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씨 아줌마는 아이들 교육에도 열성이었다. 유치원 때부터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학부모회는 가능한 전부 쫓아다녔다. 녹색어머니회 같은 교통 봉사 활동도 열심히 했다. 그렇지만 여기서도 노씨 아줌마는 한 가지 원칙을 지켰다. 학기 초 임원 선출이 있기 전까지는 그런 활동에 전혀 참석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녀는 그것이 나름대로 자존심과 명예를 지키는 방식이라고 굳게 믿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유선 방송국. 성남 지역 케이블TV 사업자(SO)인 ㈜아름방송 네트워크가 운영하며 케이블방송 송출 사업과 더불어 지역방송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성남시의 유일한 종합 유선 방송국(CATV)으로 방송·정보 서비스를 통해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원래 성남 지역 난시청 해소를 위해 설립된 성남...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홀몸 노인을 위한 무상 복지 주택. 성남시가 옛 성남동 주민자치센터[현 성남동 행정복지센터] 부지 575㎡를, 한국지역난방공사가 기금 17억 원을, 금호아시아나가 건설비 6억 원을 각각 제공해 건립된 시설로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 민간 기업이 협력해 제3섹터 방식 즉 민관 공공 개발 방식으로 건립되었다. 아리움은 '아름다운...
-
헨젤과 그레텔처럼, 나는 잠자리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대화를 엿들은 적이 있었다. 갓난아이도 자기를 귀여워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알아본다. 나는 어려서 아빠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은 기억이 별로 없다. 아빠와의 사이에는 많은 일이 있기 했지만, 잠자리에서 엿들은 대화는 결코 잊을 수 없는 기억이었다. 그때 아빠는 분명 제가 너무 밉다고 말했었다. 듣지 말았어야 할 말을 듣고...
-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행되어 분당 지역과 용인 수지, 성남 등지에 무료로 배포되는 지역 주간 신문. 정식 법인명은 ㈜아이디커뮤니케이션으로 지역에서는 신문을 발행하다가 2007년 12월부터 제호를 『아이디위클리』(idweekly)』로 변경하였다. 신도시 주민들의 자기 정체성 찾기를 모토로 내걸고 『ID분당』으로 출범한 이후 분당 신도시 주민들의‘주말 프로젝트’ 전달에 초점을...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합창단. 공연을 통해 음악을 사랑하는 청소년들의 활발한 활동을 도우며 잠재능력을 조기에 발굴하여 훌륭한 예술인을 양성하고 배출하기 위함이다. 1992년 4월에 창단되어 1993년 창단연주회를 계몽아트홀에서 시작하여 14회의 정기 연주회를 가졌다. 1993년에 오페라 「토스카」와 1998년의 오페라 「순교자」에 출연하고, 뮤지컬 「미녀와 야...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 합창단. 아주여성합창단은 아시아를 대표한다는 자부심과 비전을 가진 여성 합창단으로 바로크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 장르를 망라한 폭넓은 레퍼토리를 자랑한다. 정기연주회와 초청 연주, 연주 음반 발매 등 다양한 연주 활동을 하고 있다. 아주여성합창단은 음악 예술을 통하여 풍부한 정서 생활을 바탕으로 시민들의 삶의...
-
나는 스물일곱 살의 성남 토박이이다. 잠깐 타지 생활을 했을 뿐, 태어나서 줄곧 성남에서 살아왔다. 스스로 봐도 자신이 성남이란 도시의 색채를 많이 갖고 있다. 그런 나의 20대의 삶은 여전히 흔들리는 중이다. 한때 청바지와 통기타로 청년문화를 주도했던 가수가 있었다. 지금은 어느덧 50대 후반의 중견가수가 되어 있다. 라디오 DJ이기도 한 그녀는 청춘의 봄날보다 안정된 지금 50...
-
지역 자치센터 위원장을 맡고 있는 궁씨는 요즘 들어 상대원이 다시 되살아나 옛날의 활기를 되찾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원을 지나는 지하철 노선이 생겨야 한다는 것이 궁씨의 주장이다. “오히려 전철이라든가 이런 연계적인 거, 좀 더 상대원 쪽으로 갈 수 있는 방향으로 만들어 주는 게 어떻겠는냐 하는 생각도 들고. 8호선 같은 경우에도 아까 말씀드린대로 모...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로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 할 수 있도록 설비한 건물. 아파트는 아파트먼트 하우스(apartment house)의 약어로 주택 건설 촉진법상 5층 이상의 공동 주택을 일컫는다. 공동 주택이란 대지(垈地), 복도, 계단 및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면서도 각 세대가 하나의...
-
윤흥길이 쓴 중편소설. 1977년 『창작과 비평』에 발표되었다. 윤흥길은 1973년 성남과 인연을 맺고, 1975년 성남을 떠났다. 도시 빈민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이 작품은, 이때의 어려웠던 생활체험을 살려 쓴 것이다. 작품은 선생인 ‘나’의 관찰을 통해 서술된다. 관찰의 대상은 세들어 사는 권기용이다. 그는 광주대단지 소요사태 때 주동자로 몰려 전과자가 되었고, 이후...
-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안쪽에 있는 마을. 내곡, 마옥이라고도 한다. 복우물마을[복정]에서 보면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 증조할아버지는 안원숭(安元崇), 할아버지는 고려의 형조전서 안원(安瑗)이며, 증 정헌대부 이조판서 안종약(安從約)의 장남이다. 부인은 전주이씨로 완천군 이숙의 딸이다. 좌찬성 안지귀(安知歸)와 공조전서 안지석(安知碩) 형제와 네 딸을 두었다. 1417년(태종 17) 진사시에 장원하였으며, 같은 해 경회루 친시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원의 학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안구의 묘 및 묘갈. 안구는 조선 전기 세종 때 활약한 문신으로, 본관은 순흥으로, 해주목사 안종약(安從約)의 장남이다. 1417년(태종 17) 4월 경회루 친시문과에 등과하여 홍문관 직제학을 역임하고, 통정대부판군자감사(通政大夫判軍資監事)에 올랐으며, 의정부 좌참찬 겸대제학(議政府左參贊兼大提學)에 증직되었다. 묘소는 율동 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안구의 묘 및 묘갈. 안구는 조선 전기 세종 때 활약한 문신으로, 본관은 순흥으로, 해주목사 안종약(安從約)의 장남이다. 1417년(태종 17) 4월 경회루 친시문과에 등과하여 홍문관 직제학을 역임하고, 통정대부판군자감사(通政大夫判軍資監事)에 올랐으며, 의정부 좌참찬 겸대제학(議政府左參贊兼大提學)에 증직되었다. 묘소는 율동 새...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안말[내둔토리(內屯土里)]은 조선 초의 대학자 권근(權近)의 손자이고 권제(權踶)[1387~1445]의 아들인 안양공(安襄公) 권반(權攀)[1419~1472]이 무진정(無盡亭)을 짓고 유람하던 곳이었다. 권반이 세조 12년(1466) 예조참판 겸 경기도관찰사를 겸직할 때 장자인 충훈부 도사 권괄(權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착한 심성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창의적 사고력과 기본 학력을 갖춘 지식인, 건강한 심신과 인내력이 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교훈은 투철한 교육관을 가지고 21세기 정보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슬기롭고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91년 3월 11일 안말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1992년 7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착한 심성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창의적 사고력과 기본 학력을 갖춘 지식인, 건강한 심신과 인내력이 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교훈은 투철한 교육관을 가지고 21세기 정보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슬기롭고 창의적인 어린이이다. 1991년 3월 11일 안말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1992년 7월...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경응(景應)[혹은 慶應]. 아버지는 부호군 안담(安耼)이다. 1544년(중종 3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 가주서, 예문관 검열 등을 지냈다. 1545년(인종 1) 이기(李芑), 정순붕(鄭順朋) 등이 을사사화를 일으켜 많은 현신들을 숙청하자, 이 사실을 사관(史官)으로서 상세히 시정기(時政記)에 적어 넣었고...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안명세의 묘. 안명세[1518~1548]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흥, 자는 경응(景應)으로 부호군 안첨(安燂)의 아들이다. 1544년(중종 3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 예문관검열 등을 지냈다. 1545년(인종 1년) 이기(李芑), 정순붕(鄭順朋) 등이 을사사화를 일으켜 많은 현...
-
한식 주택의 안채에서 가장 넓고 주거의 중심이 되는 방 안방은 안채의 중심이자 주부가 거처하는 방으로서 가장 폐쇄적인 곳이며, 주택의 제일 안쪽에 위치한다. 주부의 실내 생활 대부분이 이루어지며 안살림을 모두 관리하기 때문에 광의 열쇠나 귀중품들이 보관되는 장소이며 더 나아가 주부의 권위를 상징하는 장소가 된다. 성남에서는 갓 시집온 며느리는 남편과 함께 건넌방에서 지내...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공조판서 안침(安琛)의 증손자이며, 병조좌랑 안처선(安處善)의 손자, 성균관(成均館) 전적(典籍)을 역임한 안정의 셋째 아들이다. 사마시에 합격하여 출사하였으며, 교하현감(交河縣監)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가 외직인 평강현감(平康縣監)을 마지막으로 역임하였다. 안서국의 묘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다....
