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교회. 가나안교회는 서울에서 시작된 천성교회를 모체로 하며, 1993년 경기도 성남시 분당으로 이주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소속의 교회이다....
-
경기도 성남시의 볼거리와 자랑거리. 성남 지역에서 직접 가서 볼 만한 곳은 많이 있다. 1970년대 초반 성남시가 독립적인 행정 도시로 확정되면서 나름의 발전을 거듭해왔고, 그 과정에서 성남 시민의 편익을 위한 여러 가지 정책과 주민 자치로 차츰 독립적으로 전개되어 성장을 거듭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행정적으로 추진된 것과 주민 자치로 시행된 성남시의 볼거리라든가 자랑거리가 탄생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풍물굿패 우리마당을 비롯한 지역 풍물패가 매년 10월에 여는 책거리 풍물굿. 책거리란 책을 다 배우고 난 후 떡과 음식을 함께 나눠 먹으며 축하하던 풍속을 말한다. 이러한 책거리의 의미를 이어받아 책거리굿은 지역 풍물패들의 풍물학습 결과에 대한 역량을 확인하며, 많은 이들과 함께 축하하고 즐기는 자리로 만들어졌다....
-
가정마다 신, 즉 가신(家神)이 있어서 집안을 보살펴 주는 것이라 믿고, 이 가신들에게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의례를 올리는 신앙형태. 가정신앙은 집안에 있는 신을 섬기는 형태이기 때문에 가신신앙, 가택신앙, 집안신앙이라고도 한다. 가신의 형태는 하나의 집안을 소우주로 보았을 때, 각자에게 공간적으로는 고유한 영역이 주어지고 맡은 역할 또한 다르다. 그리고 가신들 내에서도 위...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전국 최초의 온라인 건강증진센터. 온라인 건강 증진 센터로 건강 생활 실천을 통한 건강 증진을 위해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9년 현재 이용자 수가 적어 인터넷 서비스가 중지될 전망이다....
-
백씨는 자신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면 마음이 복잡했다. 자신을 낳아 준 엄마의 얼굴도 모른 채 어린 시절을 보냈다. 아니 생모가 따로 있다는 사실조차 까마득히 몰랐다. 그러다가 사춘기에 들어서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 끝내 몰랐더라면 어땠을까? “사춘기 때 동네 사람들이, 인제 니네 엄마 새엄마다, 이렇게 이야기했는데, 저는 아니다 우리 엄마다. 어머님이 좀 쎄셨어요. 그러다 보니까...
-
소년 구보의 어머니는 혼자 몸이었다. 생계를 위해서는 일거리가 필요했다. 그래서 집 짓는 공사장의 잡부가 되었다. 다행히 집짓는 일거리가 끊이지는 않았다. 어머니는 그렇게 번 돈을 조금씩 떼어 벽돌을 사다 날랐다. 그리고 저 아래쪽 개천의 모래를 퍼다 날랐다. 어머니도 형도 누나도 그리고 소년도 틈만 나면 개천의 모래를 세숫대야로 퍼다 날랐다. 그리고 시멘트를 사다가 조그만 집을...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여수동은 과거에 덕지벌을 중심으로 벌말, 살나드리들, 샛터말, 소만말, 속말, 안말, 회전말 등 8개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다. 성남대로를 중심으로 북쪽의 중원구와 남쪽의 분당구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관할 면적의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이다. 법정동인 여수동은 행정동인 중원구 도촌동에서 관할하고 있으나 생활권은 분당구에 더 가깝다. 2009년...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분파. 가톨릭교회는 각 지역마다 교구(敎區)라는 개별 공동체를 두고 있으며, 각 교구에는 교구장 주교를 중심으로 보좌주교, 총대리, 사무처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다. 또한 각 교구 산하에 본당(성당)들이 있으며, 각 본당에는 교구장 주교를 대리한 주임 신부를 중심으로 사목회장, 사목협의회 등의 평신도 협의체가 조직되어 운영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
1575년(선조 8)~1660년(현종 1). 조선시대의 선승(禪僧), 승병장(僧兵將). 1575년(선종 8) 12월 아버지 김해김씨와 어머니 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
1575년(선조 8)~1660년(현종 1). 조선시대의 선승(禪僧), 승병장(僧兵將). 1575년(선종 8) 12월 아버지 김해김씨와 어머니 조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에 있는 공동묘지.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과 성남시 분당구 갈현동을 연결하는 두개의 고갯길인 이배재와 갈마치고개로 연결되는 도로가 만나는 골짜기에 조성된 공원묘지로 현재 갈마공원묘지 입구에는 성남 제2공단과 성남 제3공단이 입주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갈현동은 중원구의 최동단에 위치한 중원구 도촌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 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 아랫말, 웃말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과 광주시 삼동의 경계가 되는 고개. 갈마치고개는 중원구 갈현동의 동쪽에서 광주시와 경계가 되는 고개로, 갈현이라고 불린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공단로 반포산업 사거리에서 남서쪽으로 나뉘어져 중원구 갈현동에서 경충국도[국도 3호선] 및 지방도 389호선와 만나는 길이다. 왕복 포장 2차선 도로로 총연장은 1.7㎞이며 도로 폭은 10m, 총면적은 17,000㎡이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과 경기도 광주시 삼동을 연결하는 터널. 경충국도[옛 국도 3호선] 선상에 있는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과 광주시 경계를 지나는 터널이다. 