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대한제국기의 함경도 및 러시아 동부 지역 지도. 아국여지도는 김광훈(金光薰)과 신선욱(申先郁)이 두만강 어귀와 연해주 일대를 16년간 직접 답사하여 제작한 함경도 및 러시아 동부 지역 지도이다. 군사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지도로 제작 연도는 불분명하지만 1885∼1905년으로 추정된다. 2008년 12월 22일 보...
-
노씨 아줌마는 아이들 교육에도 열성이었다. 유치원 때부터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학부모회는 가능한 전부 쫓아다녔다. 녹색어머니회 같은 교통 봉사 활동도 열심히 했다. 그렇지만 여기서도 노씨 아줌마는 한 가지 원칙을 지켰다. 학기 초 임원 선출이 있기 전까지는 그런 활동에 전혀 참석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녀는 그것이 나름대로 자존심과 명예를 지키는 방식이라고 굳게 믿었다. 치맛바람 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아름다운교회는 1990년 11월 4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서 김기홍 목사와 크리스천 디자이너들을 중심으로 개척된 교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다문화 어린이 합창단. 아름드리합창단은 그동안 서울 보신각 타종 행사인 서울 제야의 종, 개천절 기념식, 4.19 민주화 기념행사, 무역의 날, 세계인의 날 등 국가 기념행사와 신중현, 장기하와 얼굴들, 송소희, 카이 등과 KBS 2TV 「불후의명곡」에서 협연을 펼치는 등 각종 방송에서 명실상부한 다문화 어린이 합창단으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다문화 어린이 합창단. 아름드리합창단은 그동안 서울 보신각 타종 행사인 서울 제야의 종, 개천절 기념식, 4.19 민주화 기념행사, 무역의 날, 세계인의 날 등 국가 기념행사와 신중현, 장기하와 얼굴들, 송소희, 카이 등과 KBS 2TV 「불후의명곡」에서 협연을 펼치는 등 각종 방송에서 명실상부한 다문화 어린이 합창단으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유선 방송. 아름방송은 성남시의 유일한 종합 유선방송국[CATV]으로 방송·정보 서비스를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홀몸 노인을 위한 무상 복지 주택. 성남시가 옛 성남동 주민자치센터[현 성남동 행정복지센터] 부지 575㎡를, 한국지역난방공사가 기금 17억 원을, 금호아시아나가 건설비 6억 원을 각각 제공해 건립된 시설로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 민간 기업이 협력해 제3섹터 방식 즉 민관 공공 개발 방식으로 건립되었다. 아리움은 '아름다운 우리들의 보금자리'라는...
-
헨젤과 그레텔처럼, 나는 잠자리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대화를 엿들은 적이 있었다. 갓난아이도 자기를 귀여워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알아본다. 나는 어려서 아빠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은 기억이 별로 없다. 아빠와의 사이에는 많은 일이 있기 했지만, 잠자리에서 엿들은 대화는 결코 잊을 수 없는 기억이었다. 그때 아빠는 분명 제가 너무 밉다고 말했었다. 듣지 말았어야 할 말을 듣고 나는 너무...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어 분당 지역과 용인 수지, 성남 등지에 무료로 배포되는 지역 주간 신문. 정식 법인명은 ㈜아이디커뮤니케이션으로 지역에서는 신문을 발행하다가 2007년 12월부터 제호를 『아이디위클리』(idweekly)』로 변경하였다....
-
그래도 1996년 무렵까지는 어느 정도 장사가 유지되었다. 문제는 97년 IMF였다. IMF 1년 전부터 장사는 급격한 내리막을 걸었다. IMF가 뭔지 시장 사람들은 잘 몰랐다. 가게를 닫고 떠나는 사람들도 생겨났고, 겨우 현상 유지를 하면서 IMF 터널을 벗어나길 기다리는 사람도 있었다. 염씨는 후자에 속했다. 장사는 가게 세내고 먹는 거 충당하고 나면 끝이었다. 그래도 그는 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청소년 합창단. 공연을 통해 음악을 사랑하는 청소년들의 활발한 활동을 도우며 잠재능력을 조기에 발굴하여 훌륭한 예술인을 양성하고 배출하기 위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여성 합창단. 아주여성합창단은 아시아를 대표한다는 자부심과 비전을 가진 여성 합창단으로 바로크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 장르를 망라한 폭넓은 레퍼토리를 자랑한다. 정기연주회와 초청 연주, 연주 음반 발매 등 다양한 연주 활동을 하고 있다....
-
나는 스물일곱 살의 성남 토박이이다. 잠깐 타지 생활을 했을 뿐, 태어나서 줄곧 성남에서 살아왔다. 스스로 봐도 자신이 성남이란 도시의 색채를 많이 갖고 있다. 그런 나의 20대의 삶은 여전히 흔들리는 중이다. 한때 청바지와 통기타로 청년문화를 주도했던 가수가 있었다. 지금은 어느덧 50대 후반의 중견가수가 되어 있다. 라디오 DJ이기도 한 그녀는 청춘의 봄날보다 안정된 지금 50...
-
지역 자치센터 위원장을 맡고 있는 궁씨는 요즘 들어 상대원이 다시 되살아나 옛날의 활기를 되찾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원을 지나는 지하철 노선이 생겨야 한다는 것이 궁씨의 주장이다. “오히려 전철이라든가 이런 연계적인 거, 좀 더 상대원 쪽으로 갈 수 있는 방향으로 만들어 주는 게 어떻겠는냐 하는 생각도 들고. 8호선 같은 경우에도 아까 말씀드린대로 모...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로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 할 수 있도록 설비한 건물. 아파트는 아파트먼트 하우스(apartment house)의 약어로 주택 건설 촉진법상 5층 이상의 공동 주택을 일컫는다. 공동 주택이란 대지(垈地), 복도, 계단 및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면서도 각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
-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자연 마을. 복우물마을[복정]에서 보면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 증조할아버지는 안원숭(安元崇), 할아버지는 고려의 형조전서 안원(安瑗)이며, 증 정헌대부 이조판서 안종약(安從約)의 장남이다. 부인은 전주이씨로 완천군 이숙의 딸이다. 좌찬성 안지귀(安知歸)와 공조전서 안지석(安知碩) 형제와 네 딸을 두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안구의 묘 및 묘갈. 안구는 조선 전기 세종 때 활약한 문신으로, 본관은 순흥으로, 해주목사 안종약(安從約)의 장남이다. 1417년(태종 17) 4월 경회루 친시문과에 등과하여 홍문관 직제학을 역임하고, 통정대부판군자감사(通政大夫判軍資監事)에 올랐으며, 의정부 좌참찬 겸대제학(議政府左參贊兼大提學)에 증직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안구의 묘 및 묘갈. 안구는 조선 전기 세종 때 활약한 문신으로, 본관은 순흥으로, 해주목사 안종약(安從約)의 장남이다. 1417년(태종 17) 4월 경회루 친시문과에 등과하여 홍문관 직제학을 역임하고, 통정대부판군자감사(通政大夫判軍資監事)에 올랐으며, 의정부 좌참찬 겸대제학(議政府左參贊兼大提學)에 증직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안말[내둔토리(內屯土里)]은 조선 초의 대학자 권근(權近)의 손자이고 권제(權踶)[1387~1445]의 아들인 안양공(安襄公) 권반(權攀)[1419~1472]이 무진정(無盡亭)을 짓고 유람하던 곳이었다. 권반이 세조 12년(1466) 예조참판 겸 경기도관찰사를 겸직할 때 장자인 충훈부 도사 권괄(權佸)이 죽자 장지를 구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미래 지향적 창의 안말인 육성’이며, 심신이 건강한 개성 있는 어린이[건강인], 꿈을 갖고 창의력을 키워 나가는 어린이[창조인], 존중·배려·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지식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Learning을 통해 기초체력 확보, 창의성 교육...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미래 지향적 창의 안말인 육성’이며, 심신이 건강한 개성 있는 어린이[건강인], 꿈을 갖고 창의력을 키워 나가는 어린이[창조인], 존중·배려·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지식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Learning을 통해 기초체력 확보, 창의성 교육...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경응(景應)[혹은 慶應]. 아버지는 부호군 안담(安耼)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안명세의 묘. 안명세[1518~1548]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흥, 자는 경응(景應)으로 부호군 안첨(安燂)의 아들이다. 1544년(중종 3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 예문관검열 등을 지냈다. 1545년(인종 1년) 이기(李芑), 정순붕(鄭順朋) 등이 을사사화를 일으켜 많은 현신들을 숙청하자, 자세...
-
한식 주택의 안채에서 가장 넓고 주거의 중심이 되는 방 안방은 안채의 중심이자 주부가 거처하는 방으로서 가장 폐쇄적인 곳이며, 주택의 제일 안쪽에 위치한다. 주부의 실내 생활 대부분이 이루어지며 안살림을 모두 관리하기 때문에 광의 열쇠나 귀중품들이 보관되는 장소이며 더 나아가 주부의 권위를 상징하는 장소가 된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공조판서 안침(安琛)의 증손자이며, 병조좌랑 안처선(安處善)의 손자, 성균관(成均館) 전적(典籍)을 역임한 안정의 셋째 아들이다....
-
조선 전기 문신으로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인 광주 안씨의 중시조. 안성(安省)[1344~1421]은 조선 세종 3년까지 활동한 문신이다. 조선 개국 후 처음으로 청백리에 뽑힌 3인 중 한 사람이며, 한쪽 눈이 작아서 이름을 ‘소목(小目)’이라 하였는데, 벼슬을 하면서 임금의 명령으로 ‘성(省)’으로 고쳤다....
-
조선 전기 문신으로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인 광주 안씨의 중시조. 안성(安省)[1344~1421]은 조선 세종 3년까지 활동한 문신이다. 조선 개국 후 처음으로 청백리에 뽑힌 3인 중 한 사람이며, 한쪽 눈이 작아서 이름을 ‘소목(小目)’이라 하였는데, 벼슬을 하면서 임금의 명령으로 ‘성(省)’으로 고쳤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과 안양시 동안구를 잇는 주요 간선도로. 안양판교로는 성남 지역에서 안양 지역으로 이동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성남시 분당구 백현1교차로에서 의왕시를 거쳐 안양시 동안구 인덕원 사거리를 잇는 간선도로로 설계되었다. 과거 정신문화연구원을 거쳐 안양공동묘지로 이어지는 운중로가 유일하게 안양으로 가는 길이었으나 신도시를 개발하면서 노선을 변경하고 도로를 확장...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한익(翰翼). 호는 안은당(安隱堂). 은일(隱逸)로 천거되어 교관(敎官)을 역임했던 황명구(黃命耈)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안몽주(安夢周)의 딸이다. 부인은 최계웅(崔繼雄)의 딸 전주최씨이다. 예천군수를 역임한 황입중(黃立中)의 증손자이고, 황동(黃洞)의 손자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정연(挺然), 호는 죽창(竹窓). 전주부윤 안지귀(安知歸)의 증손이며, 공조판서 안침(安琛)의 손자이고, 병조좌랑 안처선(安處善)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최윤신(崔潤身)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자진(子珍). 호는 죽제(竹齊). 안종약(安宗約)의 증손이고, 증이조참판 안구(安玖)의 손자이며, 부윤 안지귀(安知歸)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형조참판 박이창(朴以昌)의 딸이고, 부인은 광주이씨 이수철(李守哲)의 딸이다. 예조참의를 지낸 안호(安瑚)가 형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안침의 묘 및 신도비. 안침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45년(세종 27)~1515년(중종 10)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순흥, 자는 자진(子珍), 호는 죽창(竹窓) 또는 죽계(竹溪)로, 부윤 안지귀(安知歸)의 아들이다. 1462년(세조 8) 생원, 진사 양시에 합격하였으며, 1466년 고성의 별시문과에 2등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의정...
-
집안의 평안과 가족들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가신(家神)에게 지내는 의례. 성남지역에서는 ‘안택고사’라고도 한다. 안택은 무당이나 독경쟁이 혹은 법사들을 불러서 간단한 무속적 제의를 하는 것이며, 고사는 주부가 직접 간단하게 가신에게 제를 올리는 것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가헌(可獻). 안향(安珦)의 후손으로, 가정대부 의정부좌참찬 안구(安玖)의 손자이고, 전주부윤 안지귀(安知歸)의 큰아들이며, 공조판서를 지낸 안침(安琛)의 형이다. 어머니는 형조참판을 지낸 박이창(朴以昌)의 딸이고, 부인 안동김씨는 김철균(金哲鈞)의 딸이다....
-
독경(讀經)을 주로 하는 법사들이 앉아서 하는 굿. 서울과 경기 지방의 굿이 무당에 의해 춤과 노래로써 주로 선채로 굿을 하는데 반해 법사가 북이나 꽹과리를 두드리면서 독경을 하기 때문에 생겨난 충청지역의 무속용어이며, 성남지역에서는 충청도에서 이주해 온 법사류의 무당에 의해 앉은굿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
임경업 장군 출생담 옛날 한양에서 홀어머니를 모시고 가난하게 사는 한 청년이 있었다. 어느 날 청년은 광주에 있는 친척집에 양식을 얻으러 나섰다. 그러나 남한산성에 채 도착하기도 전에 날이 저물고 갑자기 소나기가 퍼붓기 시작했다. 그 청년은 길을 잃고 헤매다가 멀리 어둠속에 반짝이는 불빛을 발견하였다. 반가워서 가까이 다가가 보니 외딴 초가집에서 불빛이 새어나오고 있었다....
-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애명(愛明)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진실’이며, 몸과 마음이 충실한 건강인,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지성인, 스스로 행동하는 자율인, 부모에게 효도하는 충효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심미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훈은 ‘진실’이며, 몸과 마음이 충실한 건강인,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지성인, 스스로 행동하는 자율인, 부모에게 효도하는 충효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심미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의 분당구 야탑동과 수정구 사송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과 성남시의 동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탄천으로 유입하는 야탑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2년에 준공되었는데, 총연장 128m, 교폭 31m이며, 축조 형식은 PC 슬래브 방식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중앙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공 도서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야탑동은 성남시의 중앙부에 자리 잡은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야탑1동, 야탑2동, 야탑3동이다. 분당구의 대표적인 상가·업무 지구로 대형 할인 마트, 음식점, 멀티플렉스 상영관 등이 밀집해 있고, 탄천종합운동장, 코리아디자인센터, 성남시 중앙도서관, 성남아트센터 등의 체육·문화시설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일대에 분포했던 청동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고인돌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은 국가에 속하는데 한반도에는 3만여 기가 분포한다. 고인돌은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북방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덮은 기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서 행해졌던 동제(洞祭). 야탑동은 상탑, 중탑, 하탑의 3개 마을로 구성되었으며, 마을 제사는 중탑동과 하탑동에서 행해지던 장신제와 상탑동에서 행해지던 산신제로 이루어졌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야소, 탑골, 웃탑골을 병합하여 오야소와 탑골의 이름을 따서 야탑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에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91년 분당구 야탑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수도권 수인분당선 전철역. 야탑역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중간역으로 모란역과 이매역 사이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야탑역 인근에 있는 경관 광장. 경관 광장은 도심 속에서 휴식, 대기, 만남의 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주거지, 상가 등이 밀집해 있고 교통도 편리한 곳에 조성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남의 인격을 존중하고 올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자기 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실행하는 자주인, 창의성을 계발하고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창의인, 심신이 건강하고 명예를 존중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남의 인격을 존중하고 올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자기 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실행하는 자주인, 창의성을 계발하고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창의인, 심신이 건강하고 명예를 존중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을 흘러 탄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의 분당메모리얼파크가 위치하는 큰매지봉에서 발원하여 야탑동을 지나 탄천으로 합류하는 지류 하천으로, 하천 길이는 2,680m, 최대 하폭 36m, 유역 면적은 4.65ha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른 어린이, 자주적인 어린이, 슬기로운 어린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영화관. CGV는 인터넷 예매 등 한국 멀티플렉스 극장 기능을 가장 먼저 도입한 CJ CGV 주식회사의 체인 영화관으로 1998년 국내 최초 멀티플렉스 극장 CGV 강변 개점을 시작으로 현재 국내에 71개의 지점과 중국 다닝과 신좡 등 2개의 해외 지점을 두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약사가 양약을 조제하거나 파는 곳. 약국은 약사가 투여의 목적으로 의약품의 조제 업무를 행하거나 그 개설자가 의약품의 판매업을 겸하는 경우에는 그 판매업에 필요한 장소이다. 현대 의학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래 경미한 질병에 대한 국민들의 주요 치료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 왔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약사가 양약을 조제하거나 파는 곳. 약국은 약사가 투여의 목적으로 의약품의 조제 업무를 행하거나 그 개설자가 의약품의 판매업을 겸하는 경우에는 그 판매업에 필요한 장소이다. 현대 의학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래 경미한 질병에 대한 국민들의 주요 치료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 왔다....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중국 당나라 현장(玄奘)[602?~664]이 번역한 약사여래(藥師如來)의 공덕을 칭송하는 경전의 판본.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은 줄여서 『약사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질병의 치유를 기원하기 위한 경전이다. 이 『약사경』은 속장경을 간행하기 위해 1086년 흥왕사에 설치한 교장도감(敎藏都監)에서 펴낸 것 가운데 하나이다. 1권 1책...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한국불교여래종 총본산. 한국불교여래종(韓國大乘佛敎如來宗)의 총본산으로, 1967년 3월에 창건하였다. 당시는 현 한국대승불교여래종 종정인 인왕(仁旺) 신판석(申判石)에 의해 남한산성의 옛 사찰인 한흥사(漢興寺)를 재건한다는 의미에서 한흥사라 이름하였다. 그리고 옛 한흥사를 재현, 중창하기 위하여 그 일부를 복원하기도 하였다. 현재의 사찰명은 19...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약사사 경내에 있는 삼층석탑.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약사사는 한국대승불교여래종의 본산으로 전통사찰 제98호로 지정되어 있다. 1967년 3월 창건되었는데, 처음에는 남한산성을 축성할 때 건립되었던 9대 사찰의 하나인 한흥사(漢興寺)를 재건한다는 뜻에서 한흥사라고 하였다가 1968년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을 봉안하면서 지금의 명칭으로 바뀌었...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중국 당나라 현장(玄奘)[602?~664]이 번역한 약사여래(藥師如來)의 공덕을 칭송하는 경전의 판본.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은 줄여서 『약사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질병의 치유를 기원하기 위한 경전이다. 이 『약사경』은 속장경을 간행하기 위해 1086년 흥왕사에 설치한 교장도감(敎藏都監)에서 펴낸 것 가운데 하나이다. 1권 1책...
-
조선 후기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살았던 문신. 남구만(南九萬)[1629~1711]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면서 서예가이고, 시조(時調) 「동창이 밝았느냐」를 남긴 인물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양문교회는 1980년 지금의 성남시 중원구 은이로7번길 14[은행2동 737-17] 상가 2층에서 공용준 목사가 중심이 되어 창립 예배를 가졌다. 1982년 교회당을 신축하고 입주하였으며, 교회 부지 및 재산을 대한예수교장로회 서울유지재단에 등록하였다. 1996년 양지동에 새 교회당을 세워 입주하였으며, 200...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여숙(與叔)이고 호는 만곡(晩谷), 만옹(晩翁), 양암(養庵)이다. 아버지는 최수준(崔秀俊)이며, 아들은 영의정 최명길(崔鳴吉)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16세기 이후 광주군 세촌면 대원동리[현재의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하대원동] 일원에는 남원양씨와 여산송씨가 함께 입향하여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 양연은 남원양씨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 사무에 밝았으며, 특히 병사(兵事)에 능하였다. 재상 윤임(尹任)과 가까운 사이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양연(梁淵)의 묘. 양연[1485~1542]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거원(巨源), 호는 설옹(雪翁)으로 토산현감(兎山縣監) 양호(梁琥)의 아들이다. 1524년(중종 19)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헌부 직제학(直提學)에 올랐다. 1535년(중종 30) 공조참판(工曺參判)으로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양연(梁淵)의 묘. 양연[1485~1542]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거원(巨源), 호는 설옹(雪翁)으로 토산현감(兎山縣監) 양호(梁琥)의 아들이다. 1524년(중종 19)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헌부 직제학(直提學)에 올랐다. 1535년(중종 30) 공조참판(工曺參判)으로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슬기롭게[知], 참되게[德], 용기 있게[體]’이며, 적극적인 자아 탐색으로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조화로운 인성을 갖고 더불어 사는 예절 바른 사람, 기초학력을 증진하고 기술을 탐구하여 유용한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 봉사하는 마음, 긍정적인 생각과 튼튼한 체력을 갖춘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훈은 ‘슬기롭게[知], 참되게[德], 용기 있게[體]’이며, 적극적인 자아 탐색으로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조화로운 인성을 갖고 더불어 사는 예절 바른 사람, 기초학력을 증진하고 기술을 탐구하여 유용한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 봉사하는 마음, 긍정적인 생각과 튼튼한 체력을 갖춘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슬기롭게, 참되게, 용기 있게’이며,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예절 바른 사람,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슬기롭게, 참되게, 용기 있게’이며,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예절 바른 사람,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 새로움을 탐구하는 창발력 있는 어린이, 서로 도우며 봉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 새로움을 탐구하는 창발력 있는 어린이, 서로 도우며 봉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공원. 양지공원은 남한산성 도립공원이 자리하고 있는 청량산 자락에 기존의 지형과 삼림에 조화를 이루어 사계절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즐길 수 있는 근린공원으로서 종합 휴게소와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양지동은 산성대로를 사이로 은행동과 경계를 이루며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 서남쪽 경사면에 위치한 주거 밀집 지역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암각비. 조선 후기의 문신인 수어사 서명응(徐命應), 부윤 홍익필(洪益弼), 이명중(李明中) 세 사람이 백성을 사랑한 공적을 ‘잊지 말자(不忘)’는 내용을 하나의 바위에 각각 3기의 비 형태로 새긴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영춘정의 건물터. 영춘정(迎春亭)은 ‘봄을 맞이하는 정자’라는 뜻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양지동은 산성대로를 사이로 은행동과 경계를 이루며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 서남쪽 경사면에 위치한 주거 밀집 지역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었던 지명. 섬말[도촌(島村)]은 자연취락으로 행정적인 측면에서 이름 붙여진 도촌리와는 그 지역적 범위가 다르다. 즉, 도촌리는 섬말, 응달말, 중말을 합친 행정 지명이고 도촌[섬말]은 도촌리의 한 부분인 자연취락 단위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도촌리라는 명칭 자체는 도촌의 이름을 따서 행정지명화 한 것으로 판단된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은(汝誾), 호는 양촌(陽村). 아버지는 순천부사를 지낸 의정공(議政公) 이통(李通)이며, 할아버지는 이인상(李麟祥)이고, 증조부는 이함(李菡)이다. 양부는 이적(李適)이다. 부인은 정경부인으로 추증된 전주이씨이다. 슬하에 아들 열셋을 두어 후손이 매우 번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사회복지 단체. 양친회 국제본부는 1938년 스페인 내란 중 발생한 전쟁 미망인 및 고아들을 위해 본부를 미국에 두고 설립되었다. 종교, 정치, 인종을 초월하여 전 세계에 걸쳐 복지 사업을 수행한 인도적인 순수 국제 민간 원조 단체로서 6.25전쟁을 계기로 1953년 3월 임시 수도인 부산광역시에 양친회 한국지부를 두고 사업을 실시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종합병원. 1977년 설립된 양친회병원을 모태로 환자 제일주의 정신을 근본 취지로 삼아 1982년 성남 지역 최초의 종합병원으로 개원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신도시 개발 당시 시범 단지로 조성된 서현동은 2001년 서현1동과 서현2동의 2개 행정동 관할이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인 시범 단지와 서현역을 중심으로 상업 및 업무 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북쪽 서현로 일대에 있었던 지명. 양현은 광주군 돌마면 둔서촌[된섬말, 현재의 중앙공원 근처]과 이매리[현재의 이매동] 사이에 있었던 자연마을로 조선시대에 통로골, 돈서촌과 함께 지금의 서현동을 구성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다리. 1993년도에 준공된 이 다리는 길이 130m로 탄천의 동서를 연결하고 있다. 양현교는 분당구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탄천에 건설된 여러 교량 중의 하나로, 분당구 관내에서 북쪽으로부터 여섯 번째 위치에 놓여져 있다. 길이 130m, 높이 9m, 총폭 41m, 유효폭 38m로 되어 있으며, 도로상 지방도 57호선(서현로)에 해당하며 지방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시도. 탄천우로는 서현로 양현사거리에서 시작하여 탄천 동편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다가 여수천을 지나 ㄱ자로 휘어 성남대로 야탑사거리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왕복 포장 4차선 도로로, 지금은 양현로로 불린다. 총연장은 3.585㎞, 도로 폭은 25m, 총면적은 7만 1,700㎡이다....
-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지금의 분당구 서현동)에 있었던 마을. 조선총독부에서 제작했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 의하면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15개리 가운데 양현리(陽峴里)가 들어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돈서촌과 양현리가 통합되면서 각각 가운데 한자씩 따서 서현리가 되었다가 지금의 분당구 서현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중앙공원 황새울광장에서 아껴 쓰고 나눠 쓰고 바꿔 쓰고 다시 쓰는 정신을 키우기 위해 개최되었던 어린이 시장. 어린이벼룩시장은 성남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민 사회 단체들이 지역 어린이들에게 재활용과 경제 교육을 위해 개최한 행사였으나 행사 장소 사용 등의 문제로 2006년 12월 이후 중단 되었다....
-
성남 지역 어린이의 신체 발달과 정서 함양을 위해 조성한 놀이 공원. 어린이공원은 도시공원 중 생활권공원으로 집이나 학교와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 어린이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공원을 말한다. 성남시는 2021년 현재 총 197개소의 공원 중 118개의 어린이공원을 건립하였다....
-
초등학교 때 지석태의 어머니는 골목길에서 삼형제의 머리를 깎아주셨다. 당시 다른 친구들도 집에서 머리를 깎는 아이들이 많긴 했지만 그의 어머니처럼 집이 아닌 골목길에서 깎아주시던 분은 없었다. 삼형제가 골목에서 나란히 앉아 머리 깎을 차례를 기다리던 모습은 지금 생각하면 너무 창피한데 그때는 그러려니 하고 앉아 있었다. “어렸을 때는 헤어스타일이 되게 우스웠어요. 지금도 어렸을 때...
-
노씨 아줌마는 하대원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마쳤다. 지금의 대일초등학교 자리가 성남여중이었다. 그 전에는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에서 살았다. 친정은 워낙 못 살았다. 거기다 아버지는 팔방 난봉꾼으로 전국을 안 다닌 데 없이 떠돌아 다녔다. 당연히 칠남매는 어머니 혼자 책임을 지셨다. 어머니가 아무런 믿는 구석도 없이 성남으로 이주를 결정하신 것도, 시골에 땅 좀 있는 거 난봉꾼 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청소년 무용단체. 어울림청소년무용단은 성남 지역 무용계의 대모라 불리는 정금란이 개원한 성남무용학원이 중심이 되어 구성하였다. 1994년 6월 28일 정금란 타계 후 원장이 된 김성태가 초대 단장으로 1995년 일정 수준의 한국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청소년들로 오디션을 거쳐 단원을 선발하였다. 창단 후 성남 지역의 최초의 청소년무용단으로 청소년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언규(彦圭). 정주목사를 지낸 송수(宋壽)의 셋째아들로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이다. 생원 송윤은(宋胤殷)의 손자이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올랐던 대표적 훈구세력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외손자이다. 처부(妻父)는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오른 제양군(齊陽君) 허광(許礦)이다....
-
노씨 아줌마의 하루는 집안에서 시작해서 집안에서 마무리되었다. 그러다 보니 같은 동네에 사는 평범한 아주머니, 할머니, 그리고 앞집에 마주보고 살던 장애인 아주머니 정도가 대인 관계의 대부분이었다. 그들에게 노씨 아줌마는 아들의 이름, 범구 엄마로 통했다. 그들은 부업을 같이 하는 동업자였고, 삶을 함께 나누는 동반자였다. “할머니들이고 아줌마들이 우리집이가 사랑방 마치 그렇게 살...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언론의 발전사를 통해 어떤 사실이나 주장을 알려 여론을 형성하거나 인쇄물을 제작·복제해 판매 또는 배포하는 일의 총칭. 언론은 매스커뮤니케이션의 한 유형으로 인터넷 신문, 오프라인 신문, 시사잡지, 방송국, 통신사 등의 기관들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이나 현상들에 대해 보도, 논평, 해설 등을 목적으로, 그에 관한 뉴스와 정보 등을 취재...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언신(彦信). 아버지는 문과를 거쳐 참판에 오른 이광식(李光軾)이며, 어머니는 이세응(李世應)의 딸 함안이씨(咸安李氏)이다. 할아버지는 동돈녕(同敦寧) 이지방(李之芳)이다....
-
음성이나 문자의 사회관습적인 체계. 중부 방언권 가운데에서 그 중심이 될 수 있는 서울, 경기 지역어를 구성하는 방언인 성남 지역어는 대체로 경기방언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같은 경기방언에 속하는 양평, 여주, 이천, 양주, 연천, 고양 등의 지역어와 공통적인 언어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이 지역어는 부분적으로는 꽤 다른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특히 경기...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양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언일(彦一), 평창군수 이숙(李俶)의 둘째 아들, 조부는 재령군수 이대승(李大升), 증조부는 정국공신이며 예조참의, 장예원판결사를 역임한 이곤(李坤)이다. 모친은 양천 허씨이며 외조부는 제양군(濟陽君) 허순(許淳)이다. 부인은 평창노씨로 인의(引儀) 노경운(盧景雲)의 딸이다....
