방송국. 참TV는 성남에서 최초로 시작한 청소년 인터넷 방송국으로 수정청소년수련관 내에 있다. 영상을 통해 청소년 스스로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영상 교육 및 장비를 지원하고, 청소년 문제와 학교, 지역을 주제로 다양한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체육 단체. 성남시 체육회 사무실은 성남시 중원구 제일로 60[성남동 3110] 성남종합스포츠센터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축구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축구협회는 성남 시민의 체력 향상과 조기 축구회의 활성화를 바탕으로 축구 인구의 저변확대와 우수한 경기인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사회단체. 성남시 충청향우회는 충청도 출신으로 성남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들의 복리 증진과 권익 보호, 더 나아가서는 국가와 지역사회 발전에 적극 기여할 것을 목표로 만들어진 사회단체이다. 역대 회장으로 신영수, 정기엽, 민동익 등이 선출되어 이끌어 왔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탁구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탁구협회는 성남시 체육회가 인가한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성남시 분당구 탄천로 215[야탑동 486] 탄천종합운동장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태권도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태권도협회는 성남시 체육회가 인가한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성남 실내체육관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테니스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테니스협회는 성남시 체육회의 인가를 받은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분당구 수내동 수내시립테니스코트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매년 11월 관내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을 위하여 지역사회와 선후배가 함께 여는 행사. 성남시 통(通)고구마 축제는 성남통고구마축제운영위원회가 주관하는 행사로, 성남 지역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들의 지친 심신에 활력을 주고 사회 진출을 응원하고 축하하기 위하여 매년 11월에 열린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문서·기록·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판교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판교신도시 개발에 참여한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평생 교육 시설. 성남시 평생학습관은 양질의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성남 시민의 능력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하키를 보급·발전시키기 위한 단체. 성남시 하키협회는 성남시 체육회의 가맹 경기단체로, 사무실은 성남시 중원구 제일로 60[성남동 3110] 성남종합운동장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성남문화원에서 주최하는 새해 행사. 천제봉행은 시민들의 뜻을 받들어 하늘에 드리는 제사를 말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중앙동에 있는 시립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해오름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향토 유적 조사·관리 연구 기관. 성남시 향토유산 보호위원회는 「문화재보호법」, 「전통건조물보존법」 및 「경기도 문화재 보호 조례」 규정에서 제외된 성남의 향토유산 가운데 고고학적·역사적·예술적 가치가 있고 향토 문화·토속·풍속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성남시 향토유산으로 지정하여 보호·관리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현충탑. 성남시 현충탑은 성남시의 대표적인 현충 시설로 성남시 수정구 태평4동 주거 밀집 지역의 최북단에 있으며, 후세들의 호국정신과 애국심을 배우는 소중한 교육의 장소이기도 하다. 매년 6월 6일이면 성남시 현충탑에서는 추념식이 열리며, 성남 지역 각계 인사들이 참배를 하기 위하여 찾아온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과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가연성 폐기물 소각 처리장. 1970년대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상품의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이루어지자 정부는 그 과정에서 배출되는 대량의 쓰레기를 매립하는 방식으로 처리해 왔다. 현재까지도 쓰레기 처리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매립은 땅값 상승과 악취,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와 토양의 오염 원인으로 지목되었고, 매립장의 확보는...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버스 운수업체. 시내버스는 대도시와 주요 도시의 지역끼리 서로 연결해서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주로 운행 노선을 보면 도심과 부도심, 도심과 외곽, 시내와 인접 시군끼리 서로 연결해서 운행하게 된다. 성남 시내를 운행하는 시내버스 회사는 성남시내버스, 대명운수, 대원버스 등이 있고, 성남시내버스는 성남을 근거지로 두고 있는 대표적인 시내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교향악단. 성남시립교향악단은 경기도의 대표적인 시립 교향악단의 하나로 성남시립합창단,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 성남시립국악단과 함께 성남시립예술단을 구성하고 있다. 매달 1회 이상의 정기 연주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주요 공연장으로 성남아트센터의 콘서트홀을 사용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국악단. 성남시립국악단은 한민족의 얼이 담긴 성남시 토속 문화를 현 시대정신에 맞게 재창출하여 성남 시민은 물론이고 온 국민이 국악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국악 단체이며, 성남시립합창단,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 성남시립교향악단에 이어 네 번째로 2005년 9월 25일 창단한 성남시립예술단의 소속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 성남제1공단근린공원 안에 들어설 시립박물관. 성남시립박물관[가칭]은 2023년 8월부터 체험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시동은 건축 설계 및 전시 실시 설계가 진행 중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성남에서 최초로 주민조례를 발의한 시민사회단체 연대조직. 55만 시민이 살고 있는 수정·중원지역에 200병상 규모의 성남중앙병원 외에 종합병원이 없는 의료공백 상황에서 시민들의 건강권 확보를 위해 인하병원과 성남병원 폐업을 막기 위해 설립되었으나 두 병원이 모두 폐업한 후 성남시립병원 건립을 위한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청소년 합창단. 1997년 6월에 창단한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성남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합창단, 성남시립국악단과 함께 성남시립예술단을 구성하고 있다. 매년 정기연주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국내외 200여 회의 크고 작은 연주회에 참여하는 등 성남시 문화 사절단으로 성남시를 전국뿐만 아니라 세계에 알리는 데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합창단. 성남시립합창단은 1986년 6월 성남시에서 창단하였으며 초대 상임지휘자는 서북진이었다. 성남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 성남시립국악단과 함께 성남시립예술단을 구성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예술단. 성남시립예술단은 1986년 성남시립합창단을 시작으로,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 성남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국악단 등 4개 시립 단체로 ‘감동 있는 문화예술도시 성남, 시민과 함께하는 성남시 시립예술단’을 캐치프레이즈로 문화예술의 대중화와 저변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합창단. 성남시립합창단은 1986년 6월 성남시에서 창단하였으며 초대 상임지휘자는 서북진이었다. 성남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 성남시립국악단과 함께 성남시립예술단을 구성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공공형 시민 참여 농장. 성남시민농원은 시민들에게 농사와 관련된 체험과 교육을 하기 위해 성남시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는 농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시민 사회단체. 성남참여자치시민연대는 올바른 지방자치를 선도하고 시민과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보호, 증진하며 건강한 지역문화를 형성하기 위하여 창립된 시민 단체이다. 지방자치단체 시정 감시 활동과 더불어 환경, 교육, 주택 등에서 지역 주민의 입장에서 대안을 모색하고 그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생활하는 직장인 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진 촬영 대회. 성남시민사진촬영대회는 지역 사진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아마추어 사진 동호인들의 창작열을 고양시킬 목적으로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 주관으로 시행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탄천종합운동장에서 개최되는 성남 시민들의 체육 행사. 성남시민체육대회는 성남 시민의 신체 활동을 통한 체력 향상과 시민 화합, 지역에 대한 애향심을 고취하기 위하여 마련한 동별 대항 체육대회였다. 최근에는 한 해는 통합시민체육대회, 다음 해는 구청별 체육대회, 그 다음 해는 동별체육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2016년 대회 이후 코로나19 사태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성남 지역을 연고지로 하는 K리그 소속 프로 축구팀. 코리안리그[K리그] 소속 프로축구단인 성남시민프로축구단의 홈구장은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탄천종합운동장이고, 마스코트는 성남시의 시조(市鳥)인 까치이다....
-
경기도 성남시민들의 향토애 고취와 지역사회발전을 다짐하는 뜻을 적은 헌장. 1973년 7월 1일 시 승격과 함께 향토애 고취와 지역사회발전을 다짐하는 뜻으로 당시 이재덕 성남시장이 서울대학교 유달영(柳達永) 교수에게 의뢰하여 문안을 작성하였다. 그후 수정구 신흥2동에 희망대공원을 조성하면서 시민헌장비를 세웠으며, 태평동시민회관 앞에도 시민헌장비를 세웠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 성남제1공단근린공원 안에 들어설 시립박물관. 성남시립박물관[가칭]은 2023년 8월부터 체험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시동은 건축 설계 및 전시 실시 설계가 진행 중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불교 연합체. 1971년 9월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불교이념을 중심으로 중생교화 및 승직자의 상호교류, 인격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창립되었다. 회원은 성남시에 소재한 사암들로 구성되며, 그 성격은 종단을 초월한 초종파적, 범불교적 단체이다. 설립목적은 불교교리의 공동연구, 회원간의 유대와 친목, 불교행사와 사업에 적극적 동참 등이다. 2001년 1...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성남시 역사 편찬 기관. 성남시 시사편찬위원회는 성남 지역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집대성하고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의 발전상과 변천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성남시사(城南市史)』의 편찬을 담당하는 비상설 위원회로 성남시 조례에 의해 구성된다. 『성남시사』는 성남시 10년사를 1982년 9월에 편찬한 이후, 20년사를 집대성한 1993년 편...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자원 봉사 단체. 사회봉사후원회는 1992년 결성된 순수 자원봉사 단체로 120명의 회원이 주위에서 생활이 어려운 이웃돕기, 독거노인 김장담그기, 모범 청소년 장학사업, 소년소녀 가장돕기, 노인위안잔치를 비롯하여 무료 도서대여 및 공부방운영 등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성남시 역사 편찬 기관. 성남시 시사편찬위원회는 성남 지역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집대성하고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의 발전상과 변천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성남시사(城南市史)』의 편찬을 담당하는 비상설 위원회로 성남시 조례에 의해 구성된다. 『성남시사』는 성남시 10년사를 1982년 9월에 편찬한 이후, 20년사를 집대성한 1993년 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소속 지회.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성남시지회는 여성의 권익 증진과 지위 향상, 지역사회의 발전과 사회봉사를 목적으로 하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소속 지회로, 성남시 평생학습관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버스터미널. 성남시외버스터미널이 자리한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시외버스와 고속버스가 운행되는 종합 터미널로 테마폴리스 안에 있다. 테마폴리스는 상가, 극장 및 대형 할인점 등이 복합적으로 들어선 건물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영유아 보육 지원 기관. 성남시육아종합지원센터는 영유아 보육의 질을 높이고 보육 환경의 질을 개선하며 보육 종사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양육 수요자의 요구 조사를 통한 열린 양육 문화를 창출하고,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놀이감 대여 서비스 제공과 발달 연령에 맞는 놀이 환경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성남시 관할 지방 자치 의결 기관. 지방자치는 단체자치(團體自治)와 주민자치(住民自治)가 결합된 것으로서 자신이 속한 지역의 일을 주민 자신이 처리한다는 민주 정치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에 기초를 두고 있다. 대한민국의 헌법은 지방자치를 보장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법률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헌법 제117조 및 제118조]...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온라인 건강 지원 기관. 온라인 건강 증진 센터로 건강 생활 실천을 통한 건강 증진을 위해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9년 현재 이용자 수가 적어 인터넷 서비스가 중지될 전망이다....
-
성남시를 대표하고 성남시의 행정을 관장하는 직, 또는 그 직에 있는 사람. 성남시장은 시민을 대표하여 성남시 행정을 통할하며, 성남시민들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고 임기는 4년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장애인부모회 소속 지부. 1996년 정신 지체인의 권익 보호를 위한 성남부모회로 시작하여 정신 장애, 발달 장애, 시각·청각·뇌성 마비 등 본인 스스로 권익 옹호가 힘든 장애 자녀를 대변하기 위해 1999년 사단법인 한국장애인부모회 성남시지부로 출범하였다. 장애 자녀를 둔 성남시 거주 부모들이 하나가 되어 자녀 양육 및 재활 정보를 교환하고...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장학 재단. 성남시장학회는 성남시 출연금 200억 원 및 시민 기부금의 이자 수익으로 장학 사업을 펼쳐 성남 시민의 향토애를 제고하고 지역 인재를 양성하는 재단법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창작 동요 경연대회. 박태현전국창작동요제는 2000년에 열린 제1회 성남시전국창작동요제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는 창작 동요제로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가 주최하고,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와 박태현추진위원회가 주관하며, 매년 8월에 접수하여 10월에 본선을 진행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사회단체. 1992년 브라질의 리우데자이네로에서 세계 179개국의 국가 정상이 모여 지구환경 보전을 위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이념을 정하고, 세계의 지방 정부들로 하여금 이를 실천할 ‘지방의제21[Local Agenda 21]’를 작성, 실천하도록 권고하였다. 의제...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성남시 관할 행정기관. 성남시청은 지방자치단체인 성남시와 성남시의회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관리하는 행정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성남시청 소속 빙상부. 성남시에서 비인기 종목 스포츠의 활성화와 대한민국 빙상 발전을 목적으로 2005년 3월 9일 스피드스케이팅 국가 상비군 감독 출신의 손세원, 쇼트트랙 국가대표와 상비군 코치로 활약했던 권영철을 각각 감독과 코치로 선임하고 성남시청 빙상부를 창단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성남시청 소속 육상부. 성남시청 육상부는 성남시가 직접 창단하고 지원하는 경기단체로서 대한육상연맹에 등록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성남시청 소속 펜싱부. 성남시 펜싱부는 성남시청이 직접 운영하는 펜싱 단체로 성남시 체육회에 등록된 가맹 경기단체이다. 사무실은 성남시 중원구 제일로 60[성남동 3110] 성남실내체육관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성남시청 소속 하키부. 성남시청 하키부는 성남시청이 직접 창단한 체육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청소년 상담 기관.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전문 상담기관으로 1995년 4월 29일 설립했다. 청소년들이 꿈을 실현하고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문제 해결을 돕고 미래를 위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상담 활동을 수행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청소년 지원 재단. 성남시청소년재단은 지속적인 청소년 정책을 마련하고,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의 채널을 확보하여 특성화되고 전문적인 청소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한편, 각종 청소년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열리고 있는 학생 음악 경연 대회. 성남시학생음악경연대회는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가 주관하여 성남시민회관[현 성남아트리움]에서 매년 11월에 개최하는 성남 지역 학생 대상의 음악 경연 대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학생이 중심이 되는 푸른 꿈을 가꾸는 행복한 성남신기어린이’이다.