광주시의 도시개발로 인하여 광주시 및 이천시에서 성남 지역으로 진입하는 교통량이 많으며, 지역 간 교통의 흐름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있는 교회. 1985년 6월 박조준 목사와 일부 교인들에 의해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시작된 초교파 독립교회이다. 박조준 목사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측) 소속 서울 영락교회의 담임목사로 오래 있었으나 1984년 사임한 후 이때 영락교회 출신의 일부 교인들과 함께 초교파 독립교회를 시작하였다. 이후 짧은 시간 내에 급성장하였으며, 2000년 6월 4일...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과 광주시 삼동의 경계가 되는 고개. 갈마치고개는 중원구 갈현동의 동쪽에서 광주시와 경계가 되는 고개로, 갈현이라고 불린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갈현동은 중원구의 최동단에 위치한 중원구 도촌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 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 아랫말, 웃말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있는 법정동. 갈현동은 중원구의 최동단에 위치한 중원구 도촌동 관할의 법정동이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 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 아랫말, 웃말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관할에 있는 옛 지명. 갈마터널이 있는 3번국도와 갈마치고개를 지나는 389번 지방도를 통해 광주(廣州)시와 연결되어 있는 중원구 최동단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은 광주시 300컨트리클럽이 있는 광남동과, 서쪽과 남쪽은 하대원동 관할 법정동인 도촌동, 북쪽은 중원구 상대원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총 4.5㎢의 면적으로 독점마을을 중심으로 새터말(과거에...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참새목 까마귀과 까치속에 속하는 새. 까치는 우리나라 텃새로 길조로 여겨져 민요나 민속에도 자주 등장하고 사람들이 친근하게 여긴다. 날씬한 몸매, 희소식 예견, 외유내강의 특징으로 인해 만인에게 환영을 상징하는 동물로 받아들여진다....
-
조선 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소지(少之)이다. 할아버지 강은과 아버지 강해(姜諧)가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안골에 정착한 후 집성촌을 이루어 세거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강릉최씨가 성남시지역에 세거한 것은 3백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문정공 최수성(崔壽城)의 5대손 최윤득(崔胤得)[1710~1745]이 수원의 은행동에서 이거함으로써 세거지가 되었다. 최윤득의 증손 최창화(崔昌華)[1788~1858]가 선략장군 용양위 부사과를 지냈다. 최성규(崔聖圭)[1942년생]는 최윤득의 9대손이다....
-
조선 후기 성남 지역 출신의 문신. 강백령[생몰년 미상]은 본관은 진주이고 전설사 별제를 지냈다. 진주강씨는 조선 초기에 성남시 복정동 안골마을에 자리 잡은 세거성씨로, 마을에 처음 들어와 터를 잡은 조상은 강천명(姜天命)이며, 지금 남아 있는 성남의 집성촌 성씨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편이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건중(建中). 호는 강암(彊菴).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
조선 후기 광주군 세촌면 복정리 출신의 한학자 및 개화사상가. 강위(姜瑋)[1820~1884]는 경기도 광주군 세촌면 복정리[현재의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출생으로, 본관은 진주, 자는 중무(仲武)·위옥(葦玉)·요장(堯章), 호는 추금(秋琴)·자기(慈屺)·청추각(聽秋閣)·고환당(古懽堂)이다....
-
경기도 성남시 성남문화원에서 매년 성남 지역 발전에 기여한 여성을 대상으로 시상하는 상. 강정일당은 조선 후기 여류 문인이자 성리학자이며 귀감이 되는 인물로, 성남문화원이 성남시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8월의 문화관광부 선정 이달의 인물이기도 하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강중(剛中). 칠원윤씨 33세손. 순수공파. 아버지는 윤형국(尹衡國)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이다. 할아버지는 통덕랑에 오른 윤경행(尹敬行), 증조부는 윤덕로(尹德老), 고조부는 윤세적(尹世績)이다. 부인은 숙인 한양조씨이다. 슬하에 아들이 없어, 윤이의(尹履誼)를 양자로 맞아들였다. 윤이의는 통훈대부로 연천현감을 지냈다....
-
경기도 성남시를 상징하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진달래목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철쭉은 ‘줄기찬 번영’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시의 상징 꽃으로 정하였다. 철쭉은 대자두견화(大字杜鵑花), 신두견(新杜鵑), 척촉, 산척촉, 철쭉꽃, 철쭉나무, 철죽, 철죽나무, 개꽃나무라고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있는 로마 가톨릭 교회 및 동방정교회와 함께 기독교의 3대 전통에 속하는 기독교의 분파. 개신교는 16세기 초 로마 가톨릭 교회 내부에서 교회 개혁을 주장하는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종교 개혁으로 알려진 이 운동의 주창자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와 ‘타락'을 고발하면서 교회의 전통과 권위에 반항하였기 때문에 프로테스탄트(protestants)라는 별명을 얻었다...