-
가신(家神)의 하나로, 주로 집안의 살림을 늘어나게 하고 복을 지켜주는 재신(財神). 업왕(業王), 업대감, 업항아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성남시 수정구 오야동에 거주하는 박광수씨(1942년생)에 의하면, 현재 이 업신앙을 따로 모시지는 않지만 과거에는 인업[사람, 인업(人業)], 긴업[구렁이, 사업(蛇業)], 족제비업[유업(鼬業)]등의 업이 있었으며, 이 업에게는 집안에 재물이...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평생교육기관이자 기술 교육기관. 에듀윌 국비교육원 성남센터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직업교육 훈련을 수행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기관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국SGI 소속 교당. 초대회장인 목구상삼랑(牧口常三郞)에 의해 1930년 11월 18일에 창립된 종교단체. 한국에서는 각 일련정종의 파들이 1974년에 ‘한국일련정종불교회’라는 연합체를 구성하면서 시작된 종교단체. 현재 구로구 구로 5동 45번지[공원로 54]에 본부동과 광선회관을 두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서양 타악기 연주 단체. AM앙상블은 서양 타악기의 대중적 저변확대와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다양한 공연 레퍼토리 개발 및 타악기 교육의 커리큘럼을 연구하고 보급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종합 쇼핑몰. AK플라자는 삼성플라자를 애경그룹이 2007년 3월 인수하여 새로 개장한 백화점이다. 수인분당선 서현역과 바로 연결되어 있고, AK플라자 광장을 중심으로 상권이 밀집하여 분당 로데오거리라 불린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종합 쇼핑몰. NC백화점 야탑점은 (주)이랜드리테일이 운영하는 백화점으로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357-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엔씨소프트는 세계적인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시스템 전문 업체. MDS테크는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요한 토털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시스템 전문 업체. MDS테크는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요한 토털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의무에서 벗어나 즐거운 마음으로 휴식하고, 지역사회에 참여하여 봉사하며 창조적 능력을 개발하는 등 개인의 자유의지로 행하는 모든 행위. 여가는 무의미하고 한가한 시간의 제공이라는 소극적 의미가 아닌 자유와 학습의 양면성을 가진 시간의 내용과 관련된 개념이다. 즉, 여가는 자유로운 시간을 활용하여 알차고 보람된 삶과 생활을 가꾸기 위한 것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경(汝慶)이다. 덕양군(德陽君)[중종의 다섯째 아들] 이기(李岐)의 증손이며,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손자이고,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의 넷째아들이다. 사도시(司䆃寺) 첨정(僉正) 정인수(鄭麟壽)의 외손이다. 이형신(李炯信)의 동생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했던 교육가이자 정치가. 신익희는 경기도 광주에서 출생하고 성장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언론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으로서 대통령 후보가 되어 호남 지역으로 선거 유세를 가던 중 기차 안에서 뇌일혈로 사망하였다. 성남에 있는 양영고등공민학교의 이름을 지어 주었다. 양영고등공민학교는 후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나뉘었는데 지금의 양영중학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 여산(礪山). 자는 여눌(汝訥). 감역(監役)을 지낸 송덕융(宋德隆)의 손자이자 송유(宋濡)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박동유(朴東維)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송촌에 살던 성씨 정주목사 송수(宋壽)[1470~1518] 때부터 중원구 상대원동 송촌(宋村)에 살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송수는 광주이씨 광원군 이극돈[1435~1503]의 사위로 장인의 특별한 사랑을 받았는데, 이극돈이 생전에 사위를 자기 곁에 묻어달라고 해서 이극돈의 묘 옆에 장사지냈다는 것이다. 부인 이씨는 남편이 일찍 죽자 친정 근처에 살...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여수(汝秀)이다. 정세경(鄭世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항(鄭沆)이고, 아버지는 돈녕부 주부 정경순(鄭景淳)이며, 어머니는 청풍김씨(淸風金氏)로 김희경(金僖卿)의 딸이다. 부인은 남양홍씨(南陽洪氏) 별좌 홍곤(洪坤)의 딸이다....
-
일제강점기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 지역사회에 기여한 인물. 이병철(李秉哲)[1881~1949]은 1920년 대홍수 때 관개사업으로 중촌보(中村洑)와 탄천보(炭川洑)를 건설하여 풍농에 기여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안정에 기여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여수공원은 자연 환경을 그대로 이용하여 조성된 공원으로 주변에 돌마로와 농경지가 있어 도보로 접근하기 어렵다. 공원 면적은 38,841㎡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다리. 1992년도에 준공되었으며, 길이 120m로 탄천의 동서를 연결하고 있다. 여수교는 시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탄천에 건설된 여러 교량 중의 하나로, 성남시 관내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해 있다. 길이 120m, 높이 8m, 총폭 35m, 유효폭 31m로, 도로상 여수로에 해당하며 지방도 23호선(대왕판교로)와 그리고 성남대로와 연결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여수동은 과거에 덕지벌을 중심으로 벌말, 살나드리들, 샛터말, 소만말, 속말, 안말, 회전말 등 8개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다.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의 중원구와 남쪽의 분당구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관할 면적의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이다. 법정동인 여수동은 행정동인 중원구 도촌동에서 관할하고 있으나 생활권은 분당구에 더 가깝다. 2009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전해지는 성남 향토음식. 사람이나 모든 짐승들에겐 몸 속에 횡격막(橫膈膜)이란 것이 있다. 숨을 쉴 때 허파를 죄었다 풀었다 하면서 숨쉬기운동(호흡작용)을 돕는 얇은 힘살막이다. 이 힘살막을 토박이말로는 ‘갈막이’라 했다. 허파 아래쪽에 가로지른 막이라 해서 원래 ‘가로막이’라 했던 이 말은 ‘갈막이(갈마기)’로 줄고 이것은 다시 ‘갈매기’로도 옮겨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서 갈매기살 전문 판매점이 집중되어 있던 곳. 성남시의 분당구와 중원구 사이에 있는 여수동은 갈매기살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식당 30여 곳이 모여 있던 곳이다. 1960년대부터 이곳 근처인 지금의 야탑동 장미마을에는 성남도축장이 있었다. 원래 도축장에서는 돼지고기의 횡격막(橫膈膜)과 간(肝) 사이에 있는 근육질 힘살인 ‘가로막살’을, 판매할 수 있는 고...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순천김씨 묘역. 충정공은 도승지를 지낸 김유양(金有讓)의 시호로, 여수동에는 그의 손자인 합천군수 김윤탁(金允濯)을 비롯하여, 증손 부호군(副護軍) 김자한(金自漢), 현손 어모장군(禦侮將軍) 김언국(金彦國), 5세손 헌릉참봉(獻陵參奉) 김유(金裕), 6세손 김양필(金良弼) 등 5대에 걸친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평양조씨 묘역. 여수동 평양조씨 묘역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 조견(趙狷)[1351~1425]의 묘를 쓰면서 조성되었다. 조견의 호는 송산(松山), 시호는 평간(平簡)으로 조선의 개국공신 조준(趙浚)의 동생이다. 조선왕조가 성립할 때에 그의 형 조준은 전제개혁 등 적극적으로 이성계 일파에 협력하여 개국공신이 되었으나 고려 말에 고위 관직에 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에 있는 시도(市道). 여수로는 성남시가 형성되면서 생성된 도로이다. 성남시 대왕판교로 시흥사거리에서 성남대로 여수삼거리까지 연결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지역으로서 여수울, 여술 또는 여수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왕면의 송현동 일부를 병합하여 여수리(동)이 되었다. 1973년에는 성남시에 편입, 1975년 3월에는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어 하대원동, 여수동, 도촌동, 갈현동의 네 개 동을 합하여 여수동의 관할이 되었으나, 그 뒤 행정구역...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여수동은 과거에 덕지벌을 중심으로 벌말, 살나드리들, 샛터말, 소만말, 속말, 안말, 회전말 등 8개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다.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의 중원구와 남쪽의 분당구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관할 면적의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이다. 법정동인 여수동은 행정동인 중원구 도촌동에서 관할하고 있으나 생활권은 분당구에 더 가깝다. 2009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일원에 조성한 근린공원. 여수울공원은 여수동 주민들이 접근하기 좋은 위치에 있어 발길이 끊이지 않는 휴식 공간이다. 공원 면적은 82,540.9㎡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의 갈현동에서 도촌동, 여수동을 지나 탄천으로 유입하는 지방하천. 여수천은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마지로 갈현교에서 발원하여 탄천으로 합류하는 지방하천으로, 하천 길이는 4,03㎞이며, 최대 하폭은 50m, 유역 면적은 9.85㎢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과 도촌동을 잇는 성남이천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 여수터널은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과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를 잇는 국도 3호선의 일부 도로인 성남이천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이다. 경기도 광주시 직동에서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여수대로와 만나는 성남이천로 서편 종점 부분을 건설할 때 여수근린공원 주변 산을 관통하여 도로를 개설하기 위해 설치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여숙(礪叔)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을 지낸 이경안(李景顔)의 손자이고, 이직(李稷)의 양자이며, 생부는 이륙(李稑)이다. 어머니는 신경락(申景洛)의 딸이다. 4남 1녀 중 장남으로 영흥부사(永興府使) 이희인(李喜寅), 이희환(李喜煥), 강원도 강찰사 이희룡(李喜龍)이 동생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여숙(與叔)이고 호는 만곡(晩谷), 만옹(晩翁), 양암(養庵)이다. 아버지는 최수준(崔秀俊)이며, 아들은 영의정 최명길(崔鳴吉)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여실(汝實).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셋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정치가이자 교육가. 정동성(鄭東星)[1939~1999]은 경기도의 성남시·광주군·여주군·이천군 지역에서 10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이후로도 11대, 12대, 13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민주정의당 원내총무, 국회상공위원장과 체육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려산(礪山). 자는 여오(汝五).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송준(宋駿)의 2남이고, 어머니는 김급(金汲)의 딸 청풍김씨(淸風金氏)이다. 할아버지는 퇴계(退溪) 문인으로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역임했던 송언신(宋言愼)이고, 증조부는 종성부사(鍾城府使)를 역임한 송율(宋嵂)이다. 처부(妻父)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한 청주한씨(淸州韓氏) 한효중(韓孝仲)이...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덕양군(德陽君)[중종의 다섯째 아들] 이기(李岐)의 증손이다.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손자이며,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의 셋째아들이다. 이형윤(李炯胤)의 동생이다. 사도시(司䆃寺) 첨정(僉正) 정인수(鄭麟壽)의 외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 단체. 사단법인 여울청소년마을은 성남지역에 건전한 청소년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하여설립한 단체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흥(驪興).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 사간(司諫) 민수(閔粹)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전적(典籍) 민구손(閔龜孫)이고, 어머니는 김효진(金效震)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은(汝誾), 호는 양촌(陽村). 아버지는 순천부사를 지낸 의정공(議政公) 이통(李通)이며, 할아버지는 이인상(李麟祥)이고, 증조부는 이함(李菡)이다. 양부는 이적(李適)이다. 부인은 정경부인으로 추증된 전주이씨이다. 슬하에 아들 열셋을 두어 후손이 매우 번창하였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 자는 여익(汝翼). 호조참판 유유(柳柔)의 손자이고, 첨지중추부사 유종선(柳從善)의 아들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여점(汝點)이다. 청백리에 오른 충정공(忠貞公) 정대년(鄭大年)의 손자이고, 통훈대부로 안성군수를 역임했던 정돈복(鄭敦復)의 둘째 아들이다. 부인은 김여건(金汝健)의 딸 청주김씨이고, 두 번째 부인은 군수을 역임한 이여양(李汝讓)의 딸 광주이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여현(汝賢). 왕자사부(王子師傅)를 지낸 송숙경(宋叔璟)의 큰아들이며, 어머니는 양숙(梁淑)의 딸이다. 정주목사(定州牧使)를 지낸 송수(宋壽)가 할아버지이니, 할머니는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녹공되었던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딸 광주이씨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신종교. 1870년 성서 연구 모임을 시작한 미국인 러셀 등의 성서 연구생들이 시작한 종교단체로, 한국지부의 소재지는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양기리이다. ‘여호와의 증인’이라는 명칭은 2세 교주인 루터포드(Rutherford, J. F. )가 〈이사야 43:10〉에 근거하여 1931년에 채택하였다. 이때 여호와는 우주의 창조주를 일컫는 고유명사이며,...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여화(汝華). 중종의 다섯 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崎)의 8세손이다. 이시서(李蓍瑞)의 넷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유선익(柳善翊)의 딸이다. 판서를 역임한 간헌공(簡憲公) 이기익(李箕翊)의 손자이고, 호조참판을 지낸 장정공(莊靖公) 이무(李堥)의 증손이다. 나란히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 여회(汝晦). 사간(司諫)을 지낸 윤시영(尹時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사랑 윤징(尹澄)이고, 아버지는 임천군수(林川郡守) 윤극신(尹克新)이며, 어머니는 동몽교관 남견손(南堅孫)의 딸 고성남씨(固城南氏)이다. 성척(成惕)의 딸 창령 성씨와 결혼했고, 사헌(司憲) 집의(執義)를 지낸 윤형언(尹衡彦)의 아버지이다....
-
집의 평면이 역ㄱ자 즉, ┍ 모양을 하고 있는 집. 집을 평면에 따라 분류할 때의 한 종류이다. ‘곱은자 집’, ‘꺾인 집’이라고도 부르며, ㄱ자집과 역ㄱ자집을 통틀어 ‘ㄱ자집’이라고도 한다. ㄱ자집의 경우 정면에서 평면을 바라보았을 때, 가운데에 대청마루를 두고 왼편에 건넌방, 오른편에 안방을 두는 一자형 평면에다 안방의 앞쪽으로 부엌이 배치되는 형식이다. 이와 반대로 역ㄱ자집은...
-
경기도 성남 지역의 역사. ‘성남지역’에 언제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는지, 그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이 지역이 한강으로 흐르는 탄천 주변의 비옥한 평야는 사람들이 살기에 적합한 지역이다. 실제로 여주시과 화성시, 광주시 도척(都尺) 등 인근지역에서 구석기가 발견되고, 서울 암사동, 하남시 미사동 등지가 멀지 않은 곳에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래 전부터 사람이 살았다고 할 수...
-
경기도 성남시에서 보존 가치가 높은 유적이나 유물이 있는 장소를 기념하는 공원. 역사공원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건립하는 도시공원 중 역사를 테마로 하는 공원이다. 성남 지역의 유적, 유물, 역사 인물, 시설물 등을 이용하여 시민들의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었다. 성남시는 삼국시대 유물이 있는 도시로 삼국시대의 유물과 역사를 활용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는 희곡을 무대에 연출하여 관객에게 보이는 종합예술. 연극은 연기자에 의해 관객 앞에서 실연의 형태로 제시되는 공연예술의 한 종류로, 연극의 기본 요소로는 배우, 무대, 관객, 희곡이 있다. 연극은 기본적인 요소 이외에도 대본, 미술, 조명, 음향효과 등 다양한 요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합예술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요소를 한데 묶어 서로 보완하...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공동 주택의 하나. 연립 주택은 주택건설촉진법에 의하면 동당 건축 연면적이 660㎡(200평)를 초과하는 3층 이하의 공동 주택을 말하며, 개별 분양이 가능하다. 연립 주택은 아파트에 비해 단지의 규모가 작기 때문에 소규모 토지를 이용하면서도 건설비를 절약하고, 유지 및 관리비가 절감된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으로는 단독 주택보다 높은 밀도를 유지할 수 있고,...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출신이다. 자는 연석(演奭)이고, 정숙(鄭埱)의 장남이다. 정광환(鄭光煥)의 손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중종반정 정국공신인 연성군 이곤의 묘비.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중종반정 후 공훈을 세운 이곤(李坤)의 묘비이다. 중종반정 당시 이곤은 의금부(義金府) 도사(都事)였다. 연산군이 강화부 교동도에 위리안치[가시울타리 안에 갇히는 유배 형벌]되었을 때 압송관으로 간 후 공로를 인정받아 정국공신 4등에 녹훈되고 연성군(延城君)에 봉해졌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도로. 연성로는 판교동 판교원로에서 북북서(北北西) 방향으로 분기하여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부근까지 남북으로 연결하는 주 간선도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는 도로. 연성로는 판교동 판교원로에서 북북서(北北西) 방향으로 분기하여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부근까지 남북으로 연결하는 주 간선도로다....
-
분당구 판교동, 운중동 일원에서 세거하고 있는 성씨 연안이씨는 조선조에 상신(相臣: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총칭) 9명, 대제학 7명, 호당(湖堂: 휴가를 얻어 독서에만 힘쓰게 한 제도) 10명, 공신 11명, 장신(將臣) 4명, 문과 급제자 261명을 배출하였다. 대표적인 인물은 세종대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석형(李石亨), 인조대에 좌의정을 지낸 이정구(李廷龜), 영의정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연못. 연지는 분당신도시 개발 당시만 하더라도 연꽃이 크고 풍성하기로 유명하였으며, 연꽃의 개화기에는 황새, 백로 등의 서식지이기도 하여 인근에서 많은 관람객이 몰려들 정도의 명소였다. 이곳 연꽃은 다른 곳에 옮겨 심으면 살지 못한다는 속설이 있었다....
-
불에 구운 태토(胎土)가 연하고 외면에 두들겨 만든 집선문 등이 찍혀 있는 토기. ‘연질타날문토기’라는 용어는 학문적으로 정의된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원삼국시대의 회백색 혹은 황갈색 계열의 산화 소성된 토기를 통칭하여 쓴다....
-
조선 후기 경기도 성남 출신의 열녀. 열녀 남원 윤씨(烈女南原尹氏)[1606~1626]는 남편 오횡(吳 立+宏)이 스무 살의 젊은 나이에 병으로 죽자 곧이어 자결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국악 단체. 민간 전문 국악 단체인 열린마당 도움소는 단원을 포함한 100여 명에 이르는 회원이 국악 전반의 다양한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국악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자라나는 미래의 기둥들에게 우리 민족 예술이 지니고 있는 멋과 신명, 민족혼을 일깨워 주기 위한 교육 지원사업을 하고 있으며, 국악 기초 과정을 거쳐 간 강습생들만 900여...
-
상대원시장은 위쪽일수록 장사가 잘 된다는 사실을 염씨는 얼마 가지 않아 알아차렸다. 그러던 차에, 82년 무렵이었을 것이다, 근처에 새 건물이 지어지면서 가게 자리가 하나 났다. 염씨는 서둘러 계약을 했다. 처음 가게에서 네 가게 정도 떨어진 곳에 새로 얻은 가게는 염씨의 아내가 맡아보았다. “저는 밑에서 보고 제 집사람은 위에 쪼그만 가게 거기서 보고. 그렇게 장사를 하다보니까....
-
1899~?. 광복군 제2지대원으로 유격전 등 항일투쟁을 실천한 독립운동가 무장투쟁론을 실천한 염재항은 광주군 중대면 출신이며 1899년 9월 22일에 출생하였다. 다른 이름은 염파(廉波)이며 광복군에 입대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중국의 임시 수도 충칭(重慶)에서 창설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대이며 공식 명칭은 한국광복군이다. 1937년 창설 계...
-
당나라 현각대사의 교의를 담은 운문집 『증도가』를 세종이 번역한 책.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게송2책』은 1482년(성종 13)에 간행한 금속활자본이다. 당나라의 영가(永嘉) 현각대사(玄覺大師)[665~713]가 편찬한 『증도가(證道歌)』를 송나라 남명선사(南明禪死) 법천(法泉)이 해제 기록물을 냈는데, 이를 세종과 학조대사(學祖大師)가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한 서책이다....
-
집에 큰 불이 났었다. 하지만 백씨는 기억하지 못했다. 그녀가 초등학교 2학년 때의 일이었고, 영등포 살던 때의 일이라고, 어른들이 일러주어서 알고 있을 뿐이다. 그 화재 때문에 그녀의 가족은 성남으로 이사를 하게 되었다. 이 또한 전해들은 이야기일 뿐이다. “그때 당시 월세방도 얻기 힘들었데요 영등포에. 근데 성남에 오니까 집 한 채 값이 되더래요. 월세 값도 안됐는데 그 돈이...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영백(英伯). 해주오씨 17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선조대 전라도수군절제사 등을 지낸 오도홍(吳道弘)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전주이씨이다. 할아버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達權), 증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소(老小)를 이끈 인물이어서, 그의 가계 역시 이런 영향...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영성여자중학교는 올바른 판단력과 도덕성을 지닌 인재, 창의적인 사고와 탐구력을 지닌 인재, 심신이 건강하고 원대한 꿈을 지닌 글로벌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영성여자중학교는 올바른 판단력과 도덕성을 지닌 인재, 창의적인 사고와 탐구력을 지닌 인재, 심신이 건강하고 원대한 꿈을 지닌 글로벌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이며, 바른 인성과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시민 의식을 가진 사람, 자기 주도력 및 자기 상황 능력을 가진 창의적인 사람,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심신이 건강한 균형적인 사람, 지식 기반 사회에 부응하는 정보 활용 능력이 있는 사람,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글로벌 소양을 갖춘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이며, 바른 인성과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시민 의식을 가진 사람, 자기 주도력 및 자기 상황 능력을 가진 창의적인 사람,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심신이 건강한 균형적인 사람, 지식 기반 사회에 부응하는 정보 활용 능력이 있는 사람,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글로벌 소양을 갖춘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조선 후기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 김만기(金萬基)[1633~1687]는 광주부윤으로 있을 때 병자호란의 참상을 잊지 말고 경계하라는 의미의 글을 남한산성 수어장대(守禦將臺)에 남겼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일원에 조성된 근린공원. 영장공원은 수정구 신흥동, 태평동, 복정동, 산성동 일원에 공원부지로 지정된 538,022㎡ 가운데 태평동 일원 153,489㎡의 면적에 기존 산림 지형을 이용하여 조성된 근린공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복정동과 태평동 사이에 있는 산. 영장산은 남한산성이 자리한 청량산이 서남쪽으로 뻗어 내린 줄기에 있는 구릉성 산으로 높이는 193.6m이다. 1970년대 수도권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광주대단지가 건설될 당시 가장 먼저 개발된 지역 중 하나가 영장산 남쪽의 지금의 태평동 지역이었다. 이는 무허가 건물을 철거하여 이주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던 서울시가 성남시에 주택...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태평동을 잇는 공원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 영장산터널은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헌릉로에서 영장산을 거쳐 산성대로로 이어지는 공원로 구간 중에서 영장산을 관통하여 만든 터널이다. 위례신도시와 성남시 수정구 및 중원구의 본 시가지를 남북으로 연결하기 위해 공원로를 건설했고, 공원로 구간에 있는 영장산의 녹지 보전과 도로 선형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영장산터널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던 선조의 아들 영창대군의 묘. 영창대군(永昌大君)[1606~1614]의 이름은 이의(李㼁)이며, 선조(宣祖)와 인목왕후(仁穆王后)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영창대군이 태어나기 전 임진왜란의 위기 상황에서 적자(嫡子)가 아닌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했다. 선조가 승하하고 왕이 된 광해군은 즉위하자마자 임해군(臨海君)을 살해하고, 광해군 4년에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서 출토된 영창대군 이의(李㼁)의 묘지석. 영창대군은 조선 선조의 14명의 왕자 중 막내이며, 인목왕후의 유일한 소생이다. 선조는 이미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光海君) 대신 영창대군을 왕세자로 책봉할 것을 영의정 유영경(柳永慶) 등과 비밀리에 의논하였다. 그러나 선조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서인(庶人)으로 강등되고 만 8세의 나이에...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영칠(榮七)이고, 임용선(林容宣)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움직이는 영상 및 그 기술과 관련한 일에 종사하는 인물과 단체 및 시설. 성남시의 영화는 다른 예술 분야에 비하여 그리 활발한 활동 및 발전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성남 지역의 영화가 가시화된 것은 성남시로 승격된 1973년 이후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지만 그 무렵에도 이렇다 할 활동은 볼 수 없었다. 그러나 1970년대 말부터 영화관이 개관하면서 영화에 대한...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연극이나 음악, 무용 따위를 공연하거나 영화를 상영하기 위하여 무대와 객석 등을 설치한 건물이나 시설. 극장은 영어로 theatre로 '구경하는 곳'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theatron'에서 유래했다. 극장은 대개 공연을 위한 무대 공간을 갖추고 있다. 극장은 고대부터 발달했으며 주로 배우들의 동작을 보고 대사를 들어야 하는 관객의 필요에 따라, 그리고 시대...
-
경기도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역참. 조선시대 경기도에 속한 역도는 크게 『세종실록지리지』와 『경국대전』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를 보면 경기도에 속한 역도는 3개(좌도충청도, 우도충청도, 경기·강원도)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종6품 찰방이 배속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교회 소속 교회. 기독교의 한 파로, 『몰몬경』을 성전으로 삼고 있다. 미국 유타주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한국에는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5에 본부가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2003년 10월 현재의 건물에서 곽요셉 목사를 담임목사로 하여 출발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문예, 미술, 음악, 문학 등의 독특한 표현 양식에 의하여 아름다움을 창작, 표현하려는 활동 또는 그 작품. 성남 지역의 예술이란 성남 시민 각각의 삶의 가치를 높여 주고 현대생활의 각박함 속에서도 정서적 활력을 되찾게 하는 삶의 총체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여수동은 과거에 덕지벌을 중심으로 벌말, 살나드리들, 샛터말, 소만말, 속말, 안말, 회전말 등 8개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다.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의 중원구와 남쪽의 분당구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관할 면적의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이다. 법정동인 여수동은 행정동인 중원구 도촌동에서 관할하고 있으나 생활권은 분당구에 더 가깝다. 2009년...
-
문화예술활동을 하는 사람. 성남시는 주택단지 조성이라는 특수한 목적으로 급하게 조성된 인공도시로, 거주민들 또한 대부분 다른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다. 따라서 예술인들도 성남지역 출신보다는 다른 지역에서 이주하여 성남에 정착한 이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성남시의 예술인들이 차츰 모습을 드러낸 시기는 1975년 이후부터이다. 1977년경 지역예술인들이 모여 가칭 성남문화예술인 총...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중(士仲). 사마시를 거쳐 산음현감을 지낸 월곡공(月谷公) 오윤함(吳允諴)의 다섯째 아들로, 어머니는 강덕윤(姜德胤)의 딸이다. 임란중의 생활일기였던『쇄미록(鎖尾錄)』을 남긴 오희문(吳希文)의 손자이다. 처부는 최종직(崔宗直)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정(士正). 사마시를 거쳐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의 큰아들으로, 어머니는 강덕윤(姜德胤)의 딸이다. 임란 중의 생활일기였던 『쇄미록(鎖尾錄)』을 남긴 오희문(吳希文)의 손자이고, 처부는 이경항(李景恒)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때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계휘(季輝), 호는 추담(秋潭). 오경민(吳景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오희문(吳希文)이고, 아버지는 오윤해(吳允諧)이며, 어머니는 최형록(崔亨綠)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다리. 오리교는 분당구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탄천에 건설된 여러 교량 중의 하나로, 1993년도에 준공되어 동서를 연결하고 있다. 성남시 관내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해 있는데, 길이 74m, 높이 9m, 총폭이 36m, 유효폭이 30m로, 도로상 구미로에 해당하며 성남대로와 미금로와 연결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자연 마을. 지하철 오리역과 대한주택공사 일대에 있었던 마을로, 동쪽으로 탄천을 건너 골안마을로 이어지고 서쪽으로는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간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옛 오리뜰에서 전승되어 온 농악 놀이. 성남오리뜰농악[오리뜰 두레농악]은 1940년대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이후 6.25전쟁을 거치고 1973년 7월 성남시에 구미리[오리뜰]가 편입되고, 1989년 이 지역이 분당신도시 건설 계획에 따라 대단위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하는 등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두레농악을 놀던 사람들이 흩어지게 되면서 사라질 위기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수인분당선 전철역. 오리역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한 역으로 미금역과 죽전역 사이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참사람을 키우는 행복한 배움터’이며, 행복한 학생, 존경받는 교사, 솔선하는 학부모, 신뢰받는 학교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참사람을 키우는 행복한 배움터’이며, 행복한 학생, 존경받는 교사, 솔선하는 학부모, 신뢰받는 학교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해주오씨 18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정령장군 행용양양위부사과를 지낸 오수준(吳遂俊), 어머니는 숙부인 창원황씨이다. 할아버지는 선조대에 전라도수군절도사를 지낸 오도홍(吳道弘), 증조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吳達權), 고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吳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소(老小)를 이끈 인물이었다. 명시의...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이로(伊老). 해주오씨 18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오수석(吳遂錫), 어머니는 남양서씨, 청주한씨이다. 할아버지는 선조대에 전라도수군절도사를 지낸 오도홍(吳道弘), 증조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吳達權), 고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서(老西)를 이끈 인물이어서...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영백(英伯). 해주오씨 17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선조대 전라도수군절제사 등을 지낸 오도홍(吳道弘)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전주이씨이다. 할아버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達權), 증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소(老小)를 이끈 인물이어서, 그의 가계 역시 이런 영향...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수백(秀伯). 해주오씨 17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선조대 전라도수군절제사 등을 지낸 오도홍(吳道弘)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전주이씨이다. 할아버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吳達權)이며, 증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吳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소(老小)를 이끈 인물이었다. 그의 가계 역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에 있는 옛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지역으로서 기와를 만들었으므로 와실, 왜실 또는 오야실, 오야소라고 하였다. 오야동에 있는 골짜기를 요굴이라고 하는데 오야곡리라는 마을명은 이에도 비롯된 것으로 추측된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오야리(동)라 하며,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고, 1975년 3월 대왕출장소에 편입되어 신촌동의 관할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오야동은 수정구 북단에 자리하여 서울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으로 원래 아랫말[안말], 웃말[장골], 왜실[오야실(梧野實)]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 변 평지 지역이 공군성남기지[서울공항]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행정동은 신촌동이며, 대부분 지역이 군사시설보호구역,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에 있는 옛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지역으로서 기와를 만들었으므로 와실, 왜실 또는 오야실, 오야소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오야리라 하며,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고, 1975년 3월 대왕출장소에 편입되어 신촌동의 관할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오야동은 수정구 북단에 자리하여 서울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으로 원래 아랫말[안말], 웃말[장골], 왜실[오야실(梧野實)]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 변 평지 지역이 공군성남기지[서울공항]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행정동은 신촌동이며, 대부분 지역이 군사시설보호구역,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에 있는 옛 지명. 오야소동(梧野所洞)은 와실(瓦室), 왜실, 오야실이라고도 하였는데, 예전에 이 지역에서 기와를 구웠으므로 와실 또는 왜실이라 칭하던 것이 오야실로 변해서 된 것이라는 설과, 이 지역에 오동나무가 많아서 오야소(梧野所), 그리고 오동나무 열매가 잘 열렸으므로 오야실(梧野實)이라 칭하던 것이 오야리로 변했다는 설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장학 재단. 오천장학회는 성남 관내의 불우한 학생들과 학교법인 풍생학원이 유지 경영하는 풍생중학교와 풍생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
노씨 아줌마는 요즘 들어 문득 문득 또또기계 소리가 그립다. 또또기계는 소리가 여간 시끄럽지 않은 기계였다. 겨울에는 문을 닫고 기계를 돌리니까 좀 덜 하지만, 여름이면 문을 열어야 했다. 그러면 다닥다닥 붙은 이웃집들은 분명 큰 피해를 보았을 것이다. 그런데도 이웃들은 불평을 하기보다, 외려 열심히 사는 게 좋다고 하였다. 주위에 살던 동갑나기 친구들은 함께 작업을 했다. 아줌마...