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지성인],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도덕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꿈과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미래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큰 뜻을 품고 최선을 다하는 건강한 어린이 육성’이라는 목표 아래, 꿈과 끼를 키워 가는 자주적인 어린이[참[Genuine] 교육], 존중과 나눔을 실천하는 배려하는 어린이[존중[Respect] 교육], 문화적 감수성을 가진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기회[Opportunity] 교육], 자기 생각을 만들어 가는 창의적인 어린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큰 뜻을 품고 최선을 다하는 건강한 어린이 육성’이라는 목표 아래, 꿈과 끼를 키워 가는 자주적인 어린이[참[Genuine] 교육], 존중과 나눔을 실천하는 배려하는 어린이[존중[Respect] 교육], 문화적 감수성을 가진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기회[Opportunity] 교육], 자기 생각을 만들어 가는 창의적인 어린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문화예술 공간. 성남아트리움은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던 옛 성남시민회관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로 신설한 문화예술 회관이다. 전체 면적은 2만 3,949㎡, 건축 면적은 4,943㎡이며, 지상 2층, 지하 4층 규모이다. 대극장과 소극장, 성남 지역의 예술인 단체 사무실이 입주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수인분당선과 경강선 통합 지하철역. 이매역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경강선의 한 역으로 수인분당선인 야탑역과 서현역 사이에 있다. 대한민국 최초로 지하 운행 구간에 중간역 형태로 추가 건설된 역으로 부역명은 ‘성남아트센터’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복합문화공간. 성남아트센터는 경기도와 성남시가 1,600억 원을 들여 만든 종합 문화공간이다. 자연 친화적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여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설계로 다양한 장르의 실내 공연이 가능한 3개의 극장과 야외 공연이 가능한 광장, 전시실 등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한국미술협회 성남지부 회원들의 작품 전시회. 성남아트페어는 성남에서 활동하는 미술가들이 꾸미는 작품 전시회이다. 2012년 처음 개최되어 2022년 제10회를 맞았다. 작가들과 시민들이 만나는 지역 문화 교류의 장으로서 해마다 수준 높은 미술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으며 미술 수요자와 미술 생산자가 만나 지역의 예술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공헌하고 있다. 중앙...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새롭게 튼튼하게’라는 교훈 아래, 스스로 공부하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 예의 바르고 근면 성실한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하며 끈기 있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창의적인 어린이, 소질을 계발하고 특기를 키우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새롭게 튼튼하게’라는 교훈 아래, 스스로 공부하며 꿈을 키우는 어린이, 예의 바르고 근면 성실한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하며 끈기 있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창의적인 어린이, 소질을 계발하고 특기를 키우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여성 합창단. 성남시 여성합창단은 1972년 창단한 성남 최초의 합창단으로, 문화의 불모지였던 성남에 문화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매년 정기연주회를 비롯하여 각종 행사 및 활동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 진흥에 힘쓰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사랑, 공경, 정성’이며, 21세기를 즐겁고 슬기롭게 살아갈 지식과 창의성이 풍부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며 인성교육에 힘쓰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여성 권익 보호 단체. 성남여성의전화는 1994년 12월 15일 개소한 이래 상담, 교육, 피해자 보호, 인권 활동을 통해 여성이 살고 싶은 성 평등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여성 고용 지원 기관. 성남여성인력개발센터는 「여성발전기본법시행령」 제33조 제2항 및 동법 시행령 제34조 2의 규정에 의하여 1998년 5월 2일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여성 사회단체. 성남여성회는 생활 속에서 제기되는 교육, 지역사회, 성차별 등 여성들의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구성된 여성단체로, 금광동 지역을 중심으로 어린이 교육, 문화예술 및 사회 참여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성남여수초등학교의 교훈은 ‘어울림과 드러냄이 조화를 이루는 지혜로운 공동체’이며, 비전은 ‘학생이 행복한 학교, 함께하는 성남 여수 교육’이다. 교육 방향은 기초·기본 책임 교육, 학생 중심·활동 중심 교육과정, 사·제 동행 교육으로 학교 경영 기본 생각은 학생 중심, 원칙, 학생 안전, 함께 성장·성숙이다. 교육 목표는 옳고 그...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사랑, 공경, 정성’이며, 21세기를 즐겁고 슬기롭게 살아갈 지식과 창의성이 풍부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며 인성교육에 힘쓰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뜻을 심어 가꾸자’이며, 예절 바르고 남을 배려하는 사람, 창의적 사고로 스스로 학습하는 사람, 지식정보화 능력 배양으로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사람,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긍정적으로 참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뜻을 심어 가꾸자’이며, 예절 바르고 남을 배려하는 사람, 창의적 사고로 스스로 학습하는 사람, 지식정보화 능력 배양으로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사람,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긍정적으로 참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과 경강선의 환승 통합 역사. 성남역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GTX-A]의 일부인 수서역과 구성역 사이에 있는 역사로서, 수도권 광역급행열차 A선[수서역-동탄역]과 경강선[판교역-여주역]의 환승 통합역이다. 역사의 구조는 지하 3층 경강선과 지하 5층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으로 되어 있으며, 경강선 승강장은 심도 25...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 성남제1공단근린공원 안에 들어설 시립박물관. 성남시립박물관[가칭]은 2023년 8월부터 체험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시동은 건축 설계 및 전시 실시 설계가 진행 중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연극제. 성남연극제는 한국연극협회 성남지부가 주관하여 성남문화예술제와 연계, 병행되어 행해지고 있는 연극제로 성남 시민들의 문화 생활에 조금이나마 풍부함을 더해주고 정서 함양에 일조하기 위하여 1986년부터 시작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연극협회 소속 성남시 지부. 한국연극협회 성남지부는 1985년 성남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극인들이 모여 결성한 성남 연극 단체 및 성남 지역 극단을 대표하는 공인 연극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시민 연합 단체. 2001년 6월 26일 성남환경운동연합, 성남참여자치시민연대, 성남청년대학, 성남YMCA, 성남문화연대, 성남여성의 전화, 분당환경시민의 모임 등 20개 성남 지역 시민 사회 단체가 상설적인 연대체를 구성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소속 성남시 지회. 한국연예예술인총연합회 성남지회는 1986년 1월 30일 인준을 받고 성남 지역 연예 예술 발전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복지 단체. 푸드뱅크(Food Bank)는 식품 제조업체나 개인으로부터 식품을 기탁받아 소외계층에 지원하는 식품 지원 복지 서비스 단체를 말한다. 성남열린푸드뱅크마켓은 먹거리가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는 신성한 자원임을 인식하고 남아돌거나 버려지는 먹거리가 생겨나지 않도록 하는 정신으로부터 ‘나와 같이 먹을 권리’를 주장하며 어려운 이웃과 먹거리를...
-
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영화인총연합회 소속 성남시 지회. 한국영화인총연합회 성남지회는 성남에 거주하고 있는 영화인들의 모임으로 지역 주민을 위한 각종 영화 상영회 등 영화 관련 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성남의 대표적인 영화인 단체이다....
-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에서 매년 지역 문화예술인에게 수여하는 예술상. 성남예술대상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약칭: 성남예총]가 성남 지역 향토 예술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이 큰 예술인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에서 매년 지역 문화예술인에게 수여하는 예술상. 성남예술대상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약칭: 성남예총]가 성남 지역 향토 예술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이 큰 예술인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하는 성남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행사. 성남문화예술제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가 주최하고, 문인·국악·연예·미술·연극·음악·무용·사진작가·영화인협회 등 9개 지역 예술인 단체가 분야별로 다양한 예술 행사를 여는 성남시의 대표적인 종합 예술 축제의 하나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소속 지회.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회[약칭 성남예총]는 문인, 국악, 무용, 연예, 연극, 음악, 미술, 사진작가, 영화인 등 9개 회원 단체로 구성되어 성남시 예술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해 온 성남을 대표하는 전문 예술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옛 오리뜰에서 전승되어 온 농악 놀이. 성남오리뜰농악[오리뜰 두레농악]은 1940년대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이후 6.25전쟁을 거치고 1973년 7월 성남시에 구미리[오리뜰]가 편입되고, 1989년 이 지역이 분당신도시 건설 계획에 따라 대단위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하는 등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두레농악을 놀던 사람들이 흩어지게 되면서 사라질 위기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개신교 사회단체. 성남YWCA는 젊은 여성들이 하나님을 창조와 역사의 주로 믿으며 인류는 하나님 안에서 한 형제자매임을 인정하고, 예수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자기 삶에 실천함으로써 정의, 평화, 창조, 질서의 보전이 이루어지는 세상을 건설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개신교 사회단체. 성남YWCA는 젊은 여성들이 하나님을 창조와 역사의 주로 믿으며 인류는 하나님 안에서 한 형제자매임을 인정하고, 예수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자기 삶에 실천함으로써 정의, 평화, 창조, 질서의 보전이 이루어지는 세상을 건설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개신교 사회단체. 성남YMCA[성남기독교청년회]는 한국YMCA전국연맹 소속 성남 지역 조직으로 분당구 구미동에 회관이 있다. YMCA는 선교에 목적을 둔 청년들의 자발적 결사체였으나 도시 단위, 지역 단위, 전국 단위 나아가서는 세계적인 차원의 시민운동으로 발전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특수목적 고등학교. 교훈은 ‘ambition[꿈], bravery[용기], challenge to the world[도전]’이며,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외국어 영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특수목적 고등학교. 교훈은 ‘ambition[꿈], bravery[용기], challenge to the world[도전]’이며,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외국어 영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매년 열렸던 제품과 기술 홍보 박람회. 성남시에는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중소 기업과 벤처 기업이 활동하고 있으며 전자 정보 통신 등 첨단 기술 분야의 기업이 많다. 성남우수상품박람회는 이들 기업의 판로를 개척하고 마케팅을 지원하며 투자를 유치하여 결과적으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2년 처음 시작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수정구·중원구 관할 우편·체신·금융 관련 공공 기관. 시·군·구 등의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1국이 설치되는 집배국인 성남우체국은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 전역의 우편·체신 업무와 더불어 금융 업무를 담당하며, 수정구·중원구의 관할하에 17개 우체국과 취급국을 두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성남시 관할 우편물 처리 기관. 성남우편집중국은 우편물을 한 곳으로 모아 처리하는 우편물 전담 기관으로, 2002년 5월 27일 우편집중국 편제가 신설되면서 10월 14일 개국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관현악단. 성남윈드오케스트라는 지역 사회의 문화 저변을 확대하고 음악을 통해 지역 사회에 봉사하며 동호인 활동을 통한 음악 기량 향상과 친목 도모를 위해 창단한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존중과 배움, 꿈이 있는 행복한 학교’이다.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성장하는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문화예술을 사랑하고 즐기는 어린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존중과 배움, 꿈이 있는 행복한 학교’이다.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성장하는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문화예술을 사랑하고 즐기는 어린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음악제. 성남음악제는 성남 지역 민간 예술인 한마당인 성남문화예술제 축제 기간에 성남예총의 9개 회원단체 중 하나인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에서 주관하는 행사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한국음악협회 소속 성남시 지부. 성남시 초기에는 지역 음악인의 활동 무대가 서울이었으므로 현실적으로 지역 음악 발전에는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에 1987년 10월 24일 성남 음악계를 대표하는 음악 단체로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가 창립되면서 성남 음악 활동의 전환기를 가져왔다.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는 음악인들의 화합과 결속의 구심점이 되어 현재까지...
-
경기도 성남시에서 볼거리와 먹거리, 즐길 거리 가득한 곳과 역사적 장소들. 성남시는 지역에서 벚꽃 보기 좋은 길 아홉 곳을 선정하여 ‘성남 벚꽃 9경’이라 이름 붙였다. 1경은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분당천 변 2㎞ 구간이다. 산책길을 따라 가족,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제격이다. 2경은 야탑동 분당구보건소 앞 탄천 변 녹지 1.5㎞ 구간이다. 운동을 하면서 즐기기 좋은 코스이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헌장(憲章), 마크, 마스코트, 꽃, 새, 나무 등의 상징물. 성남의 상징물은 성남 시민이 나아갈 길과 성남의 발전을 위해 기여할 바를 정한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위치한 성남문화재단에서 개최하는 미술 공모전. 성남의 얼굴전은 성남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반추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성남문화재단에서 매년 개최하고 있다....
-
1772년(영조 48)~1832년(순조 32). 조선 후기 정조~순조대의 여성 성리학자이자 문인. 충북 제천 출생으로 일생의 대부분을 서울에서 살았고, 사후에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선영에 묻혔는데, 그의 묘소[정일당 강씨 묘]는 성남시 향토유산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일당의 본관은 진주, 아버지는 강재수(姜在洙)이고, 어머니 안동권씨는 권서응(權瑞應)의 딸이다. 아명은...
-
전통사회 때부터 열려왔던 성남시의 시장. 전통사회 성남 일대의 상권에 대하여는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근거하여 대략적인 내용을 추정할 수 있는데, 판교동에서 매월 3일, 8일, 13일, 18일, 23일, 28일의 월 6회 개시하는 낙생장이 유일하였다는 것이다. 조선 후기 송파장을 나타내는 지도에 따르면, 낙생장은 1, 6일, 성내장은 2, 7일...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속놀이. 성남 지역에서 전해지는 고유의 민속놀이는 이무술 집터 다지는 소리, 성남오리뜰농악[오리뜰 두레농악], 판교 쌍용거(巨)줄다리기, 「성남 오리뜰 들노래」가 있다. 이 중 이무술 집터 다지는 소리와 성남오리뜰농악은 각각 성남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으며, 판교 쌍용거줄다리기는 성남문화원, 「성남 오리뜰 들노래」는 한국농악보존...
-
성남시에서 대대로 내려오면서 살아온 사람. 그러나 이동이 심한 오늘날은 단순히 한 세대 이상을 살게 된 사람들을 통칭하여 부르기도 한다. 토박이는 ‘본토박이’의 준말로, 『국어대사전』에는 ‘여러 세대를 내려오면서 한 곳에 살아온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넓은 의미로 토박이는 유사 이래로 성남지역에서 태어나서 몇 대를 살아오거나 한 평생 또는 한 세대 정도를 성남지역에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성남소방서 소속 비상설 소방대. 성남소방서 의용소방대는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비상설 소방대로, 성남 지역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을 본관으로 하는 이씨. 성남을 본거지로 하는 일화축구팀의 러시아 출신 이성남 선수가 한국에 귀화하여 성남을 본관으로 하는 이씨 성을 얻으면서 생겨난 성씨 이름이다. 이성남 선수의 본명은 데니스로, 성남일화축구팀[현 성남시민프로축구단]에서 뛰어난 활약을 하여 일화가 승리하도록 하는 데 공헌하였다. 1977년 9월 4일생으로, 키 176㎝, 체중 71㎏이고 100m를 12...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성남시청교차로와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 응암 교차로를 잇는 주요 간선도로. 성남이천로는 이천에서 성남으로 들어오는 국도 제3호선 경춘대로의 극심한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건설했다. 국도를 대체하는 우회도로이며 전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계획 당시에는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풍계리 풍토 교차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62.5km의 도로로 계획했으나 201...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개최되는 생명, 자유, 평등 등 인권을 주제로 한 영화제. 2004년에 경기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성남인권영화제가 개최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위치했던 실내 인라인스케이트장. 성남인라인스케이트장은 성남종합운동장 내에 위치했던 실내 체육 시설로 계절 및 날씨에 관계없이 시민들이 생활 체육을 즐길 수 있도록 상시 개방하였다....