-
개신교의 이념과 정신에 따라 성남시에 세워진 기관, 조직, 단체. 개신교는 교회를 기초로 한 종교이지만 동시에 수많은 단체를 가지고 있다. 교회가 예배 중심의 신앙공동체라면, 개신교 단체들은 보다 특화되고 전문적인 목표 아래세워진 기관과 조직들로서 교회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조직이다. 그렇지만 이들 역시 교회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기독교 이념의 실현을 취해 설립된 기관이자 조직이다...
-
추석날이나 음력 정월대보름에 청소년들이 거북모양을 만들어 집집마다 찾아다니면서 노는 놀이. 성남시와 가까운 경기도 광주(廣州)에서는 주로 음력 정월대보름에 논다. 정월대보름에 거북놀이를 할 때는 청소년뿐만 아니라 마을 전체 사람들의 놀이이다. 먼저 길놀이를 위한 거북이 만들기를 한다. 거북이는 옥수숫대나 비슷한 같은 재료- 왕골·덩굴·대나무·볏짚-를 사용하여 앞뒤에 두 사람이 들어...
-
안채에서 대청마루를 사이에 두고 안방과 맞은편에 있는 방 안채에 대청마루를 둔 중부지역 살림집의 경우에는 대청을 가운데에 두고 안방과 건넌방이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다. 이때 건넌방은 안방을 기준으로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대부분 1칸에서 1칸 반 정도의 크기이다. 성남 지역의 건넌방도 중부지역의 일반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며, ‘걸음방(혹은 거름방)’이라고 칭한다. 건넌방의 출입문은...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건중(建中). 호는 강암(彊菴). 사헌부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원의손(元義孫)의 장남이고, 어머니는 이준심(李浚沈)의 딸이다. 조부는 봉조하(奉朝賀)로 영조의 신임이 두터웠던 원경하(元景夏)이고, 증조부는 원명구(元命龜)이다....
-
경기도 성남시의 건물, 구조물 등을 쌓아 만드는 일 또는 사람이나 물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구축물. 건축의 범위와 종류는 매우 광범위하여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집이나 궁궐, 사찰, 관아 건물은 물론이고, 성곽, 교량, 탑, 부도, 심지어는 무덤까지도 건축의 범위에 속한다. 또 그 재료에 따라서도 나무로 만든 목조 건축, 흙으로 만든 토축 건축, 벽돌로 만든 전축 건축, 돌로 만든...
-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 높이 534.7m로, 청량산(淸凉山)[479.9m]과 함께 광주산맥의 지맥으로서 남한산성과 연결되는 산줄기를 이루는 산이다. 탄천이 중앙부를 북류하고 그 좌우에 지류가 발원하는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凹형을 띠고 있다. 성남시의 지세에서 동쪽의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서쪽에 위치하는 청계산(淸溪山)[618m] 줄기와 함께 전체적...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공부하며 예절바른 어린이 육성이라는 교훈으로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건강한 어린이, 올곧은 마음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꾸준히 노력하고 스스로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공부하며 예절바른 어린이 육성이라는 교훈으로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건강한 어린이, 올곧은 마음으로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꾸준히 노력하고 스스로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결성장씨는 350여년 전부터 세거하기 시작했다. 결성부원군 장사(張楒)의 18세손으로 병조참판 겸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역임하였으며 장씨 8관(八貫)의 족보를 10년간에 편찬한 장취오(張聚五)[1684~1770]가 그의 부친인 절충장군 장시서(張時瑞)[1653~1706]의 묘를 쓰고 서울에 살았다. 그후 취오의 장손 장이검(張履儉)이 광주에서...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택중(擇仲), 호는 견제(謙齋)이다. 아버지는 증호조참판 유유(柳柔)이며, 어머니는 광흥수(廣興守)를 지낸 임지재(任文載)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위치하고 있는, 성남·광주·용인 지역의 교사들로 구성된 음악 단체. 경기교사리코더합주단은 리코더를 연주·보급하며 연주 기법 및 교육 기법의 연구를 목표로 하는 70여명의 교사 및 일반회원들로 이루어진 음악 단체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있는 경기도교육청 산하의 교육행정기관. 경기도 성남교육지원청은 교육 격차 해소로 교육 복지 실현, 주도성과 창의성을 키우는 학교 교육과정 지원을 지표로 삼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에 있었던 보건진료소. 1969년 5월 2일 광주군 보건소 관할로 입주한 뒤 같은 해 12월 5일 광주군보건소 성남지소로 개소하였다. 1972년 4월 20일에 경기도 성남출장소 보건진료소로 개칭하여 1973년 7월 1일에는 시제실시로 성남시보건소로 개칭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에 있는 사회복지단체. 장애인의 정보화추진으로 사회참여의 기회를 확대하고 재활자립을 위한 여건을 조성함과 동시에 소외계층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여 장애인 및 소외계층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협회이다....