-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과 중원구 상대원동 보통골에서 살던 성씨. 수정구 태평동 숯골에 온수군(溫水君) 방운(方雲)의 15대손 관찰사 방순(方恂)이 처음 살았는데, 방순은 고려말 절의를 지킨 사람으로 동료인 이집(李集)과 더불어 숯골에 은둔하다가 붙잡혀 황해도 금촌에서 죽임을 당했다. 그의 묘는 전의 인하병원 자리에 부인과 합장되었다가 성남시 개발로 1969년 이장했다. 이장 당...
-
?~28[온조왕 46]. 백제의 건국시조. 엄밀한 의미에서는 위례성(慰禮城)에 토대를 둔 백제 왕실의 시조. 재위 서기전 18~서기 28. 현존 문헌들에는 백제의 시조로 전하는 인물들이 여러 명이며, 온조는 그 중의 하나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분당시범아파트단지 내에 있는 종합체육시설. 분당올림픽스포츠센터는 한국체육산업개발에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시설물 관리 및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스포츠센터, 공연장 대관 등 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공익 가치를 실현하고 분당 지역의 편안한 휴식처와 복합 문화 레저 공간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1994년 7월 건립되었다....
-
과거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소속 마을. 조선총독부에서 제작했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에 의하면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에 15개 리(里) 가운데 ‘옹점리(甕店里)’가 들어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동쪽은 광주시 광남동과, 서쪽과 남쪽은 같은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 법정동인 여수동과 분당구 야탑동, 북쪽은 하대원동 관할 법정동인 갈현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총 3.0㎢의 면적으로 중말(中村)과 그 남쪽에 응달말, 북쪽에 섬말[도촌(島村)]의 3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신흥동의 행정동은 신흥1동, 신흥2동, 신흥3동이다. 지하철 8호선 수진역, 신흥역, 단대오거리역과 인접하고 산성대로, 수정로가 평행으로 가로질러 교통이 편리하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오야동은 수정구 북단에 자리하여 서울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으로 원래 아랫말[안말], 웃말[장골], 왜실[오야실(梧野實)]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 변 평지 지역이 공군성남기지[서울공항]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행정동은 신촌동이며, 대부분 지역이 군사시설보호구역,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공립 교육 기관. 1998년 12월 18일 신일직업전문학교로 설립되어 12월 26일에 개교하였다. 정보통신부와 교육부의 학점 운영기관으로 주로 컴퓨터 분야의 직업훈련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
?~945[혜종 2]. 고려 전기의 재신(宰臣). 광주(廣州) 지방의 호족 출신이다. 그는 고려 태조 왕건(王建)을 받들어 대광(大匡)에 이르렀다. 두 딸은 태조의 제15비(妃) 광주원부인(廣州院夫人)과 광주원군(廣州院君)을 낳은 제16비 소광주원부인(小廣州院夫人)이 되어 왕실의 외척으로서, 광주의 강력한 지방세력을 기반으로 막강한 정치권력을 장악하였다. 그리하여 본래는 함규(咸規...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의 고등공공주택지구 안에서 동서로 연결된 시도. 왕남로는 고등공공주택지구 안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로지르는 도로로서, 고등동 행정복지센터 바로 앞 고등공원로 교차로에서 왕남초등학교 입구 교차로까지 이어진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배려와 존중 속에 행복이 자라는 학교’이며, 내 삶의 주인이 되어 성장하는 어린이[자주인], 열린 생각으로 새로움에 도전하는 어린이[도전인], 문화예술을 즐기며 감성을 키우는 어린이[문화인],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사는 어린이[공동체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추구하는 인간상은, 학생은 창의적 지성과 감성을 키우...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배려와 존중 속에 행복이 자라는 학교’이며, 내 삶의 주인이 되어 성장하는 어린이[자주인], 열린 생각으로 새로움에 도전하는 어린이[도전인], 문화예술을 즐기며 감성을 키우는 어린이[문화인],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사는 어린이[공동체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추구하는 인간상은, 학생은 창의적 지성과 감성을 키우...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했던 교육가이자 정치가. 신익희는 경기도 광주에서 출생하고 성장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언론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으로서 대통령 후보가 되어 호남 지역으로 선거 유세를 가던 중 기차 안에서 뇌일혈로 사망하였다. 성남에 있는 양영고등공민학교의 이름을 지어 주었다. 양영고등공민학교는 후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나뉘었는데 지금의 양영중학교...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했던 교육가이자 정치가. 신익희는 경기도 광주에서 출생하고 성장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언론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으로서 대통령 후보가 되어 호남 지역으로 선거 유세를 가던 중 기차 안에서 뇌일혈로 사망하였다. 성남에 있는 양영고등공민학교의 이름을 지어 주었다. 양영고등공민학교는 후에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나뉘었는데 지금의 양영중학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오야동은 수정구 북단에 자리하여 서울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으로 원래 아랫말[안말], 웃말[장골], 왜실[오야실(梧野實)]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 변 평지 지역이 공군성남기지[서울공항]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행정동은 신촌동이며, 대부분 지역이 군사시설보호구역,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자리한 정미소. 금토동 정미소는 사라진 지역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남겨둔 건축물이다. 1980년대 전까지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던 금토동은 내동[안말], 외동[바깥말], 금현동 등 3개 작은 마을이 있었고, 각 마을마다 정미소가 하나씩 있었다. 하지만 금현동과 외동의 정미소가 차례로 문을 닫았고 금토동의 정미소도 1995년에 폐업했다. 금토동 정미소는...
-
집안에서 소를 기르는 곳. 지역에 따라 오양간, 쇠막 또는 쇠왕, 마구간이라고도 부른다. 강원도를 비롯하여 일부 산간지방에서는 외양간을 안채의 부엌과 연이어 설치하기도 한다. 이때 부엌과 외양간 사이에는 따로 벽을 두지 않고 개방되어 있으며, 여물을 주는 구유를 걸어놓는 것으로 구분한다. 겨울철 날씨가 추운 이 지역에서는 부엌에서 먹이를 줄 수 있도록 하고, 여물도 직접 부엌에서...
-
용산미군기지를 성남이나 수원으로 옮기겠다는 정부방침에 반대한 성남지역시민단체들의 활동. 2002년 1월 18일 국방부는 용산 미군기지를 성남이나 수원으로 옮기겠다는 방침을 발표하였다. 즉 3월까지 미군기지 및 훈련장 재조정계획(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 Land Partnership Plan)에 관한 최종합의서에 서명한 뒤 공병팀으로 구성된 실무진을 투입, 늦어도 6월말까지 후보지와 이...
-
염씨는 동백지구 상업용지 매입하고 싶었지만, 혼자서는 돈이 모자랐다. 은행동에서 그릇가게를 하는 여동생과 공동 투자 형식을 택했다. 남하고 하는 것보다는 아무래도 피붙이가 나을 듯 싶었다. 공개 입찰에 몰려든 사람이 생각보다 많았다. 그래서 염씨는 남들보다 좀 높은 가격으로 입찰에 응했다. 토지공사에 하는 거니까 정확할 것이라는 판단도 있었고, 또 토지공사 보증으로 60%까지 은행...
-
2004년 6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과 용인시 죽전지구와의 경계면에 성남시 소유의 폭 7m 도로의 연결을 둘러싸고 발생한 사건. 1990년대 이후 용인 지역에서는 영통지구, 수지지구, 죽전지구, 동백지구 등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지속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용인 지역에서 서울로 이어지는 도로의 교통 체증이 악화되었다. 이에 따라 용인시에서는 서울 방향으로 가기 위한 새로운 도로...
-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서 살던 성씨. 분당구 대장동에 최초로 자리잡은 우계이씨는 덕천군수 이인숙(李仁淑)의 차남 충좌위 부사정 이경연(李景衍)의 후손이 세거하여왔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시도. 수정로가 끝나는 산성역 사거리에서 북서쪽으로 분기하여 서울~성남 시계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지방도 제308호선[현 지방도 제342호선]의 일부로 과거 ‘약진로’라 불렸으나 2002년 2월 성남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 때 ‘우남로’로 개칭되었고, 2009년 7월 10일 행정안전부 광역도로명 고시 때 다시 ‘헌릉로’로 개칭되었다. 현재 헌릉...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탁지(卓之), 호는 우당(雨堂)이다. 아버지는 이교(李嶠), 할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문광공(文光公) 이륙(李陸), 증조할아버지는 이치(李穉)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전통 음악 연주 단체. 우리소리연구회 솟대는 호남좌도 농악인 전라북도 임실 필봉 농악의 풍물놀이 전수자들이 주축이 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연주 단체와 교육 단체의 기능을 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사물놀이와 판굿이며, 국악교실에서 풍물놀이와 민요, 판소리 등의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이경화가 이끌고 있는 무용 단체. 우리춤예술원은 전 계원예술고등학교 무용부장이었고 국가무형유산인 살풀이춤과 역시 국가무형유산인 승무 이수자 이경화가 이사장으로 있는 무용 단체로 성남을 비롯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다양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다....
-
음료수를 얻기 위하여 땅을 깊이 파서 맑은 지하수가 괴게 한 시설. 우물에는 맨땅을 깊거나 파서 물이 괴게 하는 토정(土井)과 바위틈 사이로 솟거나 흐르는 물을 괴게 하는 석정(石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살림집에서는 토정이 대부분이다. 맨땅을 파서 만든 우물일 경우 물기를 머금은 우물벽이 무너질 염려가 있으므로 통나무를 둘레에 촘촘히 박거나 돌을 쌓아 올려 벽을 구성한다. 돌 쌓...
-
집이나 마을에 있는 우물에서 가족과 마을사람들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고사. 집안 혹은 마을에서 우물의 정갈함과 함께 우물 안에 존재한다고 믿어지는 용신(龍神)에게 고사를 지내는 것을 말하며, 우물제, 우물굿, 샘굿이라고도 한다....
-
소를 팔고 사는 시장. 우시장은 ‘쇠전’이라고도 한다. 지금의 판교 너더리마을에는 일제강점기에도 너더리시장이 있어 인근 주민들이 이용하였다고 한다. 이 너더리시장의 특색은 주막거리 서쪽에 우시장이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
살길을 찾아 들어왔지만, 상대원에서도 먹고 살길이 막막하기는 매한가지였다. 하릴없어 하다가, 얼마 전 지나가던 화장품 장사에게 물었던 것처럼, 지나가는 굴비장사를 보고 물었다. 굴비 장사하면 밥 먹고 사나요? 이 대목에서 재미있는 것은, 옛날 이야기 책에나 나올 만한 그 황당한 우연성이다. 그때 화장품 장사가 지나가지 않았고, 굴비 장사가 지나가지 않았다면 봉씨는 무엇을 하게 되었...
-
경기도 성남시에서 우편·보험·예금 서비스 업무를 담당하는 공공기관. 우체국은 주로 우편물의 접수, 운송, 배달과 같은 우정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예금이나 보험 등의 금융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보통신부의 우정사업본부가 전국 9개 지역에 직할 기관인 체신청을 두고 이러한 사업이나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성남시의 우체국들은 경인지방우정청에 소속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욱서(旭西)이고, 임면근(林勉根)의 장남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욱재(泮哉), 호는 율헌(栗軒)이다. 한석(韓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지원(韓智源)이고, 아버지는 참판 한술(韓述)이며, 어머니는 이운(李韻)의 딸이다....
-
조선 후기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살았던 문신. 남구만(南九萬)[1629~1711]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면서 서예가이고, 시조(時調) 「동창이 밝았느냐」를 남긴 인물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운방(雲房)이다. 효령대군 이보(李𥙷)의 후손이고, 장제부정(長堤副正) 이원손(李源孫)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예빈시별좌(禮賓寺別坐) 이호(李浩)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초명은 습.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보(花浦) 또는 운옹(雲翁)이다. 찬성을 지낸 남숙(南淑)의 현손으로, 진사 남이성(南以成)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김림(金琳)의 딸이다. 교위(校尉)인 큰아버지 남대성(南大成)에게 입양되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운장(雲長). 호는 남곡(南谷). 문과에 합격하여 병조참판을 지낸 이경헌(李景憲)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윤응빙(尹應聘)의 딸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인상(李麟祥)이다. 처부(妻父)는 유황(兪榥)이다....
-
스스로의 노력, 삶에 대한 정성, 거기에 적당한 행운이 따르면서 구보의 삶은 점점 안정을 찾아갔다. 결혼 이후 7년 동안 생기지 않던 아이도 태어났다. 첫 딸이 태어난 것이다. “우리 집사람이 몸이 좀 약했어요. 그래서 하나만 날라 그랬는데, 또 내가 외아들이었고, 어머니도 하나 더 낳았으면 좋겠다는 그런 말씀 있었고, 주변 사람들도 하나는 너무 외롭다 둘 낳아야 된다 자꼬 주변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공립고등학교. 교훈은 ‘자율과 책임’이다. 미래를 설계하는 학교, 함께하는 운중 교육을 교육 지표로 하며, 자신의 행동에 책임질 줄 아는 자주적인 사람,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도덕적인 사람, 꿈을 갖고 열심히 노력하는 미래 지향적인 사람, 건전한 정신과 튼튼한 몸을 지닌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공립고등학교. 교훈은 ‘자율과 책임’이다. 미래를 설계하는 학교, 함께하는 운중 교육을 교육 지표로 하며, 자신의 행동에 책임질 줄 아는 자주적인 사람, 타인을 배려할 줄 아는 도덕적인 사람, 꿈을 갖고 열심히 노력하는 미래 지향적인 사람, 건전한 정신과 튼튼한 몸을 지닌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근린공원. 운중공원은 판교 신도시의 제2호 근린공원으로 조성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행정동인 운중동은 하산운동, 대장동, 석운동, 운중동의 4개 법정동을 관할한다. 성남시 서남단의 청계산 준령 동사면에 자리하며, 안양으로 통하는 관문 지역이다. 과거 자연 마을이 있었던 하산운동과 운중동 일부가 판교신도시로 개발되었으며, 분당신도시와 인접해 도농 복합 형태의 전원 마을이 산재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위치한 고려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2002년에 실시된 성남 판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지표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물산포지로서 입지와 채집된 유물 등에서 공통점을 지닌 운중동 분묘군 1~2와 운중동 유물산포지 1~2를 통합한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판교동과 운중동 사이에 있는 도로. 운중로는 서판교 지역을 동서로 관통하는 도로로 대왕판교로가 지나는 낙생고 삼거리에서 안양판교로[지방도 57호선]와 만나는 운중교차로까지의 구간을 말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옛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의 지역으로서 국사봉 아래가 되므로 뫼루니, 머루니, 뫼룬, 뫼운, 또는 산운이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산운의 중간이 되므로 운중리가 되었다. 1973년에 성남시에 편입되고, 1975년 낙생출장소에 편입되어 운중동, 대장동, 석운동, 하산운동의 4개 동이 합하여 운중동의 관할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저수지. 운중저수지는 하오개천을 제방 최대 높이 9m, 길이 114m로 막아 운중천 변의 농경지를 관수하는 저수지이며, 운중동의 이름을 따서 운중저수지라 명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지혜롭고 바르게’이며, 기본과 예절을 지키며 남과 더불어 사는 도덕인,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학업에 열중하는 실력인, 합리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탐구력을 길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창조인, 세계 시민적 자질과 국제 문화 이해 능력을 지닌 세계인, 심신을 단련하여 건강하고 조화로운 성품을 지닌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지혜롭고 바르게’이며, 기본과 예절을 지키며 남과 더불어 사는 도덕인,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학업에 열중하는 실력인, 합리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탐구력을 길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창조인, 세계 시민적 자질과 국제 문화 이해 능력을 지닌 세계인, 심신을 단련하여 건강하고 조화로운 성품을 지닌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을 흘러 탄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운중천의 수원은 운중저수지이다. 운중저수지는 과거에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저수지였으며, 운중천은 농업용수 관개로의 기능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운중천 일대가 주택가와 판교테크노밸리 등으로 개발되면서 해당 기능은 상실되었으며, 현재 운중저수지 및 운중천은 유량 조절과 관광 및 주민 휴양 등의 기능을 하고 있다. 하천 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즐겁게 배우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지표는 ‘바름·열정·새로움으로 미래를 열어 가는 운중 어린이’이며, 교훈은 ‘바름·열정·새로움’이다. 바르고 배려하는 어린이[덕(德)],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지(智)], 스스로 실천하는 어린이[행(行)], 심신이 조화로운 어린이[화(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즐겁게 배우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지표는 ‘바름·열정·새로움으로 미래를 열어 가는 운중 어린이’이며, 교훈은 ‘바름·열정·새로움’이다. 바르고 배려하는 어린이[덕(德)],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지(智)], 스스로 실천하는 어린이[행(行)], 심신이 조화로운 어린이[화(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과 석운동을 잇는 안양판교로828번길 구간에 설치된 터널. 운중터널은 운중동 안양판교로를 기점으로 대한송유관공사 서울지사 입구까지 연결된 안양판교로828번길에 개설한 터널이다. 응달산의 자연 녹지를 보존하고 동물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산을 관통하는 터널을 설치했다....
-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었던 옛지명. 일명 웃숯골, 윗탄리, 상탄리 등으로 불리었다. 본래 경기도 광주군 세촌면의 지역으로서 숯내(川)가 되므로 숯골 또는 탄동이라 하였다. 탄동의 범위가 제법 넓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독정리와 남씨편을 병합하여 탄리라 하여 중부면에 편입되었다. 웃숯골은 탄리의 마을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 중부면은 1961년에 재향군인모란단지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에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조선시대 활자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줄여서 『대방광원각경』, 『원각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의 지눌이 깊이 신봉하여 '요의경'이라고 한뒤 널리 유통되었다.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당나라의 승려 종밀이 저술한 『원각경소』를 세조 11년에 간경도감에서 번역 간행한 것으로...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화백(華伯), 호는 창하(蒼霞) 또는 포와(胞窩)이다. 효종의 부마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鱗)의 손자이고, 목사 원명구(元命龜)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형조좌랑 이세필(李世弼)의 딸이고, 부인은 신사철(申思喆)의 딸이다. 원인손(元仁孫)과 원의손(元義孫)이 그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원경하의 묘. 원경하[1698~1761]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원주, 자는 화백(華伯)화백(華伯), 호는 창하(蒼霞) 또는 비와(肥窩)이다. 효종의 부마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麟)의 손자이며, 목사 원명구(元命龜)의 아들이다. 1721년(경종 1)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736년(영조 12)에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원경하의 묘. 원경하[1698~1761]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원주, 자는 화백(華伯)화백(華伯), 호는 창하(蒼霞) 또는 비와(肥窩)이다. 효종의 부마 흥평위(興平尉) 원몽린(元夢麟)의 손자이며, 목사 원명구(元命龜)의 아들이다. 1721년(경종 1)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736년(영조 12)에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승(子承), 호는 환범재(換凡齋)이다. 친아버지는 판돈령부사 원경하(元景夏)인데, 원경조(元景祚)의 양자가 되었다. 우의정 원인손(元仁孫)과 대사헌 원의손(元義孫)의 동생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었던 라디오 방송국. 성남문화재단은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2006년 태평4동에서 진행된 골목길형 프로젝트인 ‘동락태평’, 2007년 은행주공아파트에서 진행된 아파트형 프로젝트 ‘풀장환상’에 이어 2008년 상가와 시장형 프로젝트 ‘원다방 사랑방 신나는 상대원시장’을 추진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근린 상권형 시장. 상대원시장은 1970년대 조성된 상대원 지역 공단에 노동자들이 몰리면서 번성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 지역 공단들의 이전과 대규모 할인마트 등장 등으로 쇠퇴하기 시작한 소규모 근린 상권형 시장이다....
-
염씨가 상대원으로 왔던 80년대 초는 장사가 참 잘 되던 시절이었다. 그 시절 상대원공단은 활발하게 돌아갔고, 근로자들이 시장의 주요한 고객이었다. 젊은이들은 간이부엌이 딸린 방 하나 짜리에 주로 살았다. 방안에는 비키니 옷장 하나에 조그마한 호마이카상이 놓여 있었고, 부엌에는 석유 곤로와 밥공기와 국그릇 정도가 갖추어졌다. 또한 돌이나 백일이 되면 뷔페를 찾는 지금과는 달리, 8...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었던 라디오 방송국. 성남문화재단은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2006년 태평4동에서 진행된 골목길형 프로젝트인 ‘동락태평’, 2007년 은행주공아파트에서 진행된 아파트형 프로젝트 ‘풀장환상’에 이어 2008년 상가와 시장형 프로젝트 ‘원다방 사랑방 신나는 상대원시장’을 추진하였다....
-
백씨는 요즘 함주부[함께하는 주부 모임]가 운영하는 ‘책이랑도서관’에 상근한다. 상대원 소외지역 청소년들이 찾는 작은 문화공간을 소중하게 돌보고 가꾸는 일이 그녀는 마음에 든다. 그리고 함주부 일을 하면서 상대원에서 벌어지는 문화 프로젝트에도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2008년 들어 성남문화재단이 문화예술을 통해서 상대원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기획한 문화 프로젝트 중에는, 상대...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 자는 원로(元老)이고, 증 승정원좌승지 황형(黃泂)의 장남이다. 예천군수 황입중(黃立中)의 손자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신종교. 원불교는 1916년에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이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에 총본사를 두고 세운 종교이다. 박중빈은 1916년 전라남도 영광에서 저축 조합[1917년], 간척 사업[1918년] 등으로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1924년에 전라북도 익산에서 물질 개벽과 정신 개벽을 주창하며 불법연구회를 창설하였다. 교리로는 사은사요...
-
1930년대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면장을 지내며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한 인물. 일제강점기 돌마면 지역의 행정 책임자는 면장이었는데, 1935년부터 1939년까지는 이근학(李根學)[1896~1963]이 제4대 면장으로 재직하였다. 이어서 1940년부터 1941년까지는 면장의 이름이 ‘원산근학(圓山根鶴)’으로 되어 있다. 이는 이근학의 일본 이름으로 보인다. 이렇게 이근학은 돌마면에...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출신. 자는 극서(極敍). 원재공(元在恭)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출신. 자는 치영(穉永). 호는 지산(芝山). 원석규(元錫圭)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국헌(國獻). 원석오(元錫五)의 장남이고, 원재공(元在恭)의 손자이다....
-
조선 후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 출신이다. 자는 원오(元吾). 청백리에 오른 충정공(忠貞公) 정대년(鄭大年)의 증손이고, 통훈대부로 안성군수를 역임했던 정돈복(鄭敦復)의 손자이다. 통정대부로 운산군수를 지낸 정침(鄭沈)의 장남이다. 부인은 응교(應敎)를 지낸 한영(韓詠)의 딸 청주한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방(子方), 호는 모와(慕窩)이다. 판돈령부사 원경하(元景夏)의 아들인데, 원경유(元景游)의 양자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원의손의 묘. 원의손[1725~1781]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원주, 자는 자방(子方)이다. 아버지는 영의정에 추증된 충문공(忠文公) 원경하(元景夏)이고, 어머니는 영중추부사 신사철(申思喆)의 딸이다. 1757년(영조 33)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문과에 급제하였다. 1765년(영조 41) 통정대부(通政大夫)로 발탁된 후 안변부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원의손의 묘. 원의손[1725~1781]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원주, 자는 자방(子方)이다. 아버지는 영의정에 추증된 충문공(忠文公) 원경하(元景夏)이고, 어머니는 영중추부사 신사철(申思喆)의 딸이다. 1757년(영조 33)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문과에 급제하였다. 1765년(영조 41) 통정대부(通政大夫)로 발탁된 후 안변부사,...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여실(汝實).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셋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건중(建中). 호는 강암(彊菴).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
개항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성심(聖心). 원세창(元世昌)의 장남이고, 원석오(元錫五)의 손자, 원재공(元在恭)의 증손이다....
-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기와말 일대에 살았던 성씨. 수정구 복정동 기와말 복정동사무소 일대에 홍문관 교리 원효렴(元孝廉)의 아들 원맹강(元孟康)이 원주에서 이주하여 정착함으로써 그의 자손이 세거하였다. 수정구 사송동 솔고개[송현리(松峴里)]에 도끼 정승으로 이름난 원두표의 아우 원두추(元斗樞)의 현손인 충문공 원경하(元景夏)[1698~1761]의 후손이 세거한 것으로 전해진다. 사송...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호연(浩然). 할아버지는 감찰(監察)과 한림(翰林)을 지낸 원맹강(元孟康)이며, 아버지는 원윤종(元胤宗)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었던 옛 지명. 마을 이름은 원천동(遠天洞)의 ‘원’자와 동막동(東幕東)의 ‘동’자 병합하여 동원동이 되었는데,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낙생면 동막동, 원천동과 (구)용인군 수지면 원천동의 일부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의하여 동원리가 되었지만 이 지역은 낙생면과 수지면의 경계지역이었으므로 동막동과 원천동은 나누어져 있었다. 따라서 용인동...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1동 황송공원 내에 있는 기념탑. 1998년 5월 14일 초대 민선 성남시장 오성수와 대한해외참전전우회 직할 성남시 회원들이 해외에 파병되었던 성남 지역 청년들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해외 참전 기념탑을 건립하였다. 2004년 12월 베트남(월남) 참전 기념탑으로 변경되었다가 2013년 월남 참전 기념탑으로 다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금토동은 수정구 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이 지역은 금현동, 바깥말(바깥골, 외둔토리, 바깥두리이골), 안골(안골, 안둔토리, 안두래이골)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이 산지이다. 행정동인 시흥동에서 관할한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월여(月如)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이목(李楘)이고 어머니는 장수황씨로 현감 황우(黃佑)의 딸이다. 부인은 증 정부인 평산신씨로 유수 신감(申鑑)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금토동은 수정구 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이 지역은 금현동, 바깥말(바깥골, 외둔토리, 바깥두리이골), 안골(안골, 안둔토리, 안두래이골)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이 산지이다. 행정동인 시흥동에서 관할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영월 일대의 단종 유적을 그린 화첩. 유배지 영월(寧越)에 남겨진 조선 단종[1441~1457]의 자취와 충신들의 절의가 깃든 장소를 8폭의 그림으로 제작한 화첩이다. ‘영월 경내의 그림’이라는 뜻을 지닌 이 월중도(越中圖)의 제작 시기는 단종이 숙종에 의해 복권된 1698년 이후로 추정되며 2007년 12월 3...
-
경기도 성남시에 소장되어 있는 윤봉길 의사가 농촌 계몽을 위해 1929년 조직한 월진회(月進會)의 통장. 월진회통장은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킨 독립운동가 윤봉길 의사가 남긴 13종 68점의 유품들 가운데 하나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속하는 법정동. 금토동은 수정구 최남단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이 지역은 금현동, 바깥말(바깥골, 외둔토리, 바깥두리이골), 안골(안골, 안둔토리, 안두래이골)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이 산지이다. 행정동인 시흥동에서 관할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상적동과 금토동 사이에 있는 고개. 달래내고개는 달리내고개 또는 월천현(月川峴)이라고도 한다. 성남시 수정구의 상적동 옛골마을과 금토동을 지나는 이 고개는 원래 작은 도로였으나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면서 성남시와 서울시 구간을 구분 짓는 실질적인 경계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임진왜란 때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의 요청으로 선조(宣祖)가 한효순(韓孝純)[1543~1621]을 한산도에 파견하여 무과를 실시하게 하였다. 이후 한효순은 전쟁 수행에 필요한 각종 군수 물자를 원만하게 조달하여 해전에서 승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조성한 역사를 주제로 한 공원. 위례주제공원은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을 흐르는 창곡천 인근에 조성된 역사 공원이다. 총 면적은 60,647.3㎡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일대가 포함된 신도시 개발 사업. 위례 택지 개발은 2005년 정부의 8·31부동산종합대책에 따라 추진한 위례신도시 개발 사업을 말한다. 2007년 말 계획을 수립하고 2008년 실시 계획 승인을 거쳐 추진되었다. 위례 택지 개발지구는 처음에 ‘송파거여택지개발예정지구’ 혹은 ‘송파신도시’라고 불렸는데, 경기도 성남시와 하남시가 송파로 묶이는 것에 문제를...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위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바르게 행동하고 도전하며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조성한 근린공원. 위례공원은 청량산 자락에 위치한 공원으로 총 면적은 625,700.4㎡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신도시 중심지를 관통하며 남북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 위례광장로는 위례신도시 시가지의 교통난 해소를 담당하는 주요 간선도로로 송파구와 성남시의 경계 구간인 남북을 잇는 순환도로이다. 1개 노선으로 되어 있지만, 행정구역 경계에 따라 송파구 장지동에 1개 구간과 성남시 위례동에 2개 구간이 있다....
-
위례신도시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송파·하남·성남을 잇는 주요 간선 도로. 위례신도시 내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을 관통하는 주요 간선도로로 영장산 터널을 지나 공원로와 연결된다. 왕복 8차선 포장도로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신도시 동편 주거단지의 남북을 연결하는 간선도로. 위례동로는 위례신도시 동편 시가지의 교통 해소를 담당하는 주요 간선도로로 북쪽의 하남시 학암동 위례순환로까지 연결된다. 이 도로를 통해 위례대로 동쪽 저층 주거단지로 접근이 쉽다. 도로 형태는 1개 노선이지만 성남시 위례동과 하남시 학암동 2개의 행정구역을 포함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신도시 위례동로 동편 주거 단지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연결 도로. 위례동이로는 위례신도시 시가지 내부에서 인접 주거 단지로의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위례동로와 이어지며, 간선도로와 연결되지만 통과 교통이 아니기에 막다른 도로와 만나게 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신도시 서편의 남북을 잇는 내부 간선도로. 위례서로는 위례신도시 서편의 교통을 원활하게 하는 간선도로로, 송파구와 성남시의 경계를 이루며 남북으로 뻗은 직선 도로이다. 1개 노선이지만, 행정구역상 송파구 장지동에서 1개 구간, 성남시 위례동에서 1개 구간이 포함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신도시 남쪽에 위치하며, 위례서로에서 갈라져 나와 동쪽으로 나 있는 간선도로. 위례서일로는 위례신도시 남쪽의 교통을 원활하게 하는 간선도로이다. 위례서로에서 동쪽으로 갈라져 나오며, 저층 주거단지로의 접근을 쉽게 한다....