-
성남시 중원구 사송동에 있는 안장바위에 얽힌 전설 사송동 동아다리 아래에 안장바위라고 불리는 바위가 하나 있다. 일명 건들바위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이 바위에 얽힌 간단한 이야기가 있다. 옥황상제가 너무 오래 살아 폐해가 큰 동방삭이를 잡기 위해 사자를 보내었는데 그 사자가 이곳에서 숯을 갈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정연(挺然), 호는 죽창(竹窓). 전주부윤 안지귀(安知歸)의 증손이며, 공조판서 안침(安琛)의 손자이고, 병조좌랑 안처선(安處善)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최윤신(崔潤身)의 딸이다. 1516년(중종 11)에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19년(중종 14)에 현량과(賢良科)에 3등으로 급제하여 승정원(承政院) 주서(注書)...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자진(子珍). 호는 죽제(竹齊). 안종약(安宗約)의 증손이고, 증이조참판 안구(安玖)의 손자이며, 부윤 안지귀(安知歸)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형조참판 박이창(朴以昌)의 딸이고, 부인은 광주이씨 이수철(李守哲)의 딸이다. 예조참의를 지낸 안호(安瑚)가 형이다. 1462년(세조 8)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하였고, 1466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는 안침의 묘 및 신도비. 안침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45년(세종 27)~1515년(중종 10)에 걸쳐 살았던 인물이다. 본관은 순흥, 자는 자진(子珍), 호는 죽창(竹窓) 또는 죽계(竹溪)로, 부윤 안지귀(安知歸)의 아들이다. 1462년(세조 8) 생원, 진사 양시에 합격하였으며, 1466년 고성의 별시문과에 2등으로 급...
-
집안의 평안과 가족들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가신(家神)에게 지내는 의례. 성남지역에서는 ‘안택고사’라고도 한다. 안택은 무당이나 독경쟁이 혹은 법사들을 불러서 간단한 무속적 제의를 하는 것이며, 고사는 주부가 직접 간단하게 가신에게 제를 올리는 것이다. 음력 정월, 칠월칠석, 10월에 지내며, 정월에 한 해의 운수를 기원하는 것을 ‘정월고사’, 칠월칠석에 지내는 것을 ‘...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가헌(可獻). 안향(安珦)의 후손으로, 가정대부 의정부좌참찬 안구(安玖)의 손자이고, 전주부윤 안지귀(安知歸)의 큰아들이며, 공조판서를 지낸 안침(安琛)의 형이다. 어머니는 형조참판을 지낸 박이창(朴以昌)의 딸이고, 부인 안동김씨는 김철균(金哲鈞)의 딸이다. 1459년(세조 5) 진사시에 합격하고, 1466년(세조 12...
-
독경(讀經)을 주로 하는 법사들이 앉아서 하는 굿. 서울과 경기 지방의 굿이 무당에 의해 춤과 노래로써 주로 선채로 굿을 하는데 반해 법사가 북이나 꽹과리를 두드리면서 독경을 하기 때문에 생겨난 충청지역의 무속용어이며, 성남지역에서는 충청도에서 이주해 온 법사류의 무당에 의해 앉은굿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앉은굿에서 의례를 이끌어나가는 법사들은 강신무라 불리는 무당들과...
-
임경업 장군 출생담 옛날 한양에서 홀어머니를 모시고 가난하게 사는 한 청년이 있었다. 어느 날 청년은 광주에 있는 친척집에 양식을 얻으러 나섰다. 그러나 남한산성에 채 도착하기도 전에 날이 저물고 갑자기 소나기가 퍼붓기 시작했다. 그 청년은 길을 잃고 헤매다가 멀리 어둠속에 반짝이는 불빛을 발견하였다. 반가워서 가까이 다가가 보니 외딴 초가집에서 불빛이 새어나오고 있었다...
-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애명(愛明)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군수를 역임하였다.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에 세거(世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는 '진실'이라는 교훈 아래 몸과 마음이 충실한 건강인,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지성인, 스스로 행동하는 자율인, 부모에게 효도하는 충효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심미인 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86년 12월 학교법인 경암학원에서 18개 학급에 사성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이듬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는 '진실'이라는 교훈 아래 몸과 마음이 충실한 건강인,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지성인, 스스로 행동하는 자율인, 부모에게 효도하는 충효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심미인 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86년 12월 학교법인 경암학원에서 18개 학급에 사성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이듬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과 사송동을 연결하는 다리. 성남시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탄천과 성남시의 동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탄천으로 유입하는 야탑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건설된 다리이다. 1992년에 준공되었는데, 총연장 128m, 교폭 31m이며, 축조 형식은 PC슬라브 방식이다. 야탑교를 지나는 도로는 번영로인데, 탄천 동쪽의 성남대로와 서쪽...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위치하고 있는 시립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다. 성남시 중앙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 교육 센터의 역할을 위하여 성남시에서 설립한 공...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법정동. 성남시의 중앙부에 자리 잡은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야탑1동, 야탑2동, 야탑3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분당의 대표적인 상가·업무 지구로 대형 할인 마트, 음식점, 멀티플렉스 상영관 등이 밀집해 있고, 탄천종합운동장, 코리아디자인센터, 성남시 중앙도서관, 성남아트센터 등의 체육·문화시설이 있다. ‘야탑’이라는 명칭은 1914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천주교 교회. 분당신도시 개발로 천주교 신자가 급격히 늘어나자 1995년 2월에 분당성마태오성당과 함께 분당요한성당에서 분리하여 분당구 야탑동, 중원구 도촌동, 여수동을 관할하는 본당으로 설립되었다. 신앙 공동체를 설립하고 지역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고자 설립되었다. 1994년 4월 14일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일대에 분포했던 청동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고인돌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돌무덤이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인돌이 많은 국가에 속하는데 한반도에는 3만여 기가 분포한다. 고인돌은 다듬어진 판돌로 ㄷ자 또는 ㅁ자로 무덤방을 만들고 거대한 판석상의 덮개돌을 얹은 탁자식(북방식), 무덤방을 지하에 만들고 받침돌을 놓은 후 거대한 덮개돌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서 행해졌던 동제(洞祭). 야탑동은 상탑, 중탑, 하탑의 3개 마을로 구성되었으며, 마을 제사는 중탑동과 하탑동에서 행해지던 장신제와 상탑동에서 행해지던 산신제로 이루어졌다. 야탑동 장신제는 매년 음력 10월 초순에 행해졌으며, 제관은 당주, 유사, 축관으로 구성되었다. 제의에 드는 비용은 과거에는 풍물을 쳐서 가가호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었던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야소, 탑골, 웃탑골을 병합하여 오야소와 탑골의 이름을 따서 야탑리라 하였다.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었고, 1975년에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었으며 1991년 분당구 야탑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수도권 분당선 전철역. 코레일(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분당선의 한 역으로 모란역과 이매역 사이에 위치한다. 1994년 분당 신도시 개발과 함께 수서~오리 구간의 분당선이 개통됨에 따라 그 노선 중간역의 하나로 야탑역이 개통되었다. 역명은 역이 위치한 야탑동의 지명을 사용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이 지역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야탑역 인근에 있는 경관 광장. 경관 광장은 도심 속에서 휴식, 대기, 만남의 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주거지, 상가 등이 밀집해 있고 교통도 편리한 곳에 조성된다. 야탑역 광장은 2007년 현재 성남시 8개 경관 광장 중 서현역 15호, 수내역 16호, 정자역 17호, 오리역 18호와 함께 분당 신도시가 설립되면서 13호...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남의 인격을 존중하고 올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자기 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실행하는 자주인, 창의성을 계발하고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창의인, 심신이 건강하고 명예를 존중하는 건강인 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3년 1월 11일에 설립 인가를 받아 3월 2일에는 2학년과 3학년 70명으로 개교하였고, 3월 4일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을 흘러 탄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의 분당메모리얼파크가 위치하는 큰매지봉에서 발원하여 야탑동을 지나 탄천으로 합류하는 지류 하천으로, 하천 길이는 2,680m, 최대 하폭 36m, 유역 면적은 4.65ha이다. 야탑동을 지나 흐르는 하천으로 야탑천이라 부른다. 야탑동(野塔洞)이란 명칭은 오야소(梧野所)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야탑초등학교는 예절 바른 어린이, 자주적인 어린이, 슬기로운 어린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92년 1월 11일 야탑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1993년 3월 2일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에 양훈석이 취임하였다. 1996년 3월 1일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변경되어 야탑초등학교가 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종합 터미널.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버스터미널로 극장, 대형 할인점, 각종 상가 시설과 함께 테마폴리스 건물에 입지해 있다. 2009년 6월 현재 8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63개의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1982년 3월 중원구 성남동에 개장한 성남종합버스터미널(모란버스터미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영화관. CGV는 인터넷 예매 등 한국 멀티플렉스 극장 기능을 가장 먼저 도입한 CJ CGV 주식회사의 체인 영화관으로 1998년 국내 최초 멀티플렉스 극장 CGV 강변 개점을 시작으로 현재 국내에 71개의 지점과 중국 다닝과 신좡 등 2개의 해외 지점을 두고 있다. CGV 야탑은 ‘영화 그 이상의 감동 CGV’를...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약사가 양약을 조제하거나 파는 곳. 약국은 약사가 투여의 목적으로 의약품의 조제 업무를 행하거나 그 개설자가 의약품의 판매업을 겸하는 경우에는 그 판매업에 필요한 장소이다. 현대 의학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래 경미한 질병에 대한 국민들의 주요 치료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 왔다. 1. 1970년대 성남시의 약국에 대한 역사적 서술은 시 승격...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약사가 양약을 조제하거나 파는 곳. 약국은 약사가 투여의 목적으로 의약품의 조제 업무를 행하거나 그 개설자가 의약품의 판매업을 겸하는 경우에는 그 판매업에 필요한 장소이다. 현대 의학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래 경미한 질병에 대한 국민들의 주요 치료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 왔다. 1. 1970년대 성남시의 약국에 대한 역사적 서술은 시 승격...