-
1대부터 11대까지 있었던 국회의원 경기도 선거구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 제4선거구는 광주군, 이천군, 여주군이 포함되는데, 이때 성남은 광주군에 포함되어 투표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에 있는 도립 공공도서관. 도서관은 온갖 도서, 문서, 기록, 출판물 등 다양한 정보를 공공 기관, 단체나 개인이 수집, 정리, 보존하여 민간 또는 특정 사용자들이 열람, 대출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회교육 시설이다. 경기성남교육도서관은 사회 각 분야의 지식과 정보의 제공을 통한 문화, 정보,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경기도에서 설립한 공공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에 있는 여성단체.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성남시지회는 여성의 권익 증진과 지위 향상, 지역사회의 발전과 사회봉사를 목적으로 하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소속 지회로, 성남시 평생학습관 안에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미술단체. 2002년 2월 1일 분당에서 24명이 모여 발기인대회를 열고 초대 회장에 조영실을 선출하였다. 6월 24일~30일에 분당여성문화회관에서 창립전을 개최한 이래, 7월 1일~30일에 허수아비갤러리에서 초대전을, 7월 20일에 가평군 명지산에서 야외스케치 행사를 개최하였다. 2003년 6월 24일~30일에는 수원미술관에서 제2회 정기전을,...
-
1871년(고종 8)에 편찬된 경기도 35개 군의 읍지 필사본. 『경기읍지』는 경기도 35개 군의 읍지를 합편한 6책의 필사본으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있다. 『경기읍지』에는 수원, 강화, 광주 등 경기도의 주요 유수부의 읍지가 빠져있는데 편찬 당시부터 빠진 것으로 보이며, 편자는 미상이다. 각 읍지의 첫머리에는 군의 채색지도가 첨부되...
-
고려 및 조선시대에 경기도를 좌, 우로 분할하여 설치한 행정구역. 고려 현종 9년(1018) 정주(貞州), 송림(松林), 임진(臨津), 토산(兎山), 임강(臨江), 적성(積城), 파평(坡平), 마전(麻田) 등 여러 고을을 상서도성(尙書都城)의 직할이 되게 하고 처음으로 ‘경기’라 하였다. 경기는 ‘서울을 에워싼 문지방’이란 뜻이다. 이 지역은 후에 양광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양주,...
-
1842년(헌종 8)에 편찬된 경기도 33개 군과 영종진의 읍지 필사본. 『경기지』는 경기도 33개 군과 영종진의 읍지를 합편한 4책의 필사본으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있다. 편자는 미상이며, 각 군 읍지의 첫머리에는 군의 채색지도가 부착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 합주단. 1988년 현재 경기 청소년 국악관현악단의 정길선 단장이 세경가야금연구소를 개설하고 그 뒤 가야금 뿐만 아니라 단소 등 국악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학원으로 확장되어 학원 수강생들이 주축이 되어 1995년 3월에 창단되었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로(景老), 호는 사암(思菴)이다. 증 호조참판 정비(鄭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직(司直)을 지낸 정형운(鄭亨耘)이고, 아버지는 예문관대교 정전(鄭荃)이며, 어머니는 거창신씨(居昌愼氏)로 증 이조판서 신극정(愼克正)의 딸이다. 부인은 이인홍(李仁弘)의 딸이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구서 인터체인지)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 한남대교 남단에 이르는 고속도로. 연장 425.48㎞, 왕복 4~8차선 도로이다. 1960년대 정부는 제2차 경제개발계획의 성공적 추진과 당면 최대과제였던 육로수송체계의 개혁을 위해 국토를 종단하는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키로 하였다. 그리하여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전구간을 준공,...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과 서울시 서초구 경계의 상행선 고속도로변 우측에 세워져 있는 기념비. 1968년 2월 1일 경부고속도로 건설의 시작을 알리는 첫 발파 지점에 당시 공사에 최초로 투입되었던 국군 용사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80년 2월 15일 한국도로공사 사장 박기석(朴基錫) 명의로 건립하였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경석(景錫), 호는 고암(顧菴) 또는 순암(順庵)이다. 아버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 증조부는 정수강(丁壽崗)이다. 어머니는 군수 송세충(宋世忠)의 딸이고, 부인은 정형(鄭衡)의 딸이다....
-
근대 개항기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경석(敬錫)이다....