-
1976년 11월 17일 홍석표(洪晳杓) 제3대 성남시장이 ‘호적옮기기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적극적인 시행에 들어감으로써 시작된 관제 고향창조운동의 일환. ‘성남고향만들기운동’은 이남두(李南斗) 제2대 성남시장이 1975년 7월 1일 성남시 시제 실시 2주년 기념사에서 ‘고향창조운동’을 제창하면서 대두되었다. 그후 홍석표 3대시장의 새정신, 새도시, 새개발 실천을 위한 주민상호간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품성의 사랑이 넘치는 어린이, 열성 어린 배움으로 꿈과 소질을 키우는 어린이, 살펴보고 익혀 가는 슬기로운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전하고 씩씩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가 주관하는 사진공모전. 성남전국사진공모전은 성남 예술계 최초의 전국 규모 행사로 성남사진작가 회원전, 성남사진대전과 더불어 한국사진작가협회 성남지부에서 주관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함께 배우고 함께 나누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배움터’이며, 교육 지표는 ‘채움[꿈], 배움[智], 나눔[樂]으로 다 함께 성장하는 꿈지락 행복교육’이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슬기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배우는 어린이[지성인], 문화예술적 소양을 키우고 배려하며 존중하는 어린이[감성인], 꿈을 가꾸며 행복...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함께 배우고 함께 나누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배움터’이며, 교육 지표는 ‘채움[꿈], 배움[智], 나눔[樂]으로 다 함께 성장하는 꿈지락 행복교육’이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슬기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배우는 어린이[지성인], 문화예술적 소양을 키우고 배려하며 존중하는 어린이[감성인], 꿈을 가꾸며 행복...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종합 운동 시설. 탄천종합운동장은 성남시 최대 규모의 종합 체육 시설로 주경기장, 야구 경기장, 수영장, 빙상장, 스쿼시장, 헬스장, 체육관, 숙소 등이 있으며, 탄천종합운동장 내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36레인 볼링장, 실내 골프 연습장, 실내 테니스장을 갖춘 탄천스포츠센터가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중앙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1969년 박용규 목사를 포함한 9명이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단대리에서 창립 예배를 드렸다. 그 후 교회 명칭을 성남제일교회라고 하고 대지면적 198.34㎡[60평], 건축면적 158.67㎡[48평]의 교회를 세웠다. 1970년 성남고등공민학교를 개설하였고, 1985년 도길재 목사가 담임목사로 부임하였다. 19...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중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문화예술을 즐기는 건강한 삶 실천, 꿈과 끼를 실현하는 창의력 신장, 공감과 나눔을 실천하는 감성 함양,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 강화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존중하는 학교문화를 통해 바른 심성을 가진 어린이로 육성하고,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가진 어린이로 육성하고,...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중앙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문화예술을 즐기는 건강한 삶 실천, 꿈과 끼를 실현하는 창의력 신장, 공감과 나눔을 실천하는 감성 함양,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 강화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존중하는 학교문화를 통해 바른 심성을 가진 어린이로 육성하고,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을 통해 미래 역량을 가진 어린이로 육성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종합 터미널. 1982년 문을 연 중원구 성남동 모란시외버스터미널[성남공용터미널]은 모란시장 주변부에 자리하여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이 통합된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인구 증가 및 노선 확충으로 장소가 협소해짐에 따라 2001년 고속버스터미널이, 2004년에는 시외버스터미널이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925번길 16[야탑동...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종합 체육 시설. 성남종합운동장은 성남시민의 복지에 기여하기 위해 체육 활동 뿐 아니라 문화, 청소년 활동에 활용하며 국내외 경기 대회를 개최하고 선수 훈련을 보조할 수 있는 체육 시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버스터미널. 성남시외버스터미널이 자리한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시외버스와 고속버스가 운행되는 종합 터미널로 테마폴리스 안에 있다. 테마폴리스는 상가, 극장 및 대형 할인점 등이 복합적으로 들어선 건물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하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자’이며, 자기 삶의 역량을 키워 가는 자주적인 사람,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움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문화적 감수성으로 삶의 가치를 발견하는 교양 있는 사람, 공동체에 참여하고 타인을 존중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설시장. 성남중앙공설시장은 지하 1층~지상 7층[8층 옥상] 규모의 건물로 이루어진 상설시장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종합병원. 1977년 설립된 양친회병원을 모태로 환자 제일주의 정신을 근본 취지로 삼아 1982년 성남 지역 최초의 종합병원으로 개원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설시장. 성남중앙공설시장은 지하 1층~지상 7층[8층 옥상] 규모의 건물로 이루어진 상설시장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지하상가. 지하상가란 공공 도로에 면한 지하에 점포·사무실 및 이와 유사한 시설을 설치한 건축 복합체를 가리킨다. 한국의 지하상가는 상업 이윤에 의해 지하철·지하도 등의 건설비 일부를 보전할 목적으로 조성한 것이 대부분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학교 비전은 ‘삶의 주인공이 되어 모두가 행복한 학교’이다. 지성·인성·감성을 기르는 미래 교육을 위하여 미래 학력과 삶을 주도해 가는 어린이[지성], 주변 환경 및 타인과 평화롭게 사는 어린이[인성], 몸과 마음을 풍요롭게 가꾸는 어린이[감성], 꿈을 끼우며 삶에 도전하는 어린이[개성]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학교 비전은 ‘삶의 주인공이 되어 모두가 행복한 학교’이다. 지성·인성·감성을 기르는 미래 교육을 위하여 미래 학력과 삶을 주도해 가는 어린이[지성], 주변 환경 및 타인과 평화롭게 사는 어린이[인성], 몸과 마음을 풍요롭게 가꾸는 어린이[감성], 꿈을 끼우며 삶에 도전하는 어린이[개성]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중원구 관할 치안 행정 기관. 성남중원경찰서는 성남시 중원구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의 경찰권을 운영하는 경찰 행정기관으로 치안 업무를 관장하고 있다. 성남수정경찰서, 분당경찰서와 함께 경기남부경찰청 소속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하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자’이며, 자기 삶의 역량을 키워 가는 자주적인 사람,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움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문화적 감수성으로 삶의 가치를 발견하는 교양 있는 사람, 공동체에 참여하고 타인을 존중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사회단체. 1992년 브라질의 리우데자이네로에서 세계 179개국의 국가 정상이 모여 지구환경 보전을 위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이념을 정하고, 세계의 지방 정부들로 하여금 이를 실천할 ‘지방의제21[Local Agenda 21]’를 작성, 실천하도록 권고하였다. 의제...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지역 사회 교육 관련 사회단체. 한국에서 지역 사회 교육 운동은 1953년 유네스코 운크라 파한 사절단에 의해 소개된 보고서를 계기로 움트기 시작하였다. 당시의 활동은 정부 주도의 학교 개방 운동으로서 시대에 따라 향토 학교, 온 마을 학교, 새마을 교육 등으로 변모하여 왔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지역아동센터 연합 단체. 지역아동센터는 주로 저소득층 가정을 대상으로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아동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아동의 정서적·신체적 안정과 사회발달을 돕는 아동 복지 서비스 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시민 사회단체. 성남참여자치시민연대는 올바른 지방자치를 선도하고 시민과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보호, 증진하며 건강한 지역문화를 형성하기 위하여 창립된 시민 단체이다. 지방자치단체 시정 감시 활동과 더불어 환경, 교육, 주택 등에서 지역 주민의 입장에서 대안을 모색하고 그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시민 사회단체. 성남참여자치시민연대는 올바른 지방자치를 선도하고 시민과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보호, 증진하며 건강한 지역문화를 형성하기 위하여 창립된 시민 단체이다. 지방자치단체 시정 감시 활동과 더불어 환경, 교육, 주택 등에서 지역 주민의 입장에서 대안을 모색하고 그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었던 청년 문화 단체. 성남청년대학은 성남 지역 청년들이 서로 돕고 협력하는 사회를 만들고자 다양한 문화 예술 동호회를 구성하여 문화 강좌와 성남청년문화제, 동아리 활동을 하던 청년 문화 예술 단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청년 사회단체. 성남청년회의소는 인종, 국적, 신앙, 성별, 직업에 관계없이 건실한 사상을 가진 만 20세부터 42세까지의 젊은이로 구성된 국제 청년 단체로, 한국청년회의소 경기지구 소속 지방 회의소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고등학교 관악단 연합체. 성남청소년교향취주악단은 청소년의 정서 함양과 전통 음악의 보급을 위해 창단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청소년 관현악단. 성남청소년오케스트라는 청소년들이 음악을 통해 마음과 마음을 연결하고 밝고 활기차게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자신감을 갖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개개인의 음악적 소양을 개발하며 건강한 지역문화 발전과 교류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창단하였다. 아울러 청소년들의 정서 함양과 인격 창조, 올바른 청소년 문화를 육성하고 국내외의 다양한 연...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깊이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성남 어린이’라는 교훈 아래 예절 바르며 친절한 사람, 깊이 생각하고 슬기로운 사람,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사람,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깊이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성남 어린이’라는 교훈 아래 예절 바르며 친절한 사람, 깊이 생각하고 슬기로운 사람,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사람,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성남FC의 클럽하우스. 성남FC는 성남시 프로 축구단으로 성남FC 클럽하우스는 성남종합운동장 안에 있었다. 선수를 위한 보다 현대적인 지원 시설과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2021년 성남축구센터를 건립했다. 성남축구센터는 숙식, 훈련, 물리치료 등 선수들에게 필요한 훈련 환경을 제공해 경기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지혜롭고 창조적인 기술인이다. 교육 목표는 꿈을 향해 도전하는 기술인 양성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지혜롭고 창조적인 기술인이다. 교육 목표는 꿈을 향해 도전하는 기술인 양성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영업소. 성남톨게이트는 경기도 판교-구리-의정부-일산-판교를 원형으로 연결하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고속도로 제100호선]에 있는 7개 영업소[성남·구리·불암산·양주·김포·시흥·청계] 중 하나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성남분기점과 송파인터체인지 구간 사이에 있다. 판교분기점에서 5.1㎞ 떨어져서 자리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었던 상수도 정수장. 정수장은 강물이나 지하수 따위의 물을 먹거나 쓸 수 있도록 깨끗하게 걸러 내는 시설을 갖춘 곳이다. 수진정수장은 1970년 설치되어 성남 지역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다가 1990년 가동이 중지된 정수장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사회 운동 관련 시민 사회단체. 성남평화연대는 호혜적 관계를 바탕으로 성남 지역 풀뿌리 주민 자치를 실현하고, 자주·민주·통일을 위한 국가 공동체 건설과 생태 복지 구현을 포함한 전지구적 세계 공동체 도모를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국립 기능 대학. 한국폴리텍대학은 청소년의 생애 능력 개발과 평생 직업을 책임지는 대학을 목표로 최신 시설 및 장비를 갖춘 첨단 교육 구현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하수처리장. 하수처리장은 가정을 비롯한 각종 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수 중의 유해 물질이나 오염물질을 걸러내 마지막으로 하천에 내보내는 곳이다. 하수 슬러지[침전물]의 잔여 유기물이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악취 문제로 흔히 혐오 시설로 취급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일대에 조성된 성남시 최초의 산업단지. 성남하이테크밸리는 성남시 수정구 신흥2동 일원[1공단]과 중원구 상대원동[2공단, 3공단] 일원에 조성된 산업단지를 말하며, 신흥2동 일원 1공단은 업체 이전 등으로 용도가 변경된 이후 현재는 상대원동 일대 총 면적 182만 3333㎡ 규모의 산업단지로 성남 지역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산업의 합리적 배...
-
경기도 성남시의 수정구 신흥2동 및 중원구 상대원동 및 분당구 삼평동과 수정구 시흥동 일원에 조성된 산업단지. 성남산업단지는 1970년대에 서울시의 불량주택 철거에 따른 이주 단지의 일부를 경공업 중심의 산업단지로 조성하여 지역 주민의 고용 촉진을 도모하고 시민 생활의 안정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조성하였다. 연건축면적 182만 3110.74㎡[55만 1491평] 규모로, 서울 최인...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하고 있는 전국 학생들의 미술 작품 전시회. 모란전국학생미술작품공모전은 학생 미술 작품을 공모·심사·시상·입상작 전시회를 함으로써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의 건전한 정서 함양과 가치관 형성에 기여하고, 미술에 재능 있는 인재를 발굴, 육성하여 청소년의 문화 예술 활동을 촉진하고자 매년 개최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학생들의 서예 대회. 전국학생휘호대회는 한국서예협회 성남시지부에서 주관하는 전국 초·중·고 학생 대상의 휘호대회이다. 매월 10월경 성남시 분당 중앙공원에서 개최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개최되고 있는 학생들의 서예 대회. 전국학생휘호대회는 한국서예협회 성남시지부에서 주관하는 전국 초·중·고 학생 대상의 휘호대회이다. 매월 10월경 성남시 분당 중앙공원에서 개최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열리고 있는 학생 음악 경연 대회. 성남시학생음악경연대회는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가 주관하여 성남시민회관[현 성남아트리움]에서 매년 11월에 개최하는 성남 지역 학생 대상의 음악 경연 대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성남문화원 부설 연구 단체.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는 1993년 향토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성남문화원 부설 연구 기관으로 만들어진 향토문화 연구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공립 특수학교. ‘꿈·나눔·참여·신뢰’로 행복한 학교를 구현하기 위하여 몸과 마음이 튼튼한 사람[배움], 자립 생활 능력이 튼튼한 사람[건강], 기초·기본이 튼튼한 사람[안전]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성남화랑초등학교의 비전은 ‘서로 다름을 존중하고 함께 꿈을 키워 가는 행복한 학교’이다. 세부 목표는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자주적인 배려인으로 함께 배우고 예절이 바르며, 둘째는 창의적인 존중인으로 다름을 인정하고 능력을 나누며, 셋째는 심미 추구 감성인으로 아름다움을 느끼고 꿈을 키우는 것으로, 이 세 가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환경 관련 시민 단체. 성남환경운동연합은 2002년 5월 25일 창립된 민간 환경단체로 환경운동연합의 46번째 지역 조직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사회복지 단체. 성남희망천사운동본부는 봉사단체로 회원들이 희망을 지켜 주는 천사가 되어 월 1만 원의 회비를 모아 고통과 절망에 빠진 이웃에게 희망을 전해 주는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사회복지 단체. 성남희망천사운동본부는 봉사단체로 회원들이 희망을 지켜 주는 천사가 되어 월 1만 원의 회비를 모아 고통과 절망에 빠진 이웃에게 희망을 전해 주는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성남 지역을 연고지로 하는 K리그 소속 프로 축구팀. 코리안리그[K리그] 소속 프로축구단인 성남시민프로축구단의 홈구장은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탄천종합운동장이고, 마스코트는 성남시의 시조(市鳥)인 까치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청년연합회 소속 지부. 성남지역의 민주발전 및 청년들의 사회적 성장과 7천만이 번영하는 민족공동체 실현을 위해 노력하며, 나아가 세계인류와 함께 전 세계적 평화의 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과 운중동을 잇는 판교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 판교로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 판교동, 삼평동, 이매동, 야탑동을 연결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판교로 구간 중 판교동과 운중동 사이에 있는 판교공원을 관통해 설치한 것이 성내미터널이다. 판교공원의 자연경관을 훼손하지 않고 도로 선형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상행선과 하행선을 별도로 건설했다....
-
성인이 되는 것을 기념하며, 사회인으로서의 책무를 일깨워 주는 의례. 본래 성년식은 『주자가례』에 명시된 관례(冠禮), 계례(笄禮)를 행하는 것이나, 실제로는 거의 행하지 않았고 혼례 전에 관례 및 계례를 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근현대를 거치면서 성년관련 행사는 크게 중시되지 않다가, 1973년부터 ‘성년의 날’ 행사를 거행하면서부터 재차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1975년부터 198...
-
경기도 성남시에서 가톨릭 교인들이 모여 예배하는 교회. 성당이란 영어의 church를 번역한 것으로, 이 의미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천주교를 비롯한 모든 기독교의 교회당을 성당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영어의 church는 단순히 교회 건물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모든 구성원을 갖춘 교회 자체 또는 지역교회를 뜻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성당을 말할 때에는 천주교 자체를 지칭하거...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신종교. 1952년 음력 5월 27일에 ‘성덕도 교화원’이라는 명칭으로 시작되었는데, 본원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평천길 106-60번지에 있다. 김옥재는 물법계로 분류되는 김봉남(金奉南)과 사제지간이었으나, 후에 성덕도의 신앙을 통해 먼저 심성을 다스려 개과천선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1986년 2월부터 재단법인(성덕도 유지재단)이 되었고, 199...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과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의 경계에 있는 산. 불곡산은 골안사 동쪽의 산으로 분당구 정자동과 광주시 오포읍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344.5m의 산이다. 나지막한 데다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분당 지역 주민들의 휴식처 역할을 한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성문(聖聞). 한종설(韓宗說)의 양자로 생부는 한종억(韓宗億)이다. 조부는 한몽상(韓夢相)이고 증조부는 한후명(韓厚明)이고 외조부는 이증(李增)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있던 필름콘덴서용 금속증착필름 제품 제조업체. 1980년 7월 회사설립 이후 1982년 10월에 S.K.C와 공동으로 콘덴서용 폴리에스터필름의 국산화개발을 성공시킨 성문전자(주)는 1984년 성문전화학(주)로 상호를 변경하고 1987년 9월에 KAIST와 콘덴서용 금속증착필름을 공동개발, 소재국산화의 공로로 그해 석탑산업훈장을 수상하였다. 1990...