-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중국 당나라 현장(玄奘)[602?~664]이 번역한 약사여래(藥師如來)의 공덕을 칭송하는 경전의 판본.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은 줄여서 『약사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질병의 치유를 기원하기 위한 경전이다. 이 『약사경』은 속장경을 간행하기 위해 1086년 흥왕사에 설치한 교장도감(敎藏都監)에서 펴낸 것 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위치한 사찰. 한국불교여래종(韓國大乘佛敎如來宗)의 총본산으로, 1967년 3월에 창건하였다. 당시는 현 한국대승불교여래종 종정인 인왕(仁旺) 신판석(申判石)에 의해 남한산성의 옛 사찰인 한흥사(漢興寺)를 재건한다는 의미에서 한흥사라 이름하였다. 그리고 옛 한흥사를 재현, 중창하기 위하여 그 일부를 복원하기도 하였다. 현재의 사찰명...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 약사사 경내에 있는 삼층석탑.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있는 약사사는 한국대승불교여래종의 본산으로 전통사찰 제98호로 지정되어 있다. 1967년 3월 창건되었는데, 처음에는 남한산성을 축성할 때 건립되었던 9대 사찰의 하나인 한흥사(漢興寺)를 재건한다는 뜻에서 한흥사라고 하였다가 1968년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을 봉안하면서...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양문교회는 1980년 성남시 은행2동 737-17 상가2층에서 공용준 목사가 중심이 되어 창립 예배를 가졌다. 1982년 교회당을 신축하고 입주하였으며 교회 부지 및 재산을 대한예수교장로회 서울유지재단에 등록하였다. 1996년 양지동에 새 교회당을 세워 입주하였으며, 2005년 12월 9...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16세기 이후 광주군 세촌면 대원동리[현재의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하대원동] 일원에는 남원양씨와 여산송씨가 함께 입향하여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 양연은 남원양씨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 사무에 밝았으며, 특히 병사(兵事)에 능하였다. 재상 윤임(尹任)과 가까운 사이였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거원(巨源), 호는 설옹(雪翁). 증좌찬성 양구주...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양연(梁淵)의 묘. 양연[1485~1542]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거원(巨源), 호는 설옹(雪翁)으로 토산현감(兎山縣監) 양호(梁琥)의 아들이다. 1524년(중종 19)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헌부 직제학(直提學)에 올랐다. 1535년(중종 30) 공조참판(工曺參判)으로서 성절...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는 양연(梁淵)의 묘. 양연[1485~1542]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거원(巨源), 호는 설옹(雪翁)으로 토산현감(兎山縣監) 양호(梁琥)의 아들이다. 1524년(중종 19)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헌부 직제학(直提學)에 올랐다. 1535년(중종 30) 공조참판(工曺參判)으로서 성절...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디지털 특성화 고등학교. '슬기롭게(知), 참되게(德), 용기있게(體)'라는 교훈 아래, 적극적인 자아탐색으로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조화로운 인성을 갖고 더불어 사는 예절 바른 사람, 기초학력을 증진하고 기술을 탐구하여 유용한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 봉사하는 마음, 긍정적인 생각과 튼튼한 체력을 갖춘 사람 등을 교육 목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디지털 특성화 고등학교. '슬기롭게(知), 참되게(德), 용기있게(體)'라는 교훈 아래, 적극적인 자아탐색으로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조화로운 인성을 갖고 더불어 사는 예절 바른 사람, 기초학력을 증진하고 기술을 탐구하여 유용한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 봉사하는 마음, 긍정적인 생각과 튼튼한 체력을 갖춘 사람 등을 교육 목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슬기롭게, 참되게, 용기있게'라는 교훈아래,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예절바른 사람, 건강한 사람 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49년 6월 1일에 설립한 양영고등공민학교(교장 한백효)가 모태가 되었다. 1954년 1월에야 3개 학급으로 공식적인 설립 인가를 받아 4월 6일에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에는 이인구...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있는 어린이, 새로움을 탐구하는 창발력 있는 어린이, 서로 도우며 봉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4년 9월 1일 6학급으로 임시 개교하였다가 1994년 9월 30일 양영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변경되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공원. 양지공원은 남한산성 도립공원이 자리하고 있는 청량산 자락에 기존의 지형과 삼림에 조화를 이루어 사계절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즐길 수 있는 근린공원으로서 종합 휴게소와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양지공원은 시민의 보건, 휴양 및 정서생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2000년 11월 8일부터 2004년 7월 13일...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양지동은 중앙로를 사이로 은행동과 경계를 이루며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 서남쪽 경사면에 위치한 주거 밀집 지역이다. 2010년 1월 현재, 1.26㎢의 면적에 총 4,318가구, 10,996명이 거주하고 있다. 과거 양지동은 단대동의 ‘양지말’ 지역으로, 단대천을 경계로 은행동 위편에 위치하면서 양지 바른 곳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암각비. 조선 후기의 문신인 수어사 서명응(徐命應), 부윤 홍익필(洪益弼), 이명중(李明中) 세 사람이 백성을 사랑한 공적을 ‘잊지 말자(不忘)’는 내용을 하나의 바위에 각각 3기의 비 형태로 새긴 것이다. 남한산성 남문매표소에서 산성로를 따라 약 700m를 내려가면 도로 오른쪽 하남시와의 경계 지점인 구릉 정상에 있다. 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영춘정의 건물터. 영춘정(迎春亭)은 ‘봄을 맞이하는 정자’라는 뜻이다. 영춘정 터는 남한산성 매표소로 올라가는 산성로 왼쪽 구릉의 정상에 위치한다. 이곳은 왼쪽으로 성남시를, 오른쪽으로 송파구를 포함한 서울시 일대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이 좋은 곳이다. 건물터에는 높이 58㎝, 윗너비 154㎝, 아랫너비...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에 있는 청소년 문화 시설. 양지동 청소년문화의집은 재단법인 성남시청소년육성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정구 양지동에 위치한 청소년 문화 시설이다. 청소년 전용 공간을 지원하고 학교·수련관·유관 기관이 함께하는 지역 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청소년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행복한 청소년 놀이터를 지향하고 있다. 양지동 청...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양지동은 중앙로를 사이로 은행동과 경계를 이루며 남한산성이 있는 청량산 서남쪽 경사면에 위치한 주거 밀집 지역이다. 2010년 1월 현재, 1.26㎢의 면적에 총 4,318가구, 10,996명이 거주하고 있다. 과거 양지동은 단대동의 ‘양지말’ 지역으로, 단대천을 경계로 은행동 위편에 위치하면서 양지 바른 곳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었던 지명. 섬말[도촌(島村)]은 자연취락으로 행정적인 측면에서 이름 붙여진 도촌리와는 그 지역적 범위가 다르다. 즉, 도촌리는 섬말, 응달말, 중말을 합친 행정 지명이고 도촌[섬말]은 도촌리의 한 부분인 자연취락 단위에 지나지 않는다. 다만 도촌리라는 명칭 자체는 도촌의 이름을 따서 행정지명화 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을 앞과...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은(汝誾), 호는 양촌(陽村). 아버지는 순천부사를 지낸 의정공(議政公) 이통(李通)이며, 할아버지는 이인상(李麟祥)이고, 증조부는 이함(李菡)이다. 양부는 이적(李適)이다. 부인은 정경부인으로 추증된 전주이씨이다. 슬하에 아들 열셋을 두어 후손이 매우 번창하였다. 배천군수, 해주진관 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 의정부좌의정에 추증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에 있는 사회복지단체. 양친회 국제본부는 1938년 스페인 내란을 계기로 내란 중 발생한 전쟁 미망인 및 고아들을 위해 본부를 미국에 두고 설립되었으며, 종교, 정치, 인종을 초월하여 전세계에 걸쳐 복지사업을 수행한 인도적인 순수 국제 민간원조 단체로서 한국전쟁을 계기로 1953년 3월 임시 수도인 부산에 양친회 한국지부를 두고 사...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에 있는 아동 상담소. 사회복지법인 양친사회복지회가 설립하여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에 있는 양친회병원[현 성남중앙병원] 내에 설치한 아동 상담소이다. 1983년 설립 이후 아동 상담, 아동 임시 보호 등의 활동을 하였으나 1988년 이후 상담소 기능이 정지된 상태이다. 양친회 아동상담소는 1983년 4월 19일에 양친사회...