-
경신연합회 산하에 있는 성남지역 무속인들의 단체. 경신연합회는 1950년대 말 전국의 무당과 점복자(占卜者)를 중심으로 결성된 경신회(敬信會)가 그 모체이다. 경신회는 한국의 무속을 연구 개발하고 보존하려는 목적으로 성립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를 지향하는 지성인, 나눔에 동참하는 실천인, 최고를 추구하는 전문인이다. 교육 이념은 박애, 봉사, 애국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코레일(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전철 분당선의 한 역으로 태평역과 복정역 사이에 위치한다. 인근에 가천대학교가 위치하여 ‘ 가천대역’이라 명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2동에 위치 한 여성 복지 단체. 경원사회복지회는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성 불평등으로 인한 폭력으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고 성 평등 사회의 주체자로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여성 복지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교육 목표는 미래를 지향하는 지성인, 나눔에 동참하는 실천인, 최고를 추구하는 전문인이다. 교육 이념은 박애, 봉사, 애국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고용노동부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산하의 행정기관.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은 경기 동부 지역인 성남시, 광주시, 이천시, 하남시, 여주시와 양평군을 관할하고 있으며, 실업자에 대한 실업급여 지급, 구직자에 대한 맞춤형 일자리 제공, 근로자의 권익 보호와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있는 경인지방통계청 관할 사무소. 경인지방통계청 성남사무소는 경인지방통계청 산하 기관으로 경기도의 성남시, 광주시, 용인시, 이천시, 여주시를 관할하고 있으며, 산업·서비스·물가·고용·가계·농수산 경제와 사회 분야의 각종 통계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시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분배·소비하는 활동이나 물자·용역을 만들어내는 활동. 지난 50여 년간 한국은 경이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1953년 경제 규모는 GDP 473억 원이었으나 2000년에는 545조 원으로 1만 배 증가했다. 일인당 국민소득도 1962년 85달러[2000년 달러 기준 381달러] 수준이던 것이 급속히 증가해 1990년대 중...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노상동[옛골]에 김창환(金昌煥)[1924년생]의 10대조인 김두희(金斗熺)의 아들 김복경(金復慶)[1694~1774] 때부터 세거한 것으로 전하여진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의 창말[창곡(倉谷)]에 처음 정착하였다, 건원릉 참봉을 지낸 배한손(裵漢孫)[1564~1645]의 부친 배충과(裵忠果) 때 이주하여 대대로 살았다. 창말의 배수만(裵壽萬)[1922년생]은 그의 14대손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국당공 월성부원군 이천(李蒨)의 후손이다. 이희종(李稀鍾)[1909년생]의 14대조 이배(李培)는 경기도 광주시 서부면 말미산에서 살던 중 마침 왜란을 당하여 왜놈을 잡아 말 두 필에 얽어매고 도망가다가 처치하고 평북 가산으로 가서 살았다. 그후 아들, 장손은 놔두고 두 손자를 데리고 다시 정림(定林)으로 와서 살다가 별세하자 대왕면 천곡(泉...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중원구 도촌동 양짓말 또는 섬말[島村]이라고도 부르는데 양경공파의 정광환(鄭光煥)[1538~1610]이 경기도 고양시에서 이주하여 정착한 이래 자손이 세거하여 왔다. 정광환은 정운룡(鄭雲龍)의 차남으로 성남시내 도촌동, 고등동, 태평동 경주정씨의 파조가 되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에 화숙공파 최병서(崔炳序)[1916년생]의 13대조인 최덕지(崔德枝)[1628~1684]부터 자리를 잡고 세거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덕지의 손자 최삼곤(崔三崑)[1725~1780]은 무과에 합격, 첨정이었고, 증손 최완진(崔完鎭)의 3남 최홍량(崔弘良)[1808~1862]은 고금도 수군첨절제사어모장군 전라우수군을 역임했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사회 공공 안녕과 질서를 담당하는 경찰 행정 관서. 성남시에는 경기남부경찰청 산하의 성남수정경찰서[수정구], 성남중원경찰서[중원구], 분당경찰서[분당구]가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과 서울특별시 송파구의 경계 사이에 있는 국도. 국도 3호선[남해-초산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평안북도 초산군까지 연결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남북 간선도로로 성남시의 중앙부를 ‘ㄴ’ 자 모양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도로는 성남에서 크게 두 구간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남북 방향으로 진행되는 복정동-여수동 구간의 성남대로이며, 후자는 여수동 교차로에서 도촌...
-
24절기의 하나. 우수와 춘분 사이에 들어 있으며, 양력으로는 3월 5일경, 음력으로는 2월 중이 된다. 이 날을 ‘개구리 우는 날’ 또는 ‘개구리 나오는 날’이라고도 부른다....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군칙(君則), 호는 동리(東里)이다. 예조좌랑을 역임한 정진의 증손이고, 좌의정 정언신(鄭彦信)의 손자로, 정율(鄭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호준(元虎俊)의 딸이다....