-
개항기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성방(聖邦)이다. 아버지는 공조참판 남기원(南綺元)이며, 할아버지는 영의정 남공철(南公轍)이다. 부인은 홍우정(洪祐鼎)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성백(成伯), 호는 임계(林溪), 고산(高山)이다. 현감 윤형갑(尹衡甲)의 아들이며, 남양부사 윤계(尹棨)의 아우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참되고[眞], 슬기롭고[善], 아름답게[美]’이며, 명랑하고 친절하며 예의 바른 학생, 자신과 주변을 아름답게 가꾸는 청결한 학생,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봉사하는 학생, 새로운 지식을 연마하고 기능을 가진 학생, 꿈을 향하여 꾸준하게 노력하는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참되고[眞], 슬기롭고[善], 아름답게[美]’이며, 명랑하고 친절하며 예의 바른 학생, 자신과 주변을 아름답게 가꾸는 청결한 학생,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봉사하는 학생, 새로운 지식을 연마하고 기능을 가진 학생, 꿈을 향하여 꾸준하게 노력하는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상례 절차의 하나로, 주인·주부 이하 모든 유복친(有服親 : 복을 입어야 할 가까운 친척)이 처음으로 상복을 입는 일. 성복은 고인과의 친소관계에 따라 상주 및 복인들이 상복으로 갈아입는 절차를 의미한다. 본래 『사례편람(四禮便覽)』을 위시한 각종 예서에서는 대렴 다음날인 4일째에 성복을 하도록 명시되어 있고, 성복까지는 날짜를 반드시 지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3일장이 보...
-
상례 절차의 하나로, 모든 유복친(有服親 : 상복을 입는 가까운 친척)이 성복을 마친 후 행하는 의례. 성복 전에는 문상을 받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성복을 마치고 나면 유복친 상호간에 문상을 하고, 유복친 중 연장자의 집례에 따라 분향, 재배하는 형식의 제를 올리는데, 이것을 성복제라 한다. 성복제를 마치고 나면 조석으로 전(奠 : 영전에 음식, 술 등을 올리는 일)을 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의지가 굳고 심신이 강건한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소질을 키우는 어린이, 자연을 사랑하고 근검절약하는 어린이, 과학적으로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바른 인성을 가지고 더불어 사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의지가 굳고 심신이 강건한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소질을 키우는 어린이, 자연을 사랑하고 근검절약하는 어린이, 과학적으로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바른 인성을 가지고 더불어 사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성심(聖心). 원세창(元世昌)의 장남이고, 원석오(元錫五)의 손자, 원재공(元在恭)의 증손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동일한 인물을 시조로 하는 성들. 성(姓)이라는 것은 혈연적인 것을 말하고 씨(氏)는 지역을 뜻한다. 그러므로 ‘김해김씨’하면 김은 성이고 씨는 김해가 된다. 삼국시대의 시조들이 모두 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 성을 사용한 것은 삼국시대 이전이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까지도 성이 일반화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특수학교. 교육 비전은 ‘행복한 배움과 나눔으로 꿈이 성장하는 학교’이다. 자신의 삶에 필요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사람[생활인], 행복한 배움으로 꿈과 끼를 찾아가는 사람[학습인], 바른 인성을 가지고 공동체와 더불어 성장하는 사람[협동인], 스스로 선택하고 실천하여 꿈을 향해 나아가는 사람[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대학 입학을 위한 수학능력 시험은 한국의 모든 학생들에게 있어서 삶의 전환점과 같은 역할을 해 왔다. 그것은 성인의 길목에서 맞이하는 커다란 시련이며 도전이며 희망이 되는 셈이다. 나에게도 수능 직후에 삶의 변화 찾아왔다. 친구를 따라 교회를 다니기 시작한 것이다. 교회를 다니면서부터 소망이라는 게 삶에서 생겨나는 것 같았다. 고교 시절을 보내면서 줄곧 증폭되어 가기만 하던 심적...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진리, 정의, 애국’이며, 창의성이 뛰어난 창조인, 조화로운 인성을 갖춘 도덕인, 심신이 강건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진리, 정의, 애국’이며, 창의성이 뛰어난 창조인, 조화로운 인성을 갖춘 도덕인, 심신이 강건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성일고등학교 동문회. 성일고등학교 총동문회는 성일고등학교 동문 상호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유대를 강화하며 모교와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성실한 사람, 실력 있는 사람, 생산적인 사람’이며, 개성과 창의성 있는 사람, 성실하고 올바른 사람,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 사회에 봉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성실한 사람, 실력 있는 사람, 생산적인 사람’이며, 개성과 창의성 있는 사람, 성실하고 올바른 사람,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 사회에 봉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훈은 ‘진리, 정의, 애국’이며, 지식과 정보를 지혜롭고 창의적으로 활용할 줄 아는 사람, 봉사정신이 투철하고 더불어 함께할 줄 아는 사람, 건전한 심신과 진취적·인적 사고를 갖춘 사람, 의로운 생각과 바른 행동을 실천할 줄 아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훈은 ‘진리, 정의, 애국’이며, 지식과 정보를 지혜롭고 창의적으로 활용할 줄 아는 사람, 봉사정신이 투철하고 더불어 함께할 줄 아는 사람, 건전한 심신과 진취적·인적 사고를 갖춘 사람, 의로운 생각과 바른 행동을 실천할 줄 아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가신(家神)의 하나로, 집안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신. 성주대감이라고도 불린다. 집안의 최고신으로 집안의 여러 신을 통솔하면서 집안의 평안과 부귀를 관장한다고 믿어진다. 집안의 평안이란 가족들의 건강과 운수가 태평한 것을 말하지만, 가족 중에서도 특히 가장이 되는 대주를 보살펴주는 신으로 알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주이씨 문열공파의 의금부도사 이징(李徵)의 4남 이창우(李昌遇)[1709~1772] 형제가 분당구 이매동에서 분가하여 이주한 이래 그의 9대손 이광섭(李光燮)[1937년생] 등 후손이 세거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성지공원은 성남시 동쪽 외곽에 있는 공원으로 면적은 94,597.4㎡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성평(聖平). 해평윤씨 19세손. 장주공파(長洲公派). 아버지는 윤득태(尹得泰), 어머니는 안동권씨, 풍양조씨이다. 할아버지는 윤진(尹津), 증조부는 윤세원(尹世元)이다. 부인은 숙부인에 추증된 수원최씨이다. 슬하에 1녀를 두었고, 윤호열(尹浩烈)을 양자로 맞아들였다. 근친 가운데에는 조카 윤이열(尹而烈)이 역시 무과출신으로 동도참군(...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전통시장. 성호시장은 성남시의 수정구와 중원구 중심에 자리한 성남시 최대 규모의 상설 전통시장으로 1970년쯤 자연발생적으로 개설되어 성남시 3대 시장으로 성장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서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까지 연결된 시도. 세계로는 낙생대공원 앞 판교역로에서 분기하여 삼평동을 지나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탄천로까지 연결되는 시도(市道)이며, 2024년 기준 동판교로로 명칭이 부여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과 수진동에 있었던 고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방면에서 모란 방면으로 가는 길에 있었던 3개의 고개를 가리킨다. 현재의 수인분당선 가천대역 부근에 있었던 고개, 성남 수정경찰서 앞의 수진리고개, 수진2동 주민센터 앞의 모란고개가 여기에 해당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과 서울시 강남구 세곡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북쪽 경계인 수정구 신촌동과 서울시 송파구 세곡동을 지나는 국지도(局地道) 23호선 상에 위치하는 다리이다. 이 다리를 사이에 두고 경기도와 서울시의 경계가 지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과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는 중천.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은 조선 후기까지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세천리 은곡동이었다. 세천리(細川里)의 ‘세’ 자와 은곡동(隱谷洞)의 ‘곡’ 자를 따서 ‘세곡동’이라 하였고 이 지역의 이름을 따라 세곡천이라 부르게 되었다. 세곡동은 1914년 경기도 구역 획정 때 광주군 대왕면 세천리로 되었으나,...
-
일년을 주기로 하여 계절의 변화 시점, 생업활동의 변화 시점 기념일 등에 행하여지는 풍속. 세시풍속은 일년을 주기로 하여 계절의 변화 시점, 생업활동의 변화 시점, 기념일 등에 행해지는 풍속을 가리킨다. 주로 가정과 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전래의 세시풍속이 역법 체계에 따라 고정된 날에 행해져왔다. 그러나 20세기 이후 서양의 역법 체계를 수용하였기 때문에 전승되어오던 세시풍속이...
-
성남은 첫 발을 딛던 40년 전에 비하면 격세지감을 느낄 만큼 변했다. 철거민이 막 들어와 하꼬방 슬라브집에서 살기 시작했던 것이 어제 같다. “제가 학교 다닐 무렵만 해도 시장 고쪽으로 개울 또 완전 산꼭대기고, 막 집이 듬성듬성 있고, 돌산이라고 그럴까 돌 있고, 덜렁 학교가 하나 지어 있었고 그랬었잖아요. 그때만 해도 물 사정도 안 좋고. 그래가지고 막 굉장했었어요, 청소 같...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있는 국책 연구 기관. 세종연구소는 외교·안보·통일 및 국제정치 등의 분야에 대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는 민간 공익 연구기관으로 중장기적인 국가전략과 정책대안을 개발하고, 국가안보의 현안 및 과제 등을 연구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현도(顯道), 호는 세촌(細村)이다. 증조부는 이진(李進), 조부는 이권생(李權生)이며, 감무 이계상(李繼祥)의 아들이다, 김종직(金宗直)의 제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 복정동 및 중원구 상대원동, 하대원동 일대에 있었던 지명.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군에 속했던 지방행정 구역으로, 7개 동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후 1913년 신설된 광주군 중부면으로 편입되었고, 광주군 중부면 성남출장소, 경기도 직할 성남출장소, 성남시청 등 시대에 따라 주요 행정기관이 위치하며 성남시 초기 발전의 중심적 역할을 해왔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소망재활원은 150명이 거주 가능한 장애인 재활시설로, 성남중앙병원과 함께 사회복지법인인 양친사회복지회에서 설립·운영하고 있다....
-
문짝을 짜거나 실내에서 사용되는 가구들을 제작하는 장인. 목수 중 궁궐을 비롯하여 사찰 등 목조건축을 짓는 장인을 대목장이라 하고, 문짝을 짜거나 실내에서 사용되는 가구들을 제작하는 장인을 ‘소목장’이라고 한다. 소목장/백골에 대한 기록은 고려 때부터 보이며 조선시대 『경국대전』 「공전」에도 기록되어 있는데, 그들은 자기 고장에서 자생하는 나무를 사용하여 지역성이 강한 가구를 제작...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화재를 예방, 진압하는 등 소방업무를 하는 기관. 성남시에는 1975년에 설치된 성남소방서와 1999년에 설치된 분당소방서가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소비자 단체.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성남지부는 소비자운동 확산의 일환으로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의 첫 번째 지부로 개설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소비자 단체.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성남지부는 소비자운동 확산의 일환으로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의 첫 번째 지부로 개설되었다....
-
사망한 지 1년을 맞아 고인을 추모하는 제사. 성남시의 경우 세거성씨들이 살아왔던 지역에서 윤달을 계산하지 않고, 돌아가신 날부터 만 13개월이 되는 날에 지냈다고 한다. 이때부터 변복을 하고, 아침 저녁에 하는 곡을 그치며, 과일과 채소를 먹을 수 있었다....
-
작가의 상상력에 의하여 창작된 이야기 형식의 문학작품. 성남 초창기의 소설문학은 시문학에 비해 출발이 더딘 편이었다. 권기흥이 거의 독보적인 활동을 보이다가 김건중이 합세하면서 점차 소설 작품들이 발표되기 시작했다. 권기흥은 1960년 한국일보 공모에 장편소설 「탈피」로 당선되었고 1972년에는 삼성문화재단의 문화저작상 소설부문을 수상하였으며, 1973년에는 장편소설 「비산비야기」...
-
어떤 할머니들은 전혀 거동을 못했다. 그러다 보니까 대소변을 가리지 못해, 할머니들 대소변 수발을 들어야 하는 경우도 생겼다. 아무리 봉사가 좋다고 한들 대소변을 받아내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 처음에는 너무 역겹기까지 했다. 그래도 할머니들의 삶의 자리를 휘 둘러보면 생겨나는 짠한 마음이 그녀를 그냥 돌아서지 못하게 했다. 귀가 안 들리는 할머니하고 장애를 갖고 있는 딸이 같...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재(德哉), 호는 뇌연(雷淵), 소화(小華). 서울 출신. 증조는 대제학 남용익(南龍翼), 할아버지는 대사헌 남정중(南正重),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남한기(南漢紀)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
옛적부터 민간에 전하여오는 알기 쉬운 격언. 속담은 대체로 교훈이나 풍자를 하기 위하여 어떤 사실을 비유의 방법으로 서술하는 간단한 관용어구이다. 따라서, 속담이 어느 한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것은 아니고,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들 속담 중 성남지역에서 많이 인용되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청지(淸之), 호는 손암(損菴)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5대손으로, 장양도정 주(長陽都正 儔)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남원부사 이승상(李承常)이며, 어머니는 민관(閔寬)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전통 음악 연주 단체. 우리소리연구회 솟대는 호남좌도 농악인 전라북도 임실 필봉 농악의 풍물놀이 전수자들이 주축이 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연주 단체와 교육 단체의 기능을 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사물놀이와 판굿이며, 국악교실에서 풍물놀이와 민요, 판소리 등의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의 경원대학교 진리관 앞에 건립되어 있는 추모비. 송광영은 1958년 10월 3일 광주광역시에서 출생하여 1974년 서울 경신중학교를 졸업하였다. 인천 등지에서 생계를 위해 장사를 하다가 1982년 검정고시에 합격한 뒤 1984년 경원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하였다. 재학 중 반독재투쟁 등 민주화운동을 위한 학생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하던 중 1985년...
-
경기도 성남시에서 열리고 있는 음악회. 1987년 10월 24일에 한국음악협회의 인준으로 한국음악협회 성남지부가 창립된 이후 성남음악협회는 성남시의 음악계의 화합과 결속의 장을 마련해왔다. 그 하나가 바로 송년음악회이며, 1987년 12월 20일에 성남시민회관[현 성남아트리움] 대강당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그러나 그 다음해부터 개최되지 못하다가 1992년 12월 19일에 다시 재개...
-
조선 후기의 문관 본관은 여산(礪山)으로 자는 인숙(仁淑)이다. 부친은 송기회(宋耆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시간을 아는 사람이 되자, 필요한 사람이 되자’이며, 주인 정신이 투철하고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는 사람, 학문과 기술을 겸비하고 실력을 가진 사람, 사회가 필요로 하는 능력과 창의력을 갖춘 사람, 정직하고 책임감 있는 건전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시간을 아는 사람이 되자, 필요한 사람이 되자’이며, 주인 정신이 투철하고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는 사람, 학문과 기술을 겸비하고 실력을 가진 사람, 사회가 필요로 하는 능력과 창의력을 갖춘 사람, 정직하고 책임감 있는 건전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시도. 판교로 성남시중앙도서관 입구 부근에서 북쪽 방향으로 나누어진 길로서 야탑천, 여수천을 건너 야탑3동에서 양현로와 만난다. 2024년 기준 ‘송림로’ 명칭은 사용하지 않으며, 매화로로 도로명이 변경되었다. ‘송림로’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 있다가 2001년 이매동으로 이전한 송림중학교와 송림고등학교에서 따왔다. 왕복 포장 6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0....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주인정신이 투철하고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는 사람, 학문과 기술을 겸비하고 실력을 가진 사람, 사회가 필요로 하는 능력과 창의력을 갖춘 사람, 정직하고 책임감 있는 건전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주인정신이 투철하고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는 사람, 학문과 기술을 겸비하고 실력을 가진 사람, 사회가 필요로 하는 능력과 창의력을 갖춘 사람, 정직하고 책임감 있는 건전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언규(彦圭). 정주목사를 지낸 송수(宋壽)의 셋째아들로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이다. 생원 송윤은(宋胤殷)의 손자이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올랐던 대표적 훈구세력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외손자이다. 처부(妻父)는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오른 제양군(齊陽君) 허광(許礦)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묘가 있었던 조선 중기의 관리. 송맹경(宋孟璟)은 의주목사로 재임 중 노모인 광주 이씨가 체직(遞職)시켜달라는 건의가 받아 들여지지 않을 만큼 중요한 직책을 감당한 인물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재현(在玆). 호는 상촌(相村). 판서 송언신(宋言愼)의 손자이며, 공청도관찰사 송준(宋駿)의 장남이다....