-
경기도 성남시에 양친회사회복지회가 지원하여 설립된 어린이 수용시설 양친회는 선진국의 후원회와 한국의 어린이들을 결연하여 매년 25,000여 명의 한국어린이를 후원하였다. 이 회의 계획은 1953년부터 1979년까지 한국에서 양친회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사례로 가정복지사업을 벌였는데, 전국 주요 도시인 서울·부산·대구·인천 외에 특별히 성남이 포한된 점과...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종합병원. 1977년 20병상 규모의 양친회병원으로 개원하여 1981년에 성남 최초로 종합병원으로 허가를 받았다. 2000년대에 성남시 수정구에 있던 성남병원과 인하병원이 모두 폐업하여 현재는 수정구·중원구의 유일한 종합병원이다. 양친사회복지회는 경제적인 발전과 국가의 발전도 중요하지만 누구 한 사람도 소외됨이 없이 골고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법정동. 분당 신도시 개발 당시 시범 단지로 조성된 서현동은 서현1동과 서현2동의 2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인 시범 단지와 서현역을 중심으로 상업 및 업무 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은 조선시대에 광주군 돌마면 둔서촌, 양현, 통로골 등의 마을로 이루어진 곳으로, 1914년 전국의 행정구역 개편 때 둔...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다리. 1993년도에 준공된 이 다리는 길이 130m로 탄천의 동서를 연결하고 있다. 양현교는 분당구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탄천에 건설된 여러 교량 중의 하나로, 분당구 관내에서 북쪽으로부터 여섯 번째 위치에 놓여져 있다. 길이 130m, 높이 9m, 총폭 41m, 유효폭 38m로 되어 있으며, 도로상 지방도 57호선(서현로)에 해당하...
-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지금의 분당구 서현동)에 있었던 마을. 조선총독부에서 제작했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 의하면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15개리 가운데 양현리(陽峴里)가 들어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돈서촌과 양현리가 통합되면서 각각 가운데 한자씩 따서 서현리가 되었다가 지금의 분당구 서현동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중앙공원 황새울광장에서 아껴 쓰고 나눠 쓰고 바꿔 쓰고 다시 쓰는 정신을 키우기 위해 개최되었던 어린이 시장. 어린이벼룩시장은 성남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민 사회 단체들이 지역 어린이들에게 재활용과 경제 교육을 위해 개최한 행사였으나 행사 장소 사용 등의 문제로 2006년 12월 이후 중단 되었다. 2005년 10월 10일에 생활자치네트워크 희망...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의 유아들을 교육하는 기관. 「교육법」에 의해 설치, 운영되는 교육부 관할의 교육 기관으로 재정 형태에 따라 공립과 사립으로 구분된다. 공립은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주를 이루며, 사립은 개인, 법인, 종교 단체 등 설립 주체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다. 세계 최초의 유치원은 1840년 독일의 프뢰벨(Friedrich W...
-
아동복지법에 의하여 0~6세의 어린이를 맞벌이 부모 대신 맡아 돌보는 보육기관. 초창기에는 탁아소(託兒所)라 불리었으나 1968년 정부방침에 의하여 어린이집으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 1982년부터 한동안 새마을유아원으로 지칭된 일도 있었으나 1991년에 다시 어린이집으로 개칭되었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취업여성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유아들을 보육하는 기관 또한 증가하였다. 어린이...
-
초등학교 때 지석태의 어머니는 골목길에서 삼형제의 머리를 깎아주셨다. 당시 다른 친구들도 집에서 머리를 깎는 아이들이 많긴 했지만 그의 어머니처럼 집이 아닌 골목길에서 깎아주시던 분은 없었다. 삼형제가 골목에서 나란히 앉아 머리 깎을 차례를 기다리던 모습은 지금 생각하면 너무 창피한데 그때는 그러려니 하고 앉아 있었다. “어렸을 때는 헤어스타일이 되게 우스웠어요. 지금도 어렸을 때...
-
노씨 아줌마는 하대원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마쳤다. 지금의 대일초등학교 자리가 성남여중이었다. 그 전에는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에서 살았다. 친정은 워낙 못 살았다. 거기다 아버지는 팔방 난봉꾼으로 전국을 안 다닌 데 없이 떠돌아 다녔다. 당연히 칠남매는 어머니 혼자 책임을 지셨다. 어머니가 아무런 믿는 구석도 없이 성남으로 이주를 결정하신 것도, 시골에 땅 좀 있는 거...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있는 청소년 무용단체. 어울림청소년무용단은 성남 지역 무용계의 대모라 불리는 정금란이 개원한 성남무용학원이 중심이 되어 구성하였다. 1994년 6월 28일 정금란 타계 후 원장이 된 김성태가 초대 단장으로 1995년 일정 수준의 한국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청소년들로 오디션을 거쳐 단원을 선발하였다. 창단 후 성남 지역의 최초의 청...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언규(彦圭). 정주목사를 지낸 송수(宋壽)의 셋째아들로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이다. 생원 송윤은(宋胤殷)의 손자이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올랐던 대표적 훈구세력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외손자이다. 처부(妻父)는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오른 제양군(齊陽君) 허광(許礦)이다. 사마시(진사)에 합격하여 양...
-
노씨 아줌마의 하루는 집안에서 시작해서 집안에서 마무리되었다. 그러다 보니 같은 동네에 사는 평범한 아주머니, 할머니, 그리고 앞집에 마주보고 살던 장애인 아주머니 정도가 대인 관계의 대부분이었다. 그들에게 노씨 아줌마는 아들의 이름, 범구 엄마로 통했다. 그들은 부업을 같이 하는 동업자였고, 삶을 함께 나누는 동반자였다. “할머니들이고 아줌마들이 우리집이가 사랑방 마치...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매체를 통하여 어떤 사실이나 주장을 알려 여론을 형성하거나 인쇄물을 제작·복제하여 판매 또는 배포하는 일의 총칭.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한 유형으로 신문사, 시사 잡지사, 방송국, 통신사 등의 기관들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이나 현상들에 관한 보도, 논평, 해설 등을 목적으로, 그에 관한 뉴스와 정보 등을 취재하고 때로는 그에...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매체를 통하여 어떤 사실이나 주장을 알려 여론을 형성하거나 인쇄물을 제작·복제하여 판매 또는 배포하는 일의 총칭.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한 유형으로 신문사, 시사 잡지사, 방송국, 통신사 등의 기관들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이나 현상들에 관한 보도, 논평, 해설 등을 목적으로, 그에 관한 뉴스와 정보 등을 취재하고 때로는 그에...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언신(彦信). 아버지는 문과를 거쳐 참판에 오른 이광식(李光軾)이며, 어머니는 이세응(李世應)의 딸 함안이씨(咸安李氏)이다. 할아버지는 동돈녕(同敦寧) 이지방(李之芳)이다. 1543년(중종 38)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그해 식년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1545년(명종 즉위년) 예문관 봉교(奉敎)로 있으면서 중국에 보내는 자문(...
-
음성이나 문자의 사회관습적인 체계. 중부 방언권 가운데에서 그 중심이 될 수 있는 서울, 경기 지역어를 구성하는 방언인 성남 지역어는 대체로 경기방언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같은 경기방언에 속하는 양평, 여주, 이천, 양주, 연천, 고양 등의 지역어와 공통적인 언어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이 지역어는 부분적으로는 꽤 다른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특히 경기...
-
가신(家神)의 하나로, 주로 집안의 살림을 늘어나게 하고 복을 지켜주는 재신(財神). 업왕(業王), 업대감, 업항아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성남시 수정구 오야동에 거주하는 박광수씨(1942년생)에 의하면, 현재 이 업신앙을 따로 모시지는 않지만 과거에는 인업[사람, 인업(人業)], 긴업[구렁이, 사업(蛇業)], 족제비업[유업(鼬業)]등의 업이 있었으며, 이 업에게는 집안에 재물이...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선교 활동을 위한 오케스트라. 에반젤선교회는 기독교의 복음을 전파하고, 음악 예술을 통하여 풍부한 정서 생활을 바탕으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창단되었다. 에반젤선교회는 봉사를 위한 비영리 단체이며 특히 음악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모임을 갖는다. 에반젤선교회는 1998년 스윙과 재즈 위주의 대중...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광동에 있는 선교 활동을 위한 오케스트라. 에반젤선교회는 기독교의 복음을 전파하고, 음악 예술을 통하여 풍부한 정서 생활을 바탕으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창단되었다. 에반젤선교회는 봉사를 위한 비영리 단체이며 특히 음악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모임을 갖는다. 에반젤선교회는 1998년 스윙과 재즈 위주의 대중...