-
백제시대의 도성. 위례라는 명칭은 한성시대 백제의 도성이었던 위례성을 의미한다. 그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한강을 가리키는 아리수(阿利水), 욱리하(郁利河)의 ‘아리’, ‘욱리’에서 기원하였다는 설이 있는데, 여기서 ‘아리’, ‘욱리’는 모두 크다[大]는 뜻을 지니고 있는만큼, 대성(大城)의 뜻이다. 그리고 백제에서 왕을 가리키는 ‘어라하(於羅瑕)’의 ‘어라’에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소속 성당.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이 위례신도시 조성 이후 위례동으로 바뀌고 입주민들의 유입에 따라 천주교 신자 수가 증가하였다. 이에 2016년 6월 21일 천주교 수원교구 위례창곡동성당이 성남시 수정구 위례광장로 21-8[창곡동 547-8] 새움빌딩 4, 5층에 최초로 설립되어 박필범[야고보] 신부의 부임과 첫 미사로...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위례신도시의 중심 시가지를 이어주는 내부 순환 도로. 위례순환로는 위례신도시 중심부를 연결하는 순환 도로로 성남시와 송파구, 하남시를 통과한다. 1개 노선이지만, 행정구역상 송파구 장지동에서 1개 구간, 성남시 위례동에서 1개 구간, 하남시 학암동에서 1개 구간이 포함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다목적 복합 문화시설. 위례스토리박스는 지역 문화 예술 공간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복합 문화 공간이다. 2018년 성남시와 LH공사, 성남문화재단, 가천대학교가 위례신도시 개발 후 방치된 위례 업무 시설을 문화 시설로 활용하자는 논의를 가진 후 주민들의 의견을 모아 지역 주민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자는 합의를 통해 복...
-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조성한 역사를 주제로 한 공원. 위례주제공원은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을 흐르는 창곡천 인근에 조성된 역사 공원이다. 총 면적은 60,647.3㎡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신도시 중앙을 가로지르는 간선도로. 위례중앙로는 위례신도시 중앙의 동서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도로이다. 송파구 장지동에서 하남시 학암동까지 이어지며, 송파구, 성남시, 하남시의 행정구역을 구분하는 도로이기도 하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위례중앙중학교의 교육 방향은 행복한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행복교육 공동체이다. 교육 목표는 배우고 도전하며 성장하는 학생, 협력 극대화로 함께 혁신하는 교사, 소통과 협력으로 더불어 성장하는 학부모, 혁신교육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혁신교육 생태계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위례중앙중학교의 교육 방향은 행복한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행복교육 공동체이다. 교육 목표는 배우고 도전하며 성장하는 학생, 협력 극대화로 함께 혁신하는 교사, 소통과 협력으로 더불어 성장하는 학부모, 혁신교육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혁신교육 생태계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위례중앙초등학교의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고 씩씩하게 자라 행복하게 살아가는 학생 육성’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위례중앙초등학교의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고 씩씩하게 자라 행복하게 살아가는 학생 육성’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신도시 헌릉로에서 성남대로를 잇는 간선도로. 위례창곡천로는 남한산성역[현 산성역]과 연결되는 헌릉로 교차점에서 창곡천로를 가로질러 성남대로로 직접 진입할 수 있는 간선도로이다. 서울시설공단 송파공영차고지 경계와 창곡천로에 접하면서 연결되는 도로이다. 행정구역에 따라 송파구 장지동과 성남시 복정동 구간으로 분리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위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훈은 ‘바르게 행동하고 도전하며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서울 강남구 세곡동을 잇는 헌릉로 구간에 설치된 입체화 터널. 헌릉로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에서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산성역사거리까지 10.7km의 지역을 잇는 간선도로이다. 헌릉로 구간 중 복정역사거리는 성남대로와 교차하면서 늘 교통 정체가 심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위례신도시 건설 당시 헌릉로 확장 및 노선의 일부를 변경하면서 위례터널을 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위례푸른초등학교의 교육 방향은 협력과 배려로 성장하는 행복 학교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협력과 배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둘째,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셋째, 문화예술을 즐기며 공감하는 어린이, 넷째, 함께 꿈과 재능을 키워가는 어린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위례푸른초등학교의 교육 방향은 협력과 배려로 성장하는 행복 학교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협력과 배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둘째, 존중과 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셋째, 문화예술을 즐기며 공감하는 어린이, 넷째, 함께 꿈과 재능을 키워가는 어린이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위례한빛고등학교의 교훈은 ‘우리는 세계를 품고 미래를 창조한다’이다. 교육 방향은 세계를 품고 미래를 꿈꾸는 창의·융합 인재들의 배움터이다. 교육 목표는 덕성의 인성교육, 지성의 창의·융합교육, 감성의 감성교육, 체력의 행복교육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위례한빛고등학교의 교훈은 ‘우리는 세계를 품고 미래를 창조한다’이다. 교육 방향은 세계를 품고 미래를 꿈꾸는 창의·융합 인재들의 배움터이다. 교육 목표는 덕성의 인성교육, 지성의 창의·융합교육, 감성의 감성교육, 체력의 행복교육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신도시 남동편의 위례한빛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 위례한빛로는 위례신도시 시가지 남동쪽 저층 주거단지로 접근하기 쉽게 만든 도로로 위례동로와 연결된다. 주거단지를 둘러싸고 있는 외곽과 단지로의 통과 교통을 촉진하는 선형 도로이다. 저층 주거단지 외곽도로뿐만 아니라 내부 저층 주택단지와 연결되는 도로도 모두 ‘위례한빛로’라고 부르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위례한빛중학교의 교육 방향은 함께 배우고 나누는 행복한 우리이다. 교훈은 ‘실력, 도전, 공헌’이다. 교육 목표는 창조적으로 사고하는 사람, 소통과 협력으로 공감하는 사람, 진로 탐색으로 꿈을 이루는 사람의 육성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위례한빛중학교의 교육 방향은 함께 배우고 나누는 행복한 우리이다. 교훈은 ‘실력, 도전, 공헌’이다. 교육 목표는 창조적으로 사고하는 사람, 소통과 협력으로 공감하는 사람, 진로 탐색으로 꿈을 이루는 사람의 육성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위례한빛초등학교의 교육 방향은 ‘앎을 삶으로, 꿈을 미래로’이다. 교훈은 ‘꿈을 키우며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이다.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생각[知], 함께하는 우리[德], 즐거운 배움[行], 즐거운 배움[體]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위례한빛초등학교의 교육 방향은 ‘앎을 삶으로, 꿈을 미래로’이다. 교훈은 ‘꿈을 키우며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이다. 교육 목표는 창의적인 생각[知], 함께하는 우리[德], 즐거운 배움[行], 즐거운 배움[體]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위로(渭老). 해평윤씨 20세손. 장주공파(長洲公派). 아버지는 윤익동(尹翼東)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할아버지는 윤득태(尹得泰), 증조부는 윤진(尹津)이다. 부인은 전주이씨이며, 슬하에 2남을 두었다. 부인이 죽은 뒤에 인동장씨, 안동권씨를 맞아들였다. 근친 가운데에는 계부 윤형동(尹衡東)이 역시 무과출신으로 무산부사를 역임한...
-
대도시권에 있으면서 중심도시 기능의 일부를 분담하는 도시. 지구를 도는 달과 같은 관계에 있기 때문에 위성도시라 부른다. 위성도시는 중심 대도시와는 일상적인 산업활동 및 사회활동의 교류가 밀접하게 교차되며, 통근·통학·업무 등의 관계가 있다. 단순한 주택지구·공장지구가 아니고 도시로서의 중심성을 지니며, 행정구역으로도 독립하고 있고 형태적으로도 중심도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We Start 운동 운영 마을. We Start 운동이란 빈곤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복지·교육·건강을 3대 축으로 해당 가정과 아동에 대한 개별 사례 관리를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문 인력 및 지역 사회의 자원봉사 네트워크와 자치 단체의 지원 등으로 가난의 대물림이라는 악순환에서 벗어나게 하고자 시작된 사회운동의 일환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성남시 분당구 율동 출신. 자는 서경(西卿). 윤석보(尹錫輔)의 둘째 아들이고, 유종선(柳從善)의 손자이다....
-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숙행(叔行)이다. 우의정 유관(柳寬)의 아들이다. 아버지인 유관은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그의 가문은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훈구가문(勳舊家門)이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유계문의 묘. 유계문[1383~1445]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숙행(叔行)으로, 우의정 유관(柳寬)의 아들이다. 1408년(태종 8) 문과에 급제하여 언관을 제수받았고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 1430년(세종 12) 대사헌으로 있던 중 제주 감목관(監牧官) 태석균(太石均)이 많은 말을 죽이고 은폐하기 위하여 대간에...
-
경기도 성남시에서 고려 후기 수용되어 정착된 유학의 도를 실천하고 조상에 대한 의례를 이어 오는 종교. 성남 지역의 경우 일제강점기부터 급격하게 파괴된 유교적 전통사회의 기반이 1960년대 말 광주대단지 개발사업을 거쳐 1973년 성남시가 출범하고 1988년부터 정부의 서울 외곽 신도시 개발에 따라 급속하게 진행된 도시화로 인해 급속히 파괴되었다. 이때부터 외부 인구의 유입, 세거...
-
유교적 신념을 공동체적으로 구현하는 단체. 유교단체는 다른 전통종교와는 달리 일반공동체와 종교공동체가 분리되지 않다. 종교공동체가 사회나 국가와 분명하게 구분되는 출세간(出世間)적인 다른 종교와는 달리, 유교는 가족과 사회, 그리고 국가가 그대로 종교공동체가 되는 입세간(入世間)적 경향을 보여준다. 유교적 전통사회에서 가족, 사회, 국가는 가묘(家廟), 문묘(文廟), 종묘사직(宗廟...
-
유교와 관련되는 유물 및 유적. 유교 유물은 제사와 관련된 제구(祭具)들과 유교적 세계관을 드러내는 기록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교적 제사의식에서 사용하는 유물로는 신주(神主), 제기(祭器), 홀기(笏記) 등이 있고, 유교적 세계관을 드러내는 기록으로는 문집(文集)이 대표적이다. 또한 가문의 역사를 담은 기록인 족보(族譜)도 대표적인 유교 유물이다. 이러한 각종 기록들은 유교적...
-
음력 6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유두는 복중(伏中)에 들어 있는데, 이 무렵이면 밀을 수확하고 참외 등 새로운 과일이 나는 시기이다. 유둣날 참외농사를 많이 짓는 집에서는 참외밭 고사를 지냈다. 분당구 판교동에서는 참외밭에 터주가리를 해놓고, 그곳에서 밀떡을 부쳐서 막걸리와 함께 올려 고사를 지냈다. 이는 참외가 많이 열리고 장마에 썩지 말라는 뜻에서 하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유보(裕甫), 호는 판교(板橋)이다. 이곤(李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공승(李公升)이고, 아버지는 군수 이간(李侃)이며, 어머니는 김문서(金文瑞)의 딸이다. 장인은 증 좌의정 기응세(奇應世)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 자는 여익(汝翼). 호조참판 유유(柳柔)의 손자이고, 첨지중추부사 유종선(柳從善)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유석보의 묘. 유석보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진주, 자는 여익(汝翼)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유종선(柳從善)이다. 1582년(선조 15) 진사시에 합격하여 조산대부(朝散大夫)를 지냈다. 1620년(광해군 12) 이귀(李貴), 김자점(金自點), 최명길(崔鳴吉) 등이 한 당파가 됨을 보고 개탄하여 김자점과 최명길의 모의...
-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진주. 자는 사창(士昌). 유지발(柳之發)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유안(幼安), 호는 동산(東山)이다. 이색(李穡)의 후손이며, 진사 이협(李浹)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1987년 6월에 발생했던 반독재 민주화 운동. 12·12 사태로 집권한 제5공화국 전두환 군부독재정권이 장기 집권을 위해 재야와 야당 인사를 대대적으로 탄압했다. 이에 맞서 재야 인사를 비롯한 학생·노동자 등 국민들은 직선제 개헌 주장을 키워갔고, 1986년 5월 3일 수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인천에서 일어났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택중(擇仲), 호는 견제(謙齋)이다. 아버지는 증호조참판 유유(柳柔)이며, 어머니는 광흥수(廣興守)를 지낸 임지재(任文載)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유종선의 묘. 조선 전기의 문신 유종선[1519~1568]은 본관은 진주, 자는 택중(擇仲), 호는 겸재(謙齋)이고, 증호조참판 유유(柳柔)의 아들이다. 1543년(중종 38) 진사시에 합격하고, 1546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양구현감 재임 시 백성들을 구휼하여 치적을 쌓았고, 예조정랑을 거쳐 1555년(명종 10)에 성절사를 따라 서장...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기지(起之). 할아버지는 유회(柳淮)이고, 아버지는 장군으로 좌의정에 증직된 유림(柳琳)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자는 윤경(允卿). 돈령(敦寧) 교위(校尉)를 지낸 이대로(李大老)의 장남이다. 고성군수를 역임하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간(李侃)의 손자이고, 증 승정원 좌승지 이공승(李公升)의 증손이자 연성군(延城君) 이곤(坤)의 현손이다. 이승설(李承說)의 동생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윤경(潤卿)이다. 광해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참판을 지낸 이경헌(李景憲)의 손자이고, 역시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를 역임한 이정(李程)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유황(兪榥)의 딸이다. 부인은 조석구(趙錫龜)의 딸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선여(善餘). 할아버지는 우봉현령 윤이(尹伊)이며, 아버지는 호조판서 윤탁연(尹卓然)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일원에 세거하고 있는 해평윤씨들의 입향조(入鄕祖)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윤경지의 묘 및 묘갈. 윤경지[1604~1659]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해평(海平)이고 해원부원군(海原府院君) 윤두수(尹斗壽)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공조판서를 지낸 윤휘(尹暉)이고 어머니는 사평(司評) 이기명(李耆命)의 딸이며, 부인은 숙인 연일정씨로 참판을 지낸 정립(鄭岦)의 딸이다. 세마(洗馬)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후일 훈국...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계초(啓初). 광국공신(光國功臣)으로 칠계군(漆溪君)에 봉해진 윤탁연(尹卓然)의 손자이다. 한성부 서윤(庶尹)이자 임란 당시 순절하여 충장공(忠莊公)에 봉해졌던 윤경원(尹慶元)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정연(鄭演)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백수(伯修). 할아버지는 문과를 합격하여 사간(司諫)을 지낸 윤시영(尹時英)이고,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윤징(尹澄), 어머니는 초계변씨로 변종범의 딸이다.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낸 남견손(南堅孫)의 딸 고성남씨(固城南氏)와 결혼하였고, 아들 효정공(孝貞公) 윤돈(尹暾)은 판서를 역임하였다. 윤일신의 형이고 윤자신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윤극신의 묘. 윤극신[1527~1587]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원, 자는 백수(伯修)이고, 윤자신(尹自新)의 육촌 동생이다. 1576년(선조 9) 별시문과에 급제한 후 춘추관, 이조좌랑, 임천군수, 홍문관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임천군수 재직 시에는 학교를 세우고 어려운 이들을 구휼하여 칭송을 받았다. 사후에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
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 윤달은 이칭이 많아 공달, 덤달, 군달, 남의 달, 썩은 달 등으로도 불린다. 또한, 무엇을 해도 탈이 없는 달이라 하여 평소에 가리는 일들을 많이 한다. 예컨대 수의 만들기, 산소 이장, 사초, 집수리, 이사 등 아무 때나 함부로 해서는 동티가 나는 일이나 손 또는 방위를 가리는 일들을 주로 한다. 특히 윤달에 수의를 만들면 오...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여승(汝昇), 호는 죽창(竹窓). 윤시영(尹時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사랑 윤징(尹澄)이고, 아버지는 임천군수(林川郡守) 윤극신(尹克新)이며, 어머니는 동몽교관 남견손(南堅孫)의 딸이다. 이황(李滉), 기대승(奇大升)의 문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윤돈의 묘. 윤돈[1551~1612]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원, 자는 여승(汝昇), 호는 죽창(竹窓)이며, 아버지는 찬성공(贊成公) 윤극신(尹克新)이다. 이황(李滉), 기대승(奇大升)에게서 수학하였으며 1585년(선조 18)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성남 중원구 하대원동 출신. 자는 탕경(湯卿). 광국공신(光國功臣)으로 칠계군(漆溪君)에 봉해진 윤탁연(尹卓然)의 증손자이자 임란 때 공을 세워 시호가 충장공(忠莊公)이자 칠평군(漆坪君)으로 봉해졌던 윤경원(尹慶元)의 손자이고, 한성부 판관을 지낸 윤계기(尹啓基)의 장남이다....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 여회(汝晦). 사간(司諫)을 지낸 윤시영(尹時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사랑 윤징(尹澄)이고, 아버지는 임천군수(林川郡守) 윤극신(尹克新)이며, 어머니는 동몽교관 남견손(南堅孫)의 딸 고성남씨(固城南氏)이다. 성척(成惕)의 딸 창령 성씨와 결혼했고, 사헌(司憲) 집의(執義)를 지낸 윤형언(尹衡彦)의 아버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윤엽의 묘. 윤엽[1549~1604]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원, 증좌찬성 윤극신(尹克新)의 장자이다. 1580년(선조 13)에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翰林), 이부낭관(吏部郞官)을 거쳐 홍문관교리에 이르렀다. 외직으로 나아가 서천군수로 있으면서 별세하였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신수(莘叟). 아버지는 판관(判官)을 지낸 윤문형(尹文亨)이고, 어머니는 한언륜(韓彦倫)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직제학에 올라 청백리로 추앙 받는 윤석보(尹碩輔)이다. 처부는 김윤선(金允先)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인로(仁老). 성균관 전적(典籍)을 지낸 윤재(尹材)의 큰아들이고, 어머니는 김선생(金善生)의 딸이다. 사헌부(司憲府) 집의(執義)를 지낸 윤형언(尹衡彦)의 손자이다. 처부(妻父)는 조진양(趙進陽)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위로(渭老). 해평윤씨 20세손. 장주공파(長洲公派). 아버지는 윤익동(尹翼東)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할아버지는 윤득태(尹得泰), 증조부는 윤진(尹津)이다. 부인은 전주이씨이며, 슬하에 2남을 두었다. 부인이 죽은 뒤에 인동장씨, 안동권씨를 맞아들였다. 근친 가운데에는 계부 윤형동(尹衡東)이 역시 무과출신으로 무산부사를 역임한...
-
1861년(철종 12)~1895년(고종 32). 조선 후기의 무신. 자는 윤일(允一)이고, 광산김씨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의 35세손이다. 부친은 김기삼(金箕三), 모친은 고성이씨, 전주이씨이다. 조부는 첨추(僉樞)를 지낸 김상선(金相善), 증조부는 호조참판에 추증된 김낙서(金洛叙)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강중(剛中). 칠원윤씨 33세손. 순수공파. 아버지는 윤형국(尹衡國)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이다. 할아버지는 통덕랑에 오른 윤경행(尹敬行), 증조부는 윤덕로(尹德老), 고조부는 윤세적(尹世績)이다. 부인은 숙인 한양조씨이다. 슬하에 아들이 없어, 윤이의(尹履誼)를 양자로 맞아들였다. 윤이의는 통훈대부로 연천현감을 지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윤재옥의 묘. 윤재옥[1876~1972]은 일제강점기 때의 독립운동가로 본관은 남원, 자는 치장(致章)이다. 1907년 이후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하여 의병을 모집, 일본 기병대와 교전하였고 군자금을 모아 무기와 탄약을 구입하여 활약하다가 체포되어 복역하였다. 사후에 대한민국건국포장을 받았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묘가 있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남원(南原), 본명은 윤재옥(尹在鋈)이고 윤재원(尹在元)으로도 불렀다. ‘치장(致長)’은 자이다. 아버지는 윤한섭(尹漢燮)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묘가 있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남원(南原), 본명은 윤재옥(尹在鋈)이고 윤재원(尹在元)으로도 불렀다. ‘치장(致長)’은 자이다. 아버지는 윤한섭(尹漢燮)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남경(南卿). 칠원윤씨 28세손. 순수공파. 아버지는 한성부판관을 지낸 윤계기(尹啓基)이며, 어머니는 숙부인에 추증된 풍산김씨이다. 할아버지는 한성부서윤을 지낸 윤경원(尹慶元)이다. 부인은 공인 전의이씨이다. 슬하에 아들이 없어, 윤흥적(尹興績)을 양자로 맞았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성백(成伯), 호는 임계(林溪), 고산(高山)이다. 현감 윤형갑(尹衡甲)의 아들이며, 남양부사 윤계(尹棨)의 아우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묘가 있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남원(南原), 본명은 윤재옥(尹在鋈)이고 윤재원(尹在元)으로도 불렀다. ‘치장(致長)’은 자이다. 아버지는 윤한섭(尹漢燮)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상중(尙中), 호는 중호(重湖). 판관을 지낸 윤문형의 손자이고, 우봉현령 윤이(尹伊)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김윤선의 딸이며, 부인은 송맹장의 딸이다. 아들은 윤경원, 윤길원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성평(聖平). 해평윤씨 19세손. 장주공파(長洲公派). 아버지는 윤득태(尹得泰), 어머니는 안동권씨, 풍양조씨이다. 할아버지는 윤진(尹津), 증조부는 윤세원(尹世元)이다. 부인은 숙부인에 추증된 수원최씨이다. 슬하에 1녀를 두었고, 윤호열(尹浩烈)을 양자로 맞아들였다. 근친 가운데에는 조카 윤이열(尹而烈)이 역시 무과출신으로 동도참군(...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 자는 응성(應聖), 호는 회원(檜圓)이다. 할아버지는 군수(郡守)를 지낸 윤극신(尹克新), 아버지는 홍문관 교리를 지낸 윤엽(尹曄)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 자는 응명(應明). 윤돈(尹暾)의 차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윤형철의 묘. 윤형철[1577~1632]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남원, 자는 응명(應明)이다. 관직은 호조좌랑을 지냈다....
-
1829년(순조 29)~?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거주지는 양주. 부친은 윤상대(尹相大)이다....
-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공도(公度)이다. 윤탁연의 3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분당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서현1동에서 관할한다. 마을에 밤나무가 많아 밤의 명산지로 유명했으며, 현재는 산림과 호수를 살려 조성한 총 면적 2,637,316㎡의 율동공원이 있어 분당 지역뿐만 아니라 인근 수도권 주민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느티나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서 율동의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으로 연결되는 도로변에 있는 수령 35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20m, 가슴높이 둘레 1.6m, 수관(樹冠) 너비 33m의 느티나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옛 천주교 신도들의 은거지. 율동 신교촌(信敎村)이라고도 하는데, 조선 말 천주교 박해 때 천주교 신도들이 피신하여 은거하면서 옹기를 구워가면서 생활하였던 터라고 전해지고 있다. 국궁장(國弓場)에서 큰능안골의 포장도로 끝나는 곳의 나지막한 구릉 말단 지점에 서북향하여 위치한다. 앞에는 작은 개울이 흐르고 현재 밭으로 개간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의령남씨 묘역. 과거 서근(三斤)이나 되는 밤이 생산되었다고 풍자할 만큼 밤(栗)의 명산지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하는 율동(栗洞)에는 순흥안씨, 진주유씨, 청주한씨, 의령남씨 등의 선조와 그 후손들의 묘역이 다수 안장되어 있다. 이 중 의령남씨 묘역에는 조선 전기의 문신 남준과 그의 아들 남염, 조선 후기의 문장가이자 정치가로 형조판서로 치사하여 봉...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거주한 청주 한씨 가문에 전해 내려온 고서적과 고문서. 분당구 율동에 세거한 청주 한씨는 조선 시대 문정공 한계희(韓繼禧)[1423~1482]가 처음 정착해 대대로 후손들이 살면서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청주 한씨 문중의 고서적과 고문서는 조선 시대부터 1900년대까지의 역사 문화 유산이다. 한씨 문중 소장 자료는 2018년 판교박물관에 기탁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청주한씨 묘역. 과거 서근(三斤)이나 되는 밤이 생산되었다고 풍자할 만큼 밤[栗]의 명산지에서 마을이름이 유래하는 율동[栗洞]에는 순흥안씨, 진주유씨, 청주한씨, 의령남씨 등의 선조와 그 후손들의 묘역이 다수 안장되어 있다. 이 중 청주한씨 묘역은 율동 자연공원내 저수지 맞은편의 낮은 구릉 일대에 일가 전체의 묘소가 다수 안장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구릉. 조선 성종의 어태(御胎)를 안치하였다고 구전되는 곳으로, 율동의 문정공(文靖公) 한계희(韓繼禧)와 공간공(恭簡公) 한사문(韓斯文) 묘역 중간에 불룩하게 솟아오른 나지막한 구릉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과 분당동 일원에 조성된 근린공원. 율동공원은 도심 속에 위치하는 인공호수 공원으로 자연의 멋과 아름다움 속에 다양한 놀이시설을 적절히 배치하여 현대적인 개념으로 완성된 시민 휴식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과 분당동 일원에 조성된 근린공원. 율동공원은 도심 속에 위치하는 인공호수 공원으로 자연의 멋과 아름다움 속에 다양한 놀이시설을 적절히 배치하여 현대적인 개념으로 완성된 시민 휴식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있는 옛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 율리였다. 매지봉 밑이 되므로 석은바미, 썪은배미 또는 삼근율, 율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도랏말을 병합하여 율리가 되었으며, 1971년 경기도 성남출장소에 편입되었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고, 1975년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어 분당동의 관할이 되었다. 율리란 명칭은 밤이 많이 생산...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재완(載抏), 호는 율원(栗園). 중종의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崎)의 후손이다. 봉창수(蓬昌守) 이형엄(李炯儼)의 장남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욱재(泮哉), 호는 율헌(栗軒)이다. 한석(韓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지원(韓智源)이고, 아버지는 참판 한술(韓述)이며, 어머니는 이운(李韻)의 딸이다....
-
설날에서 대보름 사이에 가족과 혹은 마을사람들이 모여 윷가락을 던지고 말을 사용하여 승부를 내는 놀이. 한자어로는 ‘사희(柶戱)’라고도 한다. 이익(李瀷)의 『성호사설』 「사희조(柶戱條)」에서 “윷놀이를 고려의 유속(遺俗)으로 본다.”라고 하였다. 중국의 『북사(北史)』와 『태평어람(太平御覽)』 등의 문헌에 백제에는 저포(臂蒲)·악삭(握鷺) 등의 잡희(雜戱)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묘가 있던 고려 전기 무신. 강민첨(姜民瞻)[963~1021]은 고려 전기 여진족과 거란족의 침입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금융 거래의 중개를 주요 업무로 하는 기관. 금융기관의 분류는 그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우선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은행과 은행 이외의 금융 중개 기관 또는 비화폐적 금융 중개 기관의 분류가 있다. 중앙은행이 현금 통화를 공급하는 데 반하여 예금 은행은 요구불 예금과 저축성 예금을 흡수하고, 요구불 예금에 관해서는 예금 통화의 창조...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일반인의 예금을 맡고 그것을 기업, 개인에 대부해주거나 어음할인을 하여 이윤을 얻는 금융기관. 은행은 신용 제도의 중심체로서 화폐 거래와 대부 거래를 일체화시켜 경영하며 신용 통화를 공급하는 금융기관이다. 한국에는 개항 2년 뒤인 1878년 일본의 제일은행(第一銀行)이 부산에 지점을 개설하면서부터 근대적 은행 제도가 도입되었고, 이후 이에 자극을 받아 민족 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사회복지 단체. 은행골우리집은 가정 해체, 가정 내 억압과 학대, 빈곤 등으로 인하여 사회적 보살핌이 필요한 위기 아동과 청소년들을 그룹홈이라는 가정적 보호를 통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조성된 근린공원. 은행공원은 은행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천연기념물이나, 보호식물이 심어져 있어 자연이 살아 있는 학습장으로 부모들과 아이들이 많이 찾는 가족공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사진 동호인 단체. 은행나무사진동호회는 사진 예술을 통한 회원들 간 소통과 교류 및 지역사회 문화 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속하는 법정동. 성남시 중원구 동북단에 있는 은행동의 행정동은 은행1동과 은행2동이다. 순환로를 중심으로 서쪽으로 상가와 주거지역이 형성되어 있고, 그 동쪽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남한산성공원관리사무소가 있으며, 유원지 안에는 백현사, 대원사, 약사사 등의 사찰과 약수터가 있어 좋은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고목나무터에서 행해졌던 마을굿. 은행동 대동굿은 ‘은행동 도당굿’이라고도 불리는데, 도당(都堂)은 경기도 지방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고 제사하는 당 또는 단을 뜻하며, 일반적 동제(洞祭)와는 달리 무당이 주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은행나무.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주공아파트 단지의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수령 300년의 노거수(老巨樹)로 높이 20m, 가슴높이 둘레 8m, 수관(樹冠) 너비 22m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 주민들의 구술 생애 자료를 서사물로 재구성한 책. 성남문화재단의 '우리동네 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은행동이라는 공간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 시설. 은행동청소년문화의집은 성남시 수정청소년수련관, 성남시 중원청소년수련관, 분당정자청소년수련관, 분당서현청소년수련관, 분당판교청소년수련관, 양지동청소년문화의집과 함께 지역 청소년들이 사회, 문화적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성남시청소년육성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2대리구 성남지구 소속 성당. 1998년 1월 30일 단대동성당 건물이 협소하여 새로 분리 설립되었다. 분리될 당시의 신자 수는 3,000여 명이었다. 2017년 12월 9일 성전 건축에 착수해 2019년 8월 17일 입당 미사를 봉헌하고 입주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상설 시장. 은행시장은 은행동 중심 지역에 있으며, 중앙로를 사이에 두고 양지동과 마주하고 있어 은행동과 양지동 주민들이 애용하는 시장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시립 식물원. 성남시 식물원은 성남시 중원구 은행1동에 있었던 양묘장과 용도 폐기된 배수지 등을 재활용하여 조성한 시립 식물원이다. 은행동에 자리하여 은행식물원으로도 불린다. 다양한 식물과 야생화, 곤충류들이 서식하여 어린이들에게 자연 교육 학습의 장을 제공하고, 시민들에게는 친숙한 자연 휴식 공간이 되어 준다. 자연체험학습교실, 방문자센터, 목...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게’이며, 국가에 봉사하고 공동체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 인간의 존엄성을 인식하고 민주시민 의식을 갖춘 사람, 창의력·사고력을 길러 1인 1기를 습득하는 사람, 건전한 심신과 풍부한 정서를 지닌 사람, 자기의 소질을 계발하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게’이며, 국가에 봉사하고 공동체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 인간의 존엄성을 인식하고 민주시민 의식을 갖춘 사람, 창의력·사고력을 길러 1인 1기를 습득하는 사람, 건전한 심신과 풍부한 정서를 지닌 사람, 자기의 소질을 계발하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두꺼비 능산에 얽힌 전설 지금 분당동 건너편에 낮은 산이 있는데 그 이름은 두꺼비 능산이다. 옛날 이 마을에는 마음씨가 아주 착한 처녀가 살고 있었다. 집안일과 농사일을 번갈아 하며 부모를 정성스레 봉양하는 효녀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사립 대학. 을지대학교의 교훈은 ‘성실, 진리, 실천’이다. 지·덕·체를 겸비한 능력 있는 보건·의료 및 각종 지식기반사회가 필요로 하는 전문 기술인을 양성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기술 입국의 확고한 정신을 가진 보건, 의료, 식품 및 각종 미래산업 기술 분야의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데 교육 목적을 두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연희·국악 공연 단체. ‘음마(音摩)’는 소리를 어루만져 음악을 만든다는 의미이고, ‘갱깽’은 대장간에서 나오는 소리의 의성어로 인형 및 인형 막, 악기 등 공연에 필요한 오브제들을 만든다는 뜻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목소리나 악기로 나타내는 소리 예술. 성남 지역의 음악은 역사가 그리 길지 않다. 1990년대 이후 분당신도시 건설과 함께 전국적으로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합창, 기악 등 음악 영역에 다양한 민간 음악단체가 활성화되면서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음악을 즐기고 누리는 생활문화·예술의 도시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화(子和), 호는 음애(陰涯)이다. 참판 이극기(李克基)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의 수정구와 중원구를 잇는 시도. 음촌로는 수정로 산성역포레스티아 삼거리에서 동남 방향으로 나누어져 둔천대로 대원터널 앞 사거리까지 연결된 도로였으나, 2011년 기존 대원로와 합쳐 희망로로 변경하여 명명하고 있다....