-
고려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초명은 조윤(趙胤), 자는 종견(從犬), 호는 송산(松山)이다. 아버지는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이고, 어머니는 오의(吳懿)의 딸이다. 영의정부사 조준(趙浚)의 동생이다. 증조부는 문하시중 정숙공(貞肅公) 조인규(趙仁規)로 제 26대 충선왕(忠宣王)의 국구(國舅)[임금의 장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9월에 열리는 문학 백일장. 송산백일장은 고려 후기,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의기와 충절의 정신을 역사에 남긴 송산(松山) 조견(趙狷)을 기리고자 성남시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최되는 백일장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9월에 열리는 문학 백일장. 송산백일장은 고려 후기,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의기와 충절의 정신을 역사에 남긴 송산(松山) 조견(趙狷)을 기리고자 성남시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최되는 백일장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자선(子善). 호는 상촌(相村). 성남시 상대원동의 입향조인 판서 언신(言愼)의 손자이며, 공청도관찰사 준(駿)의 4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기수(耆叟). 생원(生員) 송윤은(宋胤殷)의 장자. 부안현감(扶安縣監)을 역임한 송관(宋觀)의 손자.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올랐던 대표적 훈구세력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사위이다. 따라서 당시 성남 지역에 세거하던 두 벌열(閥閱) 가문이 혼맥으로 서로 맺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겠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송수(松叟). 부사 남면교(南勉敎)의 아들. 부인은 이종륜(李鍾崙)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취이(就而), 호는 송애(松崖)이다. 성종의 아들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7대손이며, 사평(司評) 이정흥(李鼎興)의 아들이다. 부인은 숙인 나주정씨이고 슬하에 1남을 두었다....
-
조선 중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조선 중기의 문신인 송언신은 성남 지역의 지명과 관계가 있는데, 일설에 조선 후기의 문신 이집의 서원이 있는 곳을 하대원이라고 한데 대하여, 송언신의 서원이 있었던 지역을 상대원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산(礪山). 자는 탁이(卓爾). 호는 금헌(琴軒). 증 이조참판 송말경(宋末璟)의 장남이자 증 병조참판 송수(宋壽)의 손자이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오른 제양군(齊陽君) 허광(許礦)의 외손자이고, 문과에 합격하여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오른 송언신(宋言愼)이 아들이다....
-
조선 전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거주하였던 열녀. 송율 처 신씨(宋嵂妻愼氏)는 아내로서 절개를 지켰을 뿐 아니라 시부모를 지극정성으로 모셨던 열녀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산(礪山). 자는 윤보(允甫). 의금부도사를 역임한 송희성(宋希聖)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최세윤(崔世胤)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첨정(僉正)을 지낸 송숙경(宋叔璟)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개항기 의병. 송주상(宋柱祥)[1886~?]은 1907년(순종 1) 성남 출신의 남상목(南相穆)이 일으킨 의병 부대에 종사로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진보(晉甫), 호는 성암(省菴). 아버지는 장령(掌令) 송승희(宋承禧)이며, 어머니는 창원황씨(昌原黃氏)로 서윤(庶尹) 황인(黃璘)의 딸이다. 이조판서 송언신(宋言愼)의 양아들로, 명종 때 부제학을 지낸 성리학자 류희춘(柳希春)이 사위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려산(礪山). 자는 여오(汝五).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송준(宋駿)의 2남이고, 어머니는 김급(金汲)의 딸 청풍김씨(淸風金氏)이다. 할아버지는 퇴계(退溪) 문인으로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역임했던 송언신(宋言愼)이고, 증조부는 종성부사(鍾城府使)를 역임한 송율(宋嵂)이다. 처부(妻父)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한 청주한씨(淸州韓氏) 한효중(韓孝仲)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수정구 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인 사송동은 대부분 개발 제한 구역이어서 녹지가 많고 남쪽에는 탄천이 남북으로 흐른다. 농막(農幕)을 중심으로 동간, 듬박골, 벌말, 사촌(沙村), 샘골(泉谷), 솔고개(松峴洞), 집너머 등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졌다. 이 중 동간 마을 지역은 분당 지구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현재는 행정동인 시흥동 관할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근린공원. 송현공원은 판교 신도시 건설과 함께 조성된 제7호 근린공원으로,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과 경계를 이룬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꿈은 크게, 생각은 지혜롭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예절 바르고 더불어 사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여 꿈을 기르는 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꿈은 크게, 생각은 지혜롭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예절 바르고 더불어 사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여 꿈을 기르는 자주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 여산(礪山). 자는 여눌(汝訥). 감역(監役)을 지낸 송덕융(宋德隆)의 손자이자 송유(宋濡)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박동유(朴東維)의 딸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여현(汝賢). 왕자사부(王子師傅)를 지낸 송숙경(宋叔璟)의 큰아들이며, 어머니는 양숙(梁淑)의 딸이다. 정주목사(定州牧使)를 지낸 송수(宋壽)가 할아버지이니, 할머니는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녹공되었던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딸 광주이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었던 지명.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는 새터말·쇠골마을·승지골의 자연마을이 형성되어 있었다. 쇠골마을은 새터말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서, 남쪽·서쪽·북쪽 삼면이 산으로 에워싸고 동쪽이 터진 모양으로 경부고속도로의 서쪽에 있어 분당신도시 개발에서 제외된 곳이다. 금곡동 67번지에서 100번지 일대의 양지마을에는 궁내동 전주이씨 집안의 귀성군 이첨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진리, 사랑, 봉사’이며, 튼튼한 체력과 풍부한 정서를 지닌 건강인, 어른을 공경하고 남을 존중할 줄 아는 도덕인, 문제의식을 갖고 창의적으로 탐구하는 탐구인, 국가와 사회를 먼저 생각하고 행동하는 애국인, 이웃과 친밀하며 서로 돕고 협력하는 협동인 등 참되고 창의적인 수내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진리, 사랑, 봉사’이며, 튼튼한 체력과 풍부한 정서를 지닌 건강인, 어른을 공경하고 남을 존중할 줄 아는 도덕인, 문제의식을 갖고 창의적으로 탐구하는 탐구인, 국가와 사회를 먼저 생각하고 행동하는 애국인, 이웃과 친밀하며 서로 돕고 협력하는 협동인 등 참되고 창의적인 수내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근린공원. 수내공원은 샛별중학교와 연접하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보이며, 인접한 주거 지역 도시민의 휴게·휴양을 위한 생활권 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과 백현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 상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준공하였는데, 총연장 179m, 교폭 41m이며, 축조 형식은 PC슬라브 방식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법정동인 수내동의 행정동은 수내1동, 수내2동, 수내3동이다. 분당신도시의 중앙에 자리해 교통이 편리하고, 중앙공원과 불곡산 등 주변의 녹지 환경과 더불어 동국대학교분당한방병원의 의료시설과 동산종합시장 등 유통시설이 자리해 쾌적한 주거 환경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추정 고인돌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은 국가에 속하는데 한반도에는 3만여 기가 분포한다. 고인돌은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북방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기반식(남방식), 지하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느티나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내 작은 연못 안에 서있다. 수령 2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14m, 가슴높이 둘레 3.7m, 수관(樹冠) 너비 26m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던 한산이씨 문중의 재실 터. 수내동 한산이씨 재실은 1530년대부터 조성된 한산이씨 묘역에 설치되어 이장윤, 이질, 이지숙 등 조상들의 묘를 관리하고 각종 재례 행사를 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던 전통 재실이다. 재례와 관련된 기능 외에도 한때는 후학을 양성하는 서당의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향나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중앙공원 내에 복원된 수내동 가옥[경기도 문화유산자료] 옆으로 완만한 구릉성 산지가 시작되는 경사면에 서 있다. 수내동 향나무는 1982년 10월 15일 보호수로 지정되었으며 수령 150년, 높이 8m, 가슴높이 둘레 41cm, 수관(樹冠) 폭 13m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전통 가옥. 수내동가옥(이택구가옥)은 분당 신도시 개발 전 이곳에 세거하였던 한산이씨(韓山李氏)의 살림집 중 한 채로 이택구가 거주하였던 집이다. 이 가옥은 19세기 말의 건물로 보이는데, 부재가 비교적 견실하고 치목(治木, 목재를 다듬음)도 반듯하여 조선 후기 경기지역 살림집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분당-내곡간 도시고속화도로가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와 만나 끝나는 지점(초림지하차도)에서부터 남동쪽 방향으로 연결된 도로로서 탄천(수내교)을 넘어 중앙공원 남쪽을 지나 불정로 샛별삼거리에 이르는 길이다. 도로명은 수내동을 지나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왕복 포장 6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2.016㎞이며 도로 폭은 35m, 총면적은 70,560㎡...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 지역으로 마을 어귀에 숲이 많았으므로 숲안 또는 수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역말을 병합하여 수내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91년 분당구 수내동이 되었다....
-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일원에 조성한 습지 생태공원. 수내습지생태원은 탄천변 수내교와 황새울교 사이에 조성한 면적 12,000㎡의 생태 공원이다. 탄천변의 오염원을 정화하고 동식물의 서식지를 보존하기 위해 건립했다. 나무와 숲을 조성해 성남시민들의 휴식 공간과 어린이 생태체험 학습장으로 이용하도록 설계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수인분당선 전철역. 수내역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한 역으로 서현역과 정자역 사이에 있으며, 민자 역사로 롯데백화점 분당점과 바로 연결되어 편리하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 앞서가는 사람이 되자’이며,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는 사람, 진리를 탐구하는 창조적인 사람, 예의 바르고 합리적인 사람, 심신이 건강하고 아름다운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 앞서가는 사람이 되자’이며,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는 사람, 진리를 탐구하는 창조적인 사람, 예의 바르고 합리적인 사람, 심신이 건강하고 아름다운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참된 앎을 배워 가고 실천하며 더불어 행복하게 살아가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의 중점은 스스로 탐구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어린이로 키우기 위해 자기 관리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을 키우고, 기초·기본적 지식을 갖춘 앎을 실천하는 어린이로 키우기 위해 지식 정보 처리 역량 및 창의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참된 앎을 배워 가고 실천하며 더불어 행복하게 살아가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의 중점은 스스로 탐구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어린이로 키우기 위해 자기 관리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을 키우고, 기초·기본적 지식을 갖춘 앎을 실천하는 어린이로 키우기 위해 지식 정보 처리 역량 및 창의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 수내촌이었는데, 마을 어귀에 숲이 많았으므로 숲안 또는 수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역말을 병합하여 수내리가 되었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91년 분당구 수내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의 가정 및 모든 시설물에서 사용하는 먹을 물이나 공업 용수를 관을 통해 계통적으로 급수하는 설비. 성남의 상수도 행정은 1969년 성남 주택지 개발 당시 12개의 공동 우물로 시작하였다. 다음해 탄천변에 3개의 정호를 설치하여 하루 4톤 생산을 시작으로 1972년에는 15000톤을 생산하여 67.5%의 급수율을 유지하였고, 이후 취수 시설을 확장하여 1976년에는 하...
-
경기도 파주에서 서울특별시 삼성동과 경기도의 성남시를 거쳐 동탄까지 운행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는 수도권의 교통난 해소와 장거리 통근자들의 교통 복지 증진을 위해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 주요 3개 거점역인 서울역·청량리역·삼성역을 방사형으로 교차, 30분대에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계획 중인 광역급행철도이다. 전체적인 철도 노선망은 총 6개로 1기...
-
경기도 성남시에서 출발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인천광역시를 거쳐 다시 성남시로 연결되는 수도권 도시 순환 고속도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의 도로 규모는 하남JC-강일 구간 왕복 10차로, 그 외 전 구간은 왕복 8차로로 총연장은 127.7㎞이다. 행정구역별로는 서울특별시 8.34㎞, 인천광역시 12.51㎞, 경기도 106.75㎞이다. 이 도로는 서울을 중심으로 방사형과 순환형이...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수백(秀伯). 해주오씨 17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선조대 전라도수군절제사 등을 지낸 오도홍(吳道弘)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전주이씨이다. 할아버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吳達權)이며, 증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吳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소(老小)를 이끈 인물이었다. 그의 가계 역시...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수보(秀甫). 감역(監役) 첨정(僉正)을 지낸 황도(黃鍍)의 4남이며, 어머니는 박상호(朴相皓)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동정(同正)을 지낸 황진구(黃盡耈)이다. 배위는 홍욱(洪煜)의 딸이다. 부사(府使)를 지낸 조카 황은(黃隱)을 양자로 맞아 들였다....
-
어떤 사물을 빗대어서 말하여 그 뜻이나 이름을 알아맞히는 놀이. 한자어로는 미어(謎語)라고 하며, “속내를 알 수 없는 복잡하고 괴이한 일을 이르는 말’로도 풀이된다. 수수께끼는 속담과 마찬가지로 어느 한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것은 아니고,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들 수수께끼 중 성남지역에서 널리 구전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수연(秀衍). 호는 좌은(坐隱)이다. 문과에 합격하여 병조좌랑을 역임한 이기상(李箕相)의 넷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윤유진(尹惟晉)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지(李至)이고, 중종의 다섯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증손인 봉래군(蓬萊君) 이경윤(李烱胤)의 증손이다. 부인은 김우량...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수연(粹然)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4대손이다. 부인은 고령박씨로 현감인 박인효(朴仁孝)의 딸이고 판서 박만(朴蔓)의 증손녀이다. 큰아들은 한성군(韓城君)이며, 그밖에 이치(李穉), 이온(李穩), 이정(李程) 등 4남을 두었다. 토정선생으로 잘 알려진 이지함(李之函)이 손자이다. 증손은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와 이조...
-
경기도 성남시를 관할하는 법무부 수원보호관찰소 소속 지소. 보호관찰소는 선고 유예나 가석방 등의 처분을 받은 범죄자에 대한 선도 및 교화 업무를 담당하는 법무부 산하 기관이다. 1988년 12월 31일 제정된 「보호관찰법」[법률 제4059호]에 따라 1989년 7월 서울·인천·수원·춘천·청주·대전·대구·부산·마산·광주·전주·제주 등에 총 12곳의 보호관찰소가 설치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수원지방검찰청 소속 지청.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은 경기도의 성남시·하남시·광주시의 검사 사무를 수행하며, 관할 경찰서는 성남수정경찰서와 중원경찰서, 분당경찰서, 경기도 광주경찰서, 하남경찰서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수원지방법원 소속 등기소. 수원지방법원 관할 등기소로 분당구 지역의 부동산 및 법인 등기 업무를 취급하고, 등기 전산화 시설과 장애인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수원지방법원 소속 등기소. 등기 사무를 담당하는 국가 기관은 법원이며, 법원 중에서 지방 법원과 동(同) 지원(支院)이 관할 구역의 등기 사무를 관장한다. 등기소는 등기소라는 명칭을 가진 관서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지방 법원과 동 지원이 등기 사무에 관하여 이른바 ‘등기소’인 것이다. 즉,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등기과와 수원지방법원 성남등기소...