-
니치렌(日蓮)이 주창한 불법(佛法)을 신앙의 근간으로 삼는 일련정종(日蓮正宗)에 소속된 재가신조의 조직. 초대회장인 목구상삼랑(牧口常三郞)에 의해 1930년 11월 18일에 창립된 종교단체. 한국에서는 각 일련정종의 파들이 1974년에 ‘한국일련정종불교회’라는 연합체를 구성하면서 시작된 종교단체. 현재 구로구 구로 5동 45번지[공원로 54]에 본부동과 광선회관을 두고...
-
의무에서 벗어나 즐거운 마음으로 휴식하고, 지역사회에 참여하여 봉사하며 창조적 능력을 개발하는 등 개인의 자유의지로 행하는 모든 행위. 여가는 무의미하고 한가한 시간의 제공이라는 소극적 의미가 아닌 자유와 학습의 양면성을 가진 시간의 내용과 관련된 개념이다. 즉, 여가는 자유로운 시간을 활용하여 알차고 보람된 삶과 생활을 가꾸기 위한 것이다. 여가는 인간의 사회화과정을 도와주고,...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 여산(礪山). 자는 여눌(汝訥). 감역(監役)을 지낸 송덕융(宋德隆)의 손자이자 송유(宋濡)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박동유(朴東維)의 딸이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최종 관직이 장수현감(長水縣監)이었다. 지방 수령으로 근무하는 동안 구휼에도 힘을 쏟는 등 치적을 쌓았다. 묘는 성남 상대원동 일원에 있는 여산송씨 선영에 있었으나, 성...
-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송촌에 살던 성씨 정주목사 송수(宋壽)[1470~1518] 때부터 중원구 상대원동 송촌(宋村)에 살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송수는 광주이씨 광원군 이극돈[1435~1503]의 사위로 장인의 특별한 사랑을 받았는데, 이극돈이 생전에 사위를 자기 곁에 묻어달라고 해서 이극돈의 묘 옆에 장사지냈다는 것이다. 부인 이씨는 남편이 일찍 죽자 친정 근처에...
-
1991년 성남 출신 여성작가들이 만든 순수 여성문학단체 및 동인지. 1988년부터 연례적으로 개최된 성남시 여성백일장 수필부문에서 입상한 여성들을 모아 김건중이 주도하여 창립한 순수 여성문학단체이다. 지역문학과 여성수필문학 발전을 위해 창립한 이 단체는 40여명의 여성작가들이 매월 모임을 갖고, 친목을 도모하며 작품품평회와 문학토론을 통해 자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2동에 있는 문화회관. 성남시 여성문화회관은 지식 기반 사회를 이끌어 갈 우수한 여성 인력 양성을 위하여 설립된 기관으로 지식, 정보 습득은 물론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양질의 문화 강좌 운영으로 여성의 능력 개발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성의 문화 공간의 장소이다. 여성의 새롭고 발전된 문화 실현을 위해 여성 교양 문화 프로그램을 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 있는 여성 복지 회관. 성남시 여성복지회관은 여성들에게 교육을 실시하여 자격증 취득 및 취업·창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 기반을 마련해주고, 남성의 교육 참여를 확대하여 건전 가정 육성을 도모하는 한편, 다문화 가족 및 노년 여성에 대한 교육, 전문 직업 상담, 교육생 자원 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지역 사회의 복지 실현을 도모하고 있...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여수(汝秀)이다. 정세경(鄭世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항(鄭沆)이고, 아버지는 돈녕부 주부 정경순(鄭景淳)이며, 어머니는 청풍김씨(淸風金氏)로 김희경(金僖卿)의 딸이다. 부인은 남양홍씨(南陽洪氏) 별좌 홍곤(洪坤)의 딸이다. 1600년(선조 3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 해에 예문관 검열(檢閱)이...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다리. 1992년도에 준공되었으며, 길이 120m로 탄천의 동서를 연결하고 있다. 여수교는 시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탄천에 건설된 여러 교량 중의 하나로, 성남시 관내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해 있다. 길이 120m, 높이 8m, 총폭 35m, 유효폭 31m로, 도로상 여수로에 해당하며 지방도 23호선(대왕판교로)와 그리고 성남대로와 연결...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여수동은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의 중원구와 남쪽의 분당구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관할 면적의 대부분이 개발 제한 구역이다. 법정동인 여수동은 행정동인 중원구 도촌동에서 관할하고 있으나 생활권은 분당구에 더 가깝다. 2009년에 성남시청사를 여수동으로 이전하였고, 여수 지구가 국민 임대 단지로 지정되어 향후 많은 변화가 예상...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전해지는 성남 향토음식. 사람이나 모든 짐승들에겐 몸 속에 횡격막(橫膈膜)이란 것이 있다. 숨을 쉴 때 허파를 죄었다 풀었다 하면서 숨쉬기운동(호흡작용)을 돕는 얇은 힘살막이다. 이 힘살막을 토박이말로는 ‘갈막이’라 했다. 허파 아래쪽에 가로지른 막이라 해서 원래 ‘가로막이’라 했던 이 말은 ‘갈막이(갈마기)’로 줄고 이것은 다시 ‘갈매기’...
-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의 갈매기살 전문 판매점이 집중되어 있는 곳. 분당구와 중원구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여수동은 갈매기살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식당 30여 곳이 모여 있는 곳이다. 1960년대부터 이곳 근처인 지금의 야탑동 장미마을에는 성남도축장이 있었다. 원래 도축장에서는 돼지고기의 횡격막(橫膈膜)과 간(肝) 사이에 있는 근육질 힘살인 ‘가로막살’을 판매할...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순천김씨 묘역. 충정공은 도승지를 지낸 김유양(金有讓)의 시호로, 여수동에는 그의 손자인 합천군수 김윤탁(金允濯)을 비롯하여, 증손 부호군(副護軍) 김자한(金自漢), 현손 어모장군(禦侮將軍) 김언국(金彦國), 5세손 헌릉참봉(獻陵參奉) 김유(金裕), 6세손 김양필(金良弼) 등 5대에 걸친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순...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에 있는 평양조씨 묘역. 여수동 평양조씨 묘역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 조견(趙狷)[1351~1425]의 묘를 쓰면서 조성되었다. 조견의 호는 송산(松山), 시호는 평간(平簡)으로 조선의 개국공신 조준(趙浚)의 동생이다. 조선왕조가 성립할 때에 그의 형 조준은 전제개혁 등 적극적으로 이성계 일파에 협력하여 개국공신이 되었으나 고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에 있는 시도(市道). 여수로는 성남시가 형성되면서 생성된 도로이다. 성남시 대왕판교로 시흥사거리에서 성남대로 여수삼거리까지 연결되어 있다. 도로의 이름은 이 도로의 종착점인 중원구 여수동에서 비롯되었다. 왕복 포장 8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2.40㎞, 도로 폭은 40m, 총면적은 96,000㎡이다. 여수로는 성남시를 남...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지역으로서 여수울, 여술 또는 여수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왕면의 송현동 일부를 병합하여 여수리(동)이 되었다. 1973년에는 성남시에 편입, 1975년 3월에는 돌마출장소에 편입되어 하대원동, 여수동, 도촌동, 갈현동의 네 개 동을 합하여 여수동의 관할이 되었...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여수동은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의 중원구와 남쪽의 분당구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관할 면적의 대부분이 개발 제한 구역이다. 법정동인 여수동은 행정동인 중원구 도촌동에서 관할하고 있으나 생활권은 분당구에 더 가깝다. 2009년에 성남시청사를 여수동으로 이전하였고, 여수 지구가 국민 임대 단지로 지정되어 향후 많은 변화가 예상...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을 흘러 탄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서 발원하여 도촌동, 여수동을 지나 탄천으로 합류하는 중천으로, 하천 길이는 4,030m이며, 최대하폭은 50m, 유역 면적은 9.03ha이다. 여수동을 지나 흐르는 하천으로 여수천이라 부른다. 여수동(麗水洞)이란 명칭은 이곳에 처음 정착하였다는 김윤탁이 마을...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여실(汝實).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셋째 아들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무과(武科)에 합격하여 여러 무반직을 거치는 동안 치적을 쌓았고, 후에 품계가 정3품 당상관인 통정대부(通政大夫)까지 올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려산(礪山). 자는 여오(汝五).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송준(宋駿)의 2남이고, 어머니는 김급(金汲)의 딸 청풍김씨(淸風金氏)이다. 할아버지는 퇴계(退溪) 문인으로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역임했던 송언신(宋言愼)이고, 증조부는 종성부사(鍾城府使)를 역임한 송율(宋嵂)이다. 처부(妻父)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한 청주한씨(淸州韓氏) 한효중(韓孝仲)이...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 문화단체. 사단법인 여울청소년마을은 성남지역에 건전한 청소년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하여설립한 단체이다. 1998년 3월 15일에 여울청소년문화원을 창립하였고, 같은 해 12월 여울청소년문화마을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9년 사단법인 여울청소년마을로 설립허가를 받았다. 같은 해 부설 대안교육연구회, 부설 청소년거리위원회, 부설 청소년...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 여흥(驪興).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 사간(司諫) 민수(閔粹)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전적(典籍) 민구손(閔龜孫)이고, 어머니는 김효진(金效震)의 딸이다. 1520년(중종 15)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호당(湖堂)에서 독서하다가 승정원주서로 탁용되어「척간유생도기(擲奸儒生到記)」를 가필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았다. 1525년 춘추관기사관(春...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은(汝誾), 호는 양촌(陽村). 아버지는 순천부사를 지낸 의정공(議政公) 이통(李通)이며, 할아버지는 이인상(李麟祥)이고, 증조부는 이함(李菡)이다. 양부는 이적(李適)이다. 부인은 정경부인으로 추증된 전주이씨이다. 슬하에 아들 열셋을 두어 후손이 매우 번창하였다. 배천군수, 해주진관 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 의정부좌의정에 추증되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 자는 여익(汝翼). 호조참판 유유(柳柔)의 손자이고, 첨지중추부사 유종선(柳從善)의 아들이다. 1582년(선조 15) 진사시에 합격하여 조산대부(朝散大夫)를 지냈다. 1620년(광해군 12) 이귀(李貴), 김자점(金自點), 신경신(申景愼), 구인후(具仁垕), 장만(張晩), 최명길(崔鳴吉) 등이 한무리가 됨을 보고 개탄하여 김자점과 최명길의 모의를...