-
백씨는 숭신여중을 거쳐 숭신여고를 다녔다. 집이 있는 태평동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은 산길이었다. 초가을이면 코스모스가 하늘거리던 길이었지만, 가끔씩은 무서운 곳이기도 했다. “그 길이 지금도 아주 생생해요. 뒷길이 다 산길이었어요. 사고도 많이 보고 사람도 죽고, (거기서요) 예. (어쩌다가 사람이 죽어요) 그때 당시 어렸을 때 충격 먹은 게, 무슨 쫓아갔는데 살인 사건이래요. 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사립 예술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는 기초 기본 학력 강화, 전인교육을 추구하는 인성교육 강화, 창의성 계발을 위한 학교 모습 갖추기, 긍지와 믿음이 충만한 교육 풍토 조성, 지역공동체와의 차원 높은 연계성 모색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있는 사립 예술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는 기초 기본 학력 강화, 전인교육을 추구하는 인성교육 강화, 창의성 계발을 위한 학교 모습 갖추기, 긍지와 믿음이 충만한 교육 풍토 조성, 지역공동체와의 차원 높은 연계성 모색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계초(啓初). 광국공신(光國功臣)으로 칠계군(漆溪君)에 봉해진 윤탁연(尹卓然)의 손자이다. 한성부 서윤(庶尹)이자 임란 당시 순절하여 충장공(忠莊公)에 봉해졌던 윤경원(尹慶元)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정연(鄭演)의 딸이다....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때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계휘(季輝), 호는 추담(秋潭). 오경민(吳景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오희문(吳希文)이고, 아버지는 오윤해(吳允諧)이며, 어머니는 최형록(崔亨綠)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산이나 언덕을 넘어 다니도록 길이 나 있는 비탈진 곳. 성남 지역의 고개는 크게 인접한 행정구역과 경계를 이루는 산지에 형성된 것과 도시 내부에 형성된 고개로 구분할 수 있다. 성남시는 검단산(黔丹山), 문형산(文衡山), 불곡산(佛谷山)으로 이어지는 동쪽의 산지와 청계산(淸溪山), 백운산(白雲山), 인릉산(仁陵山)으로 이어지는 서쪽의 산지로 둘러싸여 남북으로...
-
경기도 성남 지역에서 개최되었던 고등 학생들의 연극제. 성남고교연극제는 성남종합예술제의 한 분야로 성남 관내 청소년 연극 인구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한국연극협회 성남지부에 주최하였던 연극제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있는 유원지. 성남시와 용인시의 경계가 되는 낙생저수지 주변에 조성된 유원지로 용인시 수지읍 고기리에 인접해 있어 고기리 저수지라고도 부르며, 낙생저수지의 이름을 따서 낙생유원지라 명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위치하는 저수지. 낙생저수지는 1961년 준공한 분당 지역 최대 규모의 저수지이다. 용인시 고기동에 면하고 있어 고기리저수지라고도 불리며, 저수지의 제방 둑이 예전 낙생면 관내에 해당하여 낙생저수지라 명명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서 광주시 직동의 곧은골로 넘어가는 고개. 곧은골고개는 고개가 길어서 장현(長峴)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예전에 율동, 서현동, 분당동, 이매동 등지의 사람들이 광주 관아에 가거나 경안장을 보러 갈 때 주로 이 고개를 이용하였으므로 장고개[場峴]라 부르기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고등동과 시흥동 사이 상적천을 가로지르는 대왕판교로에 설치된 다리. 다리가 놓인 행정구역 지역 명칭인 고등동을 인용하여 고등교라고 이름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행정동인 고등동은 법정동인 고등동, 상적동, 둔전동을 관할하고 있으며, 인근에 공군성남기지[성남비행장]가 있어 대부분 지역이 개발제한구역과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에 있는 덕수이씨의 선영. 이의번[생몰년 미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증좌찬성 이추(李抽)의 아들이며, 군호는 풍성군(豊城君)이다. 성종 때 인능산 아래 고등동 등자리마을에 이의번의 묘를 쓰고 그의 아들인 해풍군(海豊君) 이함과 후손들이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에서 매년 마을의 주신인 산신에게 제사지내는 동제. 등자리마을을 지켜주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기원하는 동제(洞祭)의 일환이다. 과거에는 마을 사람 중에서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서 제관을 선출하였으나, 마을 주민인 이순희씨(1930년생)에 의하면, 마을 밑에 용천사라는 절이 생긴 후에는 용천사에서 제를 맡아서 행한다고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에 있는 당집. 고등동 등자리마을을 지켜준다고 믿는 수호신을 모신 당집으로 산제당(山祭堂)으로도 불린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 산신각 안에 있는 산신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등자리마을에서 주신(主神)으로 받들던 산신(山神)을 형상화한 그림으로 산신각 안의 벽면에 걸려 있다. 문을 열고 들어섰을 때 오른쪽 벽면에 위치하고 있는데, 크기는 가로 131㎝, 세로 93㎝이며, 그림의 오른쪽 아래에 이를 기증한 사람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에 있던 옛 행정구역. 1910년대까지 고등리는 크게 고산리(高山里)와 등자리(登子里)로 구분되었는데, 고산리는 안말, 웃말, 길아래, 주막거리의 4개 마을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등자리는 인릉산 아래 지역을 말하였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전의 광주군 대왕면 고등동]에서 매월 2, 7일에 개설되었던 정기시장. 조선시대의 상업은 이른바 5일장이라고 하는 장시(場市) 체계를 매개로 발달하였고, 18세기 후반에 오면 장시망이 포화상태에 이른다. 성남지역의 장시 개설상황을 시기별로 보면, 조선 후기에는 판교장과 낙생장이 있었는데, 19세기 후반경 일시 소멸하였다가 1938년~1955년에 1, 6...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고등 보통교육 및 실업 전문교육 기관. 성남 지역의 고등학교는 보통교육을 주로 실시하는 인문계 고등학교와 전문교육을 주로 실시하는 전문계[실업계]고등학교, 특수목적고등학교로 구분하며, 설립자에 따라 공립고등학교와 사립고등학교로 구분한다. 고등학교 입학 자격은 중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규정하며, 수업...