-
경기도 성남시를 관할했던 수원지방법원 소속 순회심판소. 순회심판소는 관할판사가 관내를 순회하면서 경미한 민사사건과 형사사건을 처리하던 사법기관이다. 성남순회심판소는 1980년 9월 1일 설치되었다가 1995년 9월 1일부터 없어지고 대신 시법원이 새로 생겼다. 종래의 순회심판소 체제에서는 지방법원 또는 그 지원에서 근무하는 판사가 1개월에 한두 번 순회심판소에 잠시 와서 재판만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수원지방법원 소속 지원.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의 재판 관할구역은 경기도의 성남시·광주시·하남시이며, 등기 관할구역은 성남시의 수정구·중원구, 상업 등기는 성남시 전 지역이며, 즉결 관할구역은 성남시 전역이다....
-
경기도 성남시를 지나는 청량리역에서 인천역까지 운행되는 수도권 전철. 1990년대 수도권 1기 분당신도시 건설 당시 개설이 추진된 노선으로 서울 강남과 성남 분당을 잇는 지하철이다. 처음에는 수서역에서 복정역을 거쳐 오리역을 잇는 분당선으로 1994년 개통되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노선이 연장되어, 2020년 수원역과 인천역을 잇는 수인선과 연계되면서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 총...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과 구미동에 걸쳐 있는 수도권 지하철 수인분당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 분당선은 1990년대 초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과 함께 추진되어 1994년 수서-오리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3년 수서에서 선릉 구간, 2007년에 오리에서 죽전까지의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송도 개통, 2012년 10월 6일 왕십리-선릉 개통, 20...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K-water 산하 기관. K-water 경기동남권지사는 성남, 용인, 수원, 오산, 화성, 평택, 안성 지역에 수돗물 공급 및 수도 시설을 운영 관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수정구는 중원구, 분당구와 함께 성남시 3개 구 중의 하나로 지리적으로는 서울 도심에서 남동쪽으로 약 20㎞, 강남에서 약 5㎞ 떨어진 곳에 있다. 동쪽으로는 중원구, 서쪽으로는 경기도 과천시와 의왕시, 남쪽으로는 분당구, 북쪽으로는 서울특별시 서초구와 강남구, 경기도 하남시와 접한다. 시가지가 동부 지역에 치우친 형태로 발달되어 있으며 개발제한...
-
...
-
광주군 대왕면 고등리, 상적리, 둔전리 등의 지역을 1971년 경기도 성남출장소로 편제시켰다가 1973년 7월 성남시에 편입되어 고등동이 관할하였다. 1975년 3월 성남시 대왕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77년 6월 10일 3개 지역을 병합하여 행정동명을 고등동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1988년 7월 1일 대왕출장소가 폐지되었고 1989년 5월 1일 성남시 구제(區制)의 실시에 따라...
-
고등동 등자리마을에서 성장한 이찬은 현재 81세로 일제시기와 해방 후 격동기를 살아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등자리마을에서 노인회장으로 있으면서 마을 일을 비교적 소상히 기억하고 있다. 덕수이씨 가문인 이찬은 유교적 교육을 받으면서 성장한 것으로 드러난다. 실제로 이 마을에는 이씨 문중이 설립한 강습소가 있어 근대교육을 받을 수 있었으며 서당에서 한문교육을 받았다. 당시 일제하에...
-
덕수이씨의 집성촌인 등자리마을에서 성장한 이찬은 지주였으며 일제강점기 때에는 자작농의 형태로 존립한 것이 특징이다. 500년 이상 정착하여 생계를 유지한 관계로 전통성을 간직할 수 있었다. 할아버지대에서도 선비 집안이었으며 머슴을 두고 농사를 지었다. 산적동과 고등동 일대에 덕수이씨의 친척들이 분포하여 집성촌이라 할 수 있다. 19세에 중매로 지금의 전주이씨 할머니와 결혼하여, 아...
-
등자리는 인능산 밑인데, 덕수이씨 후손의 등과하는 경사가 잇따라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덕수이씨의 묘가 많은데 벼슬이 높아 석등이 세워진 마을이란 데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덕수이씨는 고등동 일대에 세거하였는데 이추(李抽)의 아들 풍성군 이의번(李宜蕃)의 묘를 쓰고 그 후손들이 세거한 것으로 전해진다. 등자리는 특히 풍성군의 후손들이 집성촌을 이루어 계파를 형성했는데 의정공파...
-
...
-
주식은 대개 밥류와 면류, 죽류로 구분할 수 있다. 주식인 밥류는 경기도의 경우 쌀밥, 보리밥, 조밥, 나물밥, 고구마밥, 콩밥, 팥밥, 잡곡밥, 오곡밥 등을 먹는다. 등자리마을의 일상적인 주식은 쌀밥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주로 잡곡밥이나 보리밥, 조밥 등을 먹었는데, 쌀 생산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쌀밥을 주로 먹는다. 요즈음은 건강을 위해 혼합하여 즐기는 형태로 잡곡밥을...
-
성남시 수정구 고등4통 등자리마을은 군부대를 끼고 자리한 곳이다. 마을 입구에 위치한 이찬의 집은 전통가옥의 형식에 현대식 개량 주택이라 할 수 있다. 개량 지붕 구조에 가옥의 구조는 전통방식이지만 생활공간의 대부분은 현대식으로 개량한 것이 특징이다. 대문을 중심으로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형태는 ㅁ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를 중심으로 건너편 쪽에는 임시 대문...
-
...
-
...
-
...
-
...
-
고등동 등자리마을에는 현재에도 마을신앙으로 산제사를 행한다. 이런 점에서 보면 전통의 이데올로기를 유지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외지에서 입주한 사람들도 어느 정도 호응하는 것이어서 연결고리의 장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자리마을 앞산에 산제사를 지내는 산집막이 존재한다. 산제사를 지내는 비용은 전통적으로 마을 공동체원들이 부담하며 한 해에 한 번씩 갹출하는 방식이다....
-
...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수정 구민의 보건 업무를 담당하는 보건소. 수정구 보건소는 보건 행정의 합리적 운영과 지역 주민의 보건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구립 여성 합창단. 수정구 여성합창단은 1993년 5월 3일에 수정구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만든 여성 합창단으로 수정구 어머니합창단 또는 수정구 여성합창단으로 불린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구립 여성 합창단. 수정구 여성합창단은 1993년 5월 3일에 수정구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만든 여성 합창단으로 수정구 어머니합창단 또는 수정구 여성합창단으로 불린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청소년 문화 행사. 수정구청소년어울마당은 수정구청에서 주최하는 청소년 문화 행사로, 행사를 진행할 단체나 기관을 공모하여 사업 내용이 우수한 곳에 행사 주관을 맡겨 매년 주관단체와 행사 내용이 다르다. 보통 매년 2회의 행사가 개최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수정구 관할 지방 자치 행정 기관. 수정구청의 조직은 행정지원과·시민봉사과·세무과·사회복지과·가정복지과·경제교통과·환경위생과·건설과·건축과 등 9개 과 45팀으로 구성되어 수정 구민에게 행정 및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노인 복지시설. 수정노인종합복지관은 급속히 고령화되어 가고 있는 오늘날 성남에서 가장 먼저 1998년에 설립되어 노인들의 건전한 노후 생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노인 복지를 실현하고 있다. 수정노인종합복지관은 ‘어르신의 가치를 존중하는 최고의 동행’이라는 미션 아래 성남시 거주 만 60세 이상 노인들에게 평생교육 지원사업, 급식 지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시도(市道). 수정로는 성남대로 태평역 사거리에서 동동북 방향으로 분기한 도로로, 수정구 보건소[구 성남시청] 앞을 지나 지하철 8호선 산성역 삼거리에 이르는 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 시설. 수정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들만의 문화공간으로 청소년에게 날개를 달아 주는 재미있는 수련관,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수련관을 지향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었던 행정기관. 성남시는 1973년 7월 1일에 시로 승격하면서 1실, 10과, 2개 사업소, 2개 출장소, 18개 동사무소를 설치하여 시의 행정 업무를 관장하였다. 수정출장소의 설치는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해 성남시가 전국적으로 규모 면에서 제10위로 급부상한 결과에서 비롯되었다. 1991년 12월을 기준으로 수정출장소의 관할 구역은 16동 333통 1,775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에 있는 근린공원. 성남시에서는 IMF 직후인 2000년 4월 3일~9월 29일까지 공공근로사업을 활용하여 시설비 5억, 수목 식재비 1억 8900만 원, 진입로 및 볼라드 설비 800만 원 등 총 6억 9700만 원을 투입하여 수진공원을 조성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법정동인 수진동은 행정동인 수진1동과 수진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정로 및 성남대로 인근 지역의 상업지역과 구릉지대의 주택 밀집지대로 구별되며, 향후 성남시 재개발사업에 따라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위치했던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이 있던 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은 국가에 속하는데 한반도에는 3만여 기가 분포한다. 고인돌은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북방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기반식(남방식),...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2001년 토지박물관에서 수행한 지표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수진동 산41-3번지 일대에 분포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성남지구 소속 성당. 수진동성당은 과거 경기도 광주군 일대, 현 성남시 최초의 성당이다. 초기에 자리 잡은 대왕면 둔전리에 공군성남기지가 들어서면서 둔전리 본당이 1971년 수진1동으로 이전하고 1976년 수진동성당으로 개명하여 오늘에 이른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세촌면의 지역으로 평원대군(平原大君)[세종대왕 일곱째아들]의 묘소를 관리하는 수진궁(壽進宮)이 있었으므로 궁말, 궁촌, 수진궁, 수진골 또는 수진리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세오개, 새터말, 벌터, 안말, 신답, 작은능을 병합하여 수진리라 해서 중부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면서 탄동...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법정동인 수진동은 행정동인 수진1동과 수진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정로 및 성남대로 인근 지역의 상업지역과 구릉지대의 주택 밀집지대로 구별되며, 향후 성남시 재개발사업에 따라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조성한 습지 생태공원. 수진습지생태원은 2011년 수진동 탄천 변에 조성한 총면적 16,000㎡의 습지 공원이다. 생태 하천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탄천 우안 단대천[복개하천] 합류 지역을 공원화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지하철 8호선 전철역. 수진역은 서울특별시와 성남시를 연결하는 지하철 8호선 암사-모란 구간의 한 역으로,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신흥역과 모란역 사이에 있으며, 신흥역까지 총 길이 725m의 중앙지하상가로 연결되어 있다. 수진역의 역명은 인근의 수진동(壽進洞)의 지명을 사용한 것으로 세종대왕(世宗大王)의 일곱 번째 아들 평원대군(平原大...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었던 상수도 정수장. 정수장은 강물이나 지하수 따위의 물을 먹거나 쓸 수 있도록 깨끗하게 걸러 내는 시설을 갖춘 곳이다. 수진정수장은 1970년 설치되어 성남 지역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다가 1990년 가동이 중지된 정수장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과 창의’이다. 세계 인류를 지향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을 교육 지표로 하여 도덕성 함양, 창의력 신장, 글로벌 시민 자질 함양을 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바른 인성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학생, 사랑과 열정으로 가르치는 존경 받는 교사, 학력과 인성이 어우러진 행복한 학교를 추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과 창의’이다. 세계 인류를 지향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을 교육 지표로 하여 도덕성 함양, 창의력 신장, 글로벌 시민 자질 함양을 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바른 인성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학생, 사랑과 열정으로 가르치는 존경 받는 교사, 학력과 인성이 어우러진 행복한 학교를 추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참되고 슬기롭게 꿈을 키우는 행복한 수진 교육’이다.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 다르게 보고 새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사람’,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역량 있는 사람’, 문화예술 소양과 다원적 가치를 추구하는 ‘교양있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참되고 슬기롭게 꿈을 키우는 행복한 수진 교육’이다.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 다르게 보고 새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사람’,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역량 있는 사람’, 문화예술 소양과 다원적 가치를 추구하는 ‘교양있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운중동과 하산운동 사이에 있던 들판. 수풍안들로 불렸던 곳은 원래 아름드리 전나무가 밀집하여 밖에서는 안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울창한 숲이었으나, 6.25전쟁 중에 모두 베어져 없어지면서 주변이 들판으로 변하였다고 한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숙남(叔南). 참판 남응운(南應雲)의 3남이며, 참판 남세건(南世健)의 손자이다. 부인은 구윤(具潤)의 딸이다. 1604년(선조 37)에 성균관 문묘의 벽에 재상(宰相)과 환관(宦官)의 비행을 폭로한 벽서사건(壁書事件)으로 이름을 떨친 유생 정언선(丁彦璿)과 광해군의 폐모론을 극력 반대하였던 대사헌 해천군(海川君) 최유원(崔有源)이 그...
-
경기도 성남시에서 호텔이나 모텔 등 숙박업 영업 허가를 취득하여 손님에게 숙박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용을 받는 업종의 시설. 한국 전통사회에서 숙박시설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한 것이 특징이며 기능의 특성이 상이하다. 신라시대에는 역(驛)이라는 형태로 존재했으며, 고려시대에는 역, 객사(客舍)라는 형태로 자리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역, 원(院), 여각(旅閣), 객주(客主)라고 지칭되...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숙보(肅甫). 아버지는 통정대부까지 오른 불여당(不如堂) 신암(申黯)이고, 어머니는 김지(金墀)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신준미(申遵美)의 아우인 신정미(申廷美)이다. 한여선(韓汝善)의 딸 청주한씨와 혼인하였고, 아들은 찰방을 지낸 신황(申惶)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1670~1718]의 무덤인 소령원(사적 358)을 그린 묘산도(墓山圖). 숙빈최씨 소령원도는 숙빈 최씨의 무덤인 양주(楊洲)의 소령원(昭寧園)을 그린 묘산도이다. 숙빈 최씨는 영조의 생모로 1718년(숙종 44)에 사망하여 양주 고령동 옹장리(현 경기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에 묻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숙원이씨(淑媛 李氏)의 묘. 숙원이씨[?~1524]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사섬시첨정(司瞻寺僉正)를 지낸 형신(亨臣)의 딸이다. 중종(中宗)의 후궁으로 들어가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를 생산하였으나, 자세한 행적은 미상이다....
-
조선 중종(中宗)의 후궁 숙의김씨(淑儀 金氏)의 묘. 숙의김씨는 중종의 후궁으로 왕자를 생산하지는 못했으나 숙정옹주(叔靜翁主)를 출산하였으며, 사위가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 구수영(具壽永)[1456~1524]의 손자인 능창위(綾昌尉) 구한(具澣)이다. 함께 중종을 모시던 숙원 이씨(淑媛 李氏)가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를 낳다가 산고를 이기지 못하고 일찍 죽자, 왕명으로 덕양군...