-
경기도 성남시의 풍광, 풍속, 사적 등을 구경하는 일. 관광은 독일어의 ‘Fremdenverkehr’, 영어의 ‘tourism’ 또는 ‘tourist movement’에 해당하는 말로 이들 모두는 외래자, 여행자의 이동을 의미하고 있다. 원래 관광(tourism)은 사람들의 일시적인 이동을 의미하는 ‘tour’에서 파생된 말로 라틴어의 ‘tornus(돌다, 순회하다)’에...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여현(汝賢). 왕자사부(王子師傅)를 지낸 송숙경(宋叔璟)의 큰아들이며, 어머니는 양숙(梁淑)의 딸이다. 정주목사(定州牧使)를 지낸 송수(宋壽)가 할아버지이니, 할머니는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녹공되었던 광원군(廣原君) 이극돈(李克墩)의 딸 광주이씨이다. 사마시(진사)를 거쳐 통훈대부(通訓大夫) 의금부(義禁府) 도사(都事)를 역임했다. 묘...
-
1870년 미국의 펜실베이니아주에서 러셀(Russell, C. T.)을 중심으로 창립된 기독교계 신종교. 1870년 성서 연구 모임을 시작한 미국인 러셀 등의 성서 연구생들이 시작한 종교단체로, 한국지부의 소재지는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양기리이다. ‘여호와의 증인’이라는 명칭은 2세 교주인 루터포드(Rutherford, J. F. )가 〈이사야 43:10〉에 근거하여 1931년에...
-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 여회(汝晦). 사간(司諫)을 지낸 윤시영(尹時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사랑 윤징(尹澄)이고, 아버지는 임천군수(林川郡守) 윤극신(尹克新)이며, 어머니는 동몽교관 남견손(南堅孫)의 딸 고성남씨(固城南氏)이다. 성척(成惕)의 딸 창령 성씨와 결혼했고, 사헌(司憲) 집의(執義)를 지낸 윤형언(尹衡彦)의 아버지이다. 1580년(선조 13)...
-
집의 평면이 역ㄱ자 즉, ┍ 모양을 하고 있는 집. 집을 평면에 따라 분류할 때의 한 종류이다. ‘곱은자 집’, ‘꺾인 집’이라고도 부르며, ㄱ자집과 역ㄱ자집을 통틀어 ‘ㄱ자집’이라고도 한다. ㄱ자집의 경우 정면에서 평면을 바라보았을 때, 가운데에 대청마루를 두고 왼편에 건넌방, 오른편에 안방을 두는 一자형 평면에다 안방의 앞쪽으로 부엌이 배치되는 형식이다. 이와 반대로 역ㄱ자집은...
-
경기도 성남 지역의 역사. ‘성남지역’에 언제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는지, 그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이 지역이 한강으로 흐르는 탄천 주변의 비옥한 평야는 사람들이 살기에 적합한 지역이다. 실제로 여주군과 화성시, 광주시 도척(都尺) 등 인근지역에서 구석기가 발견되고, 서울 암사동, 하남시 미사리 등지가 멀지 않은 곳에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래 전부터 사람이 살았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이루어지는 희곡을 무대에 연출하여 관객에게 보이는 종합 예술. 연극은 연기자에 의해 관객 앞에서 실연의 형태로 제시되는 공연 예술의 한 종류로 연극의 기본 요소로는 배우, 무대, 관객, 희곡이 있다. 연극은 기본적인 요소 이외에도 대본, 미술, 조명, 음향 효과 등 다양한 요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합 예술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요소를 한데...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공동 주택의 하나. 연립 주택은 주택건설촉진법에 의하면 동당 건축 연면적이 660㎡(200평)를 초과하는 3층 이하의 공동 주택을 말하며, 개별 분양이 가능하다. 연립 주택은 아파트에 비해 단지의 규모가 작기 때문에 소규모 토지를 이용하면서도 건설비를 절약하고, 유지 및 관리비가 절감된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으로는 단독 주택보다 높은 밀도를 유지할...
-
조선 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출신이다. 자는 연석(演奭)이고, 정숙(鄭埱)의 장남이다. 정광환(鄭光煥)의 손자이다. 음보(蔭補: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벼슬을 받는 것)로 출사(出仕)하였으며, 통정대부(通政大夫:정3품 당상계)를 제수 받았다. 묘는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섬말에서 갈현동에 접한 좌측 언덕에 경주정씨 선영이 있...
-
조선 중기의 문신 권득기(權得己)가 기록한 잡록. 『연송잡록(然松雜錄)』이라고도 한다. 12개 가량의 일화가 실려 있다. 옛날 이 진사(본관 전의)라는 사람의 형이 영흥(永興)의 현감으로 갔을 때 어머니에게 연어를 들게 하였는데, 벼슬을 마치고 예산에 와서 살게 되었다. 그런데 어느 해 겨울 병든 어머니가 연어가 몹시도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한겨울이라 연어를 구할 길이...
-
분당구 판교동, 운중동 일원에서 세거하고 있는 성씨 연안이씨는 조선조에 상신(相臣: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총칭) 9명, 대제학 7명, 호당(湖堂: 휴가를 얻어 독서에만 힘쓰게 한 제도) 10명, 공신 11명, 장신(將臣) 4명, 문과 급제자 261명을 배출하였다. 대표적인 인물은 세종대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석형(李石亨), 인조대에 좌의정을 지낸 이정...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있는 연못. 연지는 분당신도시 개발 당시만 하더라도 연꽃이 크고 풍성하기로 유명하였으며, 연꽃의 개화기에는 황새, 백로 등의 서식지이기도 하여 인근에서 많은 관람객이 몰려들 정도의 명소였다. 이곳 연꽃은 다른 곳에 옮겨 심으면 살지 못한다는 속설이 있었다. 『토정비결』의 저자 이지함(李之函)이 영장산에 그의 할아버지인...
-
불에 구운 태토(胎土)가 연하고 외면에 두들겨 만든 집선문 등이 찍혀 있는 토기. ‘연질타날문토기’라는 용어는 학문적으로 정의된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원삼국시대의 회백색 혹은 황갈색 계열의 산화 소성된 토기를 통칭하여 쓴다. 외면의 문양은 주로 박자나 고판에 집선문양의 문양판이나 노끈을 감아서 그릇의 외면을 두들겨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타날의 목적은 그릇 성형과정에서 기벽에 포...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국악 단체. 민간 전문 국악 단체인 한민족예술원은 단원을 비롯하여 일반 회원까지 100여명에 이르는 회원이 국악 전반의 다양한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국악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자라나는 미래의 기둥들에게 민족 예술이 지니고 있는 멋과 신명, 민족혼을 일깨워주기 위한 교육 지원 사업을 하고 있으며, 국악 기초 과정을 거쳐 간 강...
-
상대원시장은 위쪽일수록 장사가 잘 된다는 사실을 염씨는 얼마 가지 않아 알아차렸다. 그러던 차에, 82년 무렵이었을 것이다, 근처에 새 건물이 지어지면서 가게 자리가 하나 났다. 염씨는 서둘러 계약을 했다. 처음 가게에서 네 가게 정도 떨어진 곳에 새로 얻은 가게는 염씨의 아내가 맡아보았다. “저는 밑에서 보고 제 집사람은 위에 쪼그만 가게 거기서 보고. 그렇게 장사를...
-
1899~?. 광복군 제2지대원으로 유격전 등 항일투쟁을 실천한 독립운동가 무장투쟁론을 실천한 염재항은 광주군 중대면 출신이며 1899년 9월 22일에 출생하였다. 다른 이름은 염파(廉波)이며 광복군에 입대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중국의 임시 수도 충칭(重慶)에서 창설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대이며 공식 명칭은 한국광복군이다. 1937년 창설 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사립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바른 마음'이라는 교훈으로, 민주정신이 투철한 애국하는 여성, 학문을 탐구하고 소질을 계발하는 여성, 교양과 충효를 겸비한 여성 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86년 12월 30일 학교법인 백강학원에서 18학급으로 설립 인가 받아 이듬해인 1987년 3월 6일에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에 최영목이 취임하였...