-
조선 후기 음촌참(陰村站) 부근에 있었던 주점(酒店). 조선시대의 역참제도는 수도 한성을 중심으로 간선도로는 전국에 10대 도로를 개설하고 이를 좌로, 중로, 우로로 크게 나누었다. 각 도로는 30~40리(약 4㎞) 정도의 거리를 두고 역참을 설치하고, 역마(驛馬)와 역정(驛丁)을 배치하여 관청의 공문을 전송하는 외에 마필과 숙식을 알선, 제공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지역에 역과 함께 설치되었던 공공 숙박시설. 우리나라의 역참제도는 삼국시대부터 시행되었으나 구체적인 제도로 드러난 시기는 고려시대부터이다. 역도는 조선시대에 들어와 더욱 구체화되면서 간선도로와 지선도로로 나누고 다시 그 중요성에 따라 대로, 중로, 소로로 구분하여 시행되었다. 수도 한성을 중심으로 간선도로는 전국에 10대 도로를 개설하고 이를 좌로, 중로, 우로로 크...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령(昌寧). 자는 응길(應吉). 호는 경헌(敬軒). 무과를 거쳐 부사를 지낸 조등(曹璒)의 증손이고, 문과에 합격하여 관찰사를 지낸 조한필(曺漢弼)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문과에 합격하여 호조좌랑을 역임한 조언박(曺彦博)이며, 어머니는 윤유(尹瑠)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참판 이식(李拭)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이함형(李咸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 자는 응명(應明). 윤돈(尹暾)의 차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 자는 응성(應聖), 호는 회원(檜圓)이다. 할아버지는 군수(郡守)를 지낸 윤극신(尹克新), 아버지는 홍문관 교리를 지낸 윤엽(尹曄)이다....
-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에 살던 성씨. 조선 초의 개국공신이며 영의정을 역임한 남재(南在)[1351~1419]의 자손이 수정구 태평동 숯골에 세거하였다. 태평동 남씨편은 임진왜란 무렵 의령남씨들이 마을을 이루기 시작하였는데, 광주이씨, 안동권씨, 순흥안씨 등이 사는 마을에 비하여 세도가 컸으므로 남씨들이 모여서 사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숯골의 지명도 조선조 효종...
-
국가가 외침을 받아 위급할 때 국민 스스로 일어나 자위군을 조직하여 이에 대항하는 일. 여기서는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일어난 의병의 활동을 말한다. 정신적인 측면에서 보면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시대까지 성남지역을 포괄한 광주지역은 실학의 진원지로 근기학파(近畿學派)의 개조인 성호 이익(李瀷)을 위시하여 안정복(安鼎福), 정약용(丁若鏞) 등이 학문적 토대를 마련한 곳이다. 광주지역...
-
6.25전쟁 당시 경기도 성남 지역에 있었던 반공 의용 단체. 의사단은 6.25전쟁이 일어나자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북한군과 싸우기 위하여 조직한 단체였으며, 기밀이 탄로나 40명의 단원 중 28명이 희생되고 12명이 생존하였다....
-
의복과 장신구 등을 주요 요소로 하는 인류의 기본생활 우리나라의 의생활이 근대와 만나는 시점은 대체로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甲申衣制改革)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개혁은 전래 옷을 단출하게 만든 것이었지, 완전한 복제(服制)의 변화는 아니었다. 비록 1894년 갑오경장 때 단발령을 내렸지만, 이것이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지는 않았다. 아마도 20세기에 들어와...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평숙(平淑).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후손이다. 정묘호란 때 순절한 충장공(忠狀公) 남이흥(南以興)의 현손이며, 증조는 장악원 첨정(僉正)을 지낸 남두극(南斗極)이고, 증호조참의 남영(南泳)의 손자이다. 의림군(宜林君) 남대(南垈)의 장자이며, 어머니는 윤민행(尹敏行)의 딸 칠원윤씨(漆原尹氏)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문보(文甫), 호는 의재(宜齋). 할아버지는 남공보(南公輔)이고, 아버지는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정3품 당상)을 지낸 남인구(南麟耈)이며, 어머니는 윤상후(尹商厚)의 딸이다....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화중(和仲). 이곤(李坤)의 손자이자 이공승(李公升)의 아들이다. 김문서(金文瑞)의 사위이며,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광주김씨(光州金氏)이다. 경기도관찰사(觀察使)를 지낸 이홍로(李弘老)의 아버지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언신(彦信). 아버지는 문과를 거쳐 참판에 오른 이광식(李光軾)이며, 어머니는 이세응(李世應)의 딸 함안이씨(咸安李氏)이다. 할아버지는 동돈녕(同敦寧) 이지방(李之芳)이다....
-
고려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이강은 철원군 이우의 손자이고, 공민왕 때에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을 지낸 이암(李癌)의 아들이다. 아들 용헌 이원(李原)은 태조·태종·세종대의 문신으로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1401년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으로 철성군(鐵城君)에 봉해졌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이강의 묘. 이강[1551~1585]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이고, 아버지는 태안군(泰安君) 이팽수(李彭壽)이다....
-
임진왜란 당시 상주전투에서 전사한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장원(長源), 호는 반금(伴琴)이다. 이색(李穡)의 9대손이며, 한성군(韓城君) 이질(李秩)의 증손자, 종묘서령(宗廟署令)을 지낸 이지숙(李之菽)의 손자, 예조판서를 역임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오른 의간공(懿簡公) 이증(李增)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이몽원(李夢黿)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경류의 말 무덤. 이경류(李慶流)[1564~1592]는 선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장원(長源), 호는 반금(伴琴)이다. 문렬공 이계전(李季甸)[1404~1459] 6세손이자 아천군 이증(李增)[1525~1600]의 아들이다. 1591년(선조 24) 사마시에 합격하고 병절교위로 있을 때 문과 급제하여 성균관전적을 제수 받았고 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경류(李慶流)의 묘 및 묘갈. 이경류[1564~1592]는 선조대의 문신이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장원(長源), 호는 반금(伴琴)이고 문열공(文烈公) 이계전(李季甸)[1404~1459] 6세손이자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1525~1600]의 아들이다. 평소 지절(志節)이 있었으며 1591년(선조 24)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병...
-
이경류 선생 무덤에 얽힌 이야기 수내동에는 왜군과 싸우다 돌아가신 이경류 선생의 무덤이 있다. 마을 사람들은 선생의 애국정신을 공경하며 이 무덤 앞을 지날 때면 꼭 말에서 내려 걸어 지나가곤 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경류(李慶流)의 묘 및 묘갈. 이경류[1564~1592]는 선조대의 문신이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장원(長源), 호는 반금(伴琴)이고 문열공(文烈公) 이계전(李季甸)[1404~1459] 6세손이자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1525~1600]의 아들이다. 평소 지절(志節)이 있었으며 1591년(선조 24)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병...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은(汝誾), 호는 양촌(陽村). 아버지는 순천부사를 지낸 의정공(議政公) 이통(李通)이며, 할아버지는 이인상(李麟祥)이고, 증조부는 이함(李菡)이다. 양부는 이적(李適)이다. 부인은 정경부인으로 추증된 전주이씨이다. 슬하에 아들 열셋을 두어 후손이 매우 번창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경민의 묘. 이경민[1578~1652]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 자는 여은(汝誾)이다. 순천군수(順天郡守)를 지낸 이통(李通)의 아들이다. 1613년(광해군 5) 진사시에 합격 후 배천(白川) 군수를 지냈으며, 사후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의정공(議政公)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부친은 이희정(李熙廷), 생부는 이보식(李普植)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종친·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다. 정종(定宗)의 열 번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6대손이며, 이수광의 손자이고, 동지중추부사 이유간(李惟侃)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개성고씨로 대호군 고한량의 딸이고, 부인은 류색의 딸이다....
-
조선 중기의 문신 이경석과 관련된 여러 가지 유품들. 백헌(白軒) 이경석[1595~1671]은 인조, 효종, 현종의 3대 50년에 걸쳐 안팎으로 얽힌 난국을 적절하게 주관한 명상(名相)으로, 말년에 관료로서 최고의 영예인 궤장을 하사받고, 각종 교지를 받는 영예를 누렸다....
-
조선 후기 문신인 백헌 이경석(李景奭)이 현종으로부터 하사받은 의자와 지팡이, 그리고 당시의 축하 행사를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화첩. 조선시대에는 나이가 많고 학문이 높으며 덕이 많은 사람에게 궤장을 내려 편안하게 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 유물은 1668년(현종 9) 11월 27일 당시 원로 대신이었던 이경석이 현종으로부터 하사받은 궤(几: 앉아서 팔을 편안히 기대는 도구) 1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백헌(白軒) 이경석의 묘. 이경석[1595~1671]은 인조에서 효종, 현종의 3대에 걸쳐 50여 년 동안 난국을 적절히 헤쳐 나가는데 공헌한 재상이었다. 본관은 전주, 자는 상보(尙輔), 호는 쌍계(雙磎) 또는 백헌(白軒)이다. 아버지는 유간(惟侃)이며 어머니는 개성고씨 대호군 고한량(高漢良)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백헌(白軒) 이경석의 묘. 이경석[1595~1671]은 인조에서 효종, 현종의 3대에 걸쳐 50여 년 동안 난국을 적절히 헤쳐 나가는데 공헌한 재상이었다. 본관은 전주, 자는 상보(尙輔), 호는 쌍계(雙磎) 또는 백헌(白軒)이다. 아버지는 유간(惟侃)이며 어머니는 개성고씨 대호군 고한량(高漢良)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백헌(白軒) 이경석의 묘. 이경석[1595~1671]은 인조에서 효종, 현종의 3대에 걸쳐 50여 년 동안 난국을 적절히 헤쳐 나가는데 공헌한 재상이었다. 본관은 전주, 자는 상보(尙輔), 호는 쌍계(雙磎) 또는 백헌(白軒)이다. 아버지는 유간(惟侃)이며 어머니는 개성고씨 대호군 고한량(高漢良)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도일(道一). 부친은 이희명(李熙命)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이경안의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우(汝愚), 호는 송석(松石)이다. 아버지는 순천군수를 지낸 이통(李通), 조부는 감역을 지낸 이인상(李麟祥) 증조부는 해풍군(海豊君) 이함(李菡)이다. 아버지 이통의 생부는 이원근(李元謹)으로 이인상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경안의 묘. 이경안[1572~1614]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 자는 여우(汝愚), 호는 송석(松石)이다. 순천군수(順天郡守)를 지낸 이통(李通)의 아들이다. 1591년(선조 24)에 진사가 되고, 1605년 별시문과에 급제한 후 예조좌랑, 정언을 거쳐 강서현령, 중화부사, 황해병사를 역임하였다. 그의 시부(詩賦) 작품은 과거시험...
-
1580년(선조 13)~1635년(인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복(汝復), 호는 두곡(杜谷)이다. 이통(李通)의 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이경용(李景容)의 묘. 이경용[1580~1635]의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복(汝復), 호는 두곡(杜谷)으로, 순천군수(順天郡守) 이통(李通)의 아들이다. 1618년(광해군 10) 문과 급제 후 전라도관찰사로 재임 중 사망하였다. 부인 안동권씨는 첨정(僉正) 권질(權耋)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극보(克甫), 호는 정촌(亭村)이다. 화릉군 이수혜(李秀惠)의 손자이고, 인원수(仁原守) 이강(李橿)의 장남이다. 아버지 이강은 자손이 없던 태안군 이팽수의 양아들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이경인의 묘와 묘갈. 이경인[1575~1642]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자는 극보(克甫), 호는 정촌(亭村)이며, 인원수(仁原守) 이강(李橿)의 아들이다. 이경인의 묘소가 위치한 정자동의 명칭은 그가 이곳 탄천 상류에 정자를 짓고 학문에 열중하였다고 하는 정자터(태인정)와 그의 호인 정촌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1610년(광해군 2...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이경인의 묘와 묘갈. 이경인[1575~1642]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자는 극보(克甫), 호는 정촌(亭村)이며, 인원수(仁原守) 이강(李橿)의 아들이다. 이경인의 묘소가 위치한 정자동의 명칭은 그가 이곳 탄천 상류에 정자를 짓고 학문에 열중하였다고 하는 정자터(태인정)와 그의 호인 정촌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1610년(광해군 2...
-
1910~?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노동운동의 세포 조직인 광주공산당협의회에 참여한 인물. 본적은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 924번지이다. 그는 1910년에 출생하였으며 일명 이양재(李良載)로도 불렸으며 1936년에는 시흥군 북면 본동리(本洞里)에 거주하고 있었다. 당시 27세의 나이로 점원으로 활동하면서 사회주의 운동에 적극적이었으며 광주공산당협의회 사건으로 일경에 붙잡혀 수감생...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양원(養源), 호는 만사(晩沙). 한성군 이질(李秩)의 증손자이고, 종묘서령을 지낸 이지숙(李之菽)의 손자이며, 판서 이증(李增)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시직 이몽원(李夢黿)의 딸이고, 부인은 직장 이의충(李義忠)의 딸이다. 이경황의 아들 이선(李䆄)을 양자로 삼았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사(汝思), 호는 지전(芝田)이다. 증좌참찬 이함(李函)의 증손이고, 덕안군 이인상(李麟祥)의 손자이며, 증영의정 이통(李通)의 아들이다. 영의정 시영부원군(始寧府院君) 유전(柳㙉)의 외손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에 있는 이경헌의 묘. 이경헌[1585~1651]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 자는 여사(汝思), 호는 지전(芝田)이다. 덕안군(德安君) 이인상(李麟祥)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순천군수(順天郡守) 이통(李通), 어머니는 영의정 유전(柳琠)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이경화가 이끌고 있는 무용 단체. 우리춤예술원은 전 계원예술고등학교 무용부장이었고 국가무형유산인 살풀이춤과 역시 국가무형유산인 승무 이수자 이경화가 이사장으로 있는 무용 단체로 성남을 비롯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다양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자정(子靜)이며 호는 녹창(鹿窓)이다. 태자첨사공파(太子詹事公派)로 이습홍(李襲洪)의 후손이며, 병조참의,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이인문(李仁文)[1425~1503]의 아들이다....
-
조선 중종대(中宗代)의 문신 이곤(李坤)의 묘. 이곤[1462~1524]은 중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자정(子靜), 호는 녹창(鹿窓)이다. 증이조참의 이근건(李根健)[?~1456]의 손자이자 연안군(延安君) 이인문(李仁文)[1425~1503]의 아들이다. 1492년(성종 23) 문과 급제 후 관직에 진출하였으며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던 조선 중종(中宗)대의 문신 이곤(李坤)의 별묘(別廟). 이곤[1462~1524]은 중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자정(子靜), 호는 녹창(鹿窓)이다. 증이조참의(贈吏曹參議) 이근건(李根健)[?~1456]의 손자이자 연안군(延安君) 이인문(李仁文)[1425~1503]의 아들이다. 1492년(성종 23) 문과급제 후 관직에 진출하였으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조선 전기의 문신 이곤의 사당. 조선 전기의 문신인 이곤(李坤)[1462~1524]을 배향하였던 사당이다. 이곤은 본관은 연안, 자는 자정(子靜), 호는 녹창(鹿窓)이며, 1492년(성종 23) 문과에 급제한 후 중종반정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에 녹훈되었고, 연성군(延城君)에 봉해졌다....
-
조선 중종대(中宗代)의 문신 이곤(李坤)의 묘. 이곤[1462~1524]은 중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자정(子靜), 호는 녹창(鹿窓)이다. 증이조참의 이근건(李根健)[?~1456]의 손자이자 연안군(延安君) 이인문(李仁文)[1425~1503]의 아들이다. 1492년(성종 23) 문과 급제 후 관직에 진출하였으며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곤(李坤)의 아들이며, 경기도관찰사를 지낸 이홍로(李弘老)가 손자이다. 부인은 의인(宜人)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
조선 중종대(中宗代)의 문신 이공승(李公升)의 묘 및 묘갈. 이공승[1501~1533]은 중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수부(秀夫)이며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둘째 아들이다. 관직은 장례원사평(掌隷院司評)을 지냈으나 일찍 요절하였고, 죽은 뒤에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추증(追贈)받았다....
-
조선 중종대(中宗代)의 문신 이공승(李公升)의 묘 및 묘갈. 이공승[1501~1533]은 중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수부(秀夫)이며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둘째 아들이다. 관직은 장례원사평(掌隷院司評)을 지냈으나 일찍 요절하였고, 죽은 뒤에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추증(追贈)받았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습지(習之), 호는 만은(晩隱)이다....
-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대중(大仲). 부친은 장성부사를 지낸 이시징(李蓍徵)으로 통정대부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조부 기상(箕相)은 문과에 급제한 후 병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역시 가선대부 이조참판 오위도총부부총관에 추증되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뢰(聖賴), 호는 관양(冠陽), 존제(尊齋)이다. 이경석(李景奭)의 현손이고, 탕평론을 최초로 주창하였던 박세채(朴世采)의 외손자이며, 대제학 이진망(李眞望)의 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현령을 지낸 이진양(李眞養)이고, 할아버지는 이우성(李羽成)으로 정랑을 지냈고, 증조부는 이철영(李哲英)이며, 고조부는 이경석(李景奭)으로 영의정을 지냈다....
-
1826~1892.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낙예(樂睿). 부친은 이희명(李熙命)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단성현감을 지낸 이언(李偃)의 장남이고, 성남 판교 땅에 사평공파(司平公派)를 열었던 이공승(李公升)의 손자이다....
-
조선 말부터 대한제국 시기에 망경암 칠성대를 중수하고 나라와 왕실의 안녕을 빌었던 종친. 이규승은 조선 말부터 대한제국 시기에 망경암 칠성대를 중수하고 나라와 왕실의 안녕을 빌었던 종친이다. 1897년 망경암 칠성대를 중수하고 암벽에 마애여래좌상과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글을 새겼다. 이듬해에 망경암 칠성대 중수비를 세워 망경암에서 여러해 동안 왕실의 안녕을 기원했던 사실을 새겼다...
-
1895년(고종 32)~192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통제를 구축하고 경찰관서 폭파사건으로 체포되어 옥사한 독립운동가. 1895년 6월 광주에서 출생하였으며 다른 이름으로는 이규상(李揆尙), 이규송(李揆松)으로 불리었다. 1910년 일제 강점으로 인해 부친을 따라 만주로 망명하였다. 1919년 4월 안도현(安圖縣)에서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주도하면서부터 투쟁을 본격화하였다. 이후...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덕여(德與), 호는 이봉(二峯)이다.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서 출생했다. 증좌찬성 이집(李集)의 증손이며, 이지직(李之直)의 손자이다. 증영의정 이인손(李仁孫)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노신(盧信)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경사(經史)를 읽으면 대의를 통하였다고 한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공서(公瑞). 이집(李集)의 증손이며, 이지직(李之直)의 손자이다.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의 조카이며, 의정부사인 이장손(李長孫)의 아들이다. 훈구파의 거두 이극돈의 사촌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방형(邦衡), 호는 오봉(五峯)이다.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서 출생했다. 이집(李集)의 증손이며, 이지직(李之直)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이며, 어머니는 노신(盧信)의 딸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안(子安) · 백온(伯溫), 호는 원봉(圓峯)이다. 이집(李集)의 증손이며, 이지직(李之直)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증예조판서 이예손(李禮孫)이며, 어머니는 박서(朴曙)의 딸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이극기(李克基)의 묘. 이극기[1426~1489]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안(子安) · 백온(伯溫), 호는 원봉(圓峰)이다. 증예조판서 예손(裔孫)의 아들로 1446년(세종 28)에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453년(단종 1) 식년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통신사(通信使)로 일본(日本)에 다녀오기도 하였으며,...
-
조선 전기의 문신 이극기(李克基)의 묘. 이극기[1426~1489]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안(子安) · 백온(伯溫), 호는 원봉(圓峰)이다. 증예조판서 예손(裔孫)의 아들로 1446년(세종 28)에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453년(단종 1) 식년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통신사(通信使)로 일본(日本)에 다녀오기도 하였으며,...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고(士高), 호는 사봉(四峯)이다. 서울 향교동에서 출생했다. 이집(李集)의 증손이며, 이지직(李之直)의 손자이다.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의 넷째아들로, 어머니는 노신(盧信)의 딸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이극돈(李克墩)의 묘. 이극돈[1435년 ~ 1503]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고(士高), 호는 사봉(四峯)이다.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의 넷째 아들로 1457년(세조 3) 서령(署令)으로서 친시문과(親試文科)에 정과(丁科) 급제하였다. 1471년 성종 추대에 가담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으로 광원군(廣遠君)에 봉해졌다. 수차례 명...
-
조선 전기의 문신 이극돈(李克墩)의 묘. 이극돈[1435년 ~ 1503]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사고(士高), 호는 사봉(四峯)이다.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의 넷째 아들로 1457년(세조 3) 서령(署令)으로서 친시문과(親試文科)에 정과(丁科) 급제하였다. 1471년 성종 추대에 가담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 4등으로 광원군(廣遠君)에 봉해졌다. 수차례 명...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겸보(謙甫), 호는 일봉(一峯), 우봉(牛峯), 매월당(梅月堂)이다.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서 출생했다. 이집(李集)의 증손이며, 이지직(李之直)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이며, 어머니는 노신(盧信)의 딸이다. 문경공 허조(許稠)의 문인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경위(景撝), 호는 삼봉(三峯).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서 출생했다. 이집(李集)의 증손이며, 이지직(李之直)의 손자이다고, 충희공(忠僖公) 이인손(李仁孫)의 아들이다....
-
1930년대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면장을 지내며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한 인물. 일제강점기 돌마면 지역의 행정 책임자는 면장이었는데, 1935년부터 1939년까지는 이근학(李根學)[1896~1963]이 제4대 면장으로 재직하였다. 이어서 1940년부터 1941년까지는 면장의 이름이 ‘원산근학(圓山根鶴)’으로 되어 있다. 이는 이근학의 일본 이름으로 보인다. 이렇게 이근학은 돌마면에...
-
조선 전기의 종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고(伯高). 중종의 다섯째 아들로서 어머니는 숙원이씨(淑媛李氏)이며, 부인은 예조판서 권찬(權纘)의 딸로서 영가군부인(永嘉郡夫人)에 봉해졌다. 9세 때에 덕양군(德陽君)으로 봉군되었다. 어머니와 일찍 사별하여 중종의 총애가 특별했으며, 형제인 인종, 명종과도 우애가 돈독하였다....
-
조선 중종(中宗)의 다섯째 왕자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묘. 이기[1524~1581]는 중종의 다섯 째 아들이며 자는 백고(伯高)이다. 어머니인 숙원이씨(淑媛李氏)[사후 종2품 숙의로 추봉]와 일찍 사별하여 숙의김씨(淑儀金氏)의 손에서 자랐으며 1532년(중종27) 아홉 살 때 덕양군에 봉해졌다. 이복형제인 인종(仁宗), 명종(明宗)과 우애가 돈독하였으며 종부시도제조(宗簿寺...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열경(悅卿)이다. 할아버지는 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이며, 아버지는 현감 이지(李至)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군진(君陳). 통정대부 행집의 이후(李厚)의 둘째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인수(仁叟). 이재(李載)의 첫째아들이다....
-
조선 중종(中宗)의 다섯째 왕자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묘. 이기[1524~1581]는 중종의 다섯 째 아들이며 자는 백고(伯高)이다. 어머니인 숙원이씨(淑媛李氏)[사후 종2품 숙의로 추봉]와 일찍 사별하여 숙의김씨(淑儀金氏)의 손에서 자랐으며 1532년(중종27) 아홉 살 때 덕양군에 봉해졌다. 이복형제인 인종(仁宗), 명종(明宗)과 우애가 돈독하였으며 종부시도제조(宗簿寺...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군필(君弼)이다. 이질(李耋)의 둘째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경삼(景參)이다. 이윤항(李閏恒)의 둘째아들이다....
-
고려 후기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에 거주하였던 문신. 이달충(李達衷)[1309~1385]은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인 환조(桓祖)의 친구로서 이성계를 처음 만났을 때 비범한 인물임을 한눈에 알아보았으며, 노년에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炭洞]에 집을 짓고 살았다....
-
고려 후기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에 거주하였던 문신. 이달충(李達衷)[1309~1385]은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인 환조(桓祖)의 친구로서 이성계를 처음 만났을 때 비범한 인물임을 한눈에 알아보았으며, 노년에 지금의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炭洞]에 집을 짓고 살았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자익(子益)이다. 문하시중 이암(李嵒)의 증손이며, 진현관제학 이강(李岡)의 손자이고, 좌의정 이원(李原)의 아들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탁경(擢卿)이다. 중종반정의 정국공신 4등에 녹훈된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첫째아들이다. 부인은 숙인(淑人) 파평윤씨이다....
-
조선 명종대(明宗代)의 문신 이대승(李大升)의 묘. 이대승[1497~1557]은 명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탁경(擢卿)이며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장남이다. 단청찰방(丹靑察訪)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돈령부판관(敦寧府判官)과 군자감첨정(軍資監僉正)을 지냈으며 재령(載寧) 군수에 이르렀다....
-
조선 명종대(明宗代)의 문신 이대승(李大升)의 묘. 이대승[1497~1557]은 명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탁경(擢卿)이며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장남이다. 단청찰방(丹靑察訪)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돈령부판관(敦寧府判官)과 군자감첨정(軍資監僉正)을 지냈으며 재령(載寧) 군수에 이르렀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출신. 자는 계형(季馨). 이택민(李澤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기선(李起先)이고, 아버지는 이몽석(李夢錫)이며, 어머니는 안응창(安應昌)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자이(子彛), 호는 결재(潔齋)이다. 이조참판 이택(李澤)의 손자이며, 증 이조참판 이병겸(李秉謙)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윤상명(尹商明)의 딸 이고, 부인은 홍현보(洪鉉輔)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구이(久而). 좌랑과 목천현감을 지낸 이배(李培)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정진하(鄭振河)의 딸이다. 무과를 거쳐 부사를 지낸 이희인(李喜寅)의 손자. 덕창군(德昌君) 이륙(李稑)의 증손이다. 부인은 원손(元潠)의 딸이며, 정조때 부총관을 지낸 안풍군(安豊君) 이관(李灌)의 아버지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공 이동 도서관. 이동도서관은 도서 봉사를 제공받기 어려운 지역 주민의 생활 주변으로 도서관 자료, 장비, 직원을 차량에 싣고 운반하여 도서관 봉사를 제공하는 이동식 분관 도서관으로 순회문고, 순회도서관, 차량도서관이라고도 한다....
-
1756년(영조 32)~1835년(헌종 1).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출신이다. 자는 성찬(聖贊). 이기서(李蓍瑞)의 손자이고, 증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 이순제(李純濟)의 셋째 아들이다. 무과에 합격하여 오위 부총관을 지낸 이동선(李東善)의 형이다....
-
조선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원(而元). 이기서(李蓍瑞)의 손자이고, 증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 이순제(李純濟)의 넷째 아들이다. 증 호조참판을 지낸 이동복(李東樸)의 동생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원(而元). 이기서(李蓍瑞)의 손자이고, 증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 이순제(李純濟)의 장남이다.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총관을 지낸 이동선(李東善)의 형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 자는 추빈(秋賓). 호는 능호(菱湖). 이경민(李景閔)의 셋째 아들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원근(李元謹)이며, 어머니는 영성군(永城君) 이축의 딸이다. 부인은 김광지(金匡址)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이로(李潞)는 세도가에서 자신들의 선영에 투장(偸葬)한 것을 알면서도 그 후환부터 두려워한 문중 사람들과 달리 용기 있게 효도를 다하고 죽어서 고성 이씨 선영에 묻혔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이로(伊老). 해주오씨 18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오수석(吳遂錫), 어머니는 남양서씨, 청주한씨이다. 할아버지는 선조대에 전라도수군절도사를 지낸 오도홍(吳道弘), 증조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吳達權), 고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서(老西)를 이끈 인물이어서...