-
고사를 지내는 목적으로 신앙되는 나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 입구나 혹은 마을 안에 위치한 오래된 나무 앞에 음식을 진설하고 고사를 지내는데, 이러한 나무를 ‘고사나무’라 한다. 또한 제당의 중심을 이루는 신체(神體)로서, 신목으로(神木)으로 표현되는데, 성남지역의 고사나무는 회화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등의 수종으로 나타난다....
-
강강술래의 한 대목으로 부르는 유희요의 하나. 고사리꺾기를 모방한 데서 생겨난 것으로, 흔히 고사리꺾기, 고사리꺾자라고도 한다....
-
탁발승이나 직업적인 걸립패들이 걸립 때 고사상을 차려놓고 부르는 노래. 고사의 종류에 따라 성주고사, 별고사, 홍패고사, 백패고사 등이 있다. 탁발승, 절걸립패, 낭걸립패에 따라 순서나 의식 절차는 다르지만 집안에서 고사를 지내는 경우에 고사반을 차리고 고사선염불과 뒷염불을 부르는 것은 비슷하다. 추수가 끝났을 때 많이 행해졌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성백(成伯), 호는 임계(林溪), 고산(高山)이다. 현감 윤형갑(尹衡甲)의 아들이며, 남양부사 윤계(尹棨)의 아우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행정동인 고등동은 법정동인 고등동, 상적동, 둔전동을 관할하고 있으며, 인근에 공군성남기지[성남비행장]가 있어 대부분 지역이 개발제한구역과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고등동 관할에 있는 엣 지명. 인릉산(仁陵山)의 지맥을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등자리가 있었던 마을로서, 안말, 웃말, 길아래, 주막거리로 불린다. 안말과 웃말에는 덕수이씨가, 길아래말에는 경주정씨(慶州鄭氏)가 각각 살았었다. 그리고, 주막거리(새술막)은 덕수이씨(德水李氏)의 마을로 전하여지고 있으며, 새술막은 주막거리에 한국동란 이후 술집이 새로 생겨 붙여진...
-
경기도 성남시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 중말에는 고려 말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의 문인으로 태종을 도와 공신이 되고 세종 때에 좌의정을 지낸 이원(李原)[1368~1429]의 6세손 이오(李墺)가 병절교위로 서울에 살다가,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세거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는 양짓말 언덕에 느티나무를 네 그루를 심고 그의 호를 사괴정(...
-
조선 전기 성남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경석(景錫), 호는 고암(顧菴) 또는 순암(順庵)이다. 아버지는 찬성과 관찰사를 지낸 충정공(忠貞公) 정응두(丁應斗)이고, 조부는 찬성을 지낸 공안공(恭安公) 정옥형(丁玉亨), 증조부는 정수강(丁壽崗)이다. 어머니는 군수 송세충(宋世忠)의 딸이고, 부인은 정형(鄭衡)의 딸이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에 있는 고용 행정을 담당하는 공공 기관. 성남고용센터는 고용노동부 성남지청 산하의 공공 기관으로, 성남 지역의 취업 중추 기관이자 지역 사회의 공공 서비스 기관이며, 성남 지역의 유관 기관 및 단체들로 구성된 지역 고용 관리 조직을 구성하여 지역 고용 대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현실에 맞는 특화된 고용 대책 방안 도출하기 위한 지역 밀착형 공...
-
근대 이전에 제작된 옛 지도. 고지도는 지도가 제작된 그 시대의 여러 상황이 반영되며, 만든 목적에 따라 지도에 실린 내용이 달라진다....
-
아내 자랑하는 사람은 팔불출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궁씨는 아내가 고맙고 자랑스럽다. 아내는 1남 1녀의 아들 딸을 잘 키웠다. 딸은 대학에 다니고 아들은 대학을 준비 중이다. 그 아이들은 궁씨의 고향인 상대원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고 보니 아이들의 고향도 상대원이다. “우리 아들 딸은 빨리 가자 왜 여기 살고 있냐 난 이유를 모르겠다 라는 쪽이에요 특히 아들네미가 그런 주장이...