-
집에 큰 불이 났었다. 하지만 백씨는 기억하지 못했다. 그녀가 초등학교 2학년 때의 일이었고, 영등포 살던 때의 일이라고, 어른들이 일러주어서 알고 있을 뿐이다. 그 화재 때문에 그녀의 가족은 성남으로 이사를 하게 되었다. 이 또한 전해들은 이야기일 뿐이다. “그때 당시 월세방도 얻기 힘들었데요 영등포에. 근데 성남에 오니까 집 한 채 값이 되더래요. 월세 값도 안됐는데 그 돈이...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영백(英伯). 해주오씨 17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선조대 전라도수군절제사 등을 지낸 오도홍(吳道弘)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전주이씨이다. 할아버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達權), 증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소(老小)를 이끈 인물이어서, 그의 가계 역시 이런 영향...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 있는 시민 화장장. 중원구 갈현동에 위치한 성남시 영생관리사업소는 자동 처리 시스템을 갖춘 화장장과 유골을 뿌릴 수 있는 유택동산,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추모의 집 등을 운영하고 있다. 가족 제도의 변천과 매장 중심의 장묘 관행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장례 문화가 종래의 장묘 문화에서 화장 봉안 문화로 바뀌고 있어 중요성이...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영성여자중학교는 올바른 판단력과 도덕성을 지닌 인재, 창의적인 사고와 탐구력을 지닌 인재, 심신이 건강하고 원대한 꿈을 지닌 글로벌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영성여자중학교는 1985년 1월 21일에 설립 인가되어 3월 5일에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에 안영환이 취임하였다. 1989년 9월...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영성여자중학교는 올바른 판단력과 도덕성을 지닌 인재, 창의적인 사고와 탐구력을 지닌 인재, 심신이 건강하고 원대한 꿈을 지닌 글로벌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영성여자중학교는 1985년 1월 21일에 설립 인가되어 3월 5일에 개교하였으며, 초대 교장에 안영환이 취임하였다. 1989년 9월...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바른 인성과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 시민 의식을 가진 사람, 자기 주도력 및 자기 상황 능력을 가진 창의적인 사람,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심신이 건강한 균형적인 사람, 지식 기반 사회에 부응하는 정보 활용 능력이 있는 사람,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글로벌 소양을 갖추는 사람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바른 인성과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 시민 의식을 가진 사람, 자기 주도력 및 자기 상황 능력을 가진 창의적인 사람,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심신이 건강한 균형적인 사람, 지식 기반 사회에 부응하는 정보 활용 능력이 있는 사람, 한국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글로벌 소양을 갖추는 사람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일원에 조성된 근린공원. 영장공원은 수정구 신흥동, 태평동, 복정동, 산성동 일원에 공원부지로 지정된 538,022㎡ 가운데 태평동 일원 153,489㎡의 면적에 기존 산림 지형을 이용하여 조성된 근린공원이다. 영장공원은 시민의 보건, 휴양 및 정서 생활에 기여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2000년 4월 4일부터 2000년 1...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태평동 사이에 위치하는 산. 남한산성이 위치하는 청량산이 서남쪽으로 뻗어 내린 줄기에 위치하는 구릉성 산으로 높이는 193.6m이다. 1970년대 수도권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광주대단지가 건설될 당시 가장 먼저 개발된 지역 중 하나가 영장산 남쪽의 지금의 태평동 지역이었는데, 이것은 무허가 건물을 철거하여 이주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서 출토된 영창대군 이의(李㼁)의 묘지석. 영창대군은 조선 선조의 14명의 왕자 중 막내이며, 인목왕후의 유일한 소생이다. 선조는 이미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光海君) 대신 영창대군을 왕세자로 책봉할 것을 영의정 유영경(柳永慶) 등과 비밀리에 의논하였다. 그러나 선조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서인(庶人)으로 강등...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움직이는 영상 및 그 기술과 관련한 일에 종사하는 인물과 단체 및 시설. 성남시의 영화는 다른 예술 분야에 비하여 그리 활발한 활동 및 발전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성남 지역의 영화가 가시화된 것은 이 지역에 시제가 실시된 1973년 이후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지만 그 무렵에도 이렇다 할 활동은 볼 수 없었다. 그러나 1970년대 말부터 영...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연극이나 음악, 무용 따위를 공연하거나 영화를 상영하기 위하여 무대와 객석 등을 설치한 건물이나 시설. 극장은 영어로 theatre로 '구경하는 곳'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theatron'에서 유래했다. 극장은 대개 공연을 위한 무대 공간을 갖추고 있다. 극장은 고대부터 발달했으며 주로 배우들의 동작을 보고 대사를 들어야 하는 관객의 필요에 따라,...
-
경기도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역참. 조선시대 경기도에 속한 역도는 크게 『세종실록지리지』와 『경국대전』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를 보면 경기도에 속한 역도는 3개(좌도충청도, 우도충청도, 경기·강원도)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종6품 찰방이 배속되었다. 좌도충청도의 소관 역은 양재·낙생·시흥·금영·좌찬·분행·무극이었으며, 우도충청도의 소관 역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정신 지체 장애인 생활 시설. 사회복지법인 무지개 동산 예가원은 장기간 요양할 수 있는 시설의 설치와 함께 재활에 필요한 상담, 치료, 훈련 등 각 분야의 프로그램을 통해 정신지체 장애인의 사회 복귀에 노력하며, 사회복지의 기초 개념인 생명의 존엄성과 인간평등사상을 바탕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들과의 통합된 삶을 추구하고자 설립...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형 및 인형극을 제작, 공연하는 연극단체. 청소년들에게 문화의 공간을 만들어 만남의 기회를 주고, 그들의 마음을 열 수 있는 계기를 연기로 표현하여 꿈과 희망을 준다. 또한, 인형극의 특성상 신비하고 상징적인 표현을 통하여 어린이들에게 무한한 상상력과 창조력을 일깨워주고 어른들에게는 잃어버린 동심을 되찾게 해줌으로서 옛 전통문화와 현대문...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측) 소속의 교회 2003년 10월 현재의 건물에서 곽요셉 목사를 담임목사로 하여 출발하였다. 설립 당시 서울 압구정동 소재 초대형교회인 소망교회의 지원을 받았다. 이 교회는 여러 측면에서 압구정동 소망교회와 연속성을 지니고 있다. 서울 소망교회의 당회장이었던 곽선희 목사가 곽요셉 목사의 부친일 뿐만 아니라, 곽요셉 목사 자신이 소망교회의 부목사로 있...
-
문예, 미술, 음악, 문학 등의 독특한 표현양식에 의하여 아름다움을 창작, 표현하려는 활동. 또는 그 작품. 성남예술이란 성남시민들 각각 삶의 가치를 높여주고 현대생활의 각박함 속에서도 정서적 활력을 되찾게 하는 삶의 총체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성남시는 1946년 광주군 중부면 성남출장소가 설치된 이후, 계속하여 광주군에 속해 있다가 1969년 주택지 조성사업 착수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여수동은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의 중원구와 남쪽의 분당구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관할 면적의 대부분이 개발 제한 구역이다. 법정동인 여수동은 행정동인 중원구 도촌동에서 관할하고 있으나 생활권은 분당구에 더 가깝다. 2009년에 성남시청사를 여수동으로 이전하였고, 여수 지구가 국민 임대 단지로 지정되어 향후 많은 변화가 예상...