-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숙행(叔行)이다. 우의정 유관(柳寬)의 아들이다. 아버지인 유관은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그의 가문은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훈구가문(勳舊家門)이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숙화(叔和)이다. 이색(李穡)의 12대손으로,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이정룡(李廷龍)이고, 어머니는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응교(應敎)를 지낸 양만용(梁曼容)의 딸 제주양씨(濟州梁氏)이다. 할아버지는 대구부사(大邱府使)를 역임한 이제(李穧)이고, 임란 때 순절한 이경류(李慶流)의 증손이다. 부인은 한제유(韓濟愈)의 딸...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경석(景錫), 호는 고암(顧菴) 또는 순암(順庵)이다. 아버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 증조부는 정수강(丁壽崗)이다. 어머니는 군수 송세충(宋世忠)의 딸이고, 부인은 정형(鄭衡)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순천김씨는 통훈대부 상의원정 김사원(金嗣源)이 판교 널다리에 처음 정착한 이후 후손이 세거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김사원은 연안이씨 이근건의 사위로 처가 근처에 살았던 것이다. 중원구 여수동에는 김사원의 차남 김윤탁의 15대손 김봉연(金鳳淵)[1934년생]이 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및 중원구에 있는 시도(市道). 순환로는 남한산성 주변을 순환하여 남한산성 순환도로라고도 한다. 성남시 외곽도로로서 황송터널을 통해 도심을 거치지 않고 서울과 광주 지역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공 이동 도서관. 이동도서관은 도서 봉사를 제공받기 어려운 지역 주민의 생활 주변으로 도서관 자료, 장비, 직원을 차량에 싣고 운반하여 도서관 봉사를 제공하는 이동식 분관 도서관으로 순회문고, 순회도서관, 차량도서관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한림공 안명세(安名世)의 후손이 수정구 심곡동에 이주한 후 세거하였으며, 해주목사 안종약(安從約)[1355~1424]의 장남 안구(安玖)가 정착한 이래 후손이 세거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신의, 진실, 근면’이며, 신의를 숭상하는 예의 바른 여성, 튼튼한 몸을 지닌 근면한 여성, 특기를 가진 자활 능력이 강한 여성, 새로운 지식 연마에 노력하는 여성,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여성, 고장과 이웃을 사랑하는 여성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신의, 진실, 근면’이며, 신의를 숭상하는 예의 바른 여성, 튼튼한 몸을 지닌 근면한 여성, 특기를 가진 자활 능력이 강한 여성, 새로운 지식 연마에 노력하는 여성,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여성, 고장과 이웃을 사랑하는 여성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훈은 ‘신의, 진실, 근면’이며, 신의를 숭상하는 예의 바른 여성, 튼튼한 몸을 지닌 근면한 여성, 특기를 가진 자활 능력이 강한 여성, 새로운 지식 연마에 노력하는 여성,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여성, 고장과 이웃을 사랑하는 여성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훈은 ‘신의, 진실, 근면’이며, 신의를 숭상하는 예의 바른 여성, 튼튼한 몸을 지닌 근면한 여성, 특기를 가진 자활 능력이 강한 여성, 새로운 지식 연마에 노력하는 여성,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여성, 고장과 이웃을 사랑하는 여성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과 신흥동에 있었던 지명.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과 신흥동에는 과거에 숯골, 독정이[신흥동 30번지[수정로 283] 수정구청 일대], 남씨편[태평2동 3309번지[수정로171번길 10], 구 성남시청 일대], 음촌[음촌로 일대의 신흥동과 산성동 일부], 건너말[태평2동 태평지구대 뒤편], 세터말[태평1동 수정경찰서 뒤편] 등의 자연마을이 형성되어 있...
-
경기도 성남시를 관통하여 흐르는 하천. 탄천은 경기도 용인시 창덕동 법화산 자락과 응달고개, 영동고속도로를 분수령으로 발원하여 한강으로 흘러가는 지류로서, 총 유로연장은 33.16㎞이며, 성남시를 관통하는 유로연장은 15.70㎞, 제방 연장 31.4㎞이다. 성남시 관내 탄천의 지류천[지방하천]으로는 용인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동막천, 율동공원과 분당중앙공원을 관류하는 분당천, 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서 개최되는 문화행사. 탄천에서 열리는 정월대보름행사로 풍물과 고사, 달집태우기 등의 내용으로 진행된다는 의미로 ‘숯내대보름달맞이굿’이라 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초명은 습.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보(花浦) 또는 운옹(雲翁)이다. 찬성을 지낸 남숙(南淑)의 현손으로, 진사 남이성(南以成)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김림(金琳)의 딸이다. 교위(校尉)인 큰아버지 남대성(南大成)에게 입양되었다....
-
시신을 씻기고 수의를 입히는 절차. 염습(殮襲)이라고도 하며, 이때 쓰는 옷을 습의(襲衣)라고 한다. 습은 소렴(小殮)과 대렴(大斂)으로 구분되는데, 소렴은 수의를 입히는 절차이며, 대렴은 시신을 관에 넣는 절차이다....
-
습기가 많은 축축한 땅. 성남시에 분포하는 습지는 성남의 간천에 해당하는 탄천 본류를 중심으로 형성된 하천 수변습지인 복정습지와 탄천의 지류상에 축조된 저수지 주변의 습지인 낙생습지가 대표적이다. 시가지의 조성에 따른 인공제방의 축조 등 치수사업으로 자연형 습지는 국지적으로 나타난다....
-
조선 전기 문신으로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인 광주 안씨의 중시조. 안성(安省)[1344~1421]은 조선 세종 3년까지 활동한 문신이다. 조선 개국 후 처음으로 청백리에 뽑힌 3인 중 한 사람이며, 한쪽 눈이 작아서 이름을 ‘소목(小目)’이라 하였는데, 벼슬을 하면서 임금의 명령으로 ‘성(省)’으로 고쳤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정서나 사상을 함축적이고 운율적으로 표현한 글. 성남 지역에서 발간된 최초의 시집은 1975년 문한종의 『고향꿈』이었다. 1977년에는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가 『성남문학』을 창간하고, 1987년 9월부터 시민백일장을 개최하여 신인상을 받거나 추천을 완료하고 등단한 시인이 활발하게 활동하게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경기도지부 소속 지회.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경기도지부 성남지회는 성남시에 거주하는 3,500여 명의 시각 장애인들의 생산적 복지와 회원들의 권익, 복리 증진을 위해 조직된 복지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버스 운수업체. 시내버스는 대도시와 주요 도시의 지역끼리 서로 연결해서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주로 운행 노선을 보면 도심과 부도심, 도심과 외곽, 시내와 인접 시군끼리 서로 연결해서 운행하게 된다. 성남 시내를 운행하는 시내버스 회사는 성남시내버스, 대명운수, 대원버스 등이 있고, 성남시내버스는 성남을 근거지로 두고 있는 대표적인 시내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교향악단. 성남시립교향악단은 경기도의 대표적인 시립 교향악단의 하나로 성남시립합창단,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 성남시립국악단과 함께 성남시립예술단을 구성하고 있다. 매달 1회 이상의 정기 연주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주요 공연장으로 성남아트센터의 콘서트홀을 사용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청소년 합창단. 1997년 6월에 창단한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성남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합창단, 성남시립국악단과 함께 성남시립예술단을 구성하고 있다. 매년 정기연주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국내외 200여 회의 크고 작은 연주회에 참여하는 등 성남시 문화 사절단으로 성남시를 전국뿐만 아니라 세계에 알리는 데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예술단. 성남시립예술단은 1986년 성남시립합창단을 시작으로,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 성남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국악단 등 4개 시립 단체로 ‘감동 있는 문화예술도시 성남, 시민과 함께하는 성남시 시립예술단’을 캐치프레이즈로 문화예술의 대중화와 저변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합창단. 성남시립합창단은 1986년 6월 성남시에서 창단하였으며 초대 상임지휘자는 서북진이었다. 성남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소년소녀합창단, 성남시립국악단과 함께 성남시립예술단을 구성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시민로는 수정로 옛 인하병원사거리에서 남남동(南南東) 방향으로 나뉘어져 공단로 하대원 아튼빌아파트 앞 삼거리까지 이르는 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는 한국문인협회 성남지부에서 지역 문학인의 발굴과 문학 인구 저변확대를 위해 매년 실시하는 글짓기 대회. 성남 시민과 청소년들의 문학 인구 저변확대와 문학 동호인의 창작에 활력소가 되고자 성남문화예술제의 일환으로 시민백일장을 개최하고 있으며, 공모전으로 실시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환경 관련 시민 단체. 시민연대 환경365는 환경오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한 성남 시민들이, 단체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하고 깨끗한 도시, 맑은 환경 속에서 다 함께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고자 설립된 환경 관련 비영리 민간단체이다....
-
시민 각자가 민주주의를 기초로 권리의식을 자각하고 계층의 차이를 초월한 연대를 추구하며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운동. 시민운동은 지역의 특수성에 따라 유형이 상이하게 전개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지역생활과 밀착된 주민 형태의 운동으로 전개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고층맨션의 반대운동, 유흥업 건축물의 반대운동 등인데, 이는 지역주민과 직접 관계된 문제이나 그 지역성은 비교적 좁은...
-
경기도 성남시에서 매주 토요일마다 지역 주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서 개최하는 문화 예술 공연. 시민을 찾아가는 토요미니콘서트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성남지부, 성남시립예술단, 사랑방문화클럽 등 지역 문화 예술가들이 바쁜 일상에 쫓겨 공연장을 찾기 어려운 시민들을 위해 시민들이 자주 찾는 공원, 학교 등을 찾아가 매주 토요일마다 공연하는 작은 콘서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비. 성남 시민의 윤리 및 실천규범을 새겨 놓은 비로, 태평동 성남아트리움(옛 성남시청사) 정문 입구에 남서향하여 있다. 1990년 4월 20일 서성남청년회의소에서 건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2동에 있는 비. 1976년 11월 20일 건립되었고 1985년 11월 16일 개수되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시숙(時叔), 이조참판 이식(李拭)의 둘째 아들이다. 조부는 대사헌 이승상(李承常), 외조는 조언박(曹彦博)이다....
-
시민을 대표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심의, 의결하는 시의회의 구성원. 시의원은 일반적으로 주민의 직접선거에 의하여 선출되고 4년의 임기를 가지는 선거직 지방공무원으로, 시의회의 구성원으로서 임기 동안 일정한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 시의원은 의회의 회의에 출석을 할 수 있는 의회출석권, 회의석상에서 발언할 수 있는 발언권, 어떤 의제에 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결권, 의안을 제출할...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시익(時益)이고, 좌의정 한효순(韓孝純)의 다섯째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상품을 사고파는 장소. 시장의 개념은 다양하게 사용된다. 전통시장, 증권거래소, 상품거래소 등 상품 교환 장소를 말하기도 하고, 도매시장이나 공설시장 등 거래 형태가 더해지는 시장도 있다. 학술적 개념의 시장은 재화와 용역이 거래되어 가격이 결정되는 장소나 메커니즘으로 정의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었던 정책 자문 단체. 성남시 시정발전위원회는 1996년 제정된 성남시시정발전위원회 설치 및 운영 조례에 근거하여 시정 자문 기구로 설치되었으나, 2008년 3월 성남시 비전추진협의체가 설치 운영되면서 기능 중복을 이유로 폐지되었다....
-
철마다 지내는 제사. 시제는 시사(時祀), 시향(時享), 절사(節祀), 묘제(墓祭) 등 다양한 명칭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계절에 지내는 제사이다. 지금은 주로 춘추에 지내는데, 춘추 중월(仲月 : 한 계절의 가운뎃달, 즉 2, 5, 8, 11월)의 정일(丁日)과 해일(亥日)을 택하여 지낸다. 제사의 의식 순서는 시제나 기제(忌祭)나 묘제나 별 차이는 없는데, 기제 때는 가묘(家廟...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봉국사 대광명전에 위패가 모셔졌던 명선공주의 약혼남이자 조선 후기 문관. 맹만택(孟萬澤)[1660~1710]은 현종(顯宗)의 장녀인 명선공주(明善公主)와 약혼을 했는데, 가례청까지 설치되었으나 어머니 홍씨의 상을 당하며 혼사가 연기되었다. 곧 이어 당시 유행한 천연두로 현종의 둘째 딸인 명혜(明惠)공주가 먼저 죽고, 석 달 만에 장녀인 명선공주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시청공원은 시청사와 인접한 공원으로 다채롭게 꾸민 정원과 각종 편의 시설이 갖춰져 있으며 주변 상가와 아파트 단지에서 접근하기 쉽다. 공원 면적은 50,933.7㎡이다....
-
계절에 따라 지내는 제사. 시향은 시제(時祭)와 같은 의미로도 쓰이는데, 이는 사시(四時)에 제사를 지냈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 독립된 뜻으로는 시향이 향사(享祀)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것이니, 향사를 지내러 갈 때 시향을 지내러 간다고도 한다. 향사는 향사(鄕祠), 서원(書院), 묘우(廟宇) 등에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옛날에는 사시에 지냈으나 대개는 일년에 봄, 가을 두 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행정동인 시흥동은 법정동인 시흥동, 금토동, 사송동을 관할한다. 남쪽 시흥동과 금토동 일대에 조성되는 판교 제2테크노밸리 개발 사업이 이루어져 지속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 모랫말에서 마을 제사를 행하던 장소. 도당(都堂)은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고 제사 지내는 곳을 말하는데, 서울·경기 등지의 중부 지역에 주로 분포하였다. 시흥동 모랫말 도당대는 도당신을 모시고 마을의 산제를 행하던 '모랫말동산'을 말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지역으로서 보낸말, 모랜마 또는 새로 일어나라는 뜻으로 시흥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시흥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 대왕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89년 수정구 시흥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종류. 식물상은 하나의 행정구역 단위로 조사되는데, 국가나 대륙 등의 큰 규모에서부터 도·시·군, 또는 산 등의 작은 교목에 이르기까지 조사 범위가 다양하다. 특히 소규모의 식물상을 지역 식물상이라고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종류. 식물상은 하나의 행정구역 단위로 조사되는데, 국가나 대륙 등의 큰 규모에서부터 도·시·군, 또는 산 등의 작은 교목에 이르기까지 조사 범위가 다양하다. 특히 소규모의 식물상을 지역 식물상이라고 한다....
-
식량, 식품의 조리 및 가공, 식사와 조리의 용구, 식습관과 규범, 기호 등을 주요 요소로 하는 인류의 기본생활 여기서는 학술적인 면보다는 오늘날 성남시민들의 일반적인 식생활 모습에 대해 향토음식과 일상음식을 개관하고, 성남시의 일반가정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를 소개한다....