-
1609년(광해군 1)~1640년(인조 18). 조선 중기의 인물.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 자는 수유(秀有). 선조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을 역임한 이경안(李景顔)의 셋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김응희(金應禧)의 딸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인상(李麟祥)이다. 부인은 조경기(趙慶起)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자는 대중(大仲). 이여상(李汝相)의 둘째 아들이다. 연안이씨 연성군파에 속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이상, 현실, 창조’이며, 책임을 다하며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 합리적인 사고로 탐구하는 사람, 성실한 자세로 예절을 지키는 사람, 창의적인 사고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람, 조화로운 생활로 심신을 가꾸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훈은 ‘이상, 현실, 창조’이며, 책임을 다하며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 합리적인 사고로 탐구하는 사람, 성실한 자세로 예절을 지키는 사람, 창의적인 사고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람, 조화로운 생활로 심신을 가꾸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과 매송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 상에 건설된 다리로, 총연장 130m, 교폭 31m이며, 축조 형식은 PC슬라브 방식이다. 분당신도시 개발에 따른 탄천 하천 정비사업 과정에서 한국토지공사에서 1993년에 준공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속하는 법정동. 이매동은 성남시 분당구 중심부에서 북쪽에 자리한 법정동으로, 행정동은 이매1동과 이매2동이다. 성남대로, 경부고속도로 판교인터체인지,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 양현로, 탄천로, 지하철 수인분당선 등이 관내의 남북 방향으로 지나고, 지하철 수인분당선 이매역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과거 경기도 광주군에 속했을 때는 돌마면의 중심지로 분당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서 산신(山神)을 위해 행해지던 제의. 이매동은 갓골, 안말, 물방아거리 등 세 개의 자연마을이 모여 동네를 형성하였으며, 이 세 동네가 모여서 이매동 산치성을 지낸다. 모시는 신격은 산신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옛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지역으로 매지봉 밑이 되므로 이무술 또는 이매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이매리가 되었으며, 1971년 경기도 성남출장소에 편입되었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고, 1975년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어 이매, 서현, 야탑의 3개 동을 합하여 이매동의 관할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수인분당선과 경강선 통합 지하철역. 이매역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경강선의 한 역으로 수인분당선인 야탑역과 서현역 사이에 있다. 대한민국 최초로 지하 운행 구간에 중간역 형태로 추가 건설된 역으로 부역명은 ‘성남아트센터’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던 저수지. 이매저수지는 이매동의 갓곳 서남쪽에 있었다. 몽리면적은 22만㎡였으며, 농경지의 농업용수를 주로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이매동의 이름을 따서 ‘이매저수지’라 명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이며, 인성이 좋은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이며, 인성이 좋은 창의적인 글로벌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이로운 삶을 함께 가꾸어 매일 행복한 학교, 교육공동체의 따뜻한 동행으로 동반 성장하는 행복 이매 교육’이다. 함께 배우고 실천하는 감성·조화인, 다름을 존중하고 나누는 창의·융합인, 이로움을 느끼고 베푸는 배려·민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은 ‘이로운 삶을 함께 가꾸어 매일 행복한 학교, 교육공동체의 따뜻한 동행으로 동반 성장하는 행복 이매 교육’이다. 함께 배우고 실천하는 감성·조화인, 다름을 존중하고 나누는 창의·융합인, 이로움을 느끼고 베푸는 배려·민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광주(廣州). 성남시 중원구 대원동 출신. 이극돈(李克墩)의 7세손이다. 호란 때 강계부사로서 안주성에서 순절한 충민공(忠愍公) 이상안(李尙安)의 장남이고, 현감의 지낸 이광국(李匡國)의 손자이다....
-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우문(又文). 호는 몽학(夢鶴). 조선 세종의 다섯 째 왕자인 광평 대군의 후손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 자는 중심(仲深). 호는 북계(北溪). 이종건(李宗健)의 양자이고, 조부는 이강(李杠), 증조부는 이학서(李鶴瑞)이다. 생부는 선조때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정언을 역임한 이경안(李景安)이고, 어머니는 김응희(金應禧)의 딸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인상(李麟祥)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이몽(李蒙)의 묘. 이몽[생몰년 미상]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양성(陽城)이고, 진도군수를 역임하였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출신(옛 광주군 돌마면 여수동). 자는 편경(貵卿). 중군사직(中軍司直)을 지낸 이석곤(李石崑)의 손자이고, 호군(護軍)을 역임한 이식(李植)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영숙(寧叔). 통덕랑 이시노(李蓍老)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김상직(金相稷)의 딸이다. 증좌승지 이기수(李萁壽)의 손자이고, 증조부(曾祖父)는 이재(李栽)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현도(顯道), 호는 세촌(細村)이다. 증조부는 이진(李進), 조부는 이권생(李權生)이며, 감무 이계상(李繼祥)의 아들이다, 김종직(金宗直)의 제자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시 분당 구미동 출신. 이의보(李義輔)의 장남이다. 전의이씨가 구미동에 살게 된 것은 절충장군 부호군 이하조가 17세기 초엽에 정착한 때부터였고, 현재에도 40여 가구의 전의이씨 집성촌이 존재한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출신. 자는 군택(君宅). 이의집(李義集)의 넷째 아들이다. 전의이씨가 구미동에 살게 된 것은 절충장군 부호군 이하조가 17세기 초엽에 정착한 때부터였고, 현재에도 40여 가구의 전의이씨 집성촌이 존재한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과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을 연결하는 고개. 이배재는 성남시 중원구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청량산과 검단산 산줄기를 넘는 고개로, 해발고도 300m상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산업단지에서 광주시 탄벌동으로 이어지는 도로. 이배재로는 성남시에서 광주시로 넘어가는 도로의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성남시에서 광주시를 잇는 길은 북쪽의 산성로, 남쪽의 갈마치고개, 태재고개가 있는데, 갈마치고개를 넘는 갈미치로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서 기존 이배재로의 개선사업은 필요했다. 또 이배재고개 길이 성남산업단지와 연결되어 있어서 교통량은 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과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을 잇는 신이배재로 구간에 설치된 터널. 이배재터널은 중원구 상대원동 순환로 교차 지점에서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까지 이어지는 신이배재로 구간에 설치되어 있다. 기존의 이배재로는 전 구간이 고갯길이었기에 사고 위험이 크고 교통 정체가 심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체 도로로 신이배재로를 신설했다. 신이배재로를 건설할 때 자연 녹지 보...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암(李嵒)의 고손이고, 밀직부사 이강(李岡)의 증손이며,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여강(汝剛), 호는 송호(松湖)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12대손으로 관찰사 이집(李潗)의 아들이다....
-
조선 영조대(英祖代)의 문신 이병건의 묘. 이병건(李秉健)[1696~1742]은 영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여강(汝剛)이다. 병조좌랑 이경류(李慶流)의 현손이자 황해도관찰사 이집(李潗)의 아들이며 정조의 외조부인 익정공(翼靖公) 홍봉한(洪鳳漢)[1713~1778]의 처남이다. 1719년(숙종45)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관직에 나아가 호조정랑(戶曹正郞)을 역임...
-
조선 영조대(英祖代)의 문신 이병건의 묘. 이병건(李秉健)[1696~1742]은 영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여강(汝剛)이다. 병조좌랑 이경류(李慶流)의 현손이자 황해도관찰사 이집(李潗)의 아들이며 정조의 외조부인 익정공(翼靖公) 홍봉한(洪鳳漢)[1713~1778]의 처남이다. 1719년(숙종45)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관직에 나아가 호조정랑(戶曹正郞)을 역임...
-
조선 중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출신. 고려 말 유학자 이색(李穡)의 12대손으로 문과를 거쳐 이조참의를 지낸 이택(李澤)의 장남이자, 군수를 역임한 이정룡(李廷龍)의 손자이다. 부인은 윤상명(尹商命)의 딸이며, 문과에 합격하여 부제학을 역임한 이덕중(李德重)이 아들이다....
-
일제강점기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 지역사회에 기여한 인물. 이병철(李秉哲)[1881~1949]은 1920년 대홍수 때 관개사업으로 중촌보(中村洑)와 탄천보(炭川洑)를 건설하여 풍농에 기여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안정에 기여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유안(幼安), 호는 동산(東山)이다. 이색(李穡)의 후손이며, 진사 이협(李浹)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병태의 묘. 이병태[1688~1733]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 자는 유안(幼安), 호는 동산(東山)이다. 이색(李穡)의 12대손이며, 진사 이협(李浹)의 아들이다. 1715년(숙종 41) 진사시에 합격하고, 1723년(경종 3)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홍문관부제학지제교 겸 경연참찬관대사성 등을 지냈다. 17...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병태의 묘. 이병태[1688~1733]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 자는 유안(幼安), 호는 동산(東山)이다. 이색(李穡)의 12대손이며, 진사 이협(李浹)의 아들이다. 1715년(숙종 41) 진사시에 합격하고, 1723년(경종 3)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홍문관부제학지제교 겸 경연참찬관대사성 등을 지냈다. 17...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보(頤甫)이다. 아버지는 정랑을 지낸 이우성(李羽成), 할아버지는 이철영(李哲英)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경석(李景奭)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문백(文伯). 이수형(李隧亨)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 이희정(李喜禎)의 장남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계반(季反).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으로 판서를 역임한 이축(李軸)의 둘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최희경(崔希慶)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극포수(克浦守) 이희남(李希男). 증조부는 헌양정(獻陽正) 이사(李嗣)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으로 판서를 역임한 이축(李軸)의 둘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최희경(崔希慶)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극포수(克浦守) 이희남(李希男). 증조부는 헌양정(獻陽正) 이사(李嗣)이다. 병자호란 때 공신에 책봉되고 청백리에 오른 이자(李澬)의 아버지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이사치(李思恥)의 묘. 이사치는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양성(陽城)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한산(韓山)이씨. 자는 자정(子靜), 아버지는 호조정랑, 지례현감을 지낸 이병건(李秉健)이고 조부는 황해도관찰사 이집(李潗)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산중(李山重)의 묘. 이산중[1717~1775]은 영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자정(子靜)이다.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의 5세손이자 호조정랑(戶曹正郞) 이병건(李秉健)의 아들이며, 노론(老論) 사대신(四大臣)의 한 사람인 우의정 조태채(趙泰采)의 손녀사위이다. 관직은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역임하였으며 죽은 뒤에 이조판서에...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정이(靜而). 아버지는 충의위(忠義衛) 이광록(李匡祿)이며, 어머니는 권적(權適)의 딸이다. 큰아버지 이광국(李匡國)에게 입양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이상안(李尙安)의 묘. 이상안[1575~1627]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정이(靜而)이다. 아버지는 충의위(忠義衛) 이광록(李匡祿)이며, 어머니는 권적(權適)의 딸이다. 큰아버지 이광국(李匡國)에게 입양되었다. 1603년(선조 36) 식년무과(式年武科)에 급제하고 이듬해 선전관(宣傳官)이 되었으며 1615년(광해군 7...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이상항(李相項)의 묘. 이상항[생몰년 미상]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전라도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를 지낸 것 외에는 약력이 자세하지 않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초명은 이헌(李獻)이며 자는 자휴(子休)이다. 이여필(李汝弼)의 장남이며 조부는 이흔(李昕), 증조부는 이덕노(李德老)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이석명(李錫命)의 묘.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석명[생몰년 미상]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성종의 12번째 아들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후손으로 선무랑(宣務郞)을 역임하였다....
-
1860년(철종 11)~1921년. 제국주의 침탈의 위험성을 직시하여 국권침탈조약 반대운동을 전개한 인물. 1860년 10월에 광주군(廣州郡) 대왕면(大旺面) 자곡리(紫谷里)에서 태어났다. 1905년 11월 일제가 무력으로 고종과 대신들을 위협하여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고 국권을 박탈하자, 일본 특파대사 이등박문(伊藤博文)에게 을사조약의 파기를 촉구하는 공한을 보냈다. 1907년...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양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옥(仲玉). 안악군수 이여주(李汝舟)의 둘째 아들이고 조부는 이승원(李承元)이다. 부친이 출계(出系)한 것이라서 생조부는 이승원의 동생 이승업(李承業)이다. 모친은 평산신씨로 외조는 문정랑(文正郞) 신칙(申恜)이며 처가는 진주(晋州)유씨로 처부는 첨지중추부사 유자(柳玼)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 자는 명보(明甫)이다. 평창군수, 증좌승지인 이숙(李俶)의 손자이고, 증이조참판 이순신(李純臣)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에 있는 이성의 묘. 이성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565(명종 20)~1626(인조 4)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명보(明甫)로, 증이조참판(贈吏曹參判) 이순신(李純臣)의 아들이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난을 일으켜 한성에 입성하자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扈從)한 공으로 광주부윤(廣州府尹)에 제수되었으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산운동에 있는 이성의 묘. 이성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565(명종 20)~1626(인조 4)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명보(明甫)로, 증이조참판(贈吏曹參判) 이순신(李純臣)의 아들이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난을 일으켜 한성에 입성하자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扈從)한 공으로 광주부윤(廣州府尹)에 제수되었으나...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중장(仲章), 아버지는 대사헌 이감(李戡), 조부는 참판 이광식(李光軾)이다....
-
조선 전기 무신 이세륜(李世綸)의 묘. 이세륜[생몰년 미상]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경(仲經)이다. 아버지는 이극돈(李克墩)이고, 여덟 형제 중 넷째이다. 무과에 올라 병조참의 훈련원도정에 오르고 이조판서(吏曺判書)에 증직되었다. 배위 정부인 전주최씨는 군수 최이(崔儞)의 딸이다.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은 이수훤(李秀萱)이며, 차남은 이수란(李...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권(仲權). 참의 이지직(李之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이고, 아버지는 좌찬성(左贊成) 이극돈(李克墩)이며, 어머니는 예조참판 권지(權至)의 딸이며, 부인은 예천군(蘂川君) 이청(李蒐)[효령대군 증손]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이세정(李世貞)의 묘. 이세정(李世貞)[1461~1522]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권(仲權)이다. 이극돈(李克墩)의 셋째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관직에 나아가 와서별제(瓦署別提),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하고 충훈부경력(忠勳府經歷)으로 재직 중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式年文科)에 4등으로 급제...
-
조선 전기의 문신 이세정(李世貞)의 묘. 이세정(李世貞)[1461~1522]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권(仲權)이다. 이극돈(李克墩)의 셋째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관직에 나아가 와서별제(瓦署別提),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하고 충훈부경력(忠勳府經歷)으로 재직 중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式年文科)에 4등으로 급제...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가홍(可弘) 또는 가용(可容)이다. 광천군(廣川君) 이극증(李克增)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자는 군실(君實), 호는 쌍백당(雙栢堂), 칠정(七井)이다. 병조정랑 계록(繼祿)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통덕랑 이재(以載)이다. 큰아버지 장릉참봉 희재(熙載)의 양자로 들어갔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명원(明遠), 중종(中宗)의 증손,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손자,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아들이다. 외조부는 광주목사 박간(朴諫)이고, 사도시첨정(司導寺僉正) 정인수(鄭撛壽)가 장인이다. 예에 따라 구천군(龜川君)이 되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취이(就而), 호는 송애(松崖)이다. 성종의 아들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7대손이며, 사평(司評) 이정흥(李鼎興)의 아들이다. 부인은 숙인 나주정씨이고 슬하에 1남을 두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충숙공 이수(李晬)의 묘. 이수[1569~1645]는 인조대의 종친(宗親)으로 자는 명원(明遠)이며, 시호(諡號)는 충숙(忠肅)이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의 손자이자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1538~1611]의 아들이다. 학문이 뛰어나 1583년(선조 16) 15세의 나이로 부정(副正)에 봉...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춘경(春卿), 부친은 첨지중추부사 이세걸(李世傑), 조부는 형조판서 이극감(李克堪), 증조부는 우의정 이인손(李仁孫)이다. 모친은 훈련원참군(訓練院參軍) 전수온(全守溫)의 딸이다. 부인은 완산유씨(完山柳氏)로 산음현감(山陰縣監) 유진(柳軫)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시숙(時叔), 이조참판 이식(李拭)의 둘째 아들이다. 조부는 대사헌 이승상(李承常), 외조는 조언박(曹彦博)이다....
-
조선 전기의 무신 이수훤(李秀萱)의 묘. 이수훤[?~1554]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방(子芳)이다. 이세륜(李世綸)의 장자로 무인이면서도 학문이 높아 한성부판윤을 역임하고 많은 치적을 남겼다. 그의 아들은 전라도와 평안도의 병마절도사를 두루 역임하고 죽은 뒤에 영의정에 추증된 이윤덕(李潤德)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기중(起中). 재령 교수를 역임한 이공승(李公升)의 2남이자 증 예조판서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손자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학이(學而). 중종의 다섯 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현손(玄孫)으로, 봉산군(蓬山君) 이형신(李烱信)의 1남이고, 어머니는 한득일(韓得一)의 딸이다. 조부는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이고, 증조부는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이다. 부인은 여산송씨(礪山宋氏)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중종 때 중군사직(中軍司直)을 지낸 이석곤(李石崑)의 후손이다. 무반 종6품 여절교위(勵節校尉)를 지낸 이원로(李元老)의 아들이고, 조부는 이령(李彾), 증조부는 이청신(李淸臣)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숙의 묘. 이숙[1621~1680]은 숙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학이(學而)이다. 중종의 다섯째 왕자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의 현손이자 봉산군(蓬山君) 이형신(李炯信)[1603~1682]의 아들이다. 음서(蔭敍)로 관직에 나아가 충좌위(忠佐衛)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으며, 한때 인선왕후(仁宣王后)...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숙의 묘. 이숙[1621~1680]은 숙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학이(學而)이다. 중종의 다섯째 왕자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의 현손이자 봉산군(蓬山君) 이형신(李炯信)[1603~1682]의 아들이다. 음서(蔭敍)로 관직에 나아가 충좌위(忠佐衛)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하였으며, 한때 인선왕후(仁宣王后)...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순림 무용가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무용 단체. 이순림은 1974년 1월 정금란 문하에 입문하여 국립국악원 무용단을 거쳐 1982년 대학을 졸업하고, 김천흥에게서 궁중무용을, 강선영에게서는 태평무를 이수하였다. 성남에 중앙무용학원을 개설한 이래 매년 정기 공연 및 봉사 공연을 하였으며, 1994년 이순림무용단 창단 이후 지금까지 계속적인 무용 활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순림 무용가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무용 단체. 이순림은 1974년 1월 정금란 문하에 입문하여 국립국악원 무용단을 거쳐 1982년 대학을 졸업하고, 김천흥에게서 궁중무용을, 강선영에게서는 태평무를 이수하였다. 성남에 중앙무용학원을 개설한 이래 매년 정기 공연 및 봉사 공연을 하였으며, 1994년 이순림무용단 창단 이후 지금까지 계속적인 무용 활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순림 무용가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무용 단체. 이순림은 1974년 1월 정금란 문하에 입문하여 국립국악원 무용단을 거쳐 1982년 대학을 졸업하고, 김천흥에게서 궁중무용을, 강선영에게서는 태평무를 이수하였다. 성남에 중앙무용학원을 개설한 이래 매년 정기 공연 및 봉사 공연을 하였으며, 1994년 이순림무용단 창단 이후 지금까지 계속적인 무용 활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순림 무용가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무용 단체. 이순림은 1974년 1월 정금란 문하에 입문하여 국립국악원 무용단을 거쳐 1982년 대학을 졸업하고, 김천흥에게서 궁중무용을, 강선영에게서는 태평무를 이수하였다. 성남에 중앙무용학원을 개설한 이래 매년 정기 공연 및 봉사 공연을 하였으며, 1994년 이순림무용단 창단 이후 지금까지 계속적인 무용 활동...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순림 무용가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무용 단체. 이순림은 1974년 1월 정금란 문하에 입문하여 국립국악원 무용단을 거쳐 1982년 대학을 졸업하고, 김천흥에게서 궁중무용을, 강선영에게서는 태평무를 이수하였다. 성남에 중앙무용학원을 개설한 이래 매년 정기 공연 및 봉사 공연을 하였으며, 1994년 이순림무용단 창단 이후 지금까지 계속적인 무용 활동...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양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언일(彦一), 평창군수 이숙(李俶)의 둘째 아들, 조부는 재령군수 이대승(李大升), 증조부는 정국공신이며 예조참의, 장예원판결사를 역임한 이곤(李坤)이다. 모친은 양천 허씨이며 외조부는 제양군(濟陽君) 허순(許淳)이다. 부인은 평창노씨로 인의(引儀) 노경운(盧景雲)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여화(汝華). 중종의 다섯 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崎)의 8세손이다. 이시서(李蓍瑞)의 넷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유선익(柳善翊)의 딸이다. 판서를 역임한 간헌공(簡憲公) 이기익(李箕翊)의 손자이고, 호조참판을 지낸 장정공(莊靖公) 이무(李堥)의 증손이다. 나란히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의 전주 이씨 덕양군파 참판공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순제 관련 고문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모여 살았던 전주 이씨 덕양군파에서 최초로 정착한 사람은 중종의 다섯째 아들 이기(李岐)[1524~1581]이다. 덕양군 이기의 참판공 8대손이 이순제(李舜濟)[1721~1784]이다. 참판공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순제 고문서는 시장(諡狀), 교지...
-
1390년(공양왕 2)~1446년(세종 28). 조선왕조의 종실(宗室) 익안대군의 차남이며 어머니는 부부인(府夫人) 이씨이다. 소리수(小利守) 이극문(李克文), 동평수(東平守) 이극명(李克明), 다경정(多慶正) 이유강(李有康) 등 3남과 1녀를 두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증 통정대부(通政大夫) 이국노(李國老)의 다섯째 아들. 단성현감을 지낸 이언(李偃)의 손자이고, 증 승정원 좌승지 이공승(李公升)의 증손이자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현손이다. 연안이씨 연성군파에 속한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자는 몽경(夢卿). 돈령(敦寧) 교위(校尉)를 지낸 이대로(李大老)의 장남. 고성군수를 역임하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간(李侃)의 손자이고, 증 승정원 좌승지 이공승(李公升)의 증손이자 연성군(延城君) 이곤(坤)의 현손이다. 연안이씨 연성군파에 속한다....
-
조선 전기의 인물.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자는 선경(善卿). 문과에 급제하여 경기관찰사를 역임한 이홍로(李弘老)의 장남이다. 고성군수를 역임하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간(李侃)의 손자이고, 증 승정원 좌승지 이공승(李公升)의 증손이자 연성군(延城君) 이곤(坤)의 현손이다. 연안이씨 연성군파에 속한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연안(延安).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출신. 자는 윤경(允卿). 돈령(敦寧) 교위(校尉)를 지낸 이대로(李大老)의 장남이다. 고성군수를 역임하고 이조참판에 증직된 이간(李侃)의 손자이고, 증 승정원 좌승지 이공승(李公升)의 증손이자 연성군(延城君) 이곤(坤)의 현손이다. 이승설(李承說)의 동생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국노(國老). 증 통정대부 좌승지 이기수(李箕壽)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홍덕이(洪德彛)의 딸이다. 용안현감을 지낸 이재(李栽)의 손자이자, 중종의 다섯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증손인 봉래군(蓬萊君) 이경윤(李烱胤)의 증손이다. 부인은 김상직(金相稷)의 딸이다. 아들 이문제(李文濟)가...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수연(秀衍). 호는 좌은(坐隱)이다. 문과에 합격하여 병조좌랑을 역임한 이기상(李箕相)의 넷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윤유진(尹惟晉)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지(李至)이고, 중종의 다섯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증손인 봉래군(蓬萊君) 이경윤(李烱胤)의 증손이다. 부인은 김우량...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길보(吉甫). 판서를 역임한 간헌공(簡憲公) 이기익(李箕翊)의 둘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최상익(崔尙翼)의 딸이다. 호조참판을 지낸 장정공(莊靖公) 이무(李堥)의 손자이다. 중종의 다섯째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증손인 봉래군(蓬萊君) 이경윤(李烱胤)의 증손이다....
-
1591년(선조 24)~1639년(인조 17). 종실(宗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화가(化加)이고, 호는 서호(西湖)이다. 복성군의 현손 이용순의 아들이다. 부인은 숙인 영월신씨로 참판 신경진(申慶晋)의 딸이다. 슬하에 익권(翊拳)·석권(碩拳) 2남을 두었다...
-
1900~? 일제의 부역과 세금 수탈에 반대하여 대왕면의 만세시위를 주도한 독립운동가. 광주군 돌마면 여수리가 본적인 이시종은 1900년 6월 11일에 대왕면 수서리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농업에 종사하던 중 19세의 나이로 송파시위에 참가한 후 자극을 받아 대왕면에서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다. 헌병주재소에 연행된 뒤 일제에 의해 징역 1년형에 처해져 수감생활을 하였으며 1920...
-
조선 후기 성남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명노(明老), 호는 둔곡(遁谷)이다. 아버지는 통훈대부(通訓大夫) 사도시(司䆃寺) 전행직장(前行直長) 이기상(李箕相)이고, 어머니는 윤유보(尹惟普)의 딸이다. 부인은 숙부인 한양조씨[1652~1722]로 교리 조비(趙備)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길(士吉). 출신지는 한양. 할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낸 이돈(李墩)이며, 아버지는 이기보(李箕輔)이고, 어머니는 박원도(朴元度)의 딸이다. 부인은 조상우(趙相愚)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호(士豪). 아버지는 선무랑(宣務郞) 이석명(李錫命)이고, 어머니는 임효원(任孝遠)의 딸이다. 부인은 원진해(元振海)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청지(淸之), 호는 손암(損菴)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5대손으로, 장양도정 주(長陽都正 儔)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남원부사 이승상(李承常)이며, 어머니는 민관(閔寬)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흠중(欽仲). 한양 출신으로 효령대군 이보(李𥙷)의 후손이며, 예빈시별좌 이호(李浩)의 손자이다. 홍주현감 이언사(李彦師)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감역(監役) 희숙(希淑)의 딸이다. 배위는 원주변씨 사과(司果) 극성(克誠) 딸과, 광주김씨 김경태(金景泰)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몽득(夢淂)이다. 한양 출신이다. 조부는 참판을 지낸 이행진(李行進)이고, 아버지는 통덕랑 이만상(李萬相)이며, 어머니는 박영선(朴榮先)의 딸이다. 부인은 구기(具錡)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20공신과 그 자손들이 숙종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회맹문 등을 적은 축. 이십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는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으로 재집권한 서인이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에 파훈(罷勳)된 5명의 공신을 복훈(復勳)한 것을 계기로 제작된 것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20공신과 그 자손들이 인조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회맹문(會盟文) 등을 적은 축. 이십공신회맹축-영국공신녹훈후는 어람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1646년(인조 24) 9월에 영국공신(寧國功臣)을 녹훈(錄勳)한 것을 계기로 국왕이 개국공신으로부터 영국공신에 이르는 20공신과 그 자손들을 거느리고 임금에게 충성을 맹...
-
소년 구보는 스무살 청년이 되었다. 그 무렵 구보는 건축 공사장 야방 일을 시작했다. 야방은 공사장의 밤 경비 일이었다. 물론 낮에는 잡일이나 허드렛일도 거들어 주어야 했다. 그렇게 집짓는 현장을 한 곳 두 곳, 한 동 두 동 쫓아다니며 건축 일을 배웠다. 눈썰미가 좋은 구보는 그런대로 건축 일을 익혀갔다. 그때쯤 구보의 어머니는 집을 새로 짓기로 했고, 구보는 몇 년간 건축 일을...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지식인 단체. 사단법인 21세기분당포럼은 사회 전반에 관련된 주제들에 대해서 명사들을 초청하여 토론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전문가 집단으로 각종 정치 토론회 개최와 회원 친목 및 학문 교류를 위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합창단. 1996년 성남시에 거주하는 남녀 직장인 및 대학생, 전공자들로 이루어진 단체로 합창 문화 예술 창조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며, 합창 음악을 통하여 21세기 주역인 청소년들의 꿈과 미래를 성숙시켜주며, 시민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하여 결성되었다....
-
조선시대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징보(澄甫). 호는 이안당(易安堂). 광해군 때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지남(金止南)의 계자(系子 : 양자)이며, 어머니는 오경민(吳景閔)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진사를 지낸 김양(金讓)이고, 그의 처부는 최일원(崔一源)이다....
-
고려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고운(古雲), 호는 행촌(杏村)이다. 판밀직사사 감찰대부 세자원빈(判密直司事監察大夫世子元賓)인 이존비(李尊庇)의 손자이며, 철원군(鐵原君) 이우(李瑀)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박지량(朴之亮)의 딸이고, 부인은 우대언 홍승서(洪承緖)의 딸이다....
-
1585년(선조 18)~?. 조선 중기의 종실. 본관은 전주. 자는 자현(子賢), 운산군(雲山君)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이양정의 묘. 이양정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양성(陽城)이다. 진도군수 이몽(李蒙)의 아들로 상호군(上護軍)을 역임하였다. 배위(配位)는 숙인(淑人) 진주정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양세(楊勢)이다. 이광원(李匡元)의 손자이며, 생부는 이광주(李匡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참판 이식(李拭)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이함형(李咸亨)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운방(雲房)이다. 효령대군 이보(李𥙷)의 후손이고, 장제부정(長堤副正) 이원손(李源孫)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예빈시별좌(禮賓寺別坐) 이호(李浩)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명(仲明). 이자(李澬)의 둘째아들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계원(季元)이다. 할아버지는 전성군(全城君) 이변(李忭)이며, 아버지는 광천군(廣川君) 이수린(李壽麟)이고, 어머니는 파평윤씨로 윤엽(尹燁)의 딸이다. 부인은 남준원(南俊元)의 딸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경임(景任). 아버지는 돈녕부(敦寧府) 동지사(同知事)를 지낸 이윤덕(李潤德)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구만(九萬)이다.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이승석(李承奭)이고, 어머니는 의령남씨(宜寧南氏)이다. 부인은 밀양박씨(密陽朴氏)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제이(濟而)다. 생부는 이승업(李承業)이었으나 백부 증사복시정(贈司僕寺正) 이승원(李承元)에게 양자되었다. 생모는 수원최씨(水原崔氏)로 참판 최경숙(崔慶淑)의 딸이고, 어머니는 평산신씨(平山申氏)로 수사(水使) 신충일(申忠一)의 딸이다. 부인은 평산신씨로 정랑 신칙(申恜)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이자상(李子常)이다. 아버지는 증승지(贈承旨) 이승윤(李承尹)이고, 어머니는 풍천임씨(豊州任氏)로 임영노(任榮老)의 딸이다. 초배는 한양조씨(漢陽趙氏)로 병사(兵使) 조의(趙誼)의 딸이며, 계배는 양천허씨(陽川許氏)로 주부(主簿) 허혜(許譓)의 딸이다. 아버지 허승윤(許承尹)[1571-1592]이 임진왜란 당시 백의로 호종하...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백옥(伯玉)이다.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완성군(完城君)에 봉해졌던 이백유(李伯由)의 7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선공감역 이몽석(李夢錫)이고 할아버지는 무주현감 이예(李藝)이다. 아버지는 호군(護軍)을 지낸 이청신(李清臣)이며 어머니는 안동인 선무랑 김상(金鏛)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정중(精仲)이다. 증조부는 직예문관사를 지낸 사암공(思菴公) 이지(李墀)이다. 할아버지 이이(李峓)는 음직(蔭職)[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으로 사복시정을 지냈다. 아버지는 음직으로 경상도 단성(丹城)현감을 지낸 이황(李滉)이다. 부인은 남원양씨 판관(判官) 양윤원(梁允元)의 딸이며 눌재 양성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 자는 언윤(彦潤)이며 호는 남고(南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음직(蔭職: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맡은 벼슬)으로 사복시정을 지낸 이이(李峓)이며, 할아버지는 음직으로 단성현감을 지낸 이황(李滉)이다. 아버지는 참봉 이염(李Ꜿ)이고 어머니는 남원인 판관 양윤원(梁允元)의 딸이며, 이들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파평윤씨 참봉...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자는 희성(希聖)이다. 고려말의 문신이었던 둔촌(遁村) 이집(李集)이 5대조가 된다. 증조할아버지는 황해감사 이예손(李禮孫)이고 할아버지는 통례원 좌통례인 이극견(李克堅)이다.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이람(李擥)이며 어머니는 전주인 목사 이승원(李承元)의 딸이다. 외조부 이승원은 호령대군의 현손이다. 부인은 사직서령을 지낸 평산인 신수(申授)...