-
문화예술활동을 하는 사람. 성남시는 주택단지 조성이라는 특수한 목적으로 급하게 조성된 인공도시로, 거주민들 또한 대부분 다른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다. 따라서 예술인들도 성남지역 출신보다는 다른 지역에서 이주하여 성남에 정착한 이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성남시의 예술인들이 차츰 모습을 드러낸 시기는 1975년 이후부터이다. 1977년경 지역예술인들이 모여 가칭 성남문...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중(士仲). 사마시를 거쳐 산음현감을 지낸 월곡공(月谷公) 오윤함(吳允諴)의 다섯째 아들로, 어머니는 강덕윤(姜德胤)의 딸이다. 임란중의 생활일기였던『쇄미록(鎖尾錄)』을 남긴 오희문(吳希文)의 손자이다. 처부는 최종직(崔宗直)이다. 음보(蔭補)로 관계(官階)에 진출하여 정9품 종사랑(從仕郞)의 품계만을 받았고, 실직으로 근무한 경험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정(士正). 사마시를 거쳐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의 큰아들으로, 어머니는 강덕윤(姜德胤)의 딸이다. 임란중의 생활일기였던 『쇄미록(鎖尾錄)』을 남긴 오희문(吳希文)의 손자이고, 처부는 이경항(李景恒)이다.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에 증직되었다. 묘는 성남 분당구 대장동 무두만이(無頭滿以)에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때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계휘(季輝), 호는 추담(秋潭). 오경민(吳景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오희문(吳希文)이고, 아버지는 오윤해(吳允諧)이며, 어머니는 최형록(崔亨綠)의 딸이다. 1627년(인조 5) 사마시에 합격, 1634년(인조 12) 26세에 별시(別試)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전적(典籍),병조좌랑...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다리. 오리교는 분당구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탄천에 건설된 여러 교량 중의 하나로, 1993년도에 준공되어 동서를 연결하고 있다. 성남시 관내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해 있는데, 길이 74m, 높이 9m, 총폭이 36m, 유효폭이 30m로, 도로상 구미로에 해당하며 성남대로와 미금로와 연결된다. 이 다리의 이름은 이 지역이 그전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의 마을 이름. 지하철 오리역과 대한주택공사 일대에 있었던 마을로, 동쪽으로 탄천을 건너 골안마을로 이어지고 서쪽으로는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간다. 이 마을 앞 큰 웅덩이가 겨울에도 얼지 않아서 오리가 많이 모여 들었으므로 오리뜰 또는 부평(鳧坪)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마을에 방풍림으로 하천을 따라서 오리나무를 많이 심어서 오리뜰이라 불렀다는 얘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수도권 분당선 전철 구간의 역.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분당선의 한 역으로 미금역과 죽전역 사이에 위치한다. 1994년 분당 신도시 개발과 함께 수서~오리 구간의 분당선이 개통됨에 따라 그 노선의 시·종착역으로 오리역이 개통되었다. 역의 이름은 기존의 마을명을 이용하여 붙여졌는데, 마을 앞 큰 웅덩이가 겨...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초등학교.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94년 11월 1일 오리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1995년 3월 1일 개교하였으며, 1996년 3월 1일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변경되어 오리초등학교가 되었다. 1997년 2월 5일 병설 유치원 개원을 개원하여 1학급을 편성하였으며, 1998년 2월 24일 특수학급...
-
조선 후기의 문신. 해주오씨 18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정령장군 행용양양위부사과를 지낸 오수준(吳遂俊), 어머니는 숙부인 창원황씨이다. 할아버지는 선조대에 전라도수군절도사를 지낸 오도홍(吳道弘), 증조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吳達權), 고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吳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소(老小)를 이끈 인물이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이로(伊老). 해주오씨 18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오수석(吳遂錫), 어머니는 남양서씨, 청주한씨이다. 할아버지는 선조대에 전라도수군절도사를 지낸 오도홍(吳道弘), 증조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吳達權), 고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서(老西)를 이끈 인물이어서...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영백(英伯). 해주오씨 17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선조대 전라도수군절제사 등을 지낸 오도홍(吳道弘)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전주이씨이다. 할아버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達權), 증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소(老小)를 이끈 인물이어서, 그의 가계 역시 이런 영향...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수백(秀伯). 해주오씨 17세손. 월곡공파. 아버지는 선조대 전라도수군절제사 등을 지낸 오도홍(吳道弘)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전주이씨이다. 할아버지는 승정원좌승지를 지낸 오달권(吳達權)이며, 증조부는 산음현감을 지낸 오윤함(吳允諴)이다. 오윤함의 형은 오윤겸(吳允謙)으로 성혼의 제자이며 노소(老小)를 이끈 인물이었다. 그의 가계 역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에 있는 옛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지역으로서 기와를 만들었으므로 와실, 왜실 또는 오야실, 오야소라고 하였다. 오야동에 있는 골짜기를 요굴이라고 하는데 오야곡리라는 마을명은 이에도 비롯된 것으로 추측된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오야리(동)라 하며,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고, 1975년 3월 대왕출장소에 편입되어 신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 수정구 북단에 위치하여 서울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으로 원래 아랫말[안말], 웃말[장골], 왜실[오야실]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변 평지 지역은 공군성남기지[서울공항]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신촌동 관할의 법정동으로 대부분 군사 시설 보호 구역, 개발 제한 구역으로 지정되어있다. 오야동의 옛지명은 와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에 있는 옛 지명. 본래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의 지역으로서 기와를 만들었으므로 와실, 왜실 또는 오야실, 오야소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오야리라 하며, 1973년 성남시에 편입되고, 1975년 3월 대왕출장소에 편입되어 신촌동의 관할이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 수정구 북단에 위치하여 서울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으로 원래 아랫말[안말], 웃말[장골], 왜실[오야실]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변 평지 지역은 공군성남기지[서울공항]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신촌동 관할의 법정동으로 대부분 군사 시설 보호 구역, 개발 제한 구역으로 지정되어있다. 오야동의 옛지명은 와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촌동에 있는 옛 지명. 오야소동(梧野所洞)은 와실(瓦室), 왜실, 오야실이라고도 하였는데, 예전에 이 지역에서 기와를 구웠으므로 와실 또는 왜실이라 칭하던 것이 오야실로 변해서 된 것이라는 설과, 이 지역에 오동나무가 많아서 오야소(梧野所), 그리고 오동나무 열매가 잘 열렸으므로 오야실(梧野實)이라 칭하던 것이 오야리로 변했다는 설이 있...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2동 풍생고등학교 내에 있는 장학회. 오천장학회는 성남 지역 관내의 불우한 학생들과 학교법인 풍생학원이 유지 경영하는 풍생중학교와 풍생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학금을 지급하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학교법인 풍생학원의 설립자인 고 오천(梧天) 홍사풍의 뜻을 받들어 풍생학원의 제2대 이사장인 최경훈이 2억 원의 사재를 출연...
-
노씨 아줌마는 요즘 들어 문득 문득 또또기계 소리가 그립다. 또또기계는 소리가 여간 시끄럽지 않은 기계였다. 겨울에는 문을 닫고 기계를 돌리니까 좀 덜 하지만, 여름이면 문을 열어야 했다. 그러면 다닥다닥 붙은 이웃집들은 분명 큰 피해를 보았을 것이다. 그런데도 이웃들은 불평을 하기보다, 외려 열심히 사는 게 좋다고 하였다. 주위에 살던 동갑나기 친구들은 함께 작업을 했...
-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숯골과 중원구 상대원동 보통골에서 살던 성씨. 수정구 태평동 숯골에 온수군(溫水君) 방운(方雲)의 15대손 관찰사 방순(方恂)이 처음 살았는데, 방순은 고려말 절의를 지킨 사람으로 동료인 이집(李集)과 더불어 숯골에 은둔하다가 붙잡혀 황해도 금촌에서 죽임을 당했다. 그의 묘는 전의 인하병원 자리에 부인과 합장되었다가 성남시 개발로 1969...
-
?~28[온조왕 46]. 백제의 건국시조. 엄밀한 의미에서는 위례성(慰禮城)에 토대를 둔 백제 왕실의 시조. 재위 서기전 18~서기 28. 현존 문헌들에는 백제의 시조로 전하는 인물들이 여러 명이며, 온조는 그 중의 하나이다. 백제 초기에는 북쪽에서 한반도 중서부일대에 남하한 부여족의 여러 집단들이 연맹체를 결성하고 있었다. 그들 중 연맹체를 주도한 대세력으로는 먼저 미추홀(彌鄒忽...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분당시범아파트단지 내에 있는 종합체육시설. 분당올림픽스포츠센터는 한국체육산업개발에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시설물 관리 및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스포츠센터, 공연장 대관 등 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공익 가치를 실현하고 분당 지역의 편안한 휴식처와 복합 문화 레저 공간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1994년 7월 건립되었다. 2005년...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남한산성 내에 축조된 성곽 구조물.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밖으로 또 한 겹의 성벽을 둘러 쌓아 이중의 성벽을 만드는 성곽 구조물이다. 현재 성남시 행정구역으로는 남한산성이 위치하는 청량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검단산 정상부 바로 서쪽의 봉우리(해발고도 531m)의 남쪽 옹성 중 하나가 위치하고 있다. 성내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
과거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의 소속 마을. 조선총독부에서 제작했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에 의하면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에 15개 리(里) 가운데 ‘옹점리(甕店里)’가 들어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동쪽은 광주시 광남동과, 서쪽과 남쪽은 같은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 법정동인 여수동과 분당구 야탑동, 북쪽은 하대원동 관할 법정동인 갈현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총 3.0㎢의 면적으로 중말(中村)과 그 남쪽에 응달말, 북쪽에 섬말[도촌(島村)]의 3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약 250년전 강씨에 의하여 형성된 마을로서,...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 신흥동은 성남 개발 당시 가장 먼저 개발된 지역의 하나로 수정구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흥1동, 신흥2동, 신흥3동의 3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철 8호선 수진역, 신흥역, 단대오거리역과 인접하고 중앙로, 수정로가 평행으로 가로질러 교통이 편리하다. 과거 신흥1동 지역은 취락이 없었고, 신흥2동 및 신흥3동...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 수정구 북단에 위치하여 서울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으로 원래 아랫말[안말], 웃말[장골], 왜실[오야실] 등으로 이루어진 지역이었으나, 탄천변 평지 지역은 공군성남기지[서울공항]에 편입되어 폐동되었다. 신촌동 관할의 법정동으로 대부분 군사 시설 보호 구역, 개발 제한 구역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