-
조선 후기의 학자 강위의 시문집. 조선 후기의 한학자이자 개화사상가인 강위(姜瑋)[1820~1884]는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복정리 출생으로, 본관은 진주, 자는 중무(仲武)·위옥(葦玉)·요장(堯章), 호는 추금(秋琴)·자기(慈屺)·청추각(聽秋閣)·고환당(古懽堂)이다. 무반집안의 출신으로 신분상의 제약 때문에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과 문학에 전념하였다....
-
지금의 상대원은 거의 차댈 데가 없을 정도로 도로를 차들이 점령하고 있다. 하지만 지석태가 자랄 때만 해도 거의 차가 없었고, 당시에는 체구도 작아서 동네길도 운동장처럼 느껴져서 동네만큼 놀기 좋은 곳도 없었다. 초등학교 시절을 떠올리면 바로 거기서 동네 친구들이랑 뛰어 노는 게 지석태에게는 제일 큰 재미이자 즐거움이었다. 그 곳에서 지석태는 평생 알아야 할 놀이나 게임의 8할을...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불곡산(佛谷山)에 위치한 조선 후기의 사찰. 창건된지 약 250여년 된 조선 후기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이나 현재 재단법인 선학원으로 등록되어 있다. 원래의 사찰명은 불곡사(佛谷寺)였으나 성오 주지스님이 과거 이 지역 지명인 ‘골안’을 따와 골안사로 바꾸었다. 그 이유는 분당신도시 개발과정에서 고향을 떠난 주민들이 이곳을 다시 찾아왔을 때 옛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불곡산(佛谷山)에 위치한 골안사 대웅전. 골안사는 창건된 지 250여년 된 조선 후기의 사찰로 분당구 구미동 불곡산에 위치한다. 골안사 대웅전 안에는 결가부좌한 석가모니 삼존불이 봉안되어있고, 산신도와 칠성탱화를 비롯한 다수의 불화, 영가(靈駕)의 위패를 모신 단 등이 설치되어 있다....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의 골안사에 있는 조선시대 석불(石佛). 골안사 석상은 분당구 구미동 불곡산에 위치한 골안사 대웅전 계단의 좌우에 각각 1기씩 놓여 있는 석불을 말한다. 원래는 현재 대웅전에 봉안된 본존불(本尊佛) 좌우에 각각 안치되어 있었던 협시불(夾侍佛)이었는데, 본존불은 새로 금도금을 하여 대웅전에 안치하고 본존불 양 옆에 있던 합장 형태의 두 석불은 지금과 같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의 골안사에 있는 불상. 일제강점기에 불교 신자가 제작한 것으로 분당구 구미동 불곡산에 위치한 골안사 입구의 도로변 왼쪽에 남향하여 있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공거(公擧). 신유(申愉)의 손자이며, 통덕랑 신명직(申命禝)의 아들이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 일대에 위치하는 군용 비행장. 공군성남기지는 군용 항공기 이착륙장으로 사용된 군용 비행장이며, 대한민국 공군이 관할하는 공군 기지로 군용기 뿐 아니라 대통령 전용기나 외국 귀빈이 주로 이용한다. 이 때문에 서울공항으로 불리기도 하며, 성남에 위치하고 있는 비행장이라 성남비행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심곡동 일대에 위치하는 군용 비행장. 공군성남기지는 군용 항공기 이착륙장으로 사용된 군용 비행장이며, 대한민국 공군이 관할하는 공군 기지로 군용기 뿐 아니라 대통령 전용기나 외국 귀빈이 주로 이용한다. 이 때문에 서울공항으로 불리기도 하며, 성남에 위치하고 있는 비행장이라 성남비행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
구보는 14살부터 일을 했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집에서 출퇴근 하거나 공장 기숙사에 들어가거나 혹은 혼자서 자취 생활을 하기도 했다. 공장 생활을 시작한 것은 전구를 만드는 공장이었다. 공단에서 사람을 구한다는, 동네에 떠도는 소문을 따라 찾아갔었다. 구보는 그곳에서 완성된 전구에 불이 켜지는지 검사했다. 1년 정도 했고 곧 옮겼다. 야구 글러브 공장에서는 글러브에 솜뭉치 같...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시도(市道) 성남대로 모란시장 부근 동쪽 방향으로 분기하여 하대원동을 거쳐 상대원동까지 이르는 시도(市道)이다....
-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공도(公度)이다. 윤탁연의 3남이다....
-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한 건축물에 여러 세대가 거주할 수 있도록 지어진 공동 주택. 다세대 주택은 1개의 주택에 여러 가구가 거주하도록 지어진 주택이며, 건축법 시행령의 규정에 의하여 공동 주택의 하나로 분류된다. 다세대 주택은 한 동의 연면적이 660㎡ 이하(주차장 면적 제외)인 4층 이하(지하층 제외)의 주택이어야 한다. 단독주택인 다가구 주택과는 다르게 공동 주택의 하나인 다...