-
조선 전기의 문신 이영현(李英賢)의 묘. 이영현[1507~1572]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희성(希聖)이다. 관찰사 이예손(李禮孫)의 증손이며 증참판 이람(李擥)의 아들이다. 1525년(중종 20)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537년(중종 32) 문과별시(文科別試)에 급제하여 한림(翰林)에 제수되었고, 이어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1545년(인종 1)...
-
조선 전기 성남에서 활약한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계윤(季胤) 증조할아버지는 광주 향리인 이당(李唐)이며 할아버지는 고려 말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둔촌(遁村) 이집(李集)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이예손(李禮孫)의 묘. 이예손[?~1459]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계윤(季胤)이다. 참의(參議) 이지직(李之直)의 아들로 1434년(세종 16)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여 사간원 우정언(司諫院 右正言)에 제수되었고, 이어 여러 관직을 거쳤다. 1457년(세조 3)에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제수 받고 황해도관...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자문(子文)이다. 조선 개국원종공신인 이구직(李丘直)의 증손이며 관찰사 이정간(李貞幹)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한성윤을 지낸 이사관(李士寬)이고 어머니는 청주인 영의정 한상경(韓尙敬)의 딸로서, 이들 사이에서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 있는 이예장의 묘. 이예장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06년(태종 6)~1456년(세조 2)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자문(子文)으로,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의 아들이다. 1432년(세종 14) 진사시에 합격한 뒤 검열이 되고, 1448년 안숭선(安崇善)의 옥사로 장류(杖流) 되었다가 뒤에 풀려났다. 145...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 있는 이예장의 묘. 이예장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06년(태종 6)~1456년(세조 2)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자문(子文)으로,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의 아들이다. 1432년(세종 14) 진사시에 합격한 뒤 검열이 되고, 1448년 안숭선(安崇善)의 옥사로 장류(杖流) 되었다가 뒤에 풀려났다. 145...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증조할아버지는 춘천부사 이속(李續)이고 할아버지는 성균관 생원 이근건(李根健)이다. 아버지는 병조참의를 지낸 이인문(李仁文)이며 어머니는 좌부솔(左副率) 전의 이장효(李長孝)의 딸이고, 이들 사이에서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부안김씨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오의 묘. 이오(李澳)[1659~1720]는 숙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첨백(瞻伯)이다.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의 현손이자 김제군수 이정룡(李廷龍)의 아들이며, 영의정 홍명하(洪命夏)의 손녀사위이다. 사마시에 합격하고 벼슬에 나아가 영양군수와 부평부사를 역임하였다....
-
조선 전기의 종실이자 무신. 본관은 전주. 할아버지는 태종의 둘째아들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이다. 아버지는 효령대군의 둘째아들인 서원군(瑞原君) 이재(李𡩁)이고, 어머니는 의령군부인(宜寧君夫人)이자 경상감사 경주인 이희(李暿)의 딸이고, 이들 사이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목사를 지낸 무송인(茂松人) 윤자영(尹子濚)의 딸이다....
-
1858년(철종 9)~1926년. 조선말기 문신. 친일파. 본관은 우봉(牛峰).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백현리(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출신. 자는 경덕(敬德), 호는 일당(一堂)이다. 이석준(李奭俊)의 아들이며 판중추부사 이호준(李鎬俊)의 양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있는 이완용의 생가. 이완용[1858~1926]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대표적인 친일파 관료이다.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경덕(敬德), 호는 일당(一堂)이다. 지금의 성남시 백현동 출신으로, 아버지는 이석준(李奭俊)이며, 판중추부사 이호준(李鎬俊)의 양자이다. 1882년(고종 19) 증광별시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1886년 육영공원...
-
개항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의. 이교헌(李敎獻)의 양자이다. 생부는 이교영(李敎英)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위치한 근린공원. 이왕이공원은 도촌천 산책로와 도촌동 섬마을휴먼시아아파트 7단지, 8단지, 9단지에 둘러싸여 있으며 , 공원 면적은 11,386.5㎡㎡이다....
-
1948년에서 1952년까지 돌마면사무소 면장을 역임한 인물 1906년에 돌마면은 여수동, 하탑리, 상탑리, 이매동, 분당리, 수내촌 등 15개 동리를 관할하였다. 일제 강점기인 1929년 이매리에 돌마면사무소가 신축하였고 이갑규에 이어 1930년에는 이택규가 돌마면장에 임명되어 행정을 관장하였다. 1930년대 면장은 관제 자치기구를 육성하여 매판적 동맹자를 구축하는 한편 혁명적...
-
일제강점기에 독립 운동을 했고 현대에 경기도 성남시에서 예술 활동을 한 독립 운동가이자 시인. 1924년 서울에서 출생한 이용상은 1942년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 재학 중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3개월만에 석방되었다. 1943년 9월 경기도 경찰부에 다시 체포돼 일본군 입대를 강요당했고 결국 1944년 1월 학도병으로 강제 입대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이고 자는 성빈(聖賓)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이경증(李景曾)이고 할아버지는 대사간 이혜(李嵆)이다. 아버지는 옥천군수를 지낸 이희함(李喜涵)이고 어머니는 군수를 지낸 창원 황진검(黃鎭檢)의 딸이다. 부인은 목사를 지낸 전주 최창연(崔昌演)의 딸이고 둘째 부인은 직장 광산 김은중(金殷重)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우 묘 및 묘갈 이우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97년(숙종 23)~1767년(영조 43)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덕수, 자는 성빈(聖賓)으로, 증이조참판 이희함(李喜涵)의 아들이다. 1723년(경종 3) 생원이 되고 1751년(영조 27) 국제장원(菊製壯元)으로 급제하고 이듬해 정시급제하였으며 병조참판을 역임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에 있는 사립 대안 학교.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사는 삶의 실천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다. 1학년은 더불어사는 능력, 2학년은 사회와 나, 3학년은 공적인 가치를 실천하고 새로운 배움의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에 있는 사립 대안 학교.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사는 삶의 실천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다. 1학년은 더불어사는 능력, 2학년은 사회와 나, 3학년은 공적인 가치를 실천하고 새로운 배움의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우 묘 및 묘갈 이우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97년(숙종 23)~1767년(영조 43)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덕수, 자는 성빈(聖賓)으로, 증이조참판 이희함(李喜涵)의 아들이다. 1723년(경종 3) 생원이 되고 1751년(영조 27) 국제장원(菊製壯元)으로 급제하고 이듬해 정시급제하였으며 병조참판을 역임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에 있는 사립 대안 학교. 이우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21세기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이우중학교에서 키우는 인재상은 첫째, 인간을 존중하고 생명과 환경을 소중히 여기며, 남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상생의 지혜를 갖춘 사람이다. 둘째, 스스로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나가는 자주적이고 자율적인 사람이다. 셋째, 기존 통념이나 지식에서 더 나아가 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에 있는 사립 대안 학교. 이우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21세기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이우중학교에서 키우는 인재상은 첫째, 인간을 존중하고 생명과 환경을 소중히 여기며, 남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상생의 지혜를 갖춘 사람이다. 둘째, 스스로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나가는 자주적이고 자율적인 사람이다. 셋째, 기존 통념이나 지식에서 더 나아가 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에 있는 사립 대안 학교. 이우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21세기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이우중학교에서 키우는 인재상은 첫째, 인간을 존중하고 생명과 환경을 소중히 여기며, 남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상생의 지혜를 갖춘 사람이다. 둘째, 스스로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나가는 자주적이고 자율적인 사람이다. 셋째, 기존 통념이나 지식에서 더 나아가 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이운의 묘. 이운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양성(陽城)이다. 수군첨제사 이윤종(李潤終)의 아들이며, 선략장군(宣略將軍)을 역임하였다....
-
고려 말·조선 초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차산(次山), 호는 용헌(容軒)이다. 고려 말 서법의 일가를 이룬 행촌(杏村) 이암(李嵒)의 손자이고, 밀직부사 이강(李岡)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판개성부사 곽연준(郭延俊)의 딸이고, 부인은 처음에 허금(許錦)의 딸이었고 둘째 부인은 최정지(崔丁智)의 딸이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세조의 정권획득과정에 적극 협조하였던 문신 이계전(李季甸)의 5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봉화현감을 지낸 이장윤(李長潤)이고 할아버지는 문음(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으로 부사에 오른 이질(李秩)이다. 아버지는 종묘서령(宗廟署令)인 이지숙(李之菽)이고 어머니는 선산인 진사 김필신(金弼臣)의 딸이다. 부인은 청풍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원(李垣)의 묘. 이원[1522~1550]은 명종(明宗)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대사성(大司成) 이우(李堣)의 현손이자 한평군(韓平君) 이지숙(李之菽)의 아들이며,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의 형이다. 음보로 관직에 출사하여 종친부전부(宗親府典簿)를 역임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개국공신인 완성군(完城君) 이백유(李伯由)의 8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무주현감 이예(李藝)이고 할아버지는 호군 이청신(李清臣)이다. 아버지는 회인(懷仁)현감을 지낸 이간(李衎)이며 어머니는 참봉을 지낸 죽산인 박수원(朴壽遠)의 딸이다. 부인은 절충장군 예안 이몽룡(李夢龍)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완성군(完城君) 이백유(李伯由)의 8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무주현감 이예(李藝)이고 할아버지는 호군 이청신(李清臣)이다. 아버지는 훈련원 봉사를 지낸 이연(李衍)이고 어머니는 목사를 지낸 청송인 이성춘(李成春)의 딸이다. 부인은 영산인 이종괄(李宗适)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백인(伯仁)이다. 선조 때에 무과에 등제한 8대조 이종훈(李從訓) 이래로 그의 집안은 무반가를 형성하였다. 증조할아버지는 선략장군(宣略將軍) 이의집(李義集)이고 할아버지는 남병사(南兵使) 이방좌(李邦佐)이다. 아버지는 삼도통제사 이윤경(李潤慶)이고 어머니는 반남인 박사권(朴師權)의 딸이고, 이들 사이에서 첫째아들로 태어났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숙명(叔明)이며,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파의 8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문화(文化) 현령을 지낸 이축(李軸)이고, 할아버지는 이사제(李思齊)이다. 아버지는 음직(蔭職: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맡은 벼슬)으로 금성(金城) 현령을 지낸 이자(李澬)이고 어머니는 현감을 지낸 은진인 임경우(林景佑)...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우(子雨)이며 호는 녹천(鹿川)이다. 세종대왕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첨추 이후재(李厚載)이고 할아버지는 장령 이형(李逈)이다. 아버지는 금산(錦山) 군수를 지낸 이중휘(李重輝)이며 어머니는 동추 안동 김광찬(金光燦)의 딸이고, 이들 사이에서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백옥(伯玉)이다. 중종반정에 협조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에 책록된 이곤(李坤)의 6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의 이홍로(李弘老)이고 할아버지는 이승원(李承元)이다. 아버지는 안악(安岳)군수를 지낸 이여주(李汝舟)이고 어머니는 평산신씨의 딸이며, 이들 사이에서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칠원윤씨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방옹(放翁)이고 호는 청파(青坡) 또는 부휴자(浮休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려조에 밀직부사를 지낸 이강(李岡)이고,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원(李原)이며, 아버지는 돈녕부정 이지(李墀)이다. 어머니는 감찰 정보(鄭保)의 딸인데 포은 정몽주의 증손녀이기도 하다. 부인은 교하현감 고령박씨 수림(秀林)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득부(得夫). 상호군(上護軍) 이수훤(李秀萱)의 아들이며, 증승지(贈承旨) 윤회정(尹懷貞)의 사위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이윤덕(李潤德)의 묘 이윤덕[1529 ~ 1611]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득부(得夫)이며 상호군(上護軍) 이수훤(李秀萱)의 아들이다. 식년시 무과(式年試武科)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에 제수되고 이어 전라도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를 지냈으며 1564년(명종 9) 함경도병마절도사(咸鏡道兵馬節度使)에 제수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이윤덕(李潤德)의 묘 이윤덕[1529 ~ 1611]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득부(得夫)이며 상호군(上護軍) 이수훤(李秀萱)의 아들이다. 식년시 무과(式年試武科)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에 제수되고 이어 전라도병마절도사(全羅道兵馬節度使)를 지냈으며 1564년(명종 9) 함경도병마절도사(咸鏡道兵馬節度使)에 제수되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회경(晦卿)이다.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행돈령부도정(行敦寧府都正)을 지낸 이방협(李邦協)이고, 형으로는 이윤성(李潤成), 이윤영(李潤榮), 이윤신(李潤身) 등이 있고, 아우로는 이윤형(李潤衡)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있는 이윤종의 묘. 이윤종[1490~1551]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양성(陽城), 자는 정부(正夫)이며, 상호군(上護軍) 이양정(李養正)의 아들이다. 배위(配位) 숙인(淑人) 창원유씨(昌原柳氏)는 사간 유세숙(兪世叔)의 딸이다. 무과에 급제한 후 사파진(蛇波鎭) 수군첨제사를 역임하였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이순신(李純臣)의 차남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화(子和), 호는 음애(陰涯)이다. 참판 이극기(李克基)의 아들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이은(李誾)의 묘. 이은[1455~1527]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화(子和), 호는 음애(陰厓)이다. 이극기(李克基)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1519년(중종 14)에는 현량과에 천거되었다. 고원군수를 지냈으며 기묘사화 때 영광군 서면 보라리로 유배되었다. 전라남도 영광의 보촌서원(甫村書院)에 제향되었다....
-
1601년(선조 34)~1614년(광해군 6). 선조의 적자(嫡子). 어머니는 인목왕후(仁穆王后)로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의 딸이다. 선조의 열네 아들 중 유일한 정비 소생으로 왕의 특별한 총애를 받았다. 선조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공빈 김씨(恭嬪金氏) 소생의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였다. 그 뒤 정비 소생인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세자를 바꿀 생각을 가졌지만 갑작스럽게...
-
생몰년 미상. 조선시대의 인물 본관은 덕수. 군수를 지낸 이추(李抽)[1417~1463]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의번의 묘. 이의번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 자는 무숙(茂叔), 호는 회덕(懷德)이다. 증좌찬성 이추(李抽)의 아들이며, 해풍군(海豊君) 이함(李菡)의 아버지이다. 군호는 풍성군(豊城君)으로, 돈녕부 참봉이지만 순충보조공신(純忠寶祚功臣)과 호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의번의 묘. 이의번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 자는 무숙(茂叔), 호는 회덕(懷德)이다. 증좌찬성 이추(李抽)의 아들이며, 해풍군(海豊君) 이함(李菡)의 아버지이다. 군호는 풍성군(豊城君)으로, 돈녕부 참봉이지만 순충보조공신(純忠寶祚功臣)과 호조판서에 추증되었다....
-
경기도 성남과 광주, 용인 지역에서 활동한 개항기 의병장. 이익삼(李益三)은 개항기 일제에 의해 군대가 해산되자 의병을 일으키고 한남창의소(漢南倡義所)라는 이름으로 항일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1453년(단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참의(兵曹參議)·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다....
-
조선 연산군대(燕山君代)의 문신 이인문(李仁文)의 묘. 이인문[1425~1503]은 연산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증이조참의(贈吏曹參議) 이근건(李根健)의 장남(長男)이다. 1453년(단종 1)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465년(세조 11) 문과 급제한 후, 관직에 나아가 병조참의(兵曹參議)를 거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79세까지 장수하였으며 사...
-
조선 전기의 문신 이인상(李麟祥)의 묘. 이인상[1511~1560]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정보(禎甫)이다. 해풍군(海豊君) 이함(李菡)의 아들로 군호는 덕안군(德安君)이다. 부인 증정부인 안동김씨는 판관 김홍(金洪)의 딸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윤(仲胤), 호는 풍애(楓厓)이다. 참의 이지직(李之直)의 아들이다. 할아버지는 둔촌공(遁村公) 이집(李集)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고려말 생원(高麗末 生員) 이당(李唐)이다. 외할아버지는 지주사(知州事)인 이원보(李元普)이다. 부인은 별장(別將) 노신(盧信)의 딸인 정경부인(貞敬夫人) 교하노씨(交河盧氏)이며, 이극배(李克培)...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수연(粹然)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4대손이다. 부인은 고령박씨로 현감인 박인효(朴仁孝)의 딸이고 판서 박만(朴蔓)의 증손녀이다. 큰아들은 한성군(韓城君)이며, 그밖에 이치(李穉), 이온(李穩), 이정(李程) 등 4남을 두었다. 토정선생으로 잘 알려진 이지함(李之函)이 손자이다. 증손은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와 이조...
-
1718년(숙종 44)~1803년(순조 3). 조선 후기의 인물.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출신. 성종의 아들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의 후손이다. 문과 급제후 병조좌랑을 역임한 이수대(李遂大)의 손자이자, 이민헌(李民獻)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정팔주(鄭八柱)의 딸이다. 부인은 황한(黃憪)의 딸이며, 슬하에 이의록(李宜祿), 이응록(李膺祿) 두 아들이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형원(泂遠). 호는 교촌(郊寸)이다. 별좌 이사제(李思濟)의 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 자는 사완(士完). 무과에 합격하여 경흥부사를 역임한 이순(李洵)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강원(康遠)의 딸이다. 무반직 사과(司果)를 역임한 이득윤(李得胤)의 손자이며, 역시 사과(司果)를 역임한 이제(李悌)의 증손이다. 부인은 유명익(柳命益)의 딸이며, 아들은 진사 이덕숭(李德崇)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 자는 재완(載抏), 호는 율원(栗園). 중종의 아들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崎)의 후손이다. 봉창수(蓬昌守) 이형엄(李炯儼)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묘가 있는 조선 전기 효자. 이장손(李長孫)[1390~1420]은 아버지의 묫자리가 풍수지리상 좋은 자리이긴 하지만 큰아들에게는 나쁘다는 말을 듣고도 안장하였고, 이듬해에 죽으면서 효행이 알려졌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이장손(李長孫)의 묘. 이장손[1390~1420]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맹윤(孟胤)이다. 증영의정 탄천(炭川) 이지직(李之直)의 아들이다. 1411년(태종 11) 문과에 급제하여 의정부사인(議政府舍人)에 이르렀다. 30세에 부친상을 당하여 묘 자리를 살핌에 지사(地師)가 자리를 정하고는 ‘좋은 자리는 틀림없으나 장자...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수연(粹然). 이색(李穡)의 5대손으로, 할아버니는 판서를 역임하고 세조공신이었던 문열공(文烈公) 이계전(李季甸)이다. 문과를 거쳐 대사성을 역임한 이우(李堣)의 장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장윤(李長潤)의 묘. 이장윤[1455~1528]은 중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수연(晬然)이다. 고려 말의 대학자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현손이자 대사성(大司成) 이우(李堣)의 아들이다. 관직은 봉화현감(奉化縣監)을 역임하였으며, 죽은 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한 이지함(李之菡)은 손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판교박물관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이장윤의 묘표. 이장윤 묘표는 공신이었던 문신 이장윤을 기념하는 표석이다. 이장윤(李長潤)[1455~1528]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수연(粹然)으로 고려의 대학자 목은 이색(李穡)의 4대손이자 성균관 대사성(大司成) 이우(李堣)의 장자이다. 『토정비결(土亭秘訣)』을 저술한 토정 이지함(李之菡)의 조부이며, 세조(...
-
1887~? 일제의 부역과 세금 수탈에 반대하여 대왕면의 만세시위를 주도한 독립운동가. 본적은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이다. 대왕면 수서리에 거주하며 1919년 32세에 대왕면의 시위운동을 주도하다가 헌병주재소에 연행되었다. 일제에 의해 징역 8월형에 처해져 수감 생활을 하였으며 1920년 4월 28일에 만기 출옥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운장(雲長). 호는 남곡(南谷). 문과에 합격하여 병조참판을 지낸 이경헌(李景憲)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윤응빙(尹應聘)의 딸이다. 조부는 증 영의정 덕풍군(德豊君) 이통(李通)이고, 증조부는 이인상(李麟祥)이다. 처부(妻父)는 유황(兪榥)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정(李程)의 묘. 이정[1489~1531]은 중종 대의 무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자명(子明)이다. 고려 말의 대학자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5세손이자 봉화현감(奉化縣監) 이장윤(李長潤)의 아들이다. 무관으로 출사하여 정3품 어모장군의 품계에 올라 충좌위(忠佐衛) 부호군(副護軍)을 지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일경(一卿), 호는 귀천(歸川)이다. 아버지는 도호부사를 지낸 이제(李穧)이며, 어머니는 임서(林笭)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좌랑을 지낸 이경류(李慶流)이며, 증조부는 이증(李增)이다. 이정룡(李廷龍)이 아우이다....
-
생몰년 미상. 남경군관학교 입교생 모집 활동으로 인해 종로경찰서에 검거된 독립운동가. 본적은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이며 서울 익선동에 거주하였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몽경(夢卿)이다. 부친은 대구부사를 지낸 이제(李穧), 모친은 나주임씨(羅州林氏)이다. 슬하에 2남을 두었는데, 장남이 정기(廷夔)이고 정룡은 차남이다. 조부는 승의랑을 지낸 이제(李穧), 증조부는 예조판서를 지낸 이증(李增)이다.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제주양씨이다. 슬하에 4남 1녀를 두었다. 이택(李澤)이 2남이고, 이집(李潗)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정룡(李廷龍)의 묘. 이정룡[1629~1689]은 현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몽경(夢卿)이다.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의 증손이자 대구부사 이제(李穧)의 아들이며, 이조참판 이정기(李廷蘷)의 동생이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었으나 홀어머니를 봉양함에 효를 다하였고 성격이 온화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건(子建)이고, 호는 추계(秋溪)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중(士重). 선무랑 이석명(李錫命)의 둘째 아들로 이석구(李錫耈)에게 입양되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왕족. 본관은 전주(全州). 이버지는 참봉을 지낸 이원구(李元龜)이고, 할아버지는 참봉을 지낸 이간(李衎)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청신(李淸臣)이다....
-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초명은 인성(仁成), 자는 지정(持正)이다. 아버지는 이진(李瑨)이며, 부인은 좌복야 한림학사(左僕射翰林學士) 이주일(李湊一)의 딸이다. 자식은 4남 3녀이며, 아들은 이우(李瑀), 이정(李精), 이숙(李璹)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외삼촌 백문절(白文節)에게 글을 배워 문장과 예서(隷書)에 능하였으며, 유경(柳璥)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인(景仁)이다. 아버지는 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호군(護軍)을 지낸 이식(李植)이며, 할아버지는 중군사직(中軍司直)을 지낸 이석곤(李石崑)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의를 지낸 이균(李稛)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묘가 있던 조선 후기 무신. 이주철(李周喆)은 조선 후기에 활동한 무신으로 형조판서와 공조판서, 한성부판윤,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회(子晦)이다. 아버지는 현릉참봉을 지낸 이면행(李勉行)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이상안(李尙安)이고, 고조할아버지는 여산현감을 지낸 이광국(李匡國)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아버지는 양성현감을 지낸 이헌중(李獻重)[1711~1742]이고, 할아버지는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이병태(李秉泰)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사마를 지낸 이협(李浹)이며, 고조할아버지는 김제군수를 지낸 이정룡(李廷龍)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가겸(可謙)이고, 호는 북애(北崖)이다. 이색(李穡)의 7세손으로 아버지는 이지숙(李之菽)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증(李增)의 묘. 이증[1525~1600]은 선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가겸(可謙), 호는 북애(北厓)이다. 대사성(大司成) 이우(李堣)의 현손이자 한평군(韓平君) 이지숙(李之菽)의 아들이다. 25세에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36세에는 과거 급제하여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를 제수 받았다. 이후 사헌부지평과 도승지 등의 요직을 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이증효(李曾孝)의 묘. 이증효[1701~1723]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종사랑을 지낸 이광일의 아들로 일찍 요절하였다....
-
고려 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중잠(仲潛)이다. 아버지는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지낸 이집(李集)이다....
-
조선 중기 문신이었던 이지번(李之蕃)[?~1575]의 일화를 적은 야담.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談)』에 전하는데, 『토정비결』의 저자 이지함(李之菡)의 형인 이지번의 일화를 그린 이야기이다. 이지번은 본관이 한산, 자는 형백(馨伯), 호는 성암(省菴), 사정(思亭), 구옹(龜翁)이다. 판관 이치(李穉)의 아들이고, 성남의 인물인 이장윤(李長潤)의 손자로, 천문지리에 정...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대유(大有)이다. 이색의 6대손으로 아버지는 한성군(漢城君) 이질(李秩)이며, 할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장윤(李長潤)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성균관대사성을 지낸 이우(李堣)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지숙(李之菽)의 묘. 이지숙[?~1561]은 명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대유(大有)이다. 문렬공(文烈公) 이계전(李季甸)의 현손이자 한성군(韓城君) 이질(李秩)의 아들이며 관직은 종묘서령(宗廟署令)을 지냈다. 죽은 뒤 이조판서에 증직되고 순충보조공신(純忠輔祚功臣) 한평군(韓平君)에 추봉되었다....
-
고려 말과 조선 초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유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평(伯平), 호는 탄천(炭川)이다. 이당(李唐)의 손자이며,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둔촌 이집(李集)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이지직의 묘. 이지직[1354년~1419]은 여말선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초명(初名)은 도(途), 자는 백평(伯平), 호는 탄천(炭川)이다.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이집(李集)의 아들이며,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이다. 1380년(우왕 6) 전구서승(典廐署丞)일 때 2등으로 급제하여 관동(關東)과 호서(湖西)지방의 관찰사...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이지직의 묘. 이지직[1354년~1419]은 여말선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초명(初名)은 도(途), 자는 백평(伯平), 호는 탄천(炭川)이다.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이집(李集)의 아들이며,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이다. 1380년(우왕 6) 전구서승(典廐署丞)일 때 2등으로 급제하여 관동(關東)과 호서(湖西)지방의 관찰사...
-
1517년(중종 12)~1578년(선조 11). 조선시대의 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형백(馨伯)이고, 호는 토정(土亭), 수산(水山)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6대손이며, 증이조판서 이장윤(李長潤)의 손자이며, 우봉현령(牛峰縣令) 이치(李稚)의 아들이다. 우의정 김극성(金克城)의 외손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 있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월여(月如)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이목(李楘)이고 어머니는 장수황씨로 현감 황우(黃佑)의 딸이다. 부인은 증 정부인 평산신씨로 유수 신감(申鑑)의 딸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방중(芳仲)이다. 할아버지는 잠성정(岑城正) 이돈(李焞)이고, 아버지는 이신(李信)이나, 작은 아버지 이가(李佳)의 양자가 되었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이보(頤甫)이다. 아버지는 정랑을 지낸 이우성(李羽成), 할아버지는 이철영(李哲英)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경석(李景奭)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이진양(李眞養)의 묘. 이진양[1667~1709]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순보(順甫)이다. 증조부는 문충공(文忠公) 이경석(李景奭)이며, 아버지는 형조정랑을 지내고 이조판서에 추증된 이우성(李羽成), 어머니는 정이화(鄭以和)의 딸이다. 1702년에 금부도사(禁府都事)에 임명되었으며, 1705년에는 금(金)을 주조하는 일...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자서(子序)이다. 이색의 5대손으로,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이장윤(李長潤)이며, 할아버지는 성균관대사성을 지낸 이우(李堣)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질 묘. 이질[1474~1560]은 명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자서(子序)이다. 양경공(良景公) 이종선(李種善)[1368~1438]의 현손이자 봉화현감(奉化縣監) 이장윤(李長潤)[1455~1528]의 아들이다. 1498년(성종 5) 진사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된 후 관직에 나아갔다. 음직(蔭職)으로 부사를 역임하였으며, 문화·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질 묘. 이질[1474~1560]은 명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자서(子序)이다. 양경공(良景公) 이종선(李種善)[1368~1438]의 현손이자 봉화현감(奉化縣監) 이장윤(李長潤)[1455~1528]의 아들이다. 1498년(성종 5) 진사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된 후 관직에 나아갔다. 음직(蔭職)으로 부사를 역임하였으며, 문화·상...