-
1927년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설립된 신간회 소속 지회. 신간회는 1927년 당시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의 대립을 막고 항일투쟁에서 민족단일전선을 펼 목적으로 조직한 민족운동단체이다. 신간회 광주지회는 당시의 광주지역 사회운동을 통합한 후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결성된 조직이었다....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직장을 지낸 신도(申燾)의 아들이고, 할아버지는 문과를 거쳐 한림으로 이름 높았던 신준미(申遵美)이며, 생부는 신묵(申黙)이다. 아들은 찰방을 지낸 신유(申愉)이다....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숙보(肅甫). 아버지는 통정대부까지 오른 불여당(不如堂) 신암(申黯)이고, 어머니는 김지(金墀)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신준미(申遵美)의 아우인 신정미(申廷美)이다. 한여선(韓汝善)의 딸 청주한씨와 혼인하였고, 아들은 찰방을 지낸 신황(申惶)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가톨릭교회 및 동방정교회와 함께 기독교의 3대 전통에 속하는 기독교의 한 분파. 개신교는 성남시에서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하고 있는 종교이다. 매번의 통계조사에서 성남시 전체 인구의 4분의 1 정도가 개신교 신자로 나타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성실, 근면, 정직’의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산업 발전에 앞장설 수 있는 유능한 직업인 양성과 무실역행(務實力行)의 자세로 국가와 사회 발전, 지역사회 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실천적 사회인 양성, 진취적 사고로 미래 사회를 이끌 수 있는 창의적 지식인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성실, 근면, 정직’의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산업 발전에 앞장설 수 있는 유능한 직업인 양성과 무실역행(務實力行)의 자세로 국가와 사회 발전, 지역사회 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실천적 사회인 양성, 진취적 사고로 미래 사회를 이끌 수 있는 창의적 지식인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에 있는 사립 식물원. 신구대학교 식물원은 신구대학교에서 설립, 운영하는 식물원으로, 식물 문화 발전을 위한 연구와 함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외 자원식물의 수집·보전 및 전시, 자원식물의 발굴·개발 및 연구, 식물원을 이용한 관련 학과 실습 교육, 식물 관련 국내외 교류, 일반 시민과 어린이들에게 체험 환경교육 기회 제공, 대학 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보도교.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 상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준공하였다. 신기(新基)는 ‘샛터’ 마을의 한자식 표기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었던 지명. 신기동(현재 정자1동)은 분당구의 남단 중심부에 위치한 동이다. 탄천이 중앙부를 남북 방향으로 흐르며, 탄천에 놓여진 백궁교, 궁내교, 정자교, 신기교, 금곡교, 불정교 등의 교량이 동, 서부 지역을 연결하고 있다. 탄천을 따라 남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이 지역은 북쪽은 수내1동, 동쪽은 정자2동, 남쪽은 금곡동, 서쪽은 금곡동, 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보도교.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 상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3년 한국토지공사에서 준공하였다. 신기(新基)는 ‘샛터’ 마을의 한자식 표기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비전은 ‘학생이 중심이 되는 푸른 꿈을 가꾸는 행복한 성남신기어린이’이다.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지성인],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도덕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꿈과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미래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진영. 검단산 정상부에 축조한 2곳의 돈대(墩臺) 가운데 동쪽에 있는 것을 가리킨다. 돈대는 성을 쌓을 여건은 안 되지만 전략적인 요충지에 설치하여 적의 침입이나 정찰·탐색 활동을 사전에 방어하고 관찰할 목적으로 쌓은 소규모의 방어 시설물이다.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군대가 이곳을 점령하여 대포 7~8문을 설치해 놓았던 곳이기도 하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진영. 검단산 정상부에 축조한 2곳의 돈대(墩臺) 가운데 서쪽에 있는 것을 가리킨다. 돈대는 성을 쌓을 여건은 안 되지만 전략적인 요충지에 설치하여 적의 침입이나 정찰·탐색 활동을 사전에 방어하고 관찰할 목적으로 쌓은 소규모의 방어 시설물이다. 이곳은 남한산성 동쪽의 한봉과 함께 산성의 방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점이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새로운 소식이나 여론을 전달하는 정기 간행물. 광의적으로는 신문사가 뉴스나 정보를 수집, 처리, 제작하여 그것을 신문지라는 대중 매체를 통해 독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제공하여 그들의 정신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고 그 대가를 받는 공공성과 기업성을 함께 지닌 매스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협의적으로는 발행의 정기성, 기계적 복제성, 대중의 접근성, 내용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무용 단체. 춤사랑무용단은 주부들로 구성되어 성남 지역 시민들을 위해 무용을 통한 봉사 활동 공연을 많이 했던 무용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지혜롭고 참되자’이다.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력과 품성을 갖춘 신백현인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기본예절을 지키며 더불어 살아가는 도덕인,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꿈을 키우는 창조인, 심신을 단련하여 조화로운 성품을 지닌 건강인, 자기 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실천하는 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지혜롭고 참되자’이다. 미래 사회를 선도할 창의력과 품성을 갖춘 신백현인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기본예절을 지키며 더불어 살아가는 도덕인,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꿈을 키우는 창조인, 심신을 단련하여 조화로운 성품을 지닌 건강인, 자기 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실천하는 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깊은 마음, 넓은 생각, 높은 꿈’이며, 드러남과 어우러짐이 함께하는 신백현교육을 추구한다. 교육 지표는 깊은 마음·넓은 생각·높은 꿈으로 세상을 열어 가는 신백현 어린이이다. 나라를 사랑하고 예의 바른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공부하여 창의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창의인], 소질을 계발하고 꿈을 키워 가는 어린이[개성인]...
-
경기도 수원시 광교역에서 출발하여 성남시를 거쳐 서울시 강남구 신사역까지 16개 역을 통과하는 전철. 신분당선은 수도권 동남부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설계되었다. 정부가 소유한 일반 간선철도 노선이다. 경기도 수원시 광교역[경기대]에서부터 강남구 신사역을 잇는 지하철로 총 횡단 시간은 정차 포함 42분이다. 수원시 광교신도시와 성남시 판교신도시, 서울 강남구를 빠르게 잇는 노선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과 구미동에 걸쳐 있는 수도권 지하철 수인분당선과 신분당선의 환승역. 분당선은 1990년대 초 수도권 5대 신도시 건설과 함께 추진되어 1994년 수서-오리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3년 수서에서 선릉 구간, 2007년에 오리에서 죽전까지의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송도 개통, 2012년 10월 6일 왕십리-선릉 개통, 20...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신수(莘叟). 아버지는 판관(判官)을 지낸 윤문형(尹文亨)이고, 어머니는 한언륜(韓彦倫)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직제학에 올라 청백리로 추앙 받는 윤석보(尹碩輔)이다. 처부는 김윤선(金允先)이다....
-
주거지역, 단체, 직장, 종교 등의 유대관계를 근거로 조직된 신용협동기구. 1960년에 시작된 조합원 중심의 서민금융기관으로 조합원의 저축을 통해 자금을 조합원에게 융자해 주는 금융기관이다. 현재 한국의 신용협동기구는 추진주체에 따라 한국신용협동조합연합회 산하의 신용협동조합, 마을금고연합회 산하의 마을금고, 농업협동조합과 수산업협동조합의 계통조직인 단위조합과 어업협동조합에서 운영하...
-
생몰년 미상. 이천수창의소 의병진의 우군장으로 활동한 재야유생의 의병. 신용희의 호는 운호(雲湖)이며, 자는 이현(利現)으로 본관은 평산이다. 그에 대한 상세한 자료가 불명확한 관계로 접근하기 어렵지만 대략적으로 족보에 관직의 경력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보면 재야유생이라 할 수 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자화(子和). 신경일(申敬一)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과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을 잇는 간선도로. 신이배재로는 중원구 상대원동 순환로 교차 지점부터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까지의 도로로, 이배재로의 교통 체증 해소를 위한 대체 도로로 건설되었다. 기존 이배재로는 전 구간이 고갯길이지만 신이배재로는 산을 관통하는 터널 구간을 만들어 왕복 차량이 각각 일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했던 교육가이자 정치가. 신익희는 경기도 광주에서 출생하고 성장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언론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으로서 대통령 후보가 되어 호남 지역으로 선거 유세를 가던 중 기차 안에서 뇌일혈로 사망하였다. 성남에 있는 양영고등공민학교의 이름을 지어 주었다. 양영고등공민학교는 후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나뉘었는데 지금의 양영중학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교육 기관. 1998년 12월 18일 신일직업전문학교로 설립되어 12월 26일에 개교하였다. 정보통신부와 교육부의 학점 운영기관으로 주로 컴퓨터 분야의 직업훈련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한국신장장애인연합회 경기협회 소속 지부. 만성 질환의 환자로만 여겨졌던 신장 장애인은 2000년부터 지속적인 치료와 재활을 통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장애인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사단법인 한국신장장애인연합회 경기협회 성남지부는 신장 장애인에 대한 국가의 의료비 지원부터 교육·취업 지원 등 신장 장애인들의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결성된 비영리...
-
경기도 성남시에서 기성의 종교와 비교하여 성립 시기가 오래되지 않은 종교. 성남시에는 성덕도, 천리교, 여호와의 증인, 천도교, 원불교, 증산도, 말일성도예수그리스도교회[현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단월드, 국선도, 한국SGI, 대순진리회, 통일교[현 하늘부모님교단], 신천지 등 10여 개의 신종교 단체들이 있다. 이들 신종교 단체들은 경기도 직할 출장소가 1973년 7월...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신종교운동을 전개한 종교 단체.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1824~1864]가 1860년에 동학을 창도한 이래 한국에는 1910년대 초반부터 신종교 단체들이 대거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증산교(1901), 천도교(1905), 대종교(1909), 원불교(1916) 등이 그 예이다. 일제는 신종교 단체의 통제를 위해 일본학자들에게 신종교 연구를 의뢰하였고, 이...
-
삼국시대 한강 유역에 설치되었던 신라의 지방통치구역 명칭. 고구려 세력의 남하로 백제는 한강 유역을 상실하였다. 백제는 이 지역을 되찾고자 신라와 동맹을 맺고, 드디어 이곳을 수복하였다. 그러나 당시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던 신라가 한반도의 중심부를 차지하려는 욕구와 서해를 통한 중국과의 교섭을 목적으로 553년(진흥왕 14) 7월 백제로부터 한강 유역을 빼앗았다. 그리고 이곳에...
-
신라시대 경기도 광주 지역에 두었던 군부대 명칭. 신라는 553년(진흥왕 14) 한강 유역을 차지한 뒤 신주(新州)를 설치하고, 김무력(金武力)을 군주(軍主)로 삼아 군사조직으로 신주정을 두었다. 그리하여 고구려의 남하를 저지하는 동시에 고구려와 백제의 군사적 접근을 차단하면서 한반도의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위치한 성남문화재단에서 개최하는 미술 공모전. 성남의 얼굴전은 성남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반추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성남문화재단에서 매년 개최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신창군 맹석흠(孟碩欽)[1429~?]은 충청도병마절도사로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되어 신창군에 봉해졌고, 분당동 일대를 사패지(賜牌地 : 나라에서 하사한 토지)로 받아 맹씨네의 세거지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신촌동은 원래 담박골, 두집메, 작은새말, 큰새말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 변 평지였던 가루갈이들, 선창들, 중반들 등의 넓은 농경지가 서울공항[공군성남기지]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행정동인 신촌동은 법정동인 신촌동, 심곡동, 오야동을 관할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지역으로 새로 된 마을이므로 새말 또는 신촌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촌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대왕출장소에 편입되어 신촌리, 오야리, 심곡리 등을 합하여 신촌동 관할로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신분당선과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환승 통합 역사. 경강선[판교-여주]의 시·종착역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판교역은 판교신도시와 서울 강남을 빠르게 연결하는 신분당선과 경강선의 통합 역사이다. 장항선에 ‘판교역’이라는 이름이 있어서 전산에서는 경강선 판교역이 ‘신판교역’으로 등록되어 있다....
-
1915~1975. 정치인. 건국 초 국회의장을 지낸 신익희의 큰아들로 광복군과 정치인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1915년 9월 경기도 광주에서 출생하여 1923년에 어머니와 함께 상해로 아버지 신익희를 찾아갔다. 1941년 중국 상해 광화대학(光華大學) 상과를 졸업하였다. 중일전쟁중인 1941년 중국국민정부감찰원 위임관을 비롯하여 국민정부군의 소교복무원(少校服務員), 중앙은행 과원조...
-
혼인을 하고 나서 신부가 처음 시댁으로 들어가는 의례. 이는 『가례(家禮)』에 의한 절차가 아니라 속례(俗禮)에 해당하는 절차이다. 본래 『가례』는 친영(親迎)이라 하여 시댁에서 혼례를 올리게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서류부가(壻留婦家 : 신랑이 신부집에 머무는 혼례)가 보편적이었다. 이에 따라 신행이 등장하였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공거(公擧). 신유(申愉)의 손자이며, 통덕랑 신명직(申命禝)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신흥동의 행정동은 신흥1동, 신흥2동, 신흥3동이다. 지하철 8호선 수진역, 신흥역, 단대오거리역과 인접하고 산성대로, 수정로가 평행으로 가로질러 교통이 편리하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2동에 있는 비. 1976년 11월 20일 건립되었고 1985년 11월 16일 개수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성남지구 소속 성당. 1984년 9월 6일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을 기념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성남 지역의 다섯 번째 본당인 신흥동성당이 설립되었다. 수진동성당의 일부 지역 신자 1,226명과, 단대동성당의 일부 지역 신자 964명이 새로이 신흥동성당으로 편입되었다. 설립 당시 성당의 부지는 있었지만 건물이 없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지하철 8호선 전철역. 신흥역은 서울시와 성남시를 연결하는 지하철 8호선 암사-모란 구간의 한 역으로, 단대오거리역과 수진역 사이에 자리하며,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지상에는 음식점, 옷가게, 카페 등이 밀집한 상점가가 있고, 재래시장인 성호시장, 수진역과 연결되는 중앙지하상가 등이 있어 구도심의 주요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신흥역의 역...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실내 체육관. 성남 실내체육관은 주 경기장, 인조 잔디 구장, 씨름 경기장 등을 갖춘 종합 체육 시설인 성남 종합운동장의 주요 시설 중 하나이다. 성남 실내체육관은 농구, 배구, 핸드볼 등 각종 실내 스포츠 경기와 생활 체육 동호인들의 스포츠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각종 중·소형 행사 및 콘서트 등 다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의류 기술 지원 기관. 실버의류실용화기술지원센터는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년층이 거대한 소비 세력으로 자리 잡고, 실버 세대가 경제적 자립을 통해 커다란 소비 주체로 떠오르는 시대의 배경에 따라 산업자원부, 경기도, 성남시, 중앙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국내 실버 의류 산업의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의류 기술 지원 기관. 실버의류실용화기술지원센터는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년층이 거대한 소비 세력으로 자리 잡고, 실버 세대가 경제적 자립을 통해 커다란 소비 주체로 떠오르는 시대의 배경에 따라 산업자원부, 경기도, 성남시, 중앙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국내 실버 의류 산업의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심곡동은 수정구 북단에 위치한 곳으로 인릉산 북동쪽 사면에서 동쪽의 탄천 변에 이르는 지역이다. 원래 양지말, 응달말, 아랫말, 가운뎃말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변 평지 지역은 서울공항에 편입되었다. 법정동인 심곡동은 행정동인 신촌동에서 관할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 있는 거북 모양의 바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 효성고등학교 입구로 들어가는 진입로 건너편에 위치한다. 본래 효성고등학교 옆으로 흘렀던 하천 중간의 커다란 바위 위에 거북바위가 놓여 있었는데 하천이 복개된 후 효성고등학교 정문 옆으로 이전하였다가 2004년 6월에 원래 있던 자리와 가까우면서 잘 보이도록 현재의 자리로 이전했다고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 있는 느티나무. 수령 30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가 20m, 가슴둘레가 4.9m, 나무와 잎이 달려있는 폭이 20m인 느티나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서 마을의 주신인 산신을 위해 행하던 마을 제의. 마을을 지켜주는 마을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기원을 드리는 동제의 일환으로, 마을 주민들은 산신제를 ‘동네고사’ 또는 ‘산제’라 부르고 있다. 매년 음력 7월 1일 오전 10시에 진행되며, 2004년에는 8월 16일에 지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 있는 우물. 심곡동 마을회관에서 심곡1길을 따라 안국사를 지나서 심곡동 361번지[심곡로37번길 20] 주택과 인접한 작은 길에 있는 우물이다. 이 우물은 언제 만들어졌는지, 위치나 수심이 옛 모습 그대로인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예로부터 물이 많이 솟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오는 것으로 미루어 오래 전부터 이곳 주민들의 식수원으로 이용되어 오다가 조선...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지역으로 인릉산 밑 깊은 골짜기가 되므로 깊은동 또는 심곡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심곡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 대왕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89년 수정구 신촌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 있는 소규모 늪지. 소류지는 저수시설 중 소규모에 해당하는 것으로 ‘늪지’가 표준어이다. 소규모 하천의 골짜기 대신에 넓은 평야지대가 시작되는 지점에 축조되어 있는데, 제방을 따라 남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하천의 발달이 양호하지 못한 지역의 경우 예전부터 물을 필요로 하는 경작지를 위해 저수시설을 축조하여 농업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의진(宜晋)의 아들로 사직서제조 상한(相漢)의 양부이며 김협순(金協淳)의 외손자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경소(景昭). 군수 심종지(沈宗之)의 손자이며, 심능렬(沈能烈)의 아들이다....
-
대한제국기의 의병장. 1895년 명성황후가 시해되는 을미사변(乙未事變)과 함께 단발령(斷髮令)이 강제로 시행되면서 전국적으로 척사위정(斥邪衛正)을 부르짖는 유림이 중심이 되어 의병부대가 결성되었다. 경기도 의병 또한 남한산성을 거점으로 1896년 1월 거병하였다. 이때 광주의병(廣州義兵)을 이끌었던 중심인물 중의 한 사람이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영화관. CGV는 인터넷 예매 등 한국 멀티플렉스 극장 기능을 가장 먼저 도입한 CJ CGV 주식회사의 체인 영화관으로 1998년 국내 최초 멀티플렉스 극장 CGV 강변 개점을 시작으로 현재 국내에 71개의 지점과 중국 다닝과 신좡 등 2개의 해외 지점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