-
고려 말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초명은 원령(元齡). 자는 성노(成老)·호연(浩然)이며 호는 묵암자(墨岩子)·둔촌(遁村)이다. 고려수절신(高麗守節臣)의 한 사람으로 정몽주(鄭夢周)·이색(李穡) 등 당대의 거유(巨儒)들과 교유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집의 묘. 이집[1670~1727]은 영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계통(季通), 호는 한주(韓州)이다.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1525~1600]의 현손이자 김제군수(金堤郡守) 이정룡(李廷龍)[1629~1689]의 아들이며 부평부사(富平府使) 이오(李澳)[1659~1720]의 동생이다. 또한 정조(正祖)의 외조부(外祖父)인...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노천(老泉)이며, 호는 취촌(醉村)이다. 아버지는 한성판윤을 지낸 이광하(李光夏)이며, 어머니는 영의정 심지원(沈之源)의 딸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안눌(李安訥)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유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계통(季通), 호는 한주(韓州)이다. 이색(李穡)의 11대손으로, 이버지는 김제군수를 지낸 이정룡(李廷龍), 어머니는 제주양씨(梁氏)로 응교를 지낸 양만용(梁曼容)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문신 이집(李集)의 묘역. 이집[1327~1387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초명은 원령(元齡), 자는 성노(成老), 호연(浩然), 호는 묵암자(墨岩子), 둔촌(遁村)이다. 이당(李唐)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 이색(李穡), 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했다. 충목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해박한 지식과 고상한 지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집의 묘. 이집[1670~1727]은 영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계통(季通), 호는 한주(韓州)이다. 아천군(鵝川君) 이증(李增)[1525~1600]의 현손이자 김제군수(金堤郡守) 이정룡(李廷龍)[1629~1689]의 아들이며 부평부사(富平府使) 이오(李澳)[1659~1720]의 동생이다. 또한 정조(正祖)의 외조부(外祖父)인...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3동에 살고 있는 평범한 직장인인 나는 주말을 어떻게 보내는지와 주말 하루 밖에서 사용하는 비용은 얼마인지 체험을 통하여 2007년 현재 성남 지역의 평범한 생활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는 1973년생으로 28년째 성남 지역에서 살고 있는 나름 성남 지역 토박이이다. 2007년 현재 나이는 35세이며 아직 미혼이고 인터넷 관련 업체에서 근무하며 월수입...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명(士明)이며, 호는 괴원(槐阮)이다. 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경석(李景奭)이며, 어머니는 전주유씨(柳氏)로 전라감사를 역임한 유색(柳穡)의 딸이다. 이경석의 독자(獨子)로 부인은 숙인(淑人) 보성오씨이며, 뒤에 숙인 기계유씨(兪氏)을 맞았다. 자녀는 보성오씨 사이에 2남 4녀를 두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이철영의 묘. 이철영[1613~1662]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자는 사명(士明)이다. 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경석(李景奭)이고, 어머니는 관찰사로 영의정에 추증된 유색(柳穡)의 딸이다. 1646년(인조 24) 진사시에 합격하여 금부도사에 임명되고 후에 귀후서별제(歸厚暑別提), 사섬시주부, 사복시주부를 역임하였다. 후에 통진(通津...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차인(次人)이다. 아버지는 무주부사를 지낸 이예(李藝), 할아버지는 선공감역을 지낸 이몽석(李夢錫), 증조할아버지는 호군(護軍)을 지낸 이식(李植), 고조할아버지는 이조참의를 지낸 이균(李稛)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이청신의 묘. 이청신[1529~1590]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차인(次仁)이다. 아버지는 무주현감(茂朱縣監) 이예(李藝)이고 어머니는 고성군(固城君) 이맹우(李孟右)의 따님이다. 종숙부(從叔父) 이회(李薈)의 양자가 되었다. 무반으로서 어모장군행충좌위부호군(禦侮將軍行忠佐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이청신의 묘. 이청신[1529~1590]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차인(次仁)이다. 아버지는 무주현감(茂朱縣監) 이예(李藝)이고 어머니는 고성군(固城君) 이맹우(李孟右)의 따님이다. 종숙부(從叔父) 이회(李薈)의 양자가 되었다. 무반으로서 어모장군행충좌위부호군(禦侮將軍行忠佐衛副護軍)을 역임하였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활동한 개항기 의병장. 이춘삼(李春三)은 성남 출신의 의병장 윤치장과 함께 의병 활동을 한 인물이다. 윤치장이 의병대장이 되고 이춘삼이 부대장이 되었다가 윤치장이 일본 경찰에 체포되면서 지휘권을 이어받아 대장으로 활동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교서. 임진왜란(壬辰倭亂) 평정에 큰 공훈을 세운 이들에게 내려진 훈호(勳號)는 호성(扈聖) ·선무(宣武) 두 가지로 나누고 있는데, 왕을 수종(隨從)한 사람을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정왜제장(征倭諸將) 및 원병과 양곡 요청을 위해 명(明)에 왕래한 사신을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策錄)하고, 또 각 3등으로 나누어 훈호(勳...
-
1412년(태종 12)~1475년(성종 6). 조선초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인(士仁).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둘째 아들로 태종의 손자이다. 아들 이추는 회의도정(懷義都正)이고, 이납은 덕은도정(德恩都正)이며, 이온은 제천군(堤川君)이고, 이천은 예천정(蘂川正)이며, 이훈(李薰)은 고림정(高林正)이고, 서자(庶子) 이혜(李蕙)는 청거수(淸渠守)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아버지는 병조참의를 지낸 연안군(延安君) 이대승(李大升)이고 할아버지는 오위장을 지낸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성균생원 이근건(李根健)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탁지(卓之), 호는 우당(雨堂)이다. 아버지는 이교(李嶠), 할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문광공(文光公) 이륙(李陸), 증조할아버지는 이치(李穉)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이택의 묘. 이택(李澤)[1509~1573]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택지(澤之), 호는 우당(雨堂)이다. 증병조찬판 이교(李嶠)의 아들이다. 1531년(중종 26)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38년(중종 33)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했다. 벼슬은 충청도, 전라도, 황해도, 경상도, 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경기도 관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전통 가옥. 수내동가옥(이택구가옥)은 분당 신도시 개발 전 이곳에 세거하였던 한산이씨(韓山李氏)의 살림집 중 한 채로 이택구가 거주하였던 집이다. 이 가옥은 19세기 말의 건물로 보이는데, 부재가 비교적 견실하고 치목(治木, 목재를 다듬음)도 반듯하여 조선 후기 경기지역 살림집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
생몰년 미상.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 이매리에 신축한 돌마면사무소 면장을 역임한 인물 조선 후기 여지도서에 따르면 돌마면은 상동리와 하동리의 2개 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1846년에 돌마면의 경우 총호수가 460호이며 남자가 1,140명이고 여자가 1,224명으로 나타난다. 1906년에 돌마면은 여수동, 하탑리, 상탑리, 이매동, 분당리, 수내촌 등 15개 동리를 관할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이택의 묘. 이택(李澤)[1509~1573]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택지(澤之), 호는 우당(雨堂)이다. 증병조찬판 이교(李嶠)의 아들이다. 1531년(중종 26)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38년(중종 33)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했다. 벼슬은 충청도, 전라도, 황해도, 경상도, 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경기도 관찰...
-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천구(天衢)이다. 아버지는 감역을 지낸 이인상(李麟祥)이며, 어머니는 문화유씨이다. 할아버지는 해풍군 이함(李菡), 증조부는 돈녕부참봉을 지낸 풍성군 이의번(李宜蕃)이고, 생부는 이원근(李元謹)이다. 슬하에 5남을 두었다. 첫째아들은 이경안(李景顔)으로 문과 중시에 합격하여 벼슬이 정언에 이르렀고, 둘째아들은 이경민(李景閔)으...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통의 묘. 이통[1556~1620]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천구(天衢)이다. 해풍군(海豊君) 이함(李菡)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이원근(李元謹)이나, 나중에 재종숙부인 이인상(李麟祥)의 양자로 갔다. 이경안(李景顔), 이경민(李景閔), 이경용(李景容), 이경헌(李景憲), 이경증(李景曾) 등 다섯 아들을 두었는데 모두 문...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조선 성종의 열두 번째 아들인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1490~1525]이다. 부인은 안산김씨로서 김씨의 6대조는 원종공신, 좌명공신인 김정경(金定卿)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이팽수 묘. 이팽수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520년(중종 15)~1592년(선조 25)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전주, 성종의 제12남 무산군(茂山君)[1490~1525] 이종(李悰)의 다섯째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에 책훈되고 정의대부 태안군(泰安君)에 봉해졌으며,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이팽수 묘. 이팽수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520년(중종 15)~1592년(선조 25)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전주, 성종의 제12남 무산군(茂山君)[1490~1525] 이종(李悰)의 다섯째 아들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에 책훈되고 정의대부 태안군(泰安君)에 봉해졌으며,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하경(賀卿)이다. 아버지는 이철영(李哲英)이며, 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경석(李景奭)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한(李漢)의 묘. 이한은 숙종(肅宗)대(代)의 인물로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한평군(韓平君) 이지숙(李之菽)의 5세손이자 통덕랑(通德郞) 이정규(李廷葵)의 아들이다. 평생 관직에 나가지 않고 처사(處士)로 지냈으며 정확한 생몰년은 미상이다. 전후 사정으로 보아 숙종 대 인물로 추정된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실(子實)이다. 아버지는 돈녕부참봉을 지낸 풍성군 이의번(李宜蕃)이며, 할아버지는 이추(李抽)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함의 묘 및 신도비. 이함[1470~1534]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덕수, 자는 자실(子實)이다. 이의번(李宜蕃)의 셋째 아들이며 활을 잘 쏘아 20세에 무재(武才)로 뽑혀서 궁중을 숙직하며 지키는 장교가 되었다. 1491년(성종 22) 오랑캐가 북변을 침범하자 도원수 허종(許琮)의 휘하장교로 종군하여 공을 세웠다. 1506년 중종반정...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평숙(平叔)이며, 호는 천산재(天山齋)이다. 효령대군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대사헌, 대사간을 지낸 이식(李拭)[1522~1587]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장양정(長陽正) 이주(李儔), 고조할아버지는 무송군(茂松君) 이전(李恮)이다....
-
궁씨는 결혼 전에 아내와 약속한 게 하나 있었다. 40대 넘으면 잘 살든 못 살든 사진을 다시 시작하겠다는, 약속이라기보다는 일방적인 통보였다고 하는 편이 맞겠다. 마흔 다섯이 되던 2004년에 궁씨는 그것을 실행에 옮겼다. 정식으로 사진을 배우러 대학 1학년에 입학한 것이다. 그리고 내처 대학원까지 다니고 있다. 내년이면 졸업 논문을 내야 한다. 고맙게도 궁씨의 아내는 이해심이...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14대 손으로,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냈고 또 청백리에 오른 문청공(文淸公) 이병태(李秉泰)의 양자이다. 친아버지는 이병항(李秉恒)이며, 할아버지는 진사 이협(李浹)이다. 장인은 김시보(金時保)이다....
-
일제강점기 지금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 지역에서 활동한 자선가. 이현규(李賢奎)는 가난한 사람들의 세금을 대납해 주고 채무를 장부에서 삭제해 주었다. 이에 지역 주민들이 1933년 9월 9일에 송덕비를 세워 주었다. 송덕비에는 소화(昭和) 연호가 새겨졌는데, 광복 이후 비문의 다른 부분은 온전하게 보존되었지만 연호 부분만 삭제하고자 한 흔적이 보였다고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에 있었던 송덕비. 일제강점기 때 인근 향리에 자선을 베푼 이현규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송덕비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유생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숙화(叔和)이다. 이색(李穡)의 12대손으로,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이정룡(李廷龍)이고, 어머니는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응교(應敎)를 지낸 양만용(梁曼容)의 딸 제주양씨(濟州梁氏)이다. 할아버지는 대구부사(大邱府使)를 역임한 이제(李穧)이고, 임란 때 순절한 이경류(李慶流)의 증손이다. 부인은 한제유(韓濟愈)의 딸...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경(汝慶)이다. 덕양군(德陽君)[중종의 다섯째 아들] 이기(李岐)의 증손이며,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손자이고,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의 넷째아들이다. 사도시(司䆃寺) 첨정(僉正) 정인수(鄭麟壽)의 외손이다. 이형신(李炯信)의 동생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덕양군(德陽君)[중종의 다섯째 아들] 이기(李岐)의 증손이다.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손자이며,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의 셋째아들이다. 이형윤(李炯胤)의 동생이다. 사도시(司䆃寺) 첨정(僉正) 정인수(鄭麟壽)의 외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형신의 묘. 이형신[1603~1682]은 숙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우(汝友)이다. 중종의 다섯째 왕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의 증손이며, 구천군(龜川君) 이수(李晬)[1569~1645]의 아들이자 봉래군(蓬萊君) 이형윤(李炯胤)의 동생이다. 종실에게 주는 당연직(當然職)으로 관직에 출사하고 봉산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형신의 묘. 이형신[1603~1682]은 숙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우(汝友)이다. 중종의 다섯째 왕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의 증손이며, 구천군(龜川君) 이수(李晬)[1569~1645]의 아들이자 봉래군(蓬萊君) 이형윤(李炯胤)의 동생이다. 종실에게 주는 당연직(當然職)으로 관직에 출사하고 봉산군...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승(汝承)이다. 덕양군(德陽君)[중종의 다섯째 아들] 이기(李岐)의 증손이며, 풍산군(豐山君) 이종린(李宗麟)의 손자이다.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의 장남이고, 사도시(司䆃寺) 첨정(僉正) 정인수(鄭麟壽)의 외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형윤의 묘. 이형윤[1593~1645]은 인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승(汝承)이다. 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의 증손이자 구천군(龜川君) 이수(李晬)[1569~1645]의 장남이다. 종시(宗試)에 두 번 장원하여 봉래수(蓬萊守)에 제수되었다가 명선대부(明善大夫)와 정의대부(正義大夫)...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에 있는 이형윤의 묘. 이형윤[1593~1645]은 인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승(汝承)이다. 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1524~1581]의 증손이자 구천군(龜川君) 이수(李晬)[1569~1645]의 장남이다. 종시(宗試)에 두 번 장원하여 봉래수(蓬萊守)에 제수되었다가 명선대부(明善大夫)와 정의대부(正義大夫)...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차산(次山), 호는 현포(玄圃)이다. 이원필(李元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통(李通)이고, 아버지는 이경증(李景曾)이며, 어머니는 순화군(順和君) 이보(李𤣰)의 딸이다. 부인은 정부인(貞夫人) 평산신씨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혜의 묘. 이혜[1635~1679]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 자는 차산(次山), 호는 현보(玄甫)이다. 미강(眉江) 이경증(李景曾)의 셋째아들로 1654년(효종 5) 진사 장원을 하고 1660년(현종 1)에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대사간에 이르렀으며 지제교(知製敎, 왕의 교서를 짓는 일)를 겸하였다. 문장에 뛰어나 아버지 이경증의 행...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유보(裕甫), 호는 판교(板橋)이다. 이곤(李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공승(李公升)이고, 아버지는 군수 이간(李侃)이며, 어머니는 김문서(金文瑞)의 딸이다. 장인은 증 좌의정 기응세(奇應世)이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군실(君實)이다. 아버지는 이색(李穡)의 후손인 진사 이경홍(李慶洪)이며, 어머니는 안렴(安濂)의 딸이다. 판서(判書)와 좌·우참찬(左·右參贊)을 역임하고 의간(懿簡)으로 시호를 받은 이증(李增)의 손자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이확(李穫)의 묘. 이확[1583~1658]은 효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군실(君實)이다. 한평군(韓平君) 이지숙(李之菽)의 증손이자 진사 이경홍(李慶洪)의 아들이다. 1615년(광해군 7) 사마시에 합격하고 벼슬에 나아가 현풍현감(玄風縣監)을 역임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지경(智卿)이다.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이암(李嵒)의 7세손으로 문과를 급제하여 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한 이륙(李陸)의 손자이자 부사(府使)를 지낸 이이(李峓)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무향(茂鄕)이다. 이원철(李元哲)의 다섯 번째 아들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성근(聖根)이다.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윤항(李潤恒)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구세의(具世義)의 딸이다....
-
1433년(세종 15)~1487년(성종 18). 조선 초기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희삼(希參). 조선의 2대 임금이었던 정종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이며, 부인은 동지중추부사 최경례(崔景禮)의 딸 예안현부인 최씨(禮安縣夫人 崔氏)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이효백의 묘. 이효백(李孝伯)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33(세종 15)~1487(성종 18)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전주, 자는 희삼(希參)으로, 정종의 제10왕자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이다. 효성이 지극하여 이효백(李孝伯)이라 명명되었다. 궁술이 비상하여 1459년(세조 5) 왕의 참관 하에 모화관(慕華館)에서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에 있는 이효백의 묘. 이효백(李孝伯)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33(세종 15)~1487(성종 18)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전주, 자는 희삼(希參)으로, 정종의 제10왕자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이다. 효성이 지극하여 이효백(李孝伯)이라 명명되었다. 궁술이 비상하여 1459년(세조 5) 왕의 참관 하에 모화관(慕華館)에서의...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이다. 자는 자중(子重)이고 호는 남곡(南谷)이다.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중종의 다섯째 아들인 덕양군의 아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구천군(龜川君) 이수(李晬)이다. 아버지는 봉래군(蓬萊君) 이형윤(李炯胤)이며, 어머니는 최행(崔行)의 딸이다. 부인은 권근중(權謹中)의 딸이다. 아우 이무(李堥...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통훈대부 장수현감을 지낸 이억(李繶)이고, 할아버지는 이황의 제자인 이함형(李咸亨)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대사헌, 대사간을 지낸 이식(李拭)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이승상(李承常)이고 6대조는 무송군(茂松君) 이전(李恮)이다....
-
1398년(태조 7)~1465년(세조 12).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대왕의 열 번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성빈(誠嬪) 지씨(池氏)이다. 부인은 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 이종무(李從茂) 딸 장수이씨(長水李氏)이며, 영의정에 오른 성희안(成希顔), 대사간에 오른 이과(李顆) 등이 외손자들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전주(全州).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출신이다. 자는 재수(載叟)이다. 이시명(李蓍命)의 양자이고, 친아버지는 이시원(李蓍遠)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에 있는 이흥민(李興敏)의 묘. 이흥민[생몰년 미상]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1864년(고종 1) 대사헌을 역임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1865년 사은겸동지정사(謝恩兼冬至正使)로 임명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866년 다시 홍문관제학과 대사헌을 거쳐 예조판서에 올랐다. 같은 해 12월에는 근정전의 현판서사관(懸版書寫官)이 되기도...
-
?~1864년(철종 15).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장조(莊祖)[사도세자]의 아들인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다. 상계군(常溪君) 이담(李湛)의 양자이고, 친아버지는 풍계군(豊溪君) 이당(李瑭)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이희의 묘. 이희[1492~1551]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이다. 성종의 16남 12녀 중 막내이며, 어머니는 숙의(淑儀)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부왕의 사랑이 매우 두터워 3세에 특별히 양원군(楊原君)으로 봉해졌고, 1506년(중종 1) 정국공신원종일등훈(靖國功臣原從一等勳)에 사하여졌다. 시호는 정혜공(貞惠公)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이조판서를 지낸 효정공(孝貞公) 이경증(李景曾)의 손자이자, 용인현감을 지낸 이진(李稹)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구봉서(具奉瑞)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 분당 구미동 출신이다. 자는 성집(誠緝)이고, 첨중추부사를 지낸 이윤항(李潤恒)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부사(府使)를 지낸 이노식(李魯植)이고 어머니는 김계악(金桂岳)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인물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구(子久). 이조판서를 지낸 효정공(孝貞公) 이경증(李景曾)의 손자이자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이혜(李嵆)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참판을 지낸 신익전(申翊全)의 딸이다. 부인은 박태정(朴泰定)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군서(君瑞)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을 지낸 이경안(李景顔)의 손자이고, 아버지는 이륙(李稑)이다. 어머니는 조경기(趙慶起)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정경(鼎卿)이다. 배천군수(白川郡守)를 지낸 이경민(李景閔)의 손자이고, 이조(李稠)의 셋째 아들이다. 부인은 심지한(沈之漢)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희상(李喜相)의 묘. 이희상[1626~1692]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정경(鼎卿)이다. 증이조참판 이주의 아들로 1654년(효종 5)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홍산현감(鴻山縣監)을 역임하였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사장(士章)이다. 조부는 증 좌의정 이경민이고, 아버지는 이칭(李秤)이고, 어머니는 박지용(朴之鏞)의 딸이다. 부인은 남궁질(南宮膣)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는 이희유(李喜濡)의 묘. 이희유[1651~1669]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천택(天澤)이다. 미강공(眉江公) 이경증(李景曾)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대사간 혜(嵇)이고, 어머니는 참판을 지낸 신인전(申翊全)의 딸이다. 통덕랑(通德郞) 재임 중 요절하여 후사가 없어 목사공(牧使公)의 맏아들 좌랑(佐郞) 이완(李埦)을 양자로...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여숙(礪叔)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을 지낸 이경안(李景顔)의 손자이고, 이직(李稷)의 양자이며, 생부는 이륙(李稑)이다. 어머니는 신경락(申景洛)의 딸이다. 4남 1녀 중 장남으로 영흥부사(永興府使) 이희인(李喜寅), 이희환(李喜煥), 강원도 강찰사 이희룡(李喜龍)이 동생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을 지낸 이경안(李景顔)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이륙(李稑)이며, 어머니는 조경기(趙慶起)의 딸이다. 4남 1녀 중 장남으로 이희환(李喜煥), 강동현령 이희익(李喜益), 강원도 관찰사 이희룡(李喜龍)등이 그 동생이다. 부인은 권한(權垾)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출신이다. 자는 관오(貫吾)이고, 이후식(李厚植)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출신이다. 자는 일여(日汝)이고 이봉식(李奉植)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출신이다. 자는 성좌(聖佐)이고, 이윤식(李倫植)의 둘째 아들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윤경(潤卿)이다. 광해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참판을 지낸 이경헌(李景憲)의 손자이고, 역시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를 역임한 이정(李程)의 장남이다. 어머니는 유황(兪榥)의 딸이다. 부인은 조석구(趙錫龜)의 딸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 출신이다. 자는 자유(子有)이고, 호는 귀천(歸川)이다. 이조판서를 지낸 효정공(孝貞公) 이경증(李景曾)의 손자이자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이혜(李嵆)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신익전(申翊全)의 딸이다. 이희유(李喜濡), 광주목사(光州牧使)를 지낸 이희담(李喜聃), 증 이조참의 이희남(李喜楠) 등이 그의...
-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내국인·외국인의 수 또는 시민 집단의 계수. 성남시는 조선 후기 광주목[부] 세촌면, 돌마면, 낙생면, 대왕면에 해당한다. 세촌면은 1914년에 중부면으로, 대왕면의 세천리, 지곡리, 율현리, 자양리, 수동리, 수서리, 일원리 일대는 서울시로 편입되었다. 조선시대의 인구 자료는 신빙성이 많이 떨어지므로 절대 수치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곤란하다. 하지만 동...
-
궁씨는 성남초등학교에 입학해서 성남제일, 대원을 거쳐 중원초등학교에서 졸업장을 받았다. 짧게는 6개월만에도 학교를 옮겼었다. 아버지의 직업이 이사를 많이 다녀서가 아니었다. 집은 늘 상대원에 있었다. “우리 사는 데는 상대원동이 한정돼 있는데, 인구가 늘어나니까 성남초등학교에서 성남제일로, 인제 다시 인구가 늘어나니까 대원초등학교를 지어서 대원초등학교로 왔다가, 또 인구가 많으니까...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인로(仁老). 성균관 전적(典籍)을 지낸 윤재(尹材)의 큰아들이고, 어머니는 김선생(金善生)의 딸이다. 사헌부(司憲府) 집의(執義)를 지낸 윤형언(尹衡彦)의 손자이다. 처부(妻父)는 조진양(趙進陽)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과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의 경계를 이루는 산. 인릉산은 청계산, 국사봉, 바라산 등의 산지와 연결되어 성남시 서쪽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의 내곡동과 경기도의 과천시, 의왕시와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높이는 326.5m이다....
-
경기도 성남시의 인간·사회와의 긴밀성을 밝히기 위한 지역과 공간의 탐색. 성남시는 행정구역상 경기도 중앙에 있다. 서울의 위성 도시로서 서울의 중심부에서 남동쪽으로 약 20㎞ 거리에 위치한다. 동쪽은 광주시, 서쪽은 과천시와 의왕시, 남쪽은 용인시 그리고 북쪽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와 하남시에 인접한다. 경위도 상으로 북위 37°19´~37°23´, 동경 127°01...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인서(仁瑞). 직제학공 남간(南簡)의 후손이다. 정조의 사부였던 봉조하(奉朝賀) 남유용(南有容)의 손자이며, 진사 남공보(南公輔)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목사 이종해(李宗海)의 딸 죽산이씨인데, 절행으로 정려(旌閭) 되었다. 배위는 대사성(大司成) 윤상후(尹象厚)의 딸 파평윤씨이며, 춘천부사를 지낸 남주헌(南周獻)의 아버지이다....
-
조선 후기의 문관 본관은 여산(礪山)으로 자는 인숙(仁淑)이다. 부친은 송기회(宋耆會)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일경(一卿), 호는 귀천(歸川)이다. 아버지는 도호부사를 지낸 이제(李穧)이며, 어머니는 임서(林笭)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좌랑을 지낸 이경류(李慶流)이며, 증조부는 이증(李增)이다. 이정룡(李廷龍)이 아우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일민(逸民)이고, 임철근(林澈根)의 둘째 아들이다....
-
조선 전기 문신으로 경기도 성남시의 세거 성씨인 광주 안씨의 중시조. 안성(安省)[1344~1421]은 조선 세종 3년까지 활동한 문신이다. 조선 개국 후 처음으로 청백리에 뽑힌 3인 중 한 사람이며, 한쪽 눈이 작아서 이름을 ‘소목(小目)’이라 하였는데, 벼슬을 하면서 임금의 명령으로 ‘성(省)’으로 고쳤다....
-
사람들이 일상적인 활동을 할 때 입는 옷. 오늘날 한국인의 일상복은 대부분 서양식 옷이 주류를 이룬다. 집안에서 생활하는 경우에도 평소에 입는 옷과 잠옷, 그리고 운동복 등이 구분되어 있다. 특히 대부분의 사람들이 서양식의 밀폐형 주택에 거주하면서 속옷의 가짓수가 단순해지고, 두께가 얇아졌다. 실내온도가 전통적인 살림집에 비해 높기 때문에 집안에서 입는 옷은 간편한 양상을 보인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출신이다. 자는 일여(日汝)이고 이봉식(李奉植)의 장남이다....
-
개항기인 1864년부터 1945년 8월 15일 해방까지 경기도 성남의 역사. 19세기 중엽 조선의 전통 사회는 안으로는 부패하고 무능한 양반 지배 체제에 반대하는 민중 세력의 힘이 성숙되고, 밖으로는 일본과 서구 열강 침략 세력의 침투, 그리고 1910년 경술국치로 일제 강점기를 맞게 된다. 성남 지역은 이 시기에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고, 교통의 발전과 이에 따른 시장이 활성화 되...
-
개항기인 1864년부터 1945년 8월 15일 해방까지 경기도 성남의 역사. 19세기 중엽 조선의 전통 사회는 안으로는 부패하고 무능한 양반 지배 체제에 반대하는 민중 세력의 힘이 성숙되고, 밖으로는 일본과 서구 열강 침략 세력의 침투, 그리고 1910년 경술국치로 일제 강점기를 맞게 된다. 성남 지역은 이 시기에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고, 교통의 발전과 이에 따른 시장이 활성화 되...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거경(巨卿)이다. 임쟁운(林爭運)의 손자이고, 임진구(林鎭九)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성백(成伯), 호는 임계(林溪), 고산(高山)이다. 현감 윤형갑(尹衡甲)의 아들이며, 남양부사 윤계(尹棨)의 아우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 자는 은교(殷敎)이다. 아버지는 임규렴(林圭廉)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영칠(榮七)이고, 임용선(林容宣)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건석(建錫)이다. 아버지는 임용조(林容祖)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영옥(榮玉)이고, 아버지는 임용조(林容朝)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춘엽(春燁)이다. 아버지는 가선대부 예조참판에 주층된 임용만(林容晩)이고, 할아버지는 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 겸 경연참찬관에 추증된 임면근(林勉根), 증조할아버지는 임종한(林宗漢)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춘실(春實)이며,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에 추증되었다....
-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보통골의 다래덩굴에 얽힌 이야기 상대원동 공단 뒤편 보통골에 있는 다래덩굴에는 오백 여년 된 상수리나무가 있다. 예전에는 동네에서 해마다 여기에서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는데 그 상수리나무 아래가 임꺽정의 소굴이라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학유(學維)이다. 아버지는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에 추증된 임계선(林啓善)이고 할아버지는 임규렴(林圭廉)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귀향(貴萫)이고, 임종한(林宗漢)의 둘째 아들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인보(仁甫)이다. 아버지는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추증된 임규현(林圭顯)이고, 할아버지는 가선대부 예조참판에 추증된 임용만(林容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 겸 경연참찬관에 추증된 임면근(林勉根)이고, 고조할아버지는 임종한(林宗漢)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무향(茂萫)이고, 임종한(林宗漢)의 셋째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의 산림에서 생산되는 자원을 이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얻는 경제 행위. 성남시의 임야 면적은 1975년 8,385ha에서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조금씩 감소되어 2007년에는 7,240ha로 성남시 총면적 14,174ha의 51%이다. 임야의 소유자별 면적 추이를 보면 1975년에는 국유림이 653ha, 공유림이 22ha, 그리고 사유림이 7,710ha이어서 전체 임야에...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욱서(旭西)이고, 임면근(林勉根)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일민(逸民)이고, 임철근(林澈根)의 둘째 아들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자는 천택(千澤)이고, 임수근(林洙根)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아버지는 통덕랑 임규태(林圭台), 할아버지는 통정대부 행돈녕부도정을 지낸 임용선(林容宣), 증조할아버지는 통훈대부 옥천현감을 지낸 임철근(林澈根), 고조할아버지는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임건한(林建漢)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계재(季載)이다. 부친은 가선대부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임규정(林圭貞)이고, 할아버지는 임용조(林容朝)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해여(海如)이고, 임정운(林淨運)의 장남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출신이다. 임정운(林淨運)의 셋째 아들이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흥(驪興).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 사간(司諫) 민수(閔粹)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전적(典籍) 민구손(閔龜孫)이고, 어머니는 김효진(金效震)의 딸이다....
-
봄이 시작되는 절기. 24절기의 하나로 대한과 우수 사이에 든다. 양력 2월 4일경이며, 음력으로는 섣달에 들기도 하고 정월에 들기도 하며,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들기도 한다. 입춘은 문자 그대로 봄으로 접어드는 첫 번째 절기로서 새해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권근이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의 판본. 입학도설(1992)은 권근(權近)[1352∼1409]이 1390년(고려 공양왕 2)에 처음 학문을 시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로, 전집(前集) 단간본과 전·후집 합간본(合刊本)의 두 가지가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소장본은 합간본으로 1425년(세종 7) 이수(李穗)와 반무량(潘茂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